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081B1 -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 - Google Patents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081B1
KR101908081B1 KR1020170184901A KR20170184901A KR101908081B1 KR 101908081 B1 KR101908081 B1 KR 101908081B1 KR 1020170184901 A KR1020170184901 A KR 1020170184901A KR 20170184901 A KR20170184901 A KR 20170184901A KR 101908081 B1 KR101908081 B1 KR 10190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dhesive
coating composition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택
Original Assignee
한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규택 filed Critical 한규택
Priority to KR102017018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재 및 비철금속 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방식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한 도료와 상기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보호를 위한 시트가 부착되는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Sheet Protected Coating)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민, 실리콘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6~15 중량부의 경화제와; Al2O3, 아연(Zn), 바나듐(V), 실리카(SiO2) 니켈(Ni)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0.091~1.855 중량부의 첨가제; 및 프탈산 무수물(phthalic anhydride) 또는 말레산(maleic acide)으로 이루어진 0.01~0.05 중량부의 촉매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ADHESION WATERPROOF AND ANTI-CORROSION COATING COMPOSITION AND SPC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Sheet Protected Coating)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재 및 비철금속 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방식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한 도료와 상기 도료가 도포되어 형성된 도막의 보호를 위한 시트가 부착되는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 및 비철금속 구조물은 대부분 대기를 포함한 부식환경에 노출되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부식 인자로부터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표면을 방수, 방식처리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철재, 비철금속표면에 에폭시계, 세라믹계, 폴리우레탄계, 비닐에스테르계, 불소수지계, 아크릴고무계, 폴리우레아계, 염화고무계 등의 도료를 이용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 무기계질 도료는 초기 성능은 우수하지만 표면의 상태 및 열팽창계수, 신장율, 균열저항성 등의 변형특성이 적용재인 철재, 비철금속 및 콘크리트 등과 큰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시간이 경과에 따라 형성된 도막이 부풀거나, 균열이 발생하거나, 탈락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도막식 방수, 방식제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내구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타일부착, 판넬부착, 고정시트의 부착 등 재료를 표면에 부착하는 공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부착재를 피착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앵커 볼트 등 기계적 고정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정구에 의해 손상된 부위를 통하여 누수 및 발생하게 되며,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재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접착제 자체의 방수성과 방식성이 없기 때문에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부착식의 최대 단점인 이음부분의 누수 및 밀봉결함과 모재와의 부착력 저하에 따른 탈락, 패널 및 고정시트의 모재와의 틈새에서 발생하는 결로, 습기, 수분의 침투에 의한 부식, 재료의 깨짐 등에 의한 손상으로 빈번한 하자 발생으로 막대한 보수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부착식 방수, 방식제의 경우 초기 투입비용이 도막식에 비해서 3~5배에 달하나, 초기 투입비용 대비 내구성능이 보장되지 않아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0489373호 "비부착식 에폭시 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시트 정착장치" (등록일자 : 2005.05.03.) 2. 한국 등록특허 제10-1103880호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강재의 방식을 위한 접착성 방청 도료 및 그 시공방법" (등록일자 : 2012.01.02.)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수성, 내식성, 부착성, 균열저항성, 신장성이 우수한 도료의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에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호층으로 보호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종래 도막에 의한 방수, 방식 및 판넬, 시트 등의 부착에 의한 방수, 방식공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경제성을 갖춘 우수한 내구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민, 실리콘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6~15 중량부의 경화제와; Al2O3, 아연(Zn), 바나듐(V), 실리카(SiO2) 니켈(Ni)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0.091~1.855 중량부의 첨가제; 및 프탈산 무수물(phthalic anhydride) 또는 말레산(maleic acide)으로 이루어진 0.01~0.05 중량부의 촉매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SPC 공법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민, 실리콘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6~15 중량부의 경화제와; Al2O3, 아연(Zn), 바나듐(V), 실리카(SiO2) 니켈(Ni)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0.091~1.855 중량부의 첨가제; 및 프탈산 무수물(phthalic anhydride) 또는 말레산(maleic acide)으로 이루어진 0.01~0.05 중량부의 촉매제가 포함된 도료 조성물이 피착물에 도포되어져 도막이 형성되며; 상기 피착물에 형성된 도막 상에 보호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은 피착물에 도포된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이 피착물과 일체화되어 치밀한 방수 및 방식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에 의해 형성된 접착성을 갖는 도막에 직접 보호시트를 부착하여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경제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시트 부착식 공법 도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과 다양한 보호시트와의 접착부의 평균 랩 전단강도 도표.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 결합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과 다양한 보호시트와의 접착부의 평균 랩 전단강도 도표이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은 철재 구조물, 비철금속재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피착물(21)에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이 도포되어 도막(23)이 형성되고, 상기 도막(23) 상에 상기 도막(23)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트(25)가 접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은 부착력 및 도막의 내구성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가 주재료로 사용되며, 상기 에폭시 수지는 널리 공지되었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의 접착 성능을 높이기 위해 전체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6~15 중량부의 경화제가 포함되며, 상기 에폭시 수지의 내굴곡성, 내마모성, 균열저항성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전체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91~1.855 중량부의 첨가제가 포함되며, 도막의 기계적/물리적 성질(부착강도, 내굴곡성, 중성화 저항성 