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046B1 - A drone system having modes for monitoring a fire on a mountain and a water level at a bridge - Google Patents
A drone system having modes for monitoring a fire on a mountain and a water level at a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1046B1 KR101911046B1 KR1020160143587A KR20160143587A KR101911046B1 KR 101911046 B1 KR101911046 B1 KR 101911046B1 KR 1020160143587 A KR1020160143587 A KR 1020160143587A KR 20160143587 A KR20160143587 A KR 20160143587A KR 101911046 B1 KR101911046 B1 KR 1019110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monitoring
- image
- drones
- forest fi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RZVHIXYEVGDQDX-UHFFFAOYSA-N 9,10-anthraqui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3C(=O)C2=C1 RZVHIXYEVGDQD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80—UAVs characterised by their small size, e.g. micro air vehicles [MA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0/0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 B64U20/80—Arrangement of on-board electronics, e.g. avionics systems or wiring
- B64U20/87—Mounting of imaging devices, e.g. mounting of gimb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 H04N5/232—
-
- B64C2201/127—
-
- B64C2201/14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64U2101/31—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for surveill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드론시스템은 드론과 드론을 제어하는 지상제어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드론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드론구동부 및 드론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상제어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위한 단말기통신모듈, 드론을 지상에서 제어하는 제어UI 디스플레이부, 산불감시프로그램 혹은 교량수위감시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저장부 및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한다. 지상제어단말기에서, 제어UI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산불감시모드 혹은 교량수위감시모드를 인에이블시키면, 드론은 정해진 산불감시위치 혹은 교량감시위치로 이동하고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여 지상제어단말기로 전송한다. 지상제어단말기는 수신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산불감시프로그램 혹은 교량수위감시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드론이 관측한 위치에 산불이 발생하였는지 혹은 교량의 수위가 위험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system. The dr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for controlling drones and drones. The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t least one camera, a drone driver, and a dron controller.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control UI display unit for controlling the drone on the ground, a program storage unit for storing a forest fire monitoring program or a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and a terminal control unit. In the ground control terminal, when the forest fire monitoring mode or 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mode is enabled through the control UI display unit, the drone moves to the predetermined fire monitoring position or bridge monitoring position, captures an image with at least one camera, do.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executes a forest fire monitoring program or a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by using the received camera image to determine whether a forest fire has occurred at a location observed by the drone or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bridge has reached a danger level,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불감시 및 교량수위감시 모드를 갖는 드론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드론시스템은 산불을 감시하고 교량의 수위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system having a forest fire monitoring and bridge level monitoring mode.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onitoring the forest fire and monitoring the water level of the bridge.
무인비행체, 일명 드론이 개발되어 상용화 되고 있다. 드론은 카메라 및 각종 센서를 장착하여 무인으로 비행하고 각종 필요한 업무에 투입한다. 드론은, 예들들어, 환경감시, 방송중계, 스포츠중계, 농약살포, 도로감시, 보안, 군사, 레저, 스포츠 등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된다.Unmanned aerial vehicles, aka drone,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The drones are equipped with cameras and various sensors, flying unmanned, and putting them into various tasks. Drones are used for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environmental monitoring, broadcast relay, sports relay, pesticide spraying, road surveillance, security, military, leisure, sports and the like.
종래의 산불 혹은 교량의 수위를 감시하기 위하여서는 고정된 감시카메라를 지정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많은 지역을 감시하기가 불가능하다. A fixed surveillance camera should be installed at a designated location to monitor the level of conventional forest fires or bridges.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monitor many areas.
또한, 종래의 드론을 이용하여 산불이나 교량의 수위를 감시하는 시도는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드론은 공중에 정체하여야 하고 진동에 의하여 영상이 흔들리므로 명확한 감시가 불가능하였다. It has also been recognized that attempts to monitor the level of forest fires or bridges using conventional drones are impossible. In particular, the drones must be stationary in the air and the images are shaken by vibration, making it impossible to observe clearly.
