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452B1 -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452B1
KR101908452B1 KR1020120069573A KR20120069573A KR101908452B1 KR 101908452 B1 KR101908452 B1 KR 101908452B1 KR 1020120069573 A KR1020120069573 A KR 1020120069573A KR 20120069573 A KR20120069573 A KR 20120069573A KR 101908452 B1 KR101908452 B1 KR 101908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s
frame
coupled
cel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118A (ko
Inventor
김태일
김관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9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452B1/ko
Priority to PCT/KR2013/005463 priority patent/WO2014003361A1/en
Publication of KR2014000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나란하게 적층되는 두 개의 전지셀을 셀 프레임에 결합한 후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고, 그 하측에 하부캡을 결합하고 상측에는 두 개의 전지셀의 마주보는 전극탭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들이 전극탭들과 연결되도록 연결 몰드를 결합한 후 그 상측에 상부캡을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두 개의 전지셀들을 결합하여 모듈 형태로 구성하기 용이하며, 전지셀의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고 상호 전기적인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Easy assembling all-in-one secondary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전지셀들을 결합하여 모듈 형태로 구성하기 용이하며, 전지셀의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고 상호 전기적인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여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노트북, 하이브리드카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차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차전지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을 가진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능한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리튬 이온 전지에 주로 사용되는 원통형(cylinder type) 및 각형(prismatic type)을 들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각광받는 리튬 폴리머 전지는 유연성을 지닌 파우치형(pouched type)으로 제조되어서, 그 형상이 비교적 자유롭다.
이러한 파우치형 리튬 폴리머 전지(이하, "파우치형 셀"이라고 함)는 쉽게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외측에 견고한 케이스를 결합하여 파우치형 셀의 낮은 강성을 보강하도록 형성되며,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개의 파우치형 셀을 적층시킨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파우치형 셀은 전극체를 밀봉하는 파우치의 기계적 강성이 우수하지 못하므로 안정한 구조의 전지모듈을 제조하기 위해 파우치형 셀들을 카트리지 등의 팩 케이스에 장착하여 전지모듈을 제조해야 하고, 다수개의 파우치형 셀의 전극탭들이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전지모듈의 크기가 커지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미국등록특허(7794875)인 "Battery module (배터리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US 7794875 B2 (2010.09.1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셀의 낮은 기계적 강성을 보강하면서 중량 및 크기의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전지셀들의 전기적인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전지셀들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은, 일측에 전극탭들이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적층되는 두 개의 전지셀; 상기 두 개의 전지셀 사이에 개재되며, 전지셀들의 전극체가 내측에 안치되는 셀 프레임;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셀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된 전지셀들이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전극탭들이 위치하는 반대측에 결합되는 하부캡; 상기 두 개의 전지셀의 마주보는 전극탭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셀 프레임과 결합되며, 일측에 다수개의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들이 전극탭들과 연결되는 연결 몰드; 및 상기 하부캡이 결합되는 케이스의 개방된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 몰드의 단자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상부캡;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셀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한 쌍의 측면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셀 프레임은 내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체가 개방부에 안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은 양측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전지셀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양측의 파우치가 절곡되어, 상기 전지셀들의 절곡된 파우치가 상기 측면 프레임들의 걸림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양측에 상면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들의 양측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몰드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공에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탭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 몰드의 단자들은 상면에서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지셀들이 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전지셀들의 하측 파우치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은, 셀 프레임에 의해 전지셀이 케이스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컴팩트한 케이스 내에 전지셀들이 고정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전지셀의 전극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모듈형태로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및 셀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방향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프레임과 연결 몰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캡과 연결 몰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5의 AA', BB', CC', DD'방향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캡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1000)은, 일측에 전극탭(120)들이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적층되는 두 개의 전지셀(100); 상기 두 개의 전지셀(100) 사이에 개재되며, 전지셀(100)들의 전극체(110)가 내측에 안치되는 셀 프레임(200);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셀 프레임(200)의 양측에 결합된 전지셀(100)들이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300); 상기 케이스(300)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전극탭(120)들이 위치하는 반대측에 결합되는 하부캡(400); 상기 두 개의 전지셀(100)의 마주보는 전극탭(12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셀 프레임(200)과 결합되며, 일측에 다수개의 단자(510)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510)들이 전극탭(120)들과 연결되는 연결 몰드(500); 및 상기 하부캡(400)이 결합되는 케이스(300)의 개방된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 몰드(500)의 단자(510)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개부(610)가 형성되는 상부캡(600); 을 포함한다.
