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584B1 -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 - Google Patents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584B1
KR101910584B1 KR1020180071099A KR20180071099A KR101910584B1 KR 101910584 B1 KR101910584 B1 KR 101910584B1 KR 1020180071099 A KR1020180071099 A KR 1020180071099A KR 20180071099 A KR20180071099 A KR 20180071099A KR 101910584 B1 KR101910584 B1 KR 10191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bar
spectacle frame
bar magne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재
Original Assignee
이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재 filed Critical 이홍재
Priority to KR102018007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을 구성하는 안경테, 안경다리 및 콧등받침 등 안경을 착용할 때 착용자 신체에 접촉하는 안경의 부위에 막대자석을 내장 또는 장착시킨,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막대자석을 안경에 장착시킬 때, 막대자석이 유동될 수 있도록 이동식으로 장착시켜, 막대자석으로 인해 자력 효과가 착용자 신체에 골고루 미칠 수 있도록 하는,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EYE GLASSES EQUIPPED ON BAR MAGNET}
본 발명은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을 구성하는 안경테, 안경다리 및 콧등받침 등 안경을 착용할 때 착용자 신체에 접촉하는 안경의 부위에 막대자석을 내장 또는 장착시킨,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막대자석을 안경에 장착시킬 때, 막대자석이 유동될 수 있도록 이동식으로 장착시켜, 막대자석으로 인해 자력 효과가 착용자 신체에 골고루 미칠 수 있도록 하는,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눈은 사람이 생활하는데 귀의 청각과 코의 취각과 혀의 미각과 신체피부의 촉각과 함께 사물을 인식하고 구별하는 기본적인 기능으로 시각은 빛과 색체를 인식하고 형태를 인식하고, 우주를 구성하는 모든 물질과 존재하는 모든 물체의 크기와 숫자와 동작과 속도 등을 인식하는 기능으로 모든 감각기능과 함께 인식한 정보를 인체의 정보기능에 전달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인간은 시력을 상실하면 빛을 인식할 수 없고, 따라서 사물을 인식할 수 없고 사물과의 거리나 사물의 위치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시력을 상실하는 것은 인간의 가장 중요한 감각기능 중 하나를 상실한 것이므로 생활에 불편을 겪게 된다.
시력을 상실하지 않더라도 시력이 약해지는 이유는 많다. 시력이 약해지는 가장 흔한 사례는 노안으로 나이가 들면서 생체기능 전체가 퇴화하면서 시력도 다른 기능과 함께 약화된다.
문명이 발달하고 경제적으로 부강해지고 의료혜택이 보다 광범위해지고 눈에 대한 검사와 치료기회가 더 많이 제공되는데도 불구하고 인류의 시력이 향상되었다는 자료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사회생활이 발달하면서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주택이 쾌적해지고 전기가 발명되고 전기조명기구가 보급되면서 주택생활이 밝아지고 책을 읽거나 눈을 사용하는 생활이 밝은 조명의 도움으로 훨씬 편리해 졌음에도 밝은 조명에 도움을 받아 시력이 좋아졌다는 자료는 찾기 어렵다.
