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549B1 - Shock-absorbing unit and shoe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hock-absorbing unit and shoe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549B1
KR101910549B1 KR1020180003881A KR20180003881A KR101910549B1 KR 101910549 B1 KR101910549 B1 KR 101910549B1 KR 1020180003881 A KR1020180003881 A KR 1020180003881A KR 20180003881 A KR20180003881 A KR 20180003881A KR 101910549 B1 KR101910549 B1 KR 10191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cover portion
absorbing unit
shoc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반무영
전상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엘에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엘에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엘에스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0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5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5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5Elasticated plates sandwiched between two interlocking components, e.g. thrusto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Abstract

Provided is a footwear having a shock absorber unit. In the footwear consisting of a sole, a midsole, and an outer skin, the foot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ccommodation part formed between the sole and the midsole of a back heel part; and the shock absorber unit attached to the accommodation part. The shock absorber unit includes: a cover part having an overall elliptical shape and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n X-shaped intermediate part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 first main buffer part and a second main buffer part are formed by the cover part and the X-shaped intermediate part.

Description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SHOCK-ABSORBING UNIT AND SHOES HAVING THE SAME}[0001] SHOCK ABSORBING UNIT AND SHOES HAV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absorbing unit and a shoe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한 물건으로서, 발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신발에 있어, 보다 증진된 완충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발 창의 재질이나 그 구조를 복합적으로 구성하거나 별도 부품으로서 완충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있으나, 신발 창의 재질을 변경 구성하여 증진된 완충 기능을 확보하는 방식은 일정한 한계가 있으므로, 완충 장치를 신발에 내장시켜 완충 기능을 증진시키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였다.In general, a shoe is a thing for protecting a foot, and plays a role of absorbing and alleviating an external shock transmitted to the foot. In order to secure a more improved buffering function in shoes, there is a method of composing a shoe window material or its structure in combination or using a shock absorber as a separate part, but a method of securing an improved buffering function by changing the material of the shoe window There is a certain limit, so research on a method of enhancing the buffering function by incorporating a shock absorber in shoes has been actively studied.

이러한 신발의 완충 기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방식의 일 예로, 신발의 밑창에 설치되는 에어백이나 에어튜브, 및 패드와 스프링을 결합하여 설치하는 방식 등이 있었다.An example of a way to enhance the cushioning function of such a shoe is an air bag or an air tube installed in the sole of a shoe,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pad and a spring in combination.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계속해서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에어백이나 에어튜브가 터져 완충 기능을 제대로 구현할 수 없는 내구성 문제가 있으며, 추가적인 조립 공정 진행에 따른 시간 낭비와 경제적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durability problem that the airbag or the air tube blows due to the pushing force continuously applied by the user and the cushioning function can not be properly implemen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ditional assembly process is time- there was.

* 관련 선행기술 * Related Prior Art

1. 한국 등록특허 제1508311호 (2015.03.27. 공고)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508311 (Notice of March 27, 2015)

2. 한국 등록특허 제1128295호 (2012.03.13. 공고)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128295 (Notice of March 13, 2012)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조원가를 낮추어 경제성은 높이면서, 사용자의 보행 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충격 완화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comprising an impact mitigating unit capable of mitigating a shock caused by a user's walking while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the econom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밑창, 중창, 및 갑피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뒷굽 부분의 밑창과 중창 사이 또는 중창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부착되는 충격 완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 완화 유닛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을 가지며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되는 X자형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X자형 중간부는, 상기 신발의 내측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게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twear comprising a sole, a middle, and an upper, which are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ompris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sole and the middle of the heel; And a shock absorbing unit attached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shock absorbing unit comprises: a cover portion having an overall elliptical shape and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nd an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wherein the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is configured to become thicker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hoe.

여기서, 상기 커버부는, 그 양측에 Ω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와 이격 형성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ver portion may include an auxiliary buffe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in the form of &ohgr; on both sides thereof.

여기서, 상기 충격 완화 유닛은,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기 커버부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밑창 또는 상기 중창의 하부와 접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ase portion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having a width equal to that of the cover portion and longer than the cover portion and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sole or the middle portion,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충격 완화 유닛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을 가지며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되는 X자형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X자형 중간부는, 상기 신발의 내측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게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ck absorbing unit comprising: a cover part having an overall oval shape and forming an outer shape; And an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wherein the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is configured to become thicker toward the outer side from the inner direction of the shoe.

