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560B1 - Deburring machine - Google Patents

Deburr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560B1
KR101910560B1 KR1020180025529A KR20180025529A KR101910560B1 KR 101910560 B1 KR101910560 B1 KR 101910560B1 KR 1020180025529 A KR1020180025529 A KR 1020180025529A KR 20180025529 A KR20180025529 A KR 20180025529A KR 101910560 B1 KR101910560 B1 KR 10191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housing
unit
suction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남진
Original Assignee
안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남진 filed Critical 안남진
Priority to KR102018002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5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5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burring device, comprising: a housing; a conveyor unit disposed to be vertically moved in the housing; and a grinding unit disposed to b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conveyor unit and disposed in the housing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Description

디버링장치{DEBURRING MACHINE}Deburring device {DEBURRING MACHINE}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디버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burring device with improved structure.

레이저 가공기 또는 천공기로 금속판을 가공하면 가공면을 따라서 버(burr)가 발생하며, 이는 가공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므로 제거가 필요하다.When a metal plate is machined with a laser or perforator, burrs are generated along the machined surface, which is a factor that deteriorates the quality of the workpiece and needs to be removed.

디버링장치는 롤러 또는 브러쉬를 가공 후 금속판 상에서 회전시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상기한 버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며, 이러한 디버링장치는 수동 또는 자동 장치로 개발되고 있다.The deburring device is a device for removing the burr by a friction force generated by rotating a roller or a brush on a metal plate after machining, and such a deburring device is being developed as a manual or automatic devic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107호(발명의 명칭: 디버링 장치 및 디버링 휠)는 회전축과 결합하며 그 내주면이 회전축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버(Burr)를 마찰시켜 제거하는 모 소재로 형성된 디버링부를 포함한다.Korean Patent No. 10-1184107 (entitled Deburring Apparatus and Deburring Wheel) has a core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a rotation shaft and whos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engaged with a rotation axis, and a rotor which is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portion, And a deburring portion formed of a mother material to be rubbed and removed.

여기서, 디버링장치는 사용에 따라 브러쉬 또는 롤러가 마모되거나 변형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롤러 또는 브러쉬를 교체해주어야 한다.Here, since the deburring device wears or deforms the brush or the roller depending on the use, the roller or the brush must be periodically replaced.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브러쉬 모의 교체시 모식홈으로부터 교체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러한 문제는 대부분의 종래 디버링장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브러쉬의 늦은 교체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가공품위 저하가 야기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is not easy to replace the model groove when the brush model is replaced, and this problem is present in most conventional deburring devices, resulting in lower productivity and lower quality of the product due to late replacement of the brus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러쉬의 교체가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가공품의 품질 향상 및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디버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burring device which can improve the quality of a workpiece and improve productivity by improving the structure so that the brush can be replaced quickly and easi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컨베이어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반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그라인딩부;를 포함하는 디버링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yor portion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housing; And a grinding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veyor unit, the grinding unit being disposed in the housing such that the grinder can be taken out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면이 형성되는 정육각형 또는 직육각형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개구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housing includes a base; A hexagonal or hexagonal frame disposed above the base and having at least one opening surface;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surface.

또한,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그라인딩부가 상기 하우징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Further, the grinding unit may be slid in the hous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may be taken out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컨베이어부를 상, 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와 컨베이어부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배치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ctuator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nveyor to move the conveyor up and down.

또한, 상기 컨베이어부는 구동부가 수용되는 메인바디; 상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외기를 상측에서 내부 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흡입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수용되는 석션바디; 복수 개의 제1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석션바디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석션플레이트; 상기 메인바디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종동축을 포함하는 롤러부; 및 복수 개의 제2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부에 권취되어 상기 석션바디 및 석션플레이트를 감싸면서 이동되는 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or portion may include a main body in which a driving portion is accommodated; A suction body formed in the main body so as to open the upper side and to suck the outside air from the inside o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by the driving unit; A suc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formed therein and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body; A roller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drive shaft receiving drive force from the drive unit and at least one driven shaft spaced apart from the drive shaf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belt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wound around the roller unit and moving while surrounding the suction body and the suction plate.

또한, 상기 그라인딩부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브러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n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liding plate slidably disposed in the housing; A driving motor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sliding plate; And at least one brush part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sliding plate and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또한, 상기 브러쉬부는 복수 개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유성기어 방식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rush portions may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e motor in a planetary gear mode.

