KR101913152B1 - Solid-liquid separato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fertilizer including thereof - Google Patents

Solid-liquid separato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fertilizer includ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152B1
KR101913152B1 KR1020160035099A KR20160035099A KR101913152B1 KR 101913152 B1 KR101913152 B1 KR 101913152B1 KR 1020160035099 A KR1020160035099 A KR 1020160035099A KR 20160035099 A KR20160035099 A KR 20160035099A KR 101913152 B1 KR101913152 B1 KR 101913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liquid
space
wastewater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0830A (en
Inventor
백용기
Original Assignee
백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용기 filed Critical 백용기
Priority to KR102016003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152B1/en
Publication of KR20170110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8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1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05F17/0276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86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고액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비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 분리기는 연통홀이 형성된 구획벽에 의해 여과 전 상태인 제 1 상태 폐수가 유입되는 제 1 이동홀과 연통되는 제 1 공간과 상기 제 1 공간 및 여과 후의 제 2 상태 폐수가 배출되는 제 2 이동홀과 연통되어 상기 제 1 공간에서 고체성분의 여과가 이루어진 상기 제 2 상태 폐수가 머무르는 제 2 공간으로 구획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제 1 공간의 내부에 상기 연통홀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복수의 여과홀이 형성된 다공질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러리 형태의 상기 제 1 상태 폐수가 상기 여과홀을 통과하면서 고체성분이 분리된 상기 제 2 상태 폐수가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 2 공간으로 이동하는 고액분리필터 및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된 상기 제 2 상태 폐수 또는 상기 제 2 상태 폐수가 액비 생산 공정을 거친 형태인 액비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재주입배관을 포함한다.A solid-liquid separator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liquid contain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solid-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a first moving hole through which a first state wastewater as a pre-filtering state is introduced by a partition wall having a communication hole, a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A filter housing communicating with a second moving hole through which state wastewater is discharged and being divided into a second space in which the second state wastewater in which the solid component is filtered in the first space is accommodated, Wherein the second state wastewater, in which the first state wastewater in the form of a slurry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and in which the solid component is separated,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rous tube hav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2 space and a second liquid waste filter for discharging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second state waste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housing through a liquid production process Taein the manure comprises a material injection pipe for the passage to move into the interior of the filter housing.

Description

고액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비 제조 장치{SOLID-LIQUID SEPARATO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FERTILIZER INCLUDING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liquid separator and a liquid-

본 발명은 고액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비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폐수에서 고체성분이 여과된 액체성분으로 액비를 제조할 수 있는 고액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비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liquid separator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id-liquid separator capable of producing a liquid component from a liquid component filtered by a solid component in organic wastewater,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liquid.

일반적으로 축산폐수, 분뇨 및 음식물폐수 등과 같은 유기폐수는 이송차량에 의해 집수조로 저장된 후, 스크린 분리 또는 고액원심분리기에 의해 비교적 큰 오물이나 이물질이 걸러내진 다음, 저장조로 이송되어 미세한 고체 부유물을 함유하는 슬러지가 분리된 후, 침전조로 이송되어 침전처리된 다음(이하 "사전처리"라 한다), 침전물은 탈수화단계를 거쳐 고체부유물을 함유하는 슬러지와 혼합되어 퇴비화되고 사전처리된 침전조의 상등수는유량조정조를 거쳐 액비생산용 반응기(반응조)에서 발효 처리되어 액상의 비료(액비)로 제조된다.In general, organic wastewater such as livestock wastewater, manure, and food wastewater is stored in a collecting tank by a conveyance vehicle, and after a relatively large dirt or foreign matter is filtered out by a screen separation or a liquid centrifuge, the collected wastewater is transferred to a storage tan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treatment"), the precipitate is mixed with the sludge containing the solid suspension through a dehydration step, composted, and the supernatant of the pretreated sedimentation tank And is fermented in a reactor (reaction tank) for producing liquid through a flow rate adjusting tank to produce a liquid fertilizer (liquid fertilizer).

여기서, 미세한 고체 부유물을 함유하는 슬러지에서 고체성분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슬러지 형태의 유기폐수는 다공질의 필터를 거치게 되는데,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필터에 고체성분이 유착되어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면 필터를 세척하거나 교체해야 한다.Her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solid component from the sludge containing fine suspended solids, the organic wastewater in the form of sludge is passed through the porous filter. As the use time becomes longer, the solid component adheres to the filter, Lt; / RTI > If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deteriorates, the filter must be cleaned or replac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은 고액분리필터에 의해 고체성분이 걸러진 유기폐수 또는 유기폐수가 발효된 형태인 액비를 활용하여 필터의 세척 또는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는 고액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비 제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id-liquid separator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increase the period of washing or replacing the filter by utilizing liquid fertilizer in which organic wastewater or solid organic wastewater filtered by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is ferment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 분리기는 필터하우징, 고액분리필터, 재주입배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lid-liquid separator including a filter housing, a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and a re-injection pipe.

상기 필터하우징은 연통홀이 형성된 구획벽에 의해, 여과 전 상태인 제 1 상태 폐수가 유입되는 제 1 이동홀과 연통되는 제 1 공간과, 상기 제 1 공간 및 여과 후의 제 2 상태 폐수가 배출되는 제 2 이동홀과 연통되어 상기 제 1 공간에서 고체성분의 여과가 이루어진 상기 제 2 상태 폐수가 머무르는 제 2 공간으로 구획된다.The filter housing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a first moving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state wastewater as a pre-filtering state is introduced by the partition wall having the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spac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space after the second state wastewater And a second space in which the second state wastewater in which the solid component is filtered in the first space is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moving hole.

