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139B1 - 스크린망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망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139B1
KR101913139B1 KR1020160102015A KR20160102015A KR101913139B1 KR 101913139 B1 KR101913139 B1 KR 101913139B1 KR 1020160102015 A KR1020160102015 A KR 1020160102015A KR 20160102015 A KR20160102015 A KR 20160102015A KR 101913139 B1 KR101913139 B1 KR 101913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rame
screen net
ne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731A (ko
Inventor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이엠
Priority to KR1020160102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1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18Manufacturing of screen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27Repairing of screen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45Screening surfaces built up of modu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스크린망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스크린망, 스크린망의 일측에 배치되며 스크린망을 지지하는 스크린프레임, 이러한 스크린망과 스크린프레임을 연결고정하는 연결고정수단을 통하여 종래와 다르게 고정프레임을 갖춘 스크린망 어셈블리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망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THE SCREEN NET ASSEMBL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기술은 스크린망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크린프레임을 스크린망의 하부에 배치하여, 박판의 스크린망에 진동을 가하는 장치에 연결체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을 갖도록 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도모하고, 박판의 스크린망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 스크린망의 망막힘을 방지하는 스크린망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10-1203633"에는 원료 선별용 스크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스크린망은 불규칙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분상물 또는 입상물을 여과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스크린 망에 배치된 관통홀의 크기에 따라 분상물 또는 입상물을 선별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크린 망은 콘크리트 분상물 등을 크기에 따라 선별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크린 망은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콘크리트 분상물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콘크리트 분상물을 걸러낼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분상물 등은 그 분류된 크기와 종류 등에 따라서 재활용으로 활용되기도 하며, 폐기처분 된다.
종래에 스크린망은 별도의 연결장치를 통하여 연결하여 진동을 가하는 장치에 경사를 가지며 설치되었다.
즉, 진동을 가하는 기계의 양측에 별도의 연결장치를 설치하고 이 연결장치에 스크린망을 연결하여 폭방향으로 장력을 주어 진동을 가하는 기계에 고정하여 설치하였다.
이렇게 장력이 가해지고 진동을 가하는 기계에 의하여 진동하는 스크린망 위를 콘크리트와 같은 분상물, 입상물이 진동을 하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게 되는 과정에서 스크린망에 의하여 아주 미세한 분상물만이 스크린망을 통과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린망의 경우, 스크린망에 장력을 부여하며 진동하는 기계의 양측에 고정하는 별도의 연결장치가 필요하여 설치시 불편함이 요구되었으며, 스크린망이 분상물, 입상물에 의하여 스크린망이 막혀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스크린망이 일부분만이 파손되는 경우 스크린망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스크린망을 진동을 가하는 기계에 설치하는 경우, 연결체를 통하여 진동하는 기계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스크린망에 종래와 대비 더욱더 큰 진동을 가하여 스크린망이 분상물, 입상물에 의하여 홀이 막혀지지 않으며, 스크린망의 일부분만이 파손되면 단순히 해당 어셈블리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이 도모되는 스크린망 어셈블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203633"
본 발명은 박판의 스크린망이 고정되도록 스크린프레임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스크린망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프레임이 스크린망 하부에서 스크린망에 진동을 가하여 스크린망이 분상물, 입상물 등으로 막히지 않는 스크린망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망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 해당 단위가 되는 스크린망 어셈블리만을 교체하여 편의성이 도모되는 스크린망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어셈블리는 박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스크린망; 상기 스크린망과 맞닿으며 상기 스크린망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스크린프레임; 상기 스크린망과 상기 스크린프레임이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맞닿는 부분을 연결시키는 연결고정수단; 및 상기 스크린망과 상기 스크린프레임이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되, 일측에 연결체와 연결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된 프레임;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스크린망은, 둘레를 따라서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프레임에는 둘레를 따라서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고정홈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고정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프레임은, 상기 스크린망과 상기 스크린프레임의 설정된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라운드부와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어셈블리 제조방법은 스크린망과 스크린프레임 및 금형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금형틀을 마련하는 준비단계; 상기 스크린프레임의 일측면에 상기 스크린망을 배치시키는 배치단계; 상기 스크린망과 상기 스크린프레임이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맞닿는 부분을 용접을 통하여 연결시키는 용접단계; 및 상기 스크린망과 상기 스크린프레임이 용접 연결된 부분을 금형틀에 배치한 후, 용해된 수지 사출성형하여 프레임을 제조하는 프레임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형성단계는, 어느 하나의 용접 연결된 부분에 프레임을 제조 후, 상기 프레임을 상기 금형틀과 이격된 거리에 배치된 지그에 고정시킨 후 나머지 용접 연결된 부분을 상기 금형틀에 배치시켜 프레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 또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어셈블리는 스크린프레임을 가지는 바, 박판의 형태로 형성된 스크린망이 연결체를 통하여 용이하게 진동을 가하는 기계에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 또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어셈블리는 스크린프레임이 스크린망에 진동을 가하여 스크린망이 분상물, 입상물 등으로 막히지 않는다.
