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853B1 - 멀티-모드 통신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들 - Google Patents

멀티-모드 통신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853B1
KR101911853B1 KR1020177021814A KR20177021814A KR101911853B1 KR 101911853 B1 KR101911853 B1 KR 101911853B1 KR 1020177021814 A KR1020177021814 A KR 1020177021814A KR 20177021814 A KR20177021814 A KR 20177021814A KR 101911853 B1 KR101911853 B1 KR 101911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ransceiver
cellular network
networ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4456A (ko
Inventor
강가다르 부라
밀란 리
기리쉬 라젠드란
아누프 사브라
제레미 린
숨야 다스
봉영 송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의 일 양상이 개시된다. 장치는, 제어기, 제 1 트랜시버, 및 제 2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제 1 트랜시버는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하다. 제 2 트랜시버는, 제 1 모드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제 1 트랜시버와 함께 동작하고 제 2 모드에서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하다. 일 양상에서, 제 2 트랜시버는,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네트워크-계층 접속을 유지하면서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 자신의 무선 접속을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멀티-모드 통신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0001]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Case-Based Radio Platform for Wireless Network"로 2015년 2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14/615,348호의 이점을 주장하며, 그 특허 출원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된다.
[0002]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원격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통신 채널들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텔레포니(telephony),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과 같은 다양한 원격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중-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시스템들, 및 시분할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0004] 이들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도시 레벨, 국가 레벨, 지역 레벨, 및 심지어 글로벌 레벨 상에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원격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어 왔다. 신생(emerging) 원격통신 표준의 일 예는 롱텀 에볼루션(LTE)이다. LT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발표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모바일 표준에 대한 향상들의 세트이다. LTE는, 스펙트럼 효율도를 개선시키고, 비용들을 낮추고, 서비스들을 개선시키고, 새로운 스펙트럼을 이용하며, 다운링크(DL) 상에서는 OFDMA, 업링크(UL) 상에서는 SC-FDMA, 그리고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안테나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개방형(open) 표준들과 더 양호하게 통합함으로써 모바일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더 양호하게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0005] 기존의 무선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가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다수의 안테나들, 모뎀들, 및 프로세서들을 사용한다. 이들 프로토콜들 중 몇몇은, 예컨대,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한 음성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면서, 로컬-영역 네트워크(LAN)를 통한 데이터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안테나들, 모뎀들, 및 프로세서들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통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불필요한 컴포넌트들을 디바이스에 부가하는 것을 수반하며, 이는, 디바이스 내에서 귀중한 영역을 차지하고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한다.
[0006] 이들 이슈들에 기초하여,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효율적으로 핸들링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솔루션은, 디바이스 내에서 컴포넌트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그러한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점유된 물리적인 영역을 절약할 것이다.
[0007]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의 일 양상이 개시된다. 장치는, 제어기, 제 1 트랜시버, 및 제 2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제 1 트랜시버는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하다. 제 2 트랜시버는, 제 1 모드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제 1 트랜시버와 함께 동작하고 제 2 모드에서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하다. 일 양상에서, 제 2 트랜시버는,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네트워크-계층 접속을 유지하면서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 자신의 무선 접속을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0008] 무선 통신 방법의 일 양상이 개시된다. 방법은,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 1 트랜시버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제 1 트랜시버와 함께 제 1 모드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고 제 2 모드에서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 2 트랜시버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방법은 또한, 제 2 트랜시버를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 자신의 무선 접속을 이동시키고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네트워크-계층 접속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9]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의 일 양상이 개시된다. 장치는,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제 1 모드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트랜시버와 함께 동작하고 제 2 모드에서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수단은,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 무선 접속을 이동시키고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네트워크-계층 접속을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0010]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일 양상이 개시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코드는, 제 1 구성가능한 트랜시버가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코드는, 제 2 구성가능한 트랜시버가 제 1 구성가능한 트랜시버와 함께 제 1 모드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게 하고 제 2 모드에서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일 양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또한, 제 2 구성가능한 트랜시버가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스위칭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코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코드는,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 자신의 무선 접속을 이동시키기 위한 코드, 및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네트워크-계층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0011] 장치들 및 방법들의 다른 양상들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임을 이해하며, 장치들 및 방법들의 다양한 양상들은 예시로서 도시 및 설명된다. 인식될 바와 같이, 이들 양상들은 다른 및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그의 수 개의 세부사항들은 다양한 다른 관점들에서의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은 제한이 아니라 사실상 예시적인 것으로서 간주될 것이다.
[0012] 장치들 및 방법들의 다양한 양상들은 이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한이 아니라 예로서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될 것이다.
[0013] 도 1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0014] 도 2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0015] 도 3은 사용자 및 제어 평면들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0016] 도 4a는 연속적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타입 통신 채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0017] 도 4b는 비-연속적인 CA-타입 통신 채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0018] 도 5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 무선 로컬-영역 네트워크(WLAN)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0019] 도 6은 상이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과의 통신들을 스위칭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0020] 도 7은 무선 통신 채널에 대한 프레임 할당들의 예시적인 구성들을 예시한 표이다.
[0021] 도 8은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0022] 도 9는 무선 통신들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0023] 도 10은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0024] 도 11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튠-어웨이(tune-away) 동작의 일 예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0025] 다양한 개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 더 완전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은 당업자들에 의해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에 제시된 임의의 특정한 구조 또는 기능으로 제한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들 개념들은, 본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것이고 이들 개념들의 범위를 당업자들에게 완전히 전달할 것이도록 제공된다. 상세한 설명은 특정한 세부사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이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몇몇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026] 단어 "예시적인"은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또는 "예증적인"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반드시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유사하게, 장치 또는 방법의 용어 "실시예"는,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이 설명된 컴포넌트들, 구조, 특성들, 기능, 프로세스들, 장점들, 이점들, 또는 동작 모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0027] 이들 개념들은 이제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이들 장치 및 방법들은,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엘리먼트들에 의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첨부한 도면들에서 예시될 것이다. 이들 엘리먼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일부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엘리먼트들 및/또는 기능들과의 결합들로,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될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0028] 예로서,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일부,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결합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제어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컴포넌트,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컴포넌트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0029] 제어기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다른 용어로서 지칭되는지에 관계없이,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물들, 실행 스레드들, 절차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는 일시적인 또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도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예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k)),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정적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식 동적 RAM(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RAM(DD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가능 ROM(PROM), 소거가능한 P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PROM(EEPROM), 일반적인 레지스터, 또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비-일시적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30] 제어기 내의 다양한 상호접속들은 버스들 또는 단일 신호 라인들로서 도시될 수도 있다. 버스들 각각은 대안적으로 단일 신호 라인일 수도 있고, 단일 신호 라인들 각각은 대안적으로 버스들일 수도 있으며, 단일 라인 또는 버스는, 엘리먼트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다수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메커니즘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표현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버스들을 통해 제공된 신호들 중 임의의 신호는, 다른 신호들과 시간-멀티플렉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공통 버스들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0031] 도 1은 LTE 네트워크 아키텍처 내의 액세스 네트워크(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셀룰러 영역들(셀들)(102)로 분할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더 낮은-전력 클래스 eNB들(108)은, 셀들(102)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와 중첩하는 셀룰러 영역들(110)을 가질 수 있다. 더 낮은-전력 클래스 eNB(108)는 펨토 셀(예를 들어, 홈 eNB 또는 HeNB), 피코 셀, 마이크로 셀, 또는 원격 라디오 헤드(RRH)일 수도 있다. 매크로 eNB들(104)은 각각, 각각의 셀(102)에 할당되고, 셀들(102) 내의 모든 무선 디바이스들(106)에 대해 EPC(evolved packet core)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예의 액세스 네트워크(100)에는 중앙화된 제어기가 존재하지 않지만, 대안적인 구성들에서는 중앙화된 제어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eNB들(104)은, 라디오 베어러 제어, 승인 제어, 모빌리티 제어, 스케줄링, 보안, 및 서빙 게이트웨이로의 접속을 포함하는 모든 라디오-관련 기능들을 담당한다. eNB는 하나 또는 다수(예를 들어, 3개)의 셀들(또한, 섹터로 지칭됨)을 지원할 수 있다. 용어 "셀"은, eNB 및/또는 특정한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서브시스템의 가장 작은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용어들 "eNB", "기지국" 및 "셀"은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0032] 액세스 네트워크(100)에 의해 이용되는 변조 및 다중 액세스 방식은, 이용되고 있는 특정한 원격통신 표준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다. LTE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주파수-분할 듀플렉스(FDD) 및 시분할 듀플렉스(TDD) 둘 모두를 지원하기 위해,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FDM)이 DL 상에서 사용되고, SC-FDMA가 UL 상에서 사용된다. 당업자들이 후속할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LTE 애플리케이션들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은 다른 변조 및 다중 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하는 다른 원격통신 표준들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도 있다.
[0033] 예로서, 이들 개념들은 EV-DO(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UMB(Ultra-Mobile Broadband)로 확장될 수도 있다. EV-DO 및 UMB는, CDMA2000 표준군의 일부로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에 의해 발표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이며, 모바일 스테이션들에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CDMA를 이용한다. 이들 개념들은 또한, 광대역-CDMA(W-CDMA), 및 TD-SCDMA와 같은 CDMA의 다른 변형들을 이용하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TDMA를 이용하는 모바일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및 이벌브드 UTRA(E-UTRA), IEEE 502.11(Wi-Fi), IEEE 502.16(WiMAX), IEEE 502.20, 및 OFDMA를 이용하는 Flash-OFDM으로 확장될 수 있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GPP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GPP2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이용되는 실제 무선 통신 표준 및 다중 액세스 기술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할 것이다.
