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080B1 -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080B1
KR101908080B1 KR1020180006831A KR20180006831A KR101908080B1 KR 101908080 B1 KR101908080 B1 KR 101908080B1 KR 1020180006831 A KR1020180006831 A KR 1020180006831A KR 20180006831 A KR20180006831 A KR 20180006831A KR 101908080 B1 KR101908080 B1 KR 101908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anel
buffer
groov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택
Original Assignee
이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택 filed Critical 이영택
Priority to KR1020180006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건물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난방용 배관이 매립된 바닥층부와 상기 바닥층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외벽부로 이루어진 구조물본체에 설치되는 바닥구조로서, 상기 바닥층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입홈들과, 상기 인입홈에 배치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지지스프링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입완충패널로 이루어진 인입탄성지지부와, 상기 바닥층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작동홈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바닥층부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인입홈에 끼움되어 상기 인입완충패널과 상기 지지스프링을 가압하는 승강봉이 형성된 작동케이싱과, 상기 작동케이싱의 작동홈에 배치되는 충격완충수단과, 상기 충격완충수단 상부에 배치되는 완충패널과, 상기 완충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소음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충격에 따른 진동을 완화시켜 내진성을 갖게 됨과 아울러 단열이 되도록 하고,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Earthquake-proof floor structure for multi-story buildings with shock absorbing means}
본 발명은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층부와 외벽부로 이루어진 구조물본체에 충격완충수단이 마련된 작동케이싱을 설치하고, 작동케이싱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도록 인입탄성지지부를 마련하여, 소음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충격에 따른 진동을 완화시켜 내진 성능을 갖게 됨과 아울러 단열이 되도록 하고,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대부분의 아파트, 주상복합, 다세대주택과 같은 공동 주택에서는 상부층 바닥에서 거주자가 보행하거나 뛰는 경우 바닥이 진동하여 바닥 충격음이 발생한다.
상기 바닥 충격음은 극히 일부만이 감쇄된 채 바닥을 통해 그대로 하부층에 전달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바닥 충격음은 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경량 충격음과, 반대로 비교적 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중량 충격음으로 구분된다. 즉, 조그마한 물건의 낙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주파수 대역의 음으로 이루어진 경량 충격음과, 무거운 물건의 낙하나 성인의 보행, 어린이의 달리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저주파수 대역의 음으로 이루어진 중량 충격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건축물은 그 시공 과정에서 이러한 충격음을 감쇄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흡음재가 설치된다.
그러나, 기존의 흡음재는 주로 경량 충격음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중량 충격음의 발생이 많은 우리나라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을 형성한 후 난방용 배관을 설치하고 마감몰탈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소음 감쇄보다는 단열 기능이 주요 목적으로서 소음 감쇄 역할이 미미하여 소음 및 진동 발생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건축물에는 흡음재 이외에도 열전도율이 낮은 부재를 통한 단열을 고려하여 각종의 단열재 등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녹음실, 극장, 발전소 등의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공간 등에서는 흡음시설이나 차음시설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만큼 시설의 설계 및 시공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흡음재, 차음재, 단열재, 충격흡수재 등의 건축자재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흡음재, 차음재, 단열재들의 각각의 건축자재의 명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음, 차음, 단열, 충격흡수 중 어느 한 측면의 성능만이 우수하도록 설계 및 제조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을 설계 및 시공하는 과정에서보다 간단한 시공과 보다 적은 설치공간을 차지하면서 흡음, 차음, 단열, 외부충격의 흡수력 등의 측면에서 골고루 우수한 성능을 지닌 건축부재의 공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998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05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층부와 외벽부로 이루어진 구조물본체에 충격완충수단이 마련된 작동케이싱을 설치하고, 작동케이싱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도록 인입탄성지지부를 마련하여, 소음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충격에 따른 진동을 완화시켜 내진성을 갖제 됨과 아울러 단열이 되도록 하고,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충격완충수단이 마련된 방음 및 