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665B1 -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665B1
KR101911665B1 KR1020180037874A KR20180037874A KR101911665B1 KR 101911665 B1 KR101911665 B1 KR 101911665B1 KR 1020180037874 A KR1020180037874 A KR 1020180037874A KR 20180037874 A KR20180037874 A KR 20180037874A KR 101911665 B1 KR101911665 B1 KR 101911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information
price
retai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석
Original Assignee
김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석 filed Critical 김강석
Priority to KR102018003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육류 소매점별 일정 기간 단위로 판매되는 육류의 종류, 수량 및 판매가격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소매점에서 육류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고, 수입 통관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소매점에서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육류의 단가를 낮추어서 육류 소매업자의 단말로 육류 종류 및 단가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육류 소매업자에게 좋은 가격에 육류를 공급할 수 있고, 육류가 필요한 시기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육류 소매업자는 손님들에게 좋은 수입육을 좋은 가격에 판매하게 됨으로써, 매출의 증가로 이어지고 해당 육류 수입업자에게 지속적인 육류의 공급을 요청하게 되는 선순환 구조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MEAT PRICE ADJUSTMENT AND SALES PROMOTION SYSTEM THROUGH ANALYSIS OF MEAT CONSUMPTION AND CLEARANCE CAPACITY}
본 발명은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류 소매점에서 육류가 소진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에 육류의 통관량과 육류 수입업자가 육류 창고에 보관 중인 육류의 유통기한 등을 고려하여 해당 육류 소매점에 합리적인 가격으로 육류를 공급하여 육류의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는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입육 물량의 흐름은 가격, 품목, 시기에 따라 다양하게 움직이고 있으며, 여기서 많은 이익을 얻는 회사와 손해를 보는 회사가 생기게 되고 유통경로가 복잡해서 최종 소비자 가격이 올라가게 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육류 수입업자는 판매망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합리적이고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수입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으며 안정적인 수익이 보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육류 수입업자는 수입육을 대형 육류 냉동창고에 보관하는데 소매상에게 공급할 육류의 종류와 위치를 육류 냉동창고 내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하고, 거래하는 소매상이 육류를 필요로 하는 시기에 경쟁관계에 있는 수입업자들보다 저렴하고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소매상에 합리적이고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공급하고 소비자 역시 합리적인 가격에 육류를 맛볼 수가 있어 소매상의 매출은 늘어나게 되며 소매상은 해당 수입업자에게 육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줄 것을 요청하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육류 수입업자와 소매상 간에 합리적인 가격에 육류의 거래가 가능하고, 소매업자가 육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시기에 좋은 가격으로 수입육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시급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59023호(육류지수를 통한 온라인 경매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각 육류 소매점별 일정 기간 단위로 판매되는 육류의 종류, 수량 및 판매가격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소매점에서 육류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고, 수입 통관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소매점에서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육류의 단가를 낮추어서 육류 소매업자의 단말로 육류 종류 및 단가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육류 소매업자에게 좋은 가격에 육류를 공급할 수 있고, 육류가 필요한 시기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육류 소매업자에게 제공한 육류의 종류, 단가 정보, 해당 육류를 필요로 하는 육류 소매점의 위치 및 연락처 정보와 해당 육류가 대형 육류 냉동창고 중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위치정보를 육류 수입업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육류 수입업자는 해당 육류 소매업자가 필요로 하는 육류가 여러 개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 중 어느 창고에 있고, 해당 육류 냉동창고 내에서는 어디에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는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류 소매점에 구비되는 POS 단말기; 상기 POS 단말기에 구비되어 육류 소매점에서 판매되는 육류 종류, 수량 그리고 판매가격 정보를 일정 기간 마다 하기의 육류 분석서버에 전송하는 육류정보 전송부; 육류 소매업자 단말; 육류 수입업자 단말; 복수의 육류 수입업체의 수입 육류를 보관하고, 사람 및 육류 운반차량의 출입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 수입되는 육류의 종류별 수입 통관량 정보를 가지고 있는 통관량 DB; 상기 육류 냉동창고에 보관하고 있는 육류의 종류, 수량, 판매단가 및 유통기한 정보와 