[0034] eNB들(104)은 MIMO 기술을 지원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MIMO 기술의 사용은 eNB들(104)이 공간 멀티플렉싱, 빔포밍, 및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도록 공간 도메인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공간 멀티플렉싱은,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동시에 데이터의 상이한 스트림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은,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도록 단일 무선 디바이스(106)에 또는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106)에 송신될 수 있다. 이것은,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precode)(즉, 진폭 및 위상의 스케일링을 적용)하고, 그 후, DL 상에서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각각의 공간적으로-프리코딩된 스트림을 송신함으로써 달성된다. 공간적으로-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은, 상이한 공간 서명들을 가지고 무선 디바이스(들)(206)에 도달하며, 이는 무선 디바이스(들)(206) 각각이 그 UE(206)에 대해 예정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복원할 수 있게 한다. UL 상에서,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206)는 공간적으로-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며, 이는 eNB(204)가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0035] 채널 상태들이 양호할 경우, 공간 멀티플렉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채널 상태들이 덜 양호한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방향들로 송신 에너지를 포커싱하기 위해 빔포밍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셀의 에지들에서 양호한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해, 단일 스트림 빔포밍 송신이 송신 다이버시티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0036]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양한 양상들이, DL 상에서 OFDM을 지원하는 MIMO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OFDM은, OFDM 심볼 내의 다수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해 데이터를 변조하는 확산-스펙트럼 기술이다. 서브캐리어들은 정확한 주파수들로 이격된다. 간격은, 수신기가 서브캐리어들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게 하는 "직교성(orthogonality)"을 제공한다. 시간 도메인에서, 가드 간격(예를 들어, 사이클릭 프리픽스)은 인터-OFDM-심볼 간섭에 대처하기 위해 각각의 OFDMA 심볼에 부가될 수 있다. UL은, 높은 피크-투-평균 전력 비(PAPR)를 보상하기 위해 DFT-확산 OFDM 신호의 형태로 SC-FDMA를 사용할 수 있다.
[0037] 도 2는 네트워크 아키텍처(2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LTE 네트워크 아키텍처(200)는 이벌브드 패킷 시스템(EPS)(200)으로 지칭될 수 있다. EPS(20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디바이스들(202), E-UTRAN(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204), 이벌브드 패킷 코어(EPC)(210), 및 오퍼레이터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서비스들(222)을 포함할 수 있다. EPS(200)는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상호접속할 수 있지만, 간략화를 위해, 그들 엔티티들/인터페이스들은 도시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EPS(200)는 패킷-교환 서비스들을 제공하지만,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회선-교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0038] E-UTRAN(204)은, eNB(206) 및 다른 eNB들(208)을 포함할 수 있으며, MCE(Multicast Coordination Entity)(228)를 포함할 수 있다. eNB(206)는 무선 디바이스(202)를 향한 사용자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termination)들을 제공한다. eNB(206)는 백홀(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을 통해 다른 eNB들(108)에 접속될 수 있다. MCE(228)는, 이벌브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eMBMS)에 대한 시간/주파수 라디오 리소스들을 할당하고, eMBMS에 대한 라디오 구성(예를 들어, 변조-및-코딩 방식[MCS])을 결정한다. MCE(228)는 별도의 엔티티 또는 eNB(206)의 일부일 수 있다. eNB(206)는 또한, 기지국, Node B,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0039] eNB(206)는 무선 디바이스(202)(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에 대해 EPC(210)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202)의 예들은: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폰, 랩탑,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태블릿,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당업자들에 의해, 모바일 스테이션,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 스테이션,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0040] eNB(206)는 EPC(210)에 접속된다. EPC(210)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212), 홈 가입자 서버(HSS)(220), 다른 MME들(214), 서빙 게이트웨이(216),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게이트웨이(224),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센터(BM-SC)(226),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게이트웨이(218)를 포함할 수 있다.
[0041] MME(212)는 무선 디바이스(202)와 EPC(210) 사이의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제어 노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MME(212)는 베어러(bearer) 및 접속 관리를 제공한다. 모든 사용자 IP 패킷들은 서빙 게이트웨이(216)를 통해 전달되며, 서빙 게이트웨이(216) 그 자체는 PDN 게이트웨이(218)에 접속된다. PDN 게이트웨이(218)는 무선 디바이스-IP 어드레스 할당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제공한다. PDN 게이트웨이(218) 및 BM-SC(226)는 IP 서비스들(222)에 접속된다. IP 서비스들(222)은 인터넷, 인트라넷,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PS 스트리밍 서비스(PSS), 및/또는 다른 IP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BM-SC(226)는 MBMS 사용자-서비스 프로비져닝(provisioning) 및 전달을 위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BM-SC(226)는 콘텐츠 제공자 MBMS 송신을 위한 엔트리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 있고, PLMN 내의 MBMS 베어러(bearer) 서비스들을 인가 및 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MBMS 송신들을 스케줄링 및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MBMS 게이트웨이(224)는, 특정한 서비스를 브로드캐스팅하는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영역에 속하는 eNB들(예를 들어, (106, 108))에 MBMS 트래픽을 분배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세션 관리(시작/중지)를 담당하고 eMBMS-관련 과금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0042] 도 3은 사용자 및 제어 평면들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무선 디바이스 및 eNB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3개의 계층들: 계층 1, 계층 2, 및 계층 3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계층 1(L1 계층)은 가장 낮은 계층이며, 다양한 물리-계층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L1 계층은 물리 계층(306)으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될 것이다. 계층 2(L2 계층)(308)는 물리 계층(306) 위에 있으며, 물리 계층(306)을 통한 무선 디바이스와 eNB 사이의 링크를 담당한다.
[0043] 사용자 평면에서, L2 계층(308)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서브계층(310), 라디오 링크 제어(RLC) 서브계층(312),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314) 서브계층을 포함하며, 이들은 네트워크 측 상의 eNB에서 종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측 상의 PDN 게이트웨이(218)에서 종단되는 네트워크 계층(예를 들어, IP 계층) 및 접속의 다른 단부(예를 들어, 원단(far-end) 무선 디바이스, 서버 등)에서 종단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하는 수 개의 상위 계층들을 L2 계층(308) 위에 가질 수 있다.
[0044] PDCP 서브계층(314)은 상이한 라디오 베어러들과 로직 채널들 사이에 멀티플렉싱을 제공할 수 있다. PDCP 서브계층(314)은 또한, 라디오-송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위-계층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헤더 압축, 데이터 패킷들을 암호화함으로써 보안, 및 eNB들 사이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RLC 서브계층(312)은 상위-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세그먼트화 및 리어셈블리, 손실된 데이터 패킷들의 재송신, 및 데이터 패킷들의 재순서화를 제공하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으로 인한 비순차적(out-of-order) 수신을 보상할 수 있다. MAC 서브계층(310)은 로직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에 멀티플렉싱을 제공할 수 있다. MAC 서브계층(310)은 또한, 하나의 셀의 다양한 라디오 리소스들(예를 들어, 리소스 블록들)을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에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AC 서브계층(310)은 또한, HARQ 동작들을 담당한다.
[0045] 제어 평면에서, 무선 디바이스 및 eNB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제어 평면에 대한 헤더 압축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물리 계층(306) 및 L2 계층(308)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어 평면은 또한, 계층 3(L3 계층)에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서브계층(316)을 포함한다. RRC 서브계층(316)은 라디오 리소스들(예를 들어, 라디오 베어러들)을 획득하는 것, 및 eNB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에서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하위 계층들을 구성하는 것을 담당한다.
[0046] 도 4a는 연속적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타입 통신 채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4b는 비-연속적인 CA-타입 통신 채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0047] 무선 디바이스들은, 각각의 방향에서의 송신을 위해 사용된 (5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사용하는) 총 100MHz까지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에 할당된 20MHz 대역폭들까지의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운링크보다는 업링크 상에서 더 적은 트래픽이 송신되므로, 업링크 스펙트럼 할당은 다운링크 할당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0MHz가 업링크에 할당되면, 다운링크는 100Mhz를 할당받을 수도 있다. 이들 비대칭적인 FDD 할당들은 스펙트럼을 보존하며, 브로드밴드 가입자들에 의한 통상적으로 비대칭인 대역폭 이용에 양호하게 적합하다.
[0048] 2개의 타입들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즉 연속적인 CA(도 4a) 및 비-연속적인 CA(도 4b)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다수의 이용가능한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주파수 대역을 따라 분리되는 경우, 비-연속 CA가 발생한다(도 4b). 대안적으로, 다수의 이용가능한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서로 인접한 경우, 연속적인 CA가 발생한다(도 4a). 비-연속적인 및 연속적인 CA 둘 모두는, 단일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하기 위해 다수의 LTE/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어그리게이팅한다.
[0049] 다수의 RF 수신 유닛들 및 다수의 FFT들은, 캐리어들이 주파수 대역을 따라 분리되기 때문에, 비-연속적인 CA를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비-연속적인 CA가 큰 주파수 범위에 걸친 다수의 분리된 캐리어들을 통한 데이터 송신들을 지원하므로, 전파 경로 손실, 도플러 시프트, 및 다른 라디오-채널 특징들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크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비-연속적인 CA 접근법 하에서의 브로드밴드 데이터 송신을 지원하기 위해, 방법들은, 상이한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코딩, 변조, 및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NB가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고정 송신 전력을 갖는 경우,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유효 커버리지 또는 지원가능한 변조 및 코딩이 상이할 수 있다.
[0050] 도 5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 무선 로컬-영역 네트워크(WLAN)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네트워크(500)는 도 1의 네트워크(100)와 유사하며, 셀들(502)로 분할되고 매크로 eNB들(504) 및 마이크로 eNB(508)에 의해 서비스되는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506)는 eNB의 셀 및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서비스 세트 내에 있을 수 있다.
