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487B1 - Energy-saving water purifier with waste heat recovery function - Google Patents

Energy-saving water purifier with waste heat recovery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487B1
KR101910487B1 KR1020180032804A KR20180032804A KR101910487B1 KR 101910487 B1 KR101910487 B1 KR 101910487B1 KR 1020180032804 A KR1020180032804 A KR 1020180032804A KR 20180032804 A KR20180032804 A KR 20180032804A KR 101910487 B1 KR101910487 B1 KR 101910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ock
water
hot water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주
Original Assignee
박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주 filed Critical 박종주
Priority to KR102018003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4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4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7Electrical control means for the dispens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4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air or from vap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and hot water dispenser, which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cold water tank and a hot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unit formed in the front surface unit of the main body and purifying and discharging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or the hot water tank. Accordingly, the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is cooled by exchanging heat between hot waste gas generated when operating a cooling means and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so a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pre-heat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while cooling the hot waste gas.

Description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Energy-saving water purifier with waste heat recovery func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saving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 hot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aving cold / hot water generator having a waste heat recovering function.

최근 급속한 경제 성장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에너지 소비가 크게 늘어나면서 에너지 절약과 폐열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여 폐열회수 분야의 중요성 높아지고 있다.In recent years, rapid economic growth and improved living standards have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and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energy saving and recycling methods for recovering waste heat.

그러나 냉온정수기 분야에서는 오히려 열을 방출하는 장치들이 냉온정수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어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몇몇 기술이 제안되었고 폐열은 그대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field of cold / warm water purifiers, rather, devices that emit heat cause degrad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To solve the problem, some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and the waste heat is being abandoned as it is.

일반적으로 냉온정수기의 냉각시스템은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고온의 냉매에 포함된 고열을 외부로 발산시켜 냉매로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온상태로 변화시키는 캐필러리 튜브와 냉각탱크의 외벽에 감겨져 냉각 탱크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로 구성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cooling system of a cold / warm water purifier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refrigerant in a gaseous state, a condenser for condensing high heat contained in high-temperatur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mpressor to a refrigerant, And a cooling coil wound around an outer wall of the cooling tank to cool the cooling tank.

즉, 종래의 냉온정수기는 컴팩트한 몸체 내부공간에 압축기의 열기와 방열 판의 열기가 모여 냉온정수기의 내부 온도를 과도하게 올려 냉수 탱크의 단열성능을 저하시키고 또한 압축기의 빈번한 운전으로 전기 소모량 상승과 압축기의 잦은 고장을 일으켜 하절기에 냉온정수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old / warm water purifier, the heat of the compressor and the heat of the heat radiating plate are gathered in the compact internal space of the body, excessively rai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to lower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cold water tank, Frequent failures of the compressors are caus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is lowered during the summer season.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냉온정수기에는 내부 온도를 낮춰주기 위한 별도의 냉각장치가 마련되야 하므로 추가적인 전력소모가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cold / warm water purifier needs to have a separate cooling device for lowe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o that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occurs.

한편,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의 정수기들은 공급되는 수돗물이 먼저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되고, 정수된 물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에 저장되었다가 각 탱크로부터 코크까지 별도의 관을 연결하여 작동시 관을 통해 코크로 배출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바,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종래 정수기의 경우 정수기의 비사용시 각 탱크와 코크를 연결하는 관에 머물러있던 물이 변질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된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s, the tap water to be supplied is first purified by the water filter,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and a separate pipe is connected from each tank to the coke, In the cas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water purifier is not used, the water staying in the pipe connecting each tank and the cork is deteriorated due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9941호Korean Patent No. 10-050994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수탱크에 저장된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의 작동 시 발생하는 고온의 폐가스와 온수탱크에 공급되는 원수를 열교환시켜, 고온의 폐가스는 냉각시켜주면서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원수는 예열하도록 구성되는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t water storage tank which is capable of exchanging heat between high temperature waste ga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cooling means for cooling raw water stored in a cold water tank and raw water supplied to a hot water tank, And to provide a power saving cold / hot water purifier to which a waste heat recovering function configured to preheat raw water is added.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가 내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구성되어 상기 냉수탱크 또는 온수탱크에 저장된 원수를 정수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음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saving cold / hot water purifier with the waste heat recov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cold water tank and a hot water tank are installed; And a negative electrode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purify raw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or the hot water tank.