우선, 전지셀(100)은 도 1과 같이 전극체(110)의 일측에 전극탭(120)이 형성된다. 전극체(110)는 양극, 음극, 전해질 및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는 격리판으로 구성되어 전기가 충전 및 방전되는 부분이며, 전극탭(120)은 전극체(110)에서 방전시 발생되거나 외부로부터 충전시 유입되는 전류를 전달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전지셀(100)은 파우치(130)로 둘러싸여 밀봉된 파우치형 셀이거나 파우치형 셀의 외측에 외장부재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파우치(130)에 의해 밀봉된 전극체(110)가 파우치(130)를 중심으로 일측면으로만 돌출된 형태이거나, 양측면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두 개의 전지셀(100)은 전극탭(120)이 마주보도록 서로 나란하게 적층되며, 전극체(110)가 파우치(130)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형태일 경우, 전극체(110)가 돌출된 측이 서로 맞닿도록 적층되어 두 개의 전지셀(100)의 파우치(130)가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적층된다. 즉, 두 개의 전지셀(100)의 전극탭(120)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고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전지셀(100)들이 적층된다.
여기에서 도 1 및 2와 같이 두 개의 전지셀(100) 사이에 셀 프레임(200)이 개재되어 밀착되도록 적층된다. 이때, 셀 프레임(200)은 상부 프레임(210), 한 쌍의 측면 프레임(220) 및 하부 프레임(230)으로 구성되어, 이 프레임(210,220,230)들에 의해 내측에 개방부(201)가 형성되며, 개방부(201)에 전지셀(100)들의 전극체(110) 부분이 안치도록 결합된다. 즉, 셀 프레임(200)의 개방부(201)에 전지셀(100)들의 전극체가 안치되고, 전지셀(100)들의 파우치(130) 테두리 부분이 셀 프레임(200)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셀 프레임(200)의 양측에 두 개의 전지셀(100)이 결합된 후 절연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그 외측을 감싸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두 개의 전지셀(100)과 셀 프레임(20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케이스(300)에 삽입되어 수용되며, 케이스(300)는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300)는 0.1mm 내지 1.0mm 두께의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폭 방향 양면의 중앙부가 케이스(300)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이거나 내측으로 함몰된 다수개의 그루브(홈)가 형성되어 케이스(300) 내에 수용된 두 개의 전지셀(100)과 셀 프레임(200)을 밀착시킬 수 있다.
하부캡(400)은 내부가 중공되어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전지셀(100)이 케이스(3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지셀(100)들의 전극탭(120)들이 위치하는 반대측에 케이스(300)의 개방된 부분에 결합된다. 즉, 하부캡(400)은 캡 타입으로 형성되어 케이스(300)의 개방된 하측이 하부캡(400)의 중공된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케이스(300)의 하측이 밀폐된다.