여기서, 상기 커버부는, 그 양측에 Ω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와 이격 형성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ver portion may include an auxiliary buffe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in the form of &ohgr; on both sides thereof.

여기서, 상기 충격 완화 유닛은,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기 커버부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밑창 또는 상기 중창의 하부와 접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ase portion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having a width equal to that of the cover portion and longer than the cover portion and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sole or the middle portion,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화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에 의하면, 이중 완충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걸음걸이에 대해 3단계 완충 효과를 가지고, 발의 모양을 고려하여 제작되므로 사용자의 보행 시 균형을 맞추는데 보탬이 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충격 완화 유닛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성형을 통한 제작 공정을 간소화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shoe including the shock-absorb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has a three-step cushioning effect on the user's walking by the double cushioning structure and is manufactured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foot, It can be helpful to match and, accordingly, it can have the effect of promoting the health of the user.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shock absorbing unit is simple, the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the molding can be simplified, and the economical effect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착용자의 걸음을 내딛었을 때의 충격 완화 유닛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착용자의 걸음이 지면과 평행할 때의 충격 완화 유닛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착용자의 걸음을 뗄 때의 충격 완화 유닛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의 측면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of a shock absorbing unit and a sho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hock absorbing unit and a shoe including the shock absorb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n impact dam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absorb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ock-absorb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hock absorbing unit and a shoe including the shock absorbing unit, illustrating movement of the shock absorbing unit when a step of a wearer of a shoe is take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act damping unit and a shoe including the shock damping unit,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the shock damping unit when the foot of the shoe wearer is parallel to the 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n impact damping unit and a shoe including the shock damping unit, showing the movement of the shock damping unit when the wearer of the shoe is relea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shock absorbing unit and a sho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의 분해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 유닛의 정면도이다.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hock absorbing unit and a shoe including the shock absorb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Is a front view of the shock absorb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충격 완화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100)은, 밑창(110), 중창(130), 갑피(150), 수용부(170), 및 충격 완화 유닛(19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shoe 100 including a shock absorbing unit includes a sole 110, a middle 130, an upper 150, a receiving portion 170, and a shock absorbing unit 190 .

밑창(110)은 신발의 가장 밑에 붙이는 창으로, 지면과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구성이다.The sole 110 is a window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oe,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중창(130)은 밑창의 윗부분에 위치하는 창으로, 밑창과 결합하여 신발의 내구성을 보강하고, 신발착용자의 보행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분산시키기 위해 한 겹을 덧 붙여낸 구성이다.The middle window (130) is a window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sole, which is combined with the sole to reinforce the durability of the shoe, and a single layer is added to absorb and disperse the shock applied by the shoe wearer.

갑피(150)는 신발을 둘러싸고 있는 겉감으로, 발등과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구성이다.Upper (150) is the outer surface surrounding the shoe, which protects the instep and joints.

수용부(170)은 뒷굽 부분의 밑창(110)과 중창(130)이 결합하여 형성되거나 중창(1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70)는 대체로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170)의 높이는 후술하는 충격 완화 유닛(19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70)의 폭과 길이는 후술하는 충격 완화 유닛(190)의 폭과 길이보다 넓고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iving portion 170 may be formed by joining the sole 110 and the middle 130 of the heel portion or may be formed inside the middle 130. The receiving portion 17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receiving portion 170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hock-absorbing unit 190 described later. The width and lengt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70 may be longer and longer tha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hock-absorbing unit 190 described later.

충격 완화 유닛(190)은 수용부(170)에 부착되어 수용될 수 있다. 충격 완화 유닛(190)은 합성수지재 등의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충격 완화 유닛(190)은 커버부(191), X자형 중간부(193), 제 1 메인 완충부(195), 제 2 메인 완충부(197), 및 베이스부(199)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unit 190 may be attached to and received by the receiving portion 170. The shock absorbing unit 19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hock absorbing unit 190 may include a cover portion 191, an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193, a first main buffer portion 195, a second main buffer portion 197, and a base portion 199 .