또한, 상기 브러쉬부는 일측면에 원형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다단으로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수커플링; 상기 수커플링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브러쉬; 및 상기 돌출부와 돌기부가 형성하는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암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brush portion may include a male coupling having a circular protrusion on one side and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in multiple stage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A brush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le coupling; And a female coupling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a shape formed by the projection and the protrusion and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또한,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면이 형성되는 정육각형 또는 직육각형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대향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 양측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각각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안치되어 회전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includes a base, a frame of a regular hexagonal or hexagonal shap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and having at least one opening surface, and a sliding guide disposed on each of opposite sides of the frame, And at least one or more roll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guide and rotatable in the sliding guide.

또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이동력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lid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to limit a moving force of the sliding plat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본 발명은 그라인딩부가 하우징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컨베이어부가 상, 하 이동되어 상기 그라인딩부에 근접하여 버 제거를 도모하기 때문에 상기 그라인딩부가 슬라이딩 되어 외부로 반출될 수 있는 구조와 상기 그라인딩부에 체결된 브러쉬가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브러쉬 교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어 제품의 가공품위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grinding unit is arranged to be fix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conveyer unit is moved downward to move the grinding unit closer to the grinding unit, the grinding unit can slide and be taken out to the outside, By includ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brush can be easily detached, the brush replacement can be implemented quickly and easily, so that the processing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의 석션바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의 석션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의 밸트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부의 암커플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부의 수커플러와 브러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프레임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bur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Fig. 1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body of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plate of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lt of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male coupler of a gri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le coupler and a brush of a gri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ic meanings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here the terms used herein contradict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y shall be as defined herein.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bur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of FIG. 1 viewed from another angl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의 석션바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의 석션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의 밸트의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body of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plate of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lt of the conveyor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부의 암커플러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부의 수커플러와 브러쉬의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male coupler of a gri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le coupler and a brush of a gri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100)는 크게 하우징(110), 컨베이어부(120) 및 그라인딩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부(140), 알람부(150) 및 집진필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hrough 10, a debur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10, a conveyor 120, and a grinding unit 130, An alarm unit 150, and a dust filter unit 160. [0033]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1, 2, and 10, the housing 110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debur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하우징(110)은 베이스(111)와, 상기 베이스(1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면이 형성되는 정육각형 또는 직육각형 형상의 프레임(112)과, 상기 개구면을 개폐하는 도어(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10 includes a base 111, a frame 112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11 and having at least one opening surface and a square or hexagonal shape, 113).

상기 도어(113)는 힌지방식 또는 슬라이딩방식 등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면을 개폐할 수 있는 형태이면 족하며, 상기 도어(113)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면인 후술할 컨트롤부(140)가 배치된 면을 제외한 세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door 113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face of the housing 110 such as a hinge type or a sliding type and the door 113 may include a control unit 140 may be disposed on the three side surfaces except for the side on which they are disposed.

상기 하우징(110)의 다방향에 도어(113)가 배치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100)의 유지보수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The door 113 may be disposed in multiple directions of the housing 110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 deburr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프레임(112)의 대향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1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할 그라인딩부(130)는 상기 도어(113)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10)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sliding guide 114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frame 112 so that a grinding portion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13 is opened And can be slid out of the housing 110 and taken out of the housing 110.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100)에서 후술할 그라인딩부(13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 하 이동되지 않게 배치되므로, 상기 컨베이어부(120)는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3 to 6, since the grind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debur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so as not to move up and down in the housing 110, the conveyor unit 120 May be disposed on the housing 11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100)는 상기 컨베이어부(120)를 상, 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11)와 컨베이어부(120)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배치되는 액추에이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a debur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e.g., at least one) interposed between the base 111 and the conveyor portion 120 for moving the conveyor portion 120 up and down The actuator 170 may further include an actuator 170 disposed above.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170)는 상기 베이스(111)와 컨베이어부(120) 사이에 네 개가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four actuators 17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111 and the conveyor part 120.