[0051] 기본 서비스 세트(501)는 IEEE 502.11 네트워크와 같이 WLAN의 일부로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은, BLUETOOTH®(블루투스), HiperLAN(주로 유럽에서 사용되는, IEEE 502.11 표준들에 필적하는 무선 표준들의 세트), 및 광역 네트워크(WAN)들, WLAN들,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들, 또는 현재 알려져 있거나 추후에 개발되는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되는 다른 기술들을 예로서 포함하는 다양한 표준들 또는 프로토콜들을 이용하는 다른 네트워크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커버리지 범위 및 이용되는 무선 액세스 프로토콜들과 관계없이, 임의의 적절한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0052] 무선 네트워크는 임의의 수의 장치들을 지원할 수 있다. 장치는, IEEE 502.11-준수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스테이션(STA)과 같이,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무선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AP(511)는 일반적으로, 백홀 서비스들을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무선 디바이스(506)에 제공하는 고정형 단말이며; 그러나, AP(511)는 몇몇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이동형일 수 있다. AP는 또한, 기지국,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내의 무선 디바이스(506)는, 인터넷과 같은 패킷-기반 네트워크일 수 있는 네트워크(505)에 접속하기 위해 AP(511)의 백홀 서비스들을 이용한다.
[0053] 기본 서비스 세트(BSS)(501)는 AP(511) 및 무선 디바이스(506)를 포함한다. 간략화를 위해 무선 디바이스(506)만이 BSS(501)에 도시되지만, WLAN이 임의의 수의 무선 디바이스들(506)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AP(511)는 무선 링크(531)를 통한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506)에 대한 백홀 서비스들을 네트워크(505)에 제공한다. 무선 디바이스(506)는 캐리어-감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채널로의 액세스를 획득한다. 그러나, 당업자들이 인식할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개념들은, 사용된 프로토콜 또는 표준과 관계없이 임의의 적절한 장치에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BSS(501)는 AP(511) 및 AP(511)에 대한 기본 서비스 영역들(BSA) 내의 연관된 무선 디바이스(506)를 포함할 수 있다. BSS(501) 내에서, AP(511)는 무선 디바이스(521)를 제어하기 위한 마스터로서 작동할 수 있다. 각각의 BSS(501)는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BSSID)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BSSID는 각각의 AP(511)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어드레스일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BSS(501)의 BSA는 기지국(504)의 셀과 중첩할 수 있다.
[0054] 무선 디바이스(506)는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은: 무선 채널의 물리 및 전기 규격들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물리 계층, 무선 채널로의 액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링크 계층, 소스 투 목적지 데이터 전달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계층, 최종 사용자들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투명한 전달을 관리하기 위한 전송 계층, 및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설정 또는 지원하기 위해 필요하거나 바람직한 임의의 다른 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55] 무선 디바이스(506)는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수신, 및/또는 프로세싱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다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용어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 또는 수신된 음성,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및 모든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데이터"는, 예로서 AP(511)에 의해 송신된 비컨 프레임들에 포함된 정보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506)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및/또는 사용자가 무선 디바이스(506)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의 임의의 다른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56] AP(511)는, 각각의 연관된 무선 디바이스(506)가 링크(531)를 통해 네트워크(505)에 접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다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AP(511)는, 무선 디바이스(506)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것에 부가하여, 무선 디바이스(506)와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프레임들을 무선 디바이스(506)에 전송하고 무선 디바이스(506)로부터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있다.
[0057] AP(511)는, 무선 디바이스(506)가 AP(511)의 BSA 내에 있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506)와의 링크(531)를 설정할 수 있다. 링크(531)는, UL 및 DL 통신들 둘 모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AP(511)에 접속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506)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는, 먼저 AP(511)로 자신을 인증하고, 그 후, 자신을 AP(511)와 연관시킬 수 있다. 일단 연관되면, 링크(531)는 AP(511)와 무선 디바이스(506)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일단 링크가 설정되면, AP(511)는 직접 통신 채널을 통해 관리 프레임들 및 데이터 프레임들을 전송할 수 있다.
[0058] 도 6은 다중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하여 통신들을 설정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통신 시스템(600)은 복수의 노드들(611-615)을 사용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들(621-625)에 액세스하는 무선 디바이스(601)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601)는, 다양한 셀룰러 기지국들(611-613)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들(615)과의 통신 채널들(631-635)을 설정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603-605)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부가적인 통신 채널들을 설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기지국(611-613) 또는 액세스 포인트(615)와의 부가적인 통신 채널들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설정하거나 또는 FDD를 설정하기 위해 행해질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부가적인 노드들(611-615)과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부가적인 통신 채널들을 설정할 수 있다.
[0059] 무선 시스템(651, 653) 각각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 모바일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시스템, 롱텀 에볼루션(LTE) 시스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시스템, 또는 몇몇 다른 무선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CDMA 시스템은, 광대역 CDMA(WCDMA), CDMA 1X 또는 cdma2000, 시분할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 또는 몇몇 다른 버전의 CDMA를 구현할 수도 있다. TD-SCDMA는 또한,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시분할 듀플렉스(TDD) 1.28Mcps 옵션 또는 LCR(Low Chip Rate)로 지칭된다. LTE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및 시분할 듀플렉싱(TDD) 둘 모두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무선 시스템(651)은 GSM 시스템일 수도 있고, 무선 시스템(653)은 WCDMA 시스템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 시스템(651)은 LTE 시스템일 수도 있고, 무선 시스템(653)은 CDMA 시스템일 수도 있다.
[0060] 간략화를 위해, 통신 시스템(600)은, 하나의 기지국(611, 613)을 각각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들(651, 653)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무선 시스템(651, 653)은 임의의 수의 기지국들 및 임의의 세트의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651, 653)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기지국들(651, 653)은 또한, Node B, 이벌브드 Node B(eNodeB 또는eNB),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0061] 기지국들(611, 613)은, 그들 각각의 셀들 내의 무선 디바이스들과의 통신 링크들(631-633)을 설정하고, 네트워크들(621, 623)과의 접속들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623)와 같은 네트워크는 회선-교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623)는 공용 교환 전화기 네트워크(PSTN)와 같은 회선-교환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러한 예시들에서, 기지국(613)은, GSM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와 같은 회선-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601)-PSTN(623)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통신 링크(633)을 설정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기지국(611)은 셀룰러 LTE 아키텍처를 통해 IP 네트워크(621)로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셀룰러 LTE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IP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할 수 있다.
[0062]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가 LTE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IP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601)는, 무선 디바이스(601)와 IP 네트워크 사이의 대역폭이 증가되도록, LTE 기지국(들)(611-613)과 무선 디바이스(601) 사이에서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설정함으로써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기지국(611)과의 통신 채널들(631, 632)을 설정하기 위해 2개의 안테나들(603, 605)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기지국(613)이 셀룰러 LTE 아키텍처를 통해 IP 네트워크(623)로의 접속을 또한 제공하는 경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선 디바이스(601)는 기지국(613)과의 통신 채널(633)을 설정하기 위해 안테나(605)를 사용할 수 있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에 대한 접속들을 설정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601)는 1차 컴포넌트 캐리어(PCC) 및 2차 컴포넌트 캐리어(SCC)를 보유할 수 있다.
[0063] 유사하게, 액세스 포인트(AP)(615)는 컴퓨터 네트워킹 백홀을 통해 네트워크(625)로의 무선 디바이스(601)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AP(615)와의 통신 채널(635)을 설정하기 위해 안테나(605)를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AP(615)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과 다른 프로토콜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601)는, AP(615)와의 통신 링크(635)와 블루투스를 사용한 다른 디바이스와의 접속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해 TDD를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들(621, 623) 둘 모두는 IP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러한 예시들에서, IP 네트워크 내의 제 2 노드로의 UL 및 DL 통신들은, 데이터가 기지국(611) 및 AP(615) 둘 모두를 통해 전송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0064] 무선 디바이스(601)는 무선 시스템(100 및/또는 102)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601)는 또한,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134)과 같은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601)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들(GNSS)에서 위성(150)과 같은 위성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601)는 GSM, WCDMA, cdma2000, LTE, 및 802.11(예를 들어, a, b, ac, n) 등과 같은 무선 통신들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라디오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용어들 "라디오 기술", "라디오 액세스 기술", "에어 인터페이스", 및 "표준"은 이러한 설명 내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0065] 무선 디바이스(601)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무선 시스템에서 기지국(611, 613) 또는 액세스 포인트(615)와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611, 613) 또는 액세스 포인트(615)로부터 무선 디바이스(601)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는 반면,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무선 디바이스(601)로부터 기지국(611, 613) 또는 액세스 포인트(615)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통신 시스템(600)은 TDD 및/또는 FDD를 이용할 수도 있다. TDD에 대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동일한 주파수를 공유하며, 다운링크 송신들 및 업링크 송신들은 상이한 시간 기간들에서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FDD에 대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별개의 주파수들을 할당받으며; 다운링크 송신들은 하나의 주파수 상에서 전송될 수 있고, 업링크 송신들은 다른 주파수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TDD를 지원하는 몇몇 예시적인 라디오 기술들은 GSM, LTE, 및 TD-SCDMA를 포함한다. FDD를 지원하는 몇몇 예시적인 라디오 기술들은 WCDMA, cdma2000, 및 LTE를 포함한다.