등)을 높이고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전체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0.05 중량부의 촉매제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상기 에폭시 수지의 접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아민(polyamine), 실리콘 수지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2~3: 3~7.5: 1.8~4.5 중량부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전체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6~15 중량부가 사용되는데, 상기 경화제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6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 성능이 저하되어 상기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이 경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상기 경화제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경화제가 첨가되어 불필요한 제조원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도막의 기계적/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첨가제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91 중량부 미만이면 내굴곡성, 내마모성, 균열저항성이 저하되며, 상기 첨가제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855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첨가제가 첨가되어 불필요한 제조원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1.03 중량부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해, 폴리아마이드 1.2~3 중량부, 폴리아민 3~7.5 중량부, 실리콘 수지 1.8~4.5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마이드 2.0 중량부, 폴리아민 5.5 중량부, 실리콘 수지 3.5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폴리아마이드가 1.2 중량부 미만이면 도막의 인장력이 저하되어 도막의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며, 상기 폴리아마이드가 3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도막의 시공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상기 폴리아민이 3 중량부 미만이면 도막의 경화 속도가 저하되거나 저온에서 미경화가 발생하며, 상기 폴리아민이 7.5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의 경화가 너무 급속히 일어나서 가경화(tack free)되기 전에 도막의 표면이 경화되어 도막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의 부착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상기 실리콘 수지가 1.8 중량부 미만이면 도막의 연성이 취약해져서 도막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 수지가 4.5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의 경도가 너무 저하되어, 도막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의 부착시 시트의 처짐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Al2O3 0.01~0.5 중량부, 아연(Zn) 0.02~1.0 중량부, 바나듐(V) 0.001~0.005 중량부, 실리카(SiO2) 0.05~0.3 중량부, 니켈(Ni) 0.01~0.05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Al2O3는 상기 에폭시 수지의 방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Al2O3가 0.01 중량부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 방청성이 저하되며, 상기 Al2O3가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도한 사용에 의해 다른 재료와의 트러블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연은 도막의 산화방지를 위해 사용되며, 상기 아연이 0.02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 효과가 저하되며, 상기 아연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산화방지 효과가 큰 차이가 없어 불필요한 제조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바나듐은 도막의 산화방지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아연과 상호 보완하는 역활을 하며, 상기 바나듐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도막의 산화를 방지하지 못하며, 상기 바나듐이 0.005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료가격이 너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실리카는 분산제(lubilizer), 윤활제(Lubricants), 보수성향상제(Water retention agents), 점도조절제, 기포조절제, 및 방부제의 역활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전재로서, 상기 실리카가 0.05 중량부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 도료형성에 어려움이 있으며, 상기 실리카가 0.3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료가격이 너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니켈은 도막의 부식방지 및 도막의 강도 강화를 위해 사용되며, 상기 니켈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도막이 부식되고 도막의 강도가 저하되며, 상기 니켈이 0.05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니켈이 첨가되어 불필요한 제조원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Al2O3 0.25 중량부, 아연(Zn) 0.6 중량부, 바나듐(V) 0.005 중량부, 실리카(SiO2) 0.15 중량부, 니켈(Ni) 0.025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촉매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의 화학 반응을 촉진시키고 상기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기계적/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촉매제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중량부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 촉매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상기 촉매제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5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촉매제가 첨가되어 불필요한 제조원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상기 촉매제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촉매제로는 프탈산 무수물(phthalic anhydride) 또는 말레산(maleic acide)이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23)은 피착물(21)에 1회 도포시 30㎛~150㎛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상기 도막의 두께가 30㎛ 미만이면 도막의 접착성이 저하되며, 상기 도막의 두께가 150㎛를 초과하면 상기 도막의 자중으로 인해 도막이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가 도포되어 형성된 도막은 적용 목적에 따라 2~5회 반복하여 도포될 수 있다.
또한편, 상기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된 도막(23)이 상기 피착물(21) 상에 형성된 후, 상기 도막(23)이 경화되기 전의 가경화 상태에서 상기 도막(23)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막(23) 상에 보호시트(25)가 부착되어 보호층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호시트(25)의 재료로는 목재, 석재, PE, PU, PS, PC, 아크릴 등의 유기, 무기 합성물 또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 크롬강판, 도금강판 등의 금속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시트(25)의 초기 가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보호시트(25)의 코너 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상기 접착제는 가부착용 접착제이므로 구조용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이 도포되어 피착물(21) 상에 형성되어질 도막(23)은 상기 피착물(21)의 피착면이 습한 환경이어서 상기 피착물(21)에 도포되어질 도막(23)이 흘러내릴 염려가 있거나, 대기의 온도가 차가워서 상기 도막(23)의 경화가 어려울 경우에는, 상기 도막(23)이 상기 피착물(21) 상에와 상기 보호시트(25)의 일측 상에 나뉘어 도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은 하기의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제조를 하여 실험을 하였다.
주성분 함량 세부성분 함량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 -

