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553B1 - 포대끝단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 - Google Patents

포대끝단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553B1
KR101907553B1 KR1020180077983A KR20180077983A KR101907553B1 KR 101907553 B1 KR101907553 B1 KR 101907553B1 KR 1020180077983 A KR1020180077983 A KR 1020180077983A KR 20180077983 A KR20180077983 A KR 20180077983A KR 101907553 B1 KR101907553 B1 KR 101907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vinyl
sewing
ba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섭
Original Assignee
박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섭 filed Critical 박호섭
Priority to KR102018007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8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stitching, stapling or rive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261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involving transversely folding, i.e. along a li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Landscapes

  • Bag Fram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대의 끝단에 보강지와 보강비닐을 덧댄 후 재봉실로 봉합할 때 마찰열이 발생됨으로써 보강비닐이 녹으면서 재봉됨으로 천공부를 봉쇄시킬 수 있는 포대끝단봉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대에 덧대진 보강지에 보강비닐을 덧댄 후, 보강비닐과 함께 재봉함으로써 재봉 중에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보강비닐이 녹으면서 재봉구멍을 봉쇄하도록 하여 포대 내부의 물질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고, 제1,2봉쇄롤러를 통하여 보강비닐로 재봉된 포대를 압박시킴으로써 재봉구멍 부위를 눌러주어 재봉구멍의 크기를 줄여줌으로써 포대 내의 이물질이 재봉구멍을 통해 거의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불필요한 배출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대끝단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omitted}
본 발명은 포대의 끝단에 보강지와 보강비닐을 덧댄 후 재봉실로 봉합할 때 마찰열이 발생됨으로써 보강비닐이 녹으면서 재봉됨으로 천공부를 봉쇄시킬 수 있는 포대끝단봉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라함은 각종 곡물류 이외에 소금, 설탕, 시멘트, 비료, 화학제품, PVC 가루 등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백(bag)으로서, 통상은 폴리프로필렌 직포대와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접합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대는 마감작업으로 포대의 하단 끝부분을 재봉하여 마감하는데, 통상의 포대는 끝부분을 접은 후에, 그 접은 부분을 재봉하여 마감하는 접이 방식과, 포대의 끝부분에 보강지를 덧대고, 그 덧댄 부분을 재봉하여 마감하는 보강지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접이 방식의 포대는 마감부분이 쉽게 뜯어져 내용물의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도 1(a)과 같은 보강지 방식의 포대는 도 1(b)와 같이 재봉구멍이 포대 내에 들어있는 가루물질에 비해 커서 포대 안의 내용물이 재봉구멍 사이로 빠져나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0319호 (2016.12.21)
본 발명의 목적은 포대에 덧대진 보강지에 보강비닐을 덧댄 후, 보강비닐과 함께 재봉함으로써 재봉 중에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보강비닐이 녹으면서 재봉구멍을 봉쇄하도록 하여 포대 내부의 물질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2봉쇄롤러를 통하여 보강비닐로 재봉된 포대를 압박시킴으로써 재봉구멍 부위를 눌러주어 재봉구멍의 크기를 줄여줌으로써 포대 내의 이물질이 재봉구멍을 통해 거의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대몸체(10)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110)와, 보강지(20)를 공급하기 위한 보강지공급부(120)와, 보강비닐(30)을 공급하기 위한 보강비닐공급부(130)와, 상기 이송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되, 보강지(20)가 통과되는 통로(140c)가 형성되는 보강지접힘부(140)와, 상기 보강비닐공급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보강비닐(30)이 수용되기 위한 보강비닐투입홈(152)이 형성되며, 포대몸체(10)에 덧대진 보강지(20)의 상부면에 보강비닐(30)이 덧대지기 위한 보강비닐접힘부(150)와, 보강비닐접힘부(150)와 연결되고, 보강비닐접힘부(15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포대몸체(10)와 보강지(20) 보강비닐(30)이 함께 재봉되기 위한 재봉바늘(162)이 형성되는 재봉틀(160)과, 상기 이송부(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재봉틀(16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포대몸체(10)가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될 때 재봉틀(160)에 의해 재봉된 부분이 눌러지면서 지나가도록 형성되는 제1봉쇄롤러(170)와, 상기 이송부(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1봉쇄롤러(17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포대몸체가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될 때 재봉틀(160)에 의해 재봉된 부분이 눌러지면서 지나가도록 형성되는 제2봉쇄롤러(180)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지접힘부(140)의 통로(140a)는 보강지(20)가 