생활이 부유해지면서 영양섭취가 100년 전에 비해 훨씬 양호해 졌지만 상대적으로 안경을 쓰거나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사람이 더 많아졌다는 것은 충분한 영양을 섭취해도 눈이 좋아지거나 시력이 약해지거나 노화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나 치료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모든 사람들이 가정이나 직장에서 TV를 시청하고 있는데 어떤 사람들은 하루 서너 시간 이상을 TV를 보거나 또는 종일 TV를 보는 사람도 있는데 TV화면을 구성하는 작은 발광장치는 자연 상태의 모습을 영상으로 재현하기 위해서는 자연 상태의 밝기보다 훨씬 밝은 빛을 표출하므로 컴퓨터의 빛이 인간의 시력에 강한 자극을 제공하게 되고 이렇게 제공되는 빛은 시력을 피로하게 하고 피로가 축적되면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컴퓨터 모니터를 보면서 종일 작업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시력을 혹사하게 될 것이 자명한데 시력이 종일 혹사하면서 안와를 구성하는 안구 근육을 많이 사용하게 되고, 안구 근육을 사용하면서 필연적으로 많은 혈액을 필요로 하게 되고, 눈의 내부와 주변의 혈관에 많은 혈액이 흐르면서 눈 주변은 혈액순환이 정체될 수 있으므로 눈이 피로하고 시력이 감퇴되는 것을 느끼게 되는 일이 많아지며, 눈의 피로에 의해 여러 가지 피로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피로현상으로 머리가 무겁거나 아픈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살면서 종일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면서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들 중에는 나이가 젊을수록 게임을 하는 사람이 많은 추세이다.
심지어는 중 고등학생은 물론 초등학생들도 스마트폰 게임을 하는데 작은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면서 손가락을 빠르고 격렬하게 두드리는 게임은 게임이 제공하는 심리적 감성적 문제는 차치하고라도 눈의 건강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자명하다.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은 학교에서의 수업은 물론이거니와 학교수업이 종료된 후에도 학원에서의 수업으로 연장되면서, 종일 수업을 유지하게 되므로, 많은 피로가 쌓이게 되는데 신체의 여러 기능이 피로한 중에 특히 칠판을 바라보거나 교재를 바라보는 눈의 사용이 과도하게 많고 눈의 과로에 의한 혹사는 시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이렇게 눈이 피로해지면 눈을 형성하는 모든 기능이 저하되어 결국 시력감퇴로 진행되는 원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눈을 많이 사용하면 눈 기능에 사용되는 근육활동에 기본적으로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며, 에너지공급을 위해 혈액과 체액의 활용이 집중되는데 눈 주변에 집중되는 혈액과 체액은 집중된 상태에서 정체되면서 흐름이 느려지면 혈액과 체액이 점도가 높아져서 흐름정체 상태가 가중되어 눈의 피로와 시력감퇴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자석을 눈 주변에 부착하면 흐름이 적체되어 혈액이 응결된 덩어리를 해체하는 작용이 확인되었는데, 응결된 혈액의 덩어리가 해체되면 적체된 혈액순환에 큰 도움이 되어 눈의 피로와 시력감퇴의 원인을 근원적으로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안경을 착용한다는 것은 손상된 시력을 보완하기 위한 조치로 렌즈 작용을 하는 수정체가 유연성을 상실하고 탄력을 잃게 되어 발생하는 원시나 근시의 안구기능을 안경렌즈를 이용해 보완하는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다.
눈 구조의 결함을 안경으로 보완하여 시력을 보완하고 있는 것이므로, 사람이 안경을 착용했다는 것은, 그 사람은 이미 눈 구조에 결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이렇게 이미 시력을 보완하기 위해 착용한 안경이라는 기구를 이용하여 안경을 형성하는 렌즈부분의 안경테 부분이 얼굴과 신체부분에 접착되는 점에 착안하여 안경테를 이용하여 안경테에 기본구조를 형성하는 안경테 아래 부분과 안경 코 받침 부분과 안경을 귀에 거는 안경다리 부분 등에 막대자석을 부착하여 눈 부위와 귀 부위에 막대자석의 자력을 피부에 부착하는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에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813호에 안경렌즈에 직접 자석부를 구성한 보조안경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자석의 힌지기능을 이용하여 보조안경이 전면부착상태에서 본체안경의 전면으로 개방되면서 자력에 의해 열림 상태가 지속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본체안경의 자석구성부와 대응되는 보조안경의 자석구성부를 구성함에 있어 기존의 안경림 또는 탑브릿지에 보조안경 자석구성부를 구성하지 아니하고, 보조안경의 안경알에 자석구성부만을 직접 구성하여, 외형의 모양을 보다 세련되게 구성함은 물론이고, 무게를 혁신적으로 줄여 자력에 의한 고정력을 높여 사용상 보조안경의 고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경알에 직접 자석의 힌지기능부를 구성한 보조안경을 가지는 안경을 기재하고 있다.
