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051B1 - Laser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Laser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051B1
KR101911051B1 KR1020160107967A KR20160107967A KR101911051B1 KR 101911051 B1 KR101911051 B1 KR 101911051B1 KR 1020160107967 A KR1020160107967 A KR 1020160107967A KR 20160107967 A KR20160107967 A KR 20160107967A KR 101911051 B1 KR101911051 B1 KR 101911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light
generating means
line generating
las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2482A (en
Inventor
조성우
Original Assignee
조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우 filed Critical 조성우
Priority to KR102016010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051B1/en
Publication of KR2018002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4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0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2Constructional details
    • H01S3/025Constructional details of solid state lasers, e.g. housings or mountings
    • H01S3/027Constructional details of solid state lasers, e.g. housings or mountings comprising a special atmosphere inside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5Optical devices external to the laser cavity, specially adapted for lasers, e.g. for homogenisation of the beam or for manipulating laser pulses, e.g. pulse shaping
    • H01S3/0071Beam steering, e.g. whereby a mirror outside the cavity is present to change the beam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1Lasers provided with means to change the location from which, or the direction in which, laser radiation is emit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내부공간(11)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레이저빛을 조사하는 점광원인 레이저광원부(20)와, 상기 하우징(20)에 일정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작부(15)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 내에서 상기 레이저빛이 조사되는 경로 상에 설치되고 점광원의 상기 레이저빛을 선형태로 출사할 수 있도록 반사면이 선택적으로 곡면 형태를 갖는 라인발생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이 상기 조작부(15)의 작동에 연동하여 휘어지면 레이저빛이 반사되는 반사면이 평면형태에서 곡면형태로 가변되어 상기 레이저빛이 선형태로 출사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조작부(15)를 조작하여 레이저빛을 점 또는 선 형태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조사할 수 있어 레이저 표시장치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레이저 표시장치의 활용범위가 넓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display device. A laser light source unit 20 which is a point light source installed on the housing 10 and emits a laser beam; and a light source unit 20 which is connected to the housing 20 by a predetermined path A control unit 15 installed on the path for irradiating the laser light in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laser light of the point light source can be emitted in a linear form; (50) in which the reflecting surface has an optional curved surface shape. When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bent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15, the reflecting surface on which the laser light is reflected is changed from a flat shape to a curved shape so that the laser light is emitted in a linear shape. The las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freely select and irradiate the laser light in the form of dots or lines by operating the operating part 15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laser display device and to broaden the range of application of the laser display device All.

Description

레이저 표시장치{Laser display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레이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레이저를 이용한 점 또는 선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s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displaying a point or a line using a laser at a desired point.

일반적으로 레이저 표시장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이격된 위치를 지시하거나 레벨을 측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례로, 레이저 표시장치 중 하나인 레이저 포인터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방에 렌즈가 구성되고 후방에는 전원인 배터리 및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로 구성된다. 레이저 포인터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되면, 레이저 다이오드가 턴온되면서 레이저 포인터의 전방으로 레이저가 조사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Generally, a laser display device is used for indicating a position or measuring a level by using a laser. For example, the laser pointer, which is one of the laser display devices, is constituted of a lens in front of the laser diode and a battery, which is a power source, and a switch, which supplies and cuts off the power of the battery, in the rear side. The laser pointer operates in such a manner that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and the power of the battery is supplied to the laser diode, the laser diode is turned on and the laser is irradiated forward of the laser pointer.

