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718B1 -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718B1
KR101909718B1 KR1020180030057A KR20180030057A KR101909718B1 KR 101909718 B1 KR101909718 B1 KR 101909718B1 KR 1020180030057 A KR1020180030057 A KR 1020180030057A KR 20180030057 A KR20180030057 A KR 20180030057A KR 101909718 B1 KR101909718 B1 KR 101909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droplet
drop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미
Original Assignee
유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미 filed Critical 유경미
Priority to KR102018003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4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01F13/0227
    • B01F13/0277
    • B01F15/00285
    • B01F15/0033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01F23/23114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bubbling installation are mounted
    • B01F23/231141Mounting auxiliary devices, e.g. pumps or compressors in a particular place on the bubbling installation, e.g. under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6Part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01F3/0482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0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 B01F33/404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for mixing material moving continuously therethrough, e.g. using impinging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0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 B01F33/408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01Control or regul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technique used
    • B01F35/2202Controlling the mixing process by feed-back, i.e. a measured parameter of the mixture is measured, compared with the set-value and the feed values are corr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2003/04163
    • B01F2003/04858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에 저장되는 있는 액체 중에 미세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기 위한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중에 기체 방울을 파쇄시켜 상기 미세 기체 방울을 형성하는 기체 방울 파쇄장치;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체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체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수조부의 상기 액체가 유입되고 상기 기체 방울 파쇄 장치로 상기 액체를 배출하는 압력 인가장치; 및 상기 압력 인가장치에서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 상기 액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인가장치와 상기 기체 방울 파쇄 장치를 연결하는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 배출하는 상기 액체의 양보다 더 많은 상기 액체가 유입되도록 동작되어, 상기 기체 방울을 파쇄시켜 상기 미세 기체 방울을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Nano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 중에 미세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기 위한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액체 속의 미세 버블에 대한 효과가 입증된 것에 따라 미세 버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 버블이 세상의 관심을 갖게 된 것은 2005년 일본 국제 박람회 (The 2005 World Exposition, Aichi, Japan)를 통해 바다 서식의 도미와 민물 서식의 잉어가 동일 수조에서 서식 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된 사건을 통해서이다. 이를 계기로 미세 기체 방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졌으며, 미세 기체 방울의 다른 효과에 대해서도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결과, 기체 방울의 크기에 따라 발현되는 효과 및 현상이 상이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과학자들은 기체 방울 크기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기 시작했다. 기체 방울 크기에 대한 기준을 정립한 결과, 미세 기체 방울은 통상적으로 마이크로버블과 파인마이크로버블로 구분되며, 파인마이크로버블은 1μm 이하의 크기의 기체 방울을 말하며, 마이크로버블은 1μm 이상의 크기의 기체 방울을 말한다.
여기서, 파인마이크로버블과 마이크로버블의 대표적인 차이점은 버블의 지속성과 투명도이다. 파인마이크로버블은 마이크로버블과 비교해서 크기가 작기 때문에, 마이크로버블 보다 부력을 적게 받게 되어, 수면 위로 상승되어 소멸되는 버블의 숫자가 더 적다. 이로 인해 파인마이크로버블은 마이크로버블과 비교해서 지속 시간이 길다. 또한, 파인마이크로버블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빛이 투과될 경우 거의 분산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마이크로버블은 크기가 크기 때문에 빛이 투과될 경우 분산율이 크다. 따라서, 마이크로버블이 액체 상에 형성될 경우 액체는 혼탁한 상태가 되지만 파인마이크로버블이 액체 상에 형성될 경우 액체는 투명하다. 더불어, 오염수를 정화하는 기능이나, 바이러스를 소멸하는 기능 등 모든 기능적인 면에서 파인마이크로버블이 마이크로버블보다 월등하다는 것이 많은 연구 결과에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버블을 생성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가 많이 개발되었다.
