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295B1 -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및 그 심리분석방법 - Google Patents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및 그 심리분석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0295B1 KR101910295B1 KR1020170153676A KR20170153676A KR101910295B1 KR 101910295 B1 KR101910295 B1 KR 101910295B1 KR 1020170153676 A KR1020170153676 A KR 1020170153676A KR 20170153676 A KR20170153676 A KR 20170153676A KR 101910295 B1 KR101910295 B1 KR 1019102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sychological
- model
- user
- state information
- psychological st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및 그 심리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는, 사용자에 대한 성별, 나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사용자정보 관리부와, 컬러링 입체모델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입체모델을 완성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콘텐츠 관리부와, 상기 입체모델을 완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방법, 완성도를 포함하는 완성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완성정보 관리부와, 상기 입체모델에 대한 상기 완성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심리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심리상태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컬러링 입체모델을 완성하면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및 그 심리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모델을 완성도나 채색패턴에 따라 심리상태를 분석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컬러 테라피(Color therapy, 색채 치료)는 '컬러'와 '테라피'의 합성어로 색의 에너지와 성질을 심리 치료와 의학에 활용하여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삶의 활력을 키우는 정신적인 요법이다. 테라피(Therapy)란 '요법' 또는 '치료'라는 뜻으로 심신의 컨디션을 좋게 하는 간접적인 치료방법들을 통칭하는 의학용어이다. 약물 치료나 수술 같은 직접적인 질병 치료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고 고통을 줄이는 보조 수단들이 모두 테라피의 범주에 들어간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8239호(2017년 06월 19일 공개)는 디지탈화 된 결과를 도출하는 미술 심리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리 진단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오로지 그림의 형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심리를 분석하는 것으로 제한되며, 심리진단에 따른 컬러테라피를 제공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컬러링 입체모델을 완성하면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및 그 심리분석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컬러링 입체모델에 채색된 색상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및 그 심리분석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컬러링 입체모델에 기능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향을 분사하거나, 음향을 출력하여 심리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및 그 심리분석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는, 사용자에 대한 성별, 나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사용자정보 관리부와, 컬러링 입체모델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입체모델을 완성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콘텐츠 관리부와, 상기 입체모델을 완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방법, 완성도를 포함하는 완성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완성정보 관리부와, 상기 입체모델에 대한 상기 완성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심리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심리상태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심리상태정보 관리부는, 상기 입체모델의 색상패턴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심리상태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리상태정보 관리부는, 상기 심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입체모델 내부에 수용되는 향분사모듈을 통해 분사되는 향물질의 종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리상태정보 관리부는, 상기 심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입체모델 내부에 수용되는 음향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종류를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의 심리분석방법은, 사용자에 대한 성별, 나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사용자정보 관리단계와, 컬러링 입체모델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입체모델을 완성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콘텐츠 관리단계와, 상기 입체모델을 완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방법, 완성도를 포함하는 완성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완성정보 관리단계와, 상기 입체모델에 대한 상기 완성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심리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심리상태정보 관리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컬러링 입체모델을 완성하면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컬러링 입체모델에 채색된 색상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컬러링 입체모델에 기능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향을 분사하거나, 음향을 출력하여 심리안정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에서 입체모델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비전처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에서 학습성취도를 분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에서 기능모듈과 통신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의 심리분석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에서 입체모델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비전처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에서 학습성취도를 분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에서 기능모듈과 통신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의 심리분석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이나 관리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심리분석장치(100)는 카메라, GPS, 통신모듈, 입력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심리분석장치(100)는 컬러링 입체모델(1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입체모델(10)을 완성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컬러링 입체모델(10)은 색칠을 할 수 있는 3차원 형상의 물체이거나 색칠이 칠해진 3차원 형상의 물체의 부품일 수 있다. 이 경우, 입체모델(10)에는 고유의 식별정보(11)가 인쇄될 수 있다. 입체모델(10)은 종이재, 섬유재, 합성수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모델(10)은 종이접기식으로 구현하거나 조립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심리분석장치(100)는 입체모델(10)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획득하여 이를 완성할 수 있는 학습콘텐츠르 제공한다. 또한, 심리분석장치(100)는 완성된 입체모델(10)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완성도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통해 컬러링 입체모델(10)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에서 입체모델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비전처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에서 학습성취도를 분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100)는 사용자정보 관리부(110), 학습콘텐츠 관리부(120), 완성정보 관리부(130) 및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를 포함한다.