[0066]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신 채널들(631-635) 상에서 데이터를 활성적으로 송신 및 수신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동작 모드들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601)는, SCC를 사용하기 위한 리소스들을 사용하고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여 기지국(예를 들어, eNB)(611)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LTE를 사용하는 제 1 모드를 갖는 한편, LTE 통신들을 위한 제 1 채널(예를 들어, PCC) 및 802.11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액세스 노드와의 통신들을 위한 제 2 채널을 사용하는 제 2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2개 또는 그 초과의 동작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동작 모드들 사이의 스위치는 사용자-정의된 선호도들에 기초하거나, 주기적이거나, 또는 네트워크 내의 조건들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601)는, WiFi 접속이 큰 파일 다운로드들을 위해 LTE 접속을 보완하는데 사용되도록 사용자 선호도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러한 예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LTE-단독 모드로부터 LTE 및 WiFi 접속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디바이스는 LTE 및 GSM 접속들을 사용하는 하나의 모드로부터 LTE 및 WiFi 접속들을 사용하는 제 2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도 12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동작 모드에 대해 설정될 수 있는 접속들의 타입은 무선 디바이스(601)에 포함된 TX 및 RX 체인들의 수에 기초할 수 있다.
[0067]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노드들(611-613)과의 접속들을 유지하면서 동작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601)는, PCC를 사용하기 위한 접속들을 유지하면서 SCC를 사용하는 것에 대응하는 리소스들을 릴리즈(release)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기지국(613)으로부터 AP(615)로의 튠-어웨이 동작(641)을 수행할 수 있어서, 기지국(613)과의 네트워크-레벨 접속을 유지하면서 기지국(613)과의 L2 접속을 임시로 차단시킨다. 튠-어웨이(641) 동안, 무선 디바이스(601)와 기지국(613) 사이의 데이터 통신들은 통신 채널(633)을 해체(tear down)하지 않으면서 중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디바이스는, 통신 채널(635)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했던 동작 모드로부터 통신 채널(633)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했던 동작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튠-어웨이 동작(643)을 수행할 수 있다.
[0068]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601)는, 통신 채널들(631, 633)을 사용하여 LTE를 통한 2X CA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601)는 또한, 통신 채널(635)을 사용하여 WiFi를 사용하는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면서 채널(631)을 사용하여 LTE를 통해 1X CA를 가능하게 하는 제 2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601)는, 통신 채널(633)이 열화된다는 것을 시그널링하는 L1 피드백일 수 있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를 생성함으로써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임시로 스위칭하도록 무선 튠-어웨이(WTA) 동작(641)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601)는, 채널의 실제 조건들과는 독립적으로 CQI를 생성하고 그것을 기지국(613)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논의될 바와 같이, 그러한 예시들에서, 제어기(859)는, 채널의 실제 조건들을 표시하는 CQI를 오버라이딩하는 CQI 램프 다운(ramp down) 표시(열화된 채널을 표시함)를 생성하기 위한 커맨드 신호들을 채널 추정기(856)에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열화된 CQI는 기지국(613)으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601)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중단하게 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디바이스(601)는, 설정된 채널 상에서의 통신들을 유지하는데 조건들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랭크 표시자(RI)를 사용할 수 있다.
[0069] 데이터 통신들이 채널(633) 상에서 중단되는 동안, 무선 디바이스(601)는 WTA 튠-어웨이 기간 동안, 자신이 데이터 통신들에 대해 활성이라는 표시를 AP(615)에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무선 디바이스(601) 및 AP(615)는 채널(635)을 통한 데이터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WTA 동작(641)에 대한 기간이 끝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는 다시 제 1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U-APSD(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과 같은 절전 모드(PSM) 표시를 AP(615)에 전송함으로써 채널(635)을 통한 통신들을 중단할 수 있으며; AP(615)는 무선 디바이스(601)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중단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AP(615)는, 그것이 무선 디바이스(601)로부터 다른 활성 통지를 수신할 때까지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WTA 동작(641)으로부터 다시 돌아올 경우, 채널이 데이터 통신들에 대해 준비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다른 CQI를 기지국(613)에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디바이스(601)는 채널이 통신들에 바람직한 조건들을 갖는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RI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601) 및 기지국(613)은 데이터 통신들의 교환을 재개할 수 있다.
[0070] 유사하게, 무선 디바이스는, 제 2 모드로 복귀하기 전에 공동(joint) LTE/WiFi 통신들의 제 2 모드로부터 2X LTE 통신들의 제 1 모드로 임시로 스위칭함으로써 LTE 튠-어웨이(LTA) 동작(643)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동작 모드들 및 튠-어웨이 방법들은, 무선 디바이스(601)에 의해 유지되는 설정된 접속들에 기초하여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공동 LTE/GSM 통신들의 모드로부터 공동 LTE/WiFi 통신들의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0071]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모드들 사이의 스위치들은 표시 메시지들을 전송하지 않으면서 행해질 수 있다. 그러한 예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주파수 대역들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TDD와 유사한 방식으로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그러한 예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트랜시버 내의 컴포넌트들에 부가하여 다른 컴포넌트들을 변경시키기 위해, 절약된 구성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0072] 도 7은 무선 통신 채널에 대한 프레임 할당들의 예시적인 구성들을 예시한 표이다. 무선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들은 각각의 업링크(UL), 다운링크(DL), 및 시그널링(S) 기간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구성 표(7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디바이스는 통신 채널을 통해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스케줄링된다. 예를 들어, LTE 통신들에 대해 채널(633)을 설정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601) 및 기지국(613)은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에서의 송신들을 위한 시간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UL/DL 구성들(UL/DL CFG)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은 상이한 스위치 주기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UL/DL 구성들 0-2 및 6은, 5ms의 스위치 주기를 갖는 반면, UL/DL 구성들 3-5은 10ms의 더 긴 스위치 주기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스위치 주기들이 UL/DL 구성에 대해 특정될 수 있다.
[0073]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선택된 UL/DL 구성에 기초하여 채널(633)로부터 튜닝-어웨이하기 위해 그 자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601)가 채널(633)을 통해 0 구성을 사용하여 eNB(61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는, 채널(635)과 같은 다른 채널에서 활성이도록, 스케줄링된 UL 프레임들(예를 들어, 서브프레임들 2-4 및 7-9) 동안 채널(633)로부터 튜닝-어웨이할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 디바이스는 AP(615)로부터 DL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예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DL 패킷 송신들을 일시정지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들을 eNB(613) 또는 AP(615)에 전송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0074]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채널에 대한 선택된 UL/DL 구성을 인터럽트하기 위해 표시 메시지들을 생성하고 그 메시지들을 기지국(613) 및/또는 AP(615)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601)는 마이크로 시간 프레임(예를 들어, 1-2ms), 짧은 시간 프레임(예를 들어, 20-50ms), 또는 긴 시간 프레임(예를 들어, 50ms보다 큼) 동안 하나의 채널로부터 튜닝-어웨이할 수 있다.
[0075]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채널의 조건들 또는 사용자-정의된 (예를 들어, 케이스-기반(case-based)) 조건들에 기초하여 활성 채널의 인터럽션(interruption)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그러한 예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는 데이터의 송신을 중단하기 위한 액세스 노드로의 표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601)는, DL 데이터 송신들을 중단하도록 eNB(613)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열화된 채널을 표시하는 eNB(613)로의 채널 품질 표시(CQI)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생성된 CQI는 채널의 실제 조건들에 기초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생성된 CQI는 채널의 실제 조건들에 기초하지 않으며; 오히려, 무선 디바이스(601)는, 무선 디바이스(601)가 어떠한 데이터 송신들도 미싱(miss)하지 않으면서 튜닝 어웨이할 수 있도록 데이터 송신들의 중단을 트리거링하기 위해서만 열화된 채널을 표시하는 CQI를 생성한다.
[0076] 도 8은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850)와 통신하는 eNB(810)를 예시한다. DL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상위-계층 패킷들은 데이터 소스/싱크(875)에 제공된다. 데이터 소스/싱크(875)는 L2 계층의 기능을 구현한다. DL에서, 데이터 소스/싱크(875)는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세그먼트화 및 재순서화, 로직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의 멀티플렉싱, 및 다양한 우선순위 메트릭들에 기초한 무선 디바이스(850)로의 라디오 리소스 할당들을 제공한다. 데이터 소스/싱크(875)는 또한, HARQ 동작들, 손실된 패킷들의 재송신, 및 무선 디바이스(850)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0077] 송신(TX) 프로세서(816)는 L1 계층(즉, 물리 계층)에 대한 다양한 신호-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은, 무선 디바이스(850)에서의 순방향 에러 정정(FEC)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및 다양한 변조 방식들(예를 들어, 바이너리 위상-시프트 키잉[BPSK],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QPSK], M-위상-시프트 키잉[M-PSK], M-직교 진폭 변조[M-QAM])에 기초한 신호 성상도(constellation)들로의 맵핑을 포함한다. 그 후, 코딩되고 변조된 심볼들은 병렬 스트림들로 분할된다. 그 후, 각각의 스트림은, OFDM 서브캐리어로 맵핑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준 신호(예를 들어, 파일럿)와 멀티플렉싱되며, 그 후,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되어, 시간-도메인 OFDM 심볼 스트림을 반송하는 물리 채널을 생성한다. OFDM 스트림은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다. 채널 추정기(874)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변조-및-코딩 방식(CMS)을 결정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공간 프로세싱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 추정치는, 기준 신호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850)에 의해 송신된 채널-조건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그 후,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별개의 트랜시버(818)를 통해 상이한 안테나(820)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트랜시버(818)는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도 있다.