이와 같은 레이저 포인터는 회의, 건설현장 및 설명회 등에서 챠트 또는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지시하는 지시봉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Such a laser pointer serves as a pointer for indicating a chart or a presentation screen at a meeting, a construction site, and a briefing session.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는 이격된 위치의 어느 한 점을 가리키는데 그치며, 사용자가 원하는 선이나 문양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별도의 필터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Conventional laser pointers have pointed to a certain point in the spaced position, and it has been inconvenient to use a separate filter in order to display a desired line or patter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9719호Korean Patent No. 10-150971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점 또는 선을 표시할 수 있는 레이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ser display device in which a user can selectively display points or lin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레이저빛을 조사하는 점광원인 레이저광원부와, 상기 하우징에 일정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레이저빛이 조사되는 경로 상에 설치되고 점광원의 상기 레이저빛을 선형태로 출사할 수 있도록 반사면이 선택적으로 곡면 형태를 갖는 라인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발생수단이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연동하여 휘어지면 레이저빛이 반사되는 반사면이 평면형태에서 곡면형태로 가변되어 상기 레이저빛이 선형태로 출사되고, 상기 조작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조작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라인발생수단의 형태도 원형으로 복원되며, 상기 라인발생수단은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라인발생수단의 타측을 눌러 상기 라인발생수단을 휘게 하고, 상기 라인발생수단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라인발생수단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빛을 다시 반사시켜 전방으로 조사하는 반사수단이 구비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ser light sourc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 laser light source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to irradiate laser light; And a reflecting surface provided on a path through which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reflect the laser light of the point light source in a linear form, Wherein when the line generating means is bent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the reflecting surface on which the laser light is reflected is changed from a flat shape to a curved shape so that the laser light is emitted in a linear shape, 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to return to an original position when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unit is removed, The line generating means is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the line generating means is fix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movably installed, and the operating portion moves on the other side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 reflecting means for reflecting the laser light reflected by the line generating means and irradiating the laser light forwardly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ine generating means.

상기 라인발생수단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평판구조를 가지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이저빛이 반사되는 반사면이 평면 형태 또는 곡면 형태로 선택적으로 가변되면서 레이저빛을 점 또는 선형태로 출사시킨다. The line generating means has a flat plate structure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 reflecting surface on which the laser light is ref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is selectively changed to a planar shape or a curved shape to emit the laser light in dot or line form.

상기 조작부는 상기 라인발생수단의 후면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눌러 상기 라인발생수단을 휘게 한다. The operating portion directly or indirectly presses the back surface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to bend the line generating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las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레이저빛을 점 또는 선 형태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조사할 수 있어 레이저 표시장치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레이저 표시장치의 활용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The las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freely select and irradiate the laser light in the form of dot or line by operating the operation part,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laser display device and widening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laser display device have.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빛을 선 형태로 조사하기 위하여 별도의 필터를 삽입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이, 조작부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여 레이저빛을 선 형태로 변경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insert or replace a separate filter to irradiate the laser light in a linear form, the laser light can be changed into a linear shape simply by moving the operation portion, have.