이때, 상기 냉수탱크는 냉각수단과 연결되며, 냉수탱크에 공급된 원수가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열교환장치가 구성되되,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냉각수단의 가동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원수를 예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ld water tank is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end, and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is cooled by the cooling means,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 device, wherein the heat exchange device includes waste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cooling means And to preheat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또한, 상기 열교환장치는 일단에 형성되는 가스유입구를 통해 상기 냉각수단의 폐열이 인입되며, 인입된 폐열이 타단에 형성되는 가스유출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스유입구와 가스유출구를 연통시키는 가스통로; 상기 가스통로를 감싸는 구조로 일단부에 원수유입구가, 타단부에 원수유출구가 형성되는 예열통로;를 포함하여, 상기 원수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예열된 원수는 상기 온수탱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 exchanger may further include a gas passage communicating the gas inlet and the gas outlet such that the waste heat of the cooling means is drawn through a gas inlet formed at one end and the waste heat is discharged to a gas outlet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preheating passage having a raw water inlet at one end and a raw water outlet at the other end, the preheated raw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raw water outlet is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

한편, 상기 음수대는 상기 냉수탱크 또는 온수탱크로부터 급수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음수대에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코크; 상기 코크에 직결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음용수로 정수시키는 필터부; 상기 코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음용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egative cage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or the hot water tank through a water supply line, and is exposed to the negative electrode. A filter unit directly connected to the cock to purify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into drinking water; And a drinking button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cock.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코크의 상측에 살균건조부가 더 구성되되, 상기 살균건조부는 히터;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코크를 향해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코크를 향해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ing and drying unit on the upper side of the cock, wherein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includes a heater; A blowing fan for blowing air heated by the heater toward the cock; And an ultraviolet lamp which is arranged to be irradiated toward the cock.

아울러, 상기 음수대의 전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손세정수단이 더 구성되되, 상기 손세정수단은 손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저장부; 상기 음수대의 전면에 노출되며 상기 세정액저장부와 세정액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세정액노즐; 상기 세정액노즐의 작동을 제어하는 세정버튼; 상기 세정버튼이 ON/OFF됨에 따라 세정액라인을 개방 및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세정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hand control means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wherein the hand control means comprises: a cleaning liquid storage portion for storing hand cleaning liquid; A cleaning liquid nozzle expos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connected to the cleaning liquid reservoir through a cleaning liquid line; A cleaning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liquid nozzle; And a cleaning valve for controlling the cleaning liquid line to be opened and closed as the cleaning button is turned on / off.

일례로써, 상기 코크, 살균건조부 및 손세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세정수단 및 상기 코크의 작동 후에 상기 살균건조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ock,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and the hand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after operation of the hand control unit and the cock.

다른 예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세정수단이 작동된 후에만 상기 코크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rk is operated only after the hand control means is operated.

한편, 상기 필터부는 그 하단이 상기 급수라인과 결합되고, 그 상단은 상기 코크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필터부가 내재되는 위치 전면에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되, 그 하단부가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는 개폐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line, the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is coupled to the cock, and the main body is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t a front surface of the filter unit. And an open /

이때, 상기 개폐구에는 종방향으로 긴 장공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본체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급수라인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고정판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측에는 유동판이 배치되되, 상기 고정판 및 유동판 사이에 탄성체가 개재되며, 상기 필터부의 일측에는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개폐구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작동바가 마련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유동판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longitudinal slot is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a fixed plat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extend inward of the body and a hollow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line passes, and a flow plate is disposed above the fixing plate, An elastic body is interposed between the flow plates, and an operation bar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through the slo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lter unit, and a lower end thereof is seated on the flow plate.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는 냉수탱크에 저장된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의 작동 시 발생하는 고온의 폐가스와 온수탱크에 공급되는 원수를 열교환시켜 고온의 폐가스를 냉각시킴과 아울러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원수는 예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기 내부온도를 낮춰 냉수탱크의 냉각수단 효율과 온수탱크의 히터 효율을 동시에 높여주게 되므로 전력소모를 2중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ower saving typ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cooling the waste gas at a high temperature by exchanging heat between high temperature waste ga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cooling means for cooling the raw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and raw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Since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is preheated, the efficiency of the cooling means of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eater efficiency of the hot water tank are simultaneously raised by lowe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water purifier, so that power consumption is doubl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열교환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손세정수단이 적용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살균건조부가 적용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개폐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1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power saving cold / warm water purifier to which a waste heat recov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flow of raw water su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eat exchange device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4; Fig.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hand control means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of Fig. 6; Fig.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terilizing and drying section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oo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 to 11B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열교환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손세정수단이 적용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개폐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1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power saving cold / warm water purifier with a waste heat recov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low of raw water su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eat exchanger. 4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4,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hand control means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oor that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A to 11B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는 본체(100) 및 음수대(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saving type cold / hot water purifier with the waste heat recov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d a negative electrode 200.

