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064B1 - Microphone - Google Patents

Micro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064B1
KR101910064B1 KR1020170095260A KR20170095260A KR101910064B1 KR 101910064 B1 KR101910064 B1 KR 101910064B1 KR 1020170095260 A KR1020170095260 A KR 1020170095260A KR 20170095260 A KR20170095260 A KR 20170095260A KR 101910064 B1 KR101910064 B1 KR 101910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ead
noise
lifting body
ro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경민
김선양
Original Assignee
조경민
김선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민, 김선양 filed Critical 조경민
Priority to KR102017009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0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0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7Mechanical or electrical reduction of wind noise generated by wind passing a micro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hone capable of enabling a user to easily and effectively block noise of an external sound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phone capable of converting vibration into an electric signal when the vibration through a sound signal (sound wave) is input. The microphone comprises a blimp which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to ascend and descend, and blocks noise of a sound signal input to a head by opening and closing the outside of the head of the microphone to which the sound signal is input b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vement. The blimp includes a rod memb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noise blocking member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long the rod member and block the noise of the sound signal input to the head by opening and closing the outside of the head b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vement.

Description

블림프 구조를 갖는 마이크{MICROPHONE}MICROPHONE < / RTI >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마이크에 입력되는 외부 음향신호의 잡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hone that can effectively block noise of an external sound signal input to a microphone by a user.

일반적으로 마이크라고 하면,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리본형의 막을 진동판으로 사용하는 리본 마이크, 영구자석 주위에 감겨진 코일(Coil)이 공기 음압에 의한 진동판의 반응에 따라 움직여 플레밍의 법칙에 의거해 유도전류를 발생하시키는 다이나믹 마이크, 콘덴서의 양극에 전원을 공급하고 음압에 의해 진동판이 반응하면 콘덴서 내의 전류가 변화를 일으키는 콘덴서 마이크, 무지향성의 마이크를 평평한 판위에 설치하여 독특한 지향특성을 띠도록 한 PZM(Pressure Zone Mic)마이크 등을 말한다.Generally speaking, a microphone is a ribbon microphone using a thin ribbon-like film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as a diaphragm, a coil wound around a permanent magnet moves according to a reaction of a diaphragm caused by an air sound pressure, A condenser microphone that generates a change in the current in the condenser when the diaphragm responds to sound pressure, and a non-directional microphone on a flat plate to provide a PZM Pressure Zone Mic microphone.

종래의 마이크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가 내장된 핸들의 일단에 마이크 유니트가 삽입되고 그릴이 체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핸들을 스위치가 장착되는 내부 몸체와 이 내부 몸체 위에 끼워지며 일측에 스냅결합홈이 형성되고 유채색 및 형광색 안료 첨가가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로 구성하고, 스위치의 버튼 위에 끼워지는 버튼 커버와 이 버튼 커버 위에 씌워지면서 상기 외피의 스냅결합홈을 통해 내부 몸체와 외피를 스냅결합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식체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microphone, a microphone unit is inserted into one end of a handle having a switch, and a grill is fastened to the handle. The handle has an inner body to which the switch is attached, A button cover which is fitted on the button of the switch, and a snap cover engaging the snap-fit groove of the outer cover to cover the button cover, so that the inner body and the outer skin are snapped And a switch decorating body which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몸체(11)는 원뿔대 모양의 중공체로서 내외면의 두 구간에 완만한 단차가 형성된다. 내부 몸체(11)에서 내부공간이 넓어지는 쪽에는 외피(12)와 그릴(4) 사이에 위치하면서 외피(12)와 그릴(4)의 접하는 부위의 외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환테(13)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 몸체(11)의 중간에는 스위치 장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끼워진 스위치(15)가 스위치 장착부(14)에서 피스(16)에 의하여 체결된다.The body 11 is a truncated hollow body and a gentle step is formed in two sections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 phantom 13 having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ortion where the outer shell 12 and the grill 4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s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body 11 is widened, Respectively. A switch mounting portion 14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inner body 11 and a switch 15 fitted in the switch mounting portion 14 is fastened by the piece 16 at the switch mounting portion 14. [

상기 스위치 장착부(14)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후술하는 스위치 장식체(18)를 실질적으로 스냅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구멍(19)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 몸체(11)의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부위에는 외부에서 오는 케이블의 플러그(미도시)를 꽂을 수 있는 케이블 잭(7)이 끼워진 후 피스(20)로 고정된다.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mounting portion 14, there is formed a fitting hole 19 capable of substantially snap-fitting the switch decorative member 18 to be described later. A cable jack 7 for plugging a cable (not shown) coming from the outside is inserted into a portion where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body 11 is narrowed, and is fixed to the piece 20 after the cable jack 7 is inserted.