배출되는 부분이 보강지(20)가 공급되는 부분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보강지(20)가 배출될 때, 보강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보강지(20)가 접히면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비닐접힘부(150)의 보강비닐투입홈(152)은 보강비닐(30)이 투입되는 입구에서 배출되는 입구로 갈수록 입구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비닐접힘부(150)는 상기 이송부(110)의 상부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서 형성되는 몸체부(151)와, 상기 보강비닐투입구(152)와 연결되고 이송부(110)와 마주보는 몸체부(151)의 바닥면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비닐접힘구(153)와, 상기 재봉틀(160)의 재봉바늘(162)이 통과되기 위해 몸체부(151)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되 보강비닐접힘구(153)의 일측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재봉바늘입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끝단봉합장치와,
포대몸체(10)가 이송되는 이송부(110)로 포대몸체(10)를 투입시키는 포대몸체투입단계(S1); 보강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보강지(20)가 접히도록 공급되어 상기 포대몸체투입단계(S1)를 통해 투입된 포대몸체(10)의 일단의 양측면에 덧대지는 보강지공급단계(S2); 상기 보강지공급단계(S2) 이후 보강비닐(30)이 통과되는 보강비닐투입홈(152)이 형성된 보강비닐접힘부(150)를 보강비닐(30)이 통과하면서 보강지(20)의 상부에 덧대어지는 보강비닐공급단계(S3); 상기 보강비닐공급단계(S3)를 통해 보강지(20)의 상부에 덧대진 보강비닐(30)을 포대몸체(10), 보강지(20)와 함께 재봉틀(160)의 재봉바늘(161)을 통해 재봉하여 재봉포대(1)를 제조하는 천공부봉쇄제1공정단계(S4); 이송부(11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한 제1봉쇄롤러(170)가 상기 천공부봉쇄제1공정(S4)을 통해 제조된 재봉포대(1)의 재봉된 부분을 눌러주도록 재봉포대(1)를 제1봉쇄롤러(170)에 통과시키는 천공부봉쇄제2공정단계(S5); 이송부(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1봉쇄롤러(17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봉쇄롤러(180)가 상기 천공부봉쇄제2공정단계(S5)를 통해 제1봉쇄롤러(170)를 통과한 재봉포대(1)의 재봉된 부분을 눌러주도록 재봉포대(1)를 제2봉쇄롤러(180)에 통과시키는 천공부봉쇄제3공정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끝단봉합장치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대에 덧대진 보강지에 보강비닐을 덧댄 후, 보강비닐과 함께 재봉함으로써 재봉 중에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보강비닐이 녹으면서 재봉구멍을 봉쇄하도록 하여 포대 내부의 물질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고, 제1,2봉쇄롤러를 통하여 보강비닐로 재봉된 포대를 압박시킴으로써 재봉구멍 부위를 눌러주어 재봉구멍의 크기를 줄여줌으로써 포대 내의 이물질이 재봉구멍을 통해 거의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불필요한 배출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대에 관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포대끝단봉합장치에 관한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포대끝단봉합장치에 포함된 보강지접힘부(140)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포대끝단봉합장치에 포함된 보강비닐접힘부(150)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 7은 도 3의 실시예이다.
도 8은 포대끝단봉합장치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천공부봉쇄제1공정단계(S4)를 간단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포대끝단봉합장치에 의해 끝단이 봉합된 포대를 일부확대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포대끝단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대끝단봉합장치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포대몸체(10)의 일단에 보강지(20)를 덧대고 그 위에 보강비닐(30)을 덧댄 후 재봉을 통해 봉합하는 것으로, 포대몸체(10)의 끝단을 재봉시 재봉바늘(162)에 의해 생기는 보강비닐(30)의 천공부(31)가 재봉바늘(162)과 보강비닐(30)이 만나면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보강비닐(30)이 녹음으로써 천공부를 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2봉쇄롤러(170, 180)에 의해 포대가 재봉된 부분을 눌러줌으로써 보강비닐(30)에 소정의 압력과 함께 열이 발생되어 천공부(31)의 빈틈을 더욱 많이 메꿔줄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포대끝단봉합장치(100)는 포대몸체(10)의 일단이 보강지(20)와 함께 재봉 마감되도록 하기 위해 보강지(20)의 일측면에 보강비닐(30)을 덧대고 그 위에 재봉실(40)이 공급된 재봉틀(160)을 통하여 재봉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포대끝단봉합장치(100)는 이송부(110), 보강지공급부(120), 보강비닐공급부(130), 보강지접힘부(140), 보강비닐접힘부(150), 재봉틀(160), 제1봉쇄롤러(170), 제2봉쇄롤러(180), 이송롤러(190) 등으로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부(110)는 포대몸체(10)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송플레이트(111)와 구동벨트(112)로 구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송플레이트(111)의 모습만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구동벨트(112)의 모습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작업자들이 포대를 재봉하는 등의 작업을 위해 포대를 이송할 때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송플레이트(111)와 구동벨트(112)를 갖추고 있는 구성요소라면 어떤 것도 무방하다.