다만, 기존 대다수의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기체 방울 크기가 큰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고 있다. 또한, 몇몇의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파인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기는 하지만, 그 공정이 복잡하고 비 효율적인 생산 방법을 취하고 있다. 또한, 몇몇의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파인마이크로버블만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마이크로버블과 파인마이크로버블이 혼재되어 있는 버블을 생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단순하고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파인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에 저장되는 있는 액체 중에 미세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기 위한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중에 기체 방울을 파쇄시켜 상기 미세 기체 방울을 형성하는 기체 방울 파쇄장치;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체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체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수조부의 상기 액체가 유입되고 상기 기체 방울 파쇄 장치로 상기 액체를 배출하는 압력 인가장치; 및 상기 압력 인가장치에서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 상기 액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인가장치와 상기 기체 방울 파쇄 장치를 연결하는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 배출하는 상기 액체의 양보다 더 많은 상기 액체가 유입되도록 동작되어, 상기 기체 방울을 파쇄시켜 상기 미세 기체 방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중에 상기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인가장치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미세 기체 방울의 크기가 균일하게 되도록,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기체 방울을 가압한 후, 가압된 상기 기체 방울을 포함하는 상기 액체를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는, 상기 액체 중에 상기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부,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에서 상기 기체 방울이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상기 수조부에서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로 유동되는 상기 액체에 유입되는 기체가 유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로 상기 기체가 유동되도록 상기 기체에 압력을 인가하는 기체 주입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부의 내부와 관련된 내부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 및 상기 압력 인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된 상기 내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 및 상기 압력 인가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내부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력 인가장치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상기 입력인가 장치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배관부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 값 이하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의 배출부와 관련된 정보인 배출정보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의 유입부와 관련된 정보인 유입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된 상기 배출정보 및 상기 유입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력 인가장치 또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의 배출부와 관련된 정보인 제1 배출정보, 상기 제1 배출정보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의 상기 압력 인가장치의 배출부와 관련된 정보인 제2 배출정보,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의 유입부와 관련된 정보인 제1 유입정보 및 상기 제1 유입정보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의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의 유입부와 관련된 정보인 제2 유입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된 상기 제1 배출정보 및 상기 제2 배출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의 가동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된 상기 제1 유입정보 및 상기 제2 유입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력 인가장치의 가동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부와 외부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고,상기 조절밸브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배관부의 내부와 상기 외부를 서로 분리시기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배관부의 내부와 상기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배관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중에 상기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는, 유동되는 상기 액체 중에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부 및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에 전자력을 제공하는 전자력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는, 유입되는 상기 액체의 속도를 가속시키는 가속부 및 상기 가속부에서 유출되는 상기 액체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력제공부는, 상기 가속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에 전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중에 상기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는, 유동되는 상기 액체 중에 상기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는, 상기 액체가 유동되는 방향을 변경시켜, 상기 액체 중에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충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돌부는, 상기 액체가 유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충돌본체부 및 상기 충돌본체부가 제공하는 적어도 일 공간 상에서 상기 액체가 상기 충돌본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액체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충돌본체부가 제공하는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와 충돌되는 가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돌본체부는, 상기 가림부에 충돌된 상기 액체가 상기 가림부를 포위하며 유동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림부와 이격되어 상기 액체가 유동되는 유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돌부는, 상기 가림부를 포위하도록 유동되는 상기 액체 상에 존재되는 상기 기체 방울이 미세화되기 위하여, 상기 가림부와 상기 충돌본체부 사이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와 충돌되도록, 상기 충돌본체부 및 상기 가림부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는,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에 전자력을 제공하는 전자력제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자력제공부는, 상기 충돌부로 유입되는 상기 액체에 전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부는, 상기 액체와 충돌되는 제1 가림부, 상기 제1 가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액체와 충돌되는 제2 가림부 및 상기 제1 가림부와 상기 제2 가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액체와 충돌되는 제3 가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돌부는, 상기 충돌본체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충돌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충돌본체부는, 복 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충돌하우징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에 따르면, 버블에 의해 발생되는 효과의 정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해진 공정에 의한 생산 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가 구비하는 기체 방울 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가 구비하는 기체 방울 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소정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f) 중에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기 위한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상기 액체(f) 중에 기체 방울을 파쇄시켜 상기 미세 기체 방울을 형성하는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상기 수조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체(f)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조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체(f)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수조부(20)의 상기 액체(f)가 유입되고 상기 기체 방울 파쇄 장치로 상기 액체(f)를 배출하는 압력 인가장치(200) 및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에서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 상기 액체(f)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와 상기 기체 방울 파쇄 장치를 연결하는 배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조부(20)는 액체(f)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모든 공간 제공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조부(20)는 강, 하천, 저수지 등일 수 있고, 상기 수조부(20)는 저장 탱크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상기 액체(f) 중에 상기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상기 배관부(300)의 내부와 관련된 내부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500)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및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 장치로부터 소정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30)에 상기 액체(f)를 안내하는 토출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상기 수조부(20)로 상기 액체(f)의 유입 여부를 조절하는 유량 밸브(800) 및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로 기체의 유입 여부를 조절하는 가스 밸브(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 상기 센서부(500), 상기 유량 밸브(800) 및 상기 가스 밸브(900)를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기체 방울은 1μm 이하 크기의 물방울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체 방울은 1μm 이상 크기의 물방울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액체(f)는 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 액체(f)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유입부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부터 액체(f)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배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유입부는 상기 배관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배출부는 상기 토출부(7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 유입되는 상기 액체(f)의 기체 방울 및/또는 미세 기체 방울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에 의해 확장 팽창되면서 더욱 미세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에 의해 미세화된 기체 방울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블레이드 회전에 의해 가압되어 더욱 미세화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는 펌프일 수 있다.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는 상기 배관부(300)에 의해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압력 인가장치(200)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로 액체(f)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압력인가장치의 유입부 및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로부터 액체(f)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압력 인가장치(200)의 배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로 유입되는 상기 액체(f)는 상기 압력 인가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에 의해 확장 팽창되면서 더욱 미세화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에 의해 미세화된 기체 방울은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블레이드 회전에 의해 가압되어 더욱 미세화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미세 기체 방울의 크기가 균일하게 되도록,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기체 방울을 가압한 후, 가압된 상기 기체 방울을 포함하는 상기 액체(f)를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압력인가장치는 유압 펌프일 수 있다.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는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배관부(300)는 상기 액체(f)가 유동되는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관부(300)는 파이프일 수 있다.