그리고, 본 발명에서 조작부를 조작하는 정도에 따라 레이저빛이 선 형태로 조사되는 범위(길이)가 달리지므로, 본 발명의 레이저 표시장치를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length) in which the laser light is radiated in a line shape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so that the laser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here is also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의 일실시례를 이용하여 점을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의 일실시례의 작동방식을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보인 개념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의 일실시례의 작동방식을 평면에서 각각 나타낸 개념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례의 작동방식을 평면에서 각각 나타낸 개념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점 및 선을 표시하는 것을 표현한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dots are displayed using an embodiment of a las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a) and FIG. 2 (b) are conceptu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mode of one embodiment of the las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 to 3 (c)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in plan view, an operation mode of an embodiment of the las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 to 4 (c)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in plan view, respective modes of ope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las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dot and line display using a las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는 레이저빛을 점 또는 선 형태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점이란 어느 특정한 지점을 가리키는 것을 의미하고(도 5(a) 참조), 선 또는 라인이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선으로 가리키는 것을 의미한다(도 5(b) 참조). 도 5에서 도면부호 P는 벽이나 칠판 등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D는 출사된 레이저빛이 가리키는 형태이다. The las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freely selecting and irradiating laser light in dot or line form. Here, the term "point" means pointing to a specific point (refer to FIG. 5 (a)), and a line or line means pointing to a line having a certain length (see FIG. In Fig. 5, reference symbol P denotes a wall or blackboard, and reference symbol D denotes a shape indicated by the emitted laser light.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의 골격은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데,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재질이나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frame 10 of the las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may have various shapes in which the interior is hollow.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10 has a cylindrical shape. The housing 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n insulating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은 그 출구를 통해 레이저빛이 조사된다. 상기 내부공간(11)의 출구는 개방된 상태이거나 별도의 렌즈나 필터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이저광원부(20)와 라인발생수단(50) 등 부품이 내장된다.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is irradiated with laser light through its outlet. The outlet of the inner space 11 may be open or may be equipped with a separate lens or filter. The inner space 11 includes components such as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and the line generating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작동슬릿(12)에는 조작부(15)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15)는 일종의 작동레버로, 아래에서 설명될 라인발생수단(50)을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부(15)는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라인발생수단(50)을 휘어지게 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작부(15)는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내부공간(11)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라인발생수단(50)을 눌러준다. 이에 따라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이 휘어진다. 상기 조작부(15)는 라인발생수단(50)을 가변시키는 역할 이외에, 아래에서 설명될 레이저광원부(20)를 온오프시키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5) 자체가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하여 레이저광원부(2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전원공급을 중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16은 가압부로, 상기 조작부(15)를 조작하였을 때 라인발생수단(50)을 실질적으로 눌러주는 부분이다. 상기 가압부(16)는 상기 라인발생수단(50)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The operating slit 12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portion 15. The operating portion 15 is a kind of operating lever and serves to vary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to be described below. The operation unit 15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to bend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n this embodiment, when the operation unit 15 is pressed by the user, (50). Whereby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bent. The operation unit 15 may also serve to turn on / off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varying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15 itself can act as a kind of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or to stop the power supply. 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pushing portion which pushes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substantially when the operating portion 15 is operated. The pressing portion 16 has a structure protruding toward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에는 레이저광원부(20)가 설치된다. 상기 레이저광원부(20)는 레이저빛을 조사하는 부분으로, 전기 전원(미도시)에 연결된 상태이다. 상기 레이저광원부(20)가 조사하는 레이저빛은 단색성, 가간접성, 지향성 및 휘소성을 갖는데, 후술할 라인발생수단(50)에 의해 점 형태로 지시되거나 소정 거리를 갖는 라인 형태로 지시하게 된다. 도면부호 25는 레이저빛이 조사되는 광원을 나타낸다. A laser light source unit 2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irradiates laser light and is connected to an electric power source (not shown). The laser light irradiated by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has monochromaticity, transparency, directivity, and whiteness. The laser light emitted by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is indicated by a line generating means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Reference numeral 25 denotes a light source to which laser light is irradiated.

상기 레이저광원부(20)로부터 레이저빛이 조사되는 경로에는 라인발생수단(50)이 설치된다.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 내에서 상기 레이저빛이 조사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점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빛을 라인으로 출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은 상기 조작부(15)의 작동에 연동하여 가변되며,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이 가변됨에 따라 상기 레이저빛이 선택적으로 점 또는 라인으로 출사된다. A line generating means (50) is installed in a path through which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installed in a path through which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in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to emit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point light source to a line.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vari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15 and the laser beam is selectively emitted to a point or a line as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varied.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의 형태는 평판구조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은 레이저빛을 반사하는 면이 평면형태를 갖는 평판구조인데,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은 평판형태로 유지되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휘어질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평판형태로 복원된다. 여기서 상기 라인발생수단(50)에 가해지는 외력은 조작부(15)에 의해 전달된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은 반사면이 일측에 구비된 합성수지재질이나 고무재질 등 복원력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1 and 2, the shape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a flat plate structure. More precisely,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a flat plate structure having a plane shape reflecting the laser light, an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ccordingly,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maintain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can be ben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Her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transmitted by the operating portion (15). For example,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a restoring force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rubber materi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flective surface.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은 상기 점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빛을 반사시키되, 평판형태일 때는 점형태 반사시키고, 휘어진 상태에서는 선형태로 반사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을 거치면서 레이저빛이 점 또는 선으로 선택적으로 조사될 수 있는 것이다.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reflects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point light source, and reflects the light in the form of a point when it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in the form of a line in a bent state. Accordingly, the laser light can be selectively irradiated to the point or line while passing through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도 2에는 상기 조작부(15)에 의해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이 조작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와 같이 조작부(15)가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을 누르기 전에는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이 평판구조이지만, 도 2(b)와 같이 조작부(15)가 하강하여 라인발생수단(50)을 누르면 휘어지면서 반사수단(30)을 향한 반사면이 곡면형태가 된다.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operated by the operating portion 15. In FIG. 2 (a), before the operation unit 15 presses the line generation means 50, the line generation means 50 has a flat plate structure. However, as shown in FIG. 2 (b) When the means 50 is pressed, the reflecting surface facing the reflecting means 30 becomes curved.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은 상기 조작부(15)에 의해 외력이 전달되면 휘어지는 정도가 점차적으로 변할 수 있다. 도 3(b)에 비해 도 3(c)에는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이 더욱 많이 휘어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조작부(15)가 더욱 하강하여 라인발생수단(50)을 변형시킴에 따라 가능하다.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이 더욱 휘어지면 라인발생수단(50)에 의해 반사되어 출사되는 선형태의 빛의 길이(좌우폭)가 상대적으로 더 길어진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by the operation unit 15,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may gradually change. 3 (c),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seen to be more bent as the operating portion 15 further descends to deform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t is possible. When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further curves, the length of line-shaped light reflected by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and outputted is relatively longer.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에서 상기 라인발생수단(50)에 인접한 위치에는 반사수단(30)이 구비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반사수단(30)은 상기 라인발생수단(50)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빛을 다시 반사시켜 전방으로 출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레이저빛이 출사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반사수단(30)이 생략되고 라인발생수단(50)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빛이 그대로 출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Reflecting means 30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n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1, the reflecting means 30 reflects the laser light reflected by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and emits the laser light forward, and the laser light is em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So that it can be outputted. Of course, the reflecting means 30 may be omitted and the laser light reflected by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may be emitted as it is.

