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350B1 -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350B1
KR101910350B1 KR1020150128867A KR20150128867A KR101910350B1 KR 101910350 B1 KR101910350 B1 KR 101910350B1 KR 1020150128867 A KR1020150128867 A KR 1020150128867A KR 20150128867 A KR20150128867 A KR 20150128867A KR 101910350 B1 KR101910350 B1 KR 101910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written signature
signature
image
handwritte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068A (ko
Inventor
홍기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큐브
Priority to KR1020150128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3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06K9/001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수기서명에 대해 미리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와, 수기서명 시 추적되는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 수기서명 시 수집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상기 수기서명 행위특성에 의해 복원된 수기서명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수기서명 인증을 수행하는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Manual signatur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수기서명에 대해 미리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와, 수기서명 시 추적되는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 수기서명 시 수집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상기 수기서명 행위특성에 의해 복원된 수기서명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수기서명 인증을 수행하는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스마트기기 기술이 발달하고, 모바일 통신 기술 및 인터넷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은 인터넷 및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편하고 쉽게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대부분의 서비스는 그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또는 "사용자"라 함)가 누군지 확인되어야만 제공되는 서비스들이 많다. 그렇지 않을 경우 제3자가 이용자를 도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프라인에서는 사용자를 직접 대면한 상태에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을 이용하여 본인인증을 수행하나, 직접 사용자를 대면하지 않는 온라인상에서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본인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위해 입력된 정보의 본인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중 대표적인 기술이 아이핀 기술, SMS 본인인증 기술, ARS 시스템을 이용한 ARS 본인인증 기술, 전자서명(디지털 서명)을 이용한 본인인증 기술 등이 있다.
SMS 본인인증 기술은 휴대폰, 핸드폰, 스마트폰 등으로 불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메시지를 통해 인증번호를 발송하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SMS 메시지의 인증번호를 서비스 이용중인 기기에서 접속된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도록 하여 입력된 인증번호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등록된 인증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른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들은 이동통신단말기를 분실하거나, 정보의 유출 시 제3자에 의해 도용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상술한 기술들을 둘 이상 동시에 적용하는 복합방식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보다 사용자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런 기술로, 사용자의 개인적인 특성이 반영되는 수기서명 인증 기술의 적용이 고려되고 있으나, 인식률 및 인증 정확도가 낮아 인식률 및 인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5-0041569호(2015.04.1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사용자의 수기서명에 대해 미리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와, 수기서명 시 추적되는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 수기서명 시 수집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상기 수기서명 행위특성에 의해 복원된 수기서명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수기서명 인증을 수행하는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증 성공 시 인식 및 복원된 수기서명 이미지와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기존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들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들에 의해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정규화하는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의 수기서명을 스캔하여 수기서명 스캔데이터를 수기서명 입력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스캔부 및 사용자가 수기서명을 위해 터치하는 위치들에 대한 위치데이터 및 압력데이터를 포함하는 터치데이터를 수기서명 입력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는 수기서명 입력부; 사용자별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의 수기에 따른 사용자의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등록하는 등록부; 및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수기서명 입력 데이터로부터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등록부에 등록하되,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의 터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데이터에 의해 추적된 추적 수기서명에 사용자의 수기서명 시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행위특성정보를 반영하여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미리 획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 시 상기 수기서명 이미지를 상기 등록부에 등록하고, 수기서명 인증 요청 발생 시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의 터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데이터에 의해 추적된 추적 수기서명에 사용자의 수기서명 시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행위특성정보를 반영하여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미리 상기 등록부에 최종 등록되어 있는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을 수행하는 수기서명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부는, 상기 수기서명 등록 시 상기 수기서명 입력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 및 상기 수기서명 인증 시 인증에 성공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등록부; 및 상기 수기서명 등록 시 상기 수기서명 입력데이터의 터치데이터로부터 수집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 및 상기 수기서명 인증 시 인증에 성공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레벨 행위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를 포함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 등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기서명 인증부는,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수기서명 입력데이터의 터치데이터에 포함된 위치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기서명 추적부; 상기 스캔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캔데이터 및 상기 수기서명 추적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데이터로부터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여 출력하되, 등록 시 획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상기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에 저장한 후 출력하는 수기서명 이미지 획득부; 상기 터치데이터로부터 수기서명에 따른 사용자의 행위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획득부; 상기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와 상기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에 의해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복원하는 이미지 복원부; 및 등록 시 상기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상기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 판단 시 상기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를 상기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에 저장하고, 상기 일치 판단된 수기서명에 