구체적으로, 상기 컨베이어부(120)는 메인바디(121), 석션바디(122), 석션플레이트(123), 롤러부(124) 및 밸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or part 120 may include a main body 121, a suction body 122, a suction plate 123, a roller part 124, and a belt 125.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바디(121)는 상기 액추에이터(170)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111)의 상측에서 상, 하 이동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구동부가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ain body 121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170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111, and a driving unit (not shown) can be received.

상기 구동부는 유압 또는 공압 액추에이터일 수 있으며 석션과 밸트(125) 구동을 위해 다수의 액추에이터가 솔레노이드밸브(126)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be a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 and a plurality of actuators may be provided to the solenoid valve 126 or the like for driving the suction and the belt 125.

상기 석션바디(122)는 상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외기를 상측에서 내부 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흡입하도록 상기 메인바디(121)에 수용될 수 있다.The suction body 122 may be formed to be open at an upper side and be received in the main body 121 to suck the outside ai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by the driving unit.

상기 석션플레이트(123)는 복수 개의 제1 흡입홀(123a)이 형성되며 상기 석션바디(122)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석션바디(122)와 볼트 체결될 수 있다.The suction plate 123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123a and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body 122 and may be bolted to the suction body 122. [

상기 석션바디(122)와 석션플레이트(123) 사이에는 밀폐를 위한 오링과 같은 탄성체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Between the suction body 122 and the suction plate 123, an elastic body such as an O-ring for sealing may be further disposed.

상기 롤러부(124)는 상기 메인바디(121)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124a)과, 상기 구동축(124a)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종동축(124b)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unit 124 includes a driving shaft 124a received in the main body 121 and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unit and at least one driven shaft 124b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riving shaft 124a. . ≪ / RTI >

여기서, 상기 구동축(124a)과 종동축(124b)들은 상기 메인바디(121) 내측에서 상기 석션바디(122)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shaft 124a and the driven shaft 124b may be dispos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ction body 122 inside the main body 121. [

상기 밸트(125)는 복수 개의 제2 흡입홀(125a)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부(124)에 권취되어 상기 석션바디(122) 및 석션플레이트(123)를 감싸면서 이동될 수 있다.The belt 125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125a and is wound around the roller 124 and can be moved while enclosing the suction body 122 and the suction plate 123. [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120)는 베이스(111) 상에서 액추에이터(170)에 의해 상, 하 이동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밸트(125)가 구동축(124a)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밸트(125) 상에 배치된 가공품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1 흡입홀(123a)과 제2 흡입홀(125a)을 통해 상측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That is, the conveyor par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to be moved up and down by the actuator 170 on the base 111, and the belt 125 is rotated by the driving part to rotate the driving shaft 124a And the upper outside air can be sucked through the first suction hole 123a and the second suction hole 125a in order to firmly fix the workpiece disposed on the belt 125. [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그라인딩부(130)는 상기 컨베이어부(12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반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7 to 9, the grinding unit 13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veyor unit 120 and may be disposed on the housing 110 so as to be taken out of the housing 110 .

구체적으로, 상기 그라인딩부(130)는 상기 하우징(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131)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31)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구동모터(132)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31)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3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브러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nding unit 130 includes a sliding plate 131 slidably disposed in the housing 110, a driving motor 132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131, And at least one brush part 133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iving motor 131 and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132.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31)의 양 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각각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114)에 안치되어 회전하는 롤러(13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롤러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31)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용이하게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The sliding plate 131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134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liding plate 131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sliding guide 114. The sliding plate 131 And can be easily moved outwardly from the housing 11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100)는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31)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31)의 상기 하우징(110)에 대한 이동력을 제한하는 스토퍼(13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135)에 의해 상기 브러쉬부(133)의 구동시 하우징(110)에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31)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debur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pper 135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131 to limit a moving force of the sliding plate 131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0 And the sliding plate 131 can be firmly fixed to the housing 110 by the stopper 135 when the brush unit 133 is driven.

상기 브러쉬부(133)는 복수 개가 상기 구동모터(132)로부터 유성기어 방식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개, 또는 복수 개의 구동모터(132)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rush units 133 may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132 in a planetary gear mode and two or more driving motors 132 may be mounted on the sliding plate 131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상기 브러쉬부(133)는 일측면에 원형의 돌출부(1331a)와 상기 돌출부(1331a)의 외주면에 다단으로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부(1331b)를 포함하는 수커플링(1331)과, 상기 수커플링(1331)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브러쉬(1332)와, 상기 돌출부(1331a)와 돌기부(1331b)가 형성하는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1333a)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13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암커플링(1333)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rush unit 133 includes a male coupling 1331 having a circular protrusion 1331a on one side and at least one protrusion 1331b formed in a multi-stag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1331a, A brush 1332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le coupling 1331 and a coupling groove 1333a corresponding to a shape formed by the protrusions 1331a and the protrusions 1331b are formed, And a female coupling 1333 that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the arm coupling 1333.

