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981B1 -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981B1
KR101908981B1 KR1020170169256A KR20170169256A KR101908981B1 KR 101908981 B1 KR101908981 B1 KR 101908981B1 KR 1020170169256 A KR1020170169256 A KR 1020170169256A KR 20170169256 A KR20170169256 A KR 20170169256A KR 101908981 B1 KR101908981 B1 KR 10190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ll
pore
filter paper
por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17016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공블럭을 이용한 하부집수장치를 시공함에 있어서, 유공블럭의 일측에 형성된 마감판의 홀을 여과지를 이루는 벽체의 슬리브와 연통연결시키되, 유공블럭 마감판의 홀이나 벽체 슬리브의 형성위치 또는 바닥면의 높이가 불균등하게 시공되는 등, 각기 상이한 현장조건에 상관없이, 벽체와 유공블럭 상호간의 연결부위를 감싸며 설치되는 연결판을 이용하여, 벽체 슬리브와 유공블럭 마감판의 홀을 손쉽고 용이하게 연통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perforated block underdrain system}
본 발명은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으로써, 유공블럭 일측에 부착한 마감판에 천공한 홀을 여과지 벽체에 시공된 슬리브와 연통연결시, 시공시마다 상이한 연결위치로 인하여 연결불량 및 재시공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호간을 손쉽고 용이하게 연결시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을 정화하기 위한 수처리공정 중 여과공정의 여과지에 사용되는 하부집수장치로는 휠러(Wheeler Ball)형, 스트레이너(Strainer)형, 유공블럭형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휠러형은 여과지 바닥에 지주를 설치하고, 그 위의 콘크리트 성형품과 여과지 바닥사이에는 압력수실이 되는 것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손실수두가 비교적 적고 자갈층 교체가 용이한 점은 있으나, 역세척 균등분배가 어렵고 몰탈 이음새의 누수 염려가 있으며, 급격한 여과수압에 의해 여과사가 손실되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소형 정수장에만 사용하고 있다.
스트레이너형은 여과지 바닥의 지주위에 스트레이너를 삽입한 블록을 병렬 배열하고, 여과지 바닥과 블록 사이에는 압력수실이 있는 것으로, 경제적이면서 제작과 시공이 용이하고, 정밀 시공 시 균등 여과 및 균압에 의한 역세척이 가능한 이점은 있으나, 역세척 시 손실수두가 크며, 시공시 평판성의 유지가 어려워 균등한 역세척이 어렵고, 여과사로 인한 스트레이너 구멍의 폐쇄가 우려되며, 내구연한이 짧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트레이너형 하부집수장치는 역세척(air scouring)할 때에 여과사 하부의 각 분배관 사이에 사수부(dead space)가 발생하여 역세척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심지어는 노즐부의 목이 부러져 시스템 자체가 기능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유공블럭형은 여과지 바닥에 송수실과 분배실을 갖는 유공블록을 병렬 연결한 것으로, 오리피스 홀을 통과한 2단 구조에 의한 균압효과의 블록상면에 배열된 다수의 집수공에 의해 평면적으로 균등한 여과와 역세척 효과가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유공블럭은 상면부에 분산구멍을 갖추고, 내부에는 양측벽의 안쪽으로 구획벽을 구성 것으로, 이와 같은 유공블럭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유공블럭 높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여과지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앙카를 설치하고, 앙카볼트를 조절하여 바닥면의 레벨을 일정하게 하고, 유공블럭을 한줄씩 설치한다. 역세척시 역세척 공기나 역세척수의 힘에 의해 유공블럭이 바닥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별도의 부속을 바닥면에 고정시켜 유공블럭을 위에서 아래로 눌러줄 수 있도록 한다. 