하나 이상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 중 어느 창고에 저장되어 있고, 해당 육류 냉동창고 내에서는 어디에 있는지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육류정보 DB - 육류 종류 별 평균 판매단가와 각 육류 소매점별 육류의 종류에 따른 판매단가 정보가 각각 저장되어 있음 -; 및 상기 육류정보 전송부에서 수신한 육류 소매점별 일정 기간 마다 판매되는 육류 종류, 수량 및 판매가격 정보를 저장하며, 각 육류 소매점별 일정 기간 단위로 판매되는 육류의 종류, 수량 및 판매가격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소매점에서 육류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고, 상기 통관량 DB의 수입 통관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소매점에서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육류의 단가를 낮추어 상기 육류정보 DB에 수정 반영하고, 상기 육류 소매업자의 단말로 육류 종류 및 단가 정보를 전송하고,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육류 종류, 단가 정보, 해당 육류를 필요로 하는 육류 소매점의 위치 및 연락처 정보와 상기 육류정보 DB를 참고하여 해당 육류가 하나 이상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 중 어느 대형 육류 냉동창고에 저장되어 있고, 대형 육류 냉동창고 내에서는 어느 위치에 있는지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육류 분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각 육류 소매점에 육류를 공급한 시점, 공급량, 육류의 종류, 유통기한 및 해당 육류 소매점의 주소와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육류 소매업체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육류 분석서버는, 각 육류 소매점별 일정 기간 단위로 판매되는 육류의 종류, 수량 및 판매가격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소매점에서 해당 종류의 육류가 언제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지 판단하는 소진시기 분석부; 상기 통관량 DB의 수입 통관량 증감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소진시기 분석부가 판단한 육류 소매점의 육류 소진 예상 시기에 통관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육류 소매점에서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 육류의 단가를 일정 비율 낮추어 상기 육류정보 DB의 해당 육류 소매점의 육류 판매단가에 수정 반영하는 육류단가 조정부; 상기 육류 소매업자의 단말로 상기 육류단가 조정부가 수정 반영한 육류 종류 및 단가 정보를 전송하는 소매업자 전송부; 및 상기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상기 육류단가 조정부가 수정 반영한 육류 종류, 단가 정보와 상기 육류 소매업체 DB를 참고하여 해당 육류 소매점의 위치 및 연락처 정보를 전송하는 수입업자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육류단가 조정부는, 육류 소진 예상 시기에 통관량이 증가하는 정도와 상기 육류정보 DB를 참고하여 육류 냉동창고에 저장된 해당 육류의 유통기한 경과 정도 그리고 보관수량을 고려하여 육류 판매단가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입업자 전송부는, 상기 육류단가 조정부가 수정 반영한 육류가 하나 이상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 중 어느 냉동창고에 있고, 해당하는 냉동창고 내에서는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상기 육류정보 DB에서 검색하여 해당 정보를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류 소매업자 단말로부터 육류 구입의사를 접수하면, 구입의사를 전송한 육류 소매점들의 주소를 상기 육류 소매업체 DB에서 검색하여 인접한 지역에 있거나 상기 대형 육류 냉동창고로부터 같은 이동 동선상에 위치한 육류 소매점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육류 배송업체 취합부; 및 상기 육류 배송업체 취합부가 전송한 육류 소매점들이 구입하려는 육류의 위치를 상기 육류정보 DB에서 검색하여 어느 대형 육류 냉동창고에 있는지 그리고 해당 대형 육류 냉동창고 내에서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하여 상기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육류위치 파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육류 배송업체 취합부가 취합한 육류 소매점의 육류 구입량에 적합한 배송차량을 결정하여 상기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차량 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육류 소매점에서 일정 기간 단위로 판매되는 육류의 종류, 수량 및 판매가격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소매점에서 육류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시점, 즉 육류가 소진될 것으로 보이는 시점을 예상하고, 수입 통관량의 증감 정도에 따라 해당 소매점에서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육류의 단가를 조정하여 육류 소매업자의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육류 수입업자는 합리적이고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육류를 공급할 수가 있다.
결국, 육류 소매업자는 손님들에게 좋은 수입육을 좋은 가격에 판매하게 됨으로써, 매출의 증가로 이어지고 해당 육류 수입업자에게 지속적인 육류의 공급을 요청하게 되는 선순환 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육류 수입업자는 육류 소매업자에게 공급할 육류가 여러 개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 중 어느 창고에 있는지 그리고 해당 육류 냉동창고 내에서는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가 있어, 냉동창고에서 육류를 빠른 시간에 손쉽게 준비하여 배송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을 구성하는 육류 소매점 POS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을 구성하는 육류 분석서버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1000)은 육류 소매점에 구비되는 POS 단말기(100), 육류 소매업자 단말(150), 육류 수입업자 단말(200), 대형 육류 냉동창고(300), 통관량 DB(410), 육류정보 DB(420), 육류 소매업체 DB(430) 및 육류 분석서버(500)를 포함한다.