본 발명의 목적은 비행하는 드론과 비행하는 드론을 지상에서 제어하는 지상제어단말기를 이용하여 드론이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산불을 감시하고, 교량의 수위를 감시하는 드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 system that monitors forest fire from an image photographed by a dron using a ground control terminal that controls a flying dragon and a flying dragon on the ground, and monitors a water level of the brid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론과 지상제어단말기를 이용하여 감시한 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조기 경보가 가능한 드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 system capable of early warning by wirelessly transmitting a result of monitoring using a dron and a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론의 지상제어단말기를 이용하여 산불 혹은 교량의 감시 위치를 사전에 입력하고, 드론에 명령을 보내면 드론은 지정된 위치에 정해진 시각에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지상단말기에게 전송하고, 지상단말기는 내부에 설치된 산불감시 및 교량수위감시 프로그램으로 조기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forest fire or bridges by using a ground control terminal of a drone to input a monitoring position of a forest fire or a bridge in advance and sending a command to the dron to regularly visit the designated location, , And the terrestrial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fire alarm monitoring and bridging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for early warning.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론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드론구동부 및 드론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 및 무선 통신을 위한 단말기통신모듈, 상기 드론을 지상에서 제어하는 제어UI 디스플레이부, 산불감시프로그램 혹은 교량수위감시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저장부 및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상제어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에서, 상기 제어UI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산불감시모드 혹은 교량수위감시모드를 인에이블시키면, 상기 드론은 정해진 산불감시위치 혹은 교량감시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산불감시프로그램 혹은 상기 교량수위감시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드론이 관측한 위치에 산불이 발생하였는지 혹은 교량의 수위가 위험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에 지상제어단말기와 드론이 원격지에 위치하여도 LTE등의 이동통신네트웍을 이용하여 지상제어단말기는 드론을 원격에서 제어하여 원하는 곳의 산불감시위치 혹은 교량감시위치로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on system comprising: a dron including at least one camera, a dron driver, and a dron controller; And a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including a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control UI display unit for controlling the drones on the ground, a program storage unit for storing a forest fire monitoring program or a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and a terminal control unit, In the control terminal, when the forest fire monitoring mode or 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mode is enabled through the control UI display unit, the drones are moved to the predetermined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 or the bridge monitoring position and the image is captured by the at least one camera, The ground control terminal executes the forest fire monitoring program or 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using the received camera image to determine whether a forest fire has occurred at a location observed by the drone or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bridge is in danger level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alarm has been reached And a gong. Even if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and the drone are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can remotely control the drone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TE to move the drones to the desired fire monitoring location or bridge monitoring location.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의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산불감시모드 혹은 상기 교량수위감시모드를 설정 시, 복수개의 상기 산불감시위치 및 상기 교량감시위치를 설정 하고, 상기 드론은 상기 설정된 복수개의 산불감시위치 혹은 교량감시위치를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영상을 촬영 할 수 있다. 드론은 각 감시위치에 3분 내지 5분 정도 영상을 촬영하고 다음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of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sets a plurality of the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s and the bridge monitoring positions when the forest fire monitoring mode or 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mode is set, The position can be sequentially moved and the image can be taken. The drones can take three to five minutes of video at each surveillance location and move to the next location.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의 상기 제어UI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드론이 비행하고자 하는 장소의 지도정보를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도정보 바탕화면 위에 오버레이 되는 상기 드론의 현재위치아이콘과 상기 드론이 이동할 이동위치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이동위치아이콘이 상기 지도정보 위에서 선택된 경우,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이동위치 아이콘의 지도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드론이동명령을 상기 드론에 전송하고, 상기 드론의 드론제어부는 상기 전송된 드론이동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위치정보로 상기 드론이 이동하도록 상기 드론구동부를 구동한다. 지상제어단말기를 이용하여 직접 감시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지상제어단말기에 제공되는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감시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I display unit of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displays map information of a place to which the dron wants to fly on a desktop, and displays a current position icon of the dron overlaid on the map information desktop, When the moving position icon is selected on the map informa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transmits to the drones a dronon moving command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p information of the moving position icon, Receives the transmitted drone movement command, and drives the drone driver to move the drone to the position information. You can specify the monitoring location directly using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In this case, the monitoring position can be designated using the map information provided to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상기 산불감시프로그램은 상기 드론이 비행하여 산불을 감시하도록 미리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지정 알고리듬; 상기 산불감시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비행제어 알고리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제1영상과, 상기 제1영상과 시간차를 두고 촬영한 제2영상의 화소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차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산불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영상비교알고리듬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orest fire monitoring program includes: a location designating algorithm for designating a location of the drones in advance to monitor the forest fire; A flight control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drone to move to the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 And comparing a pixel value of a first image photographed using the at least one camera with a pixel value of a second image photographed at a time difference from the first image to determine whether a forest fire has occurred based o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The image comparison algorithm.