방진기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진 등의 경우에 작용되는 충격과 진동을 완충할 수 있는 바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층건물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난방용 배관이 매립된 바닥층부와 상기 바닥층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외벽부로 이루어진 구조물본체에 설치되는 바닥구조로서, 상기 바닥층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입홈들과, 상기 인입홈에 배치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지지스프링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입완충패널로 이루어진 인입탄성지지부와, 상기 바닥층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작동홈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바닥층부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인입홈에 끼움되어 상기 인입완충패널과 상기 지지스프링을 가압하는 승강봉이 형성된 작동케이싱과, 상기 작동케이싱의 작동홈에 배치되는 충격완충수단과, 상기 충격완충수단 상부에 배치되는 완충패널과, 상기 완충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완충수단은 저면에 상부안착홈들이 형성된 상부완충패널과, 상면에 하부안착홈들이 형성된 하부완충패널과, 상단부가 상기 상부안착홈에 끼움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완충패널에 끼움되는 탄성완충관과, 상기 상부완충패널과 상기 하부완충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완화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완충관에는 지지패널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봉에는 완충스프링이 더 끼움되며, 상기 완충스프링의 하부는 상기 바닥층부의 상부에 지지되게 배치되며, 상부는 상기 작동케이싱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벽부의 내측면에는 측부완충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측부완충수단은 상기 외벽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완충홈과, 상기 완충홈의 배치되는 완충튜브와, 상기 완충튜브에 배면에 맞닿게 배치되며, 전면이 상기 작동케이싱의 외면에 맞닿게 배치되고, 상기 완충튜브의 탄성에 의해 상기 작동케이싱을 가압하는 가압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패널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케이싱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도록 가이드롤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층부에는 수평유지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상기 작동케이싱의 작동홈 저면에 배치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인입홈의 하부에 연통되게 상기 바닥층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작동실과, 상기 작동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스프링의 하부를 가압하는 작동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실린더의 작동축에는 작동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패널에는 승강시 상기 인입완충패널을 가압하도록 가압봉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층부의 상면에는 상부체결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케이싱의 저면에는 하부체결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체결홈과 상기 하부체결홈을 연결하며 방음튜브가 더 배치되며, 상기 방음튜브는 상단부가 상기 상부체결홈에 끼움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체결홈에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음튜브는 내부에 간격유지패널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게 흡음관이 더 형성되며, 상기 흡음관의 상단부에는 확장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음관의 내측면에는 흡음핀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충격완충수단이 마련된 방음 및 방진기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는 바닥층부와 외벽부로 이루어진 구조물본체에 충격완충수단이 마련된 작동케이싱을 설치하고, 작동케이싱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도록 인입탄성지지부를 마련하여, 소음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충격에 따른 진동을 완화시켜 내진성을 갖게 됨과 아울러 단열이 되도록 하고,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바닥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서 흡음볼이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 있어, 작동실린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 있어, 방음튜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8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 있어, 방음튜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 있어, 흡음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 있어, 흡음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충수단이 마련된 방음 및 방진기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상기 바닥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서 흡음볼이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 있어, 작동실린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 있어, 방음튜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8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 있어, 방음튜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 있어, 