상기 배관부(300)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와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센서부(500)는 상기 배관부(300)의 내부와 관련된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500)는 압력센서일 수 있으며, 유량센서일 수도 있다.
여기서, 내부 정보는 상기 배관부(300)의 내부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부 정보는 상기 배관부(300)의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부 정보는 상기 배관부(3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액체(f)의 압력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부 정보는 상기 배관부(3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f)의 유량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600)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상기 압력인가장치,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 상기 센서부(500), 상기 유량 밸브(800) 및 상기 가스 밸브(9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0)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상기 압력인가장치,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 상기 센서부(500), 상기 유량 밸브(800) 및 상기 가스 밸브(9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센서부(500)에서 제공되는 상기 내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 상기 유량 밸브(800) 및 상기 가스 밸브(9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0), 상기 센서부(500),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 상기 유량 밸브(800) 및 상기 가스 밸브(9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10)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 상기 센서부(500), 상기 유량 밸브(800) 및 상기 가스 밸브(900)를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조작부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 상기 센서부(500), 상기 유량 밸브(800) 및 상기 가스 밸브(900)에 관한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가 구비하는 기체 방울 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는 상기 액체(f) 중에 상기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부(411, 412),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411, 412)에서 상기 기체 방울이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상기 수조부(20)에서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411, 412)로 유동되는 상기 액체(f)에 유입되는 기체가 유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주입부(420) 및 상기 주입부(420)로 상기 기체가 유동되도록 상기 기체에 압력을 인가하는 기체 주입장치(430)를 구비할 수 있다.
기체 방울 발생부(411, 412)는 상기 수조부(20)에서 유입되는 상기 액체(f)의 속도를 가속시키는 가속부(411) 및 상기 수조부(20)에서 유입되는 상기 액체(f)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41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속부(411)는 상기 수조부(20)에서부터 유입되는 상기 액체(f)의 속도를 가속시켜 상기 액체(f)의 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속부(411)는 내부에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속부(411)는 상기 주입부(420)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속부(411)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f)의 압력이 하강되어 기체가 상기 주입부(420)를 통해 상기 가속부(411)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f)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가속부(411)는 상기 감속부(412)와 연결될 수 있다.
감속부(412)는 상기 가속부(411)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체(f)가 유입되어 상기 액체(f)의 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액체(f)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속부(412)의 내부는 단면적이 불연속적으로 증가되는 복수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속부(412)는 상기 가속부(411)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속부(412)로 유입되는 상기 액체(f)는 순간적으로 팽창되면서 충격파 가 연속적으로 발생되어 기체 방울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감속부(412)로 유입되는 상기 액체(f)는 전단력의 변화로 인해 분쇄하면서 기체 방울이 발생될 수 있다.
감속부(412)는 제1 불연속부(412a-1), 제2 불연속부(412a-2) 및 제3 불연속부(412a-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 및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는 상기 액체(f)가 상기 기체 방울발생장치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회전될 수 잇다.
또한,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 및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는 상기 액체(f)의 기체 방울이 더욱 많이 발생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다만, 도 3는 불연속부가 세 개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레로, 상기 감속부(412)는 제1 불연속부(412a-1), 제2 불연속부(412a-2), 제3 불연속부(412a-3) 및 제4 불연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는 상기 가속부(411)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는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와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로 연통될 수 있는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의 배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가 제공하는 단면적은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가 제공하는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가 제공하는 단면적은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가 제공하는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 및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는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 및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는 상기 가속부(41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 및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는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레로,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 및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는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 및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가 제공하는 공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감속부(412)는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돌출부(412b-1),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돌출부(412b-2) 및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3 돌출부(412b-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412b-1), 상기 제2 돌출부(412b-2) 및 상기 제3 돌출부(412b-3)는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 및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액체(f)의 나선형(회오리)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기체 주입장치(430)는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411, 412)로 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기체는 공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기체는 산소일 수도 있고, 수소일 수도 있다.
