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343B1 -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a wearable sensor - Google Patents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a wearabl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343B1
KR101912343B1 KR1020160134188A KR20160134188A KR101912343B1 KR 101912343 B1 KR101912343 B1 KR 101912343B1 KR 1020160134188 A KR1020160134188 A KR 1020160134188A KR 20160134188 A KR20160134188 A KR 20160134188A KR 101912343 B1 KR101912343 B1 KR 101912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rehabilitation
walking
trunk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1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1881A (en
Inventor
한용권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4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343B1/en
Publication of KR2018004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3Discriminating type of movement, e.g. walking or ru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 for standing, sitting, laying, lea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9Angl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Abstract

웨어러블 센서를 포함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는, 환자의 체간을 들어 올린 상태로 상기 환자를 미리 설정된 재활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환자 자동 이송부; 선택한 보행패턴에 따라 상기 재활위치에서 상기 환자가 발판을 밟으면서 보행재활훈련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체간 운동부; 및 선택된 보행패턴에 따라 상기 체간 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환자가 착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 또는 상기 환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3차원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환자의 행위인지 및 자세인지를 실시간으로 진행하여 보행재활훈련에 반영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it rehabilitation device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including a wearable sensor includes a patient automatic transfer unit for moving the patient to a predetermined rehabilitation position with the trunk of the patient lifted up; A trunk exercise unit configured to be able to perform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while the patient is stepping on a foot on the rehabilita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gait pattern; 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wearable orientation bearing sensor worn by the patient or the portable terminal held by the patient in real time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elected gait pattern, And a control device for realizing the recognition and the posture in real time and reflecting it in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Description

웨어러블 센서를 포함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a wearable sens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handicap,

본 발명은 보행 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센서를 포함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it rehabilitation system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including a wearable sensor.

일반적으로 보행은 사람의 하지 관절 및 근의 연속운동을 통해서 좌우의 다리를 번갈아 전방으로 내놓으면서 몸을 이동시키는 것을 말하며, 다수의 관절이나 골반이 동시에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 기관이나 조직 또는 신경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보행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Generally, walking refers to moving the body while alternately moving the left and right legs forward through the continuous motion of the lower extremity joints and muscles of the person. Since many joints or pelvis are used simultaneously, these organs, tissues or nerves are damaged , It often causes walking disorders.

특히 보행 장애 환자의 약 90%가 후천적 장애에 의해 발생되며 척추질환, 관절염, 뇌졸중, 뇌성마비, 사고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경우 독립적인 보행이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재활 기구를 이용하는 경우 넘어져 다칠 수 있으며 자력으로 보행할 수 없는 경우, 편마비 환자에게 독특하게 나타나는 밀기 증후군으로 보행시 골반을 위로 치켜 올리며 엉덩 관절에서 다리를 휘둘림(Circumduction)시켜 앞으로 내딛는 휘둘림 보행이 나타나서 재활 훈련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about 90% of patients with gait disorder are caused by acquired disorders, and patients with hemiplegia due to spinal diseases, arthritis, stroke, cerebral palsy, and accidents are unlikely to have independent gait, If the patient can not walk on his / her own hand, the pushing syndrome that is unique to the hemiplegic patient has a problem that the pelvic girdle is raised and the legs are bent in the hip join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327178호는 투 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드밀 본체와, 트레드밀 본체에 좌우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 1 구동 모터 및 제 2 구동 모터와, 트레드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구동 모터 및 제 2 구동 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하는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와, 트레드밀 본체에 설치되어 좌측 컨베이어 벨트와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벨트 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보행자를 지지하도록 착용되어 하지관절운동에 따른 각도 데이터 및 하지의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며, 각 하지 관절부에 설치되는 관절 구동부를 구비하는 워커부, 투 벨트 트레드밀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한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넘어져 부상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행자의 인체를 상하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는 견인유닛 및 워커부, 제 1 구동 모터 및 제 2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27178 for solving these problems relates to a two-belt treadmill and a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o a treadmill body, a first drive A left conveyor belt and a right conveyor belt which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treadmill body and are respectively rotated by a first drive motor and a second drive motor, and a left conveyor belt and a right conveyor provided on the treadmill body, A two-belt treadmill including a belt loosening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peeling of the belt; an angle sensor for detecting an angular velocity of the lower limb and an electromyographic signal of the lower limb, Part, two-belt treadmill, and the pedestrian A traction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for traversing the human body of the pedestrian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prevent the pedestrian from falling over, a walker unit, a first drive motor and a second drive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belt treadmill and a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컨베어 벨트가 구동하여 환자의 발을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가 직접 다리를 들어 이동시켜야 하므로 재활 훈련에 어려움이 있고 훈련과정에서 2차 부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힘이 많이 들어가며 훈련 시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to move the patient's foot by driving the conveyor belt, the patient has to move the legs directl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erform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raining time was short.

또한, 종래기술은 컨베어 벨트가 구동하여 환자의 발을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가 직접 다리를 들어 보행해야 하고 재활 훈련을 하기 위해 환자가 장치 내부로 직접 걸어 들어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technique is configured to move the patient's foot by driving the conveyor be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tient must directly walk through the legs and the patient must directly walk into the device to perform the rehabilitation training.

KR 10-1327178 BKR 10-1327178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환자의 체간을 들어 올린 상태로 상기 환자를 미리 설정된 재활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환자가 착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3차원 위치정보를 토대로 환자의 행위인지 및 자세인지를 실시간으로 진행하여 보행재활훈련에 반영할 수 있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 patient from a wearable posture sensor worn by a patient to a re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for a severely handicapped person who is capable of realizing the behavior and attitude of the pati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real time and reflecting it in the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체간을 들어 올린 상태로 상기 환자를 미리 설정된 재활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환자 자동 이송부; 선택한 보행패턴에 따라 상기 재활위치에서 상기 환자가 발판을 밟으면서 보행재활훈련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체간 운동부; 및 선택된 보행패턴에 따라 상기 체간 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환자가 착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 또는 상기 환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3차원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환자의 행위인지 및 자세인지를 실시간으로 진행하여 보행재활훈련에 반영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tient automatic transfer unit for moving the patient to a preset rehabilitation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a trunk of a patient is lifted; A trunk exercise unit configured to be able to perform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while the patient is stepping on a foot on the rehabilita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gait pattern; 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wearable orientation bearing sensor worn by the patient or the portable terminal held by the patient in real time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elected gait pattern, The walking and rehabilitation device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is provided, which includes a control device for realizing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in real time and reflecting it in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또한, 상기 환자가 상기 체간 운동부를 이용하여 보행재활훈련을 진행할 때, 가상현실방식 및 증강현실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에게 3차원적인 공간영상을 제공하는 출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output device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to the patient using any one of a virtual reality method and an augmented reality method when the patient performs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the trunk motion part .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3차원적인 공간영상에 가상의 장애물이 증강현실방식을 통해 나타날 때, 상기 환자가 착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3차원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환자의 행위를 인지하면서, 상기 체간 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virtual obstacle appears on the 3D spatial imag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method, the controller display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wearable orientation sensor on the three- The operation of the trunk movement part is controlled while recognizing the action of the trunk movement part.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각 환자의 보행재활훈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각 환자가 자신의 과거의 보행재활훈련 데이터를 참조하여 훈련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stores data on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of each patient, and provides information that each patient can set a training target value by referring to his / her past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또한, 무릎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무릎 위치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환자의 무릎에 착용하여 무릎의 이동각도를 제한하는 무릎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무릎 가이드의 무릎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무릎의 이동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체간 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knee guide equipped with a knee position sensor for sensing movement of the knee and restricting a movement angle of the knee by being worn on the knee of the patient, And the motion of the trunk movement part is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angle of the knee transmitted from the trunk movement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센서를 포함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는,In the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including the wearabl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환자의 체간을 들어 올린 상태로 환자를 미리 설정된 재활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환자가 착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3차원 위치정보를 토대로 환자의 행위인지 및 자세인지를 실시간으로 진행하여 보행재활훈련에 반영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move the patient to the predetermined rehabilitation position with the trunk of the patient lifted and to detect the behavior and attitude of the patient on the basis of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at least one wearable orientation bearing sensor worn by the patient And can be reflected in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in real time.

따라서 3차원적인 공간영상에 가상의 장애물을 회피하는 훈련까지 진행할 수 있으며, 가상의 장애물을 회피할 때의 환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체간 운동부의 동작을 연동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training to avoid a virtual obstacle in a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and to control the motion of the trunk motion part by sensing the posture of the patient when avoiding a virtual obsta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의 제어 관련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재활 시스템의 재활 실행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재활 실행 시스템의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어장치(120)에 표시되는 메뉴를 통해 보행패턴을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6b는 보행재활훈련 과정에서 출력장치(130)에 의해 제공되는 3차원적인 공간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200)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20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 9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200)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200)가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200)가 회동하며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2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이송부(300)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지지부(400)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안전보호구(500)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related configuration of a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rehabilitation execution system of the rehabilitation system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in the rehabilitation execution system of Fig. 3
5 is a view showing a screen for selecting a gait pattern through a menu displayed on the control device 120. Fig.
6 to 6B are diagrams show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provided by the output device 130 in the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process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gait /
8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1 for the severely disabled person
9 is a side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in which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gait-and-rehabilitation device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moves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walking and rehabilitation device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is rotatin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in which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gait-and-rehabilitation device 1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pivots and moves
1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gait-and-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nsfer unit 300 of the gait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portion 400 of the gait-and-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afety guard 500 of the gait-and-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의 제어 관련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재활 시스템의 재활 실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related to control of a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of a rehabilitation execution system to b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재활 시스템은,1 to 3, a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지체부자유 환자나 중증 장애자의 체간(體幹)을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보행이 가능 하도록 하체 다리를 시스템 프로그램에 저장된 패턴에 따라 회동시켜주며, 재활과 과정관리가능 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치료의 중점은 환자의 비정상적인 운동 패턴을 피하고 환자의 특성에 맞는 계획적인 정상적 운동패턴을 반복학습과 훈련할 수 있도록 하여 두려움을 스스로 극복하고 흥미와 성취감을 유발하여 재활시기를 앞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ystem is designed to allow the legs of the handicapped or severely handicapped person to walk in a state of lifting the trunk according to the pattern stored in the system program and to manage the rehabilitation process. By avoiding the abnormal exercise pattern of the patient and allowing the repetitive learning and training of the normal exercise patter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it is constructed to overcome the fear by itself and to induce the interest and the sense of accomplishment.

