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386B1 -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386B1
KR101912386B1 KR1020120154954A KR20120154954A KR101912386B1 KR 101912386 B1 KR101912386 B1 KR 101912386B1 KR 1020120154954 A KR1020120154954 A KR 1020120154954A KR 20120154954 A KR20120154954 A KR 20120154954A KR 101912386 B1 KR101912386 B1 KR 10191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ent portion
liquid crystal
shape
gat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921A (ko
Inventor
김은낭
홍선기
유제건
Original Assignee
하이디스 테크놀로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디스 테크놀로지(주) filed Critical 하이디스 테크놀로지(주)
Priority to KR102012015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3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7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fringe field switching [FFS] where the common electrode is not pattern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81Hybrid switching mode, i.e.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with components parallel and orthogonal to the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ome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의해 각 화소(Pixel) 영역이 규정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 내에 평판으로 형성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며 상기 화소 영역 내에 복수의 전극으로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은 한 화소마다 한번 이상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에 절곡부가 형성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OR COMPRISING ELECTRODE HAVING THE BENDING PART}
본 발명은 전극에 절곡부가 형성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액정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전극들을 형성하면서 상기 전극 간에 발생하는 정렬 오차로 인한 화면 품위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전극 구조를 가진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극이 배열되어 있는 하부 기판과,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로 구성된 상부 기판, 그리고 이 두 기판 사이에 채워져 있는 액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액정표시장치가 이미지를 표시하는 원리는 전극에 전압을 인가해 액정의 배열을 변화시키고, 배열을 변화시킨 액정이 빛을 투과하게 되면 회절이 일어나며, 상기 회절이 된 빛을 컬러 필터에 투과시켜 원하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현재 액정표시장치의 구현 방식은 TN(Twisted Nematic), IPS(In Plane Switching), FFS(Fringe Field Switching) 등의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중 IPS, FFS와 같은 횡전계 방식인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동일 기판내에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간의 전계에 의해 액정을 구동하여 넓은 시야각과 높은 투과율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이 투명하여 빛을 잘 투과할 수 있으며 전도성을 띄는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서 전극이 설치된 모습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극은 평판 형태의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으로 형성되며, 두 전극 사이에 절연층(30)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20)은 제1 전극(10)과 일정한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을 제어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슬릿(50)을 형성한다.
도 2는 상기 전극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극들이 정상적으로 형성될 경우 제1 전극(10)의 끝단이 제2 전극(20)의 슬릿 중간에 위치하여야 한다.
하지만 공정상의 정렬이 어긋날 경우 (b),(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전극(20)의 중앙에 제1 전극(10)의 끝단이 위치하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 2의 (b), (c)의 A 부분과 같이 전극간의 전계가 달라지는 비정상 영역이 생기게 되고, 이는 상기 A 부분 상부에 존재하는 액정의 배열에도 영향을 주어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라인 형태로 시인되므로 전체적인 화면 품위를 떨어뜨린다.
도 3은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간의 형성위치가 정상일 때 전극에 전압을 인가할 경우 액정의 구동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투과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정간의 정렬 오차가 발생하지 않은 도3의 경우 전체적인 투과율이 일정함을 보여준다.
하지만, 도 4와 같이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간의 형성위치가 비정상일 때, 제1 전극이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될 경우 해당 영역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의 구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투과율이 다른 영역과 다름을 보여준다.
상기 비정상 영역에서의 액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제어가 되지 않는다. 보통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각각 한 번의 공정으로 형성함에 따라 비정상 영역은 화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비정상 영역을 사용자가 봤을 때 모니터에 줄이 생긴 것처럼 보이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표시장치에 형성되는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 한 화소마다 한번 이상 절곡되는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전극들이 잘못 배치되었을 때 발생하는 비정상 영역을 개선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극에 절곡부가 형성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의해 단위 화소 영역이 규정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화소 영역 내에 형성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액정 표시장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단위 화소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슬릿이 있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은 단위 화소마다 한번 이상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이 한번 절곡될 경우 상기 절곡부는 화소 영역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게이트 라인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게이트 라인의 길이방향과 사선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형태는 상기 게이트 라인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1 또는 제2 전극의 형태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형태는 상기 게이트 라인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1 또는 제2 전극의 형태와 서로 반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은 빛을 투과하고 전도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전극에 절곡부가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전극 하부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2 전극의 절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제1 방향으로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과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을 형성하는 화소 영역 형성 단계,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의해 규정된 단위 화소 영역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제1 전극 형성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 전극과 절연되고, 하나 이상의 슬릿이 있는 평판 형상인 제2 전극을 형성하는 제2 전극 형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은 단위 화소마다 한번 이상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형성 단계 및 제2 전극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형태는 상기 게이트 라인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1 또는 제2 전극의 형태와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형성 단계 및 제2 전극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형태는 상기 게이트 라인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1 또는 제2 전극의 형태와 서로 반복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형성 단계 및 제2 전극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은 빛을 투과하고 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전극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2 전극에 절곡부가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전극 하부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2 전극의 절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표시장치에 형성되는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 한 화소마다 한번 이상 절곡되는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극들이 잘못 배치되었을 때 발생하는 비정상 영역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전극의 형태와 문제점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전극의 위치가 정상일 때 액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전극의 위치가 비정상일 때 액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형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형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형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형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극에 절곡부가 형성된 액정표시장치로써, 기존의 액정표시장치는 어레이 기판에 전극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조금이라도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면 정렬 오차가 생기게 되었다. 상기 정렬 오차가 생기게 되면 상기 전극들이 액정의 배열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없어 액정표시장치에 줄이 생긴 것처럼 보이는 문제가 생겼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에 절곡부가 형성된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형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액정표시장치의 각 화소(80)는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70) 및 데이터 라인(60)에 의해 각 화소 영역이 규정된다.