상기 고액분리필터는 상기 제 1 공간의 내부에 상기 연통홀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복수의 여과홀이 형성된 다공질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러리 형태의 상기 제 1 상태 폐수가 상기 여과홀을 통과하면서 고체성분이 분리된 상기 제 2 상태 폐수가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 2 공간으로 이동한다.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hole, and is formed into a porous tubular shape hav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When the first state wastewater in the form of slurry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The second state wastewater from which the solid component is separated moves 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된 상기 제 2 상태 폐수 또는 상기 제 2 상태 폐수가 액비 생산 공정을 거친 형태인 액비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The re-injection pipe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econd state waste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housing or the second state wastewater passes through the liquid production process, into the interior of the filter housing.

또한, 본 실시예의 고액 분리기는 상기 제 2 공간의 상기 제 2 상태 폐수를 저장조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재주입배관으로 이동시키는 분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ranch pipe for moving the second state wastewater in the second space to the reservoir or moving it to the re-injection pipe.

한편,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2 공간으로 상기 제 2 상태 폐수 또는 상기 액비를 주입하여, 상기 제 2 상태 폐수 또는 상기 액비가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고액분리필터로 유입되어 상기 여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하우징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여과홀에 끼어있거나 상기 고액분리필터 외측에 유착되어있는 고체성분을 상기 고액분리필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re-injection pipe injects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mixture into the second space, and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mixture flows in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and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So that the solid component sandwiched in the filtration hole or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can be separated from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또는,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 1 공간 내부로 주입된 상기 제 2 상태 폐수 또는 상기 액비에 의해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액분리필터에 유착되어있는 고체성분을 상기 고액분리필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e-injection pip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tate wastewater injected into the first space or the liquid waste is adhered 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by forming a vortex in the filter housing The solid component can be separated from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여기서,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2 상태 폐수 또는 상기 액비를 사선 방향으로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re-injection pipe may be formed to inject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ratio in an oblique direction.

상기 재주입배관에는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제 1 이동홀을 통해 상기 제 1 폐수가 유입되거나 상기 제 2 이동홀을 통해 상기 상기 제 2 상태 폐수가 배출되는 동안에는 닫혀있으며, 상기 제 1 상태 폐수의 유입 또는 상기 제 2 상태 폐수의 배출이 중단된 동안에만 선택적으로 열릴 수 있다.Wherein the re-injection pipe is provided with a valve that is closed during the first wastewater flows through the first transfer hole or the second waste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transfer hole, And can be selectively opened only while the inflow of the state wastewater or the discharge of the second state wastewater is stopped.

한편, 상기 구획벽과 상기 고액분리필터 사이에는 상기 고액분리필터를 상기 구획벽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액분리필터의 하단은 상기 설치부재에 의해 상기 구획벽과 이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installation member for installing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on the partition wall is provid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and the lowe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can be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wall by the installation member .

여기서, 상기 설치부재의 직경은 상기 고액분리필터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diameter of the attachment member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또는, 상기 고액분리필터는 상단이 상기 구획벽과 맞닿으며, 하단이 상기 필터하우징과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may be installed such that an upper end thereof abuts against the partition wall and a lower end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filter housing.

여기서, 상기 고액분리필터의 하단과 상기 필터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고액분리필터를 상기 필터하우징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시에 상기 고액분리필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Here, a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and the filter housing to separate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from the filter housing and support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여기서, 상기 제 1 공간에는 상기 제 1 이동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제 1 상태 폐수가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곡률을 가지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guide member having a curvature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so that the first state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moving hole may form a swirling flow.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비 재조 장치는 제 1 저장조, 제 1 고액 분리기, 제 2 저장조 및 제 3 저장조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liquid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servoir, a first solid-liquid separator, a second reservoir, and a third reservoir.

상기 제 1 조정조에는 복수 개의 운송수단으로부터 운송된 고체성분과 액체성분이 혼합된 슬러리 형태의 유기폐수가 저장된다.In the first adjustment tank, organic wastewater in the form of slurry in which a solid component and a liquid component transported from a plurality of transport means are mixed is stored.

상기 제 1 고액분리기는 상술한 고액분리기와 동일하며, 상기 제 1 저장조로부터 유입된 유기폐수를 고체성분과 처리수로 분리한다.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is the same as the solid-liquid separator described above, and separates organic waste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storage tank into a solid component and treated water.

상기 제 2 저장조에는 상기 고액 분리기에서 여과가 이루어진 처리수가 저장된다.In the second reservoir, treated water filtered by the solid-liquid separator is stored.

상기 제 3 저장조에는 상기 제 2 저장조에 저장된 처리수가 액비 생산 공정을 거쳐 생산된 액비가 저장된다.In the third reservoir, a treated liquid stored in the second reservoir through the liquid production process is stored.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2 공간의 상기 처리수를 다시 상기 제 2 공간으로 재주입할 수 있다.The re-injection pipe can re-inject the treated water in the second space back into the second space.

또는,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2 저장조와 상기 제 1 고액 분리기의 상기 필터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제 2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처리수가 상기 제 1 고액 분리기의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e-injection pipe connects the second reservoir and the filter housing of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so that the treat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reservoir can be injected into the filter housing of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또는,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3 저장조와 상기 제 1 고액 분리기의 상기 필터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제 3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액비를 상기 제 1 고액 분리기의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e-injection pipe may connect the third reservoir and the filter housing of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to inject the liquid stored in the third reservoir into the filter housing of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한편, 상기 제 2 저장조와 상기 제 3 저장조 사이에는 상기 액비 생산 공정을 거친 상기 액비를 다시 한번 여과하는 제 2 고액분리기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고액 분리기는 상술한 고액분리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servoir and the third reservoir to filter the liquid once again through the liquid production process, and 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may be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olid- have.

상기 제 2 고액분리기에서 재주입배관은 제 2 공간의 여과가 이루어진 상기 액비를 다시 상기 제 2 공간으로 재주입할 수 있다.In 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the re-injection pipe may re-inject the liquid pot filtered in the second space back into the second space.

