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834B1 -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834B1
KR101912834B1 KR1020170013623A KR20170013623A KR101912834B1 KR 101912834 B1 KR101912834 B1 KR 101912834B1 KR 1020170013623 A KR1020170013623 A KR 1020170013623A KR 20170013623 A KR20170013623 A KR 20170013623A KR 101912834 B1 KR101912834 B1 KR 101912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router
wireless lan
terminal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9051A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7001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8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자동 등록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과 태깅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속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 및 상기 인증 모듈에 의해 상기 접속 인증이 이루어진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해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WLAN AUTO REGISTR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장치에 부여되는 NFC 기능을 이용하여 업체의 와이파이에 자동등록되어 서비스 지역 내에서 편리하게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랜 자동 등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과 같은 모바일 장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네트워크와의 연결은 필수적이며, 모바일 장치들은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와이파이(Wifi : Wireless Fidelity)라 불리우는 무선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개선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과 와이파이는 모바일 장치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였으나,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통신에 비해 비싼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와이파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실정이다.
와이파이는 유선으로 데이터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모뎀 또는 공유기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AP(Access Point)를 통해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이용된다. 이러한 와이파이를 이용한 LAN은 이동중에 사용이 곤란한 단점은 있으나, 속도가 빠르고 대부분의 와이파이를 무료로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비용 부담없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음식점, 커피전문점과 같은 서비스 업체들은 고객 서비스의 일환으로 방문고객에 대해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업체들은 매장 방문 및 이용 고객에 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P 접근을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와이파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체에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재방문에 따른 자동 연결을 위해서는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경우 과다한 프로파일이 모바일에 저장되어 모바일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136791(공개일 2015.12.0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장치에 부여되는 NFC 기능을 이용하여 업체의 와이파이에 자동등록되어 서비스 지역 내에서 편리하게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랜 자동 등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자동 등록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과 태깅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속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 및 상기 인증 모듈에 의해 상기 접속 인증이 이루어진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해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인증은 상기 인증 모듈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무선 랜 접속에 사용되는 단말정보를 전달받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인증은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인증 모듈 간의 근거리 영역 통신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유기는 상기 인증 모듈로부터 상기 단말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유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무선 랜 접속 시도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정보를 요청하고, 미리 저장된 상기 단말정보를 비교하여 저장된 상기 단말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유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무선 랜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단말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자동등록 시스템은 모바일 장치에 부여되는 NFC 기능을 이용하여 업체의 와이파이에 자동등록되어 서비스 지역 내에서 편리하게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자동 등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2는 무선랜 자동 등록 과정 및 재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자동 등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자동 등록 시스템은 공유기(10), NFC 모듈(20) 및 모바일 단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유기(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NFC 모듈(20)을 통해 인증된 모바일 단말(30)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 예를 들어 Wifi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공유기(10)는 모뎀, 모뎀과 NFC 모듈(20)을 연결하기 위한 공유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모뎀이 공유기(10)의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모뎀이 공유기(10)의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공유기(10)는 NFC 모듈(20)로부터 모바일 단말(30)의 단말정보 특히,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단말정보 예를들어, MAC ID와 같은 정보를 전달받고, 모바일 단말(30)의 접속 요청시 전달된 단말정보와 모바일 단말(30)의 정보를 비교 확인하여 네트워크의 접속여부를 결정하고, 접속이 결정된 모바일 단말(30)에 대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공유기(10)는 자체적으로 모바일 단말(30)과의 무선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연결을 중계하기 위한 AP(Access Point)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공유기(10)는 NFC 모듈(20)과 유선 또는 무선을 연결될 수 있으며, NFC 모듈(20)을 AP로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공유기(10)는 접속이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30)과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접속했던 모바일 단말(30)에 대한 단말정보를 삭제하여, 모바일 단말(30)이 재접속을 하고자 하는 경우 다시 NFC 모듈(20)과의 태깅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게 된다.