상기 교량수위감시프로그램은 상기 드론이 비행하여 교량의 수위를 감시하도록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지정알고리듬; 상기 교량수위감시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비행제어 알고리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목표 교량의 제1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1영상을 회전하거나 쉬프트하여 상기 목표 교량의 다리부위를 수직화 처리하고, 상기 수직화된 다리부위의 수위와 상기 목표 교량의 상판까지의 거리로부터 위험정도를 판단하는 교량수위판단 알고리듬을 포함한다.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includes: a location designating algorithm for designating a location of the drones so as to monitor the water level of the bridge; A flight control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drone to move to the bridge level monitoring position; And a control unit for photographing a first image of the target bridge using the at least one camera and rotating or shifting the first image to vertically process the leg of the target bridge, And a bridge water level determination algorithm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danger from the distance to the top plate of the target bridge.
본 발명은 지상제어단말기를 이용하여 산불 혹은 교량감시 위치를 지정하고, 감시 명령을 내리면, 드론은 영상을 촬영하여 지상제어단말기에게 전송하고, 지상제어단말기 상의 산불감시프로그램 및 교량수위감시프로그램으로 위험여부를 판별할 수가 있다. 따라서, 드론을 이용하여 복수의 지점에 대한 산불감시 혹은 교량감시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orest fire or a bridge monitoring position is designated using a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and a monitoring command is issued, the dron captures an image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The fire monitoring program and 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on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Can be determined. Therefore, forest fire monitoring or bridging monitoring is possible for a plurality of points using a drones.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지상제어단말기 및 드론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사용자가 일일이 감시위치로 갈 필요가 없이, 드론에게 복수의 감시위치를 지정하면 드론은 각 감시위치를 순차적으로 비행하고 각 위치에서 영상을 전송한다. 지상제어단말기는 원격지에서 산불 혹은 교량의 위험을 판단 할 수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remote control of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and the drones is possible. When the user designates multiple monitoring positions for the drone without having to go to the monitoring position individually, the drone sequentially flows each monitoring position and transmits the image at each position. Ground control terminals can determine the risk of fire or bridges at remote sit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제어단말기의 드론제어UI를 이용하여 산불감시위치 혹은 교량감시위치를 지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이 산불감시위치에서 촬영한 제1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이 산불감시위치에서 촬영한 제2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감시프로그램이 제1영상과 제2영상을 비교하여 산불을 감지하는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이 교량감시위치에서 촬영한 제1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이 교량감시위치에서 촬영한 제2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감시프로그램이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회전하거나 쉬프트처리하여 교량의 수위를 감시하는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use state diagram of a dr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dr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e control monitoring position or a bridge monitoring position is designated using the dron control UI of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view showing a first image of a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t a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 FIG.
4B is a view showing a second image taken by the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algorithm for detecting a forest fire by compar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with a forest fire monitoring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view showing a first image taken by a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bridge monitoring position.
6B is a view showing a second image taken by the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bridge monitoring posi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algorithm for monitoring a water level of a bridge by rotating or shift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ccording to the bridge monitoring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use state diagram of a dr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다른 드론시스템(1000)은 드론(100) 및 지상제어단말기(200)를 포함한다.The
드론(100)과 지상제어단말기(200)는 각각 이동통신기지국(510,530)을 통하여 이동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네트웍에 연결된다. 이동통신기지국(510, 530)은 핸드폰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를 인식하고, 음성 및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이동통신 인프라에 해당한다. 이동통신 기술의 예로서는 3G, 4G, 5G와 같은 기술들이 상용화 되고 있다.The
대한민국의 경우, KT, SKT 등의 이동통신 회사가 이동통신을 위한 기본 인프러를 대한민국 전체 영역에 설치하여 휴대폰을 연결하고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case of Korea,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such as KT and SKT install basic infrastructure for mobile communication in the whole area of Korea to connect mobile phones and enable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미국, 중국 등 세계 각국도 마찬가지로 자신의 나라에 이동통신 기지국을 설치하고, 가입자에게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The United States, China, and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also set up mobile base stations in their countries and provide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to subscribers.