흡음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에 있어, 흡음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다층건물용 바닥구조라 명명함)는 다층건물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난방용 배관이 매립된 바닥층부(100)와 상기 바닥층부(100)의 상측에 형성되는 외벽부(200)로 이루어진 구조물본체(300)에 설치되는 바닥구조로서, 상기 바닥층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입홈(20)들, 상기 인입홈(20)에 배치되는 지지스프링(31)과 상기 지지스프링(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입완충패널(32)을 포함하는 인입탄성지지부(30), 상기 바닥층부(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작동홈(작동개구)이 형성되며, 저면의 하단부가 상기 인입홈(20)에 끼움되어 상기 인입완충패널(32)과 상기 지지스프링(31)을 가압하는 승강봉(42)이 형성된 작동케이싱(40), 상기 작동케이싱(40)의 작동홈에 배치되는 충격완충수단(50), 상기 충격완충수단(50) 상부에 배치되는 완충패널(60), 상기 완충패널(60)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감재(70)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케이싱(40)의 저면과 상기 바닥층부(100) 사이에는 완충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공간(S)에는 흡음볼(62)들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인입홈(20)들은 상기 바닥층부(100)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층부(100)는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인입홈(20)들은 상기 바닥층부(100)의 상부에 바둑판 형태로 또는 망구조로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인입탄성지지부(30)는 상기 인입홈(20)에 배치되는 지지스프링(31)과 상기 지지스프링(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입완충패널(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완충패널(32)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스프링(31)의 상부에 용접 또는 융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작동케이싱(4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케이싱(40)은 상기 바닥층부(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작동홈(41)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바닥층부(100) 사이에 완충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인입홈(20)에 끼움되어 상기 인입완충패널(32)과 상기 지지스프링(31)을 가압하는 승강봉(42)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봉(42)은 상기 작동케이싱(40)의 저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승강봉(42)은 하부가 상기 인입홈(20)에 끼움되어 상기 작동케이싱(4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인입탄성지지부(30)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인입탄성지지부(30)는 상기 작동케이싱(40)을 지지하여 상기 바닥층부(100)와 상기 작동케이싱(40) 저면 사이에 도 1에서와 같이 완충공간(S)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스프링(31)에 의해 상층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따른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어, 방진기능을 갖게 되고, 상기 바닥층부(100)와 상기 작동케이싱(40) 저면 사이에 완충공간(S)이 형성되어, 상기 완충공간(S)에 배치되는 공기층에 의해 상층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따른 소음이 감소되거나 흡음되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어 방음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충격완충수단(50)은 저면에 상부안착홈(511)들이 형성된 상부완충패널(51)과, 상면에 하부안착홈(521)들이 형성된 하부완충패널(52)과, 상단부가 상기 상부안착홈(511)에 끼움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완충패널(52)에 끼움되는 탄성완충관(53)과, 상기 상부완충패널(51)과 상기 하부완충패널(52)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완화공간(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완충관(53)은 상기 상부완충패널(51)과 상기 하부완충패널(52)에 끼움된 후 접착 또는 융착고정되며, 상기 상부완충패널(51)과 상기 하부완충패널(52)은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목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탄성완충관(53)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즉, 상층에서 발생한 충격에 따른 진동을 상기 탄성완충관(53)에 의해 완충시킬 수 있어, 하층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충격완화공간(54)에 배치되는 공기층에 의해 충격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완충관(53)에는 지지패널(531)이 일체로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531)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케이싱(40)의 하중방향(수직방향)으로 상기 탄성완충관(53)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완충패널(60)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완충수단(50) 상부에 배치되어, 충격에 따른 진동이나 소음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완충패널(60)은 상기 충격완충수단(50)의 상부완충패널(51)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재(70)는 합성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패널(60) 상부에 배치하거나 상기 완충패널(60)의 상부에 접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도 3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공간(S)에는 흡음볼(62)들이 충진될 수 있다.