또는, 상기 제 2 고액 분리기에서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3 저장조와 상기 제 2 고액 분리기의 필터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제 3 저장조에 저장된 여과가 이루어진 상기 액비가 상기 제 2 고액 분리기의 필터하우징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the re-injection pipe connects the filter housing of the third solid-liquid separator with the third reservoir, and the liquid filtrate stored in the third reservoir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housing of the second solid- Lt; / RTI >

한편, 상기 제 1 고액 분리기는 직렬로 복수 개가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s may be connected in seri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액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비 제조 장치에 의하면, 고액분리필터에 의해 고체성분이 걸러진 유기폐수 또는 유기폐수가 발효된 형태인 액비를 다시 고액분리필터 또는 필터하우징으로 재주입하여 고액분리필터에 유착된 고제성분을 분리시킴으로써, 필터의 세척 또는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다.The solid-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quid-liquid production device including the liquid-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or a filter housing in which the liquid wastewater in which the organic wastewater or organic wastewater, By injecting and separating the solid component adhered 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the period of washing or replacement of the filter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액비 제조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고액 분리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고액 분리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고액 분리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고액 분리기에 제 2 처리수 또는 액비가 재주입 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의 고액분리필터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액 분리기에 제 2 처리수 또는 액비가 재주입 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의 고액분리필터의 확대도;
도 10은 도 1의 고액 분리기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액비 제조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액비 제조 장치의 또 다른 예를 타나내는 도면이다.
The foregoing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there are shown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iquid m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treated water or the liquid is re-injected into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of FIG. 5;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econd treated water or the liquid is re-injected into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of Fig. 7;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FIG. 1;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iquid m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2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liquid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noted that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names and numerals, but are substantially not identical to element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 분리기를 포함하는 액비 제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lurry including a solid-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액비 제조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liquid fert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비(30) 제조 장치는 제 1 저장조(100), 제 1 고액 분리기(202), 제 2 저장조(300), 제 2 고액 분리기(204) 및 제 3 저장조(400)를 포함한다.1,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ccessory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servoir 100, a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a second reservoir 300, a second solid- 204 and a third reservoir 400.

제 1 저장조(100)는 복수 개의 운송수단으로부터 축산폐수, 분뇨 및 음식물폐수 등과 같은 유기폐수(10)를 운송받아 수집하는 구성으로서, 수용된 유기페수를 후술할 제 1 고액 분리기(202)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irst storage tank 100 is configured to collect organic wastewater 10 such as livestock wastewater, manure, food wastewater, etc. from a plurality of transportation means and collect the collected organic wastewater into a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to be described later .

일반적으로, 제 1 저장조(100)는 축사 등에서 발생된 유기페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구성으로, 하나의 거대한 탱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Generally, the first reservoir 100 is configured to temporarily store the organic waste water generated in a house or the like, and may have one large tank form.

제 1 고액 분리기(202)는 제 1 저장조(100)로부터 유입된 유기폐수(10)를 고체성분(12)과 처리수(20)로 분리하는 구성으로서, 제 1 고액 분리기(202)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organic wastewater 10 introduced from the first storage tank 100 into the solid component 12 and the treated water 2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한편, 제 2 저장조(300)는 제 1 고액 분리기(202)의 제 2 이동홀(218)과 연결되어 제 2 저장조(300)에는 제 1 고액 분리기(202)에서 여과가 이루어진 처리수(20)가 저장된다(도 1 참조).The second storage tank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hole 218 of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and the second storage tank 300 is connected to the treatment water 20 filtered by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See FIG. 1).

제 3 저장조(400)에는 제 2 저장조(300)에 저장된 처리수(20)가 액비(30) 생산 공정을 거쳐 생산된 액비(30)가 저장된다.The third storage tank 400 stores the liquid 30 that is produced through the liquid production process of the treated water 20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tank 300.

그리고, 제 2 저장조(300)와 제 3 저장조(400) 사이에는 액비생산모듈(500)이 구비될 수 있다. 액비생산모듈(500)은 액체성분으로 분리된 처리수(20)를 발효 및 농도를 조절하여 액비(30)로 변환할 수 있다. 발효 및 농도 조절 과정을 거친 액비(30)는 처리수(20)에 비하여 낮은 농도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 liquid production module 5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torage tank 300 and the third storage tank 400. The liquid production module 500 can convert the treated water 20 separated into liquid components into liquid 30 by adjusting the fermentation and concentration. The liquid 30 having undergone the fermentation and concentration control process may have a lower concentration than the treated water 20.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면, 액비생산모듈(500)은 처리수(20)가 수용되는 반응조, 반응조에 수용된 처리수(20)를 순환시키는 처리수순환유닛, 처리수순환유닛에 의해 순환하는 처리수(20)에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여 혼합시키는 에어공급유닛, 처리수(20)에 용존된 산소 또는 공기입자를 세분화하여 발효를 촉진시키는 혼류유닛 및 처리수(20)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example, the liquid production module 500 may include a reaction tank in which the treatment water 20 is contained, a treatment water circulation unit that circulates the treatment water 20 contained in the reaction tank,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oxygen or air to the circulating process water 20 and mixing them, a mixed flow unit for refining the oxygen or air particles dissolved in the process water 20 to promote fermentation, And a bubble removing unit for removing bubbles.

한편, 제 2 고액 분리기(204)는 제 2 저장조(300)와 제 3 저장조(400) 사이에 배치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액비생산모듈(500)과 제 3 저장조(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20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torage tank 300 and the third storage tank 400, and more particularly,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quid production module 500 and the third storage tank 400. have.