사용자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에 대한 성별, 나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 사용자정보는 해당 입체모델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력을 관리하여 심리상태를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정보에는 사용자의 구매이력, 선호도, 생체정보, 감정정보, 심리장애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구매이력은 사용자가 기존에 구매한 입체모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선호도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의 대화, 인터넷 검색기록, 구매이력을 데이터 마이닝하여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키, 온도, 혈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감정정보는 감정상태에 대한 입력정보,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의 대화내용, 음성분석을 통해 감정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학습콘텐츠 관리부(120)는 컬러링 입체모델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입체모델을 완성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한다. 이 경우, 식별정보는 바코드, 큐알(QR)코드, 에이알(AR)코드, 전자태그 형태로 입체모델에 형성될 수 있다. 학습콘텐츠 관리부(120)는 식별정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거나, 전자태그와의 통신을 통해 입체모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학습콘텐츠는 획득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학습콘텐츠는 사용자가 보고 따라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통해 동영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완성정보 관리부(130)는 입체모델을 완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방법, 완성도를 포함하는 완성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 완성정보 관리부(130)는 도 3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완성한 입체모델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 등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완성정보 관리부(130)는 입체모델에 대한 영상을 시간과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완성정보 관리부(130)는 입체모델에 대한 영상을 식별정보와 함께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동일한 입체모델에 대한 중복된 입력을 피하기 위함이다. 완성정보 관리부(130)는 입체모델에 대한 영상정보를 도 3의 (b)와 같이 비전처리를 통해 완성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는 입체모델이 복수의 구성이 조립되는 경우 구성의 누락, 구성의 부정결합 등의 상태를 완성도로 반영할 수 있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입체모델에 대한 완성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에 대한 심리상태를 분석한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동종의 입체모델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완성정보를 획득하여 평균적인 완성정보에 대한 기준정보를 설정한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기준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완성정보를 지표로 나타내 평균에서는 벗어나는 정도를 기준으로 심리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완성정보에 따라 신속성, 정확성, 창의성, 안정성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심리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제1 시점에 완성한 제1 입체모델에 대한 완성도와 제2 시점에 완성한 제2 입체모델에 대한 완성도를 비교하여 심리개선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심리개선도에 따라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체모델을 매칭하여 추천할 수 있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도 4와 같이 입체모델 외에도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교재나 심리상담정보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사용자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의 학원정보나 전문가를 매칭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입체모델에 채색된 색상종류, 색상패턴을 포함하는 색상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 대한 심리상태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입체모델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채색된 색상 및 패턴을 분석한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색상의 조합, 패턴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사용자의 심리상태정보에 따라 심리안정을 가져올 수 있는 환경을 유도하기 위한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실내 인테리어 소품, 음식, 향, 음악 등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제1 시점에 완성한 제1 입체모델에 대한 심리상태정보와 제2 시점에 완성한 제2 입체모델에 대한 심리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심리안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사용자의 심리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사용자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의 심리상담소나 전문가를 매칭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사용자의 행동이력을 분석하여 심리상태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입체모델의 색상패턴을 분석하여 제1 심리모델을 생성한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의 대화, 통화 내용, 사용자의 음성을 데이터 마이닝하여 제2 심리모델을 생성한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제1 심리모델과 제2 심리모델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편차를 이내인 경우 제1 심리모델을 심리상태정보로 결정하고, 기 설정된 편차를 벗어나는 경우 제2 심리모델을 심리상태정보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입체모델에 대한 심리상태정보를 수정하여 보다 정확한 심리상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심리상태정보에 따라 입체모델 내부에 수용되는 향분사모듈을 통해 분사되는 향물질의 종류를 가변시킬 수 있다. 