본 발명은 드론(100)과 드론(100)을 제어하는 지상제어단말기(200)를 이와 같은 이동통신 무선 인터넷 네트웍에 연결하여 원격에서도 드론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1000)은 영상스트리밍서버(520)를 포함한다. 영상스트리밍서버는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영상스트리밍서버(520)는 드론(100)이 촬영한 영상을 다른 기기들에게 전송 할 수도 있다.The
드론(100)과 지상제어단말기(200)는 이동통신 인터넷 네트웍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달하거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이동통신 인터넷 네트웍에 연결되면, 드론(100)과 지상제어단말기(200)는 거리에 대한 제한 없이 원격지에서도 제어가 가능하다. 드론(100)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또한 원격지에서 지상단말기(200)를 통하여 수신이 가능하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휴대폰단말기(300) 혹은 퍼스널컴퓨터(400)를 이동통신 인터넷 네트웍에 연결하면, 드론(100)의 영상을 휴대폰단말기(300) 및 퍼스널컴퓨터(400)에서도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시스템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r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드론(100)은 드론제어부(110), IR카메라(120), EO카메라(130), 드론통신모듈(140), 전원모듈(150), 복수의 센서(160,170) 및 드론구동부(180)를 포함한다.The
IR카메라(120)는 적외선(Infrared)카메라에 해당하며 야간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이다. EO카메라(130)는 전기광학(Electro-Optical)카메라를 말하며, 일반적인 광학카메라에 해당한다.The
드론통신모듈(140)에는 예를들어 4G(LTE) 이동통신 인터넷 네트웍에 연결하기 위한 LTE통신모듈을 말하며, 모든 통신모듈은 고유의 ID를 가지고 있다. 통신모듈의 고유 ID의 일예로서는 MAC 어드레스가 있다.The
드론구동부(180)는 드론(100)을 비행하게 하는 프로펠러 및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을 지칭한다.The
이와 같은 드론(100)은 생산 및 판매되어 소비자에게 인계되면, 소비자는 통신사와 정해진 폴리시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고 이동통신사의 네트웍을 사용하도록 허락을 받는다.When such a
지상제어단말기(200) 혹은 GCS(Ground Control System)단말기(200)는 이동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네트웍에 연결되어 드론(100)을 제어하거나,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수신한다.The
드론이 촬영한 영상은 드론(100)으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영상스트리밍서버(520)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drone may be directly received from the
지상제어단말기(200,GCS단말기)는 단말기제어부(210), 단말기통신모듈(230), 드론제어UI생성부(240), 디스플레이부(220) 및 영상스트리밍수신부(250)를 포함한다.The
단말기통신모듈(230)은 드론통신모듈(140)과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네트웍에 연결하기 위한 LTE통신모듈로 이루어지며, MAC 어드레스와 같은 고유 ID를 가진다.The
지상제어단말기(210)는 드론(100)을 제어하기 위한 드론제어UI(240)를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한다.The
지상제어단말기(200)는 드론(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스트리밍을 영상수트리밍수신부(250)을 통하여 수신한 다음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The
지상제어단말기(200)는 산불감시프로그램(262) 및 교량수위감시프로그램(264)를 저장하는 프로그램저장부(260)를 포함한다.The
산불감시프로그램(262) 및 교량수위감시프로그램(264)은 지상제어단말기(200)뿐만 아니라, 드론(100)의 영상을 수신하는 휴대폰단말기(300) 혹은 퍼스널컴퓨터(400)에 설치할 수도 있다.The fores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제어단말기의 드론제어UI를 이용하여 산불감시위치 혹은 교량감시위치를 지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e control monitoring position or a bridge monitoring position is designated using the dron control UI of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상제어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는 드론을 제어하는 제어UI가 표시된다.The
드론제어UI에는 바탕화면에 지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지도정보는 확대버튼(+, 246) 혹은 축소버튼(-, 245)을 이용하여 지도정보를 확대하거나 축소 할 수 있다.The drones control UI can display map information on the desktop. The map information can be enlarged or reduced by using an enlargement button (+, 246) or a reduction button (-, 245).