유공블럭의 바닥면과 여과지 바닥면 사이, 유공블럭과 유공블럭 사이의 빈틈으로 몰탈을 타설하고 양생시켜 유공블럭을 고정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유공블럭을 이용하여 하부집수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역세척을 위해 공기 및 물을 각각 유공블럭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유공블럭의 일측면에 부착한 마감판에 천공한 홀과 여과지 벽체에 시공된 슬리브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속자재인 소켓을 연통시켜 연결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유공블럭과 여과지 벽체에 시공된 슬리브와의 연결부속자재인 소켓 연결시, 벽체 슬리브의 높이가 불량하게 시공되거나, 바닥면 높이가 불균등하게 시공되는 등의 결함으로 인해, 상기 벽체와 유공블럭 마감판 상호간의 홀의 높이가 맞지 않아 연결에 어려움에 있었고, 이에 마감판의 홀을 재가공해야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75848호(2006.04.25.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공블럭을 이용한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여과지 벽체에 시공된 슬리브와 유공블럭의 일측에 부착한 마감판에 천공된 홀을 상호간 연통시키되, 기존처럼 소켓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벽체와 유공블럭 사이의 공간을 여과지 바닥면까지 연결판으로 에워싸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여과지 벽체에 시공된 슬리브와 유공블럭 마감판의 홀 상호간의 천공위치 및 바닥면의 시공불량에 상관없이, 현장조건에 영향받지 않고 상호간을 손쉽고 용이하게 연결시켜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물을 정화하기 위한 수처리공정 중 여과공정의 여과지에 사용되는 유공블럭(10)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여과지(1) 내에 여과지 바닥면 레벨 조정용 부속자재를 설치하는 단계(S100)와; 여과 및 역세척이 가능하며, 다공판 및 마감판(20)을 부착한 유공블럭(10)을 설치하는 단계(S200); 유공블럭(10)을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부속자재를 설치하는 단계(S300); 여과지 벽체(30)와 유공블럭(10)에 부착된 마감판(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40)을 설치하는 단계(S400); 연결판(40)의 상부, 유공블럭(10)과 바닥면 사이, 유공블럭과 유공블럭 사이에 몰탈 시공하는 단계(S500); 유공블럭(10) 상부에 여재를 투입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여과지 벽체(30)와 유공블럭(10)에 부착된 마감판(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40)을 설치하는 단계(S400)는 상기 벽체(30)와 유공블럭(10)의 마감판(20) 사이에서 일단은 벽체(30)에 밀착되고, 타단은 마감판(2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벽체(30)와 유공블럭(10) 사이의 공간을 여과지(1) 바닥까지 에워쌈으로써, 벽체(30)의 공기 슬리브(31)와 물 슬리브(32)가 유공블럭(10)의 공기 홀(21)과 물 홀(22)과 상호간 연통되도록 연결판(40)이 설치되는 단계이다.
이는 유공블럭(10) 설치시마다 상기 공기 슬리브(31)와 공기 홀(21) 및 물 슬리브(32)와 물 홀(22)의 형성위치를 맞춰 연결소켓을 연결하는 불편함과, 상호간의 높이가 맞지 않는 경우 마감판(20)의 홀을 벽체(30)의 주입구에 맞춰 재가공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공블럭을 이용한 하부집수장치 시공시, 여과지 벽체에 형성된 슬리브의 위치나, 바닥면의 불량 등에 따른 현장조건에 상관없이, 연결판을 이용해 벽체의 슬리브와 유공블럭 마감판에 천공된 홀을 손쉽고 용이하게 대응 연통시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하고 손쉬워, 시공시간 단축 및 시공효율 상승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지 벽체나 유공블럭 마감판 상호간의 사이에 대응하여 폭 넓이가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가지거나, 여과지 벽체 및 유공블럭 마감판과 접촉되는 연결판의 접촉면이 면접촉되어 확실한 실링효과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연결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 공정순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순서도.