도 3에는 라인발생수단(50)과 반사수단(30)에 의해 레이저빛이 반사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조작부(15)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레이저광원부(20)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의 평면형태 반사면 반사되고, 다시 반사수단(30)에 의해 반사된 후에 상부로 출사된다. Fig. 3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laser light is reflected by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and the reflecting means 30. Fig. 3 (a), when the user does not press the operation unit 15,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is reflected on the planar reflection surface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And then emitted upward.

만약 사용자가 조작부(15)를 누르면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이 눌려 휘어지게 되고, 도 3(b) 또는 도 3(c)와 같이 레이저빛이 반사되는 부분이 곡면형태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곡면에 반사된 레이저빛은 반사수단(30)에 의해 다시 반사된 후에 상부로 출사된다. 단 이때도 상기 라인발생수단(50)과 반사수단(30) 사이의 각도는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unit 15, the line generating unit 50 is pressed and bent so that the portion of the laser beam reflected by the laser beam is curved as shown in FIG. 3 (b) or FIG. 3 (c). Accordingly, the laser light reflected on the curved surface is reflected again by the reflecting means 30 and then emitted upward. However, the angle between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and the reflecting means 30 is preferably maintained at the same tim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작부(15)에는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조작부(15)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조작부(15)를 원위치시킨다. 즉, 상기 조작부(15)는 기본적으로 원위치, 즉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을 누르지 않는 상태에 있다가 사용자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조작부(15)를 누르면 조작부(15)의 가압부(16)가 라인발생수단(50)을 가압하여 휘게 하는 것이다. 물론 외력이 제거되면 조작부(15)가 원위치되고, 라인발생수단(50)도 원형으로 복원된다. Although not shown, when the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unit 15 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unit 15 is removed, the operating unit 15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operating unit 15 is basically in a state where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not pressed,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ng unit 15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6 press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to warp. Of cours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operating portion 15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also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에 대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조작부(15)는 라인발생수단(50)을 반사수단(30) 방향으로 누르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라인발생수단(50)의 일단을 눌러 휘어지게 한다. On the other hand, Fig.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4A,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ng section 15 does not press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toward the reflecting means 30, but moves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50 are pressed to be bent.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은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이다. 라인발생수단(50)은 일측은 별도의 스토퍼(80)에 고정되어 이동할 수 없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15)는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라인발생수단(50)의 타측을 눌러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을 휘게 하는 것이다. More precisely,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is fixed and the other side is movably installed. One side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fixed to the separate stopper 80 and can not move. In this state, the operation unit 15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to bend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도 4(b) 및 도 4(c)에는 라인발생수단(50) 휘어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4(c)에는 상대적으로 더욱 많이 휘어진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5)를 밀어올리는 정도에 따라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이 휘어지는 정도가 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이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지면 출사되는 레이저빛의 길이도 달라진다. 물론 라인발생수단(50)이 더 많이 휘어질수록 길이가 긴 레이저빛이 만들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16은 가압부로,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의 타측을 실질적으로 눌러주는 부분이다. Fig. 4 (b) and Fig. 4 (c) show a bent state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and Fig. 4 (c) shows a relatively more bent state. The degree to which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ben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user pushes up the operating portion 15. If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changed, the length of the emitted laser light also changes. Of course, the longer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warped, the longer the laser light can be made. 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portion which substantially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with a pressing portion.