경화제

10 중량부
폴리아민 5.5 중량부
실리콘 수지 3.5 중량부
폴리아마이드 2.0 중량부


첨가제



1.03 중량부

Al2O3 0.25 중량부
아연(Z) 0.6 중량부
바나듐(V) 0.005 중량부
실리카(SiO2) 0.3 중량부
니켈(Ni) 0.025 중량부
촉매제
0.05 중량부
프탈산 무수물 0.025 중량부
말레산 0.025 중량부
상기 표 1에 따라 조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은 하기의 표 2 및 표 3과 같은 물성변화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시험항목 단위 품질기준 결과치 시험 방법


부착강도

표준 양생 후

N/㎟



1.0 이상

2.6

KS F 4936 : 08
콘크리트 보호용 도막재


촉진 내후성 후 1.8
온/냉 반복 후 2.2
내알카리성 후 2.3
내염수성 후 2.3

균열대응성
-20℃
-
잔갈림 및 파단
되지 않을 것
이상없음
20℃ 이상없음
촉진 내우성 시험 후 이상없음
내흡수성(물흡수 계수) kg/(㎡ㆍh0.5) - 0.0 BS EN 1062-3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은 기준치를 상회하는 매우 우수한 부착강도 및 균열대응성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은 내흡수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내흡수성에 대한 테스트는 상기 표 1에 따라 조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시간 경과에 따른 측정을 실시하였다.
1) 내흡수성(물 흡수계수)측정
도막 자체가 수분을 흡수하여 내구성능이 저하되는 지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막을 시편에 도포한 후 BS EN 1062-3의 시험 규격에 따라 물흡수 성능을 측정한 결과,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물흡수계수는 0.0 kg/(㎡ㆍh0.5)으로 나타나서, 상기 도막이 전혀 수분을 흡수하지 않았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막은 습한 환경에서도 도막의 변형없이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Figure 112018000335015-pat00006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은 부착력,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 균열대응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부착력,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 균열대응성에 대한 테스트는 상기 표 1에 따라 조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시간 경과에 따른 측정을 실시하였다.
1) 부착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을 시편에 도포한 후 KS F 4936 규격에 따른 부착력 시험 방법에 따라 부착력을 시험한 결과, 상기 도막의 부착력은 일반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부착력인 1.62 N/㎟를 상회하는 2.65 N/㎟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2)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을 시편에 도포한 후 KS F 4936 시험방법에 따라 상기 시편에 10볼트의 직류전압을 가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상기 시편 내부의 염분 농도를 염분측정기로 측정한 결과, 도막 처리를 하지 않은 무도포 시편의 경우 318.5 쿨롬(coulomb)으로 나타났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도막이 형성된 시편의 경우 186.0 쿨롬으로 나타나서, 상기 도막이 형성된 표면은 매우 우수한 염분 침투 방지 능력 및 방수 및 방식 성능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3) 균열대응성
구조물이 거동(擧動) 및 미세균열 발생시 도막의 성능 유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하여 KS F 4936 시험 규격에 의하여 다양한 극한 상황을 설정하여 시험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막은 -20℃, 20℃, 촉진 내후성 시험 후에도 잔갈림 및 파단되지 않는 것으로 측정되어, 상기 도막의 기계적/물리적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막과 다양한 보호시트와의 접착부의 평균 랩 전단강도(lap shear strength)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1에 따라 조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에 의해 형성된 모막을 도포 후 가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보호시트를 부착하고 접착성능을 테스트한 결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접착성능 테스트는 ISO 4087의 시험 규격에 따른 "일반적인 접합부의 평균 랩 전단강도" 측정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도막의 가경화(tack free) 상태에서 보호시트를 부착하고 상온에서 16시간 경과한 후, 23℃에서 측정하였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표 1에 따라 조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과 가용가능한 보호시트 간의 접착력이 매우 높게 나타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을 적용하여 보호시트를 부착시킬 시에 우수한 접착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은 피착물에 도포된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이 피착물과 일체화되어 치밀한 방수 및 방식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접착성을 갖는 도막에 직접 보호시트를 부착하여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경제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 피착물 23: 도막
25: 부착시트