대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에 저장하여 등록하며, 인증 시 인증에 따라 수기된 수기서명으로부터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상기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에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상기 수기서명의 수기에 따른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에 저장하고, 상기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에 저장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기서명 인증부는, 상기 등록 및 인증 성공 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들에 포함하여 정규화를 수행하고 정규화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저장하는 정규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교부는 입력되는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정규화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기서명 인증부는, 상기 등록 및 인증 성공 시 수집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에 포함하여 상기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들을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상기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에 저장하는 정규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교부는 입력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와 상기 정규화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른 수기서명 행위특성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수기서명 행위특성 인증 성공 시 상기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정규화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을 수행하여 둘 모두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본인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교부는, 인증 시 인증에 따라 수기된 수기서명으로부터 추적된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와 상기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에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상기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에 의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 방법은: 수기서명 인증부가 수기서명 입력부를 통해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수집하여 등록부에 등록하고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수기서명 입력 데이터로부터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등록부에 등록하되,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의 터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데이터에 의해 추적된 추적 수기서명에 사용자의 수기서명 시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행위특성정보를 반영하여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미리 획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 시 상기 수기서명 이미지를 상기 등록부에 등록하는 수기서명 등록 과정; 및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의 터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데이터에 의해 추적된 추적 수기서명에 사용자의 수기서명 시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행위특성정보를 반영하여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미리 상기 등록부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을 수행하는 수기서명 인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수기서명 등록 과정은,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수기서명 입력데이터로부터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등록부의 수기서명 이미지 등록부의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에 등록하는 수기서명 이미지 등록 단계; 상기 수기서명 입력데이터 중 하나인 터치데이터에 의해 수기서명을 추적하여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기서명 추적 단계; 상기 수기서명 추적에 의해 생성 및 수집되는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에 의해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복원하는 복원단계; 및 상기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상기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에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 후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수기서명행위특성 데이터를 상기 등록부의 수기서명 행위특성 등록부의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에 등록하는 행위특성 데이터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기서명 인증 과정은, 수기서명 인증 요청의 발생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수기서명 인증 요청 모니터링 단계; 수기서명 인증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터치데이터에 의해 수기서명을 추적하여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기서명 추적 단계; 상기 수기서명 추적에 의해 생성 및 수집되는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에 의해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복원하는 복원단계; 상기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등록 수기서명 이미지 인증 단계; 및 상기 수기서명 인증 결과를 제공하는 결과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증 단계는, 등록 수기서명 이미지 인증 단계 전에 상기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와 상기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의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상기 수기서명 이미지 인증 단계로 진행하는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기서명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복원 수기서명 및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수기서명들을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저장하는 정규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기서명 인증 과정에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에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의 비교 인증 결과, 인증 성공 시 상기 획득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상기 정규화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른 2차 인증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기서명 등록 및 인증 시, 스캔된 수기서명 이미지와, 수기서명 시 추적 및 생성된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 시 수집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에 의해 복원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므로, 등록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수기서명 인증 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증 성공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 및 기존 등록 수기서명 이미지들을 지속적으로 정규화하고, 수집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들을 지속적으로 정규화함으로써 추후 인증 시 입력되는 수기서명에 대한 인식률 및 본인 인증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 방법의 수기서명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 방법의 수기서명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 후, 상기 시스템에서의 수기서명 인증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은 등록부(100), 수기서명 입력부(400) 및 수기서명 인증부(50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200), 출력부(300)를 더 포함한다.
등록부(100)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노트북 등의 하드디스크,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등과 같은 휴대용 메모리, 보안토큰, 휴대폰, 핸드폰, 스마트폰 등으로 불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유심칩,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SD카드, 이동통신단말기의 트러스트존, 온라인상의 서버의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 매체에 구성될 수 있으며, 수기서명 이미지를 저장하는 수기서명 이미지 등록부(10)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등록부(20)를 포함한다.
수기서명 이미지 등록부(10)는 등록 과정을 통하여 획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 및 수기서명 인증 후 인증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12)를 포함한다.