먼저 이송플레이트(111)는 포대몸체(10)가 상부면에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포대몸체(10)가 이동되기 위한 구동벨트(112)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 개수의 홈(111a)이 형성된다. 상기 홈(111a)은 구동벨트(112)가 배치되기에 충분한 크기의 홈으로써 포대이송방향(K)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홈(111a)은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홈(111a)마다 위치되는 구동벨트(112)의 개수도 2개 이상으로 늘어날 수도 있다.
구동벨트(112)는 포대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며, 이송플레이트(111)의 홈(111a)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한다.
보강지공급부(120)는 상기 이송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되 이송부(110)를 통해 이송되는 포대몸체(10)의 일단에 덧대지는 보강지(20)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강지(20)는 포대몸체(10)에 덧대지는 통상적인 보강지로써 합성재질의 종이 등이 될 수 있다.
보강비닐공급부(130)는 상기 이송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되 이송부(110)를 통해 이송되는 포대에 덧대지는 보강지(20)의 상부 일측에 덧대지는 보강비닐(30)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보강비닐(30)이라 함은 통상적인 비닐 형태로 그 두께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3을 참고하면, 보강지접힘부(140)는 상기 보강지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보강지(20)가 중심을 기준으로 접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송부(110)의 이송플레이트(111)의 일측에 위치하며, 보강지(20)가 통과되기 위한 통로(140c)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140c)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부분에 포대몸체(10)의 일측이 이동되며 통과된다.
상기 보강지접힘부(140)는 이송플레이트(111)의 끝단을 중심으로 이송플레이트(111)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경사판(140a)과, 이송플레이트(111)의 끝단을 중심으로 이송플레이트(111)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경사판(140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부경사판(140a)은 보강지(20)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이송플레이트(111)의 상부에 위치하되 보강지(20)가 빠져나가는 방향에 위치한 부분이 이송플레이트(111)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하부경사판(140b)은 보강지(20)의 하부가 수용되도록 이송플레이트(111)의 하부에 위치하되 보강지(20)가 빠져나가는 방향에 위치한 부분이 이송플레이트(111)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로(140c)는 보강지접힘부(140)의 내부면으로 보강지(20)가 수용되어 이송되면서 접히기 위한 것으로, 이송플레이트(111)의 끝단도 수용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경사판(140a)과 하부경사판(140b)의 일측이 이송플레이트(111)와 밀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보강지(20)가 빠져나갈 때 보강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지(20)가 중심을 기준으로 접히기 위해서 상부경사판(140a)과 하부경사판(140b)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각도와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고하면, 보강비닐접힘부(150)는 이송플레이트(111)를 통해 이송되는 보강지(20)가 덧대진 포대몸체(10)의 상부면에 보강비닐(30)을 덧대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포대몸체(10)가 지나갈 수 있도록 이송플레이트(111)와 소정 간격 떨어져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재봉틀(160)과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비닐접힘부(150)는 보강비닐공급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보강비닐(30)이 수용되기 위한 보강비닐투입홈(152)이 형성되되, 보강비닐(30)이 투입되는 입구(152a)로부터 보강비닐(30)이 배출되는 보강비닐접힘구(153)로 갈수록 크기가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보강비닐접힘부(150)의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몸체부(151), 보강비닐투입구(152), 보강비닐접힘구(153), 재봉바늘입구(154), 재봉틀연결부(155)를 포함한다.