상기 기체 주입장치(430)는 상기 기체를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411, 412)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f)로 주입시길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압력은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411, 412)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f)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일 수 있다.
상기 기체 주입장치(430)는 압축기일 수 있다.
상기 기체주입장치에서 배출되는 기체는 상기 주입부(420)를 통해 상기 가속부(411)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f)로 유입될 수 있다.
액체(f)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에 의해 상기 수조부(20)에서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로 유입되는 상기 액체(f)는 상기 가속부(411)에 의해 가속되어 압력이 하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주입부(420)를 통해 기체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가속부(411)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체(f)가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로 유입되면서 기체 방울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에서 팽창되는 상기 액체(f)의 충격파로 인해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1 돌출부(412b-1)도 회전되면서,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f)는 나선형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선형의 흐름은 상기 액체(f)가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의 배출구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액체(f)의 전단 변화를 크게 하여 기체 방울이 더욱 많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불연속부(412a-1)의 특징은 상기 제2 불연속부(412a-2) 및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에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액체(f)는 상기 제3 불연속부(412a-3)를 통해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로 유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서술한다.
아래의 동작 과정은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에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수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가 동작되면 상기 수조부(20)에 저장된 상기 액체(f)는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로 유동된 상기 액체(f)는 기체 방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에서 상기 기체 방울을 함유하는 상기 액체(f)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기체 방울은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진공 및 블레이드에 의해 파쇄, 가압되어 더욱 크기가 작아지고 균일해질 수 있다.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에서 배출된 상기 액체(f)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 배출하는 상기 액체(f)의 양보다 더 많은 상기 액체(f)가 유입되도록 동작되어, 상기 기체 방울을 파쇄시켜 미세 기체 방울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가 배출하려는 상기 액체(f)의 양보다 더 많은 액체(f)의 양을 유입하려고 동작되기 때문에, 상기 배관부(300)에는 저압이 형성되거나 진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배관부(300)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f)의 기체 방울은 확장 및 팽창에 의해 파쇄되어 미세 기체 방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f)는 상기 배관부(300)를 통해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미세 기체 방울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진공 및 블레이드에 의해 파쇄, 가압되어 더욱 크기가 작아지고 균일해질 수 있다.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에서 배출된 상기 액체(f)는 상기 토출부(700)를 통해 상기 저장부(30)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수조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체(f)에는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400),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상기 배관부(300)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를 통해 균일하고 미세한 기체 방울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상기 센서부(500)에서 제공되는 상기 내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및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센서부(500)에서 제공되는 상기 내부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배관부(300)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 값 이하인 경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500)는 압력센서로서 상기 배관부(300) 내부의 압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센서부(5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상기 배관부(300)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 값 이하일 경우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 값은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과 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 값은 실험적인 방법으로 연산된 것으로, 상기 제어부(6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가 배출하는 상기 액체(f)의 양보다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가 유입하려고 하는 상기 액체(f)의 양보다 더 많기 때문에 상기 배관부(300)에 저압이 형성되어 상기 기체 방울을 미세화하는 이점이 있으나, 너무 낮은 저압이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에 의해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에 과 부화가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 센서부(5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체(f)에 관한 정보인 배출정보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 유입되는 상기 액체(f)에 관한 정보인 유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배출부에 관한 정보인 배출정보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유입부에 관한 정보인 유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정보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배출부의 내부 압력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정보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배출부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액체(f)의 압력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정보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배출부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액체(f)의 유량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정보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유입부의 내부 압력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정보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유입부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액체(f)의 압력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정보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유입부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액체(f)의 유량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부(5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복 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센서부(500)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배출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센서부(500)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유입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상기 센서부(500)에서 제공된 상기 배출정보 및 상기 유입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또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배출부와 관련된 정보인 제1 배출정보, 상기 제1 배출정보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의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배출부와 관련된 정보인 제2 배출정보,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유입부와 관련된 정보인 제1 유입정보 및 상기 제1 유입정보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의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유입부와 관련된 정보인 제2 유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센서부(500)에서 제공된 상기 제1 배출정보 및 상기 제2 배출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가동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센서부(500)에서 제공된 상기 제1 유입정보 및 상기 제2 유입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가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은 상기 제2 배출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값과 상기 제1 배출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인 경우를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정보가 소정의 기준 값 이상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가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와 다르게 동작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기준 값은 상기 제어부(6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어부(600)에 입력될 수도 있다.