수기서명 행위특성 등록부(20) 또한, 사용자가 직접 수기서명을 수기하여 등록할 때 획득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1) 및 수기서명 인증 후 인증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등록부(100)의 수기서명 이미지 등록부(10)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등록부(20)는 서로 다른 저장위치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레벨별로 서로 다른 저장위치에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수기서명 이미지 등록부(1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성되고, 수기서명 행위특성 등록부(20)는 서버측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 및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1)는 서버측에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12) 및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2)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대로, 수기서명 이미지 등록부(10)는 서버측에 구성되고, 수기서명 행위특성 등록부(2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 및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1)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12) 및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2)는 서버측에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입력부(200)는 다수의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고 눌린 키에 대한 키데이터(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장치, 화면과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외부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등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수기서명 등록 명령, 수기서명 인증 명령 등과 같은 명령을 수기서명 인증부(500)로 출력한다.
출력부(300)는 수기서명 인증부(500)가 이동통신단말기에 구성되는 경우, 수기서명 인증부(500)에서 획득된 수기서명 이미지,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 수기서명 인증 결과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수기서명 인증부(500)가 서버에 구성되는 경우 수기서명 인증 결과를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메시지, 장문메시지서비스(Long Message Service: LMS) 메시지,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메시지 등과 같은 이동통신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 서버, 이메일 서버, 상기 인증 결과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수기서명 입력부(400)는 수기서명을 받는 단말단, 즉 사용자 및 가맹점의 개인용 컴퓨터, 이동통신단말기, 포스(POS), 결제단말기 등에 구성되거나 별도의 장치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제공하는 수기서명에 대한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수기서명 입력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스캔부(410) 및 터치입력부(4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 사용자로부터 수기서명을 수기로 입력받아야 하므로 터치입력부(420)는 반드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는 스캔부(410) 및 터치입력부(420)만을 설명하였으나, 수기서명을 추적할 수 있고,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스마트펜 등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스캔부(410)는 수기서명이 수기된 용지를 스캔하여 스캔데이터를 수기서명 인증부(500)로 출력한다.
터치입력부(420)는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기로 입력하는 수기서명에 대한 연속적인 위치데이터 및 압력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터치데이터를 수기서명 인증부(500)로 출력한다.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제어부(510), 수기서명 추적부(520), 수기서명 이미지 획득부(530), 수기서명 행위특성 획득부(540), 이미지 복원부(550), 비교부(560) 및 정규화부(570)를 포함하여 수기서명 등록 및 수기서명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컴퓨터에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버측에 구성되어 어플리케이션 및 웹서버 기반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포스(POS) 및 결제단말기에 펌웨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펌웨어 또는 웹서버 기반으로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웹서버 및 펌웨어의 구성 자체는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수기서명 인증부(500)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510)는 입력부(200)로부터 수기서명 등록인지 수기서명 인증인지에 따라 상기 수기서명 추적부(520), 수기서명 이미지 획득부(530), 수기서명 행위특성 획득부(540), 이미지 복원부(550), 비교부(560) 및 정규화부(570)를 제어하고, 해당 제어에 따른 결과를 출력부(300)로 출력한다.
수기서명 추적부(520)는 수기서명 입력부(400)의 터치입력부(420)로부터 출력되는 터치데이터로부터 연속적인 위치데이터를 검출하여 수기서명 이미지 획득부(530)로 제공한다.
수기서명 이미지 획득부(530)는 수기서명 입력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스캔데이터 또는 수기서명 추적부(520)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스캔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로부터 수기서명 이미지(이하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라 함)를 획득하고, 등록 시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를 수기서명 이미지 등록부(10)에 저장하고, 인증 시 이미지 복원부(55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수기서명 이미지 획득부(530)는 수기서명 등록 시 스캔부(410)로부터 수기서명이 수기된 용지를 스캔한 스캔데이터를 입력받고 스캔데이터로부터 수기서명 이미지를 추출하여 수기서명 이미지 등록부(10)의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저장하거나, 수기서명 추적부(520)로부터 추적되는 위치데이터들에 의한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저장하고, 인증 시 이미지 복원부(550)로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를 출력한다.
수기서명 행위특성 획득부(540)는 수기서명 입력부(400)의 터치입력부(420)로부터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터치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터치데이터의 위치데이터 및 압력 데이터에 의해 수기로 서명할 때의 펜(손, 전자펜, 터치펜, 스마트펜 등) 끝의 방향/각도, 이동 속력, 압력, 가속도, 분포특성(위치, 방향/각도, 이동 속력, 압력, 가속도 등) 등과 같은 사용자별 행위특정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수기서명 행위특성 획득부(540)는 등록 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수기서명 행위특성 등록부(20)의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1)에 저장하고, 인증 이후에 획득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2)에 저장한다.