[0078] 무선 디바이스(850)에서, 각각의 트랜시버(854)는 자신의 각각의 안테나(852)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RX)(854)는 RF 캐리어 상에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수신(RX) 프로세서(856)에 제공한다. RX 프로세서(856)는 L1 계층의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RX 프로세서(856)는 무선 디바이스(850)에 대해 예정된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원하도록 정보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이 무선 디바이스(850)에 대해 예정되면, 그들은 RX 프로세서(856)에 의해 단일 OFDM 심볼 스트림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 후, RX 프로세서(856)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을 사용하여 시간-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OFDM 심볼 스트림을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한 별개의 OFDM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의 심볼들, 및 기준 신호는 eNB(810)에 의해 송신된 가장 가능성있는 신호 성상도 포인트들을 결정함으로써 복원 및 복조된다. 이들 연판정들은, 채널 추정기(858)에 의해 계산된 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그 후, 연판정들은, 물리 채널 상에서 eNB(810)에 의해 본래 송신되었던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그 후,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데이터 싱크(862)에 제공된다.
[0079] 데이터 싱크(862)는 L2 계층을 구현한다. UL에서, 데이터 싱크(862)는, 전송 채널과 로직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암호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상위-계층 패킷들을 복원한다. 상위-계층 패킷들은, L2 계층 위의 모든 프로토콜 계층들을 표현하는 데이터 싱크(862)에 제공된다. 다양한 제어 신호들은 또한, L3 프로세싱을 위해 데이터 싱크(862)에 제공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싱크(862)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확인응답 및/또는 부정 확인응답(ACK/NACK) 프로토콜을 사용한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0080] UL에서, 데이터 소스(867)는 상위-계층 패킷들을 TX 프로세서(868)에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 소스(867)는, L2 계층 위의 모든 프로토콜 계층들을 나타낸다. eNB(810)에 의한 DL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과 유사하게, 데이터 소스(867)는,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세그먼트화 및 재순서화, 및 eNB(810)에 의한 라디오 리소스 할당들에 기초한 로직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의 멀티플렉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에 대해 L2 계층을 구현한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소스(867)는 또한, HARQ 동작들, 손실된 패킷들의 재송신, 및 eNB(810)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0081] 채널 추정기(858)는, 기준 신호로부터 채널 품질 표시자(CQI)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고, 계산된 CQI를 eNB(810)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eNB(810)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예를 들어, 채널-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또는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추정기(858)에 의해 도출된 CQI와 같은 채널 추정치들은, 피드백을 eNB(810)에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공간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변조-및-코딩 방식(MCS)을 선택하도록 TX 프로세서(868)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TX 프로세서(868)에 의해 생성된 공간 스트림들은 별개의 송신기들(TX)(854)을 통해 상이한 안테나(852)에 제공될 수 있다. 트랜시버(854)는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 있다.
[0082] UL 송신은, 무선 디바이스(850)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eNB(810)에서 프로세싱된다. 각각의 트랜시버(818)는 자신의 각각의 안테나(82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트랜시버(818)는 RF 캐리어 상에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RX 프로세서(870)에 제공한다. RX 프로세서(870)는 L1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0083] 데이터 소스/싱크(875)는 L2 계층을 구현한다. 데이터 소스/싱크(875)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876)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876)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 있다. UL에서, 데이터 소스/싱크(875)는, 전송 채널과 로직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암호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무선 디바이스(850)로부터의 상위계층 패킷들을 복원한다. 제어기(859)로부터의 상위-계층 패킷들은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소스/싱크(875)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ACK 및/또는 NACK 프로토콜을 사용한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0084] 제어기(859)는, 셀룰러 네트워크(651)로의 네트워크-계층 접속을 유지하면서 셀룰러 네트워크(651)로부터 액세스 포인트(615)로 무선 접속을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동작 모드로부터 제 2 동작 모드로 트랜시버(854)를 스위칭하기 위한 방식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제어기(859)는, 제 1 동작 모드로부터 제 2 동작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651)로의 송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채널 추정기(858)를 구성하기 위한 방식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제어기(859)는, 제 1 동작 모드에서 셀룰러 네트워크(651)를 통한 통신들 동안 임계 레벨의 대역폭 혼잡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동작 모드로부터 제 2 동작 모드로 트랜시버(854)를 스위칭하기 위한 방식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신호는 채널 품질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0085] 일 양상에서, 채널 추정기(858)는, 셀룰러 네트워크(651)로부터 송신된 기준 신호로부터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계산하고 계산된 채널 품질 표시자를 셀룰러 네트워크(651)에 제공하기 위한 방식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제어기(859)는, 제 1 동작 모드와 제 2 동작 모드 사이에서 트랜시버(854)를 스위칭하기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651)에 제공된 계산된 채널 품질 표시자를 오버라이딩하기 위한 방식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제어기(859)는, 제 2 동작 모드로부터 제 1 동작 모드로 트랜시버(854)를 스위칭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615)로의 송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식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신호는, 트랜시버(854)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표시를 액세스 포인트(615)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86] 제어기(859)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860) 및 메모리(860) 내의 프로그램들에 의해 제공된 명령들을 구현하는 프로세서(861)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860)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3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논의될 바와 같이, 메모리(860)는, 무선 디바이스(850)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동작 모드들에서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구조들 및/또는 모듈들(831-837)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작 모드들은, 무선 디바이스(850)가 네트워크과 접속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셀룰러 기지국들 및/또는 비-셀룰러 액세스 포인트들과의 무선 통신 채널들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제어기(859)는 메모리(86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들의 실행을 담당한다. 제어기(859)는 모듈들(831-837)을 포함하는 모듈들로부터 명령들을 로딩하고, 로컬 명령들에 따라 프로세스들을 실행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어기(859)는 무선 디바이스(850)에 대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도록 조정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87] 메모리(860)는, 임의의 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비휘발성 메모리 엘리먼트들)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제어기(859)에 의해 실행될 경우, 무선 디바이스(850)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메모리(860)는 접속 모듈(831), 튜닝 모듈(833), 트래픽 모듈(835), 및 메시징 모듈(837)을 포함한다.
[0088] 무선 디바이스(850)의 수 개의 실시예들은 접속 모듈(831), 튜닝 모듈(833), 트래픽 모듈(835), 및 메시징 모듈(837)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 모듈들(831-837) 모두는 무선 접속 및 튠-어웨이 알고리즘들의 다양한 양상들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링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 모듈들 중 하나가 인에이블링될 수도 있는 반면,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휴면으로 유지된다. 휴면인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예를 들어, 서비스들의 업그레이드를 구현하기 위해 현장 또는 공장에서 추후에 활성화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 모듈들 중 하나만이 메모리(860)로 로딩될 수 있다. 공장에서 메모리(860)로 로딩된 소프트웨어 모듈들(831-837)의 일부만을 갖는 무선 디바이스(850)의 경우에서, 무선 디바이스(850)는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을 이용하여 현장 또는 공장에서 추후에 프로그래밍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거나 또는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850)의 실제 구현은, 소비자 요구, 성능 파라미터들, 가격결정(pricing), 및 다른 관련 팩터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팩터들에 의존할 것이다.
[0089] 접속 모듈(831)은, 예를 들어, 제어기(859)가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통신들을 설정하기 위한 방식들에 대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예시들에서, 접속 모듈(831)은, 예를 들어, 제어기(859)가 eNB(810)와 UL 및 DL 채널들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접속 모듈(831)은 제어기(859)가 GSM과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패킷 코어를 통해 회선-교환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노드 B와 통신 채널들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예시들에서, 접속 모듈(831)은, 예를 들어, 제어기(859)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IP 네트워크와 통신 채널들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접속 모듈(831)은, 제어기(859)가 설정된 통신 채널 상에서의 데이터 전달을 중단 및/또는 재개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850)가 설정된 통신 채널로부터 튜닝 어웨이하고 있는 경우 또는 무선 디바이스(850)가 설정된 통신 채널로 튜닝하고 있는 경우 각각 발생할 수 있다.
[0090] 튜닝 모듈(833)은, 예를 들어, 제어기(859)가 복수의 설정된 통신 채널들 중 하나 상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850) 내의 컴포넌트들을 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튜닝 모듈(833)은 제어기(859)가,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송신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가 중단되거나 또는 활성이라는 수신 노드들에 대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튜닝 모듈(833)은 또한, 제어기(859)가 하나의 설정된 통신 채널로부터 다른 설정된 통신 채널로 튜닝 어웨이하기 위한 시간들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0091]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850)의 제어기(859)는, 기지국(613) 및 AP(615)와 통신 채널들(633, 635)을 각각 설정하기 위하여 접속 모듈(831)에 의해 제공된 명령들을 사용할 수 있다. 튠-어웨이 동작 동안, 제어기(859)는, 기지국(613)과의 채널(633)로부터 AP(615)와의 채널(635)로 활성 통신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튜닝 모듈(833)에 의해 제공된 명령들을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어기(859)는, 예를 들어, 열화된 CQI를 생성하기 위한 커맨드 신호들을 채널 추정기(858)에 전송하기 위하여 튜닝 모듈(833)에 의해 제공된 명령들을 사용하고, eNB(810)에 전송되는 CQI 램프-다운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메시징 모듈(837)에 의해 제공된 명령들을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어기(859)는 또한, 절전 모드(PSM) 활성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튜닝 모듈(833)에 의해 제공된 명령들을 사용하며, 무선 디바이스(850)가 채널(635)을 통해 데이터 통신들을 수신하도록 활성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AP(615)와 같은 AP로의 PSM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하여 메시징 모듈(837)에 의해 제공된 명령들을 사용할 수 있다.
[0092] 트래픽 모듈(835)은, 예를 들어, 제어기(859)가 설정된 통신 채널에서 트래픽 조건들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859)는 트래픽 모듈(835)로부터 로딩된 명령들을 사용하여, 채널 추정기(858)로부터 통신 채널의 특징들, 이를테면 혼잡 레벨들을 리트리브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트래픽 모듈(835)은 제어기(859)가 수용가능한 혼잡 조건들 또는 열화된 혼잡 조건들을 표시하는 CQI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어기(859)는 또한, 측정된 트래픽 조건들과 독립적인 CQI를 생성하기 위하여 튜닝 모듈(833)에 의해 제공된 명령들을 사용할 수 있다.