NFC 모듈(Near Field Communication, 20)은 무선 랜에 접속하고자 하는 모바일 단말(30)의 인증을 수행하고, 무선랜 접속을 위해 모바일 단말(30)의 정보를 획득하여 공유기(1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NFC 모듈(20)은 NFC에 의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며 NFC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30)의 태깅시 모바일 단말(30)에 단말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NFC 모듈(20)은 획득한 단말정보를 공유기에 전달하게 된다. 이 NFC 모듈(20)은 단말정보를 공유기(10)에 전달하고, 공유기(10)는 NFC모듈(20)을 통해 단말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비밀번호의 입력대신 NFC모듈(20)의 단말정보 전달을 인증으로 인정하여 모바일 단말(30)이 무선 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게 된다.
이러한 NFC 모듈(20)은 매장을 방문한 모바일 단말(30)의 사용자가 착석하는 자리, 다수의 사용자가 지나치는 경로상에 설치되어 모바일 단말(30)의 태깅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NFC 모듈(20)에 AP 기능이 부여되어 모바일 단말(30)이 무선랜에 접속하기 위한 AP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NFC 모듈(20)은 다른 데이터 통신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다른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통신 가능 거리에 의해 업소 외부에서도 무선 랜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NFC와 같이 데이터 통신 가능거리가 짧은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사용제한을 위해 유리하다.
모바일 단말(30)은 공유기(10)에 접속하여, 공유기(10)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랜 서비스에 의해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30)은 공유기(10)의 접속시 NFC 모듈(20)과 태깅에 의해 인증을 받고, 인증이 이루어진 후 공유기(10)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된다. 이 모바일 단말(30)은 NFC 모듈(20)과의 태깅시, NFC 모듈(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무선 랜 접속을 위한 단말정보를 NFC 모듈(20)에 전달한다.
여기서, NFC 모듈(20)이 단말정보를 모바일 단말(30)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단말정보를 NFC 모듈(20)이 공유기에 전달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모바일 단말(30)과 NFC 모듈(20)의 태깅시 모바일 단말(30)이 NFC 모듈(20)로부터 접속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공유기(10)에 전달하여 공유기가 적합한 NFC 모듈(20)의 정보인지 인증한 후 모바일 단말(30)의 무선랜 접속을 허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NFC 모듈(20)로부터 모바일 단말(30)에 전달되는 정보는 공유기와 미리 약속된 주기, 약속된 알고리즘에 의해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일례로써 제시된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무선랜 자동 등록 과정 및 재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자동 등록 시스템은 비밀번호를 대신하여 NFC 모듈(20)과 모바일 단말(30) 간의 인증을 통해 무선랜 접속 허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NFC 모듈(20)과 모바일 단말(30) 간의 인증 또한, 태깅에 의해 모바일 단말(30)의 단말정보가 NFC 모듈(20)을 통해 공유기(1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절차에 의해 비밀번호와 같은 인증 효과를 가지면서도, 제한된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바일 단말(30)이 NFC 모듈(20)에 태깅하게 되면(S10), NFC 모듈(20)이 모바일 단말(30)에 단말정보를 요청하게 된다.(S20) 단말정보의 요청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30)은 무선랜 접속 시 모바일 단말의 구분 및 접속을 위한 맥 아이디와 같은 단말정보를 NFC 모듈(20)에 전달하게 된다(S10).
모바일 단말(30)로부터 단말정보를 전달받은 NFC 모듈(20)은 공유기(10)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30)로부터 전달받은 단말정보를 공유기(10)에 전달하게 된다(S30).
공유기(10)는 이 단말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모바일 단말(30)로부터 접속요청이 발생하면(50), 단말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그리고 공유기(10)는 NFC 모듈(20)로부터 전달되어 저장된 단말정보와 모바일 단말(30)로부터 전달되는 단말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이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30)인지 확인하게 된다. 즉, 공유기(10)는 미리 저장된 단말정보 중 접속을 요청한 모바일 단말(30)로부터 전달된 단말정보와 일치하는 단말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저장된 단말정보가 있는 경우 접속요청을 한 모바일 단말(30)이 접속자격이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S40).