이미지 복원부(550)는 수기서명 등록 시 및 수기서명 인증 시 상기 수기서명 이미지 획득부(530)에서 터치데이터에 의해 획득된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 및 상기 수기서명 행위특성 획득부(540)에서 획득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입력받고, 수기서명 행위특성이 반영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복원(복원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이하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라 함)하여 비교부(560)로 출력한다.
비교부(560)는 등록 시 상기 이미지 복원부(550)에서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에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도에 따른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 결과를 제어부(510)로 제공한다.
그리고 비교부(560)는 인증 시 상기 이미지 복원부(550)에서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12)에 등록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도에 따른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 결과를 제어부(5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비교부(560)는 수기서명 인증 시 추적된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와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등록되어 있는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른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비교부(560)는 수기서명 인증 시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와, 수기서명 행위특성 획득부(540)에서 획득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도에 따른 수기서명 행위특성 인증을 수행하고, 수기서명 행위특성 인증 성공 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에 의한 수기서명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비교부(560)는 상기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에 의한 인증,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에 의한 인증,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에 의한 인증 및 정규화된 복원 수기서명에 의한 인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정규화부(570)는 상기 인증 성공 시마다, 즉 인증 성공 시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수기로 기록된 수기서명에 대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등록부(100)에 저장할 때마다, 새롭게 저장되는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 기존 일정 기간 이전의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들을 정규화하여 정규화 수기서명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비교부(560)는 추후 수기서명 인증 시 정규화된 수기서명 이미지와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정규화부(570)는 수기서명 이미지뿐만 아니라 수집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들 또한 정규화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정규화 기술 자체는 음성인식, 문자인식, 이미지 인식 등에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 방법의 수기서명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수기서명 등록 명령의 입력에 의한 수기서명 등록 이벤트가 발생되면 입력부(200)로부터 스캔 구동 명령이 입력되는지 직접 수기서명 입력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스캔부(410)를 통해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할 것인지(S111), 터치입력부(420)를 통해 직접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할 것(S113)인지를 판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기서명 등록은 사용자가 서명을 깨끗한 용지에 수기한 후 상기 용지를 스캔하여 사용자의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과,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에 직접 서명을 수기하고, 수기되는 서명을 추적하여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캔명령이 입력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수기서명 입력부(400)의 스캔부(410)를 통해 수기서명이 써진 용지를 스캔하여 스캔데이터를 획득한다(S115).
스캔데이터가 획득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스캔데이터로부터 수기서명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저장한다(S117).
반면, 직접 서명을 수기하는 직접 수기서명 명령이 입력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터치입력부(420)를 통해 수기서명이 개시되는지를 검사한다(S119).
수기서명이 개시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터치입력부(42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데이터에 의해 수기서명의 추적을 개시한다(S121).
수기서명의 추적이 개시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터치데이터를 저장하고, 터치데이터의 위치데이터 및 압력데이터를 분석하여 방향/각도, 이동 속력, 압력, 가속도, 분포특성(위치, 방향/각도, 이동 속력, 압력, 가속도 등) 등을 포함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시작한다(S123).
상기 수기서명에 대한 추적이 개시되고,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가 수집되기 시작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수기서명이 종료되는지를 검사한다(S125). 상기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일정시간 이상 터치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수기서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종료 판단 시 마지막으로 입력된 터치데이터의 위치데이터는 수기서명의 최종점으로 판단할 것이다.
수기서명이 종료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추적을 종료하고, 터치데이터의 추적에 의한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를 생성한다(S127).
상기 수기서명 이미지가 생성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상기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를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저장하고(S128), 수집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수기서명 행위특성 등록부(20)의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1)에 저장한다(S129). 이하 상술한 S119 내지 S129를 수기서명 추적 루틴이라 한다.
등록 시에 상기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등록부(20)의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1)에 저장되고, 수기서명 이미지는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저장될 것이다. 이하 직접 수기서명에 의해 획득되어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저장되는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는 수기서명 이미지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등록 시 스캔을 통해 획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터치 입력부(420)를 통해 직접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여 등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1실시예에서 스캔을 이용하여 등록하는 경우, 행위특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 방법의 수기서명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 행위특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행위특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1)에 저장하고, 행위특성 데이터에 의한 상기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저장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검출한 후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한다.