지도정보 바탕화면 위에 오버레이 되는 드론의 현재위치아이콘(241) 및 이동위치아이콘(242a, 242b)을 표시할 수 있다.The
드론(100)의 사용자는 지상제어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되는 제어UI를 조작하여 드론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거나, 드론의 이동위치를 예약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이동위치아이콘(242a)을 사용자가 한번 터치한 후 드래그하면 이동위치아이콘(242b)는 드래그한 위치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드래그를 떼거나, 혹은 드래그 한 위치에서 더블 클릭하면 드론의 이동명령이 입력된다.When the user touches and drags the
지상제어단말기(200)의 단말기제어부(210)는 제어UI로부터 명령을 인식하고, 이동위치아이콘(242b)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로부터 파악하여 드론(100)에게 이동명령 및 이동좌표 정보를 전송한다.The
사용자가 제어UI 상의 산불감시모드(243)아이콘을 클릭하면, 복수개의 산불감시위치에 대한 좌표를 입력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When the user clicks the forest fire monitoring mode (243) icon on the control UI,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coordinates for the plurality of forest fire monitoring locations.
사용자는 복수개의 산불감시위치를 이상과 같은 지도정보 및 이동위치아이콘(242a, 242b)을 이용하여 설정 할 수 있다.The user can set a plurality of fire fighting monitoring positions by using the map information and the
사용자가 제어UI 상의 교량수위감시모드(244)아이콘을 클릭하면, 복수개의 교량수위감시위치에 대한 좌표를 입력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user clicks the bridge level monitoring mode (244) icon on the control UI,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coordinates for a plurality of bridge level monitoring positions.
사용자는 복수개의 교량수위감시위치를 이상과 같은 지도정보 및 이동위치아이콘(242a, 242b)을 이용하여 설정 할 수 있다.The user can set a plurality of bridge level monitoring positions by using the map information and the
사용자가 홈버튼(247)을 클릭하면, 지도정보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드론 조작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화면을 변경 할 수 있다.When the user clicks the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이 산불감시위치에서 촬영한 제1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A is a view showing a first image of a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t a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 FIG.
이상과 같은 복수개의 산불감시위치 및 교량수위감시위치를 지정한 후, 드론에게 비행을 명령하면, 드론은 산불감시위치에 도착하여 도 4A와 같은 제1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After designating the plurality of fire fighting monitoring positions and 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osition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ones are commanded to fly, the drones can shoot the first image as shown in FIG. 4A at the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
드론은 첫 번째 산불감시위치에서 예를들어, 약 5분동안 호버링 동작을 수행한다. 호버링란 드론이 정해진 위치에 정지 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drones perform a hovering operation, for example, for about 5 minutes at the first forest fire monitoring location. Hovering means that the drones are flying at a fixed position.
5분이 지나면 드론(100)은 다음번 산불감시위치 혹은 교량감시위치로 이동한다. 이곳에서도 5분 동안 호버링 하면서 영상을 촬영한다.After 5 minutes, the drone (100) moves to the next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 or bridge monitoring position. It is also hovering for 5 minutes here.
본원발명은 드론이 호버링하는 것과 5분 동안 정지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위치 혹은 하나의 위치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hovering the drone and stopping the image for 5 minutes to take an image. But is not limited to a plurality of positions or a single position.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이 산불감시위치에서 촬영한 제2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4B is a view showing a second image taken by the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
제2상은 제1영상에 비교하여 시간차를 두고 촬영한 영상이다. 5분 혹은 그 이전 혹은 이후 일 수 있다.The second image is an image taken at a time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first image. May be 5 minutes or earlier or lat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감시프로그램이 제1영상과 제2영상을 비교하여 산불을 감지하는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algorithm for detecting a forest fire by compar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with a forest fire monitoring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i) 단계에서는 제2영상의 화소값과 제1영상의 화소값의 차이를 구한다. 만약에 두 화소값의 차이가 없다면 완전한 블랙이 될 것이다.In step (i),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 value of the second image and the pixel value of the first image is obtained. If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pixel values, it will be completely black.
(ii) 단계에서는, 노이즈를 제거한다. (iii) 단계에서는 이진화 표시 한다. 이진화표시란 중간값을 배제하고, 0 혹은 1로 표시하는 것이다. 화재 때 발생하는 연기등에 의한 표시를 더욱 확실하게 표시하게 한다.In the step (ii), the noise is removed. In step (iii), binarization is indicated. The binarization display is to display 0 or 1, excluding the intermediate valu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reliably display the indication due to the smoke or the like generated in the fire.
(iv) 단계에서는 화재에 대한 색상을 부여한다.In step (iv), color is assigned to the fire.