공유기(10)가 모바일 단말(30)의 접속자격을 확인하면, 접속을 요청한 모바일 단말(30)에 대해 IP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접속을 허가하게 된다(S6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최근 모바일 단말(30)에 구비되는 NFC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랜 접속을 허가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매 접속시마다 비밀번호를 저장하지 않고 태깅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선 랜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소 측에서는 비밀번호 저장에 의해 매장 인근에서 무선 랜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매장 내 사용자에 대해서는 무선 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서비스 제공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10 : 공유기
20 : NFC 모듈
30 : 모바일 단말

Claims (6)

  1.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과 태깅에 의해 단말정보에 의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속 인증을 수행하거나 접속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하는 인증 모듈; 및
    상기 인증 모듈에 의해 상기 접속 인증이 이루어진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해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접속 인증을 수행하는 공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인증 모듈로부터 전달 받은 접속정보를 접속 인증을 위해 상기 공유기에 전달하되,
    상기 접속정보는,
    상기 인증 모듈과 상기 공유기 사이에 미리 약속된 주기에 따라, 약속된 알고리즘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경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자동 등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은,
    상기 인증 모듈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무선 랜 접속에 사용되는 단말정보를 전달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은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인증 모듈 간의 근거리 영역 통신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는 상기 인증 모듈로부터 상기 단말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무선 랜 접속 시도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정보를 요청하고, 미리 저장된 상기 단말정보를 비교하여 저장된 상기 단말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무선 랜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단말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
KR1020170013623A 2017-01-31 2017-01-31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 KR101912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623A KR101912834B1 (ko) 2017-01-31 2017-01-31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623A KR101912834B1 (ko) 2017-01-31 2017-01-31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051A KR20180089051A (ko) 2018-08-08
KR101912834B1 true KR101912834B1 (ko) 2018-10-30

Family

ID=6322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623A KR101912834B1 (ko) 2017-01-31 2017-01-31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394B1 (ko) * 2021-07-14 2023-03-30 이우상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4369A1 (en) 2003-08-18 2005-03-10 N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LAN connection, wireless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KR101604927B1 (ko) 2014-12-24 2016-03-25 주식회사 아이페이지온 Nfc를 이용한 자동 접속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4369A1 (en) 2003-08-18 2005-03-10 N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LAN connection, wireless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KR101604927B1 (ko) 2014-12-24 2016-03-25 주식회사 아이페이지온 Nfc를 이용한 자동 접속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051A (ko)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891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ownloading profile of operator
US87437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network credentials
US9800581B2 (en) Automated wireless device provisioning and authentication
US8631471B2 (en) Automated seamless reconnection of client devices to a wireless network
EP25539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wlan roaming traffic authentication
US95493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ayed device registration on a network
KR20210032133A (ko) IoT 단말의 무선랜 AP 자동 접속 방법 및 시스템
CN107211275B (zh) 指代用于在移动设备上呈现的内容的链路指示
US90097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 secure wireless connection
US20160242033A1 (en) Communication service u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5497646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選択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026813B (zh) WiFi网络的接入认证方法、系统以及门户服务器
TWI484843B (zh) 用於一無線通訊系統存取控制之方法及其相關無線通訊系統
US9788202B2 (en) Method of accessing a WLAN access point
RU2727160C1 (ru) Аутентификация для систем следующего поколения
US20070004403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a roaming controlled wireless network and services
JP2012531822A (ja) ネットワーク信用証明書を取得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75036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ditional WiFi roaming
KR101357669B1 (ko) 위치 기반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101912834B1 (ko) 무선 랜 자동 등록 시스템
JP6470203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設定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754689A (zh) 家庭网关接入管理方法和系统
JP6503420B2 (ja) 無線通信端末認証制御装置、無線通信端末認証制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認証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34473B2 (ja) インターネット接続認証システム、インターネット接続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254402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