몸체부(151)는 상기 보강지접힘부(140)의 일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되 보강지(20)가 덧대진 포대몸체(10)가 통과되도록 이송플레이트(111)의 상부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서 형성되며, 포대몸체(10)가 통과될 때 포대몸체(10)에서 보강지(20)가 덧대진 부분이 몸체부(151)의 바닥면을 지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51)는 상기 보강지접힘부(140)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몸체부(151)의 일측이 보강지접힘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부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151a)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보강비닐투입구(152)는 보강비닐(30)이 투입되어 접히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는 것으로, 보강비닐(30)이 투입된 입구에서 보강비닐접힘구(153)로 갈수록 크기가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보강비닐접힘구(153)는 상기 보강비닐투입구(152)와 연결되고 이송부(110)의 이송플레이트(111)와 마주보는 몸체부(151)의 바닥면의 일측에 형성되되, 보강비닐투입구(152)로 투입된 보강비닐(30)이 보강지(20)의 상부면에 일자로 덧대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보강비닐(30)은 접혀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강비닐투입구(152)로 투입되며 보강비닐접힘구(153)로 갈수록 보강비닐(30)이 접히어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몸체부(151)의 바닥면에 형성된 보강비닐접힘구(153)를 따라서 보강비닐(30)이 빠져나옴으로써 보강지(2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보강비닐(30)이 접혀진 상태에서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 재봉바늘입구(154)로 통과되는 재봉틀(160)의 재봉바늘(162)에 의해 재봉된다.
재봉바늘입구(154)는 보강비닐접힘구(153)를 지나는 보강비닐(30)을 재봉하기 위한 재봉틀(160)의 재봉바늘(162)이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151)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되 보강비닐접힘구(153)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재봉틀연결부(155)는 몸체부(151)의 일측에 위치하되, 재봉틀(160)과 연결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비닐접힘부(150)의 실제모습을 나타낸 사진으로 보강비닐접힘구(153)와 보강비닐(30)이 보강비닐접힘부(150)를 통과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재봉틀(160)은 상기 보강비닐접힘부(150)로 통과되는 보강비닐(30)을 보강지(20)가 덧대어진 포대(10)와 함께 재봉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보강비닐접힘부(150)의 재봉틀연결부(155)와 연결되되 보강비닐접힘부(150)의 상부 일측에위치한다. 상기 재봉틀(160)은 일반적으로 재봉을 하기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재봉틀(160)의 형태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기 재봉틀(160)은 재봉실공급부(161), 재봉바늘(162)을 포함하며 구성된다. 상기 재봉실공급부(161)는 재봉틀(160)의 일측에 위치하되 재봉실(40)을 공급하기 위한 곳이며, 재봉바늘(162)은 상기 보강비닐접힘부(150)의 재봉바늘입구(154)를 통과하도록 재봉바늘입구(15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재봉실공급부(161)로부터 공급된 재봉실(40)을 통해 재봉바늘(162)을 이용하여 보강지(20)가 덧대어진 포대몸체(10)와 보강비닐(30)을 함께 재봉한다. 이 과정에서 보강비닐(30)에는 재봉바늘(162)로 인해 천공부(31)가 형성되지만 재봉작업을 수행할때 재봉바늘(162)이 빠르게 움직임으로써 보강비닐(30)과의 마찰로 인해 열이 발생되며 보강비닐(30)이 녹으면서 천공부(31)를 메꿔줄 수 있다.
또한 재봉틀(160)에 의해 포대몸체(10), 보강지(20), 보강비닐(30)이 함께 재봉되었으며 설명의 편의상 이를 재봉포대(1)라고 명세서 전반에 기재하였다.