전술한 구성 또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어셈블리는 스크린망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해당 단위가 되는 스크린망 어셈블리만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이 도모된다.
본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스크린프레임, 스크린망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어셈블리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과 스크린프레임이 결합되었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체 중 인터연결체와 스크린망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체 중 단부연결체와 스크린망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금형틀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스크린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으로 8 (a)에 의하는 경우, 스크린프레임(220)이 금망포(wire cloth)인 경우, 8 (b)에 의하는 경우, 스크린프레임(220)이 종방향프레임(225)과 횡방향프레임(226)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 용접메쉬(weld mesh)인 경우, 8 (c)에 의하는 경우, 펀칭을 통하여 홀이 형성된 펀칭메쉬(punching mesh)인 경우, 8 (d)에 의하는 경우 익스팬디드메탈(expanded metal)인 경우를 도시한 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스크린프레임, 스크린망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어셈블리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과 스크린프레임이 결합되었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체 중 인터연결체와 스크린망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체 중 단부연결체와 스크린망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금형틀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스크린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으로 8 (a)에 의하는 경우, 스크린프레임(220)이 금망포(wire cloth)인 경우, 8 (b)에 의하는 경우, 스크린프레임(220)이 종방향프레임(225)과 횡방향프레임(226)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 용접메쉬(weld mesh)인 경우, 8 (c)에 의하는 경우, 펀칭을 통하여 홀이 형성된 펀칭메쉬(punching mesh)인 경우, 8 (d)에 의하는 경우 익스팬디드메탈(expanded metal)인 경우를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기술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기술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종래의 스크린망(100)은 아주 얇은 박판의 형태로 제조되는 바, 프레임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100) 어셈블리는 스크린망(100), 스크린프레임(200), 연결고정수단, 고정프레임(300) 등으로 형성된다.
스크린망(100)은 박판의 형태로 일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상부에서 관찰 시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망(100)은 미세한 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린망(100)은 미세한 홀보다 큰 분상물, 입상물 등은 홀의 아래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필터의 역할을 한다.
즉, 스크린망(100)은 메쉬와 같은 역할을 한다.
스크린망(100)은 종방향과 횡방향의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제조된다.
스크린망(100)은 철, 알루미늄과 같이 용접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면 그 종류 여하는 문제되지 않는다.
스크린프레임(200)은 스크린망(100)과 맞닿으며 스크린망(100)의 일측면에 배치된다.
일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린프레임(200)은 스크린망(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스크린프레임(200)은 둘레프레임(210)과 중앙프레임(220)을 가지고 형성된다.
둘레프레임(210)은 스크린프레임(200)의 둘레를 이루며, 그 형태는 일실시예에 의하여는 상부에서 관찰 시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둘레프레임(210)은 철, 알루미늄과 같이 용접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면 그 종류 여하는 문제되지 않는다.
중앙프레임(220)은 일예시적으로 종방향프레임(225)과 횡방향프레임(22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방향프레임(225)과 횡방향프레임(226)은 서로 엇갈려서 배치될 수 있다.
즉, 종방향프레임(225)과 횡방향프레임(226)은 상부에서 관찰 시 격자무늬로 관찰될 수 있다.
종방향프레임(225)과 횡방향프레임(226)은 둘레프레임(210)보다 상부에서 위치한다.