먼저, 상기 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외형을 이루게 되며, 그 내부에는 수돗물 등 원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냉수탱크(110) 및 온수탱크(120)가 내재되게 된다.First, the main body 100 forms an outer shape of the cold / warm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ld water tank 110 and a hot water tank 120 for receiving and storing raw water such as tap water are contained therein.

이때, 상기 냉수탱크(110)에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단(112)이 연결되어 냉수탱크(110)에 저장된 원수를 냉각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 cooling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110 to cool the raw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11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온수탱크(120)의 경우에도 그 내부에 가열수단(부호미도시)을 마련하여 그 내부에 저장된 원수를 가열시켜 온수 상태로 상기 음수대(200)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Also, in the case of the hot water tank 120, a heating means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120 so that the raw water stored therein is heated and supplied to the negative electrode 200 in a hot water state.

이어서 상기 음수대(200)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부에 구성되어 상기 냉수탱크(110) 또는 온수탱크(120)에 저장된 원수를 정수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The negative electrode 200 is configured to discharge raw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110 or the hot water tank 120 at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한편, 상기 냉각수단(112)의 예로 압축기와 방열판 등이 구성될 수 있으나 압축기의 가동시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이를 냉각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냉각장치가 마련되야 하므로 추가적인 전력소비가 발생하게 된다.Meanwhile, since a large amount of heat i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he cooling means 112 may include a compressor and a heat radiating plate, so that a separate cooling device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cool the compressor. .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압축기의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탱크(120)로 공급되는 원수를 예열하도록 함으로써, 폐열은 냉각시키면서 온수탱크(120)로 공급되는 원수를 예열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장치(130)가 제시되는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1 to 4,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20 is preheated by using the waste heat of the compressor, so that heat exchange is performed by preheating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20 while cooling the waste heat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device 130 is presented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열교환장치(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통로(1310) 및 예열통로(1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먼저 상기 가스통로(1310)는 일단에 형성되는 가스유입구(1311)를 통해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가 인입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인입된 고온의 폐가스 타단에 형성되는 가스유출구(1312)로 배출되게 된다.3, the heat exchange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as passage 1310 and a preheating passage 1320. The gas passage 1310 is connected to a gas The high temperature waste gas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is drawn through the inlet 1311 and discharged to the gas outlet 131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drawn high temperature waste gas.

이때, 상기 가스통로(1310)에는 상기 가스유출구(1312)의 인접하는 구간에 가스 정체공간을 마련하여 고온의 폐가스 열이 최대한 많이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as passage 1310 is provided with a gas congestion space in the adjacent section of the gas outlet 1312 so that the high-temperature waste gas heat can be exchang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예열통로(13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가스통로(131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밀폐구조로 구성되되, 그 일단부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구(1321)가 마련되고, 그 타단부에는 원수가 유출되도록 원수유출구(1322)가 마련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heating passage 1320 has a sealing structure that encloses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 passage 1310. One end of the preheating passage 1320 is provided with a raw water inlet 1321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A raw water outlet 1322 is provided.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단(112)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는 상기 열교환기의 가스통로(1310)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온수탱크(120)에 원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원수라인(101)은 상기 예열통로(1320)를 통과한 후 예열라인(102)을 통해 온수탱크(120)에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온의 폐가스는 냉각시켜주면서 온수탱크(120)로 공급되는 원수는 예열시키는 2중의 절전효과를 도출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2, the high-temperature waste gas discharged from the cooling unit 112 passes through the gas passage 1310 of the heat exchanger and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20, The line 101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20 through the preheating passage 1320 and the preheating line 102 so that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20 while cooling the high temperature waste gas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dual power saving effect to preheat.

한편, 상기 음수대(2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전면부에 구성되어 음용자가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상기 냉수탱크(110) 및 온수탱크(120)에 저장된 원수를 정수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water table 200 includes a water tank 110 and a hot water tank 120, which ar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o allow the user to drink clean water. And then discharges the purified water.

이러한 상기 음수대(200)는 코크(C), 필터부(210) 및 음용버튼(2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negative electrode 200 includes a cork C, a filter unit 210, and a drinking button 220.