Claims (5)

  1. 에폭시 수지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민, 실리콘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6~15 중량부의 경화제와;
    Al2O3, 아연(Zn), 바나듐(V), 실리카(SiO2) 니켈(Ni)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0.091~1.855 중량부의 첨가제; 및
    프탈산 무수물(phthalic anhydride) 또는 말레산(maleic acid)으로 이루어진 0.01~0.05 중량부의 촉매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아마이드 1.2~3 중량부, 폴리아민 3~7.5 중량부, 실리콘 수지 1.8~4.5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첨가제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Al2O3 0.01~0.5 중량부, 아연(Zn) 0.02~1.0 중량부, 바나듐(V) 0.001~0.005 중량부, 실리카(SiO2) 0.05~0.3 중량부, 니켈(Ni) 0.01~0.05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이 피착물(21)에 도포되어져 도막(23)이 형성되며;
    상기 피착물(21)에 형성된 도막(23) 상에 보호시트(25)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SPC 공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막(23)은 피착물(21)에 1회 도포시 30㎛~1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SPC 공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25)는 상기 도막(23)이 상기 피착물(21)에 형성된 후, 상기 도막(23)이 경화되기 전의 가경화(tack free) 상태에서 부착되며;
    상기 보호시트(25)는 목재, 석재, PE, PU, PC, 아크릴, PVC, 폴리아마이드, ABS, 구리, 강철, 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되며;
    상기 보호시트(25)의 초기 가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보호시트(25)의 코너 부분에 가부착용 접착제로 구조용 접착제가 더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SPC 공법.
KR1020170184901A 2017-12-29 2017-12-29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 KR101908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901A KR101908081B1 (ko) 2017-12-29 2017-12-29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901A KR101908081B1 (ko) 2017-12-29 2017-12-29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081B1 true KR101908081B1 (ko) 2018-12-18

Family

ID=6495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901A KR101908081B1 (ko) 2017-12-29 2017-12-29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0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1821A (en) 1980-12-25 1983-12-20 The Toyo Rubber Industry Company, Limited Corrosion resistant tire rim
KR101410386B1 (ko) 2013-01-15 2014-06-20 건설화학공업 주식회사 구도막 수용성 무기질 징크 도료 및 철 구조물 도장 등을 위한 수용성 에폭시 방청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1821A (en) 1980-12-25 1983-12-20 The Toyo Rubber Industry Company, Limited Corrosion resistant tire rim
KR101410386B1 (ko) 2013-01-15 2014-06-20 건설화학공업 주식회사 구도막 수용성 무기질 징크 도료 및 철 구조물 도장 등을 위한 수용성 에폭시 방청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7829A (en) Liquid coatings for bridge deckings and the like
EP2449043B1 (en) Polyurethane-acrylic polymer dispersions and uses thereof
KR101512965B1 (ko) 친환경 표면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표면 보호공법
KR20150056563A (ko) 중공 유리 구체 및 도전성 안료를 포함하는 부식 방지 아연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
KR101451974B1 (ko) 염해 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93762B1 (ko) 속건성 충진보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보수공법
KR101893380B1 (ko) 열악한 환경하의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보호용 친환경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마감 공법
US20100028690A1 (en) High-Temperature Non-Skid Coating Composition
KR100503561B1 (ko) 철재 구조물의 부식 방지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화알루미늄 피막 접착공법
JP5283308B2 (ja) 水系ウレタンセメント組成物
KR101876888B1 (ko) 내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강재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 구조물의 방식 도장 방법
KR101096989B1 (ko) 접착강도와 연신율이 뛰어난 샌드위치판넬용 2액형 타일 접착제
JP2015081325A (ja) 水系ポリウレタン組成物及びこれの床下地コンクリートへの施工方法
KR101799511B1 (ko) 내후성이 우수한 강재 도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 구조물의 보호도장방법
KR101908081B1 (ko) 접착성 방수 및 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c 공법
KR101440349B1 (ko) 셀프-힐링 강구조물 도장공법
JP6659385B2 (ja) 水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及びこれによる床構造
KR101965224B1 (ko) 교면 방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 공법
RU2351624C1 (ru)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защитного антикоррозионного покрытия барьерного типа
KR101625511B1 (ko) 친환경 수용성 도장재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2164899B1 (ko) 강재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도장방법
KR100247470B1 (ko) 클로로프렌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980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친환경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마감 방법
KR910002573B1 (ko)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CN112760004A (zh) 环保疏水耐湿型冷喷锌封闭剂及其施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