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957B1 -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957B1
KR101908957B1 KR1020120140768A KR20120140768A KR101908957B1 KR 101908957 B1 KR101908957 B1 KR 101908957B1 KR 1020120140768 A KR1020120140768 A KR 1020120140768A KR 20120140768 A KR20120140768 A KR 20120140768A KR 101908957 B1 KR101908957 B1 KR 101908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air
vehicle
air conditio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3068A (en
Inventor
이동규
오동훈
이대웅
지용준
장길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957B1/en
Publication of KR2014007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0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9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 냉난방을 수행하는 공조 공기가 음료 용기에 직접 열전달 되어 냉,온장의 속효 성능이 향상되며, 공조 공기를 이용한 대류 열전달뿐 아니라 전도를 통한 열전달을 함께 수행하여 냉,온장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공조장치가 작동되지 않아도 냉,온장이 가능한 구조의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는 차량의 공조장치로부터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도록 설치되는 공조 덕트에 연결되어, 내부에 공조풍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컵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홀더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는 상기 공조 덕트를 유동하는 공조풍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열전소자를 통한 전도 열전달과 공조풍을 이용한 직접적인 대류 열전달을 통해 냉,온장 성능을 극대화하고, 공조풍이 음료 용기에 직접적으로 열전달되어 속효성이 우수하다.The air conditioning air for performing the cooling and heating of the vehicle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beverage container to improve the fast performance of the cold and warm spots and the convection heat transfer using the air conditioning air as well as the heat transfer through the conduction are performed together to improve the cooling and warming performance, A cold and warming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cooling and heating even when the apparatus is not operated is disclosed. The cold storage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housing which is connected to an air conditioning duct installed to discharge cold air or warm air blown from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forms a flow path of air conditioning air therein, And a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air-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air-conditioning duct. Therefore, the convection heat transfer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direct convection heat transfer using the air-conditioning wind maximize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and the air-conditioned wind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beverage container, so that the quick effect is excellent.

Description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본 발명은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냉,온 음료를 적정한 온도에서 보관하여 마실 수 있도록 차량 실내에 구비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 hot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d / hot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installed in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so that a passenger can store cold and hot beverage at a proper temperature.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는 차량 실내에 구비되어 수용된 용기를 가열 또는 냉각함으로써, 주행 중 또는 정차 시 탑승자가 여름철에는 냉 음료를 시원하게 그리고 겨울철에는 온 음료를 따뜻하게 보관하여 시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Generally, a cold / hot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is provided in a vehicle interior to heat or cool the container so that the occupant can keep the cold drinks cool during summer and warmly stored in winter during warm- will be.

선 출원된 일본공개특허공보 1993-272836호(1993.10.22)에는 차량용 음료 냉온 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음료 냉온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음료 냉온 장치는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냉각 또는 가열할 음료(2)를 수용하는 홀더(1)와, 상기 홀더(1)에 밀착되는 서머모듈(4)과, 상기 서머모듈(4)의 홀더(1)와 반대측의 측면(4b)에 밀착되고 에어컨 취출구(6)에 연통하도록 에어컨 취출구(6) 부근에 설치되는 방열핀(5)을 포함한다. 이 경우, 미설명된 도면부호 7은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것이다.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3-272836 (Oct. 22, 1993) discloses a beverage cooling / he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Fig. 1 shows a conventional beverage cooling / he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vehicle beverage cold / warm apparatus includes a holder 1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nd accommodating a beverage 2 to be cooled or heated, a summer module 4 adhered to the holder 1, And a radiating fin 5 closely attached to a side surface 4b of the thermometer module 4 opposite to the holder 1 and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air conditioner outlet 6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ir conditioner outlet 6. [ In this case, reference numeral 7 denotes an insulator.