도 13 과 14 에 도시된 상기 흡음볼(62)은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흡음볼(62)에는 관통되게 흡음홀(621)이 형성되어, 소음이 상기 흡음홀(621)에 유입되면서 상쇄간섭에 의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음볼(62)은 발포된 폴리우레탄과 같은 발포성 합성수지 또는 고무와 같은 탄력적인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흡음홀(62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내경(폭)이 작아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내경의 끝쪽으로 소음(음파)이 유입되면서 내벽에 충돌되어 상쇄간섭에 의해 점차적으로 소음이 감쇄되어, 결과적으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완충공간(S)에 수용되는 흡음볼(62)들 사이의 공극으로 소음이 유입되면서 흡음되어 소음을 재차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흡음볼(62)에 형성되는 흡음홀(621)에는 도 13에서와 같이 흡음융털(622)들이 더 형성되어, 음파 또는 음파에 따른 진동이 상기 흡음융털(622)에 충돌하면서 상쇄간섭에 의해 흡읍되어 소음을 재차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14 에서와 같이 흡음볼(32)의 중심을 향할수록 점점 더 좁아지는 폭(직경)의 흡음홀(321)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흡음볼(32)의 표면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음파 또는 음파에 따른 진동이 진행될 수록 상쇄간섭이 발생되어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흡음융털(622)은 합성섬유재로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흡음홀(621)에 융착 또는 접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흡음융털(622)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기 흡음볼(62)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흡음융털(622)은 상기 흡음홀(621) 이외에 상기 흡음볼(62)의 외면에 더 형성시키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음볼(62)의 외면에도 흡음융털을 형성시킴으로써, 흠음볼(32) 간의 진동을 완충하고 소음에 대한 상쇄간섭 작용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음융털(622)은 융털이 형성된 부직포와 같은 형태로 별도 제조하여 상기 흡음홀(621)의 내부 또는 흡음볼(62)의 외면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접착되거나, 상기 흡음볼(62) 제조 시 흡음홀(621)의 내부 또는 흡음볼(62)의 외면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봉(42)에는 완충스프링(421)이 더 끼움되며, 상기 완충스프링(421)의 하부는 상기 바닥층부(100)의 상부에 지지되게 배치되며, 상부는 상기 작동케이싱(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작동케이싱(40)을 지지함으로서, 충격에 따른 진동이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외벽부(200)의 내측면에는 측부완충수단(80)이 더 마련되고, 상기 측부완충수단(80)은 상기 외벽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완충홈(81)과, 상기 완충홈(81)의 배치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완충튜브(82)와, 상기 완충튜브(82)의 배면에 맞닿게 배치되며, 전면이 상기 작동케이싱(40)의 외면에 맞닿게 배치되고, 상기 완충튜브(82)의 탄성에 의해 상기 작동케이싱(40)을 가압하는 가압패널(83)로 이루어져, 상기 작동케이싱(40)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패널(83)과 충돌 또는 가압시 상기 완충튜브(82)의 탄성에 의해 충격이나 소음을 완충시켜, 상기 작동케이싱(40)이 상기 외벽부(200)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충격에 따른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패널(83)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패널(83)에는 가이드홈(831)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케이싱(40)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831)에 안내되도록 가이드롤러(43)가 더 형성되어, 상기 작동케이싱(40)이 외력에 의해 승강시 상기 가압패널(83)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층부(100)에는 수평유지수단(90)이 더 마련되며, 상기 수평유지수단(90)은 상기 작동케이싱(40)의 작동홈(41) 저면에 배치되는 위치감지센서(91)와, 상기 인입홈(20)의 하부에 연통되게 상기 바닥층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작동실(92)과, 상기 작동실(9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스프링(31)의 하부를 가압하는 작동실린더(93)로 이루어져, 외력이나 무게에 의해 상기 작동케이싱(40)이 기울어지면 상기 위치감지센서(91)가 상기 작동실린더(93)에 신호를 전달하여 기울어진 부분에 배치된 상기 작동실린더(9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스프링(31)을 밀어올려 상기 작동케이싱(40)이 승강시킴으로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 를 참조하면, 상기 작동실린더(93)의 작동축(931)에는 금속의 작동패널(931a)이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작동패널(931a)에는 승강시 상기 인입완충패널(32)을 가압하도록 금속의 가압봉(931b)이 더 용접되어, 기울어진 상기 작동케이싱(40)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해 기울어진 부분에 배치되는 지지스프링(31)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압축된 지지스프링(3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면상 일정높이로 상기 지지스프링(31)을 압축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봉(931b)이 상기 인입완충패널(32)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작동실린더(9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스프링(3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 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층부(100)의 상면에는 하부 상부체결홈(110)들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케이싱(40)의 저면에는 하부체결홈(44)들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체결홈(110)과 상기 하부체결홈(44)을 연결하며 방음튜브(45)가 더 배치되며, 상기 방음튜브(45)는 상단부가 상기 상부체결홈(110)에 끼움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체결홈(44)에 끼움되어, 상기 작동케이싱(40)을 지지함으로서, 충격에 따른 진동이나 소음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방음튜브(45)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공기가 주입된다.