다른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2766호에는 자석안경다리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프라스틱 안경테의 일부인 안경다리 끝부분에 영구자석을 내장함으로써, 전통 한방의 경락이론을 인용하여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계(磁界)를 인체에 침투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현대인들에게 결핍되기 쉬운 자기(磁氣)를 우리몸속에 보충시켜 주므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킴은 물론 진정효과를 나타내어 두통예방,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험생이나 직장인들의 정신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또 다른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0669호에는 안경렌즈에 직접 자석부를 구성한 보조안경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자석의 힌지기능을 이용하여 보조안경이 전면부착상태에서 본체안경의 전면으로 개방되면서 자력에 의해 열림 상태가 지속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본체안경의 자석구성부와 대응되는 보조안경의 자석구성부를 구성함에 있어 기존의 안경림 또는 탑브릿지에 보조안경 자석구성부를 구성하지 아니하고, 보조안경의 안경알에 자석구성부만을 직접 구성하여, 외형의 모양을 보다 세련되게 구성함은 물론이고, 무게를 혁신적으로 줄여 자력에 의한 고정력을 높여 사용상 보조안경의 고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경알에 직접 자석의 힌지기능부를 구성한 보조안경을 가지는 안경을 기재하고 있다.
또 다른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1034호에는 자석 안경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안경알을 잡아주는 안경알의 테두리 부분과 다리가 연결되는 곳 즉 원래 안경의 나사부분을 자석으로 대체하여 충격시 부러지지 않고 파편이 튀지 않으며 자동 분해되어 충격을 완화해준다. 또한 안경을 쓰면 디자인 부분에서 한정적일 수밖에 없는데 나사 부분을 자석으로 대체 안경알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간편한 작업만으로 색깔, 모양 등을 바꿀 수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된 선행기술들은,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자석을 내장 또는 장착한 안경과 상이하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813호(2006.02.17. 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2766호(1999.07.05.)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0669호(2007.04.17.)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1034호(2018.04.23.)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을 구성하는 안경테, 안경다리 및 콧등받침 등 안경을 착용할 때 착용자 신체에 접촉하는 안경의 부위에 막대자석을 내장 또는 장착시킨,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은 막대자석을 안경에 장착시킬 때, 막대자석이 유동될 수 있도록 이동식으로 장착시켜, 막대자석으로 인해 자력 효과가 착용자 신체에 골고루 미칠 수 있도록 하는,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은, 안경알이 설치된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에 연결되어 접힘 가능하도록 회동되고, 단부에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귀거리가 형성된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테 일측에 착용자의 콧등에 받쳐지는 콧등받침을 포함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콧등받침과 귀거리에 막대자석이 내장되고,
상기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하측에 니퍼를 이용하여 막대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경다리에 장착되는 니퍼는,
상기 안경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되,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 일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개방된 일면을 통해 안경다리에 삽입되고,
'ㄷ'자 형태 중 개방된 일면의 반대방향인 폐쇄된 일면은 소정의 폭을 갖도록 구성하여, 오목하게 파인 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홈에 막대자석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경테의 하측에 장착되는 니퍼는,
일 단부는 안경테의 하측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굴곡지되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막대자석이 내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안경테 하측에 장착된 니퍼에 내장된 막대자석이 착용자의 눈 밑 피부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에 의하면,