상기 내부 몸체(11)의 내부공간이 넓어지는 쪽 단부에는 나사면(21)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릴(4)이 체결된다. 그릴(4)에 의하여 보호되는 마이크 유니트(3)는 내부 몸체(11)의 확관되는 쪽 단부 내에 일부가 끼워진다.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1 is widened to have a threaded surface 21, so that the grill 4 is fastened. The microphone unit (3) protected by the grill (4) is partially fitted into the expanded end of the inner body (11).

조립순서를 설명하면, 마이크 유니트(3)가 먼저 내부 몸체(11)의 확관되는 쪽에 삽입되고, 그릴(4)이 마이크 유니트(3)의 외부에 씌워지면서 내부 몸체(11)의 나사면(21)에 체결된다.The microphone unit 3 is first inserted into the expanded side of the inner body 11 and the grill 4 is pu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unit 3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21 of the inner body 11 .

상기 외피(12)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피(12)는 상기 내부 몸체(11)의 외면에 끼워진 후 스위치 장식체(18)에 의하여 내부 몸체(11)와 결합된다. 외피(12)는 중간에 단차가 없는 원뿔대 모양의 중공체이다.The envelope 12 is made of soft synthetic resin. The outer shell 12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1 and then coupled to the inner body 11 by the switch decorating body 18. [ The shell 12 is a truncated cone-shaped hollow body with no step in the middle.

외피(12)는 내부 몸체(11)의 협관되는 부위의 단부에서 환테(13)까지 이르는 구간에 결합된다. 외피(12)의 중간에는 상기한 내부 몸체(11)의 스위치 장착부(14)와 일치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평면상의 모양으로 스냅결합홈(22)이 형성된다.The outer shell 12 is joined to a section from the end of the narrowed portion of the inner body 11 to the tip 13. In the middle of the shell 12, a snap engagement groove 22 is formed in the same size and coplanar shap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witch mounting portion 14 of the inner body 11 described above.

상기 스위치 장식체(18)는 합성수지로 사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 장식체(18)는 상기 외피(12)의 스냅결합홈(22) 및 내부 몸체(11)의 스위치 장착부(14)와 동일한 모양을 이루는 것으로써 스냅결합홈(22)에 결합된다.The switch decorative member 18 is formed by being extruded through a synthetic resin. The switch decorative member 18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nap fitting groove 22 of the outer shell 12 and the switch mounting portion 14 of the inner body 11 and is coupled to the snap fitting groove 22.

상기 스위치 장식체(18)의 중심에는 버튼 커버(23)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외부의 조작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된다.The switch cover (23)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witch decorative body (18) so as to sl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an external operation without detaching the button cover (23) from the outside.