POS 단말기(100)는 육류정보 전송부(110)를 구비하며, 육류 분석서버(500)는 소진시기 분석부(510), 육류단가 조정부(520), 소매업자 전송부(530), 수입업자 전송부(540), 육류 배송업체 취합부(550), 육류위치 파악부(560) 및 차량 결정부(570)를 구비할 수 있다.
POS(Point of Sale) 단말기(100)는 육류 소매점에서 판매되는 육류의 매상금액을 정산하고, 판매되는 육류의 종류, 수량, 판매가격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한다.
육류정보 전송부(110)는 POS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육류 소매점에서 판매되는 육류 종류, 수량 그리고 판매가격 정보를 일정 기간 마다 하기의 육류 분석서버(500)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A육류 소매점에서 판매되는 목살, 삼겹살의 수량 그리고 목살, 삼겹살의 판매가격을 일주일 간격으로 수집하여 육류 분석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대형 육류 냉동창고(300)는 복수의 육류 수입업체의 수입 육류를 보관하고, 사람 및 육류 운반차량의 출입이 가능한 냉동창고이다. 대형 육류 냉동창고(300)는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으며, 하나의 냉동창고(310)에는 여러 육류 수입업체의 수입육이 보관될 수 있으며, 육류 수입업체의 수입육은 육류 수입시기와 수입육의 수량 등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여러 개의 대형 냉동창고(310, 320, 330)에 분산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통관량 DB(410)는 수입되는 육류의 종류별 수입 통관량 정보를 가지고 있다. 통관량 DB(410)는 관세청의 정보를 일정 주기로 가져와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육류정보 DB(420)는 육류 냉동창고(300)에 보관하고 있는 육류의 종류, 수량, 판매단가 및 유통기한 정보와 하나 이상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310, 320, 330) 중 어느 창고에 저장되어 있고, 해당 육류 냉동창고 내에서는 어디에 있는지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육류정보 DB(420)는 B육류 수입업체가 보관 중인 삼겹살 또는 목살의 수량, 판매단가 및 유통기한과 삼겹살 또는 목살이 여러 개의 육류 냉동창고(310, 320, 330) 중 냉동창고1(310)에 저장하고 있는지 또는 냉동창고2(320)에 저장하고 있는지, 냉동창고1(310) 또는 냉동창고2(320) 안에서는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육류정보 DB(420)는 육류 종류 별 평균 판매단가와 각 육류 소매점별 육류의 종류에 따른 판매단가 정보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육류정보 DB(420)는 돼지고기의 경우 목살, 삼겹살 별로 kg 당 평균적인 판매단가를 저장하고, 각 육류 소매점별로 목살, 삼겹살 별로 목살, 삼겹살 별로 kg 당 판매단가 정보를 가지고 있다.
육류 분석서버(500)는 육류정보 전송부(110)에서 수신한 육류 소매점별 일정 기간 마다 판매되는 육류 종류, 수량 및 판매가격 정보를 저장하며, 각 육류 소매점별 일정 기간 단위로 판매되는 육류의 종류, 수량 및 판매가격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소매점에서 육류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고, 통관량 DB(410)의 수입 통관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소매점에서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육류의 단가를 낮추어 육류정보 DB(420)에 수정 반영한다.
육류 분석서버(500)는 B육류 수입업체가 A육류 소매점에 지금까지 공급한 육류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A육류 소매점에서 일정 기간 단위로 판매되는 목살 및 삼겹살의 수량을 분석하면 A육류 소매점에서 목살이 언제 소진될 것인지 그리고 삼겹살이 언제 소진될 것인지에 대해서 예측이 가능하다.