또한, 선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8-030445호(1998.08.17)에는 가열 및 냉각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컵홀더가 개시된바 있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는 센터콘솔(2)의 상면에 컵홀더가 형성되고, 센터콘솔(2)의 하부에는 차량의 냉,난방 장치와 연결된 덕트(10)가 연결된다. 또한, 컵홀더는 음료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 형상의 컵수용조(30)를 별도로 구비하며, 컵수용조(30)의 하부는 센터콘솔(2)과 덕트(10)를 관통하여 그 하단이 덕트(10)를 지나는 공기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30445 (1998.08.17) filed by the Korean Public Utility Industry has disclosed a cup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heating and cooling func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up holder for a vehicle. 2, a conventional cup holder for a vehicle has a cup hold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center console 2, and a duct 10 connected to a cooling and heating device of a vehicle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console 2 do. The lower part of the cup receiving chamber 30 penetrates the center console 2 and the duct 1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up receiving chamber 30 communicates with the lower end of the duct 30. [ (10).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는 음료 용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수단이 접촉에 의한 전도만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져 냉장 및 온장을 수행함에 따라 속효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up holder for a vehicle, the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beverage container ha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short-circuiting is deteriorated due to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ng only by contact, thereby performing refrigeration and warming.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공보 1993-272836호(1993.10.22)Patent Document 1: JP-A-1993-272836 (Oct. 22, 1993)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8-030445호(1998.08.17)Patent 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30445 (1998.08.17)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 냉난방을 수행하는 공조 공기가 음료 용기에 직접 열전달 되어 냉,온장의 속효 성능이 향상된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ld and warm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in which the air-conditioning air for performing cooling and heating of the vehicle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beverage container to improve the fast performance of the cold and warm.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조 공기를 이용한 대류 열전달뿐 아니라 전도를 통한 열전달을 함께 수행하여 냉,온장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공조장치가 작동되지 않아도 냉,온장이 가능한 구조의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onvection heat transfer using air-conditioned air as well as heat transfer through conduction are performed to improve cold and warm performance, and a cold and hot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는 차량의 공조장치로부터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도록 설치되는 공조 덕트에 연결되어, 내부에 공조풍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컵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홀더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는 상기 공조 덕트를 유동하는 공조풍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d storage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connected to an air conditioning duct installed to discharge cold air or warm air blown from a vehicle air conditioner to a vehicle interior and forming an air conditioning air passage therein, And a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air-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air-conditioning du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는 열전소자를 통한 전도 열전달과 공조풍을 이용한 직접적인 대류 열전달을 통해 냉,온장 성능을 극대화하고, 공조풍이 음료 용기에 직접적으로 열전달되어 속효성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cold storage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through conduction heat transfer through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direct convection heat transfer using the air conditioning airflow and provides a very useful invention to b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음료 냉온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가 공조 덕트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컵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shows a conventional beverage cooling / he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up holder for a vehicl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cold / warm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duc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d / warm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ld storage apparatus for cold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portion of the cold storage chamber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p holder unit of the cold storage apparatus for cold storag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a cup holder part of the cold storage apparatus for cold storage cup for vehicl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a cup holder part of the cold storage chamber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a cold storage chamber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a cup holder part of the cold storage chamber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cup holder portion of the cold storage chamber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portion of the cold storage chamber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unit of the cold storage apparatus for cold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view of a cup holder portion of a cold storage chamber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up holder uni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cold / hot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가 공조 덕트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d storage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n air duct; FIG. 4 is a view showing a cold storage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ld storage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p storage apparatus for a cold storage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컵홀더부를 구비하여 공조 덕트(199)의 공조풍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된다. 이 경우, 공조 덕트(199)는 차량의 공조장치로부터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도록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벤트 덕트, 콘솔 덕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3 to 6, the cold storage cup holder apparatus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nd a cup holder unit, Path. In this case,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is installed in the vehicle so as to discharge cool air or warm air blown from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may be constituted by a vent duct, a console duct and the like.

하우징(110)은 공조 덕트(199)에 연결되어 내부에 공조풍의 유로를 형성한다. 하우징(110)은 대략 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이 체결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하지만, 하우징(110)은 이 밖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의 일 측에는 유입공(113)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유입공(113) 및 배출공에 각각 공조 덕트(199)가 연결된다. 따라서, 공조 덕트(199)를 유동하는 공조풍은 유입공(113)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내부 공간부를 지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어 다시 공조 덕트(199) 내부에서 진행을 계속한다.The housing 110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to form an air-conditioned air passage therein. The housing 1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The upper housing 111 and the lower housing 112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However, the housing 110 may have various other shapes. An inlet hole 1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and a discharge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10. The air ducts 199 are connected to the inlet hole 113 and the discharge hole, respectively. Therefore, the air-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inflow hole 113,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pace through the internal space, and then proceeds inside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Continue.

컵홀더부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음료 용기(198)를 수용한다. 음료 용기(198)는 캔, 패트, 컵 등의 다양한 식수용 수단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컵홀더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198)는 공조 덕트(199)를 유동하는 공조풍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음료 용기(198)가 수용되는 컵홀더부의 내부는 하우징(110)의 내부와 통하게 이루어져, 공조풍이 직접 음료 용기(198)에 접촉된다. 따라서, 공조장치로부터 송풍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직접 음료 용기에 열전달되어, 냉장 및 온장 기능의 속효성이 우수해진다.The cup holder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accommodates the beverage container 198 therein. The beverage container 198 may be a variety of drinking means such as cans, pats, cups,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beverage container 198 housed in the cup holder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air-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That is, the inside of the cup holder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198 is housed is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directly contacts the beverage container 198. Therefore, the cold air or the warm air blown from the air conditioner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quick-time function of the refrigeration and warm-up function is excellent.