제 2 고액 분리기(204)는 액비생산모듈(500)로부터 생산된 액비(30)를 다시 한번 여과하는 구성으로서, 즉, 제 3 저장조(400)에는 여과가 이루어진 액비(30)가 저장될 수 있다. 제 2 고액 분리기(204)는 상술한 제 1 고액 분리기(202)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제 1 고액 분리기(202)와 함께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204 is configured to filter the liquid 30 produced by the liquid production module 500 once again, that is, the liquid 30 having been filtered may be stored in the third storage tank 400 . 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204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고액 분리기(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olid-liquid separator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실시예의 액비(30) 제조 장치에서 제 1 고액 분리기(202)와 제 2 고액 분리기(204)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제 1 고액 분리기(202)와 제 2 고액 분리기(204)를 통틀어 고액 분리기(200)로 통칭한다.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and 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204 in the apparatus for producing the liquid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hereinafter,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and 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204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olid-liquid separator 200.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고액 분리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액 분리기(200)는 여과 전 상태의 폐수인 제 1 폐수를 여과하여 고체성분(12)과 여과가 이루어진 상태의 폐수인 제 2 폐수로 분리하는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210), 고액분리필터(220) 및 재주입배관(2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olid-liquid separator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filters the first wastewater, which is wastewater in a pre-filtration state, into a second wastewater that is a wastewater in a state of filtration with the solid component 12 And includes a filter housing 210, a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and a re-injection pipe 240 as shown in FIG.

필터하우징(210)은 연통홀(232)이 형성된 구획벽(230)에 의해 제 1 공간(212)과 제 2 공간(216)으로 구획된다.The filter housing 210 is partitioned into a first space 212 and a second space 216 by a partition wall 230 having a communication hole 232 formed therein.

제 1 공간(212)은 제 1 상태 폐수가 유입되는 제 1 이동홀(214)과 연통된다. 그리고, 제 2 공간(216)은 제 1 공간(212) 및 여과 후의 제 2 상태 폐수가 배출되는 제 2 이동홀(218)과 연통되어 제 1 공간(212)에서 고체성분(12)의 여과가 이루어진 제 2 상태 폐수가 머무른다.The first space 212 communicates with the first moving hole 214 through which the first state wastewater flows. The second space 216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pace 212 and the second moving hole 218 through which the filtered second state wastewater is discharged so that the filtration of the solid component 12 in the first space 212 The second state wastewater that has been made remains.

제 1 공간(212)에는 제 1 이동홀(214)을 통해 유입되는 제 1 상태 폐수가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곡률을 가지는 가이드부재(28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28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23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곡면 형태의 벽일 수 있다.A guide member 280 having a curvature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212 so that the first state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movement hole 214 may form a swirling flow.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member 280 may be a curved wall that i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partition wall 230 as shown in the drawing.

가이드부재(280)에 의해 제 1 상태 폐수가 선회류를 형성하며 유입됨으로써 제 1 공간(212) 내부에서 와류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액분리필터(220)에 유착된 고체성분(12)을 분리시키는 데 유리할 수 있다.The first state waste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212 by the guide member 280 to form a vortex in the first space 212 to separate the solid component 12 adhering 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described later Can be advantageous.

그러나, 가이드부재(280)는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상태 폐수가 선회류를 형성하며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guide member 280 is not limited to that described above, and may be formed in any form as long as it induces the first-state waste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flow.

한편, 고액분리필터(220)는 제 1 공간(212)의 내부에 연통홀(232)과 연통되도록 복수 개 배치된다. 도면에는 고액분리필터(220)가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고액분리필터(220)의 설치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로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s 220 are arranged in the first space 212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holes 232. Although the solid-liquid separating filter 220 is shown as an examp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solid-liquid separating filter 22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in the diagonal direction .

본 실시예의 고액분리필터(220)는 복수의 여과홀(222)이 형성된 다공질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슬러리 형태의 유기폐수(10)가 여과홀(222)을 통과하면서 고체성분(12)은 여과홀(222)에 의해 걸러지고, 액체성분인 처리수(20)만 중공을 통해 제 2 이동홀(218)로 배출된다(도 7 및 도 9 참조).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to a porous tubular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222 are formed. Thus, as the slurry organic wastewater 10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222, the solid component 12 is filtered by the filtration hole 222, and only the treated water 20, which is a liquid component, And is discharged to the hole 218 (see FIGS. 7 and 9).

고액분리필터(220)는 고액분리필터(220)의 외측에 구비되는 보조여과부재(22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여과부재(224)는 실이나 끈과 같은 것으로서, 고액분리필터(220)의 외측에 감기며, 보조여과부재(224)에 의해 유기폐수(10)의 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도 7 및 도 9 참조).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may include an auxiliary filter member 224 provided outside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The auxiliary filter member 224 is wound around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such as a thread or a cord and the filtration rate of the organic wastewater 10 can be improved by the auxiliary filter member 224 9).

또한, 고액분리필터(220)보다 보조여과부재(224)의 외측에 고체성분(12)이 먼저 유착되므로, 고액분리필터(220)를 교체할 필요 없이 보조여과부재(224)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고액분리필터(220) 전체를 교체하는 것에 비하여 경제적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olid component 12 is first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filter member 224 rather than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only the auxiliary filter member 224 needs to be replaced without replacing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It may be more economical than replacing the entir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고액분리필터(220)의 다양한 설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Various types of installation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액분리필터(220)는 하단이 구획벽(230)의 상면과 맞닿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제 1 공간(212)이 제 2 공간(216)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3,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230. That is, in this case, the first space 212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 space 216.

도 4는 본 발명의 고액 분리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로는, 고액분리필터(220)가 구획벽(230)의 상부에 위치하되, 구획벽(230)과 고액분리필터(220) 사이에는 고액분리필터(220)는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250)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고액분리필터(220)의 하단은 설치부재(250)에 의해 구획벽(230)과 이격될 수 있다.4,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is located above the partition wall 230, and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is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230 and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A mounting member 250 may be separately provided. The lowe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may be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wall 230 by the installation member 250.

이 경우, 제 1 상태 폐수에 포함된 고체성분(12) 또는 고액분리필터(220)에 의해 분리된 고체성분(12)들이 가라앉아 구획벽(230)과 고액분리필터(220) 사이 공간에 적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olid component 12 contained in the first state wastewater or the solid component 12 separated by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sinks and accumulates in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230 and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

이로써, 고액분리필터(220) 하부의 여과홀(222)이 적체된 고체성분(12)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 또는 보수를 위하여 고액분리필터(220)를 구획벽(23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도 적체된 고체성분(12)이 여과홀(222)을 통해 제 2 공간(216)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filter hole 222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from being clogged by the solidified solid component 12 and to prevent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wall 2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umulated solid component 12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216 through the filtration hole 222 even when separated.