그리고 통관량 DB(410)를 검색한 결과 목살 또는 삼겹살이 소진될 시점에 미국과 유럽에서 목살 및 삽겹살의 수입량이 증가하면, 공급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A육류 소매점에서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목살 및 삼겹살의 kg 당 판매단가를 낮추어 육류정보 DB(420)에 반영하는 것이다. 각 육류 소매점 별로 목살 및 삽겹살이 소진되는 시기는 다르고, 그 시기에 수입 통관량은 서로 다를 수가 있기 때문에 육류정보 DB(420)에 수정 반영되는 각 육류 소매점별 목살 및 삼겹살의 kg 당 판매단가는 약간씩 다를 수가 있다.
물론, 목살 및 삽겹살의 수입량이 감소하거나 증가하지 않으면 목살 및 삼겹살의 kg 당 판매단가를 약간 높이거나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육류 분석서버(500)는 육류 소매업자의 단말(150)로 육류 종류 및 단가 정보를 전송하고,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200)로 육류 종류, 단가 정보, 해당 육류를 필요로 하는 육류 소매점의 위치 및 연락처 정보와 육류정보 DB(420)를 참고하여 해당 육류가 하나 이상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300) 중 어느 대형 육류 냉동창고에 저장되어 있고, 대형 육류 냉동창고(300) 내에서는 어느 위치에 있는지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관량의 증가 정도를 바탕으로 육류의 단가를 조정한 다음, A육류 소매업자의 단말(150)로 삼겹살 및 목살의 판매단가를 전송한다. 통관량이 증가할 때 A육류 소매업자는 2개월 전보다 삽겹살 및 목살을 저렴한 가격에 공급받을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보다 좋은 가격에 고기를 판매할 수가 있기 때문에 매출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B육류 수입업자의 단말(200)에는 삼겹살 및 목살의 판매단가, 해당 육류를 필요로 하는 A육류 소매점의 주소 및 연락처를 전송하고, 육류정보 DB(420)를 검색하여 삼겹살 및 목살이 여러 개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300) 중 어느 대형 육류 냉동창고에 저장되어 있는지, 만약 냉동창고2(320)에 저장되어 있다면, 냉동창고2(320) 안에서는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육류 소매업체 DB(430)는 육류 수입업체가 각 육류 소매점에 육류를 공급한 시점, 공급량, 육류의 종류, 유통기한 및 해당 육류 소매점의 주소와 연락처 정보를 저장한다.
육류 분석서버(5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소진시기 분석부(510)는 각 육류 소매점별 일정 기간 단위로 판매되는 육류의 종류, 수량 및 판매가격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소매점에서 해당 종류의 육류가 언제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A육류 소매점에 삽겹살이 300kg 공급되었는데, A육류 소매점에서 3일 단위로 판매되는 삼겹살의 양을 분석 결과 60kg 씩 판매가 되고 있다면 A육류 소매점에서 15일 후에는 삼겹살이 소진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육류단가 조정부(520)는 통관량 DB(410)의 수입 통관량 증감 정도를 분석하여 소진시기 분석부(510)가 판단한 육류 소매점의 육류 소진 예상 시기에 통관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육류 소매점에서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 육류의 단가를 일정 비율 낮추어 육류정보 DB(420)의 해당 육류 소매점의 육류 판매단가에 수정 반영한다.
예를 들어, 육류 소진 예상 시기 2주 이전에 통관량이 기존보다 20%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A육류 소매점에서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 삼겹살의 기존 공급단가에서 통관량의 증가 정도인 20%에 가중치 0.3를 곱한 만큼을 빼는 방식으로 육류 판매단가를 수정할 수 있다.
- A육류 소매점의 기존 삼겹살 공급단가 = kg 당 7,000원
- A육류 소매점의 삽겹살 수정단가 = 7000 - 0.2 * 0.3 * 7000 = 6,580원
즉, 기존 판매단가가 7,000원이라고 하면 육류정보 DB(420)에 A육류 소매점의 판매단가를 6,580원으로 수정하여 반영한다.
육류단가 조정부(520)는 통관량 DB(410)의 수입 통관량 증감 정도를 분석하여 소진시기 분석부(510)가 판단한 육류 소매점의 육류 소진 예상 시기에 통관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육류 소매점에서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 육류의 단가를 일정 비율 높여서 육류정보 DB(420)의 해당 육류 소매점의 육류 판매단가에 수정 반영한다. 물론, 단가를 높이더라도 다른 육류 수입업체들과 비교하여 가격 경쟁력이 있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반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육류 소진 예상 시기 2주 이전에 통관량이 기존보다 1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A육류 소매점에서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 삼겹살의 기존 공급단가에서 통관량의 감소 정도인 10%에 가중치 0.3를 곱한 만큼을 더하는 방식으로 육류 판매단가를 수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가격 인상분이 육류 소매업자 입장에서는 부담되고 육류 수입업자도 타 육류 수입업자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없을 수가 있기 때문에 통관량의 감소 정도인 10%에 가중치 0.3를 곱한 것을 25% 할인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육류 판매단가를 수정한다.