이때, 전지셀(100)들은 케이스(30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부캡(400)이 결합되었을 때 전극탭(120)들이 케이스(300)의 상측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는 것이 용접을 이용하여 전극탭(12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용이하므로, 케이스(300)를 전지셀(100) 보다 약간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두 개의 전지셀(100)의 마주보는 전극탭(120) 사이에 다수개의 단자(510)가 형성된 연결 몰드(500)가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단자(510)들은 전극탭(120)들과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연결 몰드(500)는 두 개의 전지셀(100)의 마주보는 전극탭(120)들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셀 프레임(200)과 결합되어 내측을 지지하므로, 전극탭(120)을 측면에서 연결 몰드(500)의 폭 방향으로 누른 후 단자(510)들과 용접하기 용이하게 하며, 전극탭(120)에 연결되는 단자(510)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부캡(600)은 연결 몰드(500)와 전극탭(120)들을 감싸도록 그 상측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고 하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케이스(300)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몰드(500)의 단자(510)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개부(610)가 형성되어 상부캡(600)이 결합된 후 단자(510)들이 외부 회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은, 셀 프레임에 전지셀들이 고정된 후 케이스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되고, 컴팩트한 케이스 내에 전지셀들이 고정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전지셀의 전극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모듈형태로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셀 프레임 내측에 전지셀의 전극체 부분이 안치되어 고정되므로, 전지셀에서 강도가 약한 파우치 테두리 부분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극체 부분이 셀 프레임의 내측에 안치되므로. 셀 프레임이 전지셀 전극체 부분의 치수 공차를 흡수할 수 있어 케이스 또는 연결 몰드 등과의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전지셀(100)은 양극탭(120a)과 음극탭(120b)이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되고, 단자(510)가 양극 단자(511), 음극 단자(512) 및 전압센싱 단자(51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과 같이 양극 단자(511)는 연결 몰드(500)의 상면에서 일측면으로 절곡 형성되고, 음극 단자(512)는 연결 몰드(500)의 상면에서 타측면으로 절곡 형성되며, 전압센싱 단자(513)는 상기 연결 몰드(500)의 상면에서 양측면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극 단자(511)는 제1전지셀(100a)의 양극탭(120a)에 연결되고, 음극 단자(512)는 제2전지셀(100b)의 음극탭(120b)에 연결되며, 전압센싱 단자(513)는 제1전지셀(100a)의 음극탭(120b) 및 제2전지셀(100b)의 양극탭(120a)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두 개의 전지셀(100)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양극 단자(511)와 음극 단자(512)가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출력 단자가 되고, 전압센싱 단자(513)는 각각 양극 단자(511) 및 음극 단자(512)와 별도의 보호회로를 통해 연결되어 각 전지셀(100a,100b)의 전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전지셀(100)을 병렬로 연결하기 위해 전지셀(100)들의 극성이 같은 전극탭(120)이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되어, 제1전지셀(100a) 및 제2전지셀(100b)의 양극탭(120a)들이 양극 단자(511)에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음극탭(120b)들은 음극 단자(512)에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두 개의 전지셀(100)은 같은 극성의 전극탭(120)이 마주보도록 적층되므로, 양극 단자(511)는 연결 몰드(500)의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음극 단자(512)는 연결 몰드(500)의 길이 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두 개의 전지셀(100)이 병렬로 연결되어 양극 단자(511)와 음극 단자(512)가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출력 단자의 역할과, 별도의 보호회로를 통해 연결되는 전압센싱 단자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220)은 양측에 걸림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전지셀(100)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양측의 파우치(130)가 절곡되어, 상기 전지셀(100)들의 절곡된 파우치(130)가 상기 측면 프레임(220)들의 걸림홈(221)에 각각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전지셀(100)들의 길이 방향 양측의 파우치(130) 테두리 부분이 절곡되되 두 개의 전지셀(10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며, 측면 프레임(220)은 폭 방향 양측에 걸림홈(221)이 형성되어 단면이 H자 형상이 되고, 두 개의 전지셀(100)의 양측 파우치(130) 테두리 부분이 측면 프레임(220)의 걸림홈(221)에 삽입되고 전극체(110)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220) 사이에 안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지셀(100)들이 셀 프레임(2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210)은 양측에 상면이 개방된 중공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211)들의 양측면에는 결합공(21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몰드(500)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210)의 중공부(211)에 삽입되어 결합공(212)에 결합되는 후크(5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부 프레임(210)과 연결 몰드(5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며, 연결 몰드(500)를 전지셀(100)들의 서로 마주보는 전극탭(120) 사이에 삽입한 후 상부 프레임(210)에 