이때, 상기 화소 영역 내에 평판으로 형성되는 제1 전극(100) 및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화소 영역 내에 복수의 전극으로 형성된 제2 전극(200)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에 절곡부(300)를 형성한다. 데이터 라인(60)은 제2 전극(200)과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라인(60)이 제2 전극(200)밖으로 드러나면 데이터 필드를 완전히 커버하지 못하여 크로스토크와 같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극(200)의 절곡부와 같은 형태로 데이터 라인(200)을 형성해야 한다.
상기 절곡부(300)를 형성함으로써, 도 5의 (b),(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전극(100)과 제2 전극(200)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정렬 오차가 생겼을 때 비정상 영역(A)을 줄일 수 있다. 앞서 기존의 전극에서 발생하는 정렬 오차를 설명한 도 2의 (b),(c)와 비교해 보면, 상기 절곡부(300)를 형성한 효과로 비정상 영역이 절반으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200)이 액정표시장치의 화소 영역 안에서 절곡부(300)를 한번 형성할 경우, 상기 절곡부를 화소 영역의 중앙에 형성하게 되면 제2 전극이 좌, 우 어느 쪽으로 정렬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같은 크기의 비정상 영역(A)이 발생한다. 따라서 절곡부는 화소 영역의 중앙에 형성하여 정렬 오차를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2 전극(200)에서 절곡부(300)를 게이트 라인(70)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할 경우, 정렬 오차가 생겼을 때 비정상 영역(A)이 절곡부를 화소 영역의 중앙에 형성했을 경우보다 더 커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태는 지양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 전극(200)은 액정표시장치에 따라 화소 안에 형성되는 개수가 달라진다. 따라서 제2 전극에 형성되는 절곡부(300)도 제2 전극의 개수에 따라 비례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제2 전극(200)은 한 화소 안에 4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2 전극마다 절곡부(300)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각각의 제2 전극마다 절곡부를 하나씩 형성하는 방법 외에도 절곡부를 다수 형성하여 비정상 영역(A)을 줄일 수도 있다.
절곡부를 다수 형성하더라도 비정상 영역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효과는 절곡부가 하나인 경우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으나, 상기 비정상 영역을 분산시켜 화면 품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절곡부(300)는 제2 전극(200)의 길이 방향과 사선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미도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절곡부의 형태는 정렬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절반 이하의 비정상 영역이 형성된다면 다른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절곡부(300)에 의한 변위(B)는 상기 정렬 오차의 최대 범위를 계산하여, 상기 최대 범위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절곡부의 변위를 계산하여 형성한다. 절곡부가 정렬 오차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경우 정렬 오차로 인한 액정표시장치의 불량을 크게 줄이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의 조건에 따라 절곡부의 변위(B)는 제2 전극(200)에 형성된 양쪽 끝 슬릿의 폭의 1/2로 하고, 절곡부의 각도는 상기 데이터 라인(60)의 길이 방향과 45 ˚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형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는 게이트 라인(70)을 중심으로 각 화소를 구성하는 제2 전극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지만, 도 6에 도시한 제2 전극(200)은 게이트 라인을 기준으로 반복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제2 전극의 형태는 도 5의 제2 전극의 형태와 비교하여 비정상 영역(A)을 더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형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6에 도시한 절곡부(300)가 제2 전극(200)에 형성된 것과 달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부(600)는 제1 전극(400)에 형성된다.