허리 디스크 등을 앓는 척추질환자, 다리 관절염으로 거동이 불편한 관절염 환자, 내지는 사고로 인한 편마비 환자, 한센병 환자, 뇌졸중 환자, 뇌성마비 환자 등에게 및 체간 장애자들에게 보행 훈련은 재활을 위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치료요법으로서 이를 과학적이고 합리적 수준으로 지원해주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Walking training should be preceded by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who suffer from hip discs, patients with arthritis who are uncomfortable due to leg arthritis, hemiplegia due to accidents, leprosy patients, stroke patients, and cerebral palsy patients. As a curative therapy, we propose a system that supports and manages this scientifically and rationally.

도 4는 도 3의 재활 실행 시스템의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in the rehabilitation execution system of Fig. 3;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는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The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the severely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only a simple structure for clear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to be proposed.

도 4를 참조하면,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는 프레임(100), 체간운동부(200), 이송부(300), 지지부(400), 안전보호구(500), 제어장치(120), 출력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the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includes a frame 100, a trunk motion part 200, a transfer part 300, a support part 400, a safety protection part 500, a control device 120, And an apparatus 130.

본 실시예에서 이송부(300), 지지부(400) 및 안전보호구(500)를 모두 통칭하여 환자 자동 이송부(10)로 정의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즉, 환자 자동 이송부(10)는 이송부(300)와, 지지부(400)와, 안전보호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fer part 300, the support part 400, and the safety protection part 500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atient automatic transfer part 10 and will be described. That is, the patient automatic transfer unit 10 includes a transfer unit 300, a support unit 400, and a safety guard 50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main operation of the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이송부(300), 지지부(400) 및 안전보호구(500)로 구성되는 환자 자동 이송부(10)는,The patient automatic transferring unit 10 including the transferring unit 300, the supporting unit 400, and the safety protection unit 500,

환자의 체간을 들어 올린 상태로 환자를 미리 설정된 재활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체간(Body Core)은 몸통(몸의 동체)을 지칭하는 것인데, 체간을 중심으로 팔, 다리 등이 분기되어 있다.So that the patient can be automatically moved to a predetermined rehabilitation position with the patient's trunk raised. Body Core refers to the torso (the body of the body), with the arms and legs branching around the trunk.

체간 운동부(200)는 선택한 보행패턴에 따라 재활위치에서 환자가 발판(210)을 밟으면서 보행재활훈련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trunk movement part 200 is constructed so that the patient can walk on the foot plate 210 in the rehabilita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gait pattern to perform walking rehabilitation.

체간 운동부(200)는 보행패턴에 따라 발판(210)의 각도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자동 이동시키며, 각 환자의 신체적인 보행제한조건에 따라 발판(210)의 각도를 개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trunk movement part 200 automatically moves the angle of the footrest 210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gait pattern, and is configured to individually adjust the angle of the footrest 210 according to the physical restricting condition of each patient.

또한, 장애인의 경우 몸을 비틀어서 걷는 습관이 있으므로, 특히 발목의 각도가 정상인에 비해 유연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환자의 신체적인 한계를 고려하여 발목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발판(210)의 각도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장치(120)에 환자의 보행재활훈련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발판(210)의 초기 각도 및 이동각도는 기존의 보행재활훈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환자에 맞게 자동 조절된다.In addition, the handicapped person has a habit of walking twisted, especially when the angle of the ankle is not as flexible as normal. Accordingly, the angle of the foot plate 210 can be automatically mov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a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ankle considering the physical limitations of each patient. When the patient's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is stored in the controller 120, the initial angle and the moving angle of the footrest 210 are automatically adjusted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existing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제어장치(120)는 환자, 보호자 및 치료사 등이 선택한 보행패턴에 따라 체간 운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device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unk movement part 200 according to the gait pattern selected by the patient, the caregiver, and the therapist.

보행패턴은 평지걷기, 계단 오르기, 계단 내려오기, 경사로 오르기 및 경사로 내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데, 각 보행패턴의 보행높이, 보행너비 및 보행속도는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walking pattern includes at least one of a flat walking, a stair climb, a stair climb, a ramp climb, and a ramp descending. The walking height, the walking width, and the walking speed of each walking pattern ar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출력장치(130)는 환자가 체간 운동부(200)를 이용하여 보행재활훈련을 진행할 때, 가상현실방식 및 증강현실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3차원적인 공간영상을 제공한다.The output device 130 provides a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to the patient using any one of the virtual reality method and the augmented reality method when the patient performs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the intertwine exercise part 200. [

환자, 보호자 및 치료사가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using the patient's, guardian's, and therapist's gait rehabilitation device (1) for the severely disabled is described as follows.

우선, 중증 장애자(환자)가 휠체어를 타고 진입하면,First, when a seriously handicapped person (patient) enters a wheelchair,

자동 이송부(300)가 환자의 체간을 들어 올려서 환자를 미리 설정된 재활위치까지 이동시킨다.The automatic transfer unit 300 lifts the patient's trunk and moves the patient to a preset rehabilitation position.

평지걷기, 계단 오르기, 계단 내려오기, 경사로 오르기 및 경사로 내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행패턴을 선택한 후, 각 보행패턴의 보행높이, 보행너비 및 보행속도까지 선택하여 보행재활훈련의 진행을 준비한다.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is prepared by selecting one of the walking patterns, the stair climbing, the stair climbing, the ramp climbing, and the ramping down, and selecting the walking heights, walking widths and walking speeds of the respective walking patterns.

제어장치(120)는 각 환자의 보행재활훈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 상태로 저장하고 있는데, 제어장치(120)는 각 환자가 자신의 과거 보행재활훈련 데이터를 참조하여 훈련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20 stores data of the patient's rehabilitation training in a state of being stored in a database, and the control device 120 refers to the past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of each patient to set the training target valu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즉, 환자가 과거의 데이터를 선택한 후, 과거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훈련 목표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과거의 데이터에는 환자의 평소 습관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과거기록을 고려하여 훈련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patient can be configured to select the past data, and to adjust the training target value with reference to the past data. Historical data record the patient's usual habits so that the level of training can be adjus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historical records.

이때, 출력장치(130)는 가상현실방식 및 증강현실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3차원적인 공간영간을 제공할 수 있는데,At this time, the output device 130 can provide a three-dimensional space span to the patient using any one of a virtual reality method and an augmented reality method.

보행재활훈련을 진행할 때 환자에게 3차원적인 공간영상을 제공함으로서, 환자가 평소에 익숙한 길을 가상공간으로 하여 심리적인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의 가상공간은 환자의 거주지 주변, 환자의 고향, 환자가 선호하는 영역, 환자의 집 내부 등의 공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By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to the patient during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the patient can be given a psychological sense of security by using the usual familiar path as a virtual space. Here, the virtual space may includ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he patient's residence, the patient's home, the patient's preferred area, and the inside of the patient's home.

한편, 촬영장치(110)가 가시광선 영역촬영렌즈, 적외선 영역촬영렌즈 및 레이더 센서를 모두 구비하여 영상 및 3차원 영상을 모두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경우, On the other hand, whe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includes both the visible ray region photographing lens, the infrared region photographing lens, and the radar sensor so as to be able to identify both the image and the three-

현재 재활위치에 있는 환자가, 제어장치(120)에 의해 선택된 환자와 일치하는지를 영상객체인식 및 환자의 3차원 움직임의 특징을 토대로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It may be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 in the current rehabilitation position coincides with the patient selected by the control device 120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object recognition and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patient.

도 5는 제어장치(120)에 표시되는 메뉴를 통해 보행패턴을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creen for selecting a gait pattern through a menu displayed on the control device 120. As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는, Referring to Fig. 5, the gait-and-rehabilitation device 1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comprises:

환자, 보호자 및 치료사가 제어장치(120)를 이용하여, 평지걷기, 계단 오르기, 계단 내려오기, 경사로 오르기 및 경사로 내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보행패턴을 선택하고, 각 보행패턴을 조합하여 보행재활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The patient, the caregiver, and the therapist use the control device 120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walking patterns, the stair climbing, the stair climbing, the ramp climbing, and the ramping down, .

제어장치(120)는 터치 스크린 및 푸시 버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보행패턴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device 120 includes a touch screen and a push butt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a gait pattern.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행패턴의 보행높이, 보행너비 및 보행속도는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walking height, the walking width, and the walking speed of each walking pattern can be adjusted.

제어장치(120)는 각 환자의 보행재활훈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 상태로 저장하고 있는데, 각 환자가 자신의 과거 보행재활훈련 데이터를 참조하여 훈련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20 stores data of the patient's rehabilitation training in a state of being stored in a database, and each patient refers to his past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and provides information that can set the training target value .

즉, 환자가 과거의 데이터를 선택한 후, 과거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훈련 목표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과거의 데이터에는 환자의 평소 습관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과거기록을 고려하여 훈련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patient can be configured to select the past data, and to adjust the training target value with reference to the past data. Historical data record the patient's usual habits so that the level of training can be adjus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historical records.