첫째, 안경테 하단과 안경테 중앙 콧등받침 면과 안경다리 내측면과 안경다리 귀고리 내측 면의 피부 부착면에 피부면과 수평이 되도록 막대자석을 설치함으로써,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막대자석이 착용자의 피부와 평면으로 접촉되도록 삽입설치할 수 있고, 안경테다리에 탈부착 및 이동이 가능한 니퍼(nipper, 집게)의 막힌 면 내측 면과 수평이 되도록 막대자석을 장착하여 안경다리 중앙에 삽입 설치하고, 안경다리 귀고리 내측면 피부 접촉면에 막대자석이 고리내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삽입 장착하여,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눈 주변 하단의 뺨의 피부와 콧날 양측면과 눈과 귀 사이 피부와 귀 뒤 피부에 막대자석의 자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막대자석에 따른 자력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안경테의 하단에 장착된 니퍼를 통해 피부접촉면에 막대자석의 밀착도를 높이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안경다리에 장착된 막대자석과 피부가 가장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안경다리 니퍼를 필요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막대자석과 피부의 밀착상태를 착용자가 이상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의 안경다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의 콧등받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의 안경테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을 구성하는 안경테, 안경다리 및 콧등받침 등 안경을 착용할 때 착용자 신체에 접촉하는 안경의 부위에 막대자석을 내장 또는 장착시킨,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막대자석을 안경에 장착시킬 때, 막대자석이 유동될 수 있도록 이동식으로 장착시켜, 막대자석으로 인해 자력 효과가 착용자 신체에 골고루 미칠 수 있도록 하는,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은 안경알이 설치된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에 연결되어 접힘 가능하도록 회동되고, 단부에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귀거리가 형성된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테 일측에 착용자의 콧등에 받쳐지는 콧등받침을 포함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콧등받침과 귀거리에 막대자석이 내장되고,
상기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하측에 니퍼를 이용하여 막대자석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막대자석의 내장이란 의미는, 콧등받침이나 귀거리에 소정의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에 막대자석을 삽입시켜 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니퍼는, 막대자석이 내장된 이동수단으로서, 안경다리 또는 안경테의 일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회전(지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막대자석이 콧등받침에 내장되는 일예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하고, 막대자석이 안경다리의 단부인 귀거리에 내장되는 일예는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의 안경다리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의 콧등받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콧등받침에 막대자석이 내장된 것은, 안경을 착용할 때, 안경테 부분이 피부에 접촉되는 부위 중에 콧날 양쪽 측면과 안경테에 설치된 콧등받침의 피부 접촉면에 막대자석이 콧날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내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안경테 중앙부위에 콧날의 양면에 피부와 평면으로 접촉되는 막대자석이 안경테의 콧등받침 면이 콧날 양면의 피부에 접촉하는 부위에 평면으로 접촉하여 피부에 자극이나, 자석과의 접촉에 따른 피부에 상처 또는 흔적이 남지 않도록 하면서, 피부에 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귀거리에 막대자석이 내장된 것은, 안경테 다리의 귀 뒤로 걸리는 귀거리 부분에서 피부에 접촉되는 부위에, 접촉되는 피부와 평면이 되도록 막대자석을 내장한다.
따라서,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안경다리의 귀거리 내측면에 내장된 막대자석이 귀의 피부와 평면으로 접촉되도록 막대자석을 설치하여, 안경다리의 귀거리 내면이 머리 옆쪽 피부에 접착되었을 때, 피부에 자극이나, 자석과의 접촉에 따른 피부에 상처 또는 흔적이 남지 않도록 하면서, 피부에 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하면, 안경다리에 장착되는 안경다리 니퍼가, 안경다리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안경다리 니퍼는,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 일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개방된 일면을 통해 안경다리에 삽입되는데, 이에 따라 'ㄷ'자 형태의 높이는 안경다리의 높이와 동일하고, 'ㄷ'자 형태의 폭은 안경다리의 폭과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ㄷ'자 형태에 대하여, 개방된 일면의 상, 하측 단부는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여, 안경다리 니퍼를 안경다리에 끼워넣을 때, 억지끼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다리 니퍼가 안경다리에 끼워진 뒤, 별도의 외력(外力)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안경다리 니퍼가 안경다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안경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경다리 니퍼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경다리 니퍼의 'ㄷ'자 형태 중 개방된 일면의 반대방향인 폐쇄된 일면은 소정의 폭을 갖도록 구성하여, 오목하게 파인 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하게 파인 홈에는 막대자석이 내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참조하여 안경테의 하측에 장착된 안경테 니퍼를 이용하여, 막대자석이 안경테의 하측에 장착되는 일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의 안경테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르면, 안경의 안경테 하측으로는 안경테 니퍼가 구성된다.