또한, 상기 암커플링(1333)은 상기 체결홈(1333a) 내부에 상기 구동축(124a) 또는 유성기어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1333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커플링(1331)의 상기 돌출부(1331a) 내부에는 상기 체결홀(1333b)에 대응되는 요입홈(1331c)이 형성될 수 있다.The female coupling 1333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hole 1333b for coupling with the driving shaft 124a or the planetary gear within the coupling groove 1333a. A recess 1331c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333b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1331a.

상기 수커플링(1331)을 상기 암커플링(1333)에 삽입하고 회전시키면, 상기 수커플링(1331)의 돌기부(1331b)의 형상에 따라 암커플링(1333)에 탄성적으로 체결되게 된다. When the male coupling 1331 is inserted into the female coupling 1333 and rotated, the male coupling 1331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female coupling 1333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331b of the male coupling 1331 .

이러한 수커플링(1331)과 암커플링(1333)의 체결력은 상기 브러쉬(1332)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브러쉬(1332)의 동작 중에 상기 수커플링(1331)이 상기 암커플링(1333)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coupling force of the male coupling 1331 and the female coupling 1333 can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1332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rush 1332, The fastening force can be firmly maintained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female coupling 1333.

한편, 상기 컨트롤부(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성요소의 제어를 위한 조작을 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4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and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또한, 상기 알람부(150)는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소리 또는 빛으로 작업자에게 이상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집진필터부(16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빨아들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larm unit 150 may transmit an abnormality to the operator by sound or light when an abnormality occurs, and the dust filter unit 160 may suck dus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in the housing 110 have.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장치(100)는 외기를 흡입하여 상측의 가공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부를 상, 하 이동시킴으로서, 그라인딩부(130)를 하우징(110)에서 용이하게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며, 브러쉬(1332)의 유지보수를 위해 수커플링(1331)과 암커플링(1333)을 이용한 간단한 탈착이 가능하여 가공품의 품위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debur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grinding unit 130 from the housing 110 to the outside easily by moving the container unit, which is capable of sucking the outside air and fixing the workpiece on the upper sid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using the male couplings 1331 and the female couplings 1333 for maintenance of the brushes 1332,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workpieces.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nge and its equivalent range.

100: 디버링장치 110: 하우징
111: 베이스 112: 프레임
113: 도어 114: 슬라이딩가이드
120: 컨베이어부 121: 메인바디
122: 석션바디 123: 석션플레이트
124: 롤러부 125: 밸트
126: 솔레노이드밸브 130: 그라인딩부
131: 슬라이딩플레이트 132: 구동모터
133: 브러쉬부 1331: 수커플링
1332: 브러쉬 1333: 암커플링
100: Deburring device 110: Housing
111: base 112: frame
113: Door 114: Sliding guide
120: Conveyor part 121: Main body
122: Suction body 123: Suction plate
124: roller portion 125: belt
126: solenoid valve 130: grinding part
131: sliding plate 132: driving motor
133: Brush part 1331: Male coupling
1332: Brush 1333: Female coupling