이러한 구성에 의해, 중창(13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170)에 충격 완화 유닛이 수용됨으로써, 중창(130)의 하부가 보다 견고하게 충격 완화 유닛(190)을 받쳐주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충격 완화 유닛(190)이 흔들리지 않도록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shock absorbing unit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70 formed in the middle window 13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 window 130 supports the shock absorbing unit 190 more durably to improve durability , So that the shock absorbing unit 190 can be made sticky so as not to shake.

커버부(191)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인 외관을 형성한다. 커버부(191)의 외측 상면은 중창(130)의 내측 상면(131)에 닿을 수 있다. 커버부(191)는 보조 완충부(191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ver portion 191 forms an overall oval-shaped outer tube.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91 can touch the inner upper surface 131 of the middle window 130. [ The cover portion 191 may include an auxiliary buffer portion 191a.

보조 완충부(191a)는 커버부(19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완충부(191a)는 밑창(110) 및 중창(130)과 이격되도록 설치되거나, 후술하는 베이스부(199) 및 중창(130)과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완충부(191a)는 커버부(191)의 외측을 향하도록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완충부(191a)는 Ω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완충부(191a)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 도 5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auxiliary buffering portion 191a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portion 191. [ The auxiliary buffer 191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ole 110 and the middle 130 o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199 and the middle 130 described below. The auxiliary buffering portion 191a may have a protruding shape toward the outside of the cover portion 191. [ Specifically, the auxiliary buffer 191a may have an Ω form. The specific function of the auxiliary buffer 191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X자형 중간부(193)는 커버부(191)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X자형 중간부(193)는 커버부(19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X자형 중간부(193)는 하방향으로 만곡되는 윗부분(193a)과 상방향으로 만곡되는 아랫부분(193b)을 포함할 수 있다. X자형 중간부(193)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도 4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193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ortion 191. At this time, the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193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cover portion 191. The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193 may include an upwardly curved upper portion 193a and an upwardly curved lower portion 193b.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19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제 1 메인 완충부(195)는 커버부(191)의 내측 상면(191b)과 X자형 중간부(193)의 윗부분(193a)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메인 완충부(195)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메인 완충부(195)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메인 완충부(195)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main buffering part 195 may be formed by joining the inner upper surface 191b of the cover part 191 and the upper part 193a of the X-shaped intermediate part 193. The first main buffer 195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The first main buffer 195 may be formed. The first main buffer 195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제 2 메인 완충부(197)는 커버부(191)의 내측 하면(191c) 및 X자형 중간부(193)의 아랫부분(193b)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메인 완충부(197)는 제 1 메인 완충부(195)와 동일한 크기의 타원형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main buffering part 197 may be formed by joining the inner bottom surface 191c of the cover part 191 and the lower part 193b of the X-shaped intermediate part 193. The second main buffering part 197 may have an elliptic shap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main buffering part 195.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메인 완충부(195)와 제 2 메인 완충부(197)는 신발착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족압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제 1 메인 완충부(195)와 제 2 메인 완충부(197)가 신발착용자의 발이 지면에 닿았을 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신발착용자의 발과 다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main buffer 195 and the second main buffer 197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foot pressure applied by the shoe wearer. Therefore, the first main buffer 195 and the second main buffer 197 can be elastically deformed, 2 main shock absorber 197 absorbs the impact applied when the foot of a shoe wearer touches the ground, so that the foot and the leg of the shoe wear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logged.

베이스부(199)는 커버부(191)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99)의 저면은 밑창(110) 또는 중창(130)의 내측 하면(133)과 접하여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부(199)는 보조 완충부(191a)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99)는 신발착용자의 족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베이스부(199)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4 내지 도 5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base portion 199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91.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199 can be seated against the inner bottom surface 133 of the sole 110 or the middle 130. The base portion 199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buffer portion 191a. The base portion 199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foot pressure of the shoe wearer.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199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라인(V-V)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 유닛의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act dam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act dam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V-V of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99)는 커버부(191)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99)는 커버부(19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99)는 대체로 직사각형 모양의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base portion 199 may have a wid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cover portion 191. Further, the base portion 199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cover portion 191. The base portion 199 may have a generally rectangular plate shape.