이러한 안경테 니퍼는, 안경테에 구비된 직선상에 위치된 2개의 제1 힌지(도면부호 미도시) 사이에 결합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며, 안경테의 제1 힌지에 핀을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제2 힌지의 하측으로는 니퍼판이 연장되어 연결되며, 상기 니퍼판의 제2 힌지가 형성된 반대 단부는 반구형태(U자 형태)로 굴곡지도록 형성되고, 이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막대자석이 내장되도록 한다.
이때, 제1 힌지와 제2 힌지의 결합에 의해 안경테 하단의 두께에 대하여, 편차 없이 끼워 넣어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안경테 니퍼에 내장된 막대자석이 착용자 피부, 특히 눈 밑 피부에 닿으면서, 안경의 하단이 착용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위의 안경의 하단의 안정적인 지지를 돕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힌지의 하측으로 연장판이 연장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장판에는 1개 이상의 지지봉을 구성한다.
상기 지지봉은,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포함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홀의 형태는 상호 내경이 다르게 구성하여 2단의 홀로 구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내경이 넓은 홀이 위치된 지지봉의 단부가 상기 연장판에 연결(용접 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경이 넓은 홀이 위치된 지지봉의 단부가 연결된 연장판에는, 상기 내경이 넓은 홀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스프링이 고정(접착, 용접 등)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내경이 넓은 홀의 나머지 영역에는, 지지봉의 내부 홀 중 내경이 좁은 홀보다 직경이 큰 추 구성이 포함되고, 상기 지지봉의 내부 홀 중 내경이 좁은 홀에는 상기 추 구성으로부터 연장되어 내경이 좁은 홀을 통과하여 지지봉의 외측으로 노출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 봉 구성이 포함된다. 이때, 지지봉의 외측으로 노출된 봉 구성의 단부는 제2 힌지의 니퍼판의 일면에 닿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했을 때, 니퍼판이 착용자의 피부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안정적인 밀착과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추 구성으로부터 연장되어 내경이 좁은 홀을 통과하여 지지봉의 외측으로 노출된 봉 구성의 내부가 관통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추 구성 역시 내부가 관통되도록 구성하여, 추 구성부터 봉 구성까지 연통된 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내부에 무게는 가볍지만 자성을 갖는 물질(가벼운 쇠나 철 등)이나 자석을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니퍼판의 일측 중, 막대자석이 내장된 홈에는 니퍼판의 반대면까지 관통된 막대자석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홈이 1개 이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니퍼판의 홈에 내장된 막대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스프링 내부에 위치된 물질 또는 자석이 반응하여, 추 구성과 봉 구성을 쳐 줄수 있게 되고, 안경테 니퍼가 착용자의 신체부위로 밀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안경테 니퍼에 내장된 막대자석이 착용자의 피부를 톡톡 쳐주는 작용으로 인해, 자력에 따른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3)

  1. 안경알이 설치된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에 연결되어 접힘 가능하도록 회동되고, 단부에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귀거리가 형성된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테 일측에 착용자의 콧등에 받쳐지는 콧등받침을 포함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콧등받침과 귀거리에 막대자석이 내장되고,
    상기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하측에 니퍼를 이용하여 막대자석이 설치되되,
    상기 안경다리에 장착되는 니퍼는,
    상기 안경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되,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 일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개방된 일면을 통해 안경다리에 삽입되고,
    'ㄷ'자 형태 중 개방된 일면의 반대방향인 폐쇄된 일면은 소정의 폭을 갖도록 구성하여, 오목하게 파인 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홈에 막대자석이 내장되고,