상기 컵홀더부는 제1 컵홀더(230)와 제2 컵홀더(130)로 구성된다. 제1 컵홀더(230)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제1 컵홀더(230)의 상단은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된 조립공(119)에 끼워지고, 하단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부를 향해 연장된다. 본 실시 예에서 컵홀더부는 하우징(110)에 단일개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 조립공(119)은 하우징(110)의 상면에 두개 형성되고, 하나의 조립공(119)에는 컵홀더부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조립공(119)은 하단이 폐쇄되어 거치용 공간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The cup holder unit includes a first cup holder 230 and a second cup holder 130. The first cup holder 230 has a hollow pipe shape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he upper end of the first cup holder 230 is fitted into an assembly hole 119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cup holder 230 is extende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cup holder portion is shown as being provided in the housing 110 in a single unit,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plurality of cup holders. In this embodiment, two assembly holes 119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one cup holder 119 is provided with a cup holder, and the other assembly hole 119 is closed to be used as a mounting space .

제2 컵홀더(130)는 제1 컵홀더(23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음료 용기(198)가 수용된다. 제2 컵홀더(130)는 제1 컵홀더(230)와 대응되게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폐쇄된 컵 형상에 가깝다. 제2 컵홀더(130)의 측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공(1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컵홀더(130)가 제1 컵홀더(230)로부터 하강 시, 내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198)가 통공(132)을 통해 공조풍에 노출된다.The second cup holder 130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cup holder 230, and the beverage container 198 is accommodated therein. The second cup holder 130 has a hollow pip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p holder 230,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lower portion is close to the closed cup shape.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up holder 13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2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when the second cup holder 130 descends from the first cup holder 230, the beverage container 198 housed therein is exposed to the air conditioning air through the through holes 132.

이와 같이, 제1 컵홀더(230)에 대한 제2 컵홀더(130)의 수직 이동 구조에 의해, 제2 컵홀더(130)를 하강시키면 수용된 음료 용기(198)가 공조 덕트(199)의 내부와 통하여 공조풍에 의해 음료 용기(198)를 냉,온장 가능하고, 제2 컵홀더(130)를 상승시키면 음료 용기(198)와 공조 덕트(199) 내부의 통함 상태가 해제되어 공조 덕트(199)의 풍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경우, 제2 컵홀더(130)의 상승 시 제2 컵홀더(130)의 하면이 음료 용기(198)와 하우징(110)의 내부 사이를 완전히 구획 및 실링하도록 이루어져 공조풍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lowered by the vertically moving structure of the second cup holder 130 with respect to the first cup holder 230 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container 198 housed in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The interior of the beverage container 198 and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is released so that the air in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 Is not influenced.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cup holder 130 rise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completely divided and sealed between the beverage container 198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to minimize the loss of the air- do.

또한, 상기 컵홀더부의 일 측에는 열전소자(170)가 구비된다. 열전소자(170)는 전류의 인가에 의해 발열 또는 냉각되는 수단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류전압을 인가 시 일 측면은 차가워지고 타 측면은 뜨거워지는 원리를 갖는 반도체 소자이다. 열전소자(170)는 컵홀더부에 접촉되어, 컵홀더부를 전도열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컵홀더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를 공조풍과 더불어 냉,온장하는 기능을 한다.A thermoelectric element 17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p hold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170 is a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by application of an electric current. More specifically, the thermoelectric element 170 is a semiconductor element having a principle that one side is cold and the other side is hot when a direct current voltage is applie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70 functions to heat and cool the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together with the air conditioning air by contacting the cup holder portion by heating or cooling the cup holder portion by the conductive heat.

따라서, 음료 용기는 공조풍에 의한 직접적인 대류 열전달과 더불어 열전소자(170)에 의한 전도 열전달을 동시에 공급받아 냉,온장 성능이 극대화되며, 공조장치의 Off 등에 의해 공조풍이 공급되지 않을 때 열전소자(170)만을 작동시켜 냉,온장 수단으로서 대체 가능하다. 결국, 항시 음료 용기를 차갑게 또는 따뜻하게 유지하여 시음할 수 있다.Therefore, the beverage container is supplied with the convection heat transfer by the air conditioning wind and the conduction heat transfer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170 at the same time, thereby maximizing the cooling and warming performance. When the air conditioning is not supplied due to the off- 170 can be replaced with cold / hot means. As a result,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kept cold or warm at all times.

또한, 하우징(110)에는 열전소자(170)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부(114)가 구비된다. 수용부(114)는 상부 하우징(111)의 상면 내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부(114)에는 냉각핀(150) 및 송풍팬(160)을 더 구비한다. 열전소자(170)의 일면은 컵홀더부의 측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며, 타면에는 냉각핀(150)이 배치된다. 냉각핀(150)의 일 측에는 송풍팬(160)이 설치되며, 수용부(114)의 바닥면에는 송풍공(115)이 형성된다. 송풍공(115)은 수용부(114)의 내부와 하우징(110)의 내부를 통하게 하여, 수용부(114) 내의 공기를 공조풍과 순환시킨다. 따라서, 열전소자(170)의 폐열을 공조풍에 의해 방열할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14 for mount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170 thereon. The receiving portion 11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1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The receiving portion 114 further includes a cooling fin 150 and a blowing fan 160.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70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up holder portion, and a cooling fin 150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A blowing fan 16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oling fin 150 and a blowing hole 115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4. The air blowing hole 115 connects the inside of the housing part 114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to circulate the air in the housing part 114 to air conditioning air. Therefore, the waste hea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70 can be dissipated by the air conditioning air.