Claims (10)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면이 형성되는 정육각형 또는 직육각형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대향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를 상, 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와 컨베이어부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컨베이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반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그라인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인딩부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브러쉬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부는,
일측면에 원형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다단으로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수커플링;
상기 수커플링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브러쉬; 및
상기 돌출부와 돌기부가 형성하는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암커플링;을 포함하는 디버링장치.
A housing including a base, a frame of a regular hexagonal or hexagonal shape disposed above the base and having at least one opening surface, and a sliding guide disposed on each of opposite sides of the frame;
A conveyor portion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housing;
At least one actuator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nveyor to move the conveyor up and down; And
And a grinding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veyor unit and dispos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able to be taken out of the housing,
The grinding unit includes:
A sliding plate slidably disposed in the housing;
A driving motor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sliding plate; And
And at least one brush portion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sliding plate and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The brush unit includes:
A male coupling including a circular protrusion on one side and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in a multi-stag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A brush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le coupling; And
And a female coupling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a shape formed by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projection and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면이 형성되는 정육각형 또는 직육각형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개구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디버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Base;
A hexagonal or hexagonal frame disposed above the base and having at least one opening surface; And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그라인딩부가 상기 하우징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반출되는 디버링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inding portion is slid in the housing and is carried out of the hous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구동부가 수용되는 메인바디;
상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외기를 상측에서 내부 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흡입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수용되는 석션바디;
복수 개의 제1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석션바디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석션플레이트;
상기 메인바디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종동축을 포함하는 롤러부; 및
복수 개의 제2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부에 권취되어 상기 석션바디 및 석션플레이트를 감싸면서 이동되는 밸트;를 포함하는 디버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or portion
A main body in which a driving unit is accommodated;
A suction body formed in the main body so as to open the upper side and to suck the outside air from the inside o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by the driving unit;
A suc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formed therein and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body;
A roller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drive shaft receiving drive force from the drive unit and at least one slave shaft spaced apart from the drive shaf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d a belt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wound around the roller unit and moving while surrounding the suction body and the suction pl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복수 개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유성기어 방식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디버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rush portions are configured to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e motor in a planetary gear mo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 양측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각각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안치되어 회전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디버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roll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plate, the roller being rotatably mounted on the sliding gu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이동력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디버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opper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to limit a moving force of the sliding plat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KR1020180025529A 2018-03-05 2018-03-05 Deburring machine KR1019105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529A KR101910560B1 (en) 2018-03-05 2018-03-05 Deburr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529A KR101910560B1 (en) 2018-03-05 2018-03-05 Deburr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560B1 true KR101910560B1 (en) 2018-10-22

Family

ID=6410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529A KR101910560B1 (en) 2018-03-05 2018-03-05 Deburr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56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024B1 (en) 2005-11-30 2006-12-01 김문식 A washing - grinding brush system
KR101531623B1 (en) * 2014-01-17 2015-06-25 태일실업 주식회사 A Saw Blade Automatic Grinding Apparatus
KR200481326Y1 (en) 2016-07-04 2016-09-13 (주)나래에프에이씨 Grinding attach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024B1 (en) 2005-11-30 2006-12-01 김문식 A washing - grinding brush system
KR101531623B1 (en) * 2014-01-17 2015-06-25 태일실업 주식회사 A Saw Blade Automatic Grinding Apparatus
KR200481326Y1 (en) 2016-07-04 2016-09-13 (주)나래에프에이씨 Grinding attach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0066U (en) Laser workstation with endless loop conveyor and adjusted access door
US9120282B2 (en) Buffing apparatus for production of retreaded tire
CN11149175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brasive element replacement in a machine for working surfaces
WO2014122968A1 (en) Brush unit, brush polishing device provided with this brush unit, brush polishing system, and brush polishing method
JP6431560B2 (en) Double-head surface grinding machine and grinding method
EP2505308A1 (en) Power tool
KR101910560B1 (en) Deburring machine
CN110682192B (en) Robot polishing equipment and method for large container inner cavity
SU1491324A3 (en) Apparatus for finishing working of surfaces
KR102452672B1 (en) Deburring apparatus
KR101178342B1 (en) Automatic chamfering machine
PL1782931T3 (en) Edge milling machine
KR102051466B1 (en) Chamfering apparatus for flange of timming pulley
CN213888347U (en) Milling machine for processing double-speed chain conveying line
CN211219989U (en) Multifunctional driving type deburring mechanism
CN210360721U (en) Bicycle chain grinding device
CN209868289U (en) Upper grinding disc device for polishing
KR101416162B1 (en) Processing apparatus for roller
EP3590656A1 (en) Tool for cleaning rollers of machines for closing containers or cans
CN212825606U (en) Rotating device and cutting machine with same
KR101640740B1 (en) Belt turret apparatus
KR101783705B1 (en) Apparatus for grinding disk
CN109227310B (en) Footboard face sand mill constructs frock
CN215281257U (en) Bottle mouth processing machine for end face processing
CN218904305U (en) Multi-station numerical control machining c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