스캔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수기서명 이미지가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저장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터치 입력부(420)를 통해 서명을 수기로 해 줄 것을 요청한다(S141).
상기 수기서명 요청 후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수기서명 추적 루틴을 수행하여(S143), 추적 종료 시 터치데이터의 추적에 의한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수기서명 추적 루틴을 통해 수집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행위특성 데이터가 획득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상기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에 의해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복원한다(S145).
상기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상기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와 비교하여(S147)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S149) 일치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12)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상기 행위특성 데이터를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1)에 저장하여 등록한다(S151).
반면, 일정 일치도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수기서명 실패로 간주하여 상기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 폐기하고 재입력을 요청할 것이다(S153). 재입력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하거나 등록 취소 명령이 발생되면 종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직접 서명을 입력하여 등록하는 경우에도 한 번 더 수기서명을 요청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검증을 수행한 후 일치하는 경우 수기서명 이미지를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저장하고, 행위특성 데이터를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1)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수기로 서명을 입력할 것을 요청하고(S211), 상기 수기서명의 요청 후 사용자가 수기로 서명하기 시작하면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수기서명 추적 루틴을 수행하여(S213)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가 생성되고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가 수집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에 반영하여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복원한다(S215).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가 복원되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와 비교하여(S221), 일정 일치도 이상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223).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의 일치도가 미리 정의된 기준 일치도 이상이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인증 성공으로 판단하고, 획득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에 저장한다(S233).
반면, 일치도가 기준 일치도 이하이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제어부(510) 및 출력부(300)를 통해 인증 실패를 통지한다(S237).
상기 설명에서는 복원된 수기서명 이미지와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만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4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구성들과 같이,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에 의한 인증 수행 전에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와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11)에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고(S217), 미리 설정된 일정 일치도 이상일 경우(S219),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술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에 의한 인증 및 추기 수기서명 이미지에 의한 인증 모두 성공한 경우,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상기 수기서명 이미지의 인증 전 또는 인증 후 획득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와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1)에 등록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비교하여(S225) 일정 일치도 이상일 경우(S227)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정규화되어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12)에 저장된 정규화 수기서명 이미지와 획득된 추기 수기서명 이미지 및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 중 하나 이상과 비교하여(S229) 일치 여부에 따른 인증(S231)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정규화되어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22)에 저장된 정규화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와 획득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구성들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수기서명 인증부(500)가 보다 정확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인증 성공 시 수기서명 인증부(500)는 인증에 성공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기존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12)에 등록되어 있는 일정 기간의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들에 포함하여 정규화한 후 수기서명 이미지로서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12)에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S235).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수기서명 이미지 등록부 11: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
12: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 20: 수기서명 행위특성 등록부
21: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 22: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
100: 등록부 200: 입력부
300: 출력부 400: 수기서명 입력부
410: 스캔부 420: 터치 입력부
500: 수기서명 인증부 510: 제어부
520: 수기서명 추적부 530: 수기서명 이미지 획득부
540: 수기서명 행위특성 획득부 550: 이미지 복원부
560: 비교부 570: 정규화부

Claims (4)

  1. 사용자의 수기서명을 스캔하여 수기서명 스캔데이터를 수기서명 입력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스캔부 및 사용자가 수기서명을 위해 터치하는 위치들에 대한 위치데이터 및 압력데이터를 포함하는 터치데이터를 수기서명 입력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는 수기서명 입력부;
    사용자별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의 수기에 따른 사용자의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등록하는 등록부; 및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수기서명 입력 데이터로부터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등록부에 등록하되,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의 터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데이터에 의해 추적된 상기 수기서명인 추적 수기서명에 사용자의 수기서명 시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행위특성정보를 반영하여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복원하고,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등록부에 기 저장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 시 상기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상기 등록부에 등록하고, 수기서명 인증 요청 발생 시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의 터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데이터에 의해 추적된 추적 수기서명에 사용자의 수기서명 시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행위특성정보를 반영하여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미리 상기 등록부에 최종 등록되어 있는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을 수행하는 수기서명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수기서명 등록 시 상기 수기서명 입력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 및 상기 수기서명 인증 시 인증에 성공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2레벨 이미지 등록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등록부; 및