이제, 여러 실시 예를 통해 컵홀더부의 다양한 승강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제1 실시 예 내지 제7 실시와, 변형된 실시 예는 컵홀더의 변경되는 승강 구조 및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Now, the various lifting structures of the cup holder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and modifi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only for the elevated structure and the difference configuration of the cup holder, an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nd duplicat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부는 제1 컵홀더(230) 및 제2 컵홀더(130)를 구비한다. 제1 컵홀더(230)의 상단에는 반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링 형상의 다이얼(120)이 구비되고, 제2 컵홀더(130)에는 다이얼(120) 측을 향해 연장된 와이어 가이드(140)가 양측으로 구비된다. 아울러, 와이어 가이드(140)의 내부에는 다이얼(120)과 제2 컵홀더(130)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형성된다. 따라서, 다이얼(120)을 회전시키면, 다이얼(120)에 연결된 와이어가 제2 컵홀더(130)를 당기거나 풀어 제2 컵홀더(130)가 제1 컵홀더(230)를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된다. 제2 컵홀더(130)에는 제1 컵홀더(230)에 슬라이딩 안내되기 위한 가이드 돌기(131)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다이얼(120)의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 제2 컵홀더(130)를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up hold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up holder 230 and a second cup holder 130. A ring-shaped dial 12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up holder 23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 wire guide 140 extending toward the dial 120 is formed in the second cup holder 130. Respectively. In addition, a wire connecting the dial 120 and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formed in the wire guide 140. Accordingly, when the dial 120 is rotated, a wire connected to the dial 120 pulls or loosens the second cup holder 130 so that the second cup holder 130 moves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first cup holder 230 Lt; / RTI >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formed with guide protrusions 131 for guiding the first cup holder 230 in a sliding manner. With this structure, the second cup holder 130 can be moved vertically by a simple rotation operation of the dial 120. [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p holder unit of the cold storage apparatus for cold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p holder of the cold storage apparatus for cold storag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a cup holder part of the cold storage chamber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부는 제1 컵홀더(230) 및 제2 컵홀더(130)를 구비한다. 제2 컵홀더(130)의 일 측면에 렉기어(133)가 형성되고, 렉기어(133)에 피니언기어(134)가 치합된다. 피니언기어(134)는 하우징(110) 또는 제1 컵홀더(2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피니언기어(134)의 일 측에는 피니언기어(134)를 회전시키는 레버(240)를 구비하며, 레버(24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241)가 동축상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구동기어(241)는 피니언기어(134)에 치합되어 있다. 이 경우, 레버(240)는 구동기어(241)를 생략하고 피니언기어(134)에 동축상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레버(240)를 회전 조작하여, 구동기어(241)와 피니언기어(134)의 회전에 의해 렉기어(133)가 피니언기어(134)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2 컵홀더(130)가 제1 컵홀더(230)를 따라 슬라이딩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레버(240)의 조작에 의해 제2 컵홀더(130)를 비교적 안정된 구조로 수직 이동시켜 조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7 to 9, the cup holde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up holder 230 and a second cup holder 130.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gear 133 and the gear 133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34. The pinion gear 134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or the first cup holder 230. The pinion gear 134 has a lever 240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134. A driving gear 241 is coaxial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lever 240 and is integrally rotated. The driving gear 241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34. In this case, the lever 240 may be provided coaxially with the pinion gear 134 without the drive gear 241. [ As the lever 240 is rotated and the lever gear 133 moves along the pinion gear 134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gear 241 and the pinion gear 134, Is slid along the first cup holder (230). Through such a structure, the operation of the lever 240 can vertically move the second cup holder 130 to a relatively stable structur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ld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cold storage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thereof.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부는 제1 컵홀더(230) 및 제2 컵홀더(130)를 구비한다. 제2 컵홀더(130)의 일 측면에 렉기어(133)가 형성되고, 렉기어(133)에 피니언기어(343)가 치합된다. 피니언기어(343)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하우징(110)에는 노브(340)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노브(340)는 하부 방향으로 회전축(341)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41)에 피니언기어(343)와 치합되는 구동기어(342)가 연결된다. 구동기어(342)는 노브(340)의 회전에 의해 일체로 회전된다. 이 경우, 구동기어(342)는 노브(340)의 회전축(34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피니언기어(343)는 구동기어(34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웜기어 결합 구조를 갖는다. 결국, 노브(340)를 회전 조작하면, 회전축(341)과 구동기어(342)가 일체로 회전되고, 이와 직교되게 맞물린 피니언기어(343)가 회전되어 렉기어(133)가 피니언기어(343)를 따라 이동되어, 제2 컵홀더(130)가 제1 컵홀더(23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비교적 작은 힘으로 노브(340)를 조작할 수 있어 제2 컵홀더(130)의 수직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cup holde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up holder 230 and a second cup holder 130.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provided with a gear 133 on one side thereof and the pinion gear 343 is engaged with the gear 133. The pinion gear 343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In addition, a knob 34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knob 340 has a rotation shaft 341 extending downward and a driving gear 342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343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341. The drive gear 342 is integrally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knob 340. In this case, the driving gear 342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al axis 341 of the knob 340, and the pinion gear 343 is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riving gear 342 and has a worm gear coupling structure. As a result, when the knob 340 is rotated, the rotating shaft 341 and the driving gear 342 are integrally rotated, and the pinion gear 343, which is perpendicularly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343, So that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cup holder 230. With this structure, the knob 340 can be operated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cup holder 130 can be easily performed.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2 is a front view showing a cup holder unit of the cold storage apparatus for cold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제4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부는 제1 컵홀더(230) 및 제2 컵홀더(130)를 구비한다. 제2 컵홀더(130)의 일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장공 형태의 슬롯(135)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레버(440)가 힌지축(4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레버(440)는 "ㄱ"자 형상으로 대략 중앙부가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굴곡 부위에 힌지축(4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440)는 힌지축(441)을 중심으로 일단부에 핀(442)이 구비된다. 핀(442)은 제2 컵홀더(130)에 형성된 슬롯(1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결국, 레버(440)의 타단부를 잡고 힌지축(44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핀(442)은 힌지축(441)을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으며, 이때 핀(442)이 슬롯(135)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되면서 회전방향 힘은 수직방향 힘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제2 컵홀더(130)가 제1 컵홀더(23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별도의 기어 장치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제2 컵홀더의 수직 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cup holder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up holder 230 and a second cup holder 130. On one side of the second cup holder 130, a slot 135 in the form of a slot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lever 44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110 around a hinge shaft 441. The lever 440 has a substantially "A" shape and a substantially central bent portion, and a hinge shaft 441 is formed at the bent portion. The lever 440 is provided with a pin 442 at one end about the hinge shaft 441. The pin 442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ot 135 formed in the second cup holder 130. As a result, when the other end of the lever 440 is held and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441, the pin 442 formed at the opposite end receives a force to rotate about the hinge shaft 441, While being freely moved along this slot 135, the rotational direction force is converted into a vertical force. Accordingly,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cup holder 230. With this structure, vertical driving of the second cup holder can be realiz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a separate gear device.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p holder portion of the cold storage device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제5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부는 제1 컵홀더(230) 및 제2 컵홀더(130)를 구비한다. 제2 컵홀더(130)의 일 측면에 걸림 돌기(136)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걸림 돌기(136)의 하부에는 후크(541)가 구비된다. 후크(541)는 하우징(110)에 형성된다. 후크(541)의 단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 컵홀더(130)가 하강할 때 걸림 돌기(136)가 후크(541)의 경사면을 타고 내려가 걸리게 되며, 후크(541)가 걸림 돌기(136)에 걸린 상태에서 제2 컵홀더(130)는 상부로 상승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컵홀더(130)를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40)이 제2 컵홀더(130)에 연결된다. 스프링(540)은 하나 또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540)은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일 측이 제2 컵홀더(130)에 연결되고 타 측이 하우징(110) 또는 제1 컵홀더(230)에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3, the cup holder un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up holder 230 and a second cup holder 130. And a locking protrusion 136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up holder 130. In addition, a hook 541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atching protrusion 136. The hooks 541 are formed in the housing 110. The hook 541 is inclined so that when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lowered, the latching protrusion 136 is lower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ok 541 and the hook 541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protrusion 136. [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not raised upward. The spring 540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cup holder 130 in the upward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cup holder 130. The number of the springs 540 may be one or more. The spring 540 is formed of a compression spring and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cup holder 13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or the first cup holder 230.