상기 스위치 장식체(18)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의 양쪽에는 상기 내부 몸체(11)에서 스위치 장착부(14)에 형성된 결합구멍(19)에 억지끼움시킬 수 있는 결합돌기(24)가 형성된다. 버튼 커버(23)는 상기한 스위치 장식체(18)의 중간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저면에 홈이 형성되어 스위치(15)의 버튼(17) 위에 결합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At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tch decorative member 1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ing protrusions 24 are formed which are capable of being pressed against the coupling holes 19 formed in the switch mounting portion 14 in the inner body 11. The button cover 23 is slidably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switch decorating body 18 and is formed in the order that the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is coupled onto the button 17 of the switch 15.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이크는 그릴을 통해 잡음이 포함된 음향신호가 그대로 입력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해당 잡음을 차단하기 위해 별도로 마이크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고가의 블림프(blimp)를 이용하여 잡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그 설치과정이 복잡하고, 해당 블림프를 설치한 마이크는 외부행사 등을 진행하는 사회자가 사용하기 불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실질적으로 기피가 많아 청중들은 정확한 음향신호를 전달받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icrophone has a structure in which a sound signal including noises is directly inputted through a grill, so that an expensive blimp having a structure for wrapping the whole microphone separately for blocking the noise is used to generate noise However, since the installa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microphone having the blip is installed in a structure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by the moderator who carries out the external ev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udience can not receive the correct sound signal .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행사 등을 실시하는 사회자(사용자)가 그 환경(눈이나 우천시 또는 바람이 강한 날)에 따라 간편한 조작으로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잡음을 제거하여 청중에게 정확한 음향을 들려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회자가 해당 잡음제거기능을 갖는 마이크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하면서도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 moderator (user) who performs an external event removes noise of a sound signal micro-input by a simp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snow, rainy weather or windy day) And to provide a microphone that can be used while the moderator can easily grasp and move the microphone having the noise canceling function.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림프 구조를 갖는 마이크는 음향신호(사운드 웨이브:sound wave)를 통한 진동이 입력되면 그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microphone)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외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되 승강에 의해 음향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마이크의 헤드 외부를 개폐하여 상기 헤드에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잡음을 차단하는 블림프를 포함하며, 상기 블림프는 상기 마이크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로드부재, 상기 로드부재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승강에 의해 상기 헤드 외부를 개폐하여 상기 헤드에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잡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잡음차단부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phone having a blind structure, which converts a vibration of a sound wave into an electric signal when the vibration is inputted through a sound wave, And a bluff which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o block noise of an acoustic signal input to the head by opening and closing the head of the microphone, And a noise blocking member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rod member and to block noise of an acoustic signal input to the head by opening and closing the outside of the hea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rod member .

또한 상기 로드부재는 상기 헤드와 근접하게 상기 마이크 외면에 소정지름을 갖는 판 형상을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잡음차단부재의 승강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및 일단이 상기 스토퍼와 이어지게 상기 마이크 외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되 상기 잡음차단부재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잡음차단부재가 승강시에 이동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d member is protruded to have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in proximity to the head to limit a vertical distance of the noise shielding member, and a stopp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topper, And a guide movably coupled to the noise blocking member, the guide block providing a traveling path when the noise blocking member is lifted or lowered.

또한 상기 잡음차단부재는 내부에 상기 마이크가 관통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로드부재를 따라 승강하여 상기 헤드 외부를 개폐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헤드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승강체가 상승시에 개방된 상기 승강체 상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판 및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게 상기 승강체 외면에 다수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덮개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헤드에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잡음이 차단되어 입력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잡음차단막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판은 평상시에 상기 승강체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헤드에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잡음을 차단시에만 상기 승강체의 개방된 상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ise blocking member may include a lifting body that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hol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microphone is inserted and inserted, the lifting body lifting along the rod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outside of the head, A cover plate provided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opened when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is lifted to enclose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and the cover plate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ortion And a noise shielding film provided so that noises of an acoustic signal input to the head are intercepted and inputted, wherein the cover plate is normally detachably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ody, It is possible to engage with the open top of the lifting body only when the noise of the lifting body is interrupted Is recommended.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마이크에 구비된 잡음차단부재가 로드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환경(날씨)에 따라 특히 야외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잡음차단부재를 승강시켜 이동중에도 음향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차단할 수 있어 청중에게 정확한 음향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oise shielding member provided on a microphone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a rod member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one, and the noise shielding member is lif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noise included in the sound signal, thereby providing an accurate sound signal to the audience.