    상기 수기서명 등록 시 상기 수기서명 입력데이터의 터치데이터로부터 수집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 및 상기 수기서명 인증 시 인증에 성공한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레벨 행위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레벨 행위특성 등록부를 포함하는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 등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3. 수기서명 인증부가 수기서명 입력부를 통해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수집하여 등록부에 등록하고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수기서명 입력 데이터로부터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등록부에 등록하되,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의 터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데이터에 의해 추적된 추적 수기서명에 사용자의 수기서명 시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행위특성정보를 반영하여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미리 획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 시 상기 수기서명 이미지를 상기 등록부에 등록하는 수기서명 등록 과정; 및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의 터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데이터에 의해 추적된 추적 수기서명에 사용자의 수기서명 시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행위특성정보를 반영하여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복원하고, 복원된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미리 상기 등록부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른 수기서명 인증을 수행하는 수기서명 인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서명 인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기서명 등록 과정은,
    상기 수기서명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수기서명 입력데이터로부터 수기서명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등록부의 수기서명 이미지 등록부의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에 등록하는 수기서명 이미지 등록 단계;
    상기 수기서명 입력데이터 중 하나인 터치데이터에 의해 수기서명을 추적하여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기서명 추적 단계;
    상기 수기서명 추적에 의해 생성 및 수집되는 추적 수기서명 이미지 및 수기서명 행위특성 데이터에 의해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를 복원하는 복원단계; 및
    상기 복원 수기서명 이미지와 상기 제1레벨 이미지 등록부에 등록된 수기서명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 후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수기서명행위특성 데이터를 상기 등록부의 수기서명 행위특성 등록부의 제1레벨 행위특성 등록부에 등록하는 행위특성 데이터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서명 인증 방법.
KR1020150128867A 2015-09-11 2015-09-11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910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67A KR101910350B1 (ko) 2015-09-11 2015-09-11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67A KR101910350B1 (ko) 2015-09-11 2015-09-11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771A Division KR101575577B1 (ko) 2015-07-09 2015-07-09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68A KR20170007068A (ko) 2017-01-18
KR101910350B1 true KR101910350B1 (ko) 2019-01-04

Family

ID=5799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867A KR101910350B1 (ko) 2015-09-11 2015-09-11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3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8061B2 (en) 2019-04-24 2022-06-14 Netmarble Corporation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drawing-based security authentication
KR102547317B1 (ko) * 2022-06-16 2023-06-22 김필규 지식박스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020B1 (ko) 2017-08-17 2022-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문서에 서명을 포함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11858B1 (ko) 2018-08-16 2020-05-15 한국과학기술원 기계학습을 이용한 획 기반 수기 서명 인증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267B1 (ko) 2013-10-08 202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명 등록 방법, 서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8061B2 (en) 2019-04-24 2022-06-14 Netmarble Corporation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drawing-based security authentication
US11654366B2 (en) 2019-04-24 2023-05-23 Netmarble Corporation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drawing-based security authentication
KR102547317B1 (ko) * 2022-06-16 2023-06-22 김필규 지식박스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68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577B1 (ko)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10936857B2 (en) System for verifying the identity of a user
KR101584045B1 (ko) 세그먼트 기반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8804884B (zh) 身份认证的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US9311519B2 (en)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585842B1 (ko) 세그먼트 블록 기반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5100108B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登录认证方法、装置及系统
US101810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 based biometric security
US200702363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user behavior patterns
US10515257B2 (en) Handwritten signatur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time-division segment block
KR101910350B1 (ko) 수기서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14526A1 (en) Multi-layer biometric authentication
US10878071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anomaly detection
US201802880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iometric Authentication-Based Electronic Notary Public
JP7254311B2 (ja) 顔認識及び手書き署名検証基盤のユーザ認証方法及び装置(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face recognition and handwritten signature verification)
US20180341779A1 (en) Augmented reality captcha
US20190188364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KR101853270B1 (ko) 지문인식방법을 채용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보안 인증방법
EP34447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dynamic movement tracking-based handwritten signature for space division segment
KR101853266B1 (ko) 지문인식방법을 채용한 휴대용 보안인증기
US10277595B2 (en) Identity recognition with living signatures from multiple devices
CN116129449A (zh) 生物签章验证系统与生物签章验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59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22

Effective date: 201809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