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 배출정보 및 상기 제1 유입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2 유입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값과 상기 제2 배출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값의 차이가 상기 제1 유입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값과 상기 제1 배출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값의 차이가 서로 동일하도록 상기 제2 유입정보를 가지게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은 상기 제2 유입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값과 상기 제1 유입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인 경우를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정보가 소정의 기준 값 이상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가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와 다르게 동작되는 것을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기준 값은 상기 제어부(6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어부(600)에 입력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 배출정보 및 상기 제2 유입정보를 기초로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2 유입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값과 상기 제2 배출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값의 차이가 상기 제1 유입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값과 상기 제1 배출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값의 차이가 서로 동일하도록 상기 제2 배출정보를 가지게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배출정보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의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액체(f)의 압력일 수 있고, 상기 유입정보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유입부로 유입되는 액체(f)의 압력일 수 잇다. 제1 배출정보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압력 500kPa이고 제1 유입정보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압력이 700kPa로 가정할 수 있다. 제2 배출정보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압력인 350kPa이고 제2 유입정보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압력이 700kPa로 가정할 수 있다. 소정의 기준 값은 100kPa일 수 있다. 상기 배출정보의 변화 값이 150kPa로서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만족되므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2 유입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압력이 550kPa을 가지도록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배출정보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압력이 500kPa이고 제1 유입정보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압력이 700kPa로 가정할 수 있다. 제2 배출정보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압력인 500kPa이고 제2 유입정보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압력이 550kPa로 가정할 수 있다. 소정의 기준 값은 100kPa일 수 있다. 상기 유입정보의 변화 값이 150kPa로서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만족되므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2 배출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압력이 350kPa을 가지도록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배관부(300)에는 일정한 압력을 형성할 수 있어, 상기 배관부(300)의 예상치 못한 저압으로 인해 상기 배관부(300)의 파손 및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고장을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으며, 일정한 저압으로 미세 기체 방울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상기 배관부(300)와 외부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배관부(300)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절밸브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배관부(300)의 내부와 상기 외부를 서로 분리시키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배관부(300)의 내부와 상기 외부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배관부(300)의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조절밸브가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외부의 공기는 상기 배관부(300)로 유동될 수 있으나, 상기 배관부(3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액체(f)는 상기 외부로 유동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배관부(300)의 내부 압력이 미세 기체 방울이 효과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압력보다 더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배관부(300)의 내부 압력이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에 부하가 걸리는 압력까지 내려가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배관부(300)의 압력이 진공과 가까운 저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외부의 공기는 상기 배관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배관부(300)의 압력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밸브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배관부(300)의 압력이 미세 기체 방울이 발생되는데 적절한 압력일 경우,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외부와 상기 배관부(300)의 내부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조절밸브의 배치로 인해, 상기 배관부(300)의 압력이 미세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데 적절한 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배관부(300)의 파손이나,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가 구비하는 기체 방울 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체 방울 장치가 구비하는 기체 방울 발생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X-X'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 방울 발생 장치는 유동되는 상기 액체(f) 중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부(1411, 1412, 1413),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1411, 1412, 1413)로 유동되는 상기 액체(f)에 유입되는 기체가 유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주입부(420), 상기 주입부(420)로 상기 기체가 유동되도록 상기 기체에 압력을 인가하는 기체 주입장치(430) 및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1411, 1412, 1413)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f)에 전자력을 제공하는 전자력제공부(14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입부(420) 및 상기 기체 주입장치(4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기체 방울 발생부(1411, 1412, 1413)는 유입되는 상기 액체(f)의 속도를 가속시키는 가속부(1411), 상기 가속부(1411)에서 유출되는 상기 액체(f)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1412) 및 상기 액체(f)가 유동되는 방향을 변경시켜, 상기 액체(f) 중에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충돌부(14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속부(1411)와 상기 감속부(141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기체 방울 발생 장치가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속부(1411)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체(f)의 속도를 가속시켜 상기 액체(f)의 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감속부(1412)는 상기 가속부(1411)와 연결되어 상기 가속부(1411)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체(f)가 유입되어 상기 액체(f)의 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액체(f)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속부(1412)의 내부는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증가되는 공간 및 단면적이 일정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충돌부(1413)는 상기 액체(f)가 유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충돌본체부(1413a), 상기 액체(f)가 상기 충돌본체부(1413a)가 제공하는 적어도 일 공간 상에서 상기 충돌본체부(1413a)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충돌본체부(1413a)가 제공하는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f)와 충돌되는 가림부(1413b), 상기 가림부(1413b)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상기 액체(f) 상에 존재되는 상기 기체 방울이 미세화되기 위하여, 상기 가림부(1413b)와 상기 충돌본체부(1413a) 사이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f)와 충돌되도록, 상기 충돌본체부(1413a) 및 상기 가림부(1413b)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1413c) 및 상기 충돌본체부(1413a)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충돌하우징(1413d)을 구비할 수 있다.