도 1은 종래의 마이크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림프 구조를 갖는 마이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림프 구조를 갖는 마이크의 로드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림프 구조를 갖는 마이크의 잡음차단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대한 B-B' 및 C-C'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림프 구조를 갖는 마이크의 작용관계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림프 구조를 갖는 마이크의 제1 및 제2보조차단막을 나타낸 도면.
1 is a conventional microphone drawing.
2 shows a microphone having a bl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rod member of a microphone having a bloom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5 is a view showing a noise blocking member of a microphone having a bloom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B 'and CC' of FIG. 5;
Figs.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a microphone having a bloom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nd 10 are views showing first and second auxiliary shielding films of a microphone having a bli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림프 구조를 갖는 마이크(이하, 간략하게 '블림프'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기재된 마이크는 외부음성 등과 같은 음향신호(사운드 웨이브:sound wave)를 통한 진동이 헤드(H:hard)에 입력되면 그 진동을 진동판, 자석 코일 등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나 이어폰 등을 통해 사람이 청취할 수 있게 하는 통상의 마이크(microphone)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그 구조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icrophone having a bimorp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e description,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 vibration through an acoustic signal (sound wave) such as an external sound into a H (hard), converts the vibration into an electric signal by a diaphragm, a magnet coil, And means a microphone that allows a person to listen through a speaker, an earphone, etc., and a description of its structure and operatio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림프(1)는 크게 마이크(10)에 형성된 로드부재(100) 및 상기 로드부재(100)를 따라 마이크(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잡음차단부재(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1, the Bull limb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d member 100 formed on a microphone 10 and a microphone 100 mounted on the microphone 10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rod member 100. As shown in FIG. And a noise blocking member 200 which is made of a metal.

하여, 사용자는 특히, 야외에서 마이크(10)를 사용시에 해당 마이크(10)의 헤드(11)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상기 헤드(11)에 부딪치는 빗소리나 바람소리 등의 잡음이 섞여 있는 경우, 잡음차단부재(200)를 상승시켜 불필요한 잡음이 헤드(11)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도 7 및 도 8 참조).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acoustic signal input through the head 11 of the microphone 10 when the microphone 10 is used outdoors is mixed with noises such as a sound of rain or wind which hits the head 11 , The noise blocking member 200 is raised so that unnecessary nois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put to the head 11 (see FIGS. 7 and 8).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로드부재(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잡음차단부재(200)가 마이크(10)를 따라 승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토퍼(110) 및 가이드(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3 and 4, the rod member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noise blocking member 200 to be described later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microphone 10, and the stopper 110 And a guide 120. As shown in FIG.

예컨대 스토퍼(110)는 소정지름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마이크(10) 외면에 헤드(11)와 근접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승강체(210)가 가이드(120)를 따라 승강시에 상기 승강체(210)의 승강거리가 제한적인 이동거리를 갖도록 한다.The stopper 1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10 so as to be close to the head 11 so that the lifting body 21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120, 210 have limited movement distances.

이때, 스토퍼(110)의 형성위치는 평상시에는 헤드(1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되 잡음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 마이크(10) 외면에 구비된 승강체(210)가 가이드(120)를 따라 상승하여 헤드(11) 외부를 상기 승강체(210)가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함으로써, 음향신호의 잡음이 잡음차단막(23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stopper 110 is formed is maintained when the head 11 is normally opened, and when the noise is to be blocked, the lifting body 21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10 moves along the guide 120 So that noise of the acoustic signal can be blocked by the noise blocking layer 230. [0041] As shown in FIG.

또한 가이드(120)는 일단이 스토퍼(110) 외면과 이어지게 마이크(10)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그 외면은 승강체(21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승강체(210)가 승강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guide 1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crophone 10 so that one end of the guide 120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110.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120 is engaged with the lifting body 210 so that the lifting body 210 can slide, So as to be able to provide a moving path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아울러 가이드(120)는 승강체(210)의 안정적인 승강을 위해 마이크(10) 외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승강하는 승강체(210)가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guide 120 is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10 so as to stably ascend and descend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210 so that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ody 210 can be stably lifted and lowered.

이때, 가이드(120)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가이드(120)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승강체(210)가 승강하기 이전에 마이크(10)에 구비된 전원스위치(13) 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마이크(10)를 조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guide 120 may be such that the power switch 13 or the like provided on the microphone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before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210, which is movably engaged with the guide 120,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microphone 10 with ease.

그리고, 상기 잡음차단부재(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11)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잡음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승강체(210), 덮개판(220) 및 잡음차단막(2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noise blocking member 2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block a noise of an acoustic signal input through the head 11 by a user. The noise blocking member 200 includes a lifting body 210 A cover plate 220, and a noise barrier film 230.