- A육류 소매점의 기존 삼겹살 공급단가 = kg 당 7,000원
- A육류 소매점의 삽겹살 수정단가 = 7000 + 0.1 * 0.3 * 0.75 * 7000 = 7,157원
즉, 기존 판매단가가 7,000원이라고 하면 육류정보 DB(420)에 A육류 소매점의 판매단가를 7,157원으로 수정하여 반영한다.
육류단가 조정부(520)는 육류 소진 예상 시기에 통관량이 증가하는 정도와 육류정보 DB(420)를 참고하여 육류 냉동창고(300)에 저장된 해당 육류의 유통기한 경과 정도 그리고 보관수량을 고려하여 육류 판매단가를 수정한다.
예를 들어, 삼겹살 소진 예상 시기에 통관량이 기존보다 20% 이상 증가하고, 육류 냉동창고(300)에 저장된 삼겹살의 유통기한이 3주 정도 밖에 안남았고, 보관 중인 삼겹살의 수량이 800kg이라고 하면, 수입육이 증가하는데다가 냉동창고(300)에는 유통기한이 얼마 안남은 삽겹살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가격을 더욱 낮춰서 저렴한 가격에 빨리 판매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남은 유통기한 1주 당 100원을 할인하고, 보관수량 100kg 당 100원을 할인하여 가격을 더욱 낮추는 것이다.
A육류 소매점에서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 삼겹살의 기존 공급단가에서 통관량의 증가 정도인 20%에 가중치 0.3을 곱하고, 여기에 남은 유통기한 3주에 해당하는 300원과 남은 삼겹살의 수량 800kg에 해당하는 800원을 할인한다.
- A육류 소매점의 기존 삼겹살 공급단가 = kg 당 7,000원
- A육류 소매점의 삽겹살 수정단가 = 7000 - 0.2 * 0.3 * 7000 - 300 - 800 = 5,480원
즉, 기존 판매단가가 7,000원이라고 하면 육류정보 DB(420)에 A육류 소매점의 판매단가를 5,480원으로 수정하여 반영한다. 유통기한이 얼마 안남고 냉동창고(300)에 보관 중인 수량이 많기 때문에 가격을 더욱 낮추는 것이다.
소매업자 전송부(530)는 육류 소매업자의 단말(150)로 육류단가 조정부(520)가 수정 반영한 육류 종류 및 단가 정보를 전송한다.
위의 예에서 본 바와 같이 육류단가 조정부(520)가 수정한 삼겹살 및 수정 단가를 전송하는 것이다. 육류 소매업자는 수정된 가격을 받음으로써, 신속하게 구매의사를 전송하여 저렴한 가격에 삼겹살을 대량 확보할 수가 있다.
수입업자 전송부(540)는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200)로 육류단가 조정부(520)가 수정 반영한 육류 종류, 단가 정보와 육류 소매업체 DB(430)를 참고하여 해당 육류 소매점의 위치 및 연락처 정보를 전송한다.
위의 예에서 본 바와 같이 육류단가 조정부(520)가 수정한 삼겹살 및 수정 단가와 A육류 소매점의 주소 및 소매점주의 연락처를 전송하는 것이다.
수입업자 전송부(540)는 육류단가 조정부(520)가 수정 반영한 육류가 하나 이상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300) 중 어느 냉동창고에 있고, 해당하는 냉동창고 내에서는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육류정보 DB(420)에서 검색하여 해당 정보를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200)로 전송한다.