상기 방음튜브(45)는 상기 상부체결홈(110)과 상기 하부체결홈(44)에 끼움된 후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방음튜브(45)는 내부에 간격유지패널(451)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게 중공의 흡음관(452)이 일체로 더 형성되며, 상기 흡음관(452)의 상단부에는 확장홈(452a)이 더 형성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유입되는 소음이 협소해지는 흡음관(452)의 내경과 충돌하면서 점차 완화되면서 저감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패널(451)은 상기 방음튜브(45)와 일체로 더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패널(451)은 상기 작동케이싱(40)의 하중방향과 직교되게(도면상 수평방향) 상기 방음튜브(45)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음튜브(45)가 하중에 의해 눌릴 경우 잡아주는(도면상 옆으로 늘어나는 것을) 역할을 함으로서,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2 를 참조하면, 상기 흡음관(452)의 내측면에는 흡음핀(451b)들이 더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흡음핀(451b)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음관(452)과 일체로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흡음관(452)에는 상기 방음튜브(45)는 지지하도록 내부스프링이 더 끼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20 : 인입홈
30 : 인입탄성지지부 40 : 작동케이싱
50 : 충격완충수단 60 : 완충패널
70 : 마감재 80 : 측부완충수단
90 : 수평유지수단
31 : 지지스프링 32 : 인입완충패널
41 : 작동홈 42 : 승강봉
421 : 완충스프링 43 : 가이드롤러
44 : 하부체결홈 45 : 방음튜브
451 : 간격유지패널 452 : 흡음관
452a : 확장홈 452b : 흡음핀
51 : 상부완충패널 511 : 상부안착홈
52 : 하부완충패널 521 : 하부안착홈
53 : 탄성완충관 531 : 지지패널
54 : 충격완화공간
81 : 완충홈 82 : 완충튜브
83 : 가압패널 831 : 가이드홈
91 : 위치감지센서 92 : 작동실
93 : 작동실린더 931 : 작동축
932 : 작동패널 932a : 가압봉
100 : 바닥층부 110 : 상부체결홈
200 : 외벽부 300 : 구조물본체
S : 완충공간

Claims (15)

  1. 다층건물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난방용 배관이 매립된 바닥층부와 상기 바닥층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외벽부로 이루어진 구조물본체에 설치되는 바닥구조로서,
    상기 바닥층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입홈들;
    상기 인입홈에 배치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지지스프링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입완충패널을 포함하는 인입탄성지지부;
    상기 바닥층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작동홈이 형성되며, 저면의 하단부가 상기 인입홈에 끼움되어 상기 인입완충패널과 상기 지지스프링을 가압하는 승강봉이 형성된 작동케이싱;
    상기 작동케이싱의 작동홈에 배치되는 충격완충수단;
    상기 충격완충수단 상부에 배치되는 완충패널;
    상기 완충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케이싱의 저면과 상기 바닥층부 사이에는 완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공간에는 흡음볼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수단은 저면에 상부안착홈들이 형성된 상부완충패널과,
    상면에 하부안착홈들이 형성된 하부완충패널과,
    상단부가 상기 상부안착홈에 끼움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완충패널에 끼움되는 탄성완충관과,
    상기 상부완충패널과 상기 하부완충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완화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수단이 마련된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완충관에는 지지패널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봉에는 완충스프링이 더 끼움되며, 상기 완충스프링의 하부는 상기 바닥층부의 상부에 지지되게 배치되며, 상부는 상기 작동케이싱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의 내측면에는 측부완충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측부완충수단은 상기 외벽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완충홈과,
    상기 완충홈의 배치되는 완충튜브와,
    상기 완충튜브에 배면에 맞닿게 배치되며, 전면이 상기 작동케이싱의 외면에 맞닿게 배치되고, 상기 완충튜브의 탄성에 의해 상기 작동케이싱을 가압하는 가압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수단이 마련된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패널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케이싱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도록 가이드롤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층부에는 수평유지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상기 작동케이싱의 작동홈 저면에 배치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인입홈의 하부에 연통되게 상기 바닥층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작동실과,