    상기 안경테의 하측에 장착되는 니퍼는,
    일 단부는 안경테의 하측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굴곡지되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막대자석이 내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안경테 하측에 장착된 니퍼에 내장된 막대자석이 착용자의 눈 밑 피부에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그 형태가,
    상기 안경테 하측에 직선상에 위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2개의 제1 힌지와, 2개의 제1 힌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제2 힌지와, 상기 제2 힌지에 연장되어 연결되며 제2 힌지에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 단부가 반구형태로 굴곡지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막대자석이 내장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힌지의 하측으로 1개 이상의 지지봉을 포함하는 연장판이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지봉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시켜 2단의 다단구조를 갖는 홀을 구성하며,
    2단의 다단구조에 있어서 내경이 넓은 홀이 위치된 지지봉의 단부가 상기 연장판에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경이 넓은 홀이 위치된 지지봉의 단부가 연결된 연장판에는, 상기 내경이 넓은 홀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스프링이 고정되도록 연결되며, 내경이 넓은 홀의 나머지 영역에는, 지지봉의 내부 홀 중 내경이 좁은 홀보다 직경이 큰 추 구성이 포함되고, 상기 지지봉의 내부 홀 중 내경이 좁은 홀에는 상기 추 구성으로부터 연장되어 내경이 좁은 홀을 통과하여 지지봉의 외측으로 노출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 봉 구성이 포함되되, 지지봉의 외측으로 노출된 봉 구성의 단부는 제2 힌지의 니퍼판의 일면에 닿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
  2. 삭제
  3. 삭제
KR1020180071099A 2018-06-20 2018-06-20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 KR10191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099A KR101910584B1 (ko) 2018-06-20 2018-06-20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099A KR101910584B1 (ko) 2018-06-20 2018-06-20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584B1 true KR101910584B1 (ko) 2018-10-22

Family

ID=6410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099A KR101910584B1 (ko) 2018-06-20 2018-06-20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5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9505A (ja) 2006-05-19 2007-11-29 Washin:Kk 蝶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9505A (ja) 2006-05-19 2007-11-29 Washin:Kk 蝶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30730A (zh) 头戴式自动翻转眼镜
WO2005043224A3 (en) Liquid-crystal eyeglass system
CN204515272U (zh) 头戴式自动翻转眼镜
KR101910584B1 (ko) 막대자석이 장착된 안경
CN205910415U (zh) 用于增强现实智能眼镜的用户友好型固定系统
CN204719331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3d眼镜
CN207264033U (zh) 一种榫接结构可拆卸的眼镜
KR101562750B1 (ko) 머리고정형 안경
US9329404B1 (en) Comination jewelry piece with camouflaged eyeglass mount
CN201179144Y (zh) 眼部保健仪
CN210401894U (zh) 一种金属前挂眼镜
CN206906715U (zh) 一种眼镜
US20140276268A1 (en) Methods for performing occular exercises and devices thereof
CN208506405U (zh) 一种挂架式的眼镜
CN103744193A (zh) 嵌入式远红外强磁场保健眼镜架
CN201464732U (zh) 一种按摩眼镜
CN204203563U (zh) 一种新型眼镜架
CN217333026U (zh) 一种脉冲电流美容眼镜
CN211086840U (zh) 一种便携式可拆装磁力吸附组合眼镜
CN203745741U (zh) 一种便于带眼镜颈椎病人卧姿观看的套式眼镜
CN206295414U (zh) 一种眼罩
CN212160253U (zh) 一种具有保健理疗功能的换片式眼镜
CN208224642U (zh) 眼镜腿
JP3127692U (ja) 一体成形老眼鼻眼鏡
TWM557834U (zh) 多功能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