제어장치(120)는 발판(210)에 형성되어 발판(2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환자가 보행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분석한 후, 제어장치(1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20 receives the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a pressure sensor (not shown) formed on the foot plate 210 to measur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plate 210, and analyzes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patient is walking And the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device 120. [

발판(2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으며 환자가 보행할 때 발판(210)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를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not shown) are disposed inside the footrest 210, and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footrest 210 when the patient is walking can be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제어장치(120)는 환자가 발판(210)을 밟고 보행할 때 발생하는 하중 분포를 이용하여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제1회동장치(220)와 제2회동장치(230)를 이용하여 발판(210)을 회동시켜 발목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first rotating device 220 and the second rotating device 230 so that the load is not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rtion by using the load distribution generated when the patient steps on the foot plate 210. [ The foot plate 210 is rotat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ankle so that a uniform load can be received.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발판(210)이 도 7의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할 때 발판(2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발목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footrest 210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251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the footrest 210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thereby controlling the patient's ankle so as not to be burdened.

제어장치(120)의 화면에 표시되는 발바닥의 가해지는 압력상태는, 발바닥의 각 위치에 대응하여 위험(RED), 정상(GREEN), 주의(BLUE) 상태로 표시될 수 있는데, 각 상태는 컬러 그래픽으로 표시되어 환자, 보호자, 치료사가 현재의 발바닥의 압력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The pressure state of the sol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device 120 may be displayed in a state of RED, GREEN, or BLUE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of the sole, It is graphically displayed so that the patient, the caregiver, and the therapist can easily observe the current state of the sole pressure.

한편, 환자가 팔 및 다리 등의 각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 - 미도시됨 - 를 착용하거나, 주머니에 휴대용 단말기를 소지할 경우,On the other hand, when the patient wears at least one wearable posture orientation sensor (not shown) on each part of the arm and leg or holds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pocket,

제어장치(120)는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 및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device 120 is configured to exchange data with the wearable orientation sensor and the portab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제어장치(120)는 선택된 보행패턴에 따라 체간 운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되,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 및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3차원 위치정보를 토대로 환자의 행위인지 및 자세인지를 실시간으로 진행하여 보행재활훈련에 연동 반영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unk movement part 200 according to the selected walking pattern, and detects the behavior and posture of the pati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orientation sensor and the portable terminal in real time And can be linked to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참고적으로, 자세방위센서는 3차원 공간에서 동작들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고, 9축 센서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9축이라 함은 가속도 3축, 관성 3축, 지자기 3축으로 총 9축의 값이 측정되기 때문에 9축 센서라고 지칭된다.For reference, the orientation sensor i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movement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may be referred to as a 9-axis sensor. The 9 axis is referred to as a 9 axis sensor since the values of 9 axes are measured in three axes of acceleration, three axes of inertia and three axes of geomagnetism.

따라서 환자가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를 팔, 허벅지, 골반, 다리에 착용할 경우, 각 부위의 3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장치(120)로 전송하며, 제어장치(120)는 수신된 데이터를 토대로 환자의 행위인지 및 자세인지를 실시간으로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earable posture direction sensor is worn on the arms, thighs, pelvis, and legs,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each part is sens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120. The control device 120 The patient's perception of behavior and posture can be realized in real time.

도 6 내지 도 6b은 보행재활훈련 과정에서 출력장치(130)에 의해 제공되는 3차원적인 공간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6 to 6B are views show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provided by the output device 130 in the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process.

도 6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출력장치(130)는 환자가 체간 운동부(200)를 이용하여 보행재활훈련을 진행할 때, 가상현실방식 및 증강현실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3차원적인 공간영상을 제공한다.6 to 6B, when the patient performs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the trunk exercise part 200, the output device 130 instructs the patient to use the virtual reality method and the augmented reality method, Dimensional spatial image.

즉, 보행재활훈련을 진행할 때 환자에게 3차원적인 공간영상을 제공함으로서, 환자에게 평소에 익숙한 길을 가상공간으로 하여 심리적인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의 가상공간은 환자의 거주지 주변, 환자가 선호하는 영역, 환자의 집 내부 등의 공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by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to the patient when performing the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the psychological stability can be given to the patient by using the usual familiar path as a virtual space. Here, the virtual space may includ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he surroundings of the patient, the preferred area of the patient, the inside of the patient's home, and the like.

따라서 심리적으로 거부감이 완화된 상태에서 중증 장애자, 즉 환자가 보행재활훈련에 임할 수 있으므로 훈련성과가 좋은 효과가 발생한다.Therefore, in the condition that the feeling of rejection is relaxed psychologically, the severely handicapped person, that is, the patient can be engaged in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and the training result is good.

도 6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는 3차원적인 공간영상을 보면서 실제와 같은 느낌으로 보행재활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환자는 프로그램 선택, 사용자 프로그램 선택 및 도로 장애물 선택을 진행하여, 환자가 원하는 가상공간을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to 6B, the patient can perform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in a realistic feel while viewing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At this time, the patient can proceed to the program selection, the user program selection, and the road obstacle selection to set the virtual space desired by the patient.

참고적으로, 환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제어장치(120)에 무선통신방식으로 업로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For reference, the patient may be configured to upload images captured by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control device 120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이때, 제어장치(120)는 업로드 된 영상을 3차원적인 공간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훈련하고 싶은 익숙한 공간을 편리하게 반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120 can convert the uploaded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and display it. Thus,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reflect the familiar space that the patient wants to train.

이때, 도로경사는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누적이동거리, 계획, 현재, 소모열량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oad gradien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real time, and the cumulative travel distance, plan, current, and calorie consumption may be displayed.

한편,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는 환자의 체간을 들어 올린 상태로 환자를 미리 설정된 재활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환자가 착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3차원 위치정보를 토대로 환자의 행위인지 및 자세인지를 실시간으로 진행하여 보행재활훈련에 반영할 수 있다.Meanwhile,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1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can move the patient to a predetermined rehabilitation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runk of the patient is lifted, and it is possible to move the patient from the at least one wearable orientation bearing senso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atient's perception of behavior and posture can be reflected in real-tim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특히, 사용자가 장애물을 선택했을 경우,In particular, when the user selects an obstacle,

제어장치(120)는 출력장치(130)에서 제공되는 3차원적인 공간영상에 가상의 장애물이 증강현실방식을 통해 나타나도록 제어하며,The control device 120 controls the virtual obstacle to appear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method on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provided by the output device 130,

환자가 착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3차원 위치정보를 토대로 환자의 행위를 인지하면서, 체간 운동부(200)의 동작을 연동제어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interlock the operation of the trunk movement unit 200 while recognizing the behavior of the pati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at least one wearable orientation sensor worn by the patient.

여기에서 장애물은 보행도로에 존재하는 물체, 맨홀, 평탄하지 않은 노면, 요철있는 노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bstacle may include an object existing on a gaitway, a manhole, an uneven road surface, an uneven road surface, and the like.

환자가 평탄하지 않은 노면, 요철있는 노면 등을 통과할 때 발판(210)은 노면 상태에 따라 상하좌우 진동효과를 주어 체감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때의 진동효과는 체간 운동부(200)에 구비된 복수의 모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patient passes the uneven road surface, the uneven road surface or the like, the foot plate 210 may be provided with an up, down, left, and right vibration effect depending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to increase the haptic effect. The vibration effect at this time can be realized through a plurality of motors provided in the trunk movement part 200.

또한, 장애물은 눈이 쌓인 노면, 빙판길까지 반영할 수 있는데, 제어장치(120)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 체간 운동부(200)를 제어하여, 환자가 실제로 눈이 쌓인 노면 및 빙판길을 걷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20)는 체간 운동부(200)를 제어하여 빙판길의 미끄러움을 느낄 수 있는 훈련을 진행할 수 있으며, 눈이 쌓인 높이를 고려하여 미끄러움과, 눈을 밟는 느낌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trunk movement unit 20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so that the patient can actually walk on the snowy road surface and the ice path. Can be given.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120 can control the trunk movement part 200 to perform a training to feel the slip of the ice path, and at the same time, realize the slipperiness and the feeling of stepping on the snow, .

즉,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는 3차원적인 공간영상에 가상의 장애물을 회피하는 훈련까지 진행할 수 있으며, 가상의 장애물을 회피할 때의 환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체간 운동부(200)까지 연동제어하여, 환자를 보호하면서 장애물 회피 훈련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That is,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 can proceed to training to avoid a virtual obstacle in a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and can detect a posture of a patient when avoiding a virtual obstacle, By interlocking control, the obstacle avoidance train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hile protecting the patient.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hotographing apparatus 110 capable of photographing a motion of a patient as described above.

촬영장치(110)는 체간운동부(200)를 통해 재활 훈련을 하는 환자를 촬영하게 되며 환자의 보행 자세 또는 하체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제어장치(120)로 전송하며, 제어장치(120)는 객체인식방식을 통해 환자의 보행 상태를 분석한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photographs a patient who is undergoing rehabilitation training through the trunk movement unit 200 and photographs the walking posture or the movement of the lower body of the patient and transmits the photograph to the control apparatus 120. The control apparatus 120 receives the object recognition The patient's gait status is analyzed through the method.

촬영장치(110)는 가시광선 영역, 적외선 영역을 모두 촬영할 수 있어, 야간의 보행을 훈련하는 상황에서도 환자의 보행 자세 및 하체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장치(110)는 라이더 또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3차원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3차원적인 환자의 움직임은 제어장치(120)에 저장되며,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can photograph both the visible ray region and the infrared ray region and can photograph the walking posture of the patient and the motion of the lower body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is trained to walk at night.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can be configured to three-dimensional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patient using a rider or a radar sensor. The three-dimensional patient movement is stored in the control device 120 and can be visually displayed.