설명에 앞서, 상기 음수대(200)는 도 4에서 보았을 때, 본체(100)의 전면에서 'ㄷ'자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음수대(200)의 바닥면을 음수대(200)의 하면(201), 음수대(200)의 전면부를 음수대(200)의 전면(202), 음수대(200)의 상측면을 음수대(200)의 상면(203)이라 정의하여 설명한다.4, the negative electrode 200 may be recessed in a 'C' shap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Hereinafter, the bottom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is referred to as a negative electrode The front surface 202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are defined as the upper surface 203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

본 실시 예에 따른 코크(C)는 위생적 사용 및 관리 가능한 상향 분출식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수대(200)의 하면(201)에 하나 이상 구성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도 4에서와 같이 하향 배출식 코크(C')가 음수대(200)의 전면(202)에 추가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5, at least one coke 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201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as shown in FIG. 5 for sanitary use and manageability. In some cases, The downward discharge cock C 'can be additionally constructed on the front surface 202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as in FIG.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향 분출식 코크(C)를 적용시킴으로써, 이용자들이 정수기 컵을 사용하지 않고 음용가능토록 하여 보다 위생적인 정수기 이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upwardly-blowing coke C basically as described above, it becomes possible for users to use the water purifier more hygienically without drinking water purifier cups.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코크(C)는 도 2 상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수탱크(110) 및 온수탱크(120)로부터 급수라인(230)을 통해 연결되며 음수대(200)의 하면(201)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The coke 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230 from the cold water tank 110 and the hot water tank 120 as shown in FIGS. (Not shown).

이때, 상기 음수대(200)의 하면(201)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일측으로 기울기를 형성시키고 기울기에 의해 가장 낮은 위치에서 배수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201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is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but it is preferable to form a slope to one side and drain at the lowest position by inclination.

또한, 상기 필터부(210)는 상기 본체(100) 내에서 상기 코크(C)에 직결되어 상기 급수라인(230)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음용수로 정수시키도록 구성된다.The filter unit 210 is configured to purify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230 directly to the cock C in the main body 100 as drinking water.

이는 일반적으로 기존의 정수기들은 수돗물이 투입된 후 정수필터를 거친 음용수가 냉수탱크(110) 및 온수탱크(120)에 각각 저장되는 구조로 냉수탱크(110) 및 온수탱크(120)에서 코크(C)까지는 별도의 이동관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럴 경우 지속적인 정수기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이동관에 머물러있던 물은 변질 또는 부식될 수 있으며 그러한 이물질 등이 코크(C)를 통해 배출될 수 있어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Generally, conventional water purifiers have a structure in which drinking water, which has passed through a water filter after being put into tap water, is stored in a cold water tank 110 and a hot water tank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parate moving pipe. In this case, unless the water purifier is continuously used, the water staying in the moving pipe may be deteriorated or corroded, and such foreign mat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cock (C), which causes a problem that is not hygienic.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필터부(210)와 코크(C)를 직결로 연결시킴으로써, 코크(C)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필터부(210)를 거치자마자 배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정수기를 이용하는 음용자에게 항상 위생적이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210 and the cock C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cock C is discharged as soon as it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210, Therefore, it is always possible to supply hygienic and clean water to a user using a water purifier.

아울러, 수돗물 등의 원수를 여과시켜 정수가 되도록 하는 필터부(210)의 내부 여과구조는 종래 다양한 기술이 적용가능 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internal filtration structure of the filter unit 210, which filters raw water such as tap water to be purified water,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ventional techniqu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상기 음용버튼(220)은 정수기를 이용하는 음용자가 음용버튼(220)을 누름으로써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코크(C)에서 물이 분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바, 이때, 상기 급수라인(230)에는 상기 음용버튼(220)이 ON/OFF됨에 따라 급수라인(230)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음용밸브(250)를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용밸브(250)로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The drinking button 22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by pressing the user's drinking button 220 using a water purifier to spray water from the cock C. At this time, A solenoid valve 250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line 230 as the drinking button 220 is turned on and off and a solenoid valve may be used as the drinking valve 250.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에 살균건조부(300) 및 손세정수단(400)이 적용되는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300 and the hand massage unit 400 are applied to the cold / warm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살균건조부(300)는 히터(310), 송풍팬(320) 및 자외선램프(3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eater 310, a blowing fan 320, and an ultraviolet lamp 330.

상기 히터(310)는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풍팬(320)은 상기 히터(31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코크(C)를 향해 하향으로 송풍시키도록 구성된다.The heater 310 is configured to heat air using various means and the blowing fan 320 is configured to blow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310 toward the cock C downward do.

상기와 같은 히터(310) 및 송풍팬(320)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코크(C)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염원을 차단시켜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By the constitution of the heater 310 and the blowing fan 320 as described above, moisture remaining in the coke C of the cold / warm wate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moved,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improving hygiene.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330)는 상기 코크(C)를 향해 조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히터(310) 및 송풍팬과 더불어 본체(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코크(C)를 살균 및 소독함으로써 정수기의 청결상태를 항상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ultraviolet ray lamp 330 is irradiated toward the cock C so that the ultraviolet ray lamp 330 can be sterilized and sterilized by the heater 310 and the blowing fa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to always keep the cleanliness of the apparatus at the highest level.