이런 과정을 통하여 화재를 판별하고, 화재라고 판별이 되면 외부장치에 경보신호를 전송한다.Through this process, the fire is identified,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a fire, an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경보신호를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드론이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사용자가 직접 지상제어단말기(200)를 통하여 수동으로 재확인한다.Even if the alarm signal is not generated, the user manually confirms the image image photographed by the drone through the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이 교량수위감시위치에서 촬영한 제1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6A is a view showing a first image taken by a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bridge level monitoring position.
교량수위감시도 마찬가지로 지상제어단말기(200)를 통하여 교량수위감시위치를 지정하고 드론은 교량감시위치로 이동하며, 이곳에서 호버링하면서 교량의 수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지상제어단말기에게 전송한다.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also designates 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osition through the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이 교량감시위치에서 촬영한 제2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6B is a view showing a second image taken by the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bridge monitoring position.
제2영상은 제1영상과는 시간차를 두고 촬영한 영상이다.The second image is an image taken at a time difference from the first imag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감시프로그램이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회전하거나 쉬프트처리하여 교량의 수위를 감시하는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algorithm for monitoring a water level of a bridge by rotating or shift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ccording to the bridge monitoring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i) 단계에서는 제1영상 혹은 제2영상을 회전하거나 쉬프트한다. 드론은 공중에 비행하면서 영상을 촬영하므로 드론의 위치 혹은 외란에 의하여 영상이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교량의 다리 부분을 수직이 되도록 회전하거나 쉬프트 조작 처리하는 것이다.In step (i), the first image or the second image is rotated or shifted. Because the drones shoot the image while flying in the air, the image may fluctuate due to the position of the drones or disturbance. Therefore, the leg portion of the bridge is rotated or shifted to be vertical.
(ii) 단계에서는, 얼라인드 이미지를 만든다. (iii) 단계에서는 측정이미지 (레퍼런스)를 만든다. (iv) 단계에서는 측정이미지(타겟)을 만든다.In step (ii), an aligned image is created. In step (iii), a measurement image (reference) is created. In step (iv), a measurement image (target) is created.
교량의 수위감시프로그램은 교량이 위험수위에 도달하기 전에도 측정이미지를 지상제어단말기(200)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고, 언제 위험수위에 도달할 지 모니터링 하게 할 수 있다.The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of the bridge can allow the user to directly confirm the measurement image on the
만약에 교량의 다리에 인접한 수위와 교량의 상판까지의 거리가 정해진 거리 이내로 인접한다면 교량에 대한 위험경보를 발령한다.If the water level adjacent to the bridge of the bridge and the distance to the top of the bridge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danger warning for the bridge is issu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산불감시프로그램 및 교량수위감시프로그램을 지상제어단말기에 탑재하고 드론으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산불 및 교량의 위험을 조기에 경보하는 것을 실시예로 기술하였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st fire monitoring program and 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are mounted on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and the image is transmitted from the dron to alert the danger of the fire and the bridge premature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000 : 드론 시스템
100 : 드론
110 : 드론제어부
120 : IR카메라
130 : EO카메라
140 : 드론통신모듈
150 : 전원모듈
160 : 제1센서
170 : 제2센서
180 : 드론구동부
200 : 지상제어단말기(GCS 단말기)
210 : 단말기제어부
220 : 디스플레이부
230 : 단말기통신모듈
240 : 드론제어UI 생성부
241 : 현재위치아이콘
242a : 이동위치아이콘(조정전)
242b : 이동위치아이콘(조정후)
243 : 산불감시모드 아이콘
244 : 교량수위감시모드 아이콘
245 : 지도축소명령 아이콘
246 : 지도확대명령 아이콘
247 : 홈메뉴 아이콘
250 : 영상스트리밍수신부
260 : 프로그램저장부
262 : 산불감시 프로그램
264 : 교량수위감시 프로그램
300 : 휴대폰단말기
400 : 퍼스널컴퓨터
510 : 이동통신기지국 1
520 : 영상스트리밍서버
530 : 이동통신기지국 21000: Dron system
100: Drones
110: Drone control unit
120: IR camera
130: EO camera
140: Drone communication module
150: Power module
160: first sensor
170: second sensor
180: Drone drive
200: Ground control terminal (GCS terminal)
210:
220:
230: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240: Drone control UI generation unit
241: Current location icon
242a: Move position icon (before adjustment)
242b: Move position icon (after adjustment)
243: Wildfire monitoring mode icon
244: Bridge level monitoring mode icon
245: Map Shrink command icon
246: Map Enlarge command icon
247: Home menu icon
250: Video Streaming Receiver
260: Program storage unit
262: Wildfire monitoring program
264: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300: mobile phone terminal
400: personal computer
510: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1
520: video streaming server
530: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
Claims (5)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드론구동부 및 드론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 및
무선 통신을 위한 단말기통신모듈, 상기 드론을 지상에서 제어하는 제어UI 디스플레이부, 산불감시프로그램 혹은 교량수위감시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저장부 및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상제어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에서, 상기 제어UI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산불감시모드 혹은 교량수위감시모드를 인에이블시키면,
상기 드론은 정해진 산불감시위치 혹은 교량감시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산불감시위치 혹은 상기 교량감시위치에서 일정시간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제1영상과 상기 제1영상과 시간차를 두고 제2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지상제어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산불감시프로그램 혹은 상기 교량수위감시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드론이 관측한 위치에 산불이 발생하였는지 혹은 교량의 수위가 위험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시스템.