제1봉쇄롤러(170)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11)의 상부에 형성되며 재봉틀(16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재봉포대(1)의 재봉된 부분이 지나도록 형성되되, 포대몸체(10)의 재봉된 부분을 누름으로써 보강비닐(30)의 천공부(31)가 한번 더 메꿔짐으로써 천공부(31)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제2봉쇄롤러(180)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11)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봉쇄롤러(17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재봉포대의 재봉된 부분이 지나도록 형성된다. 즉 제1봉쇄롤러(170)를 지난 포대몸체(10)는 한 번더 재봉된 부분을 누르기 위해 제2봉쇄롤러(180)를 지나며 포대몸체(10)의 재봉된 부분이 눌러짐으로써 보강비닐(30)의 천공부(31)가 한번 더 메꿔짐으로써 천공부(31)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포대몸체(10)에 보강지(20), 보강비닐(30)을 덧댄 후 재봉틀(160)을 통해 재봉을 하고 제1,2봉쇄롤러(170, 180)를 각각 지난 포대몸체(10)는 보강비닐(30)의 천공부(31)의 크기가 아주 작게 줄어들게 되며 포대를 사용할 때 포대몸체(10) 내에 가루형태의 분말을 넣어서 보관하더라도 천공부(31)에 의해 가루가 거의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송롤러(190)는 상기 제2봉쇄롤러(18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제2봉쇄롤러(180)를 지난 포대몸체(10)를 이송시키기 위한 롤러이며 상기 이송롤러(190)도 제1,2봉쇄롤러(180)와 같이 재봉포대(1)의 재봉된 부분을 눌러주어 천공부(31)의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포대끝단봉합장치(100)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이하, 포대끝단봉합방법)에 관한 설명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포대끝단봉합방법은 포대몸체투입단계(S1), 보강지공급단계(S2), 보강비닐공급단계(S3), 천공부봉쇄제1공정단계(S4), 천공부봉쇄제2공정단계(S5), 천공부봉쇄제3공정단계(S7), 보강지커팅단계(S7)를 포함한다.
각 단계를 성명하면 다음과 같다.
S1: 포대몸체투입단계
포대몸체투입단계(S1)는 이송부(110)로 포대몸체(10)를 투입시키는 단계이다.
S2: 보강지공급단계
보강지공급단계(S2)는 보강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접히도록 보강지(20)가 공급되어 상기 포대몸체투입단계(S1)를 통해 투입된 포대몸체(10)의 일단에 덧대지는 단계이다.
S3: 보강비닐공급단계
보강비닐공급단계(S3)는 상기 보강지공급단계(S2) 이후 보강비닐(30)을 보강지(20)의 상부에 덧대기 위해 보강지(20)가 보강지비닐접힘부(150)를 통과하면서 접힌 보강비닐(30)이 보강지(20)의 상부에 덧대어지는 단계이다.
S4: 천공부봉쇄제1공정단계
천공부봉쇄제1공정단계(S4)는 상기 보강비닐공급단계(S3)를 통해 보강지(20)의 상부에 덧대진 보강비닐(30)을 포대몸체(10), 보강지(20)와 함께 재봉틀(160)의 재봉바늘(161)로 재봉하여 재봉포대(1)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도 9는 천공부봉쇄제1공정단계(S4)를 설명하기 위해 보강비닐(30)의 접혀진 모습만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보강비닐공급단계(S3)를 통해 보강지비닐접힘부(150)를 통과하면 도 9(a)와 같이 보강비닐(30)이 3겹으로 접힌 상태에서 보강지(20)의 상부에 덧대진다. 또한 도면에는 보강비닐(30)이 3겹으로 접힌 상태만 도시하였지만, 4,5겹 등 여러 겹으로 접힐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9(a)의 상태에서 도 9(b)와 같이 재봉바늘(161)이 보강비닐(30)을 뚫게 되면 천공부(31)가 형성되며, 여러겹으로 겹쳐진 보강비닐(30)을 뚫는 과정에서 보강비닐(30)과 빠르게 움직이는 재봉바늘(161) 사이에 마찰열이 발생하게 된다. 보강비닐(30)은 열에 약한 성질로 인해 비닐성분이 녹게 되며 천공부(31)를 자연스레 메꿔줌으로써 천공부(31)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S5: 천공부봉쇄제2공정단계
천공부봉쇄제2공정단계(S5)는 이송부(11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한 제1봉쇄롤러(170)가 상기 천공부봉쇄제1공정(S4)을 통해 제조된 재봉포대(1)의 재봉된 부분을 눌러주도록 재봉포대(1)를 제1봉쇄롤러(170)에 통과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재봉포대(1)의 재봉된 부분이 제1봉쇄롤러(170)를 통과할때 이송부(110)의 상부에 위치한 제1봉쇄롤러(170)가 재봉포대(1)를 눌러줌으로써 보강비닐(30)이 바짝 눌러지어 천공부(31)를 덮게 되어 천공부(31)의 크기가 좁아지게 된다.