향분사모듈은 자체 배터리를 통해 카트리지 내에 복수의 종류의 향을 분사하며, 심리분석장치(100)와 통신을 통해 분사량이나 분사물질의 종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리상태정보가 불안정한 사용자의 경우 안정시킬 수 있는 아로마오일의 종류를 선택하여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체모델에 심리분석장치(100)가 근접하는 경우 향분사모듈이 동작을 개시하고, 입체모델로부터 심리분석장치(100)가 이탈하는 경우 향분사모듈의 동작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심리상태정보에 따라 입체모델 내부에 수용되는 음향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종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음향모듈은 일종의 스피커로 심리분석장치(100)와 통신하여 음향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리상태정보가 불안정한 사용자의 경우 안정시킬 수 있는 음향의 종류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체모델에 심리분석장치(100)가 근접하는 경우 음향모듈이 동작을 개시하고, 입체모델로부터 심리분석장치(100)가 이탈하는 경우 음향모듈의 동작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여 심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사용자가 입체모델을 완성하는 과정에 무의식적인 음성정보를 수집한다. 이는 사용자가 틱장애 (tic disorder)와 같은 증상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기 설정된 심리장애별 음성정보와 비교하여 심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입체모델이 조명기구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생체반응정보에 따라 조명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입체모델은 반투명 재질로 내부에 RGB LED가 포함되어 복수의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완성된 입체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여 심리안정을 위해 조명의 색상의 가변시킨 후 사용자의 생체반응정보를 획득하여 심리안정의 개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체반응정보는 색상의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혈압, 호흡, 동공의 크기변화를 포함하는 생체상의 반응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완성한 입체모델의 조명을 가변시켜 사용자의 심리를 안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에서 기능모듈과 통신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심리분석장치(100)는 입체모듈 내의 기능모듈(20)과 통신을 통해 기능모듈(20)을 동작시킬 수 있다. 기능모듈(20)은 향분사모듈, 음향모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심리분석장치(100)는 심리안정모드인 경우 아로마향을 1시간동안 5ml 분사하고, 음향을 함께 제공하는 심리안정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를 실행하면 기능모듈(20)로부터 아로마향이 기 설정된 조건으로 분사되어 사용자의 심리안정을 유도한다. 이 경우, 심리분석장치(100)가 입체모듈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기능모듈(20)은 동작하지 않고, 심리분석장치(100)가 입체모듈로부터 근접하는 경우에는 기능모듈(2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100)는 전문가 매칭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문가 매칭부(150)는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에서 1차적으로 분석된 사용자의 심리상태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최적의 심리치료 전문가를 매칭한다. 이 경우, 심리치료 전문가의 전문치료분야에 대한 내용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리치료 전문가에는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에서 분석된 심리상태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심리치료가 오프라인상의 전문가와 매칭되어 지속적인 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100)는 포인트 관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인트 관리부(160)는 입체모델에 생성된 식별정보를 광고정보와 매칭하여 포인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체모델을 완성하여 전시하는 경우, 제3자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해당 입체모델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면 외부의 관리서버(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광고콘텐츠가 제3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제3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광고콘텐츠가 실행되는 경우 입체모델을 완성한 사용자에게 포인트가 적립된다. 이 경우, 광고콘텐츠는 광고사업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포인트는 금전으로 환전이 가능하거나 물품을 교환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제3자는 광고콘텐츠의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광고콘텐츠와 별개로 해당 입체모델을 완성한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제3자의 사용자 단말에서 광고콘텐츠가 실행되는 경우 제3자의 사용자 단말로도 포인트가 적립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의 심리분석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의 심리분석방법은 먼저 사용자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에 대한 성별, 나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S110). 사용자정보는 해당 입체모델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력을 관리하여 학습성취를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정보에는 사용자의 구매이력, 선호도, 생체정보, 감정정보, 장애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구매이력은 사용자가 기존에 구매한 입체모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선호도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의 대화, 인터넷 검색기록, 구매이력을 데이터 마이닝하여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키, 온도, 혈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감정정보는 감정상태에 대한 입력정보,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의 대화내용, 음성분석을 통해 감정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콘텐츠 관리부(120)는 컬러링 입체모델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입체모델을 완성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한다(S120). 