이어서, 상기 손세정수단(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액저장부(410), 세정액노즐(420), 세정버튼(430) 및 세정밸브(4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d control unit 400 includes a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410, a cleaning liquid nozzle 420, a cleaning button 430, and a cleaning valve 440 as shown in FIG.

상기 세정액저장부(410)는 세정액이 저장되는 저장공(151)간에 해당되는 것이고, 상기 세정액노즐(420)은 상기 음수대(200)의 전면(202)에 노출되는 것으로 상기 세정액저장부(410)와는 세정액라인(421)을 통해 연결된다.The cleaning liquid storage part 410 corresponds to the storage space 151 in which the cleaning liquid is stored and the cleaning liquid nozzle 420 is exposed in the front surface 202 of the negative plate 200. The cleaning liquid storage part 410 ) Are connected through a cleaning liquid line 421.

또한, 상기 세정버튼(430) 역시 음수대(200)의 전면(202)에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세정밸브(440)는 상기 세정버튼(430)이 ON/OFF됨에 따라 세정액라인(421)을 개방 및 폐쇄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cleaning button 430 is also formed on the front surface 202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The cleaning valve 440 is opened when the cleaning button 430 is turned on / And clos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를 이용하는 음용자가 정수된 물을 음용하기 전에 상기 세정버튼(430)을 누름으로써 세정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일정량의 세정액을 이용하여 손세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정수기 사용자들의 질병 및 전염병을 예방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before pressing the cleaning button 430 to drink the self-purified water using the cold / warm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hand-washing using a certain amount of cleaning liquid sprayed through the cleaning nozzle,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eases and infectious diseases.

아울러 다양한 알고리즘이 설정되어 그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더 구성될 수 있는 바, 가령 제어부(500)에서 상기 손세정수단(400)을 작동시켜 손세정을 실시한 이후에만 정수기가 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생활습관을 위생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게 하는 등 제어부(500)를 통해 정수기를 보다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controller 500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various algorithms. For example, the controller 500 may operate the water purifier 400 to operate only the water purifier So that the lifestyle of the users can be hygienically improved. Thus, the water purifier can be operated more hygienically and efficiently through the controller 500.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코크(C), 살균건조부(300) 및 손세정수단(400) 상호 간 작동제어를 통해 정수기의 보다 위생적 및 효율적 운용이 가능토록 하는 제어부(500)의 다양한 실시 예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trol unit 500 for enabling the sanitary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through operation control between the cock,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300, and the hand control unit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제어부(500)의 일 실시 예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냉온정수기 음용자가 손세정을 위해 상기 손세정수단(400)을 작동시키게 되면 자동을 상기 살균건조부(300)가 가동되도록 하여 손에 묻은 세정액을 빠르게 건조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300 so that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300 is automatically operat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hand control unit 400 for hand control So that the cleaning liquid adhered to the hands can be quickly dried.

이는 상기 실시 예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손세정수단(400)은 상기 음수대(200)의 전면(202)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건조부(300)는 상기 음수대(200)의 상면(203)에 배치되는 바, 손세정수단(400)에 손을 위치시켜 세정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그 상부에서 손을 향해 열풍과 자외선이 공급되므로 손에 묻은 세정액을 건조시키면서 살균 작용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The hand detergent unit 40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202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and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30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03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When the hand is placed on the hand control means 400, hot air and ultraviolet rays are naturally su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hand, so that the sterilizing action can be performed while drying the washing liquid adhering to the hand.

아울러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음용할 때에 음용자의 얼굴이 상기 살균건조부(30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바,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음용버튼(220)을 ON시켜 코크(C)를 작동시킬 때에 상기 살균건조부(300)의 작동을 중단시켜 고온의 열풍이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rinks purified water, the user's face is positioned below the sterilizing / drying unit 300, and the controller 500 turns on the drinking button 220 to operate the cock C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300 may be interrupted to prevent hot air from being directed to the user's face.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정수기 사용이 끝난 후, 즉, 상기 음용버튼(220)의 OFF 시, 즉시 또는 일정시간 경과한 후 살균건조부(300)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코크(C)에 잔존하는 수분의 증발과 자외선램프(330)에 의해 살균 및 멸균 작용을 실시함으로써 정수기를 보다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300 to operate automatically when the drinking button 220 is turned off or immediately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The water purifier can be maintained in a more hygienic state by evaporating the remaining water and sterilizing and sterilizing the ultraviolet lamp 330. .