한편, 제어장치(120)는 촬영장치(110) 및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환자의 보행자세 및 하체의 움직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의 신체적인 한계를 고려하여 위험패턴을 인지한 후, 위험패턴에 도달할 경우 훈련을 일시중지 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device 120 recognizes a dangerous pattern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patient based on the walking posture and the motion data of the lower body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and the wearable posture orientation sensor, If the pattern is reached, the training can be paused.

즉, 제어장치(120)는 환자의 신체적인 한계정보(발목각도, 고관절 각도, 무릎 각도)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촬영장치(110) 및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환자의 보행자세 및 하체의 움직임 데이터를 통해서 위험상황을 인지한 후 안전한 보행훈련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ontrol device 120 stores the physical limit information (ankle angle, hip joint angle, and knee angle) of the patient, the control device 120 controls the walking posture of the patient, Through the movement data,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afe walking training after recognizing the dangerous situation.

또한, 촬영장치(110)가 라이더 또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3차원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경우, Further, whe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is configured to three-dimensional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patient using a rider or a radar sensor,

제어장치(120)는 체간 운동부(200)를 통해 환자가 몇 가지 표준 움직임을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이때의 환자의 움직임을 3차원적으로 감지한 후,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의 착용위치를 추천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20 controls the patient to proceed with some standard movements through the trunk movement part 200 and three-dimensionally senses the movement of the patient at this time, and then recommends the wearing position of the wearable orientation orientation sensor have.

또한, 촬영장치(110)가 라이더 또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3차원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경우, 환자의 움직임의 특징을 토대로 제어장치(120)에서 선택된 환자가 정확한지를 재검토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Whe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is configured to three-dimensionally detect movement of a patient using a rider or a radar sensor,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selected patient is correc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of the patient Can be performed.

즉, 제어장치(120)를 통해 환자의 기존 데이터를 선택하고 훈련을 진행할 때, 실수로 다른 환자의 데이터를 선택하더라도, 촬영장치(110)가 현재의 환자 3차원적인 움직임을 파악하여 제어장치(120)에서 선택된 환자와 일치하는지를 재검토하는 과정이 진행되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existing data of the patient through the controller 120 and selects the data of another patient by mistake when proceeding with the train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grasps the current patient three- 12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또한, 촬영장치(110)가 가시광선 영역촬영렌즈, 적외선 영역촬영렌즈 및 레이더 센서를 모두 구비하여 영상 및 3차원 영상을 모두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경우, 현재 재활위치에 있는 환자가, 제어장치(120)에 의해 선택된 환자와 일치하는지를 객체인식 및 환자의 3차원 움직임 특징을 토대로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both the visible ray region photographing lens, the infrared region photographing lens, and the radar sensor so as to identify both the image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S) selected by the patient 120 based on object recognition and the patient's three-dimensional motion characteristics.

한편,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사용자가 무릎 가이드를 장착할 경우,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user mounts the knee guide,

제어장치(120)는 무릎 가이드와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device 120 is configured to exchange data with a knee gui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무릎 가이드는 무릎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무릎 위치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환자의 무릎에 착용하여 무릎의 이동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knee guide is equipped with a knee position sensor that senses the movement of the knee and plays a role in limiting the movement angle of the knee by wearing it on the patient's knee.

제어장치(120)는 무릎 가이드의 무릎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무릎의 이동각도를 고려하여 체간 운동부(200)의 동작을 연동제어한다. 즉, 제어장치(120)는 환자의 신체적인 한계를 고려하여 무릎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고관절을 포함하는 골반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20 interlocking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unk movement part 200 considering the movement angle of the knee transmitted from the knee position sensor of the knee guide. That is, the control device 120 can adjust the posture of the pelvis including the hip joint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knee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patient.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는 다리나 고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되므로 퇴행성 관절 관련한 질환을 예방하게 되고 근력을 자연스럽게 강화 할 수 있다.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1) for the severely handicapped uses the legs, the hip joints, the knee joints and the ankle joints naturally, thereby preventing degenerative joint-related diseases and strengthening the muscular strength naturally.

또한, 환자들이나 장애자들은 통증이 있는 다리 쪽으로는 체중 지지하는 것을 본능적으로 꺼리게 되고, 공포심을 가지게 되며, 운동 감각이나 지각, 촉각, 압력 감각 등의 감각이 결여된 상태에서 기술적 과제에 대해서 보행 운동을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물리치료사의 도움 없이는 보행 운동이 어려운 문제를 해소 할 수가 있다.Patient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instinctively reluctant to support weight on the side of the painful legs, have panic, and have a sense of lack of sense of kinesthesia, perception, tactile sensation, and pressure sense, Since it is impossible to do so,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 of walking without the help of a physical therapist.

또한, 환자들이나 장애자들은 근육에 이완성, 긴장성, 견직성의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보행 운동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할 만한 능력이 없어 그대로 굳어 버리는 일이 있어 행동장애로 인한 경제활동이 제한되는 2차 빈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미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전문가의 조력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 진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수정과 가감을 할 수가 있으며 신체의 컨디션에 따라 자의로 조절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patients and the handicapped have problems of muscle relaxation, tension, and stiffness, so they do not have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the walking exercise. can do. Depending on the data already entered, you can proceed to a program created with the help of a specialist, and you can adjust and adjust according to the results, and you can adjust yourself according to your physical condition.

다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구조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Again, in more detail, the structure of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1 for severely handicapped person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는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발판(210)(도 7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 환자가 발판(210)을 밟아 보행하면서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간운동부(200)와, 프레임(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체간운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제어장치(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the walking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comprises a frame 100 formed with upper and lower portion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oot plate 10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0, (200)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rame (100) to allow a patient to walk on the foot plate (210) and perform rehabilitation training, And a control device 1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atient or analyzing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또한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프레임(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판(310)(도 14 참조)을 이송시키는 이송부(300)와, 이송판(310)(도 14 참조)의 하부에 결합되며 환자가 체간운동부(200)를 이용하여 보행할 때 손으로 잡아 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부(400)와, 이송판(310)(도 14 참조)의 하부에 결합되며 환자가 넘어지지 않도록 환자의 상체를 감싸는 안전보호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ransfer unit 30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and transferring the transfer plate 310 (see FIG. 14) to the front or rear of the frame 100; A supporting part 400 having a handle for supporting the body by holding it by hand when the patient is walking using the inter-body moving part 200, and a supporting part 400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veying plate 310 And a safety guard (500) for wrapping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 does not fall over.

프레임(100)은 후면에는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경사로가 형성되어 있어 독립적으로 보행할 수 없는 환자가 휠체어를 이용하여 프레임(100)의 후면에 형성된 경사로를 통해 프레임(1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0 is formed with a ramp so that the wheelchair can enter. Therefore, the patient who can not independently walk can enter the inside of the frame 100 through the ramp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0 using the wheelchair .

또한 프레임(100)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상부에는 이송부(300)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체간운동부(200)가 결합되게 되며 프레임(100)의 전면과 후면은 개구되어 있어 환자가 재활 훈련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ame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ransfer unit 3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trunk movement unit 2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0.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rame 100 are opened, There is space available.

체간운동부(200)는 도 7의 발판(210)을 밟아 환자가 제자리에서 보행함으로써 재활 훈련을 하는 장치로 도 7의 발판(210)이 외부 동력에 의해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독립적으로 보행하지 못하는 환자도 재활 훈련을 할 수 있게 한다.The trunk exercise part 200 is a device for rehabilitation training by stepping on the foot plate 210 of FIG. 7 and allowing the patient to walk in place. By moving the foot plate 210 of FIG. 7 by external power, Let them do the training.

제어장치(120)는 체간운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하여 환자가 올바른 자세로 보행하거나 환자의 상태에 맞는 속도로 동작할 수 있도록 체간운동부(200)를 제어하며, 제어장치(120) 내에 설정된 프로그램을 따라 체간운동부(200)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The control device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unk movement part 200 to control the trunk movement part 200 so that the patient can walk in a correct posture or at a speed suited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he trunk movement unit 200 may be operated along with the program.

이송부(30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도 14의 이송판(310)을 프레임(1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지정된 위치로 이송할 수 있어 도 14의 이송판(310)에 결합된 지지부(400)와 안전보호구(500)를 체간운동부(200)의 상부에 위치시키거나 프레임(100)의 후면에 휠체어를 타고 진입한 환자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transfer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to transfer the transfer plate 310 of FIG. 14 to a designated position on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0, The supporting part 400 and the safety guard 50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moving part 200 or may be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patient entering the wheelchair on the rear side of the frame 100. [

지지부(400)는 환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환자가 체간운동부(200)를 이용하여 보행할 때 지지부(400)를 손으로 잡아 보행 중 전면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The supporting part 400 is formed to be able to hold the patient by the hand and assist the patient to hold the supporting part 400 by hand when the patient is walking using the inter-body moving part 200,

안전보호구(500)는 조끼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환자의 상체에 착용이 가능하며 프레임(100)의 상부를 이동하는 이송부(300)에 결합되어 있어 환자가 공중에 매달린 안전보호구(500)를 착용하면 기립된 상태가 되어 하체의 힘이 없는 환자라도 쓰러지지 않고 재활 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The safety guard 500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vest so that it can be worn on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and is coupled to the transfer part 300 moving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00. When the patient wears the safety guard 500 suspended in the air Even if a patient is in a standing position and does not have the strength of the lower body, he can rehabilitate without falling.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상기 체간운동부(200)를 통해 보행하는 환자를 촬영하여 환자의 보행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장치(110)와,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에 위치하여 설정된 영상이 출력되며 환자가 상기 체간운동부(200)를 이용하여 보행하면 이동량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이 재생되는 출력장치(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hotographing device 110 photographs a patient who is walking on the body 100 through the trunk movement part 200 and photographs the patient's walking state, And an output device 130 for reproducing an image output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when the patient is walking using the trunk movement part 200.