X자형 중간부(193)는 신발(100)의 측면끼리 마주하는 내측을 향하는 방향(A)에서 신발(100)의 측면끼리 반대되는 외측을 향하는 방향(B)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족저 바깥쪽 방향에 대응되는 X자형 중간부(193)의 일측 두께(T)는 족저 안쪽 방향에 대응되는 X자형 중간부(193)의 타측 두께(t)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The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193 may be formed thicker in the direction B toward the outward side of the shoe 100 opposite to the side of the shoe 100 in the direction A toward the inner side facing the side surfaces of the shoe 100. Specifically, the thickness T at one side of the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193 corresponding to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plantar part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t at the other side of the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193 corresponding to the inward direction of the foot.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신발착용자의 족저 안쪽보다 족저 바깥쪽이 지면에 닿는 부분이 많아 압력이 더욱 가해지는 점을 감안하여 족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충격 흡수 기능을 더욱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으며, 신발착용자의 보행 시 균형을 맞춰주어 보행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exhibit the shock absorbing fun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oot of the footwear,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portion of the footwear that touches the ground surface is greater than the footwear of the footwear wearer, It is possible to have the effect of helping walking by balancing on walk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착용자의 걸음을 내딛었을 때의 충격 완화 유닛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착용자의 걸음이 지면과 평행할 때의 충격 완화 유닛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착용자의 걸음을 뗄 때의 충격 완화 유닛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의 측면 단면도이다.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hock absorbing unit and a shoe including the shock absorb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 FIG.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hock-absorbing unit showing the movement of the shock-absorbing unit when the footstep of the wearer is parallel to the 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hock absorbing unit and a shoe including the shock absorbing unit. Fig.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완충부(191a)는 신발착용자의 족압이 가해지는 위치에 맞춰 베이스부(199)에 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착용자의 보행 시, 신발착용자가 걸음을 내딛을 때 발뒤꿈치의 끝부분이 가장 먼저 지면에 닿으므로 뒷쪽에 구비된 보조 완충부(191a)가 베이스부(199)에 닿으며 1차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auxiliary buffer 191a may be formed so as to touch the base portion 199 at a position where foot pressure of the shoe wearer is applied. For example, when the shoe wearer steps on the foot of the shoe wearer, the tip of the heel touches the ground first, so that the auxiliary buffer 191a provided on the rear side touches the base 199, Buffering can be done.

도 7을 참조하면, 신발착용자의 보행 시, 신발착용자의 걸음이 지면과 평행하여 가장 강합 압력이 가해질 때 제 1 메인 완충부(195)와 제 2 메인 완충부(197)가 함께 눌리며 이중적으로 2차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shoe wearer is walking and the stride of the shoe wearer is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most pressing pressure is applied, the first main buffer part 195 and the second main buffer part 197 are pressed together, A secondary buffer can be made.

도 8을 참조하면, 신발착용자의 보행 시, 신발착용자가 걸음을 뗄 때, 발뒤꿈치의 앞부분에 대응되는 보조 완충부(191a)가 베이스부(199)에 닿으며 3차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shoe wearer steps on the footwear, when the shoe wearer takes a step, the auxiliary buffer 191a corresponding to the front portion of the heel touches the base 199 and the buffer can be tertiary. .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조 완충부(191a)가 신발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베이스부(199)에 닿도록 형성되어 보다 많은 면적에 대해 추가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3단계의 완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완충 기능을 더욱 보완할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auxiliary buffering portion 191a is formed so as to touch the base portion 199 in accordance with the walking of the shoe wearer, so that the additional shock can be absorbed to a larger area, and the buffering effect of three stages can be exhibited The buffering function can be further supplemented.

상기와 같은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The above-described shock-absorbing unit and the shoe including the shock-

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anner of the apparatus.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 신발
110 : 밑창 130 : 중창
131 : 중창의 내측 상면 133 : 중창의 내측 하면
150 : 갑피 170 : 수용부
190 : 충격 완화 유닛
191 : 커버부 191a : 보조 완충부
191b : 커버부의 내측 상면 191c : 커버부의 내측 하면
193 : X자형 중간부 193a : X자형 중간부의 윗부분
193b : X자형 중간부의 아랫부분
195 : 제 1 메인 완충부 197 : 제 2 메인 완충부
199 : 베이스부
100: Shoes
110: Outsole 130: Medium
131: Inner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133: Inner side surface of the midsole
150: upper portion 170: receiving portion
190: shock damping unit
191: cover part 191a: auxiliary buffer part
191b: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91c: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93: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193a: X-shaped upper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193b: lower part of the X-shaped middle part
195: first main buffering part 197: second main buffering part
199: base portion