제1 전극에 절곡부(600)를 형성함으로써, 도 7의 (b),(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전극(400)과 제2 전극(500)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정렬 오차가 생겼을 때 비정상 영역(A)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도 5,6의 제2 전극(200)에 형성한 절곡부(300)와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1 전극(400)이 액정표시장치의 화소 영역 안에서 절곡부(600)를 한번 형성할 경우, 상기 절곡부를 화소 영역의 중앙에 형성하게 되면 제2 전극이 좌, 우 어느 쪽으로 정렬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같은 크기의 비정상 영역(A)이 발생한다. 따라서 절곡부는 화소 영역의 중앙에 형성하여 정렬 오차를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데이터 라인(60)은 제 2 전극(20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일실시예와 달리 절곡부를 형성시키지 않는다.
만약, 제1 전극(400)에서 절곡부(600)를 게이트 라인(70)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할 경우, 정렬 오차가 생겼을 때 비정상 영역(A)이 절곡부를 화소 영역의 중앙에 형성했을 경우보다 더 커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태는 지양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제1 전극(400)에 형성된 절곡부(600)를 다수 형성하더라도 비정상 영역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효과는 절곡부가 하나인 경우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으나, 상기 비정상 영역을 분산시켜 화면 품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절곡부(600)는 제1 전극(400)의 길이 방향과 사선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미도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절곡부의 형태는 정렬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절반 이하의 비정상 영역이 형성된다면 다른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절곡부(600)에 의한 변위(B)는 상기 정렬 오차의 최대 범위를 계산하고, 상기 최대 범위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절곡부의 길이를 계산하여 형성한다. 절곡부가 정렬 오차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경우 정렬 오차로 인한 액정표시장치의 불량을 크게 줄이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형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전극에 절곡부를 형성하였지만, 게이트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전극을 반복되는 형태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 전극의 형태는 도 7의 제1 전극의 형태와 비교하여 비정상 영역(A)을 더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전극에 절곡부가 형성된 액정표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 일뿐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제1 전극 200 : 제2 전극
300 : 절곡부

Claims (13)

  1.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의해 단위 화소 영역이 규정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화소 영역 내에 형성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액정 표시장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단위 화소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슬릿이 있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제2 전극;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하나의 전극만 단위 화소마다 한번 이상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이 한번 절곡될 경우 상기 절곡부는 화소 영역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게이트 라인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게이트 라인의 길이방향과 사선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형태는
    상기 게이트 라인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1 또는 제2 전극의 형태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형태는
    상기 게이트 라인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1 또는 제2 전극의 형태와 서로 반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은 빛을 투과하고 전도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에 절곡부가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전극 하부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2 전극의 절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9. 기판 상에, 제1 방향으로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과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을 형성하는 화소 영역 형성 단계;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의해 규정된 단위 화소 영역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제1 전극 형성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 전극과 절연되고, 하나 이상의 슬릿이 있는 평판 형상인 제2 전극을 형성하는 제2 전극 형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형성 단계 또는 제2 전극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하나의 전극만 단위 화소마다 한번 이상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형성 단계 및 제2 전극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형태는 상기 게이트 라인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1 또는 제2 전극의 형태와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형성 단계 및 제2 전극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형태는 상기 게이트 라인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1 또는 제2 전극의 형태와 서로 반복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형성 단계 및 제2 전극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은 빛을 투과하고 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2 전극에 절곡부가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전극 하부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2 전극의 절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 방법.
KR1020120154954A 2012-12-27 2012-12-27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2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954A KR101912386B1 (ko) 2012-12-27 2012-12-27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954A KR101912386B1 (ko) 2012-12-27 2012-12-27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921A KR20140084921A (ko) 2014-07-07
KR101912386B1 true KR101912386B1 (ko) 2018-10-26

Family

ID=5173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954A KR101912386B1 (ko) 2012-12-27 2012-12-27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3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564A (ko) * 2007-07-18 2009-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4702424B2 (ja) * 2008-10-08 2011-06-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921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7230B2 (en) Array substrat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10295858B2 (en) Curved display device
KR100482468B1 (ko)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 표시 장치
KR100831229B1 (ko) 고개구율 액정 표시 장치
US809835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7341790B2 (ja) 液晶表示装置
US2010007971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100887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5069119A (ja) 表示装置
US2020005006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59389B1 (ko) 액정표시장치
WO2021212620A1 (zh) 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09018512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5027719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0019502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08871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878994B1 (en) Array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40035242A (ko) 픽셀 유닛, 어레이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
US940040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102747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20000407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12386B1 (ko)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144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5206873A (ja) 液晶表示装置
WO2021098411A1 (zh) 薄膜晶体管、阵列基板以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