육류단가 조정부(520)가 수정 반영한 삼겹살이 대형 육류 냉동창고(300) 중 어느 냉동창고에 보관 중인지, 대형 육류 냉동창고3(330)에 보관 중이라면, 냉동창고3(330) 내에서는 어느 블록에 있는지, 해당하는 블록에 있는 팔렛트의 몇 번째 단에 있는지 등의 구체적인 위치를 전송한다. 육류 수입업자는 삼겹살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 배송시간 및 작업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육류 배송업체 취합부(550)는 육류 소매업자 단말(150)로부터 육류 구입의사를 접수하면, 구입의사를 전송한 육류 소매점들의 주소를 육류 소매업체 DB(430)에서 검색하여 인접한 지역에 있거나 대형 육류 냉동창고(300)로부터 같은 이동 동선상에 위치한 육류 소매점의 정보를 파악하여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200)로 전송한다.
구입의사를 전송한 육류 소매점들은 여러 업체가 있을 수 있으며, 여러 업체들의 주소를 육류 소매업체 DB(430)에서 검색하여 같은 지역에 있거나, 냉동창고로부터 같은 이동 선상에 위치한 육류 소매점의 정보를 파악하여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육류위치 파악부(560)는 육류 배송업체 취합부(550)가 전송한 육류 소매점들이 구입하려는 육류의 위치를 육류정보 DB(420)에서 검색하여 어느 대형 육류 냉동창고(300)에 있는지 그리고 해당 대형 육류 냉동창고(300) 내에서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하여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200)로 전송한다.
육류 소매점들이 구입하려는 삼겹살 및 목살의 위치를 육류정보 DB(420)에서 검색하여 냉동창고2(320)에 있는지, 아니면 냉동창고1(310)과 냉동창고3(330)에 있는지 파악하여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같은 지역에 있거나 같은 이동 선상에 있는 육류 소매업체들을 기준으로, 해당 육류 소매업체들이 원하는 삽겹살 및 목살이 여러 대형 냉동창고(300) 중 어디에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가 있어, 육류 수입업자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가 있다.
차량 결정부(570)는 육류 배송업체 취합부(550)가 취합한 육류 소매점의 육류 구입량에 적합한 배송차량을 결정하여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200)로 전송한다.
육류 배송업체 취합부(550)가 취합한 같은 지역 또는 같은 이동 선상에 있는 육류 소매점들의 삼겹살 및 목살 구입량에 적합한 배송차량이 1톤 짜리인지, 2톤 짜리 인지를 결정하여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수입업자가 어느 배송차량을 가지고 배송을 하는 것이 적합한지를 쉽게 결정해 줄 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유류비도 절감할 수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육류 소매점 POS 단말기
110 : 육류정보 전송부
150 : 육류 소매업자 단말
200 : 육류 수입업자 단말
300 : 대형 육류 냉동창고
410 : 통관량 DB
420 : 육류정보 DB
430 : 육류 소매업체 DB
500 : 육류 분석서버
510 : 소진시기 분석부
520 : 육류단가 조정부
530 : 소매업자 전송부
540 : 수입업자 전송부
550 : 육류 배송업체 취합부
560 : 육류위치 파악부
570 : 차량 결정부
1000 :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

Claims (6)

  1. 육류 소매점에 구비되는 POS 단말기;
    상기 POS 단말기에 구비되어 육류 소매점에서 판매되는 육류 종류, 수량 그리고 판매가격 정보를 일정 기간 마다 하기의 육류 분석서버에 전송하는 육류정보 전송부;
    육류 소매업자 단말;
    육류 수입업자 단말;
    복수의 육류 수입업체의 수입 육류를 보관하고, 사람 및 육류 운반차량의 출입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
    수입되는 육류의 종류별 수입 통관량 정보를 가지고 있는 통관량 DB;
    상기 육류 냉동창고에 보관하고 있는 육류의 종류, 수량, 판매단가 및 유통기한 정보와 하나 이상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 중 어느 창고에 저장되어 있고, 해당 육류 냉동창고 내에서는 어디에 있는지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육류정보 DB - 육류 종류 별 평균 판매단가와 각 육류 소매점별 육류의 종류에 따른 판매단가 정보가 각각 저장되어 있음 -; 및
    상기 육류정보 전송부에서 수신한 육류 소매점별 일정 기간 마다 판매되는 육류 종류, 수량 및 판매가격 정보를 저장하며, 각 육류 소매점별 일정 기간 단위로 판매되는 육류의 종류, 수량 및 판매가격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소매점에서 육류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고, 상기 통관량 DB의 수입 통관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소매점에서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육류의 단가를 낮추어 상기 육류정보 DB에 수정 반영하고, 상기 육류 소매업자의 단말로 육류 종류 및 단가 정보를 전송하고,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육류 종류, 단가 정보, 해당 육류를 필요로 하는 육류 소매점의 위치 및 연락처 정보와 상기 육류정보 DB를 참고하여 해당 육류가 하나 이상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 중 어느 대형 육류 냉동창고에 저장되어 있고, 대형 육류 냉동창고 내에서는 어느 위치에 있는지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육류 분석서버;를 포함하되,
    각 육류 소매점에 육류를 공급한 시점, 공급량, 육류의 종류, 유통기한 및 해당 육류 소매점의 주소와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육류 소매업체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육류 분석서버는,