[0093] 메시징 모듈(837)은 제어기(859)가, 예를 들어, 프레임들, 데이터 패킷들, 또는 다른 패킷 형태들의 형태로 메시지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들을 트랜시버(854) 및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메시징 모듈(837)은 제어기(859)가 트랜시버(854)를 통하여 무선 디바이스(850)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 프레임, 또는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리트리브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0094]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850)는 트랜시버(854)를 통해 AP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 내의 데이터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징 모듈(837)은 데이터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오픈(open)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메시징 모듈(837)은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리트리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메시징 모듈(837)은, 데이터, CQI 램프-다운 표시(열화된 채널을 표시함), CQI 램프-업 표시(수용가능한 채널을 표시함), PS 모드 중단 표시, PS 모드 활성 표시자 등과 같은 정보를 메시지로 패키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메시징 모듈(837)은, 적용가능한 통신 채널에 대한 프레임 또는 다른 메시징 유닛에 메시지를 포함시킴으로써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PS 모드 중단 표시 및/또는 PS 모드 활성 표시는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고, 그 메시지는 차례로 데이터 프레임, 프로브 요청 프레임, 또는 작동 프레임에 포함된다. 그러한 예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850)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트랜시버들(854)을 통해 AP로 전송할 수 있다.
[0095] 도 9는 무선 디바이스(106, 202, 506, 601, 및/또는 850)와 같은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900)이다. 무선 디바이스는 트랜시버(922) 및 안테나(990)를 포함한다. 트랜시버(922)는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송신기(920) 및 수신기(950)를 포함한다. 송신기(920) 및/또는 수신기(950)는 수퍼-헤테로다인(super-heterodyne) 아키텍처 또는 직접-변환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수퍼-헤테로다인 아키텍처에서, 신호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에서 RF와 베이스밴드 사이에서, 예를 들어, 하나의 스테이지에서는 RF로부터 중간 주파수(IF)로 그리고 그 후에는 수신기에 대한 다른 스테이지에서 IF로부터 베이스밴드로 주파수 변환된다. 제로-IF 아키텍처로 또한 지칭되는 직접-변환 아키텍처에서, 신호는 하나의 스테이지에서 RF와 베이스밴드 사이에서 주파수 변환된다. 수퍼-헤테로다인 및 직접-변환 아키텍처들은 상이한 회로 블록들을 사용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요건들을 가질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설계에서, 송신기(920) 및 수신기(950)는 직접-변환 아키텍처로 구현된다.
[0096] 도 9는 무선 통신들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900)는 제 1 및/또는 제 2 모드로 동작하도록 독립적으로 송신기(920) 및/또는 수신기(950)를 구성할 수 있다. 송신 경로에서, 송신될 데이터는 디지털-투-아날로그 변환기(DAC)(930)에 제공될 수 있다. DAC(930)는 디지털 입력 신호를 아날로그 출력 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출력 신호는 송신(TX) 베이스밴드(저역-통과) 필터(932)에 제공되며, 그 필터는 DAC(930)에 의한 이전의 디지털-투-아날로그 변환에 의해 야기된 이미지들을 제거하기 위해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증폭기(amp)(934)는 TX 베이스밴드 필터(932)로부터의 신호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향-변환기(믹서)(936)는 증폭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하고, TX 로컬 발진기(LO) 신호 생성기(976)로부터 TX LO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향-변환기(936)는 TX LO 신호를 이용하여 증폭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상향-변환시키고, 상향-변환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필터(938)는 주파수 상향-변환에 의해 야기된 이미지들을 제거하기 위해, 상향-변환된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PA)(940)는,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을 획득하고 출력 RF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필터(938)로부터의 필터링된 RF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출력 RF 신호는 스위치/전단(964)을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0097] FDD에 대해, 송신기(920) 및 수신기(950)는, 송신기(920)에 대한 TX 필터 및 수신기(950)에 대한 수신기(RX) 필터를 포함할 수 있는 스위치/전단(964)에 커플링될 수 있다. TX 필터는, 송신 대역에서는 신호 컴포넌트들을 통과시키고 수신 대역에서는 신호 컴포넌트들을 감쇠시키기 위해 출력 RF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TDD에 대해, 송신기(920) 및 수신기(950)는 스위치/전단(964)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TDD에 대해, 스위치/전단(964)은 업링크 시간 간격들 동안 송신기(920)로부터 안테나(990)로 출력 RF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FDD 및 TDD 둘 모두에 대해, 스위치/전단(964)은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해 출력 RF 신호를 안테나(990)에 제공할 수 있다.
[0098] 수신 경로에서, 안테나(990)는, 기지국들, 액세스 포인트들, 및/또는 다른 송신기 스테이션들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RF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수신된 RF 신호는 스위치/전단(964)을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FDD에 대해, 스위치/전단(964) 내의 RX 필터는, 수신 대역에서는 신호 컴포넌트들을 통과시키고 송신 대역에서는 신호 컴포넌트들을 감쇠시키기 위해, 수신된 RF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TDD에 대해, 스위치/전단(964)은 다운링크 시간 간격들 동안 안테나(990)로부터 수신기(950)로, 수신된 RF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FDD 및 TDD 둘 모두에 대해, 스위치/전단(964)은 수신된 RF 신호를 수신기(950)에 제공할 수 있다.
[0099] 수신기(950) 내에서, 수신된 RF 신호는, 입력 RF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저잡음 증폭기(LNA)(952)에 의해 증폭되고, 필터(954)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하향-변환기(믹서)(956)는 입력 RF 신호를 수신하고, RX LO 신호 생성기(986)로부터 RX LO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하향-변환기(956)는 RX LO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 RF 신호를 하향-변환시키고, 하향-변환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하향-변환된 신호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증폭기(958)에 의해 증폭되고 RX 베이스밴드(저역-통과) 필터(960)에 의해 추가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아날로그 입력 신호는 아날로그 투 디지털 변환기(ADC)(962)에 제공된다. ADC(962)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디지털 출력 신호로 변환한다.
[00100] TX 주파수 합성기(970)는 TX 위상 동기 루프(phase-locked loop: PLL)(972) 및 전압 제어된 발진기(VCO)(974)를 포함할 수 있다. VCO(974)는 원하는 주파수로 TX VCO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X PLL(972)은 VCO(974)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TX VCO 신호에 대한 원하는 주파수를 획득하기 위해 VCO(974)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TX 주파수 합성기(970)는 TX VCO 신호를 TX LO 신호 생성기(976)에 제공한다. TX LO 신호 생성기(976)는 TX 주파수 합성기(970)로부터 수신된 TX VCO 신호에 기초하여 TX LO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0100] RX 주파수 합성기(980)는 RX PLL(982) 및 VCO(984)를 포함할 수 있다. VCO(984)는 원하는 주파수로 RX VCO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RX PLL(982)은 VCO(984)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RX VCO 신호에 대한 원하는 주파수를 획득하기 위해 VCO(984)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RX 주파수 합성기(980)는 RX VCO 신호를 RX LO 신호 생성기(986)에 제공한다. RX LO 신호 생성기(986)는 RX 주파수 합성기(980)로부터 수신된 RX VCO 신호에 기초하여 RX LO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0101] LO 신호 생성기들(976, 986)은 주파수 분할기들, 버퍼들 등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LO 신호 생성기들(976, 986)은, 그들이 TX 주파수 합성기(970) 및 RX 주파수 합성기(980)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주파수를 분할할 경우 주파수 분할기들로 지칭될 수 있다. PLL들(972, 982) 각각은 위상/주파수 검출기, 루프 필터, 전하 펌프, 주파수 분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VCO 신호 및 각각의 LO 신호는 특정한 기본 주파수를 갖는 주기적인 신호일 수 있다. LO 생성기들(976, 986)로부터의 TX LO 신호 및 RX LO 신호는 TDD에 대해서는 동일한 주파수를 갖고 또는 FDD에 대해서는 상이한 주파수들을 가질 수 있다. VCO들(974, 984)로부터의 TX VCO 신호 및 RX VCO 신호는 (예를 들어, TDD에 대해서는) 동일한 주파수 또는 (예를 들어, FDD 또는 TDD에 대해서는) 상이한 주파수들을 가질 수 있다.