촬영장치(110)는 체간운동부(200)를 통해 재활 훈련을 하는 환자를 촬영하게 되며 환자의 보행 자세 또는 하체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환자의 보행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영상자료로 활용되게 된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photographs a patient who is rehabilitating through the trunk movement unit 200, and is used as an image data for analyzing the walking state of the patient by photographing the walking posture or the movement of the lower body.

즉, 촬영장치(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재활치료사나 의사가 보행하는 속도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120)를 조작하여 환자에게 맞는 재활 훈련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y analyz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it is possible to apply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uitable for the patient by operating the control device 120 so as to calibrate the speed or attitude of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or doctor.

출력장치(130)는 제어장치(120)에 저장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100)의 전면에 위치하여 환자가 영상을 보며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The output device 130 is formed as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stored in the control device 120, and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100 to allow a patient to view the image and perform rehabilitation training.

출력장치(1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공원, 길거리와 같이 사람이 보행할 수 있는 영상이 나타나도록 하거나 환자가 평소에 다니던 길을 출력하여 체간운동부(200)의 속도에 따라 영상이 재생되는 속도를 달라지게 함으로써 실제 거리를 걷고 있는 느낌을 받게 할 수 있다.The image output from the output device 130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such as a park, a street, or the like, so that a human can walk or display a path that the patient normally travels to output a speed at which the image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trunk movement unit 200 By making it different, you can get the feeling of walking on the actual street.

또한 출력장치(130)는 가상현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환자가 가상현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착용한 후 재활 훈련을 하게 되면 체간운동부(200)의 속도에 따라 자신의 생활주변에서 경험했던 가상현실 영상이 재생되고 주위를 둘러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도 있다.Also, the output device 130 may be replaced with a virtual reality head-mounted display. When the patient wears the virtual reality head-mounted display and then rehabilitates the virtual reality head-mounted display, the output device 130 displays a virtual It may cause the patient's interest by allowing the real image to be reproduced and to be able to look around.

도 7은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unk movement part of the gait restoration device 1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200)는 환자의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발판(210)과, 발판(210) 하부에 형성되며 발판(210)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제1회동장치(220)와, 제1회동장치(220) 하부에 형성되며 발판(210) 및 제1회동장치(220)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동장치(230)와, 일측은 제2회동장치(23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제2회동장치(230)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2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7,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comprises a footrest 210 formed to fix a foot of a patient, a footrest 210 formed below the footrest 210, 210 and the first pivoting device 220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which is formed below the first pivoting device 220. The first pivoting device 220 rotates the first pivoting device 210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frame 100 to move the second pivoting device 230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The second pivoting device 23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econd pivoting device 230, 240).

또한 상기 체간운동부(200)의 상기 발판(210)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100)의 양 측면에 위치한 가이드판(250)에 형성된 가이드홈(251)에 삽입되고 상기 발판(210)의 타측은 실린더(240)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240)가 동작하면 상기 발판(210)이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footrest 210 of the trunk movement part 200 is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251 formed in a guide plate 25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100, And the foot plate 210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251 when the cylinder 240 is operated.

체간운동부(200)는 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환자가 보행할 때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발판(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발판(210) 하부에는 제1회동장치(220)와 제2회동장치(230)가 각각 차례대로 결합되게 된다.The trunk movement part 200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100 and is formed with a foot plate 210 for fixing the foot when the patient is walking, and the first swivel device 220 and the second And the pivoting device 230 are respectively coupled in order.

제2회동장치(230)의 일측에는 실린더(240)의 피스톤로드(241)가 결합되고 타측은 가이드판(250)에 내측으로 파여진 가이드홈(251)에 삽입되어 제2회동장치(230)가 가이드홈(25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ston rod 241 of the cylinder 24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otating device 230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51 formed inside the guide plate 250 to rotate the second rotating device 230,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groove 251 is not released.

가이드홈(251)은 사람이 보행할 때 발생되는 발의 궤적에 대응하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행하는 환자의 보행 습관에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홈(251)이 형성된 가이드판(25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guide groove 251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ot trajectory generated when a person is walking, and the guide plate 250 having the guide groove 251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alking habit of the patient who is walking, It is possible.

제2회동장치(230)의 일측에 결합된 피스톤로드(241)는 실린더(240)의 동작에 의해 실린더(240)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면서 제2회동장치(230)를 밀어내거나 당겨 제2회동장치(230)가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The piston rod 241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pivoting device 230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240 or protruded to the outside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240 to push or pull the second pivoting device 230 The two-turn device 230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251.

이때 실린더(240)의 끝단은 프레임(100)에 고정된 회동대(242)에 결합되기 때문에 회동대(242)를 기준으로 실린더(240)가 회동할 수 있게 되고 실린더(240)에서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피스톤로드(241)는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하는 제2회동장치(230)의 위치에 따라 회동되면서 동작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end of the cylinder 240 is coupled to the pivot table 242 fixed to the frame 100, the cylinder 24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ivot table 242, The piston rod 241 is rotat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rotating device 230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251.

제1회동장치(220)는 발판(2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키도록 형성되고, 제2회동장치(230)는 발판(2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재활 훈련을 하는 환자가 보행할 때 발목을 사용하여 실제 보행과 유사한 발목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pivoting device 220 is configured to pivot the footrest 210 to the left or right and the second pivoting device 230 is configured to pivot the footrest 210 forward or backward, When the patient is walking, the ankle can be used to perform an ankle motion similar to a real walk.

도 8은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8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trunk movement part of the gait restoration device 1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200)의 제1회동장치(220)는 발판(2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제1회동판(221)과, 제1회동판(221) 하부에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회동판(22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전축(222)과, 제1회전축(222)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222)에 동력을 가하여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터(223)로 이루어진다.8, the first pivoting device 220 of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gait-seeking rehabilitation device 1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includes a first rotating device 220 having an upper portion formed to be flat, A first rotating shaft 222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otating plate 22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rotate the first rotating plate 221 leftward or rightward, And a first rotary motor 223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rotary shaft 222 to rotate the first rotary shaft 222 with power.

제2회동장치(230)는 상부에 제1회전축(222)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회동판(231)과, 제2회동판(231)의 하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결합되어 제2회동판(231)을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전축(232)과, 제2회전축(2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232)과는 별개로 회전이 가능한 베어링(234)과, 제2회전축(232)의 타측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232)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모터(233)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pivoting device 230 includes a second pivoting plate 231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pivoting shaft 222 from the front to the rea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pivoting plate 231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ivoting plate 231 from one side to the other A second rotary shaft 232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rotary shaft 232 to rotate the second rotary shaft 231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rearward direction and capable of rotating separately from the second rotary shaft 232, And a second rotary motor 233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tary shaft 232 to rotate the second rotary shaft 232.

또한 피스톤로드(241)의 끝단은 제2회전축(232)의 타측에 결합되게 되며 제2회전모터(233)는 피스톤로드(241)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2회전축(232)은 피스톤로드(241)를 관통하여 제2회전모터(233)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The end of the piston rod 241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tary shaft 232. The second rotary motor 233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piston rod 241. The second rotary shaft 232 is connected to the piston rod 241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second rotary motor 233.

제1회전축(222)과 제1회동판(221), 제2회전축(232)과 제2회동판(231)은 결합할 때 키로 결합되어 제1회전축(222) 또는 제2회전축(232)이 회전할 때 제1회동판(221)과 제2회동판(231)이 슬립 없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otation axis 222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232 are coupled by a key when the first rotation axis 222 and the first rotation axis 221 are coupled with the second rotation axis 232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otation plate 221 and the second rotation plate 231 can rotate without slip when rotating.

또한 제2회전축(232)의 일측에 결합되는 베어링(234)은 도 7의 가이드홈(251) 내측에 삽입된 후 도 7의 가이드홈(251)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도 7의 가이드홈(251)의 크기보다 베어링(234)의 외경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earing 234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23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51 of FIG. 7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51 of FIG. 7 so as not to come out of the guide groove 251 of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bearing 234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earing 234.

즉, 도 7의 가이드홈(251) 내측에는 베어링(234)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에서 하부로 전면이 보이도록 절단한 단면이 "T"자가 되도록 해야 한다.That is,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earing 234 are formed inside the guide groove 251 in FIG. 7 so that the section cut to be seen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s made to be "T".

또한 베어링(234)은 피스톤로드(241)가 왕복운동하면서 제2회전축(232)을 도 7의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 시킬 때 베어링(234)이 제2회전축(232)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면서 축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piston rod 241 reciprocates and the second rotary shaft 232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251 of FIG. 7, the bearing 234 is moved independently of the second rotary shaft 232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shaft while rotating can be reduced to allow smooth movement.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는 서보모터 또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져 있어 위치제어가 가능하므로 제1회전축(222)과 제2회전축(232)을 회전시킬 때 회전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발판(210)의 회동을 보행 자세에 맞춰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are composed of a servo motor or a step motor and can control the position, the amount of rotation when rotating the first rotation shaft 222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232 can be controlled, 210 can be active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walking postures.

도 9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200)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gait-and-rehabilitation device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1 move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의 발판(210)은 실린더(240)에서 돌출 또는 삽입되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로드(241)에 의해 가이드홈(251)을 따라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9, the footrest 210 of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for severely handicapp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uided by a piston rod 241 which is protruded or inserted into the cylinder 240 and reciprocates, And the position is moved along the groove (251).

발판(210)은 가이드판(250)에 형성된 가이드홈(251)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240)의 피스톤로드(241)가 왕복 운동을 하게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foot plate 210 is formed to be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251 while being restrained by the guide groove 251 formed in the guide plate 250 and the piston rod 241 of the cylinder 240 reciprocates It is possible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251.