Claims (6)

밑창, 중창, 및 갑피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뒷굽 부분의 밑창과 중창 사이 또는 중창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부착되는 충격 완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 완화 유닛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을 가지며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되는 X자형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X자형 중간부는,
상기 신발의 내측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충격 완화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
In a shoe consisting of a sole, a midsole, and an upper,
A receiv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sole and the middle of the heel portion or inside the middle portion;
And a shock absorbing unit attached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shock-
A cover portion having an overall oval shape and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nd an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The X-
Wherein the shoe is thickened from an inner side toward an outer side of the sho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그 양측에 Ω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와 이격 형성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하는, 충격 완화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se portion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The cover portion
And an auxiliary buffer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in a form of an Ω,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기 커버부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밑창 또는 상기 중창의 하부와 접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충격 완화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se portion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cover portion and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cover portion and contact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sole or the middle portion.
밑창, 중창, 및 갑피로 구성되는 신발에 이용되는 충격 완화 유닛으로서,
전체적으로 타원형을 가지며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되는 X자형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X자형 중간부는,
상기 신발의 내측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충격 완화 유닛.
A shock absorbing unit for use in a shoe comprising a sole, a midsole, and an upper,
A cover portion having an overall oval shape and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nd an X-shaped intermediate portion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The X-
And is thicker from the inner side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ho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그 양측에 Ω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와 이격 형성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하는, 충격 완화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base portion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The cover portion
And an auxiliary buffe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in the form of? On both sides thereof.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기 커버부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밑창 또는 상기 중창의 하부와 접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충격 완화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base portion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the base portion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cover portion, the base portion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cover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 bottom portion of the sole or the middle portion.
KR1020180003881A 2018-01-11 2018-01-11 Shock-absorbing unit and shoes having the same KR1019105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881A KR101910549B1 (en) 2018-01-11 2018-01-11 Shock-absorbing unit and shoe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881A KR101910549B1 (en) 2018-01-11 2018-01-11 Shock-absorbing unit and shoes hav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322A Division KR101875777B1 (en) 2017-05-08 2017-05-08 Shock-absorbing unit and shoe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549B1 true KR101910549B1 (en) 2018-10-22

Family

ID=6410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881A KR101910549B1 (en) 2018-01-11 2018-01-11 Shock-absorbing unit and shoe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54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374B1 (en) 2016-07-12 2017-01-06 (주)프라미스 Health shoes for shock absorb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374B1 (en) 2016-07-12 2017-01-06 (주)프라미스 Health shoes for shock absorb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3983A (en) Shock-absorbing system for shoe
JPH08173207A (en) External sole for shoes
KR20120085780A (en) Shoe with support system
KR100887625B1 (en) The elastic sole and its shoes having elastic reaction force and shock absorption
KR100758023B1 (en) Insole with shock-absorb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033710A (en) Shoes for health
KR100518307B1 (en) Shoes
KR101450432B1 (en) Shoe sole for shock absorp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875777B1 (en) Shock-absorbing unit and shoes having the same
KR101910549B1 (en) Shock-absorbing unit and shoes having the same
KR100463570B1 (en) shoes for absorbing sock
KR101149489B1 (en) Mid-sole and shoes having the same
KR101693374B1 (en) Health shoes for shock absorbing
KR101351441B1 (en) Shock absorber mid-sole for functional shoes
KR20120136258A (en) Footwear sole having shock absorbing and repurcusion
CN113498910A (en) Sport shoe and insole system thereof
JP3174314U (en) Insoles for shoes and shoes
KR200376979Y1 (en) Bottom plate of footwear
KR102001997B1 (en) Shoes with a functional sole part
KR200361990Y1 (en) shoes for absorbing sock
KR102576313B1 (en) Footwear Outsole System Having Shock Absorbing Structure
KR20130117104A (en) Structure of shock absorber type shoe
KR200426108Y1 (en) The sole of a shoe
CN215270890U (en) Sport shoe and insole system thereof
KR200406367Y1 (en) A pad for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