결국, 제2 컵홀더(130)가 제1 컵홀더(230)에 대해 상승되어 있을 때 스프링(540)은 압축되려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 컵홀더(130)의 상승 상태를 유지시킨다. 아울러, 제2 컵홀더(130)에 소정의 외력을 가하여 하부로 누를 때 스프링(540)의 탄성 계수를 초과하는 힘이 작용되면 제2 컵홀더(130)는 제1 컵홀더(230)에 대해 하강하며, 제2 컵홀더(130)가 하부로 최대 이동하였을 때 후크(541)가 걸림 돌기(136)에 걸려 제2 컵홀더(130)에 더이상 힘을 가하지 않아도 제2 컵홀더(130)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raised relative to the first cup holder 230, the spring 540 maintains the raised state of the second cup holder 13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be compressed. When a force exceeding the elastic modulus of the spring 540 is applied to the second cup holder 130 when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pressed down by applying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to the second cup holder 130, When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moved up to the bottom, the hook 541 is caught by the latching protrusion 136 and the second cup holder 130 does not apply force to the second cup holder 130, Thereby maintaining the lowered state.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별도의 조작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제2 컵홀더(130)를 승강 조작할 수 있으며, 음료 용기(198)를 제2 컵홀더(130)에 삽입과 동시에 누르면 제2 컵홀더(130)가 하강하여 음료 용기(198)가 공조풍에 노출됨으로써 별도의 조작없이 바로 냉장 또는 온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가 제2 컵홀더에 형성되고 걸림 돌기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고, 걸림 돌기가 제1 컵홀더의 하부에 형성되고 후크가 제2 컵홀더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며, 후크가 제1 컵홀더의 하부에 형성되고 걸림 돌기가 제2 컵홀더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조로도 구현 가능하다.With this structure, the second cup holder 130 can be easily lifted and lowered without any separate operation means. When the beverage container 198 is inserted into and simultaneously pressed into the second cup holder 130, The holder 130 is lowered and the beverage container 198 is exposed to the air-conditioning air so that the refrigerator or the warming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without any operation.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in which the hook is formed in the second cup holder and the latching protrusion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the latch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up holder and the hook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up holder And the hook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up holder and the latch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p holder.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p holder unit of the cold storage apparatus for cold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제6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부는 제1 컵홀더(230) 및 제2 컵홀더(130)를 구비한다. 제2 컵홀더(130)의 일 측면에 렉기어(133)가 형성되고, 상기 렉기어(133)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641)가 구비된다. 피니언기어(641)는 모터(640)의 축에 연결되며, 모터(640)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피니언기어(641)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모터(640)의 ON/OFF 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모터(640)의 조작에 의해 모터(640)가 회전되어, 제2 컵홀더(130)가 제1 컵홀더(23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간단한 버튼 조작을 통해 모터 동력원으로 제2 컵홀더의 수직 이동이 구동되어 비교적 빠른 승강이 가능하며,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cup holder uni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up holder 230 and a second cup holder 130.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provided with a pinion gear 641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pinion gear 133 and the second pinion gear 641. The pinion gear 641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640, and the motor 640 rotates the pinion gear 641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In this cas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motor 64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he motor 64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640 so that the second cup holder 130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cup holder 230. [ With this structur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cup holder is driven by the motor power source through a simple button operation,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econd cup holder can be performed relatively easily, and the ease of use can be provided.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7 실시 예에서는 컵홀더부가 단일개의 제1 컵홀더만을 구비하며, 제1 컵홀더가 하우징 내에서 직접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특징이 있다.15 is a schematic view of a cup holder portion of a cold storage chamber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cup holder includes only a single first cup holder, and the first cup holder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directly in the housing.