특히, 설치부재(250)의 직경은 고액분리필터(2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체성분(12)이 적체되는 공간을 넓힐 수 있다.Particularly, the diameter of the fitting member 25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so that the space in which the solid component 12 is filled can be widened.

도 5는 본 발명의 고액 분리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번째로는, 고액분리필터(220)가 상단이 구획벽(230)과 맞닿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제 1 공간(212)이 제 2 공간(216)의 하부에 위치하고, 고액분리필터(220)가 구획벽(230)의 하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5,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may be installed such that the uppe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abuts against the partition wall 230. That is, the first space 212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space 216, and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may be suspend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230.

이 때, 고액분리필터(220)의 하단은 필터하우징(210)과 이격되어 고체성분(12)이 적체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액분리필터(220)의 하단과 필터하우징(210) 사이에는 고액분리필터(220)를 필터하우징(21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시에 고액분리필터(2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60)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lter housing 210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solid component 12 is accumulated. A support member 260 for separating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from the filter housing 210 and supporting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and the filter housing 210 .

제 1 고액 분리기(202)는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제 2 고액 분리기(204)는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 1 고액 분리기(202)에서 제 1 상태 폐수인 유기폐수(10)는 는 제 2 고액 분리기(204)에의 제 1 상태 폐수인 여과 전의 액비(30)에 비하여 비교적 많은 양의 고체 성분(12)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may be advantageously implemented in the form shown in FIG. 5, and 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204 may be advantageously implemented in the form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 organic wastewater 10 as the first state wastewater in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ha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solid components (as compared with the liquid wastewater before filtration 30 as the first state wastewater to the second solid- 12).

이상으로, 고액분리필터(220)의 다양한 설치 형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have been described above.

한편, 재주입배관(240)은 필터하우징(210)의 외부로 배출된 제 2 상태 폐수 또는 제 2 상태 폐수가 액비(30) 생산 공정을 거친 형태인 액비(30)가 필터하우징(210)의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The re-injection pipe 240 is connected to the filter housing 210 through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second state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housing 210, It becomes a passage for moving to the inside.

재주입배관(240)에는 밸브(242)가 구비되며, 밸브는 제 1 이동홀(214)을 통해 제 1 폐수가 유입되거나 제 2 이동홀(218)을 통해 제 2 상태 폐수가 배출되는 동안에는 닫혀있으며, 제 1 상태 폐수의 유입 또는 제 2 상태 폐수의 배출이 중단된 동안에만 선택적으로 열릴 수 있다.The re-injection pipe 240 is provided with a valve 242 which is closed during the first wastewater flows through the first moving hole 214 or the second state waste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moving hole 218 And can be selectively opened only while the inflow of the first state wastewater or the discharge of the second state wastewater is stopped.

이하,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재주입배관(240)을 통하여 제 2 상태 폐수 또는 액비(30)를 재주입하는 다양한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자.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let us consider various cases in which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30 is re-injected through the re-injection pipe 240.

도 6은 본 발명의 고액 분리기에 제 2 처리수 또는 액비가 재주입 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고액분리필터의 확대도이다.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treated water or liquid is re-injected into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in Fig.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주입배관(240)은 제 2 공간(216)으로 제 2 상태의 폐수 또는 액비(30)를 주입할 수 있다. 이로써, 주입되는 압력에 의해 제 2 공간(216)으로 주입된 제 2 상태의 폐수가 연통홀(232)을 통해 고액분리필터(220)로 유입되어 여과홀(222)을 통과하여 필터하우징(210) 측으로 이동하면서 여과홀(222)에 끼어있거나 고액분리필터(220) 외측에 유착되어있는 고체성분(12)을 고액분리필터(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re-injection pipe 240 can inject the waste water or the liquid 30 in the second state into the second space 216. The wastewater of the second state injected into the second space 216 by the injected pressure flows in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32,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222, Liquid separating filter 220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solid-liquid separating filter 220 by moving to the side of the solid-

도 8은 본 발명의 고액 분리기에 제 2 처리수 또는 액비가 재주입 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고액분리필터의 확대도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econd treated water or liquid is re-injected into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of FIG.

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재주입배관(240)은 제 1 공간(212)과 연통되어 제 1 공간(212)으로 제 2 상태의 폐수 또는 액비(30)를 주입할 수 있다. 즉, 재주입배관(240)을 통해 제 1 공간(212) 내부로 유입되는 제 2 상태 폐수 또는 액비(30)는 고액분리필터(220)와 필터하우징(210) 사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re-injection pipe 24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212 to inject the wastewater or the liquid 30 in the second state into the first space 212 . That is,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30, which flows into the first space 212 through the re-injection pipe 24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and the filter housing 210.

따라서, 제 1 공간(212)의 내부로 주입된 제 2 상태 폐수 또는 액비(30)에 의해 제 1 공간(212)의 내부에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고액분리필터(220)에 유착되어있는 고체성분(12)이 고액분리필터(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refore, a vortex is formed in the first space 212 by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30 injected into the first space 212, so that the solid component ( 12 can be separated from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여기서, 재주입배관(240)은 제 2 상태 폐수 또는 액비(30)가 고액분리필터(22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re-injection pipe 240 may be connected so that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30 may flo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재주입배관(240)은 제 2 상태 폐수 또는 액비(30)가 고액분리필터(220)의 사선 방향으로 주입되도록 제 1 공간(212)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제 2 상태 폐수 또는 액비(30)가 사선 방향으로 주입됨으로써, 제 2 상태 폐수 또는 액비(30)가 고액분리필터(220)와 만나는 면적이 넓어져 보다 효과적으로 고체성분(12)을 분리할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e-injection pipe 2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212 so that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30 is injec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30 is injec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so that the area of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30 in contact with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is widened and the solid component 12 can be separated more effectively .