한편, 상기 제어부(500)의 다른 실시 예로써,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상기 손세정수단(400)이 작동된 후에만 상기 코크(C)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도 9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5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500, the controll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cock C only after the hand control unit 400 is operated.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음용버튼(220)과 세정버튼(430)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상기 세정버튼(430)을 ON시킬 경우에만 즉시 또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음용버튼(220)이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바에 따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drinking button 220 and the cleaning button 430, and only when the cleaning button 430 is electrically turned on, ) Can be operated so a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즉, 음용자가 손세정을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음용버튼(220)을 누르더라도 음용버튼(220)의 OFF 상태가 유지되어 음용자는 코크(C)를 통한 음용을 실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That is, even if the drink button 220 is pressed in the state where the drinker does not perform the hand control, the drink button 220 is kept in the OFF state, so that the drinker can not drink through the cock C.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500)가 손세정수단(400)의 작동 후에 상기 코크(C)가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학교, 고속도로 휴게소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정수기가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들에게 물을 마시기 전에 손을 씻도록 하는 청결한 생활습관을 길러 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정수기의 위생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ler 500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cock C after the operation of the hand control means 400 so that th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user when th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such as a school, It is possible to cultivate clean living habits to wash hands before drinking water,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re effectively improve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water purifier us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이때, 상기 제어부(500)에는 별도의 기능버튼(부호미도시)을 구성시켜 본 실시 예의 선택적 운용 즉, 세정버튼(430)을 누른 후에만 또는 누르지 않더라도 음용버튼(220)이 작동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separate function button (not shown) is formed in the control unit 500 so that the drinking button 220 is operated only after the cleaning button 430 is pressed or not, desirabl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00)에 개폐구(150)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는 필터부(210)의 교체시, 본체(100)의 커버를 모두 제거하지 않더라도 본체(100)에 내재되는 상기 필터부(210)를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여 냉온정수기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ing / closing part 15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when the filter part 210 is replaced, the manager can remove the cover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unit 210 more easily, thereby enabling hygienic management of the cold / warm water purifier.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개폐구(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ning / closing port 15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1. FIG.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2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이 상기 급수라인(230)과, 그 상단은 상기 코크(C)에 각각 수밀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써, 이때, 상기 개폐구(150)는 본체(100)의 전면부에 구성되되, 상기 필터부(210)가 위치하는 지점에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10, 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210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line 230,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cock C in a watertight mann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15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filter unit 210 is located.

그리고 이러한 개폐구(150)에는 그 중심부에 종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151)을 형성시키고, 그 하부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본체(100)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급수라인(230)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고정판(152)이 더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opening 150 is formed at its center with a long hole 151 having a long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ollow,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line 230 passes, A fixing plate 152 is further formed.

이때, 상기 고정판(152)의 상측에는 그와 평행하게 이격되는 유동판(153)이 배치되되, 상기 고정판(152) 및 유동판(153) 사이에 탄성체(154)가 개재되도록 하되, 상기 탄성체(154)의 양단부가 상기 고정판(152) 및 유동판(153)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여 고정판(152) 및 유동판(153)은 상호 간에 탄성체(154)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판(153)은 탄성체(154)에 의해 상기 고정판(152)과 더 이격되려는 힘을 제공받게 된다.At this time, a flow plate 153, which is spaced apart in parallel to the fixed plate 152, is disposed above the fixed plate 152, and an elastic body 154 is interposed between the fixed plate 152 and the flow plate 153, 154 are fixed to the fixing plate 152 and the flow plate 153 so that the fixing plate 152 and the flow plate 153 are fixed to the flow plate 153 in a state where they are constrained by the elastic body 154, The elastic member 154 is provided with a force to be further apart from the fixing plate 152. [

즉, 필터부(210)의 장착시, 상기 고정판(152), 탄성체(154) 및 유동판(153)의 작동기작에 의해 필터부(210)를 상측으로 미는 힘이 유지되므로 상기 필터부(210)와 코크(C) 간에 보다 수밀한 결합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lter unit 210 is mounted, the pushing force of the filter unit 210 is maintained by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fixing plate 152, the elastic body 154 and the flow plate 153, And the cork C can be formed in a more tightly coupled structure.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구(150)에는 상기 필터부(210)가 탈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장착클립(155)이 더 구성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opening / closing part 15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ounting clip 155 to which the filter part 210 can be attached / detached.

또한, 상기 필터부(210)는 그 일측에 상기 장공(151)을 통해 상기 개폐구(150)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작동바(212)가 마련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유동판(153)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The filter unit 210 is provided at one side with an operation bar 212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150 through the elongated hole 151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seated on the flow plate 153 .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므로, 필터부(210)의 교체시 관리자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작동바(212)를 하측으로 내리게 되면 코크(C)와 필터부(210) 간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154)가 수축하여 상기 유동판(153)과 고정판(152) 사이는 좁아지게 된다.11A, when the operation bar 212 exposed downwar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is lowered, when the filter unit 210 is replaced, the cork C, The filter unit 210 can be separated. At this time, the elastic body 154 shrinks and becomes narrower between the flow plate 153 and the fixed plate 152.