도 15를 참조하면, 제7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부는 제1 컵홀더(230)를 구비한다. 제1 컵홀더(230)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음료 용기(198)가 수용된다. 이 경우, 도 15에서는 제1 컵홀더(230)가 직접 공조 덕트(199)에 대해 승강되게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1 컵홀더(230)는 하우징(11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내부가 공조 덕트(199)의 내부와 통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5에서는 하우징의 도시를 생략한 것이며, 하우징의 상세한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15,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up holder 230. The first cup holder 230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the beverage container 198 is accommodated therein. In this case, although the first cup holder 230 is shown to be raised and lowered relative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in FIG. 15, the first cup holder 230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0, And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11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That is, the illustration of the housing is omitted in Fig. 15, and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housing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제1 컵홀더(230)가 하강하게 되면, 내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198)가 공조풍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컵홀더(230)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하강 시 내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198)가 공조풍에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 하우징(110)에는 도어(740)가 구비된다. 도어(740)는 제1 컵홀더(230)의 상승 시, 제1 컵홀더(230)와 공조 덕트(199) 사이의 통로를 폐쇄한다. 아울러, 도어(740)는 제1 컵홀더(230)의 하강 시, 제1 컵홀더(230)와 공조 덕트(199) 사이의 통로를 개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 컵홀더(230)에 소정의 외력을 가하여 하부로 누르면 제1 컵홀더(230)는 하강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198)가 공조풍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제1 컵홀더(230)를 상승시키면 도어(740)가 공조 덕트(199)의 내부와 음료 용기(198)의 사이를 구획 및 실링시켜 공조풍의 손실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first cup holder 230 is lowered, the beverage container 198 housed therein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air conditioning air. Although not show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cup holder 230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198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cup holder 230 is exposed to the air conditioning air. In this case, a door 74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he door 740 closes the path between the first cup holder 230 and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when the first cup holder 230 is lifted. The door 740 opens the passage between the first cup holder 230 and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when the first cup holder 230 is lowered. The first cup holder 230 is lowered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198 contained therein is cooled or heated by the air conditioning air, The door 740 is partitioned and sealed between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and the beverage container 198 by raising the 1 cup holder 230 to prevent loss of air conditioning air.