이와 같이, 고액분리필터(220) 내부 또는 고액분리필터(220)의 외측으로 제 1 상태 폐수에 비하여 농도가 낮은 제 2 상태 폐수나 액비(30)를 재주입하여 고액분리필터(220)에 유착된 고체성분(12)을 분리함으로써, 필터의 세척 및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liquid mixture 30 having a lower concentration than the first state wastewater is re-injected in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or outside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to adhere 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Separation of the solid component 12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eriod of washing and replacement of the filter can be increased.

또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기 위해서는 제 1 상태 폐수의 공급 및 이동 등을 모두 차단한 상태로 필터하우징(210)을 열어야 하기 때문에 세척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으나, 제 1 상태 폐수에 비하여 농도가 낮은 제 2 상태 폐수나 액비(30)를 재주입함으로써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lean using water, the cleaning operation may be troublesome because the filter housing 210 must be opened in a state in which supply and movement of the first-state wastewater are all blocked. However, This situation can be reduced by re-injecting the two-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30.

이상으로 재주입배관(240)을 통하여 제 2 상태 폐수 또는 액비(30)를 필터하우징(210)으로 재주입하여 고액분리필터(220)에 유착된 고체성분(12)을 분리하는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Thus, for various forms of separating the solid component 12 adhered 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by injecting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30 into the filter housing 210 through the re-injection pipe 240, I looked at it.

본 실시예에서, 제 1 고액 분리기(202)는 제 1 저장조(100)로부터 유입된 유기폐수(10)를 고체성분(12)과 처리수(20)로 분리하는 구성으로서, 여기서 제 1 상태 폐수는 유기폐수(10)이며, 제 2 상태 폐수는 처리수(20)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고액 분리기(202)는 직렬로 복수 개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organic wastewater 10 introduced from the first storage tank 100 into the solid component 12 and the treated water 20, And the second-state wastewater may be treated water 20.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may be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first solid-liquid separators 202 are connected in series.

그리고, 제 2 고액 분리기(204)는 액비생산모듈(500)로부터 생산된 액비(30)를 다시 한번 여과하는 구성으로서, 제 2 고액 분리기(204)에서 제 1 상태 폐수는 여과 전의 액비(30)가 될 수 있으며, 제 2 상태 폐수를 여과 후의 액비(30)가 될 수 있다.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204 is configured to filter the liquid 30 produced from the liquid production module 500 once again. In 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204, the first state wastewater flows through the liquid 30 before filtration, And the second state wastewater can be the liquid pot 30 after filtration.

도 10은 도 1의 고액 분리기의 확대도이다.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FIG.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 1 고액 분리기(202)는 제 2 공간(216)의 처리수(20)를 제 2 저장조(300)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재주입배관(240)으로 이동시키는 분기관(270)을 포함할 수 있다.10,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of the present embodiment moves the treated water 20 in the second space 216 to the second storage tank 300, or moves the re-injection pipe 240, (Not shown).

즉, 분기관(270)이 재주입배관(240)과 연결됨으로써 제 2 공간(216)에 위치하는 처리수(20)가 제 2 저장조(300)를 거치지 않고 다시 필터하우징(21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That is, the branch pipe 270 is connected to the re-injection pipe 240 so that the treated water 20 located in the second space 216 flows into the filter housing 21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storage tank 300 Can be injected.

도 11은 본 발명의 액비 제조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iquid m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주입배관(240)은 제 2 저장조(300)와 제 2 공간(216)을 연결하여 제 2 저장조(300)에 저장된 처리수(20)가 필터하우징(21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11, the re-injection pipe 240 connects the second reservoir 300 and the second space 216 so that the treated water 20 stored in the second reservoir 300 flows into the filter housing 210 ). ≪ / RTI >

즉, 고액분리필터(220)에서 고체성분(12)이 여과된 처리수(20)가 제 2 저장조(300)에 저장되고, 제 2 저장조(300)에 저장된 처리수(20)가 다시 필터하우징(21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the treated water 20 filtered by the solid component 12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tank 300, and the treated water 20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tank 300 is again stored in the filter housing (Not shown).

도 12는 본 발명의 액비 제조 장치의 또 다른 예를 타나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liquid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주입배관(240)이 제 3 저장조(400)와 필터하우징(210)을 연결하여, 제 3 저장조(400)에 저장된 액비(30)를 필터하우징(210) 내부로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12, the re-injection pipe 240 connects the third reservoir 400 and the filter housing 210 to connect the liquid reservoir 30 stored in the third reservoir 400 to the filter housing 210,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액비(30)는 처리수(20)에 비해 농도가 낮기 때문에 고액분리필터(220)에 유착된 고체성분(12)을 분리하는데 가장 유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quid 30 has a lower concentration than the treated water 20, it can be most advantageous to separate the solid component 12 adhering 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이 경우, 제 1 고액 분리기(202)에서 유기폐수(10)와 액비(30)가 일부 혼합될 수 있지만, 액비생산모듈(500)에서 다시 발효 및 농도 조절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액비(30)의 품질 및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although the organic wastewater 10 and the liquid 30 may be partially mixed in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202, since the liquid production module 500 performs the fermentation and concentration control process again, the quality of the liquid 30 And the concentration can be kept constant.

그리고,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제 2 고액 분리기(204) 또한 제 2 공간(216)의 여과가 이루어진 액비(30)를 제 3 저장조(400)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재주입배관(240)으로 이동시키는 분기관(270)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204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be configured to move the liquid 30, which has been filtered in the second space 216, to the third storage tank 400, 240 to the branch pipe 270.

즉, 분기관(270)이 재주입배관(240)과 연결됨으로써 제 2 공간(216)에 위치하는 여과가 이루어진 액비(30)가 제 3 저장조(400)를 거치지 않고 다시 필터하우징(21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branch pipe 270 is connected to the re-injection pipe 240 so that the filtrate 30, which is located in the second space 216, passes through the third reservoir 4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housing 210 As shown in FIG.