이후, 도 11b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구(150)를 본체(100)의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개폐구(150)가 개방되어 관리자는 교체주기가 도래한 필터부(210)를 제거하고 새 필터부(210)로 용이하게 교체한 후, 다시 개폐구(150)를 닫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바(212)를 하측으로 조작하여 필터부(210)와 코크(C) 간에 간섭없이 닫혀지게 되며, 개폐구(150)를 완전히 닫은 후 작동바(212)의 조작을 멈추게 되면 상기 고정판(152), 탄성체(154) 및 유동판(153)의 작동기작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필터부(210)와 코크(C) 간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as shown in FIG. 11B, when the opening / closing port 150 is pulled out of the main body 100, the opening / closing port 150 is opened while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hinge so that the manager removes the filter unit 210 The filter unit 210 and the cock C are closed without interference by operating the operation bar 212 downward at this time so that the filter unit 210 can be easily replaced with the new filter unit 210, Whe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ar 212 is stopped 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150 is completely closed, the filter unit 210 and the caulking unit 150 are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fixing plate 152, the elastic body 154, (C).

즉,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구(150)와 본체(100) 간에는 별도의 시건수단이 없더라도 상기 필터부(210)와 코크(C) 간의 결합되면서 자동으로 개폐구(150)가 그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means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150 and the main body 10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150 automatically closes when the filter unit 210 and the cock C are engaged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C : 코크 100 : 본체
110 : 냉수탱크 120 : 온수탱크
130 : 열교환장치 200 : 음수대
300 : 살균건조부 400 : 손세정수단
500 : 제어부
C: Cork 100: Body
110: cold water tank 120: hot water tank
130: Heat exchanger 200: Negative column
300: sterilizing and drying unit 400:
500:

Claims (10)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가 내재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구성되어 상기 냉수탱크 또는 온수탱크에 저장된 원수를 정수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음수대;를 포함하는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음수대는, 상기 냉수탱크 또는 온수탱크로부터 급수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음수대에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코크; 상기 코크에 직결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음용수로 정수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코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음용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그 하단이 상기 급수라인에, 그 상단은 상기 코크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필터부가 내재되는 위치 전면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되, 그 하단부가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는 개폐구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구에는 종방향으로 긴 장공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본체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급수라인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고정판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측에는 유동판이 배치되되, 상기 고정판 및 유동판 사이에 탄성체가 개재되며, 상기 필터부의 일측에는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개폐구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작동바가 마련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유동판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
A main body having a cold water tank and a hot water tank; And a negative electrode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purify the raw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or the hot water tank while purifying the raw water,
One or more corks connected through a water supply line from the cold water tank or the hot water tank and exposed to the negative electrode; A filter unit directly connected to the cock to purify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into drinking water; And a drinking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ck,
The filter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line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cock, respectively, and the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front surface having the filter unit therein is openable and closable,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hinged An opening / closing port is provided,
Wherein a long slot is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and a hollow plat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extend inwardly of the body and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line passes, and a flow plate is disposed above the fixing plate, And an operation bar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through the slo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lter unit and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ar is seated on the flow plate. Cold water purifi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는 냉각수단과 연결되며, 냉수탱크에 공급된 원수가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열교환장치가 구성되되,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냉각수단의 가동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원수를 예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ld water tank is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stage,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is configured to be cooled by the cooling means,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r,
Wherein the heat exchanger is configured to preheat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by using waste heat generated when the cooling means is in oper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는
일단에 형성되는 가스유입구를 통해 상기 냉각수단의 폐열이 인입되며, 인입된 폐열이 타단에 형성되는 가스유출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스유입구와 가스유출구를 연통시키는 가스통로;
상기 가스통로를 감싸는 구조로 일단부에 원수유입구가, 타단부에 원수유출구가 형성되는 예열통로;를 포함하여,
상기 원수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예열된 원수는 상기 온수탱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t-
A gas passage communicating the gas inlet and the gas outlet such that the waste heat of the cooling means is drawn through a gas inlet formed at one end and the drawn waste heat is discharged to a gas outlet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preheating passage having a raw water inlet formed at one end and a raw water outlet formed at the other end so as to surround the gas passage,
And the preheated raw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raw water outlet is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코크의 상측에 살균건조부가 더 구성되되,
상기 살균건조부는
히터;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코크를 향해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코크를 향해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자외선램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erilizing and drying part on the upper side of the cock,
The sterilizing / drying unit
heater;
A blowing fan for blowing air heated by the heater toward the cock;
An ultraviolet lamp disposed to be irradiated toward the cock;
Wherein the water purifier is provided with a waste heat recovering func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수대의 전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손세정수단이 더 구성되되,
상기 손세정수단은
손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저장부;
상기 음수대의 전면에 노출되며 상기 세정액저장부와 세정액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세정액노즐;
상기 세정액노즐의 작동을 제어하는 세정버튼;
상기 세정버튼이 ON/OFF됨에 따라 세정액라인을 개방 및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세정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t least one hand control means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The hand-
A cleaning liquid storage part for storing hand cleaning liquid;
A cleaning liquid nozzle expos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connected to the cleaning liquid reservoir through a cleaning liquid line;
A cleaning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liquid nozzle;
A cleaning valve for controlling the cleaning liquid line to be opened and closed as the cleaning button is turned ON / OFF;
Wherein the water purifier is provided with a waste heat recovering func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 살균건조부 및 손세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세정수단 및 상기 코크의 작동 후에 상기 살균건조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ck,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and the hand massage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sterilizing and drying unit is operat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hand control unit and the cock.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세정수단이 작동된 후에만 상기 코크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cork only after the hand control unit is oper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32804A 2018-03-21 2018-03-21 Energy-saving water purifier with waste heat recovery function KR1019104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04A KR101910487B1 (en) 2018-03-21 2018-03-21 Energy-saving water purifier with waste heat recovery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04A KR101910487B1 (en) 2018-03-21 2018-03-21 Energy-saving water purifier with waste heat recovery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487B1 true KR101910487B1 (en) 2018-10-22