S6: 천공부봉쇄제3공정단계
천공부봉쇄제3공정단계(S6)는 이송부(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1봉쇄롤러(17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봉쇄롤러(180)가 상기 천공부봉쇄제2공정단계(S5)를 통해 제1봉쇄롤러(170)를 통과한 재봉포대(1)의 재봉된 부분을 눌러주도록 재봉포대(1)를 제2봉쇄롤러(180)에 통과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천공부봉쇄제3공정단계(S6)는 재봉포대(1)가 제2봉쇄롤러(180)에 통과될 때 재봉포대(1)가 제2봉쇄롤러(180)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보강비닐(30)도 함께 눌러지어 천공부(31)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며, 천공부봉쇄제1,2,3단계(S1,S2,S3)를각각 거침으로써 천공부(31)의 크기가 거의 미세하게 작은 크기로 줄어들게 된다.
S7: 보강지커팅단계
보강지커팅단계(S7)는 상기 천공부봉쇄제3공정단계(S6) 이후 재봉포대(1)에 덧대진 보강지(20)의 일측을 커팅하는 단계이다.
즉, 이송부(110)를 통해 포대몸체(10)가 이송될 때 순차적으로 연달아 이송되며 보강지(20)는 연달아 이송되는 포대몸체(10)의 하부에 끊김이 없이 연결되어 덧대어진다(도 1 참고). 따라서 재봉포대(1)를 하나씩 분리하기 위해 보강지(20)의 일측을 커팅하며 이를 통해 모든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재봉포대(1)는 끝단이 도 10과 같이 형성되며 시멘트와 같이 가루 형태의 물체를 보관하더라도 재봉포대(1)의 하부로 가루가 새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가루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 재봉포대
10 포대몸체
20 보강지
30 보강비닐
31 천공부
40 재봉실
100 포대끝단봉합장치
110 이송부
111 이송플레이트
112 구동벨트
120 보강지공급부
130 보강비닐공급부
140 보강지접힘부
140a 상부경사판
140b 하부경사판
140c 통로
150 보강비닐접힘부
151 몸체부
152 보강비닐투입구
153 보강비닐접힘구
154 재봉바늘입구
155 재봉틀연결부
160 재봉틀
161 재봉실공급부
162 재봉바늘
170 제1봉쇄롤러
180 제2봉쇄롤러
190 이송롤러

Claims (3)

  1. 포대몸체(10)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110)와,
    보강지(20)를 공급하기 위한 보강지공급부(120)와,
    보강비닐(30)을 공급하기 위한 보강비닐공급부(130)와,
    상기 이송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되, 보강지(20)가 통과되는 통로(140c)가 형성되는 보강지접힘부(140)와,
    상기 보강비닐공급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보강비닐(30)이 수용되기 위한 보강비닐투입홈(152)이 형성되며 보강지(20)의 상부면에 보강비닐(30)이 덧대지기 위한 보강비닐접힘부(150)와,
    상기 보강비닐접힘부(150)와 연결되고, 보강비닐접힘부(15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포대몸체(10), 보강지(20), 보강비닐(30)이 함께 재봉되기 위한 재봉바늘(162)이 형성되는 재봉틀(160)과,
    상기 이송부(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재봉틀(16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포대몸체(10)가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될 때 재봉틀(160)에 의해 재봉된 부분이 눌러지면서 지나가도록 형성되는 제1봉쇄롤러(170)와,
    상기 이송부(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1봉쇄롤러(17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포대몸체가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될 때 재봉틀(160)에 의해 재봉된 부분이 눌러지면서 지나가도록 형성되는 제2봉쇄롤러(180)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지접힘부(140)의 통로(140a)는 보강지(20)가 배출되는 부분이 보강지(20)가 공급되는 부분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보강지(20)가 배출될 때, 보강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보강지(20)가 접히면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비닐접힘부(150)의 보강비닐투입홈(152)은 보강비닐(30)이 투입되는 입구에서 배출되는 입구로 갈수록 입구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끝단봉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닐접힘부(150)는
    상기 이송부(110)의 상부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서 형성되는 몸체부(151)와,
    상기 보강비닐투입홈(152)와 연결되고 이송부(110)와 마주보는 몸체부(151)의 바닥면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비닐접힘구(153)와,
    상기 재봉틀(160)의 재봉바늘(162)이 통과되기 위해 몸체부(151)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되 보강비닐접힘구(153)의 일측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재봉바늘입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끝단봉합장치.