따라서, 진동을 가하는 기계에 연결되어 진동을 전달받는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스크린망(100)에 진동을 더욱더 가하게 되어서 스크린망(100)이 분상물, 입상물 등으로 막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크린망(100)은 중앙프레임(220)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종방향프레임(225)과 횡방향프레임(226)은 스크린망(100)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종방향프레임(225)과 횡방향프레임(226)이 이루는 격자 사이에는 홀이 형성된다.
이 홀은 사격의 형상으로 관찰될 수 있으며, 크기는 적어도 스크린망(100)의 홀보다 크게 형성된다.
스크린프레임(200)은 전술한 실시예에 종방향프레임(225)과 횡방향프레임(226)을 갖는 스크린프레임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a)에 의하는 경우, 스크린프레임(220)은 금망포(wire cloth)일 수 있으며, (b)에 의하는 경우, 스크린프레임(220)은 종방향프레임(225)과 횡방향프레임(226)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 용접메쉬(weld mesh)일 수 있으며 (c)에 의하는 경우, 펀칭을 통하여 홀이 형성된 펀칭메쉬(punching mesh)일 수 있으며 그리고 (d)에 의하는 경우 익스팬디드메탈(expanded metal)일 수 있다.
전술한 스크린프레임(220)의 설명의 경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크린프레임(220)이 금망포(wire cloth) 또는 용접메쉬(weld mesh)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도 8(c)에 의하는 펀칭메쉬(puching) 또는 도 8(d)에 의하는 익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에는 종방향프레임(225)과 횡방향프레임(226)에 관한 내용이 적용되지 않음은 당연하며 그 이외의 내용은 적용됨은 당연하다.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은 설정된 길이를 맞닿으며 배치된다.
예를 들면,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이 상부에서 관찰 시 사각의 형상으로 관찰되는 경우, 스크린망(100)의 사각의 둘레와 스크린프레임(200)의 사각의 둘레, 즉, 스크린프레임(200)의 둘레프레임(210)과 맞닿으며 배치된다.
이와 같이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은 적어도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맞닿게 되는데, 이러한 맞닿는 부분은 연결고정수단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연결고정수단은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을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고정수단은 일실시예적으로 용접일 수 있다.
용접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료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녹여 접합시키는 가공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금속 재료의 접합을 의미한다.
아크 용접, 가스 용접, 저항 용접, 특수 용접 등의 종류가 있다.
아크 용접은 방전을 시켜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열을 이용하며, 가스 용접은 산소와 아세틸렌의 혼합 가스를 이용하며, 저항 용접은 전압을 가해 발생하는 저항열을 이용한다. 재료 자체를 녹여 붙이는 융접과 녹는점이 낮은 다른 재료를 녹여 합금 형태로 붙이는 솔더링, 브레이징 같은 납땜, 압력을 가해 붙이는 압접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활용되는 용접은 co2, 알곤용접과 같이 특수용접일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은 용접 시 정확한 위치 고정을 위하여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110)가, 나머지 하나에는 고정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망(100)에는 결합돌기(110)가, 스크린프레임(200)에는 고정홈(230)이 형성된다.
즉, 스크린망(100)의 결합돌기(110)가 스크린프레임(200)의 고정홈(230)에 결합되어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이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된 후, 연결고정수단(용접)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300)은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이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고정프레임(300)은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의 사각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300)은 결합홈(310)을 갖는다.
여기서, 결합홈(310)은 고정프레임(300)의 외측, 즉,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이 배치된 부분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결합홈(310)은 진동을 가하는 기계와 연결체를 통하여 용이하게 결합된다.
결합홈(310)은 라운드부(315)와 직선부(31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라운드부(315)는 라운드한 형상을 지닌 부분을 의미하며, 직선부(316)는 이러한 라운드부(315)와의 단부와 연결되며 직선의 형태로 형성된 부분이다.
이러한 형상을 통하여 결합홈(310)은 연결체와 더욱더 단단하게 결합되어 진동에도 불구하고 그 결합이 분리되지 않는다.
도 2, 도 3을 통하여 고정프레임(300)을 살펴보면, 고정프레임(300)은 적어도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고정프레임(300)에는 지그연결부(320)가 형성되며, 이 부분은 지그와 연결되어 고정되어 지그연결부(320)에 의하여 고정된 대칭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이 연결된 부분에 용이하게 고정프레임(300)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프레임(300)은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은 라운드부(315)와 직선부(316)가 형성된 금형돌기(410)에 액화된 폴리우레탄을 사출성형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연결체는 인터연결체(510)와 단부연결체(520)가 있다.