또한, 상기 도어(740)는 제1 컵홀더(230)의 하부에 회전축(7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 쌍이 설치된다. 또한, 회전축(741)에는 토션 스프링 구조의 탄성 부재가 설치된다. 결국, 탄성 부재는 제1 컵홀더(2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도어(740)를 폐쇄 상태로 탄성 지지한다. 아울러, 제1 컵홀더(230)에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하부 방향으로 가해질 때, 도어(740)는 개방되어 제1 컵홀더(230)가 하부 방향으로 수직 이동된다.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컵홀더부를 단일의 제1 컵홀더만으로 구현 가능하여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별도의 구동 수단이나 조작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컵홀더부의 승강 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The door 740 is rotatab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up holder 23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741. The rotation shaft 741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having a torsion spring structure. As a result, the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s the door 740 in a closed state when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first cup holder 230. When the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applied to the first cup holder 230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door 740 is opened and the first cup holder 230 is vertically moved downward. The elastic member may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other than the torsion spring. With this structure, the cup holder portion can be realized by only a single first cup holder,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elevation driving of the cup holder portion can be realized without any separate driving means or operating means.

한편,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컵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6 and 1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up holder uni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제2 컵홀더(130)에 형성된 통공(132)은 제2 컵홀더(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 슬릿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컵홀더(130)에 형성된 통공(132)에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메쉬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메쉬 부재는 통공(132) 전체에 걸쳐 구비되어, 이물질이 공조 덕트(199)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through holes 132 formed in the second cup holder 130 may have a plurality of slit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up holder 130. Referring to FIG. 17, a through hole 132 formed in the second cup holder 130 may be provided with a mesh memb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The mesh member is provided throughout the through hole 132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cold storage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b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110 : 하우징
120 : 다이얼 130 : 제2 컵홀더
132 : 통공 133 : 렉기어
134,343,641 : 피니언기어 135 : 슬롯
136 : 걸림 돌기 114 : 수용부
140 : 와이어 가이드 150 : 냉각핀
160 : 송풍팬 170 : 열전소자
198 : 음료 용기 199 : 공조 덕트
240,440 : 레버 241, 342 : 구동기어
340 : 노브 442 : 핀
540 : 스프링 541 : 후크
640 : 모터 740 : 도어
100: Car cold storage cup holder device 110: Housing
120: dial 130: second cup holder
132: through hole 133:
134, 343, 641: Pinion gear 135: Slot
136: latching protrusion 114:
140: wire guide 150: cooling pin
160: blower fan 170: thermoelectric element
198: beverage container 199: air duct
240, 440: Lever 241, 342: Drive gear
340: Knob 442: Pin
540: spring 541: hook
640: motor 740: door

Claims (13)