예컨대 승강체(210)는 내부에 마이크(10)가 관통삽입되는 중공부(211)가 형성된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면에는 후술하는 잡음차단막(230)이 설치되기 위한 다수의 제1관통공(212)이 천공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fting body 21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portion 211 through which the microphone 10 is inserted.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ody 210 has a plurality of first The through holes 212 may be formed in the perforations.

이때, 제1관통공(212)은 중공부(211)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잡음차단막(230)을 통과하여 잡음이 제거된 음향신호가 용이하게 헤드(11)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hrough hole 212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ortion 211 so that the acoustic signal having the noise removed through the noise blocking layer 230 can be easily inputted to the head 11 .

아울러 승강체(210)는 상/하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마이크(10) 외면을 따라 상승한 이후에 그 상부는 후술하는 덮개판(220)에 의해 폐쇄되고, 그 하부는 스토퍼(110)에 의해 폐쇄되어 헤드(11) 외부가 전체적으로 승강체(210)에 의해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헤드(11)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잡음의 차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The lifting body 210 is upwardly / downwardly opened and is lifted up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10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The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body 210 is closed by the cover plate 220, The stopper 110 closes the head 11 so that the outside of the head 11 is entirely enclosed by the lifting body 210. This maximizes the effect of blocking the noise of the acoustic signal input through the head 11. [

나아가 승강체(210) 내면에는 각각의 가이드(120)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홈(213)이 돌출형성되며, 해당 이동홈(213)은 승강체(210)가 상승시에 스토퍼(110)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승강체(210)의 상승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A moving groove 213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lifting body 210 so as to movably engage with the respective guides 120. The moving groove 213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110 when the lifting body 210 is lifted, So that the ascending distance of the lifting body 210 can be limited.

더 나아가 승강체(210)의 상단 내면에는 걸림턱(214)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승강체(210)가 가이드(120)를 따라 하강시에 상기 승강체(210)의 하강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A locking protrusion 21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body 210 so that the lifting body 210 can limit the lowering distance of the lifting body 210 when the lifting body 210 is lowered along the guide 120 do.

한편, 승강체(210) 하부 외면에는 상기 승강체(210) 외면과 결합하여 마이크(10)를 소정 높이로 고정할 수 있는 설치대(미도시)가 끼워지는 끼움홈(2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body 210 may be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215 to which a mounting table (not shown) for fixing the microphone 10 at a predetermined height is coupled, have.

또한 덮개판(220)은 상술한 승강체(210)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강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소정지름을 갖는 판 형상을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cover plate 220 is configu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210 to close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2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덮개판(220)은 평상시 즉, 헤드(11)에 승강체(210)가 상승하지 않은 경우, 상기 승강체(210) 외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분실되지 않도록 보관되며, 상기 승강체(210)가 상승하여 음향신호의 잡음을 차단할 경우에만 상기 승강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여 잡음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도 1 및 도 8 참조).The cover plate 2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ody 210 so as not to be lost when the lifting body 210 is not normally lifted to the head 11,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body 210 is closed to maximize the noise blocking effect (see FIGS. 1 and 8).

아울러 덮개판(220)은 잡음차단막(230)이 설치될 수 있는 제2관통공(22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헤드(11)에 음향신호가 용이하게 입력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음향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221 through which the noise blocking film 230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cover plate 220 can easily input an acoustic signal into the head 11, So that the noise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can be blocked.

이때, 덮개판(220) 외면에는 승강체(210) 외면과 상단에 각각 돌출형성된 결합돌기(216)와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223)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승강체(210) 외면 또는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220, an engaging protrusion 216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ody 210 and an engaging groove 223 engaging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216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ody 210, ) Or on an upper surface thereof.

또한 잡음차단막(230)은 헤드(11)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잡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미세한 기공이 형성된 모직이나 천 재질의 것이 사용된다.The noise blocking layer 230 may be made of wool or cloth having fine pores to block noise of an acoustic signal input through the head 11.