도 6 및 도 7은 기존의 유공블럭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물을 정화하기 위한 수처리공정 중 여과공정의 여과지(1)에 사용되는 유공블럭(10)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여과지(1) 내에 여과지 바닥면 레벨 조정용 부속자재를 설치하는 단계(S100)와; 여과 및 역세척이 가능하며, 다공판 및 마감판(20)을 부착한 유공블럭(10)을 설치하는 단계(S200); 유공블럭(10)을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부속자재를 설치하는 단계(S300); 여과지 벽체(30)와 유공블럭(10)에 부착된 마감판(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40)을 설치하는 단계(S400); 연결판(40)의 상부, 유공블럭(10)과 바닥면 사이, 유공블럭(10)과 유공블럭(10) 사이에 몰탈 시공하는 단계(S500); 유공블럭(10) 상부에 여재를 투입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여과지 벽체(30)와 유공블럭(10)에 부착된 마감판(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40)을 설치하는 단계(S400)는 상기 벽체(30)와 유공블럭(10)의 마감판(20) 사이에서 일단은 벽체(30)에 밀착되고, 타단은 마감판(2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벽체(30)와 유공블럭(10) 사이의 공간을 여과지(1) 바닥까지 에워쌈으로써, 벽체(30)의 공기 슬리브(31)와 물 슬리브(32)가 유공블럭(10)의 공기 홀(21)과 물 홀(22)과 상호간 연통되도록 연결판(40)이 설치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연결판(40)은 상기 벽체(30)와 마감판(20)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도록, 한개 또는 다수개가 상호간 길이방향을 향해 겹쳐지게 설치되어, 폭 넓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40)은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접촉대상면에 면접촉된 후, 접촉부위가 몰탈에 의해 굳혀져 밀봉효과가 증대되는 연장편(4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40)은 유공블럭(10) 내에 공기와 유체가 유동되는 연통공간(A)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삼각형, 반원형, 반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연통공간(A)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여과지(1) 내에 여과지(1) 바닥면 레벨 조정용 부속자재를 설치하는 단계(S100):
여과지(1) 바닥면을 깨끗이 청소하고, 일정 간격으로 바닥에 구멍을 뚫는다. 여기에 앙카를 설치하고, 앙카에 전산볼트를 끼워 넣어 단단히 고정시킨다. 전산볼트에 앵글 또는 평철을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를 끼우고, 레이져 수평계로 일정 높이가 되도록 너트를 조정한다. 너트 위쪽으로 앵글 또는 평철을 끼워 넣고 그 위에 너트를 끼워 고정시킨다.
2. 여과 및 역세척이 가능하며, 다공판 및 마감판(20)을 부착한 유공블럭(10)을 설치하는 단계(S200):
여과지(1)에서 여재를 지지하며, 여과지(1) 역세척시 역세공기와 역세수의 균등한 분배를 위해 유공블럭(10) 윗면에 접하도록 다공판(미도시)을 조립한다. 다공판이 조립된 개개의 유공블럭(10)을 별도로 제작된 지그를 이용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길이방향으로 조립한다. 조립된 유공블럭(10)의 일측, 즉 제일 끝의 단면은 공기나 물이 통하도록 홀이 천공되지 않은 마감판(20)을 부착하여 마감한다. 조립된 유공블럭(10)의 타측, 즉 여과지 벽체(30)에 형성된 공기 슬리브(31) 또는 물 슬리브(32) 방향의 유공블럭(10) 단면은 역세를 위한 공기나 물이 통하도록 미리 홀을 천공한 마감판(20)을 부착하여 마감한다. 다공판 및 마감판(20)이 부착되어 종방향으로 연결된 유공블럭(10)을 상기 언급한 앵글 또는 평철 위에 올려놓는다. 같은 방법으로 여과지 벽체(30)에 형성된 슬리브 위치마다 유공블럭(10)을 배열한다.
3. 유공블럭(10)을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부속자재를 설치하는 단계(S300):
공기역세척이나 물역세척시 발생하는 상승 유속에 의해 유공블럭(10)이 바닥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나비와셔 또는 평철을 전산볼트에 끼워넣어 유공블럭(10)끼리 연결된 부분 윗면에 설치한다. 나비와셔 또는 평철을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전산볼트에 너트를 끼운다.
4. 여과지 벽체(30)와 유공블럭(10)에 부착된 마감판(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40)을 설치하는 단계(S400):
유공블럭(10) 설치시마다 상기 공기 슬리브(31)와 마감판(20)의 공기 홀(21) 및 물 슬리브(32)와 마감판(20)의 물 홀(22)의 형성위치를 맞춰 관을 연결하거나, 마감판(20)의 홀을 여과지 벽체(30)의 슬리부 높이에 맞춰 마감판(20) 홀이 재가공되지 않도록, 상기 벽체(30)와 유공블럭(10) 사이에서 일단은 벽체(30)에 접하고, 타단은 마감판(20)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벽체(30)와 유공블럭(10) 사이의 공간을 여과지(1) 바닥까지 에워쌈으로써, 벽체(30)의 공기 슬리브(31)와 물 슬리브(32)가 유공블럭(10)의 공기 홀(21)과 물 홀(22)과 상호간 연통되도록 한다.