압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셀(100)들의 전극탭(120)은 상기 상부 프레임(21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 몰드(500)의 단자(510)들은 상면에서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전지셀(100)들의 마주보는 전극탭(120) 사이로 연결 몰드(500)를 삽입하여 결합하면, 단자(510)들의 절곡된 측면과 전지셀(100)들의 전극탭(120)이 겹쳐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폭 방향 양측에서 용접에 의해 전극탭(120)과 단자(510)를 연결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전지셀(100)들이 셀 프레임(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프레임(220)은 상기 전지셀(100)들의 하측 파우치(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전지셀(100)들의 하측 파우치(130)보다 측면 프레임(220)의 하측이 길게 형성되면, 전지셀(100)의 전극체(110)가 하부 프레임(230)에 걸린 상태에서 파우치(130) 부분이 하부캡(400)에 닿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전지셀(100)들의 하측 파우치(13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몰드(500)는 폭 방향 양측면의 중앙에 한 쌍의 가이드판(55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10) 및 두 개의 전지셀(100)의 파우치(130)가 상기 가이드판(55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9b와 같이 전지셀(100)들의 마주보는 전극탭(120) 사이에 연결 몰드(500)를 삽입하였을 때 전지셀(100)들의 파우치(130)부분이 한 쌍의 가이드판(550)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전극탭(120)들이 단자(51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어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몰드(500)는 길이 방향 양측에 너트(570)가 삽입되는 삽입홈(560) 및 관통공(561)이 형성되고, 상부캡(600)은 길이 방향 양측에 관통공(561)에 대응되는 고정공(620)이 형성되어, 상부캡(600)의 외측에서 볼트(571)로 너트(57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 몰드(500)는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 8과 같이 금속재질의 너트(570)를 삽입홈(560)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부캡(600)을 덮어 결합한 후 외측에서 볼트(571)를 이용하여 고정공(620)과 관통공(561)을 통과하여 너트(570)에 체결하여 상부캡(600)이 연결 몰드(5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몰드(500) 및 상부캡(600)은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캡(40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캡(400)은 전지셀(100)들 셀 프레임(200) 및 케이스(300)와의 고정을 위해 하부캡(400)의 내측에 핫멜트 등의 용융된 수지 및 접착제 등을 도포 할 수 있으며, 케이스(300)의 하측에 결합된 후 용융 수지 및 접착제 등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41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 몰드(500)는 폭 방향 양측면의 중앙에 함몰된 가스 포집부가 형성되고, 연결 몰드(500)는 가스 포집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가스 배출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캡(600)에는 가스 배출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전지셀(100)의 이상으로 인한 가스 발생시 전지셀(100)들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가스를 포집하여 가스 배출관을 통해 이차전지모듈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캡(600)의 폭 방향 양측면에는 돌기(630) 및 홈(640)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이차전지모듈을 적층하여 전지팩을 구성할 때 결합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이차전지모듈
100 : 전지셀
100a : 제1전지셀 100b : 제2전지셀
110 : 전극체 120 : 전극탭
120a : 양극탭 120b : 음극탭
130 : 파우치
200 : 셀 프레임 201 : 개방부
210 : 상부 프레임
211 : 중공부 212 : 결합공
220 : 측면 프레임 221 : 걸림홈
230 : 하부 프레임
300 : 케이스
400 : 하부캡 410 : 주입구
500 : 연결 몰드
510 : 단자 511 : 양극 단자
512 : 음극 단자 513 : 전압센싱 단자
540 : 후크 541 : 가이드
550 : 가이드판 560 : 삽입홈
561 : 관통공
570 : 너트 571 : 볼트
600 : 상부캡
610 : 절개부 620 : 고정공
630 : 돌기 640 : 홈

Claims (6)

  1. 일측에 전극탭들이 형성되며, 적층되는 두 개의 전지셀;
    상기 두 개의 전지셀 사이에 개재되며, 전지셀들의 전극체가 안치되는 셀 프레임;
    상기 셀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된 전지셀들이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두 개의 전지셀의 마주보는 전극탭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셀 프레임과 결합되며, 다수개의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들이 전극탭들과 연결되는 연결 몰드; 및
    전극탭이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 몰드의 단자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상부캡; 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단자는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극탭은 상기 절곡된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한 쌍의 측면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셀 프레임은 내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체가 개방부에 안치되는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은 양측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전지셀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양측의 파우치가 절곡되어, 상기 전지셀들의 절곡된 파우치가 상기 측면 프레임들의 걸림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양측에 상면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들의 