충돌하우징(1413d)은 상기 충돌부(1413)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충돌하우징(1413d)은 상기 충돌본체부(1413a)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돌본체부(1413a)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충돌본체부(1413a)는 상기 충돌하우징(1413d)에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충돌본체부(1413a)는 제1 충돌본체부(1413a), 제2 충돌본체부(1413a), 제3 충돌본체부(1413a), 제4 충돌본체부(1413a), 제5 충돌본체부(1413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감속부(1412)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체(f)는 상기 제1 충돌본체부(1413a)에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충돌본체부(1413a)에서 유출되는 상기 액체(f)는 상기 제2 충돌본체부(1413a)에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충돌본체에서 유출되는 상기 액체(f)는 상기 제3 충돌본체부(1413a)에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상기 충돌본체부(1413a)는 상기 충돌하우징(1413d)에 병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충돌본체부(1413a)의 내면은 상기 가림부(1413b)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돌본체부(1413a)의 내면에는 상기 돌기부(1413c)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돌기부(1413c)는 상기 충돌본체부(1413a)의 내면에서 상기 충돌본체부(1413a)의 중심 축 방향으로, 상기 충돌본체부(1413a)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돌본체부(1413a)에는 상기 액체(f)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돌본체부(1413a)는 유입된 상기 액체(f)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돌본체부(1413a)는 상기 액체(f)가 유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돌본체부(1413a)는 상기 가림부(1413b)에 충돌된 상기 액체(f)가 상기 가림부(1413b)를 포위하게 유동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림부(1413b)와 이격되어 상기 액체(f)가 유동되는 유로부(F10)를 형성될 수 있다.
가림부(1413b)는 상기 충돌본체부(1413a)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충돌본체부(1413a)로 유입되는 액체(f)와 충돌되어, 상기 액체(f) 상에 기체 방울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림부(1413b)의 일면은 상기 충돌본체부(1413a)로 유입되는 상기 액체(f)의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가림부(1413b)는 상기 충돌본체부(1413a)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각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가림부(1413b)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돌기부(1413c)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돌기부(1413c)는 상기 충돌본체부(1413a)로 유입되는 상기 액체(f)가 충돌되는 상기 가림부(1413b)의 일면 및/또는 상기 충돌본체부(1413a)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체(f)의 방향에 형성되는 상기 가림부(1413b)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돌기부(1413c)는 상기 가림부(1413b)에 어느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1413b)의 일 부분은 상기 충돌본체부(1413a)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충돌본체부(1413a)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1413b)와 상기 충돌본체부(1413a)와 이격된 부분에서 상기 액체(f)가 유동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충돌본체부(1413a)로 유입된 상기 액체(f)는 상기 가림부(1413b)의 일면과 충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돌본체부(1413a)로 유입된 상기 액체(f)는 상기 가림부(1413b)의 일면의 중앙에 충돌될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충돌본체부(1413a)로 유입된 상기 액체(f)는 상기 가림부(1413b)의 일면의 중심이 아닌 부분에 충돌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1413b)의 중앙에 충돌된 상기 액체(f)는 상기 가림부(1413b)의 일면을 따라 상기 가림부(1413b)의 둘레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돌본체부(1413a)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1413c)와 상기 가림부(1413b)의 일면에 형성된 돌기부(1413c)에 상기 액체(f)는 충돌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액체(f)에는 상기 기체 방울이 발생되거나, 기존에 존재하는 상기 기체 방울이 더욱 미세화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1413b)의 일면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액체(f)는 상기 가림부(1413b)와 둘레면과 상기 충돌본체부(1413a)의 내면이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유로부(F10)를 통과하여 상기 가림부(1413b)의 타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돌본체부(1413a)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1413c)와 상기 가림부(1413b)의 타면에 형성된 돌기부(1413c)에 상기 액체(f)는 충돌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액체(f)에는 상기 기체 방울이 발생되거나, 기존에 존재하는 상기 기체 방울은 더욱 미세화 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1413b)의 타면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액체(f)는 상기 충돌본체부(1413a)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1413b)와 상기 충돌본체부(1413a)의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액체(f)가 유동되기 위해서, 상기 충돌본체부(1413a)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1413c)과 상기 가림부(1413b)에 형성된 돌기부(1413c)는 서로 저촉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가림부(1413b)가 상기 충돌본체부(1413a)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림부(1413b)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가림부(1413b)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충돌본체부(1413a)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1413c)와 상기 가림부(1413b)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1413c)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액체(f)가 상기 충돌본체부(1413a) 내부에서 유동되는 경우, 상기 돌기부(1413c)에 충돌되는 정도 및 강도가 강해지어 기체 방울이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부(1413b)는 상기 액체(f)와 충돌되는 제1 가림부(1413b-1), 상기 제1 가림부(1413b-1)와 연결되어 상기 액체(f)와 충돌되는 제2 가림부(1413b-2) 및 상기 제1 가림부(1413b-1)와 상기 제2 가림부(1413b-2)와 연결되어 상기 액체(f)와 충돌되는 제3 가림부(1413b-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림부(1413b-1), 상기 제2 가림부(1413b-2) 및 상기 제3 가림부(1413b-3)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림부(1413b-1), 상기 제2 가림부(1413b-2) 및 상기 제3 가림부(1413b-3)는 서로 연결되어 원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가림부(1413b-1), 상기 제2 가림부(1413b-2) 및 상기 제3 가림부(1413b-3)가 이루는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가림부(1413b)는 복 수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는 모듈로서, 일 부분이 고장 나거나 파손되었을 경우, 전체 상기 가림부(1413b)를 교체할 필요 없이 일 부분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주입부(420)는 상기 감속부(1412)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주입부(42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감속부(1412)가 제공하는 공간 상에 유동되는 상기 액체(f)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전자력제공부(1440)는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1411, 1412, 1413)에 유동되는 상기 액체(f)에 전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자력제공부(1440)는 솔레노이드 코일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전자력제공부(1440)하는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1411, 1412, 1413)에 유동되는 상기 액체(f)에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전자력제공부(1440)는 자석일 수 있다.