가이드홈(251)은 보행할 때 발생하는 발의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환자가 체간운동부(200)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경우 다리의 근육과 관절을 실제 보행할 때와 같이 사용되기 때문에 실제로 보행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된다.Since the guide groove 251 is formed along the foot path generated when the user is walking, when the user uses the body-to-body motion unit 200 to walk, the legs are used as when actually walking the muscles and joints. .

또한 가이드판(25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51)을 환자의 보행 자세에 맞춘 경로로 형성한 후 가이드판(25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되고, 표준 보행 자세에 맞춘 경로를 사용하는 경우 재활 훈련을 하면서 보행 자세를 교정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251 formed in the guide plate 250 may be formed in a path that matches the walking posture of the patient, and then the guide plate 250 may be used in place of the guide groove 251. In the case of using the path conforming to the standard walking posture, It is also possible to correct the walking posture while training.

실린더(240)의 끝단은 회동대(242)에 결합되어 회동대(242)를 기준으로 실린더(240)가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실린더(240)에 결합되는 피스톤로드(241)는 가이드홈(251)을 따라 높낮이가 변경되면서 발판(2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end of the cylinder 240 is coupled to the pivot 242 so that the piston 240 can be pivoted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ivot 242. Therefore, The foot plate 210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251 while the height is changed.

또한 도 4의 제어장치(120)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발판(210)이 도 7의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할 때 발판(2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발목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device 120 of FIG. 4 can control the footrest 210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hen the footrest 210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251 of FIG. 7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as not to place an ankle on the ankle.

도 10은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200)가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walking and rehabilitation device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is rotating.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의 발판(210)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환자의 보행 습관에 맞춰 발판(210)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0, the footrest 210 of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walking and rehabilitation device for severely handicapp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ivoted to the left or the right to adjust the footrest 210 according to the patient's walking habits .

발판(210)과 결합되는 제1회동장치(220)의 제1회동판(221)은 제1구동모터에 의해 제1회전축(222)이 회전되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될 수 있어 보행하는 환자의 보행 습관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다.The first pivot plate 221 of the first pivoting device 220 coupled to the foot plate 210 can be pivoted to the left or right when the first pivot 222 is rotated by the first driving motor,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walking habits.

즉, 환자가 보행할 때 발바닥의 내측이나 외측이 먼저 닿는 습관을 가지는 경우 발목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발판(2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켜 기울인 상태에서 보행하도록 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이 균일하게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atient has a habit of touching the inner or outer side of the soles first when walking, the ankle is uncomfortable, so that the foot plate 210 is pivoted to the left or right to walk in a tilted state, .

또한 체간운동부(200)의 발판(21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에 따라 회동되어 환자가 발판(210)을 밟고 보행할 때 발목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ot plate 210 of the body-movement unit 200 is rotated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position so that the patient can move the ankle when walking on the foot plate 210.

제1회동장치(220)의 하부에 형성된 제2회동장치(230)를 통해 발판(210)과 제1회동장치(220)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환자가 보행할 때 지면을 박차고 나가는 형상으로 발목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e foot plate 210 and the first rotating device 220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rotating device 23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otating device 220, And ankle motion can be performed in an outgoing shape.

제2회동장치(230)는 도 7의 발판(210)이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발판(210)의 회전량을 능동적으로 변화시켜 보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도 4의 제어장치(120)에 의해 제어된다.The second pivoting device 230 actively change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foot plate 21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where the foot plate 210 of FIG. 7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251, (Not shown).

또한 도 4의 제어 장치는 발판(210)에 형성되어 발판(2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환자가 보행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분석하여 환자가 올바른 보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발판(210)을 회동시켜 환자의 보행자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also analyzes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patient is walking through a pressure sensor (not shown) formed on the foot plate 210 to measur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plate 210, The foot plate 210 is rotated so as to be able to maintain the walking posture of the patient.

발판(2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으며 환자가 보행할 때 발판(210)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를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not shown) are disposed inside the footrest 210, and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footrest 210 when the patient is walking can be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도 4의 제어장치(120)는 환자가 발판(210)을 밟고 보행할 때 발생하는 하중 분포를 이용하여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제1회동장치(220)와 제2회동장치(230)를 이용하여 발판(210)을 회동시켜 균일한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of FIG. 4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devices 220 and 220 so that a load is not concentrated on a specific part by using a load distribution generated when the patient steps on the foot plate 210. Therefore, 230 may be used to rotate the foot plate 210 to receive a uniform load.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발판(210)이 도 12의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할 때 발판(2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발목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oot plate 210 can be kept horizontal when the foot plate 210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251 of FIG. 12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thereby controlling the patient's ankle so as not to be burdened.

도 11은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200)가 회동하며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in which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gait-and-rehabilitation device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1 turns and moves.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제어장치(120)(도 4 참조)는 설정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체간운동부(200)의 발판(210)이 이동되는 속도를 제어하거나 발판(210)의 회전량을 위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1, the control device 120 (see FIG. 4) of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speed at which the footrest 210 of the trunk movement part 200 is moved using the set program And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footrest 21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발판(210)은 가이드홈(251)에 구속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241)의 왕복운동에 의해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발판(210)이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서 발판(210)이 회동되어 실제 보행할 때 발생하는 발목운동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도록 도 4의 제어장치(120)가 제어하게 된다.The foot plate 210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251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rod 241 while being restrained by the guide groove 251. The foot plate 210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251, The control device 120 of FIG. 4 controls so that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ankle motion occurring when actually walking is obtained.

이때 도 4의 제어장치(120)는 발판(2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251) 내부에 다수의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발판(210)의 위치를 도 4의 제어장치(120)가 판단하게 되면 구간별로 발판(210)이 회동되도록 도 10의 제1회동장치(220)와 제2회동장치(230)를 구동시키게 된다.4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not shown)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251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foot plate 210, and a detection sensor (not shown) The controller 120 of FIG. 4 drives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devices 220 and 230 of FIG. 10 so that the footrest 210 is rotated on a segment-by-segment basis, .

또한 도 4의 제어장치(120)는 실린더(240)에 가해지는 유체의 입출력을 속도를 제어하여 발판(210)이 이동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보행 상태에 따라 보행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Also, the controller 120 of FIG. 4 can control the speed at which the footrest 210 is moved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input / output of the fluid applied to the cylinder 240, thereby slowing the walking speed according to the patient's walking state You can quickly adjust it.

도 12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체간운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unk motion part of the gait-and-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the severely disabled.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는 실린더(240)(도 11 참조)의 피스톤로드(241)의 운동에 의해 경로를 따라 발판(210)이 이동할 때 제2회동장치(230)에 형성된 제2회전축(232)이 피스톤로드(241)의 하중에 의해 축이 휘어지거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피스톤로드(241)가 베어링(234)과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2, the trunk movement part 200 of the gait restoring device for severely handicapped pers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oves along the path by the movement of the piston rod 241 of the cylinder 240 (see Fig. 11) The piston rod 241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bearing 234 so that the shaft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232 formed on the second rotating device 230 is not bent or damaged by the load of the piston rod 241. [ And the distance is formed to be close to each other.

피스톤로드(241)가 도 7과 같이, 제2회전축(232)에 결합될 때 베어랑과 거리가 이격된 상태인 경우 피스톤로드(241)가 제2회전축(232)을 밀거나 당길 때 제2회전축(232)의 끝단에 결합된 베어링(234)을 기준으로 모멘트가 발생하여 제2회전축(232)이 휘어져 손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7, when the piston rod 241 is separated from the bearing when the piston rod 241 is engaged with the second rotation shaft 232, when the piston rod 241 pushes or pulls the second rotation shaft 232, A moment is generated on the basis of the bearing 234 coupled to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232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232 is bent to cause damage.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로드(241)는 베어링(234)과 가까운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스톤로드(241) 및 도 11의 실린더(240)가 베어링(234)이 삽입된 도 7의 가이드판(250)에 간섭받지 않을 정도로 도 7의 가이드판(250)에 밀착되도록 하여 베어링(234)과의 이격되는 거리를 줄여야 한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iston rod 241 must be able to maintain a close distance from the bearing 234, and more preferably, the piston rod 241 and the cylinder 240 of FIG. 7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guide plate 250 of FIG. 7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guide plate 250 and the bearing 234 is reduced.

또한 피스톤로드(241)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제2회전모터(233)를 고정시키기 위해 피스톤로드(241)의 끝단에는 중공으로 형성된 연결구(236)가 형성되고, 연결구(236)의 일면에는 도 7의 가이드판(250) 내부에 형성된 베어링(234)과 결합되는 지지축(237)이 돌출되고, 연결구(236)의 타면에는 내부에 제2회전축(2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된 중공축(238)이 돌출되게 된다.A connection hole 23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iston rod 241 to fix the second rotation motor 233 as the position of the piston rod 241 is changed. A support shaft 237 coupled to a bearing 234 formed in the guide plate 250 of the first guide plate 250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late 250. A second hollow shaft The shaft 238 is projected.

중공축(238)의 끝단에는 제2회전모터(233)가 결합되어 제2회전축(232)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제2회전축(232)이 회전할 때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해 중공축(238)의 양 단에는 제2회전축(232)을 지지하도록 지지대(235)가 위치하게 된다.A second rotary motor 233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hollow shaft 238 to rotate the second rotary shaft 232. A hollow shaft 238 is provided to reduce frictional force when the second rotary shaft 232 rotates. The support shaft 235 is positioned so as to support the second rotation shaft 232 at both ends thereof.