[0102] 송신기(920) 및 수신기(950)에서의 신호들의 컨디셔닝은 증폭기, 필터, 상향-변환기, 하향-변환기 등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테이지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들 회로들은 도 9에 도시된 구성과는 상이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회로들이 또한, 송신기(920) 및 수신기(950)에서 신호들을 컨디셔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 매칭 회로들은, PA(940)의 출력에, LNA(952)의 입력에, 안테나(990)와 스위치/전단(964) 사이 등에 로케이팅될 수 있다. 도 9의 몇몇 회로들이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938) 및/또는 필터(954)가 생략될 수 있다. 트랜시버(922)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아날로그 집적 회로(IC)들, RF IC(RFIC)들, 믹싱된 신호 IC들 등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920) 내의 TX 베이스밴드 필터(932) 내지 PA(940), 수신기(950) 내의 LNA(952) 내지 RX 베이스밴드 필터(960), PLL들(972, 982), VCO들(974, 984), 및 LO 신호 생성기들(976, 986)이 RFIC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PA(940) 및 가능하게는 다른 회로들이 또한, 별개의 IC 또는 회로 모듈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0103] 도 10은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무선 디바이스(1000)는 무선 디바이스(106, 202, 506, 601, 850 및/또는 900)와 유사하며, 트랜시버들(1001, 1003), 스위치들/전단들(1007, 1009) 및 안테나들(1011-1015)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0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신 채널들 상에서의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TX 체인들 및 RX 체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트랜시버들(1001, 1003)을 사용할 수 있다. TX 체인들 및 RX 체인들은 각각, 블록도(900)의 TX 체인(920) 및 RX 체인(950)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트랜시버(1001)는 하나의 TX 체인(1021) 및 2개의 RX 체인들(1023, 1025)을 포함한다. 트랜시버(1003)는 2개의 TX 체인들(1031, 1035) 및 2개의 RX 체인들(1033, 1037)을 포함한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트랜시버들(1001, 1003)은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TX 체인들 및/또는 RX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0104] 트랜시버(1001)는 특정된 모드들로 동작하기 위하여 제어기(859)와 같은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할 수 있다. 트랜시버(1001)는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651)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식들을 제공하도록 제어기(859)에 의해 구성가능할 수 있다. 트랜시버(1003)는 특정 모드들로 동작하도록 제어기(859)에 의해 구성가능할 수 있다. 트랜시버(1003)는, 제 1 모드에서 셀룰러 네트워크(651)를 통한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트랜시버(1001)와 함께 동작하기 위한 방식들을 제공하도록 제어기(859)에 의해 구성가능할 수 있고, 제 2 모드에서 패킷-기반 네트워크(625)로의 액세스 포인트(615)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제어기(859)에 의해 구성가능할 수 있다.
[0105]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트랜시버들(1001, 1003)은 제 1 모드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651)를 통한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식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트랜시버(1003)는 제 3 모드에서 회선-교환 네트워크로의 셀룰러 네트워크(651)를 통한 제 3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식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06] 각각의 TX 체인 및/또는 RX 체인(1021-1025, 1031-1037)은, TX 및 RX 체인들에 접속된 각각의 신호 생성기들 및 분할기들을 구성하는 커맨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생성기들 및 분할기들은, 각각의 체인들이 적용가능한 주파수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X 체인(1031) 내의 믹서는, 채널(635)을 통해 AP(615)에 접속하는 경우 2.4GHz 또는 5GHz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TX 또는 RX 체인의 주파수는 통신 채널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경우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000)가 2.4GHz 주파수 대역에서 기지국(613) 및 AP(615)와의 접속들을 설정하는 경우, RX 체인(1031)은, 채널(635)을 사용하여 동작하기 위해 채널(633)으로부터 튜닝 어웨이하는 경우 주파수를 변경시킬 필요가 없다.
[0107]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1000)의 동작 모드는 트랜시버들(1001, 1003)에 포함된 TX 체인들 및 RX 체인들의 수에 기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000)는, 트랜시버들(1001, 1003)에서 모든 4개의 RX 체인들(1023, 1025, 1031, 1037)을 사용함으로써 LTE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2X CA를 가능하게 하는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RX 체인(1031) 및 TX 체인(1033)은, GSM 채널을 통한 통신들을 지원하는 하나의 모드와 상이한 채널을 통해 LTE를 지원하기 위한 스위치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4개의 이용가능한 RX 체인들을 사용하여 트랜시버들(1001, 1003)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모드들은, CA를 이용한 LTE(1x, 1.5x, 및 2x를 포함함), GSM, WiFi(2x2를 포함함), 1x1 DBS(direct broadcast satellite), 및 1x1 SBS에 대한 통신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동작 모드들은 모드의 타입(예를 들어, 수신 모드)에 기초하여 무선 트랜시버(1000)에 대해 구성될 수 있으며, 적용가능한 TX/RX 체인들의 수는, 일단 채널이 설정되면 그 채널 상에서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이용가능하다.
[0108] 도 11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튠-어웨이(tune-away) 동작의 일 예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8 및 도 10과 관련하여 더 이전에 설명된 제어기(859) 및 트랜시버들(1001, 1003)에 의해 구현된 알고리즘의 일 예를 제공한다. 방법(1000)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모드를 지원하면서 제 1 또는 제 2 모드들 중 하나에서 동작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무선 디바이스(106, 202, 506, 601, 850, 900 및/또는 1000)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컴포넌트들을 사용하거나, 또는 패킷 네트워크 또는 회선 교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위해 액세스 노드와의 통신들을 시그널링할 경우 방법(1100)을 수행할 수 있다.
[0109] 방법(1100)은 (1102) 및 (1104)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무선 디바이스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트랜시버로부터의 제 1 통신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850)는 셀룰러 기지국(611)과 제 1 통신 채널(631)을 설정하기 위해 트랜시버(854)를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트랜시버(854, 1001, 1003)는 기지국(611)과 통신들을 교환하기 위해 다수의 TX 및/또는 RX 체인들(1021-1025)을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기지국(611)은, 예를 들어, LTE 아키텍처를 통해 IP 네트워크(621)와 같은 패킷 네트워크에 통신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기지국(611)은, 예를 들어, GSM 아키텍처를 통해 회선-교환 네트워크에 통신들을 제공할 수 있다.
[0110] 제 1 통신들을 설정한 이후, 무선 디바이스는 (1106)에서, 제 2 트랜시버가 제 1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601, 850)는, 다수의 동작 모드들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가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무선 디바이스(601, 850)가 결정하는 경우, (1110)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기지국(611, 613)을 통한 트랜시버(1001, 1003)로부터 LTE 또는 GSM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통한 패킷-기반 네트워크 또는 회선-교환 네트워크로의 제 1 통신들을 설정한다. 대안적으로, 제 2 트랜시버가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무선 디바이스(601, 850)가 결정하는 경우(예를 들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2 트랜시버는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있음), (1108)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AP(615)를 통한 트랜시버(1001, 1003)로부터 네트워크 백홀을 통한 패킷 네트워크(625)로의 제 2 통신들을 설정한다.
[0111]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601, 850, 1000)는, 트랜시버(1001, 1003)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네트워크 또는 회선-교환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기지국(611 또는 613)과의 제 1 통신들을 설정하게 함으로써 제 1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디바이스(601, 850, 1000)는, 트랜시버(1001, 1003)가 백홀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네트워크(625)에 접속하도록 AP(615)와의 제 2 통신들을 설정하게 함으로써 제 2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106)에서, 제 2 트랜시버가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무선 디바이스(601, 850, 1000)가 결정하는 경우, (1110)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기지국(611 또는 613)으로의 채널(632 또는 633)을 설정한다. (1106)에서, 제 2 트랜시버가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무선 디바이스(601, 850, 1000)가 결정하는 경우, (1108)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AP(615)로의 채널(635)을 설정한다.
[0112] 이후에 (1112)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모드들을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601, 850, 1000)는 튠-어웨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모드들을 스위칭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어서, 제 1 채널로의 접속을 유지하면서, 하나의 채널 상의 활성 통신들로부터 다른 채널 상의 활성 통신들로 스위칭한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유지된 접속은 무선 디바이스와 활성 노드 사이의 네트워크-계층 접속이다. (1112)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모드들을 스위칭하지 않도록 결정하면, 방법(1100)은 (1114)에서 종료된다. 그렇지 않고, 무선 디바이스가 (1112)에서 모드들을 스위칭하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는, 그것이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스위칭할지(이 경우, 그것은 (1118 및 1108)에서 작동들을 수행함) 또는 그것이 제 2 모드로부터 제 1 모드로 스위칭할지 (이 경우, 그것은 (1120 및 1110)에서 작동들을 수행함) 여부를 결정한다.