상기 전자력제공부(1440)에 전력이 투입되는 경우 상기 전자력제공부(1440)는 상기 액체(f)에 전자력을 제공하여, 상기 액체(f)는 연질화될 수 있다.
상기 전자력제공부(1440)는 상기 충돌부(1413)로 유입되는 상기 액체(f)에 전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액체(f)는 상기 전자력제공부(1440)에서 제공되는 전자력에 의해 연질화 되는 경우, 상기 액체(f) 상에 존재하는 기체 방울은 더욱 미세화되거나, 상기 액체(f)에 더 많은 기체 방울이 생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액체(f)는 전자력에 의해 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액체(f)가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1400)에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액체(f) 에는 더욱 많은 기체 방울이 생성되거나, 상기 액체(f)에 존재하는 기체 방울은 더욱 미세화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액체(f)가 연질화 되었을 경우, 상기 액체(f)는 상기 충돌부(1413) 상에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전자력제공부(1440)는 상기 가속부(1411)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자력제공부(1440)는 상기 가속부(1411)의 외면 및/또는 상기 감속부(1412)의 외면의 일부분에 결합 및/또는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전자력제공부(1440)는 상기 가속부(1411)가 제공하는 공간 상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f)로 상기 전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14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조와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1400)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1400)는 상기 배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속부(1411)는 상기 배관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충돌하우징(1413d)은 상기 배관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수조부(20)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f)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체(f)는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1400)(상기 가속부(1411))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가속부(1411)로 유입된 상기 액체(f)는 상기 감속부(1412) 및 상기 충돌본체부(1413a)가 제공하는 공간을 차례대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1400)(상기 충돌본체부(1413a))에서 배출된 상기 액체(f)는 상기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 액체(f)를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200)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로 배출하는 상기 액체(f)의 양보다 더 많은 상기 액체(f)가 유입되도록 동작되기 때문에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1400)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100) 사이에는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1400)에서 배출된 상기 액체(f)에 존재되는 기체 방울은 더욱 미세화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기체 방울 파쇄장치 200 : 압력 인가장치
300 : 배관부 400 :기체 방울 발생장치
500 : 센서부 600 : 제어부

Claims (17)

  1. 소정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에 저장되는 있는 액체 중에 미세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기 위한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중에 기체 방울을 파쇄시켜 상기 미세 기체 방울을 형성하는 기체 방울 파쇄장치;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체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체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수조부의 상기 액체가 유입되고 상기 기체 방울 파쇄 장치로 상기 액체를 배출하는 압력 인가장치; 및
    상기 압력 인가장치에서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 상기 액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인가장치와 상기 기체 방울 파쇄 장치를 연결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의 내부와 관련된 내부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 및 상기 압력 인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가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 배출하는 상기 액체의 양보다 더 많은 상기 액체가 유입되도록 동작되어, 상기 기체 방울을 파쇄시켜 상기 미세 기체 방울을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된 상기 내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 및 상기 압력 인가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압력 인가장치의 배출부와 관련된 정보인 제1 배출정보, 상기 제1 배출정보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의 상기 압력 인가장치의 배출부와 관련된 정보인 제2 배출정보,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의 유입부와 관련된 정보인 제1 유입정보 및 상기 제1 유입정보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의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의 유입부와 관련된 정보인 제2 유입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된 상기 제1 배출정보 및 상기 제2 배출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의 가동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된 상기 제1 유입정보 및 상기 제2 유입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력 인가장치의 가동 정도를 조절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중에 상기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인가장치는,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미세 기체 방울의 크기가 균일하게 되도록,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기체 방울을 가압한 후, 가압된 상기 기체 방울을 포함하는 상기 액체를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는,
    상기 액체 중에 상기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부,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에서 상기 기체 방울이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상기 수조부에서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로 유동되는 상기 액체에 유입되는 기체가 유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로 상기 기체가 유동되도록 상기 기체에 압력을 인가하는 기체 주입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내부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력 인가장치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상기 압력 인가장치 및 상기 기체 방울 파쇄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배관부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 값 이하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와 외부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밸브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배관부의 내부와 상기 외부를 서로 분리시기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배관부의 내부와 상기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배관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중에 상기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는,