    각 육류 소매점별 일정 기간 단위로 판매되는 육류의 종류, 수량 및 판매가격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소매점에서 해당 종류의 육류가 언제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지 판단하는 소진시기 분석부;
    상기 통관량 DB의 수입 통관량 증감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소진시기 분석부가 판단한 육류 소매점의 육류 소진 예상 시기에 통관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육류 소매점에서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 육류의 단가를 일정 비율 낮추어 상기 육류정보 DB의 해당 육류 소매점의 육류 판매단가에 수정 반영하는 육류단가 조정부 - 상기 소진시기 분석부가 판단한 각 육류 소매점의 육류 소진 예상 시기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각 육류 소매점 별 육류 소진 예상 시기에 통관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하는 육류 소매점의 기존 육류 공급단가에서 통관량의 증가 정도에 가중치를 곱한 만큼을 빼는 방식으로 육류 판매단가를 수정하여 반영하고, 상기 소진시기 분석부가 판단한 각 육류 소매점 별 육류 소진 예상 시기에 통관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하는 육류 소매점의 기존 육류 공급단가에서 통관량의 감소 정도에 가중치를 곱한 만큼을 더하는 방식으로 육류 판매단가를 수정하여 반영하되, 통관량의 감소 정도에 가중치를 곱한 것을 일정 비율 할인하여 육류 판매단가를 수정하여 반영함 -;
    상기 육류 소매업자의 단말로 상기 육류단가 조정부가 수정 반영한 육류 종류 및 단가 정보를 전송하는 소매업자 전송부 - 상기 육류단가 조정부가 수정 반영한 각 육류 소매업자 별 단가 정보는 각 육류 소매점의 육류 소진 예상 시기와 해당하는 육류 소진 예상 시기에 통관량의 증감 정도에 따라 서로 다름 -; 및
    상기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상기 육류단가 조정부가 수정 반영한 육류 종류, 단가 정보와 상기 육류 소매업체 DB를 참고하여 해당 육류 소매점의 위치 및 연락처 정보를 전송하는 수입업자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육류단가 조정부는 각 육류 소매점 별 육류 소진 예상 시기에 통관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하는 육류 소매점의 기존 육류 공급단가에서 통관량의 증가 정도에 가중치를 곱한 만큼을 빼고, 상기 육류정보 DB를 참고하여 육류 냉동창고에 저장된 해당 육류의 남은 유통기한에 해당하는 할인금액과 보관수량에 해당하는 할인금액을 추가로 빼는 방식으로 육류 판매단가를 수정하여 반영하고,
    상기 육류 소매업자 단말로부터 육류 구입의사를 접수하면, 구입의사를 전송한 육류 소매점들의 주소를 상기 육류 소매업체 DB에서 검색하여 인접한 지역에 있거나 상기 대형 육류 냉동창고로부터 같은 이동 동선상에 위치한 육류 소매점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육류 배송업체 취합부 - 육류 구입의사를 전송한 육류 소매점들은 여러 업체가 있을 수 있으며, 여러 업체들의 주소를 상기 육류 소매업체 DB에서 검색하여 같은 지역에 있거나 상기 대형 육류 냉동창고로부터 같은 이동 선상에 위치한 육류 소매점의 정보를 파악하여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전송함 -; 및
    상기 육류 배송업체 취합부가 전송한 육류 소매점들이 구입하려는 육류의 위치를 상기 육류정보 DB에서 검색하여 어느 대형 육류 냉동창고에 있는지 그리고 해당 대형 육류 냉동창고 내에서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하여 상기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육류위치 파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육류 배송업체 취합부가 취합한 육류 소매점의 육류 구입량에 적합한 배송차량을 결정하여 상기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차량 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입업자 전송부는,
    상기 육류단가 조정부가 수정 반영한 육류가 하나 이상의 대형 육류 냉동창고 중 어느 냉동창고에 있고, 해당하는 냉동창고 내에서는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상기 육류정보 DB에서 검색하여 해당 정보를 육류 수입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37874A 2018-04-02 2018-04-02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 KR101911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874A KR101911665B1 (ko) 2018-04-02 2018-04-02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874A KR101911665B1 (ko) 2018-04-02 2018-04-02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665B1 true KR101911665B1 (ko) 2018-10-24

Family

ID=6413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874A KR101911665B1 (ko) 2018-04-02 2018-04-02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6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041B1 (ko) 2021-09-10 2021-11-23 주식회사 네모컴퍼니 숙성육 판매 시스템
KR102392721B1 (ko) 2021-09-10 2022-04-29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실물 이미지 기반 육류 제품 정보 제공 및 육류 제품 판매 방법