피스톤로드(241)가 도 11의 실린더(24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 연결구(236)의 일면에 결합된 지지축(237)이 베어링(234)을 가압하여 베어링(234)이 도 11의 가이드홈(251)에 의해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연결구(236)가 중공축(238)에 결합된 제2회동장치(2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piston rod 241 is advanced or retracted by the cylinder 240 in Fig. 11, the support shaft 237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36 presses the bearing 234, The connection groove 236 can move the second pivoting device 230 coupled to the hollow shaft 238 because the guide groove 251 moves along the path.

또한 제2회동장치(230)가 발판(2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공축(238)의 상부면에는 제2회전축(232)과 결합되는 제2회동판(231)의 하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삽입홈(239)이 형성되게 된다.The second rotating plate 231 is coupled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23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shaft 238 so that the second rotating shaft 230 can rotate the foot plate 210 forward or backward. An insertion groove 239 is formed so that the lower portion can be rotated.

삽입홈(239)을 통해 제2회동판(231)의 하부가 중공축(238) 내부로 삽입되고 이후 중공축(238) 내부에 제2회전축(232)을 삽입시킴으로써 제2회동판(231)과 제2회전축(232)이 서로 연결이 가능하며 후 제2회전모터(233)의 회전력에 의해 제2회동판(23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otary plate 23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shaft 238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239 and then the second rotary shaft 232 is inserted into the hollow shaft 238, And the second rotary shaft 231 can be rotated forward or back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rotary motor 233. [

이때, 중공축(238)의 외면에서부터 내측으로 파여지는 삽입홈(239)의 깊이에 따라 제2회동판(231)이 물리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설정된 각도보다 제2회동판(231)이 더 많이 회동하게 되는 경우 삽입홈(239)에 걸리게 되어 재활훈련하는 환자의 발목이 다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pivoting plate 231 can be physically rotated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insertion groove 239 drawn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shaft 238, When the pivot plate 231 is rotated more, it is caught in the insertion groove 239,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nkle of the patient who undergoes the rehabilitation training from being injured.

도 13은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이송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nsfer unit 300 of the gait-and-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the severely handicapped.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이송부(300)의 이송판(310)은 위치제어가 가능한 이송모터(321)에 의해 프레임(100)의 후면에 진입한 휠체어의 상부로 이동되거나 체간운동부(200)(도1 참조)의 상부로 이송하면서 안전보호구(500)를 장착한 환자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3, the transfer plate 310 of the transfer unit 300 of the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ly handicapped pers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ransfer plate 310, And moves the patient wearing the safety protector 500 while being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wheelchair or to the upper part of the trunk movement part 200 (see FIG. 1).

이송부(300)는 이송판(310)을 프레임(1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장치(3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송장치(32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이송레일(324)과, 이송레일(324)을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하며 이송판(310)에 결합되는 이송블록(323)과, 이송판(310)의 하부 중앙에 결합되어 회전량에 따라 이송판(310)을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볼스크루(322)와, 볼스크루(322)에 회전력을 가하는 이송모터(321)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veying unit 300 includes a conveying unit 320 for moving the conveying plate 310 to the front or back of the frame 100. The conveying unit 320 includes a conveying rail A conveyance block 323 coupled to the conveyance plate 310 while sliding along the conveyance rail 324 and a conveyance block 323 coupl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conveyance plate 310, A ball screw 322 for moving the ball screw 3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feed motor 321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ball screw 322. [

이송판(310)의 하부에는 지지부(400)와 안전보호구(500)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00)의 후면에 형성된 경사로에 휠체어를 타고 환자가 진입하면 안전보호구(5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이송부(300)의 이송장치(320)가 작동되면서 이송판(310)을 프레임(100) 후면 방향으로 이동된다.Since the support part 400 and the safety protection part 500 ar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plate 310, the safety protection part 500 can be worn when the patient enters the wheelchair on the ramp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0 The transfer plate 310 of the transfer unit 300 is mov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frame 100 while the transfer unit 320 is operated.

환자가 안전보호구(500)를 착용할 때는 재활치료사나 의사의 도움을 통해 착용할 수 있으며 안전보호구(500)를 승강 시키는 장치를 형성시켜 환자가 스스로 착용한 후 승강장치에 의해 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atient wears the safety guard 500, it is possible to wear the safety guard 500 with the help of a rehabilitation therapist or a physician, and a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afety guard 500 is formed so that the patient can stand by himself / .

안전보호구(500)를 착용한 환자는 이송판(310)에 결합된 안전보호구(500)에 의해 매달리거나 기립된 상태가 되며 이송판(310)이 이송장치(320)에 의해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이동할 때 환자도 함께 이동될 수 있게 된다.The patient wearing the safety guard 500 is suspended or standing by the safety guard 500 attached to the conveyance plate 310 and the conveyance plate 310 is moved by the conveyance device 320 to the side of the frame 100 When moving to the front, the patient can also be moved together.

또한 안전보호구(500) 전면에 위치한 지지부(400)를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하여 이동 중에 몸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hold the support part 400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afety guard 500 by hand so as to prevent the user from swaying while moving.

이송장치(320)의 이송모터(321)는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서보모터로 형성되어 프레임(100)의 후면과 전면에 지정된 위치로 이송판(31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eed motor 321 of the feed device 320 is formed of a servo motor so that posi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feed plate 310 can be moved to a designated position on the rear face and front face of the frame 100.

도 14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지지부(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portion 400 of the gait-and-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the severely disabled.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지지부(400)는 이송판(310)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중공관으로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대(410)와, 각각의 높이조절대(410)의 하단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여 결합된 후 끝단이 가로지르도록 연결되어 환자가 손으로 잡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대(430)와, 이송판(310) 상부에 형성되어 높이조절대(410)의 높이를 모터 또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구동유닛(4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4, the support part 400 of the walking and rehabilitation device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conveyance plate 310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ollow tubes having different sizes, And a support 430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lower end of the respective height adjuster 410 so as to pass through the rear end of the height adjuster 410, And a drive unit 420 formed on the transfer plate 3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er 410 using a motor or a cylinder.

또한 지지부(400)는 환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높이를 조절하거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upporting part 400 can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patient, or adjust the position to the front or back.

높이조절대(410)는 중공관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송판(310)에서 멀어질수록 중관관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하여 크기가 작은 중공관이 크기가 큰 중공관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될 수 있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height adjuster 410 is formed of a hollow tube, and the size of the middle tube is gradually de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conveying plate 310 increases, so that the hollow tube having a small size can be inserted or protruded into a large- As shown in FIG.

즉,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중공관을 다단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길이를 연장하거나 줄일 수 있으며 높이조절대(410)의 끝단에는 이송판(310)의 상부에 형성된 구동유닛(420)과 연결된다.That is, a plurality of hollow tubes having different sizes may be connected in a multi-stage manner to thereby extend or reduce the length, and at the end of the height adjuster 410, the driving unit 420 formed on the conveyer plate 310 is connected.

구동유닛(420)의 동작에 의해 높이조절대(410)의 끝단을 이송판(310) 방향으로 상승시켜 크기가 큰 중공관 내부로 삽입되거나 도 4의 체간운동부(200) 방향으로 하강시켜 높이조절대(4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end of the height adjuster 410 is raised toward the conveying plate 310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20 to be inserted into a hollow tube having a large size or descended toward the trunk moving part 200 of FIG. The length of the stand 410 can be adjusted.

이때 구동유닛(420)은 모터 또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어 높이조절대(410)의 중공관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 와이어를 높이조절대(410) 끝단에 연결시킨 후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조절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driving unit 420 is composed of a motor or a cylinder, the hollow tube of the height adjuster 410 can be moved. When the motor is used,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eight adjuster 410, Or loosened.

또한 지지대(43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양 끝단이 이송판(3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높이조절대(410)의 전면에서 후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환자가 도 14의 체간운동부(200)를 통해 재활 훈련을 할 때 환자 전면에 위치한 지지대(430)를 손으로 잡아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tab 430 is formed in a " C "shape so that both ends of the support tab 430 ar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er 410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conveyor plate 310, 200), it is possible to hold the supporter 430 on the patient's front side by hand.

지지대(430)는 높이조절대(410)의 승강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고, 지지대(430)가 높이조절대(41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환자의 신체에 따라 지지대(4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height of the support table 430 can be adjusted by lifting the height adjuster 410 and the support table 430 can be moved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er 410. Therefore, 430 can be adjusted and used.

도 15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1)의 안전보호구(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afety guard 500 of the gait-and-rehabilitation apparatus 1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안전보호구(500)의 상부에는 탄성체(520)가 형성되어 있어 보행 중 균형을 잃고 넘어질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며 탄성체(520)를 교체하여 환자의 신체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5, an elastic body 520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safety guard 500 of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relieving an impact generated when a person loses balance during walking and falls The elastic body 520 can be replaced to adjust the tens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body.

안전보호구(500)는 환자의 상체를 감싸 착용할 수 있도록 보호조끼(540)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조끼(540)의 상부 양측에는 팔을 넣어 겨드랑이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팔지지끈(530)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조끼(540)의 하부 양측에는 다리를 넣어 사타구니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리지지끈(550)이 형성되어 있다.The safety guard 500 is formed of a protective vest 540 to be wrapped around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and a wrist strap 5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ve vest 540 to support the armpit And a leg-supporting strap 55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vest 540 so that the legs can be inserted to support the groin.

어깨근의 상부는 연결대(5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대(510)는 도 13의 이송판(310) 하부에 결합되게 되고 안전보호구(500)를 착용한 환자가 넘어지거나 쓰러질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연결대(510)의 중간에는 탄성체(520)가 위치하게 된다.The upper part of the shoulder muscle is formed with a connecting rod 510. The connecting rod 51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delivery plate 310 of Fig. 13, and the shock that occurs when the patient wearing the safety guard 500 falls or falls The elastic body 520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linkage 510 to relieve the elasticity.