도 4는 고정프레임(300)과 고정프레임(300)이 인터연결체(510)를 통하여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인터연결체(510)는 도 4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좌측, 우측에 형성된 라운드부(315)와 직선부(316)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머리부(511)와, 이러한 머리부(511)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몸체부(512)와, 머리부(511)와 이격되고 몸체부(512)에서 연장되어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 암부(513) 및 몸체부(512)의 하부에서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다리부(51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프레임(300)연결체(500)를 통하여 어느 하나의 스크린망(100) 어셈블리와 다른 하나의 스크린망(100) 어셈블리는 서로 연결되어 진동을 가하는 기계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4b는 진동을 가하는 기계에 설치된 스크린망(100) 어셈블리 중 진동을 가하는 기계의 단부에 단부연결체(520)를 통하여 연결된 스크린망(100) 어셈블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여기서, 단부연결체(520)는 몸체부(512)가 머리부(51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단부연결체(520)의 머리부(511)는 스크린망(100)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일측에만 형성된다.
다리부(514)는 인터연결체(510)와 마찬가지로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프레임의 홈과결합된다.
여기서, 단부연결체(520)의 암부(513)도 머리부(511)와 마찬가지로 일측에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망(100) 어셈블리 제조방법은 준비단계, 배치단계, 용접단계, 고정프레임(300)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준비단계는 스크린망(100), 스크린프레임(200), 금형틀(40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스크린망(100)은 메쉬와 같이 미세한 홀을 가지는 박판형으로 형성된 스크린망(100)이다.
스크린프레임(200)은 둘레프레임(210)과 중앙프레임(220)으로 구성되며, 중앙프레임(220)은 둘레프레임(210)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중앙프레임(220)은 격자의 형태로 배치된다.
금형틀(400)은 금형돌기(410)가 형성된다.
금형돌기(410)는 결합홈(310)과 대응되도록 라운드부(315)와 직선부(316)를 가지며 형성된다.
여기서, 금형돌기(410)는 두께가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의 두께의 합보다 크게 형성된다.
배치단계는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이 설정된 길이를 맞닿으면서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일실시예적으로 스크린망(100)이 사각의 형상이고, 스크린프레임(200) 역시 사각의 형상이면, 스크린프레임(200)을 스크린망(100)의 일측면, 즉, 하부에 배치시키고, 사각의 둘레가 맞닿도록 배치시키는 단계이다.
용접단계는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이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맞닿는 부분을 용접을 통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즉,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의 사각의 둘레가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크린망(100)에 결합돌기(110)가 형성되고, 스크린프레임(200)에는 이러한 결합돌기(110)가 고정되도록 고정홈(230)이 형성되어 결합돌기(110)와 고정홈(230)이 결합된 후, 용접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300)형성단계는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이 용접 연결된 부분을 금형틀(400)에 배치한 후 사출성형을 하여 고정프레임(30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금형틀(400)은 금형돌기(410)가 형성된다.
금형돌기(410)는 결합홈(310)이 제조되도록 라운드부(315)와 이러한 라운드부(315)의 단부에 연결된 직선부(316)로 구성될 수 있다.
용접으로 연결된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의 어느 하나의 부분을 금형틀(400)에 배치시킨 후, 사출물, 예를 들면, 용해된 합성수지, 용해된 폴리우레탄 등을 금형틀(400)에 주입한다.
이러한 용해된 사출물이 굳으면서 결합홈(310)이 형성된 고정프레임(300)이 제조된다.
여기서, 프레임형성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프레임(300)은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의 외곽에서 형성되는데, 실시예적으로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이 사각의 형상이면 4개의 고정프레임(300)이 제조된다.
금형틀(400)에는 이격된 위치에 지그가 배치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각의 형상의 고정프레임을 가정하며, 어느 하나의 고정프레임을 제1고정프레임 이와 대칭되는 위치에 있는 고정프레임을 제3고정프레임으로, 제1고정프레임과, 제3고정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고정프레임 중 어느 한 부분을 제2고정프레임, 마지막 남은 고정프레임을 제4고정프레임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제1고정프레임이 제조된 경우, 이 제1고정프레임의 지그연결부(320)를 지그에 위치시켜 제1고정프레임을 고정시킨다.