KR102658768B1 (ko) 2023-12-26 2024-04-18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이미지 처리 기반 육류 내 특성 분석 및 가격 산출 처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5315A (ja) * 2004-09-15 2006-03-30 Nec Corp 貿易管理システム、貿易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41266B1 (ko) 2007-01-15 2008-06-25 (주) 우림인포텍 농수산물 매매 중개 방법 및 장치
KR101547305B1 (ko) * 2014-10-20 2015-10-08 주식회사글로벌네트웍스 농축산물 직거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축산물 직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5315A (ja) * 2004-09-15 2006-03-30 Nec Corp 貿易管理システム、貿易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41266B1 (ko) 2007-01-15 2008-06-25 (주) 우림인포텍 농수산물 매매 중개 방법 및 장치
KR101547305B1 (ko) * 2014-10-20 2015-10-08 주식회사글로벌네트웍스 농축산물 직거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축산물 직거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041B1 (ko) 2021-09-10 2021-11-23 주식회사 네모컴퍼니 숙성육 판매 시스템
KR102392721B1 (ko) 2021-09-10 2022-04-29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실물 이미지 기반 육류 제품 정보 제공 및 육류 제품 판매 방법
KR102658768B1 (ko) 2023-12-26 2024-04-18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이미지 처리 기반 육류 내 특성 분석 및 가격 산출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665B1 (ko) 육류 소비량 및 통관량 분석을 통한 육류 가격 조정 및 판매 촉진 시스템
Shi et al. Optimizing distribution strategy for perishable foods using RFiD and sensor technologies
Kaipia et al. Creating sustainable fresh food supply chains through waste reduction
Tang et al. Low carbon logistics: Reducing shipment frequency to cut carbon emissions
US201202717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delivery of advertising content to a consumer based on the consumer's indication of interest in an item or service available in a retail environment
US10540326B2 (en) Dynamic caching system
US201803149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fullfillment of one or more online orders
Hsu et al. Optimizing fleet size and delivery scheduling for multi-temperature food distribution
KR101860679B1 (ko) 육류 수요 및 생산량 예측을 통한 고객 맞춤형 큐레이션 시스템
US20160275429A1 (en) Technologies for supply chain management
Wang et al. Risk management in perishable food distribution operations: A distribution route selection model and whale optimization algorithm
Siawsolit et al. The value of demand information in omni-channel grocery retailing
Susanti Application of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method in raw materials planning on sardine product in PT. Blambangan Foodpackers Indonesia
KR10037374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축산물 전자유통 지원 시스템
Vickner Estimating the implicit price of convenience: A hedonic analysis of the US breakfast sausage market
Riesenegger et al. Minimizing Food Waste in Grocery Store Operations: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genda
JP2013140481A (ja) 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Milićević et al. Retail Out-of-stocks in the Context of Centralized and Direct Delivery
Cai et al. Optimal decisions of the manufacturer and distributor in a fresh product supply chain involving long-distance transportation
AU2019100424B4 (en) Ledgered Supply Chain Geolocation
US20180268424A1 (en) Recording and tracking system for home inventory
Serel Intelligent procurement systems to support fast fashion supply chains in the apparel industry
CN111354128A (zh) 自助销售方法、装置、设备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Buisman Reduce and re-use: studying retailers' food waste from an Operations Research perspective
WO2022190472A1 (ja) 食材保管装置、需要連動在庫補充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需要連動在庫補充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