    상기 작동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스프링의 하부를 가압하는 작동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의 작동축에는 작동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패널에는 승강시 상기 인입완충패널을 가압하도록 가압봉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층부의 상면에는 상부체결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케이싱의 저면에는 하부체결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체결홈과 상기 하부체결홈을 연결하며 방음튜브가 더 배치되며,
    상기 방음튜브는 상단부가 상기 상부체결홈에 끼움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체결홈에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튜브는 내부에 간격유지패널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게 흡음관이 더 형성되며,
    상기 흡음관의 상단부에는 확장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관의 내측면에는 흡음핀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볼에는 흡음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홀은 일단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볼에 형성되는 흡음홀에는 흡음융털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볼의 외면에 흡음융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KR1020180006831A 2018-01-19 2018-01-19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KR101908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831A KR101908080B1 (ko) 2018-01-19 2018-01-19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831A KR101908080B1 (ko) 2018-01-19 2018-01-19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080B1 true KR101908080B1 (ko) 2018-10-15

Family

ID=6386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831A KR101908080B1 (ko) 2018-01-19 2018-01-19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327B1 (ko) * 2020-02-21 2020-09-07 옥광호 친환경 바닥재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986B1 (ko) 2016-11-03 2017-03-07 합자회사 건축사사무소태백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750244B1 (ko) 2016-11-16 2017-06-27 유찬호 건축물 및 구조물의 벽체에 적용되는 지중 매설형 면진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986B1 (ko) 2016-11-03 2017-03-07 합자회사 건축사사무소태백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750244B1 (ko) 2016-11-16 2017-06-27 유찬호 건축물 및 구조물의 벽체에 적용되는 지중 매설형 면진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327B1 (ko) * 2020-02-21 2020-09-07 옥광호 친환경 바닥재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806B1 (ko) 복합충격완충기능과 방음 방진기능을 갖는 내진기능의 바닥구조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566776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782399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102061573B1 (ko)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KR200475110Y1 (ko) 이종 완충 바닥재가 형성된 건축물 슬래브
KR101449672B1 (ko) 공동주택에서 바닥슬래브의 방음 및 방진구조
KR101527209B1 (ko) 건축용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KR20190006839A (ko) 층간 소음 저감용 바닥패널 지지장치
KR101908080B1 (ko) 내진 성능을 갖는 다층건물용 바닥구조
KR101928768B1 (ko) 방음방진기능을 갖는 바닥구조
JPH03197758A (ja) 二重床防音方法
KR101982295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구조물
KR100803350B1 (ko) 층간 소음방지용 패널
KR1014884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2108797B1 (ko)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 구조물
KR2015011117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0423550Y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1518026B1 (ko) 복층 건물의 방진 및 단열기능을 갖는 바닥 시공구조
JP5133726B2 (ja) 床支持吸振具、及び、床構造
KR200416287Y1 (ko) 층간 소음 저감재
KR20080003310U (ko)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2144251B1 (ko) 층간에 설치되는 흡음방음판
KR102667833B1 (ko) 방진구가 구비된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 완충 구조
KR102552448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충격댐퍼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