In the drones system,
A dron including at least one camera, a dron driver and a dron controller; And
A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including a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control UI display unit for controlling the drone on the ground, a program storage for storing a forest fire monitoring program or a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and a terminal control unit,
In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when the forest fire monitoring mode or 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mode is enabled through the control UI display unit,
Wherein the drones are moved to a predetermined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 or a bridge monitoring position and the at least one camera stops at the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 or the bridge monitoring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Capturing an image and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executes the forest fire monitoring program or 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using the received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o determine whether a forest fire has occurred at the location observed by the drone or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bridge is dangerous And when the water level has reached the water level, it is alarmed.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의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산불감시모드 혹은 상기 교량수위감시모드를 설정시, 복수개의 상기 산불감시위치 및 상기 교량감시위치를 설정 하고,
상기 드론은 상기 설정된 복수개의 산불감시위치 혹은 교량감시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of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sets a plurality of the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s and the bridge monitoring positions when the forest fire monitoring mode or 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mode is set,
Wherein the drones move the predetermined plurality of fire fighting monitoring positions or bridge monitoring positions.
상기 지상제어단말기의 상기 제어UI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드론이 비행하고자 하는 장소의 지도정보를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도정보 바탕화면 위에 오버레이 되는 상기 드론의 현재위치아이콘과 상기 드론이 이동할 이동위치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이동위치아이콘이 상기 지도정보 위에서 선택된 경우,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이동위치 아이콘의 지도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드론이동명령을 상기 드론에 전송하고,
상기 드론의 드론제어부는 상기 전송된 드론이동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위치정보로 상기 드론이 이동하도록 상기 드론구동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I display unit of the terrestrial control terminal displays map information of a place to which the dron wants to fly on a desktop, and displays a current position icon of the dron overlaid on the map information desktop, Lt; / RTI >
When the mobile position icon is selected on the map informa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transmits to the drones a dronon movement command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p information of the mobile position icon,
Wherein the drones control unit receives the transmitted dronon movement command and drives the dronon driver to move the dronon to the position information.
상기 산불감시프로그램은 상기 드론이 비행하여 산불을 감시하도록 미리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지정 알고리듬;
상기 산불감시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비행제어 알고리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상기 제1영상과, 상기 제2영상의 화소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차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산불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영상비교알고리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orest fire monitoring program includes: a location designating algorithm for designating a location of the drones in advance to monitor the forest fire;
A flight control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drone to move to the forest fire monitoring position; And
And an image comparison algorithm for comparing the pixel values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aptured using the at least one camera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whether a forest fire has occurred based o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The drones system.