Family

ID=6410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04A KR101910487B1 (en) 2018-03-21 2018-03-21 Energy-saving water purifier with waste heat recovery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48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9531A (en) * 2019-07-23 2019-09-24 河南锦之龙医疗器械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ce is washed one's hands cabinet
KR102196837B1 (en) * 2020-04-09 2020-12-30 (주)베스트라이프 Water Purifi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376A (en) * 2002-05-13 2003-11-19 Atago Seisakusho:Kk Double tube type heat exchanger
KR100859376B1 (en) * 2007-04-09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coke drying function
KR101041608B1 (en) * 2011-03-09 2011-06-15 김덕선 Electric power saving type water purifier using waste heat
KR101378848B1 (en) * 2013-11-06 2014-03-27 (주)명진클라비스 Large capacity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376A (en) * 2002-05-13 2003-11-19 Atago Seisakusho:Kk Double tube type heat exchanger
KR100859376B1 (en) * 2007-04-09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coke drying function
KR101041608B1 (en) * 2011-03-09 2011-06-15 김덕선 Electric power saving type water purifier using waste heat
KR101378848B1 (en) * 2013-11-06 2014-03-27 (주)명진클라비스 Large capacity water purifi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9531A (en) * 2019-07-23 2019-09-24 河南锦之龙医疗器械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ce is washed one's hands cabinet
KR102196837B1 (en) * 2020-04-09 2020-12-30 (주)베스트라이프 Water Pur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300B1 (en) Water dispenser
KR101199558B1 (en) Sterilized water supplying machine
KR101910487B1 (en) Energy-saving water purifier with waste heat recovery function
CN105106988B (en) A kind of sterilization device for medicine equipment
KR100622574B1 (en) Drinking fountain with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ling and method for using therefor
KR100993891B1 (en) Purifier
KR101046185B1 (en) Device for clean water of the refrigerator
KR101617922B1 (en) Warm water supply and sterilization device of clean water tub for supply device of water
KR101056854B1 (en) Warm water supply and sterilization device of clean water tub for supply device of water
JPH10328265A (en) Steam face washer
KR101012229B1 (en) Hot water cooling device of dringking water supplying apparetus
KR20180065733A (en) Water furifier
CN207784944U (en) Recycling sterilizing water dispenser
KR100293767B1 (en) Drinking Water and Drinking Tea Providing Device
KR200449784Y1 (en) Drinking fountain with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ling
CN213208318U (en) Kit for antibody purification
KR200235682Y1 (en) Cold and hot air conditioner with a water purifier and a humidifier
KR910003243Y1 (en) Ion water waking machine
KR200385975Y1 (en) Drinking fountain with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ling
KR200367329Y1 (en) Apparatus for providing cold or hot water
WO2019090969A1 (en) Water dispenser
KR200301154Y1 (en) coldness and warmth water purifier possible ion-production
KR200433236Y1 (en) A Drinking fountain of a water works direct connectiontype
JP5168571B2 (en) Water server
WO2019090970A1 (en) Water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