아울러 잡음차단막(23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보조차단막(231) 또는 제2보조차단막(23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조차단막(231)은 내부가 개폐가능한 모피 재질로 이루어지되 승강체(210)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비(雨)나 눈(雪)이 오는 환경에서 음향신호의 잡음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2보조차단막(233)은 헤드(11) 내부에 구비되어 상술한 잡음차단막(230)과 함께 잡음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9 and 10, the noise blocking layer 23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uxiliary blocking layer 231 or a second auxiliary blocking layer 233,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hielding films 210 and 210 are made of a fur material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are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body 210 to maximize noise blocking effect of an acoustic signal in an environment of rain or snow, 233 are provided inside the head 11 to maximize the noise blocking effect together with the noise blocking film 230 described above.

아울러 제2보조차단막(233)은 하부가 개방된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헤드(11)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보조차단막(233)의 재질은 잡음차단막(230)과 동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스펀지 재질을 사용한다.The second auxiliary blocking layer 233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noise blocking layer 230. The second auxiliary blocking layer 233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noise blocking layer 230,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onge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pores is used.

이때, 제2보조차단막(233)의 기공 지름은 잡음차단막(230)에 형성된 기공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하여 상기 잡음차단막(230)에 의해 1차적으로 잡음이 제거된 음향신호가 상기 제2보조차단막(233)을 통과시에 그 볼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ore diameter of the second auxiliary blocking layer 233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res formed in the noise blocking layer 230, so that the acoustic noise, which is primarily removed by the noise blocking layer 230, It is preferable that the volume thereof does not decrease when passing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blocking film 233.

즉, 잡음차단막(230)을 통해 1차적으로 음향신호의 잡음이 차단되면 상대적으로 헤드(11)를 통해 유입되는 해당 음향신호의 볼륨은 낮아질 수 있는데 이 낮아진 음향신호가 다시 제2보조차단막(233)을 통과시에 더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noise of the acoustic signal is primarily blocked through the noise blocking film 230, the volume of the corresponding acoustic signal flowing through the head 11 may be lowered. The lowered acoust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auxiliary blocking film 233 ) May be lowered at the time of passing.

하여, 잡음차단막(230)에 형성된 기공의 지름보다 제2보조차단막(233)에 형성된 기공의 지름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diameter of the pores formed in the second auxiliary blocking layer 233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res formed in the noise blocking layer 230, thereby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bu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f you are a person,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 본 발명에 따른 블림프 구조를 갖는 마이크
10: 마이크 11: 헤드
13: 전원스위치 100: 로드부재
110: 스토퍼 120: 가이드
200: 잡음차단부재 210: 승강체
211: 중공부 212: 제1관통공
213: 이동홈 214: 걸림턱
215: 끼움홈 216: 결합돌기
220: 덮개판 221: 제2관통공
223: 결합홈 230: 잡음차단막
231: 제1보조차단막 233: 제2보조차단막
1: Microphone having bli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microphone 11: head
13: power switch 100: rod member
110: Stopper 120: Guide
200: Noise blocking member 210:
211: hollow part 212: first through hole
213: moving groove 214: latching jaw
215: fitting groove 216: engaging projection
220: cover plate 221: second through hole
223: coupling groove 230: noise barrier
231: first auxiliary blocking film 233: second auxiliary blocking film

Claims (3)