이 경우, 식별정보는 바코드, 큐알(QR)코드, 에이알(AR)코드, 전자태그 형태로 입체모델에 형성될 수 있다. 학습콘텐츠 관리부(120)는 식별정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거나, 전자태그와의 통신을 통해 입체모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학습콘텐츠는 획득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학습콘텐츠는 사용자가 보고 따라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통해 동영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완성정보 관리부(130)는 입체모델을 완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방법, 완성도를 포함하는 완성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S130). 완성정보 관리부(130)는 사용자가 완성한 입체모델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 등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완성정보 관리부(130)는 입체모델에 대한 영상을 시간과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완성정보 관리부(130)는 입체모델에 대한 영상을 식별정보와 함께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동일한 입체모델에 대한 중복된 입력을 피하기 위함이다. 완성정보 관리부(130)는 입체모델에 대한 영상정보를 비전처리를 통해 완성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는 입체모델이 복수의 구성이 조립되는 경우 구성의 누락, 구성의 부정결합 등의 상태를 완성도로 반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입체모델에 대한 완성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에 대한 심리상태를 분석한다(S140).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동종의 입체모델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완성정보를 획득하여 평균적인 완성정보에 대한 기준정보를 설정한다.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기준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완성정보를 지표로 나타내 심리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리상태정보 관리부(140)는 완성정보에 따라 신속성, 정확성, 창의성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심리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창의성은 입체모델을 구성하는 구성 중 학습콘텐츠에서 사용방법이 설명되지 않은 구성을 어떠한 방식으로 응용하는지에 따라 창의성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입체모델
11 : 식별정보
20 : 기능모듈
100 : 심리분석장치
110 : 사용자정보 관리부
120 : 학습콘텐츠 관리부
130 : 완성정보 관리부
140 : 심리상태정보 관리부
150 : 전문가 매칭부
160 : 포인트 관리부
11 : 식별정보
20 : 기능모듈
100 : 심리분석장치
110 : 사용자정보 관리부
120 : 학습콘텐츠 관리부
130 : 완성정보 관리부
140 : 심리상태정보 관리부
150 : 전문가 매칭부
160 : 포인트 관리부
Claims (5)
- 사용자에 대한 성별, 나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사용자정보 관리부;
컬러링 입체모델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입체모델을 완성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콘텐츠 관리부;
상기 입체모델을 완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방법, 완성도를 포함하는 완성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완성정보 관리부; 및
상기 입체모델에 대한 제1 시점에 완성한 제1 입체모델과 제2 시점에 완성한 제2 입체모델에 대한 심리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심리안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심리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추천하고, 상기 입체모델의 색상패턴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심리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데이터 마이닝하여 제2 심리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심리모델과 상기 제2 심리모델의 편차를 비교하여 심리상태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심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입체모델 내부에 수용되는 향분사모듈을 통해 분사되는 향물질의 종류를 가변시키는 심리상태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상태정보 관리부는,
상기 심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입체모델 내부에 수용되는 음향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종류를 가변시키는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의 심리분석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성별, 나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사용자정보 관리단계;
컬러링 입체모델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입체모델을 완성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콘텐츠 관리단계;
상기 입체모델을 완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방법, 완성도를 포함하는 완성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완성정보 관리단계; 및
상기 입체모델에 대한 제1 시점에 완성한 제1 입체모델과 제2 시점에 완성한 제2 입체모델에 대한 심리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심리안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심리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추천하고, 상기 입체모델의 색상패턴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심리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데이터 마이닝하여 제2 심리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심리모델과 상기 제2 심리모델의 편차를 비교하여 심리상태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심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입체모델 내부에 수용되는 향분사모듈을 통해 분사되는 향물질의 종류를 가변시키는 심리상태정보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3676A KR101910295B1 (ko) | 2017-11-17 | 2017-11-17 |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및 그 심리분석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3676A KR101910295B1 (ko) | 2017-11-17 | 2017-11-17 |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및 그 심리분석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0295B1 true KR101910295B1 (ko) | 2018-10-19 |