차량의 공조장치로부터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도록 설치되는 공조 덕트(199)에 연결되어, 내부에 공조풍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11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198)를 수용하는 컵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홀더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198)는 상기 공조 덕트(199)를 유동하는 공조풍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컵홀더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전류의 인가에 의해 발열 또는 냉각되는 열전소자(170)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열전소자(170)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부(114)가 구비되고, 상기 열전소자(170)의 일면은 컵홀더부의 측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며 타면에는 냉각핀(150)이 수용부(114)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114)에는 냉각핀(150)의 일 측에 송풍팬(160)이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114) 내의 공기를 공조풍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공(1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A housing (110) connected to an air conditioning duct (199) installed to discharge cold air or warm air blown from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forming an air conditioning air passage therein; And a cup holder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o receive the beverage container 198,
The beverage container 198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part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air 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up holder part, 170)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art 114 for mount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170.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7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up holder part, And a blowing fan 16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oling fin 150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4. The air blowing fan 160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4 to circulate air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4 And an air blowing hole (115) is formed in the air passage.
차량의 공조장치로부터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도록 설치되는 공조 덕트(199)에 연결되어, 내부에 공조풍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11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198)를 수용하는 컵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홀더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198)는 상기 공조 덕트(199)를 유동하는 공조풍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컵홀더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컵홀더(230)와, 상기 제1 컵홀더(23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음료 용기(198)가 수용되는 제2 컵홀더(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컵홀더(130)가 제1 컵홀더(230)로부터 하강 시 내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198)가 공조풍에 노출되도록 제2 컵홀더(130)에 통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컵홀더(230)의 상단에는 반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링 형상의 다이얼(120)이 구비되고, 제2 컵홀더(130)에는 상기 다이얼(120) 측을 향해 연장된 와이어 가이드(140)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140)의 내부에는 상기 다이얼(120)과 제2 컵홀더(130)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형성되어, 상기 다이얼(120)의 회전에 의해 제2 컵홀더(130)가 제1 컵홀더(230)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A housing (110) connected to an air conditioning duct (199) installed to discharge cold air or warm air blown from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forming an air conditioning air passage therein; And a cup holder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o receive the beverage container 198,
The beverage container 198 housed in the cup holder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air conditioning air flowing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The cup holder includes a first cup holder 23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a second cup holder 23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irst cup holder 230 to receive the beverage container 198 therein. 2 cup holder 130,
A through hole 132 is formed in the second cup holder 130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198 housed in the second cup holder 130 when the first cup holder 130 is lowered from the first cup holder 230 is exposed to the air-
A ring-shaped dial 12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up holder 230 so as to be rotatable in a radial direction. A wire guide (not shown) extending toward the dial 120 is provided in the second cup holder 130. A wire connecting the dial 120 and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formed in the wire guide 140 and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ial 120. [ 130) is slid along the first cup holder (23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에는 제1 컵홀더(230)의 상승 시 제1 컵홀더(230)와 공조 덕트(199) 사이의 통로를 폐쇄함과 아울러 제1 컵홀더(230)의 하강 시 제1 컵홀더(230)와 공조 덕트(199) 사이의 통로를 개방하는 도어(7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ssage between the first cup holder 230 and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is closed when the first cup holder 230 rises and the first cup holder 230 is closed when the first cup holder 230 is lowered. And a door (740) for opening a passage between the holder (230) and the air conditioning duct (199) is provide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740)는 제1 컵홀더(230)의 하부에 회전축(7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컵홀더(2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도어(740)를 폐쇄 상태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제1 컵홀더(230)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하부 방향으로 가해질 때 상기 도어(740)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oor 740 is rotat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up holder 230 about a rotation shaft 741 and closes the door 740 when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first cup holder 230 , And the door (740) is opened when an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applied to the first cup holder (230) in a downward direction,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Cup cup holder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컵홀더(130)에 형성된 통공(132)에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메쉬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hrough hole (132) formed in the second cup holder (130) is provided with a mesh memb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KR1020120140768A 2012-12-06 2012-12-06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1019089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768A KR101908957B1 (en) 2012-12-06 2012-12-06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768A KR101908957B1 (en) 2012-12-06 2012-12-06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068A KR20140073068A (en) 2014-06-16
KR101908957B1 true KR101908957B1 (en) 2018-10-17

Family

ID=5112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768A KR101908957B1 (en) 2012-12-06 2012-12-06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9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6313B (en) * 2018-02-10 2024-04-26 东莞禾盈通用零部件有限公司 Liftable saucer
CN113459770B (en) * 2021-07-21 2023-02-24 富诚汽车零部件有限公司 Automobile air conditioner bladeless air outlet part with adjustable air volu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694Y1 (en) * 1995-12-29 1999-08-16 정몽규 Cooling and heating type drink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549U (en) * 1996-12-23 1998-09-25 김영귀 Cup holder of vehicle's console box lid
KR20050031813A (en) * 2003-09-30 2005-04-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utomatically elevating device for the cup holder of motors
KR20090052044A (en) * 2007-11-20 2009-05-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up holder
KR20100060287A (en) * 2008-11-27 2010-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device for vehicle
KR20100138116A (en) * 2009-06-24 2010-12-31 한라공조주식회사 Cooling and heating cabinet for automotive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694Y1 (en) * 1995-12-29 1999-08-16 정몽규 Cooling and heating type drink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068A (en)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434B1 (en) A cooling and heating cabinet device of rear seat for vehicl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KR101592708B1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KR101873857B1 (en) Apparatus of cooling and heating cup for vehicle using separation of cooling and heating
KR101908957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CN208698587U (en) The vehicle-mounted convenient cooling heating article-storage device of one kind and automobile
KR101941056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20120066212A (en) Cooling and heating box of vehicle
KR101344526B1 (en) A cooling and heating cabinet device for vehicles
JP2014092140A (en) Engine cooling apparatus
KR101950751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101534584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20180066452A (en) A vehicle cup holder device us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JP2006145168A (en) Dehumidifying cold air blower
CN208730842U (en) A kind of Vehicular air conditioner air outlet changes in temperature cup holder
KR200331118Y1 (en) Coldness and warmth apparatus using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CN111306647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61727A (en) Thermoelectric HVAC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improving thermal capacity
KR20070033190A (en) Inside structure of refrigerator for car
CN220682232U (en) Storage device and vehicle
CN110887095A (en) Smoke exhaust ventilator
CN110254320A (en) Automatic temperature-adjusting adjusts Automobile cup supporter
CN212907863U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n electric energy store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device
KR102498834B1 (en) Cup holder for both cold and hot storage for automobiles
KR101567443B1 (en) Cup holder of a car
CN219135173U (en) Thermal insulatio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