또는, 재주입배관(240)은 제 3 저장조(400)(300)와 제 2 공간(216)을 연결하여 제 3 저장조(400)(300)에 저장된 여과가 이루어진 액비(30)가 필터하우징(21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e-infusion pipe 240 connects the third reservoirs 400 and 300 to the second space 216 to connect the filtrate 30 stored in the third reservoirs 400 and 300 to the filter housing 210).

즉, 고액분리필터(220)에서 고체성분(12)이 여과된 여과가 이루어진 액비(30)가 제 3 저장조(400)(300)에 저장되고, 제 3 저장조(400)(300)에 저장된 처리수(20)가 다시 필터하우징(21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That is, the liquid pot 30 in which the solid component 12 is filtered by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0 is stored in the third reservoirs 400 and 300 and the liquid stored in the third reservoirs 400 and 300 The number 20 can be injected back into the filter housing 210.

또한, 도 10에는 재주입배관(240)이 제 2 공간(216)으로 연결되는 것만 도시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서 재주입배관(2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공간(212)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10, only the re-injection pipe 240 is shown connected to the second space 216.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each case, the re-injection pipe 240 is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212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유기폐수 12: 고체성분
20: 처리수 30: 액비
100: 제 1 저장조 200: 고액 분리기
210: 필터하우징 212: 제 1 공간
214: 제 1 이동홀 216: 제 2 공간
218: 제 2 이동홀 220: 고액분리필터
222: 여과홀 224: 보조여과부재
230: 구획벽 232: 연통홀
240: 재주입배관 242: 밸브
250: 설치부재 260: 지지부재
270: 분기관 280: 가이드부재
300: 제 2 저장조 400: 제 3 저장조
500: 액비생산모듈
10: organic wastewater 12: solid component
20: treated water 30:
100: first storage tank 200: solid-liquid separator
210: filter housing 212: first space
214: first moving hole 216: second space
218: second moving hole 220: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222: Filtration hole 224: Ancillary filtration member
230: partition wall 232: communication hole
240: re-injection piping 242: valve
250: mounting member 260: supporting member
270: branch pipe 280: guide member
300: second storage tank 400: third storage tank
500: Liquid production module

Claims (19)