물론 본 실시례에서도 탄성부재가 상기 조작부(15)에 구비될 수 있다. Of course, in this embodiment also, the elastic member can be provided on the operation portion 15.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레이저빛을 조사하는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irradiating laser light using the las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조작부(15)를 이용하여 레이저광원부(20)를 ON시키면, 레이저광원부(20)로부터 레이저빛이 조사된다. 상기 레이저광원부(20)는 전원으로부터 전달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레이저광원부(20)로부터 레이저빛을 발생시켜 이를 전방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First, when the user turns on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using the operation unit 15, laser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generates laser light from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using electrical energy transferred from a power source and irradiates the laser light forward.

그리고, 레이저광원부(2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빛은 라인발생수단(50)에 입사된다.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은 입사된 레이저빛을 굴절시켜 반사수단(30)으로 유도하고, 반사수단(30)에 다시 반사된 레이저빛은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즉 상기 레이저광원부(20)로부터 조사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출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지시하게 된다. 상기 라인발생수단(50)과 반사수단(30)은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각각 레이저빛을 직교한 방향으로 굴절시키므로 결과적으로 레이저광원부(20)로부터 조사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출사되는 것이다. Then,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light source unit 20 is incident on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refracts the incident laser light and guides the laser light to the reflecting means 30. The laser light reflected back to the reflecting means 30 is refl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rradiated by the user, thereby indicating a desired position by the user.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and the reflecting means 30 are provid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refract the laser light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s a result, the laser light is emit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rradiated from the laser light source portion 20.

이때, 도 2(a) 및 도 3(a)와 같이, 라인발생수단(50)이 원형이면 레이저빛이 라인발생수단(50)의 평면형태 반사면에 반사되면 입사된 점 형태 그대로 반사되지만, 도 2(b) 및 도 3(b)와 같이 라인발생수단(50)이 휘어지면 반사면이 곡면이 되어 입사된 점 형태가 선(라인) 형태로 변형되어 반사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5)를 조작하여 눌러주면, 조작부(15)에 연결된 라인발생수단(50)이 휘어지면서 레이저빛을 라인 형태로 변형하는 것이다. 2 (a) and FIG. 3 (a), if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circular, the laser light is reflected on the planar reflecting surface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When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bent as shown in Figs. 2 (b) and 3 (b), the reflective surface becomes a curved surface, and the incident point shape is deformed into a line shape and reflected.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ng unit 15 and presses it,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connected to the operating unit 15 warps and deforms the laser light into a line shape.

이와 같이 사용자는 조작부(15)를 이동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점 또는 선 형태의 레이저빛을 선택하여 조사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user can select laser light of a dot or line shape by a simple operation of moving the operation unit 15 and can search for it.

그리고, 도 3(c)와 같이 상기 라인발생수단(50)이 더욱 휘어지면 출사되는 레이저빛의 길이가 더욱 길어진다. 3 (c), when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further curves, the length of laser light emitted becomes longer.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작부(15)에 탄성부재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조작부(15)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조작부(15)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라인발생수단(50) 역시 원형으로 복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평소에는 점 형태의 레이저빛을 조사하다가 필요한 경우에 조작부(15)를 눌러 라인 형태의 레이저빛을 조사하고, 누르는 힘을 제거하여 간단하게 점 형태의 레이저빛을 변경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n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rtion 15 so that when the user depresses the pressing force of the operating portion 15, the operating portion 15 returns to the home position so that the line generating means 50 is also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 In this case, the user normally irradiates the laser beam in the form of a point, and if necessary, presses the operating part 15 to irradiate the laser beam in the form of a line, and can remove the pressing force to change the laser beam simply by point.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하우징 11: 내부공간
15: 조작부 20: 레이저광원부
30: 반사수단 50: 라인발생수단
10: housing 11: inner space
15: Operation section 20: Laser light source section
30: Reflecting means 50: Line generating means