    유동되는 상기 액체 중에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부 및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에 전자력을 제공하는 전자력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는,
    유입되는 상기 액체의 속도를 가속시키는 가속부 및 상기 가속부에서 유출되는 상기 액체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력제공부는,
    상기 가속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에 전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중에 상기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는,
    유동되는 상기 액체 중에 상기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기체 방울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는,
    상기 액체가 유동되는 방향을 변경시켜, 상기 액체 중에 기체 방울을 발생시키는 충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돌부는,
    상기 액체가 유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충돌본체부 및 상기 충돌본체부가 제공하는 적어도 일 공간 상에서 상기 액체가 상기 충돌본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액체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충돌본체부가 제공하는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와 충돌되는 가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본체부는,
    상기 가림부에 충돌된 상기 액체가 상기 가림부를 포위하며 유동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림부와 이격되어 상기 액체가 유동되는 유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부는,
    상기 가림부를 포위하도록 유동되는 상기 액체 상에 존재되는 상기 기체 방울이 미세화되기 위하여, 상기 가림부와 상기 충돌본체부 사이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와 충돌되도록, 상기 충돌본체부 및 상기 가림부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방울 발생장치는,
    상기 기체 방울 발생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액체에 전자력을 제공하는 전자력제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자력제공부는,
    상기 충돌부로 유입되는 상기 액체에 전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는,
    상기 액체와 충돌되는 제1 가림부, 상기 제1 가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액체와 충돌되는 제2 가림부 및 상기 제1 가림부와 상기 제2 가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액체와 충돌되는 제3 가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부는,
    상기 충돌본체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충돌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충돌본체부는,
    복 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충돌하우징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KR1020180030057A 2018-03-15 2018-03-15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KR101909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57A KR101909718B1 (ko) 2018-03-15 2018-03-15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57A KR101909718B1 (ko) 2018-03-15 2018-03-15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718B1 true KR101909718B1 (ko) 2018-12-19

Family

ID=6500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057A KR101909718B1 (ko) 2018-03-15 2018-03-15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7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1047A (ja) * 2011-09-27 2013-04-22 Yanagida Sangyo Kk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復水器の防汚システム
JP2016043354A (ja) * 2014-08-22 2016-04-04 有限会社情報科学研究所 共鳴発泡と真空キャビテーションによる酸化性ラジカル又は、還元性ラジカルを有するウルトラファインバブルの製造方法及びウルトラファインバブル水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1047A (ja) * 2011-09-27 2013-04-22 Yanagida Sangyo Kk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復水器の防汚システム
JP2016043354A (ja) * 2014-08-22 2016-04-04 有限会社情報科学研究所 共鳴発泡と真空キャビテーションによる酸化性ラジカル又は、還元性ラジカルを有するウルトラファインバブルの製造方法及びウルトラファインバブル水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6528B2 (en) Nanobubble-producing apparatus
JP4652478B1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KR20100006586A (ko) 미소 기포 발생 장치 및 방법
JP2008207099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及びマイクロバブル発生システム
US20210001287A1 (en) Gas-dissolved water generating apparatus
JP2007000843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6449531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CA2928247A1 (en)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contaminated water purifying system provided with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KR101909718B1 (ko) 미세 기체 방울 발생 장치
JP3819732B2 (ja) 気体溶解装置
KR100975366B1 (ko)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폐수전처리장치
US11130101B2 (en) Bubble generating device for sewage purification
CN112831986A (zh) 微气泡处理剂盒组件及具有其的洗涤设备
JP2006272094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7117853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CN104707497A (zh) 细微气泡产生装置
KR102091672B1 (ko) 수소 기체 방울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 수소 기체 방울 발생 장치
JP2018065124A (ja) バブル含有液製造装置およびバブル含有液製造方法
KR20150079190A (ko) 용존공기 부상 장치용 노즐
KR100967831B1 (ko)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
KR101530609B1 (ko) 나노 버블 장치
JP2012091153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20050117035A (ko) 미세필터를 이용한 미세기포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3111006U (ja) 燃料原液改質システム
EP1203888A4 (de) Vorrichtung zur beinflussung der strömung eines strömenden mediu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