상기 교량수위감시프로그램은 상기 드론이 비행하여 교량의 수위를 감시하도록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지정알고리듬;
상기 교량수위감시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비행제어 알고리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목표 교량의 상기 제1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1영상을 회전하거나 쉬프트하여 상기 목표 교량의 다리부위를 수직화 처리하고, 상기 수직화된 다리부위의 수위와 상기 목표 교량의 상판까지의 거리로부터 위험정도를 판단하는 교량수위판단 알고리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bridge water level monitoring program includes: a location designating algorithm for designating a location of the drones so as to monitor the water level of the bridge;
A flight control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drone to move to the bridge level monitoring position; And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vertically process the leg portion of the target bridge by photographing the first image of the target bridge using the at least one camera and rotating or shifting the first image, And a bridge level judging algorithm for judging the degree of danger from the distance to the upper plate of the target brid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3587A KR101911046B1 (en) | 2016-10-31 | 2016-10-31 | A drone system having modes for monitoring a fire on a mountain and a water level at a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3587A KR101911046B1 (en) | 2016-10-31 | 2016-10-31 | A drone system having modes for monitoring a fire on a mountain and a water level at a brid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7477A KR20180047477A (en) | 2018-05-10 |
KR101911046B1 true KR101911046B1 (en) | 2018-10-24 |
Family
ID=6218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3587A KR101911046B1 (en) | 2016-10-31 | 2016-10-31 | A drone system having modes for monitoring a fire on a mountain and a water level at a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104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9827A (en) | 2019-02-15 | 2020-08-25 |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Offshore monitoring system using drone be charged on offshore station |
KR102508615B1 (en) | 2022-05-23 | 2023-03-10 | 테크나인 주식회사 | Low-power mobile communication-based wireless wildfire detection and spread notification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4182B1 (en) * | 2018-09-17 | 2020-02-11 | 주식회사 호그린에어 | Emergency alarm system using multiple drones |
CN109087475A (en) * | 2018-10-19 | 2018-12-25 | 河南汇纳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forest fireproofing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LoRa wireless network |
KR102193351B1 (en) * | 2018-12-21 | 2020-12-21 |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Water quality measuring system by using drone |
CN110834728A (en) * | 2019-09-23 | 2020-02-25 |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丹东供电公司 | Intelligent power transmission line forest fire early warn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system thereof |
CN111298329A (en) * | 2020-03-04 | 2020-06-19 | 绵阳师范学院 | Forest fire prevention and extinguishing system of unmanned aerial vehicle platform |
KR102554760B1 (en) | 2021-01-21 | 2023-07-13 | 주식회사 한림기술 | Bridge stenosi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8500B1 (en) * | 2015-10-16 | 2016-07-11 | 조승철 |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using drones |
-
2016
- 2016-10-31 KR KR1020160143587A patent/KR10191104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8500B1 (en) * | 2015-10-16 | 2016-07-11 | 조승철 |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using drone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9827A (en) | 2019-02-15 | 2020-08-25 |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Offshore monitoring system using drone be charged on offshore station |
KR102508615B1 (en) | 2022-05-23 | 2023-03-10 | 테크나인 주식회사 | Low-power mobile communication-based wireless wildfire detection and spread notification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7477A (en) | 2018-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1046B1 (en) | A drone system having modes for monitoring a fire on a mountain and a water level at a bridge | |
US11790741B2 (en) | Drone based security system | |
KR101877864B1 (en) | A drone system which utilize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drone management server which uses the same | |
KR101894409B1 (en) | Drone control system and method | |
CN105278362B (en) | The control method of unmanned Reconnaissance system, apparatus and system | |
US1180736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navigation and computation of unmanned vehicles | |
CN108521787B (en) | Navig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control equipment | |
US20180332213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inuing a zoom of a stationary camera utilizing a drone | |
KR10223877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vices administ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in electronics device | |
US20200106818A1 (en) | Drone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s system | |
JP5715775B2 (en) | Image monitoring system and image monitoring method | |
CN105682158A (en) |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 |
KR20140129331A (en) | Video acquisi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 |
JP2019219736A (en) | Monitoring system | |
WO2022166501A1 (en) |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 |
US11846941B2 (en) | Drone graphical user interface | |
JP7029565B2 (en) | Maneuver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 |
WO2019093504A1 (en) | Terminal, method and program for operating drone | |
KR20180097279A (en) | An IOT based drone system which has a plurality of sensors | |
CN113905211B (en) | Video patrol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KR20180099098A (en) | Fusion Type Image Monitoring System Camera with Movement Tracking Function of Shooting Target | |
KR102219954B1 (en) | Drone integrated control server and integrated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102458357B1 (en) |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responding system | |
KR20180099074A (en) | Fusion Type Monitoring System Using Drone Camera | |
KR101701791B1 (en) | System for remote controling mritime brodcasting and closed circuit televi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