Claims (6)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레이저빛을 조사하는 점광원인 레이저광원부와,
상기 하우징에 일정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레이저빛이 조사되는 경로 상에 설치되고 점광원의 상기 레이저빛을 선형태로 출사할 수 있도록 반사면이 선택적으로 곡면 형태를 갖는 라인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발생수단이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연동하여 휘어지면 레이저빛이 반사되는 반사면이 평면형태에서 곡면형태로 가변되어 상기 레이저빛이 선형태로 출사되고,
상기 조작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조작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라인발생수단의 형태도 원형으로 복원되며,
상기 라인발생수단은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라인발생수단의 타측을 눌러 상기 라인발생수단을 휘게 하고,
상기 라인발생수단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라인발생수단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빛을 다시 반사시켜 전방으로 조사하는 반사수단이 구비되는 레이저 표시장치.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 laser light source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is a point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aser light,
A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housing so as to be movable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a line generation means provided on a path through which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reflective surface selectively curved so as to emit the laser light of the point light source in a line shape,
When the line generating means is bent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the reflecting surface on which the laser light is reflected is changed from a flat shape to a curved shape so that the laser light is emitted in a linear shape,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portion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on member, and when the operation member returns to the home position,
Wherein the line generating means is fixed on one side and movable on the other side, the operating portion bending the line generating means by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 reflecting means for reflecting the laser light reflected by the line generating means again and irradiating the laser light forwardly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ine generat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발생수단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평판구조를 가지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이저빛이 반사되는 반사면이 평면 형태 또는 곡면 형태로 선택적으로 가변되면서 레이저빛을 점 또는 선형태로 출사시키는 레이저 표시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e generating means has a flat plate structure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 reflecting surface on which the laser light is ref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is selectively changed to a planar shape or a curved shape, In the form of a li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라인발생수단의 후면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눌러 상기 라인발생수단을 휘게 하는 레이저 표시장치.
The laser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perating section directly or indirectly presses the rear surface of the line generating means to bend the line generating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07967A 2016-08-24 2016-08-24 Laser display device KR1019110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967A KR101911051B1 (en) 2016-08-24 2016-08-24 Lase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967A KR101911051B1 (en) 2016-08-24 2016-08-24 Laser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482A KR20180022482A (en) 2018-03-06
KR101911051B1 true KR101911051B1 (en) 2018-10-23

Family

ID=6172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967A KR101911051B1 (en) 2016-08-24 2016-08-24 Laser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05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784A (en) * 2008-08-05 2010-02-18 Fanuc Ltd Laser process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784A (en) * 2008-08-05 2010-02-18 Fanuc Ltd Laser proc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482A (en)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5936B2 (en) Display apparatus
JP5754216B2 (en) Input system and pen-type input device
JP2006120591A5 (en)
TW201108286A (en) Keyboard having backlight function
US20210263612A1 (en) Input device
KR200487308Y1 (en) Photoelectric switch capable of being switched between voiced state and voiceless state
KR101762051B1 (en) Surface acoustic wave touch screen and touch display device
KR101911051B1 (en) Laser display device
WO2016103411A1 (en) Light source device
KR101796586B1 (en) Laser display device
WO2009047891A1 (en) Planar light source element array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4120288A (en) Illumination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TW200639678A (en) Optical mouse having optical pointer
JP2016182170A (en) Portable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JP3852659B2 (en)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6110903A (en) Planar light unit
TWI654637B (en) Light emitting keyboard
JP6441730B2 (en) Toggle switch, switch device
KR102040846B1 (en) Laser display device
TWM447534U (en) Illuminating keyboard
JP4660746B2 (en) Laser irradiation device
JP5218608B2 (en) Light guide
JP6413852B2 (en) Push-button switch
CN113848659B (en) Optical erasing assembly, wri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727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or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