기존에는 S300단계 이후, 유공블럭(10)과 벽체(30) 슬리브를 연결부속자재인 소켓으로 연결하였지만, 벽체(30) 슬리브 즉 공기 슬리브(31)와 물 슬리브(32)의 높이가 불량하게 시공되거나, 바닥면 높이가 불균등하게 시공되는 등의 결함으로 인해 높이가 서로 맞지 않아 연결에 어려움이 있어, 유공블럭(10) 마감판(20)의 공기 홀(21)과 물 홀(22) 가공을 다시 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벽체(30)와 유공블럭(10) 사이의 공간 연결을 위해 소켓을 사용하지 않고, 연결판(40)을 사용한 것이다. 이러한 연결판(40)은 판재를 구획벽(14)의 형상과 대응되는 삼각 형 또는 오각형, 반원형, 반 타원형 모양 중 어느 한가지의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시켜 사용한 것으로, 상기 벽체(30)와 유공블럭(10) 사이에서 일단은 벽체(30)에 접하고, 타단은 마감판(20)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벽체(30)와 유공블럭(10) 사이의 공간을 여과지(1) 바닥까지 에워싸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상기 연결판(40) 내부에서 벽체(30)의 공기 슬리브(31)와 물 슬리브(32)가 유공블럭(10)의 공기 홀(21)과 물 홀(22)과 상호간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로써, 전술된 바와 같이, 벽체(30) 슬리브 즉 공기 슬리브(31)와 물 슬리브(32)의 높이가 불량하게 시공되거나, 바닥면 높이가 불균등하게 시공되는 등의 결함으로 인해 높이가 서로 맞지 않는 각기 다른 각각의 시공현장 상황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벽체(30)의 슬리브에 유공블럭(10) 마감판(20)의 홀을 연통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되는 연결판(40)은 여과지(1)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설치될 수 있는 유공블럭(10)과 달리, 양측이 여과지(1) 바닥에 밀착되어지도록 하여, 연결판(40)으로 감싸는 공간이 밀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판(4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직각으로 연장편(41)을 절곡형성하여, 이러한 연장편(41)이 연결대상면(벽체(30) 또는 마감판(20))에 면접촉된 후, 접촉부위를 몰탈로 굳혀 밀봉효과가 증대되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더불어, 이러한 연결판(40)은 벽체(30)와 마감판(20) 사이에 이격거리가 시공현장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에 대응되도록, 한개 또는 다수개가 상호간 길이방향을 향해 밀착되며 겹쳐지게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겹쳐져 잇는 연결판(40) 들을 빼내거나 집어넣어 연결판(40) 전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토록 할 수도 있다.
5. 연결판(40)의 상부, 유공블럭(10)과 바닥면 사이, 유공블럭(10)과 유공블럭(10) 사이에 몰탈 시공하는 단계(S500):
전술된 S400단계와 같이, 연결판(40)을 통해 벽체(30)의 복수개 주입구와 유공블럭(10) 마감판(20)의 홀이 연통연결되면, 벽체(30)와 유공블럭(10) 사이의 마감판(20) 주변, 유공블럭(10)과 바닥면 사이, 유공블럭(10)과 유공블럭(10) 사이에 몰탈을 부어 양생시키되, 이러한 몰탈이 부어지는 높이는 유공블럭(10) 상면과 동일수평선상이 되는 위치까지이다.