  3. 포대몸체(10)가 이송되는 이송부(110)로 포대몸체(10)를 투입시키는 포대몸체투입단계(S1);
    보강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보강지(20)가 접히도록 공급되어 상기 포대몸체투입단계(S1)를 통해 투입된 포대몸체(10)의 일단의 양측면에 덧대지는 보강지공급단계(S2);
    상기 보강지공급단계(S2) 이후 보강비닐(30)이 통과되는 보강비닐투입홈(152)이 형성된 보강비닐접힘부(150)를 보강비닐(30)이 통과하면서 보강지(20)의 상부에 덧대어지는 보강비닐공급단계(S3);
    상기 보강비닐공급단계(S3)를 통해 보강지(20)의 상부에 덧대진 보강비닐(30)을 포대몸체(10), 보강지(20)와 함께 재봉틀(160)의 재봉바늘(161)을 통해 재봉하여 재봉포대(1)를 제조하는 천공부봉쇄제1공정단계(S4);
    이송부(11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한 제1봉쇄롤러(170)가 상기 천공부봉쇄제1공정단계(S4)을 통해 제조된 재봉포대(1)의 재봉된 부분을 눌러주도록 재봉포대(1)를 제1봉쇄롤러(170)에 통과시키는 천공부봉쇄제2공정단계(S5);
    이송부(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1봉쇄롤러(17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봉쇄롤러(180)가 상기 천공부봉쇄제2공정단계(S5)를 통해 제1봉쇄롤러(170)를 통과한 재봉포대(1)의 재봉된 부분을 눌러주도록 재봉포대(1)를 제2봉쇄롤러(180)에 통과시키는 천공부봉쇄제3공정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끝단봉합장치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




KR1020180077983A 2018-07-05 2018-07-05 포대끝단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 KR101907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983A KR101907553B1 (ko) 2018-07-05 2018-07-05 포대끝단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983A KR101907553B1 (ko) 2018-07-05 2018-07-05 포대끝단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553B1 true KR101907553B1 (ko) 2018-12-05

Family

ID=6474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983A KR101907553B1 (ko) 2018-07-05 2018-07-05 포대끝단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5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40122A (ja) 2013-06-11 2014-12-25 株式会社リングストン 合成樹脂製ガゼット袋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690319B1 (ko) 2016-06-22 2017-01-09 (주)울티모팩 기능성 및 편의성이 우수한 포대 재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40122A (ja) 2013-06-11 2014-12-25 株式会社リングストン 合成樹脂製ガゼット袋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690319B1 (ko) 2016-06-22 2017-01-09 (주)울티모팩 기능성 및 편의성이 우수한 포대 재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844A (en) Packaging container for receiving bulk materia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a flat packaging container as well as ventilating and sealing the filled packaging container
US3023947A (en) Multiwall bag
US6622459B1 (en) Process and facility for manufacturing and filling multiple-cavity sacks and sack produced according to said process
US6185908B1 (en) Thermal sealable plastic mesh web for automatic form, fill and seal machine
US20160297164A1 (en) Closure Bag with Reinforced Handles
US4354335A (en) Method for orderly transport and storage of flat objects and a plastic bag suitable therefor
US6033112A (en) Universal flexible packaging bag
US6991592B2 (en) Method of folding flat bottom bag
KR101907553B1 (ko) 포대끝단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끝단봉합방법
US63792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d packing foil bags
US3283994A (en) Bag
US3579397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bags having tear strips and consisting of synthetic thermoplastics
US357615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gs comprising a liner bag which protrudes from the opening
GB2301087A (en) Transport sack
EP3475179A1 (en) Bag or sack-like packaging
KR19980082305A (ko) 포대자동봉합기
CN106660275A (zh) 包装件以及用于制造包装件的方法和装置
TWI810958B (zh) 用於生產具有一體式封閉底部及自封頂部之袋子的裝置及方法及袋子
WO2020178665A2 (en) A composite bag and a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making it
NL166656C (nl) Inrichting voor het vullen van met elkaar verbonden zakelementen.
TWI771973B (zh) 密封具有易開封口之袋子之開口端的裝置及方法與具有易開封口之袋子
WO1992002428A1 (en) A self-sealing bag
US20090008276A1 (en) Automated bag on a roll
KR102588752B1 (ko) 포장용 비닐백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348507B1 (ko) 포장설비용 포밍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