그 후, 제1고정프레임과 대칭되는 부분의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이 용접연결된 부분을 배치시켜 다시 사출성형을 통하여 제3고정프레임을 만든다.
이러한 배치를 통하여 고정프레임(300)을 스크린망(100)과 스크린프레임(200)의 용접연결된 부분에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제1고정프레임을 만들 때 스크린프레임(200)에 형성된 지지부분을 지그에 연결하여 고정시킨 후 사출성형할 수 있다.
즉, 제3고정프레임(300)이 형성되는 부분을 먼저 지그에 고정시킨 후 제1고정프레임(3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제2, 4고정프레임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기술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기술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스크린망 110 : 결합돌기
200 : 스크린프레임 210 : 둘레프레임
220 : 중앙프레임 225 : 종방향프레임
226 : 횡방향프레임 230 : 고정홈
300 : 고정프레임 310 : 결합홈
315 : (결합홈의)라운드부 316 : (결합홈의)직선부
320 : 지그고정부 400 : 금형틀
410 : 금형돌기 510 : 인터연결체
511 : 머리부 512 : 몸체부
513 : 암부 514 : 다리부
520 : 단부연결체

Claims (5)

  1. 박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서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스크린망;
    상기 스크린망과 맞닿으며 상기 스크린망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망을 지지하고, 둘레를 따라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스크린프레임; 및,
    상기 스크린망과 상기 스크린프레임이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망과 상기 스크린프레임을 고정시켜 주며, 일측에는 진동을 가하는 기계와 연결되는 단부 연결체 또는 다른 스크린망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인터 연결체와 연결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프레임은 진동을 하고, 상기 스크린프레임의 진동이 상기 스크린망에 전달되어 거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스크린망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프레임은 금망포, 용접메쉬, 펀칭메쉬, 익스팬디드 메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망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02015A 2016-08-10 2016-08-10 스크린망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 KR101913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015A KR101913139B1 (ko) 2016-08-10 2016-08-10 스크린망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015A KR101913139B1 (ko) 2016-08-10 2016-08-10 스크린망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31A KR20180017731A (ko) 2018-02-21
KR101913139B1 true KR101913139B1 (ko) 2018-11-01

Family

ID=6152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015A KR101913139B1 (ko) 2016-08-10 2016-08-10 스크린망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4840B (zh) * 2018-06-22 2024-03-29 镇江宝塑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tpu聚氨酯弹性体生产的振动筛专用筛板
KR102308322B1 (ko) * 2020-11-05 2021-10-06 주식회사 화선에스에치아이 휀스형 물품 진열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1934B1 (en) * 2011-03-16 2012-10-09 Conn-Weld Industries, Inc. Screen panel retaine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1934B1 (en) * 2011-03-16 2012-10-09 Conn-Weld Industries, Inc. Screen panel retain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31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4886B2 (en) Improved filtering screen and support frame therefor
KR101913139B1 (ko) 스크린망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
CN105984124B (zh) 树脂部件
WO2006055801A2 (en) Loudspeaker with assembly and performance improvements
US7682996B2 (en) Vibratory screen
US3463315A (en) Mounting ring for vibrating screens
US20040000514A1 (en) Filter/screening disc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is kind of disc
JP2000229360A (ja) 振動溶着の部材構造
JP2016078412A (ja) 樹脂溶着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
JP6379992B2 (ja) 樹脂溶着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
JP2019081301A (ja) 接合体及び接合体の製造方法
JPH04246509A (ja) 樹脂製フィルター部を有する筒状体の製造方法
JP4380408B2 (ja) 電子部品の封止方法
JPH06104222B2 (ja) 振動篩用スクリーン
JPS5849417A (ja) 空気調和機用エア−フウルタ−の製造方法
JP2020163848A (ja) 超音波溶着装置
KR100293495B1 (ko) 은이 부착된 리이드핀의 제조방법
JP2014104740A (ja) 溶着方法
KR20090049793A (ko) 브레이징 접합부의 플럭스 배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