6. 유공블럭(10) 상부에 여재를 투입하는 단계(S600):
상기 S500단계를 통해 몰탈을 부어 양생한 이후,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여과를 위한 여과부재를 단독 또는 다수의 층으로 이뤄 적층시키는 단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30)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여과지 10: 유공블럭
14: 구획벽 20: 마감판
21: 공기 홀 22: 물 홀
30: 벽체 31: 공기 슬리브
32: 물 슬리브 40: 연결판
41: 연장편
A: 연통공간

Claims (4)

  1. 물을 정화하기 위한 수처리공정 중 여과공정의 여과지(1)에 사용되는 유공블럭(10)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여과지(1) 내에 여과지(1) 바닥면 레벨 조정용 부속자재를 설치하는 단계(S100)와;
    여과 및 역세척이 가능하며, 다공판 및 마감판(20)을 부착한 유공블럭(10)을 설치하는 단계(S200);
    유공블럭(10)을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부속자재를 설치하는 단계(S300);
    여과지 벽체(30)와 유공블럭(10)의 마감판(20) 사이에서 일단은 벽체(30)에 밀착되고, 타단은 마감판(2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벽체(30)와 유공블럭(10) 사이의 공간을 여과지(1) 바닥까지 에워쌈으로써, 벽체(30)의 공기 슬리브(31)와 물 슬리브(32)가 유공블럭(10)의 공기 홀(21)과 물 홀(22)과 상호간 연통되도록 여과지 벽체(30)와 유공블럭(10)에 부착된 마감판(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40)을 설치하는 단계(S400);
    연결판(40)의 상부, 유공블럭(10)과 바닥면 사이, 유공블럭(10)과 유공블럭(10) 사이에 몰탈 시공하는 단계(S500);
    유공블럭(10) 상부에 여재를 투입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판(40)은 벽체(30)와 마감판(20)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도록, 한개 또는 다수개가 상호간 길이방향을 향해 겹쳐지게 설치되어, 폭 넓이 조절이 가능하거나, 또는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연장편(41)이 절곡형성되어, 접촉대상면에 면접촉된 후, 접촉부위가 몰탈에 의해 굳혀져 밀봉효과가 증대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판(40)은 유공블럭(10) 내에 공기와 유체가 유동되는 연통공간(A)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삼각형, 반원형, 반 타원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69256A 2017-12-11 2017-12-11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 KR10190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256A KR101908981B1 (ko) 2017-12-11 2017-12-11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256A KR101908981B1 (ko) 2017-12-11 2017-12-11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981B1 true KR101908981B1 (ko) 2018-10-17

Family

ID=6409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256A KR101908981B1 (ko) 2017-12-11 2017-12-11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364B1 (ko) * 2022-09-26 2023-01-18 (주) 삼진정밀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
KR102612702B1 (ko) * 2022-11-11 2023-12-12 효림이엔아이 주식회사 인터페이스와 유공블록을 구비하는 여과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9810A1 (en) * 2008-10-09 2010-04-15 Severn Trent Services Limited Water Filtration Apparatus
KR101435017B1 (ko) 2014-04-10 2014-08-28 전진아 역세척 유체의 균등 방사를 위한 오리피스 구조를 갖는 하부집수장치
JP2014198964A (ja) *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クボタ 集水装置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9810A1 (en) * 2008-10-09 2010-04-15 Severn Trent Services Limited Water Filtration Apparatus
JP2014198964A (ja) *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クボタ 集水装置の施工方法
KR101435017B1 (ko) 2014-04-10 2014-08-28 전진아 역세척 유체의 균등 방사를 위한 오리피스 구조를 갖는 하부집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364B1 (ko) * 2022-09-26 2023-01-18 (주) 삼진정밀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
KR102612702B1 (ko) * 2022-11-11 2023-12-12 효림이엔아이 주식회사 인터페이스와 유공블록을 구비하는 여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981B1 (ko)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시공방법
US4995123A (en) Ozone dispersion system
EP2175957B8 (en) Pre-assembled flow control structure and related media filtration system
US20050109706A1 (en) Filter underdrain system for backwash flow and method for measuring same
TWI533913B (zh) 固定暗渠濾磚之設備及方法
CA2714846A1 (en) Device used in digital shower system
CA2903977A1 (en) Underdrain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orces and directing flow
US10525382B2 (en) Grout support installation method for filter underdrain system
KR101435017B1 (ko) 역세척 유체의 균등 방사를 위한 오리피스 구조를 갖는 하부집수장치
JP3739296B2 (ja) 貯水装置
US201800932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Water or Wastewater
KR200388785Y1 (ko) 여과지 하부 집수실의 공기 균등 공급장치
US10913014B2 (en) Multiple rate filter underdrain lateral gas metering plate
KR200417138Y1 (ko) 하부집수장치의 w형유공블록
KR100799249B1 (ko) 여과지 하부 집수실의 공기 균등 공급장치
KR20080079723A (ko) 하부집수장치용 유공블럭 지지구조체
KR100655166B1 (ko) 하부집수장치의 w형유공블록
CN204098040U (zh) 一种多通道可重复注浆管
CN202555024U (zh) 新型彗星式纤维滤池
KR100575848B1 (ko) 하부집수장치용 유공블럭 지지장치 및 유공블럭 시공방법
JP2014147933A (ja) 液体分配ヘッダー
JP2003164891A (ja) 浄水用ブロック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浄水ブロックを用いた浄水装置
CN219167801U (zh) 可叠加过滤管总成
CN203904801U (zh) 一种广场空心砖
KR100451145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