Family
ID=6410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3676A KR101910295B1 (ko) | 2017-11-17 | 2017-11-17 |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및 그 심리분석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029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4716A (ko) | 2019-02-27 | 2020-09-04 | 김규리 | 컬러 테라피를 활용한 심리 상담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127336A (ko) | 2019-05-02 | 2020-11-11 | 김옥기 | Hue & tone 기반 컬러테라피 상담 시스템 |
KR20230072285A (ko) * | 2021-11-17 | 2023-05-24 | (주)디자인씽킹 | 힐링 하우스를 이용한 심리상태 표출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2359B1 (ko) * | 2014-02-21 | 2014-10-23 | 주식회사 베이스디 |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
-
2017
- 2017-11-17 KR KR1020170153676A patent/KR1019102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2359B1 (ko) * | 2014-02-21 | 2014-10-23 | 주식회사 베이스디 |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4716A (ko) | 2019-02-27 | 2020-09-04 | 김규리 | 컬러 테라피를 활용한 심리 상담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127336A (ko) | 2019-05-02 | 2020-11-11 | 김옥기 | Hue & tone 기반 컬러테라피 상담 시스템 |
KR102222832B1 (ko) * | 2019-05-02 | 2021-03-03 | 김옥기 | Hue & tone 기반 컬러테라피 상담 시스템 |
KR20230072285A (ko) * | 2021-11-17 | 2023-05-24 | (주)디자인씽킹 | 힐링 하우스를 이용한 심리상태 표출 시스템 |
KR102683869B1 (ko) * | 2021-11-17 | 2024-07-22 | (주)디자인씽킹 | 힐링 하우스를 이용한 심리상태 표출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0201B1 (ko) | 사용자 감정 상태에 반응하여 영화 컨텐츠의 생성 및 제어 | |
Calvo et al. | Human observers and automated assessment of dynamic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KDEF-dyn database validation | |
Parkinson | Do facial movements express emotions or communicate motives? | |
Jeon | Emotions and affect in human factors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Taxonomy, theories, approaches, and methods | |
Aspell et al. | Turning body and self inside out: visualized heartbeats alter bodily self-consciousness and tactile perception | |
KR101910295B1 (ko) | 컬러테라피용 컬러링 입체모델을 이용한 심리분석장치 및 그 심리분석방법 | |
Van Dantzig et al. | Approach and avoidance as action effects | |
Smith et al. | Representation and incorporation of close others’ responses: The RICOR model of social influence | |
Walker et al. | An encoding advantage for own-race versus other-race faces | |
Wakslak et al. |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 on subjective probability estimates | |
Lorenzo et al. | What is beautiful is good and more accurately understood: Physical attractiveness and accuracy in first impressions of personality | |
Bar et al. | Subliminal visual priming | |
US9495684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indicating behavior in a population cohort | |
US8150796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inducing behavior in a population cohort | |
Eckhardt et al. | Objective measures of IS usage behavior under conditions of experience and pressure using eye fixation data | |
CN110301012A (zh) | 使用增强现实提供关于医疗保健程序和系统性能的辅助信息 | |
KR20210004951A (ko) | 신경 생리학적 상태의 검출을 위한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는 컨텐츠 생성 및 제어 | |
Kalaganis et al. | Unlocking the subconscious consumer bias: a survey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hybrid EEG schemes in neuromarketing | |
Hearn et al. | The beguiling: Glamour in/as platformed cultural production | |
Nikolić et al. | Color opponency in synaesthetic experiences | |
Gračanin et al. | The effects of tears on approach–avoidance tendencies in observers | |
Kreuzbauer et al. | When does life satisfaction accompany relational identity signaling: A cross-cultural analysis | |
Korisky et al. | Dimensions of perception: 3D real-life objects are more readily detected than their 2D images | |
WO2022011448A1 (en) |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rface for personalization or recommendation of products | |
Lau | Face masks bolsters the characteristics from looking at a face even when facial expressions are impair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