탄성체(520)는 교체가 가능하여 환자의 몸무게에 따라 탄성력을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환자의 키에 따라 탄성체(520)의 길이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elastic body 520 can be replaced and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patient, and the length of the elastic body 52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atient.

보호조끼(540)의 전면에는 조절벨트(560)가 형성되어 있어 조끼를 상체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다리지지끈(550)에는 연결벨트(570)가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다리지지끈(550)에 다리를 넣은 후 다리지지끈(550)을 서로 연결시켜 다리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djustment belt 56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vest 540 so that the vest can be tightly fixed to the upper body and the connection belt 570 is formed on the leg support strap 550, It is preferable that the legs are supported on the straps 550 by connecting the leg-supporting straps 550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센서를 포함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는,In the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including the wearabl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환자의 체간을 들어 올린 상태로 환자를 미리 설정된 재활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환자가 착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3차원 위치정보를 토대로 환자의 행위인지 및 자세인지를 실시간으로 진행하여 보행재활훈련에 반영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move the patient to the predetermined rehabilitation position with the trunk of the patient lifted and to detect the behavior and attitude of the patient on the basis of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at least one wearable orientation bearing sensor worn by the patient And can be reflected in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in real time.

따라서 3차원적인 공간영상에 가상의 장애물을 회피하는 훈련까지 진행할 수 있으며, 가상의 장애물을 회피할 때의 환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체간 운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training to avoid a virtual obstacle in a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and to control the motion of the trunk motion part by sensing the posture of the patient when avoiding a virtual obstacl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 환자 자동 이송부
100 : 프레임 110 : 촬영장치
120 : 제어장치 130 : 출력장치
200 : 체간운동부 210 : 발판
220 : 제1회동장치 221 : 제1회동판
222 : 제1회전축 223 : 제1회전모터
230 : 제2회동장치 231 : 제2회동판
232 : 제2회전축 233 : 제2회전모터
234 : 베어링 235 : 지지대
236 : 연결구 237 : 지지축
238 : 중공축 239 : 삽입홈
240 : 실린더 241 : 피스톤로드
242 : 회동대 250 : 가이드판
251 : 가이드홈 300 : 이송부
310 : 이송판 320 : 이송장치
321 : 이송모터 322 : 볼스크루
323 : 이송블록 324 : 이송레일
400 : 지지부 410 : 높이조절대
420 : 구동유닛 430 : 지지대
500 : 안전보호구 510 : 연결대
520 : 탄성체 530 : 팔지지끈
540 : 보호조끼 550 : 다리지지끈
560 : 조절벨트 570 : 연결벨트
10: Patient automatic transfer section
100: frame 110: photographing apparatus
120: Control device 130: Output device
200: trunk movement part 210: scaffold
220: first rotating device 221: first copper plate
222: first rotating shaft 223: first rotating motor
230: second rotating device 231: second rotating plate
232: second rotation shaft 233: second rotation motor
234: Bearing 235: Support
236: Connector 237: Support shaft
238: hollow shaft 239: insertion groove
240: Cylinder 241: Piston rod
242: pivot table 250: guide plate
251: Guide groove 300:
310: transfer plate 320: transfer device
321: Feed motor 322: Ball screw
323: Transport block 324: Feed rail
400: Support part 410: Height adjuster
420: drive unit 430: support
500: safety shield 510: connecting rod
520: Elastic body 530:
540: Protective vest 550: Leg support strap
560: adjusting belt 570: connecting belt

Claims (5)

환자의 체간을 들어 올린 상태로 상기 환자를 미리 설정된 재활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환자 자동 이송부;
선택한 보행패턴에 따라 상기 재활위치에서 상기 환자가 발판을 밟으면서 보행재활훈련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체간 운동부;
선택된 보행패턴에 따라 상기 체간 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환자가 착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 또는 상기 환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3차원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환자의 행위인지 및 자세인지를 실시간으로 진행하여 보행재활훈련에 반영하는 제어장치; 및
라이더 또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3차원적으로 감지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각 환자의 보행재활훈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각 환자가 자신의 과거의 보행재활훈련 데이터를 참조하여 훈련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환자의 움직임의 특징을 토대로 상기 제어장치에서 선택된 환자가 정확한지를 재검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발판의 내부에는 다수의 압력센서가 배치되어 가해지는 하중분포를 측정함에 있어서, 각 위치에 대응하여 위험(RED), 정상(GREEN), 주의(BLUE) 상태의 컬러 그래픽으로 상기 제어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하중분포를 토대로 상기 발판을 회동시켜 발목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균일한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체간 운동부를 통해 상기 환자가 복수의 표준 움직임을 진행하도록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3차원적으로 감지한 후, 각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의 착용위치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A patient automatic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patient to a predetermined rehabilitation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patient's trunk is lifted;
A trunk exercise unit configured to be able to perform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while the patient is stepping on a foot on the rehabilita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gait patter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unk movement unit according to the selected gait pattern, wherein the at least one wearable orientation bearing sensor worn by the patient or the behavior recognition of the pati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held by the patient in real- And a control device for realizing the posture in real time and reflecting it in the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And
And a photographing device for three-dimensionall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patient using a rider or a radar sensor,
Wherein the control device stores data on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of each patient and provides information that each patient can set a training target value with reference to his past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To review whether the patient selected in the control device is correc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disposed in the foot plate to measure a load distribution applied thereto. In the color graphics of the RED, GREEN, and BLUE states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ankle by rotating the foot plate on the basis of the load distribution so as to receive a uniform load,
Wherein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patient so as to move a plurality of standard movements through the trunk movement part,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three-dimensionally detec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then the wear position of each wearable orientation sensor Wherein the walking and rehabilitation device for severely handicapped perso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comme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상기 체간 운동부를 이용하여 보행재활훈련을 진행할 때, 가상현실방식 및 증강현실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에게 3차원적인 공간영상을 제공하는 출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utput device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to the patient using any one of a virtual reality method and an augmented reality method when the patient performs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the trunk motion part,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for the handicapp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3차원적인 공간영상에 가상의 장애물이 증강현실방식을 통해 나타날 때, 상기 환자가 착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자세방위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3차원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환자의 행위를 인지하면서, 상기 체간 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device includes:
Recognizing the behavior of the patient on the basis of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at least one wearable orientation bearing sensor worn by the patient when a virtual obstacle appears on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the movement of the trunk movement part is controll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무릎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무릎 위치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환자의 무릎에 착용하여 무릎의 이동각도를 제한하는 무릎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무릎 가이드의 무릎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무릎의 이동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체간 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knee guide equipped with a knee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knee and restricting a movement angle of the knee by being worn on the knee of the patient,
Wherein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unk movement part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angle of the knee transmitted from the knee position detection sensor of the knee guide.
KR1020160134188A 2016-10-17 2016-10-17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a wearable sensor KR101912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88A KR101912343B1 (en) 2016-10-17 2016-10-17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a wearabl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88A KR101912343B1 (en) 2016-10-17 2016-10-17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a wearable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81A KR20180041881A (en) 2018-04-25
KR101912343B1 true KR101912343B1 (en) 2018-10-26

Family

ID=6208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188A KR101912343B1 (en) 2016-10-17 2016-10-17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a wearabl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34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0564B2 (en) * 2019-11-27 2022-08-30 Shanghai United Imaging Intelligence Co., Ltd. Personalized patient positioning, verification and treat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6709A (en) * 2019-04-23 2019-07-05 王盛 A kind of gait training equipment based on view ontology feedback
KR102263988B1 (en) * 2019-10-08 2021-06-1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2317401B1 (en) * 2019-10-24 2021-10-26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Patient weight burden reduction device of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WO2024053763A1 (en) * 2022-09-08 2024-03-14 비와일즈 주식회사 Active walking motion performance device for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61140A1 (en) * 2004-02-05 2005-08-18 Motorika Inc. Gait rehabilit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KR101327178B1 (en) 2011-05-20 2013-11-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330343B1 (en) * 2012-02-01 2013-11-1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A knee-orthosis to assist the gait by support the knee-joint
KR101593028B1 (en) * 2014-03-05 2016-02-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Gait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rotational three degree freedom and translation three degree freedo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0564B2 (en) * 2019-11-27 2022-08-30 Shanghai United Imaging Intelligence Co., Ltd. Personalized patient positioning, verification and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81A (en)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320B1 (en)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virtual reality platform
KR101912343B1 (en)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a wearable sensor
US6162151A (en) Ambulatory exercise machine and ambulatory exercise system
US8888723B2 (en) Gait rehabilit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US7322904B2 (en) Lower limb function training device
Veneman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the LOPES exoskeleton robot for interactive gait rehabilitation
EP1729858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raining
KR101384988B1 (en) System and method of robotic gait training
US20100152629A1 (en) Integrated system to assist in the rehabilitation and/or exercising of a single leg after stroke or other unilateral injury
CA252554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cutaneous sense stimulus
KR101289005B1 (en) Walking training apparatus
US7641591B2 (en) Lower limb function training device
US6805677B2 (en) Wheel-less walking support and rehabilitation device
TW201639533A (en) Interactive exoskeleton robotic knee system
CN103153254A (en) Exercise and gait-training apparatus
KR20180010838A (en) Training system for leg rehabilitation having saparated treadmil with ambulant staircase function
EP3558208B1 (en) Rehabilitation aid
KR101913187B1 (en) A walking aiding device for a hemiplegic pati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78086B1 (en)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KR101887878B1 (en)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KR100391830B1 (en) Welfare Robotic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for bipedal walking
Goher et al. Assistive devices for elderly mobility and rehabilitation: review and reflection
KR102263988B1 (en)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2531025B1 (en) a robot device of strengthening muscle rehabilitation exercise of upper and lower limbs
Cao et al. A sit-to-stand training robot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 dynamic analysis in lower limb rehabilitation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