양측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몰드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공에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되는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탭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 몰드의 단자들은 상면에서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 절곡 형성되는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들이 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전지셀들의 하측 파우치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KR1020120069573A 2012-06-28 2012-06-28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KR101908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573A KR101908452B1 (ko) 2012-06-28 2012-06-28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PCT/KR2013/005463 WO2014003361A1 (en) 2012-06-28 2013-06-20 Easily assembled all-in-one secondary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573A KR101908452B1 (ko) 2012-06-28 2012-06-28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118A KR20140002118A (ko) 2014-01-08
KR101908452B1 true KR101908452B1 (ko) 2018-10-17

Family

ID=4978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573A KR101908452B1 (ko) 2012-06-28 2012-06-28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8452B1 (ko)
WO (1) WO20140033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2785B2 (en) 2019-12-12 2022-05-03 Hyundai Motor Company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888B1 (ko) * 2014-04-09 2021-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KR102210460B1 (ko) 2014-04-24 2021-02-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배터리 셀 조립체
EP2993716B1 (en) * 2014-08-14 2017-12-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having cap plate coupled to electrode lead
CN106972144B (zh) * 2016-01-14 2023-03-1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KR102248230B1 (ko) * 2017-12-07 2021-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7703A1 (en) 2008-06-20 2009-12-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20120034514A1 (en) 2010-08-09 2012-02-09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10B1 (ko) * 2006-02-09 2009-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제조용 프레임 부재
KR101082860B1 (ko) * 2008-10-14 2011-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팩
KR101222397B1 (ko) * 2010-06-08 2013-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7703A1 (en) 2008-06-20 2009-12-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20120034514A1 (en) 2010-08-09 2012-02-09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2785B2 (en) 2019-12-12 2022-05-03 Hyundai Motor Company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3361A1 (en) 2014-01-03
KR20140002118A (ko)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199B1 (ko) 이차 전지
JP2020518988A (ja) バスバーアセンブリー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US9741984B2 (en) Battery module of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0922468B1 (ko) 배터리 팩
KR100898691B1 (ko) 이차전지
KR102122930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1908452B1 (ko)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이차전지모듈
EP2645453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305218B1 (ko) 중공 구조의 고정부재와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20090269620A1 (en) Battery pack
KR100846972B1 (ko) 이차전지의 외장케이스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806994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60012021A (ko) 단위전지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117076B1 (ko)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KR20140102423A (ko) 배터리 셀 전극탭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908583B1 (ko) 가스 포집 및 배출이 용이한 이차전지모듈
KR101908587B1 (ko) 조립이 용이한 이차전지모듈
KR101472882B1 (ko) 셀 커버 체결부 및 수납부 체결부를 포함하는 구조의 전지모듈
KR20210095388A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전지 셀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8587B1 (ko)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981255B1 (ko) 프레임을 갖는 배터리 셀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3261B1 (ko) 배터리 셀 탭 연결 파티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KR20130051035A (ko) 프레임을 갖는 배터리 셀 및 그 제조 방법
KR200473443Y1 (ko) 홀더와 커버케이스가 일체로 형성된 결합구조가 단순화된 배터리팩
EP4148846A1 (en) Battery cell having protective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