음향신호(사운드 웨이브:sound wave)를 통한 진동이 입력되면 그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0:microphone)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10) 외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되 승강에 의해 음향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마이크(10)의 헤드(11) 외부를 개폐하여 상기 헤드(11)에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잡음을 차단하는 블림프(1);를 포함하며, 상기 블림프(1)는
상기 마이크(10)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로드부재(100), 상기 로드부재(100)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승강에 의해 상기 헤드(11) 외부를 개폐하여 상기 헤드(11)에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잡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잡음차단부재(200)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부재(100)는
상기 헤드(11)와 근접하게 상기 마이크(10) 외면에 소정지름을 갖는 판 형상을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잡음차단부재(200)의 승강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110); 및 일단이 상기 스토퍼(110)와 이어지게 상기 마이크(10) 외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되 상기 잡음차단부재(200)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잡음차단부재(200)가 승강시에 이동로를 제공하는 가이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림프 구조를 갖는 마이크.
A microphone (10) for converting the vibration into an electric signal when a vibration through a sound wave (sound wave) is inputted,
The head 1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10 to open and close the outside of the head 11 of the microphone 10 to which acoustic signals are inputt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1), wherein the bling limb (1) comprises:
A rod member 10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1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ing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rod member 10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utside of the head 11 by a lift, And a noise blocking member (200) provided so as to block noise of a sound signal,
The rod member (100)
A stopper 110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10 to define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n the vicinity of the head 11 so as to limit the lifting distance of the noise blocking member 200; And a plurality of radial protrusion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icrophone 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topper 110. The noise blocking member 200 is movably coupled to the noise blocking member 200, And a guide (120) for providing the microphone (11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차단부재(200)는
내부에 상기 마이크(10)가 관통삽입되는 중공부(211)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로드부재(100)를 따라 승강하여 상기 헤드(11) 외부를 개폐하는 승강체(210);
상기 승강체(2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헤드(11)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승강체(210)가 상승시에 개방된 상기 승강체(210) 상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판(220); 및
상기 중공부(211)와 연통되게 상기 승강체(210) 외면에 다수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덮개판(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헤드(11)에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잡음이 차단되어 입력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잡음차단막(230);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판(220)은 평상시에 상기 승강체(210)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헤드(11)에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잡음을 차단시에만 상기 승강체(210)의 개방된 상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림프 구조를 갖는 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blocking member 200
A lifting body 210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having a hollow portion 211 through which the microphone 10 is inserted and which moves up and down along the rod member 100 to open and close the outside of the head 11;
A cover plate 220 provided to detachably attach the lifting body 210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body 210 opened when the lifting body 210 covers the outside of the head 11, ); And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ody 210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ortion 211 or at least one of the cover plates 220 may block noise of an acoustic signal input to the head 11, And a noise barrier 230,
The cover plate 220 is normally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ody 210. When the noise of the acoustic signal input to the head 11 is blocked, And the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icrophone.
KR1020170095260A 2017-07-27 2017-07-27 Microphone KR1019100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260A KR101910064B1 (en) 2017-07-27 2017-07-27 Micro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260A KR101910064B1 (en) 2017-07-27 2017-07-27 Micro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064B1 true KR101910064B1 (en) 2018-10-19

Family

ID=6410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260A KR101910064B1 (en) 2017-07-27 2017-07-27 Micro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0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4660A (en) * 2019-01-31 2019-05-03 桂林电子科技大学 A kind of gas shock noise elimination apparatus of dynamic microphon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9982B2 (en) * 2006-04-12 2011-01-26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Condenser microphone
JP4998370B2 (en) * 2008-05-23 2012-08-1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Case with windscre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9982B2 (en) * 2006-04-12 2011-01-26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Condenser microphone
JP4998370B2 (en) * 2008-05-23 2012-08-1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Case with windscre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4660A (en) * 2019-01-31 2019-05-03 桂林电子科技大学 A kind of gas shock noise elimination apparatus of dynamic microphones
CN109714660B (en) * 2019-01-31 2023-08-29 桂林电子科技大学 Airflow impact noise eliminating device of moving coil micro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0068A (en) Communication headset
US6629579B1 (en) Headphones/earmuffs
US4382159A (en) Blow actuated microphone
EP1761001B1 (en) Bluetooth wireless headset having earphone
EP2330829A1 (en) A communication headset with a circumferential microphone slot
JP2001045584A (en) Microphone
WO2013128675A1 (en) Sound guiding device and sound guiding member in mobile terminal device
WO2006074369A3 (en) Wireless phone headset
KR101446597B1 (en) External noise adjusting the kernel Earphones
US11323795B2 (en) In-ear earphone
CA2524941A1 (en) Winding-up screen device
US10327054B2 (en) Extendable speaker system
KR101910064B1 (en) Microphone
CN205829955U (en) A kind of In-Ear Headphones
US20060251282A1 (en) Earphone with built-in microphone
KR20180001396U (en) Helmet for a smart cycling equipment
KR20150096600A (en) Air opening adjustable of the earphone speaker box
CN213028489U (en) Waterproof Bluetooth headset
CN1930857B (en) Hands-fre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CN210986373U (en) Earphone with on-off auxiliary sound hole
CN207819991U (en) A kind of earpiece screen
CN219041774U (en) Portable interphone
KR101224174B1 (en) a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bone conduction
JP2007143033A (en) Earphone microphone
US20180287641A1 (en) Sound ampl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