연통홀이 형성된 구획벽에 의해, 여과 전 상태인 제 1 상태 폐수가 유입되는 제 1 이동홀과 연통되는 제 1 공간과, 상기 제 1 공간 및 여과 후의 제 2 상태 폐수가 배출되는 제 2 이동홀과 연통되어 상기 제 1 공간에서 고체성분의 여과가 이루어진 상기 제 2 상태 폐수가 머무르는 제 2 공간으로 구획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제 1 공간의 내부에 상기 연통홀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복수의 여과홀이 형성된 다공질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러리 형태의 상기 제 1 상태 폐수가 상기 여과홀을 통과하면서 고체성분이 분리된 상기 제 2 상태 폐수가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 2 공간으로 이동하는 고액분리필터; 및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된 상기 제 2 상태 폐수 또는 상기 제 2 상태 폐수가 액비 생산 공정을 거친 형태인 액비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재주입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2 공간으로 상기 제 2 상태 폐수 또는 상기 액비를 주입하여, 상기 제 2 상태 폐수 또는 상기 액비가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고액분리필터로 유입되어 상기 여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하우징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여과홀에 끼어있거나 상기 고액분리필터 외측에 유착되어있는 고체성분을 상기 고액분리필터로부터 분리시키는 고액 분리기.
The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moving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state wastewater which has not been filtrated flows into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moving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state wastewater after filtration is discharged, And a second space in which the second state wastewater, in which the solid component is filtered in the first space, is accommodated;
The first state wastewater in the form of a slurry is passed through the filtration hole to separate the solid component from the first state wastewater, A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in which the second-state wastewater flows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And
And a re-injection pipe through which the liquid waste having the form of the second state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housing or the second state wastewater passed through the liquid production process moves into the interior of the filter housing,
Wherein the re-injection pipe injects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mixture into the second space so that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mixture flows in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Liquid separation filter which separates from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a solid component that is sandwiched by the filtration hole and adhered to the outside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while moving toward the filter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의 상기 제 2 상태 폐수를 저장조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재주입배관으로 이동시키는 분기관을 포함하는 고액 분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ranch pipe for moving the second state wastewater in the second space to the reservoir or to the re-injection pip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 1 공간 내부로 주입된 상기 제 2 상태 폐수 또는 상기 액비에 의해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액분리필터에 유착되어있는 고체성분을 상기 고액분리필터로부터 분리시키는 고액 분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jection pip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pace, and a vortex is formed in the filter housing by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that is injected into the first space, thereby forming a solid component Is separated from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재주입 배관은,
상기 제 2 상태 폐수 또는 상기 액비를 사선 방향으로 주입하도록 형성되는 고액 분리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
And the second state wastewater or the liquid ratio is injected in an oblique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주입배관에는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제 1 이동홀을 통해 상기 제 1 상태 폐수가 유입되거나 상기 제 2 이동홀을 통해 상기 상기 제 2 상태 폐수가 배출되는 동안에는 닫혀있으며, 상기 제 1 상태 폐수의 유입 또는 상기 제 2 상태 폐수의 배출이 중단된 동안에만 선택적으로 열리는 고액 분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jection pipe is provided with a valve, the valve is closed while the first state wastewater flows through the first moving hole or the second state waste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moving hole, 1 state wastewater or the second state wastewater is discontinu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과 상기 고액분리필터 사이에는 상기 고액분리필터를 상기 구획벽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액분리필터의 하단은 상기 설치부재에 의해 상기 구획벽과 이격되는 고액 분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Liquid separation filter is provid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and a lowe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is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wall by the installation memb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의 직경은 상기 고액분리필터의 직경보다 작은 고액 분리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ameter of the attachment member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필터는 상단이 상기 구획벽과 맞닿으며, 하단이 상기 필터하우징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고액 분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is installed such that an upper end thereof abuts against the partition wall and a lower end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filter housing.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필터의 하단과 상기 필터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고액분리필터를 상기 필터하우징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시에 상기 고액분리필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고액 분리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support member for separating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from the filter housing and supporting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filter and the filter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에는,
상기 제 1 이동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제 1 상태 폐수가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곡률을 가지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는 고액 분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space,
Wherein a guide member having a curvature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state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moving hole can form a swirling flow.
복수 개의 운송수단으로부터 운송된 고체성분과 액체성분이 혼합된 슬러리 형태의 유기폐수가 저장되는 제 1 저장조;
상기 제 1 저장조로부터 유입된 유기폐수를 고체성분과 처리수로 분리하는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제 1 고액 분리기;
상기 제 1 고액 분리기에서 여과가 이루어진 처리수가 저장되는 제 2 저장조; 및
상기 제 2 저장조에 저장된 처리수가 액비 생산 공정을 거쳐 생산된 액비가 저장되는 제 3 저장조;를 포함하고,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3 저장조와 상기 제 1 고액 분리기의 상기 필터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제 3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액비를 상기 제 1 고액 분리기의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로 주입하는 액비 제조 장치.
A first storage tank for storing organic wastewater in the form of slurry in which a solid component and a liquid component transported from a plurality of transportation means are mixed;
A first solid-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11 for separating organic waste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storage tank into a solid component and treated water;
A second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in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And
And a third reservoir for storing the liquid produced through the liquid production process of the treat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reservoir,
Wherein the re-injection pipe connects the third reservoir and the filter housing of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to inject the liquid stored in the third reservoir into the filter housing of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2 공간의 상기 처리수를 다시 상기 제 2 공간으로 재주입하는 액비 제조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re-injection pipe re-injects the treated water in the second space back into the second spac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2 저장조와 상기 제 1 고액 분리기의 상기 필터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제 2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처리수가 상기 제 1 고액 분리기의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로 주입되는 액비 제조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re-infusion pipe connects the second reservoir and the filter housing of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such that the treat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reservoir is injected into the filter housing of the first solid-liquid separator.
삭제delet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조와 상기 제 3 저장조 사이에는 상기 액비 생산 공정을 거친 상기 액비를 다시 한번 여과하는 제 2 고액 분리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고액 분리기는 상기 제 1 고액 분리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액비 제조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servoir and the third reservoir for once filtering the liquid bypassed through the liquid production process, and the second solid-liquid separator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servoir and the third reservoir, Devic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재주입배관은 제 2 공간의 여과가 이루어진 상기 액비를 다시 상기 제 2 공간으로 재주입하는 액비 제조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re-injection pipe re-injects the liquid mixture filtered in the second space back into the second spac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재주입배관은 상기 제 3 저장조와 상기 제 2 고액 분리기의 상기 필터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제 3 저장조에 저장된 여과가 이루어진 상기 액비가 상기 제 2 고액 분리기의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로 주입되는 액비 제조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re-injection pipe connects the filter housing of the third solid-liquid separator to the third reservoir, and the liquid pot filtered by the third reservoir is injected into the filter housing of the second solid-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액 분리기는 직렬로 복수 개가 연결되는 액비 제조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solid-liquid separators are connected in series.
KR1020160035099A 2016-03-24 2016-03-24 Solid-liquid separato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fertilizer including thereof KR101913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099A KR101913152B1 (en) 2016-03-24 2016-03-24 Solid-liquid separato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fertilizer includ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099A KR101913152B1 (en) 2016-03-24 2016-03-24 Solid-liquid separato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fertilizer includ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830A KR20170110830A (en) 2017-10-12
KR101913152B1 true KR101913152B1 (en) 2018-12-28

Family

ID=6014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099A KR101913152B1 (en) 2016-03-24 2016-03-24 Solid-liquid separato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fertilizer includ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15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76B1 (en) * 2010-01-06 2010-08-04 이코리더 주식회사 Filtering apparatus for wa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76B1 (en) * 2010-01-06 2010-08-04 이코리더 주식회사 Filtering apparatus for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830A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0864B2 (en) Dissolved air flotation-type pretreatment apparatus
KR101904890B1 (en)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KR101108281B1 (en) Storm water filtering system for selective treatment of storm water runoff and automatic discharge of treatment water residue
KR100453329B1 (en) Fine filtering apparatus controllable packing density using flexible fiber
CN204365148U (en) A kind of hyperfiltration membrane assembly
KR101913152B1 (en) Solid-liquid separato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fertilizer including thereof
CN209143980U (en) A kind of water-jet loom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1194030B1 (en) Air uniform supplying structure of rapid filter system
KR101879845B1 (en) Sewage disposal system using long fiber filter of multistage and method for treating thereof
KR101350537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used with multi-fiber layer and the backward wash method thereof
KR100987163B1 (en) Storm water filtering system for selective treatment of storm water runoff and automatic discharge of treatment water residue
KR101469634B1 (en) Water treatment system use of tubular filter module
JP7119887B2 (en)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RU2277514C2 (en) Method of purification of the waste waters and the device for its realization
KR20160048500A (en) Perforated drain pipe for back-washing wastewater, and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ter treatment apparatus
RU2686199C1 (en) Liquid cleaning system
KR1006102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KR102416436B1 (en) Nonpoint pollution source processing facilities including multi-stage screen facilities
KR101620069B1 (en) Chemical cleaning method of membrane for fluidized membrane bioreactor
KR101215567B1 (en) Complex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bubble effect and raw water induction pipe
KR102050980B1 (en) Water purifier system having water purifier process and backwash process
KR101572369B1 (en)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110104665A (en) Flushing system of ultra filtration filter and water purifier of the same
KR102049944B1 (en) Perforated drain pipe for back-washing wastewater, and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929271B1 (en) Process water storage tank for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