[0113]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601, 850, 1000)는, 그것이 (1112)에서 모드들을 스위칭하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1116)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그것이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스위칭하고 있다고 결정한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의 스위치는, 채널(633) 상에서의 기지국(613)과의 통신으로부터 채널(635) 상에서의 AP(615)와의 통신으로 스위칭하는 WTA 튠-어웨이 동작일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 850, 1000)는 (1118)에서 선택적으로, 신호를 셀룰러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신호는, 무선 스테이션(601, 850, 1000)과 기지국(613) 사이의 열화된 채널을 표시하는 CQI 램프 다운 메시지와 같은 표시일 수 있다. 표시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에 선택적으로 전송한 이후, 무선 디바이스는 (1108)에서, AP(615)로의 채널(635) 상에서의 통신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114] 다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601, 850, 1000)는, 그것이 (1112)에서 모드들을 스위칭하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1116)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그것이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스위칭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한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 2 모드로부터 제 1 모드로의 스위치는, 채널(635) 상에서의 AP(615)와의 통신으로부터 채널(633) 상에서의 기지국(613)과의 통신으로 스위칭하는 LTA 튠-어웨이 동작일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601, 850, 1000)는 (1130)에서 선택적으로, 신호를 AP(615)에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신호는, 무선 스테이션(601, 850, 1000)이 PSM으로 진행하고 있고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PSM 중단 메시지와 같은 표시일 수 있다. 표시 메시지를 AP(615)에 선택적으로 전송한 이후, 무선 디바이스(601, 850, 1000)는 (1110)에서, 기지국(613)으로의 채널(633) 상에서의 통신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115]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들은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의 언어에 부합하는 완전한 범위를 부여할 것이다. 당업자들에게 알려졌거나 추후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떠한 것도, 그와 같은 개시가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인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공중에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어떤 청구항 엘리먼트도, 그 엘리먼트가 "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어구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거나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서는 그 엘리먼트가 "하는 단계"라는 어구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으면, 35 U.S.C.§112(f)의 규정들 하에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Claims (34)

  1.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어기;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한 제 1 트랜시버; 및
    제 2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랜시버는:
    제 1 모드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제 1 트랜시버와 함께 동작하고, 그리고
    제 2 모드에서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 트랜시버로 하여금 상기 제 2 모드로부터 상기 제 1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의 송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신호는, 상기 제 2 트랜시버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표시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네트워크-계층 접속을 유지하면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제 2 트랜시버의 무선 접속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상기 제 2 트랜시버를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시버 및 상기 제 2 트랜시버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여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추가적으로 구성가능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시버는, 제 3 모드에서 상기 회선-교환 네트워크로의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3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추가적으로 구성가능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 트랜시버로 하여금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송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채널 추정기를 구성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채널 품질 표시자 또는 랭크 표시자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기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계산된 채널 품질 표시자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에 제공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 2 트랜시버를 스위칭하기 위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상기 계산된 채널 품질 표시자를 오버라이딩(override)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8. 삭제
  9.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어기;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한 제 1 트랜시버; 및
    제 2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랜시버는:
    제 1 모드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제 1 트랜시버와 함께 동작하고, 그리고
    제 2 모드에서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모드에서의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 동안 임계 레벨의 대역폭 혼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상기 제 2 트랜시버를 스위칭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시버의 송신기 부분 또는 수신기 부분 중 오직 하나만이 상기 제어기에 의해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1.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 1 트랜시버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트랜시버와 함께 제 1 모드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그리고 제 2 모드에서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 2 트랜시버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모드로부터 상기 제 1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는, 상기 제 2 트랜시버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표시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제 2 트랜시버의 무선 접속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상기 제 2 트랜시버를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네트워크-계층 접속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시버 및 상기 제 2 트랜시버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여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제 3 모드에서 상기 회선-교환 네트워크로의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3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상기 제 2 트랜시버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시버로 하여금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송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채널 추정기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채널 품질 표시자 또는 랭크 표시자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채널 품질 표시자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 2 트랜시버를 스위칭하기 위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상기 계산된 채널 품질 표시자를 오버라이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삭제
  19.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 1 트랜시버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트랜시버와 함께 제 1 모드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그리고 제 2 모드에서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 2 트랜시버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모드에서의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 동안 임계 레벨의 대역폭 혼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상기 제 2 트랜시버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시버의 송신기 부분 또는 수신기 부분 중 오직 하나만이 상기 제 1 모드 및 상기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어기;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한 트랜시버; 및
    제 2 트랜시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트랜시버 수단은,
    제 1 모드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고; 그리고
    제 2 모드에서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 모드로부터 상기 제 1 모드로 상기 제 2 트랜시버 수단을 스위칭하는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의 송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신호는, 상기 제 2 트랜시버 수단이 절전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표시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네트워크-계층 접속을 유지하면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무선 접속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상기 제 2 트랜시버 수단을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시버 수단은, 상기 제 1 모드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여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시버 수단은, 제 3 모드에서 상기 회선-교환 네트워크로의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3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추가적으로 구성가능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 트랜시버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송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채널 추정기를 구성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6.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어기;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한 트랜시버; 및
    제 2 트랜시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트랜시버 수단은,
    제 1 모드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고; 그리고
    제 2 모드에서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해 구성가능하고,
    상기 제 2 트랜시버 수단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 2 트랜시버 수단을 스위칭하는 경우, 상기 계산된 채널 품질 표시자와는 상이한 제 2 채널 품질 표시자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에 제공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7. 삭제
  28.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실행가능 코드는,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 1 트랜시버를 구성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1 트랜시버와 함께 제 1 모드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고, 제 2 모드에서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 2 트랜시버를 구성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 2 모드로부터 상기 제 1 모드로 상기 제 2 트랜시버를 스위칭하는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의 송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는, 상기 제 2 트랜시버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표시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제 2 트랜시버의 무선 접속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스위칭하고, 그리고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네트워크-계층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실행가능 코드는, 상기 제 1 트랜시버 및 상기 제 2 트랜시버가 상기 제 1 모드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여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제 28 항에 있어서,
    제 3 모드에서 상기 회선-교환 네트워크로의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3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상기 제 2 트랜시버를 구성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모드로 상기 제 2 트랜시버를 스위칭하기 위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송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채널 추정기를 구성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3.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실행가능 코드는,
    패킷-기반 네트워크 및 회선-교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 1 트랜시버를 구성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1 트랜시버와 함께 제 1 모드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들을 지원하고, 제 2 모드에서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제 2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제 2 트랜시버를 구성하기 위한 코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계산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 2 트랜시버를 스위칭하는 경우, 상기 계산된 채널 품질 표시자와는 상이한 제 2 채널 품질 표시자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4. 삭제
KR1020177021814A 2015-02-05 2015-12-10 멀티-모드 통신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들 KR101911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15,348 US9554413B2 (en) 2015-02-05 2015-02-05 Case-based radio platform for wireless network
US14/615,348 2015-02-05
PCT/US2015/065078 WO2016126327A1 (en) 2015-02-05 2015-12-10 Method and apparatuses for multi-mode commun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456A KR20170094456A (ko) 2017-08-17
KR101911853B1 true KR101911853B1 (ko) 2018-10-25

Family

ID=5502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814A KR101911853B1 (ko) 2015-02-05 2015-12-10 멀티-모드 통신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54413B2 (ko)
EP (1) EP3254524B1 (ko)
JP (1) JP6401398B2 (ko)
KR (1) KR101911853B1 (ko)
CN (1) CN107210757B (ko)
WO (1) WO20161263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384A1 (en) * 2021-01-13 2022-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d switching gap operations by ue comprising plurality of sims in wireless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6010A1 (zh) * 2013-12-23 2015-07-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收发信机
US9781771B2 (en) * 2014-05-01 2017-10-03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ircuit
JP6745628B2 (ja) * 2016-03-31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69264B (zh) * 2018-03-27 2022-06-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从低制式网络返回高制式网络的方法和通信装置
US11106610B2 (en) * 2019-09-13 2021-08-31 Qualcomm Incorporated Seperation of low-power and high-speed analog front-end receivers
US11509521B2 (en) * 2020-02-03 2022-11-22 Fenix Group, Inc.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and network services in a self-contained unit
EP3917087B1 (en) * 2020-05-26 2023-04-19 Nxp B.V. Controller and transceiver
US20230396984A1 (en) * 2020-10-22 2023-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p configuration for u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s in wireless network
US11956685B2 (en) * 2021-11-17 2024-04-09 Cisco Technology, Inc. Son function for dynamically configured RU in multi-protocol ran
WO2023189178A1 (ja) * 2022-03-29 2023-10-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3168A1 (en) * 2012-05-08 2013-11-14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 to improve dynamic sharing of receive chain(s) among radio access technologi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7112A1 (en) * 2005-03-23 2006-09-28 Richard Mo System And Method For A Virtual Mobile Network
US8886261B2 (en) 2005-12-06 2014-11-11 Motorola Mobility Llc Multi-mode methods and devices utilizing battery power level for selection of the modes
US8929952B2 (en) * 2006-12-27 2015-01-06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5719039B2 (ja) 2011-02-09 2015-05-13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バージドコーディネータを備えた構成可能なアーキテクチャ
US20130265984A1 (en) 2011-03-07 2013-10-10 Honggang Li Grouped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US9271127B2 (en) * 2011-05-18 2016-02-23 Shanzhen Chen Automatic switching and failover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s and voice calls between cellular and IP networks
EP2716115A1 (en) 2011-06-02 2014-04-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inter-converged gateway (icgw) communications
US9042825B2 (en) * 2011-09-15 2015-05-26 Marvell World Trade Ltd. Wireless coexistence through antenna switching
EP2615764A3 (en) 2011-11-30 2014-04-09 Sequans Communications Limited Carrier aggregation aparatus
US9312888B2 (en) * 2012-06-29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interface circuits for carrier aggregation on multiple antennas
EP2717480B1 (en) 2012-10-05 2016-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transceiver having frequency synthesizer
US9467191B2 (en) * 2012-11-12 2016-10-11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interface circuits with quadplexers
IL224332A (en) * 2013-01-20 2016-09-29 Intucell Ltd A method and device for use to integrate the operation of cellular and wi-fi systems
US9686740B2 (en) * 2013-11-07 2017-06-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frequency selection in carrier aggregation enabled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3168A1 (en) * 2012-05-08 2013-11-14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 to improve dynamic sharing of receive chain(s) among radio access technolog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384A1 (en) * 2021-01-13 2022-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d switching gap operations by ue comprising plurality of sims in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10757A (zh) 2017-09-26
WO2016126327A1 (en) 2016-08-11
KR20170094456A (ko) 2017-08-17
EP3254524A1 (en) 2017-12-13
EP3254524B1 (en) 2022-05-25
CN107210757B (zh) 2019-12-17
US20160234876A1 (en) 2016-08-11
JP6401398B2 (ja) 2018-10-10
JP2018507637A (ja) 2018-03-15
US9554413B2 (en)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853B1 (ko) 멀티-모드 통신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들
US117000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training with relay links
US20240007258A1 (en) Methods and arrangments for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EP3095271B1 (en) Techniques for switching bearers between radio access technologies (rats)
CN114467321B (zh) 管理msim并发活动
JP6591388B2 (ja) 休止セルのためのアクティベーションプロシージャ
US11133910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wide bandwidth communications
JP2019024218A (ja) 休止セル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609613B2 (en) UE network mobility during IMS
KR102263052B1 (ko) 256qam을 지원하는 수신기에서의 동적 snr 조정
CN109644404B (zh) 用于蜂窝小区非连续传输(dtx)调度的方法和装置
US9119074B2 (en) Uplink downlink resource partitions in access point design
JP2015527774A (ja) マルチsimユーザ機器における動的なマルチオペレータ選択
WO2024092378A1 (en)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with action time introduction
WO2024044930A1 (en) Data transmission on a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device based on data path link met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