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212B1 -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212B1
KR101907212B1 KR1020120005638A KR20120005638A KR101907212B1 KR 101907212 B1 KR101907212 B1 KR 101907212B1 KR 1020120005638 A KR1020120005638 A KR 1020120005638A KR 20120005638 A KR20120005638 A KR 20120005638A KR 101907212 B1 KR101907212 B1 KR 101907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pointer
display stat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792A (ko
Inventor
김익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5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2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서 화면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화면에 중첩되어 부화면이 출력되는 단계, 주화면 또는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출력되는 부화면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 picture adjusting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티브이가 주목 받으면서 티브이에 웹 브라우저(Web browser)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인 PC에서 동작하는 것과 달리 티브이 시청이 기본 기능인 티브이 환경에서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면서도 티브이 시청을 위해 웹 브라우저 화면에서 PIP(Picture-in-Picture)기능이 제공된다.
하지만 PIP화면으로 인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표시되는 내용이 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웹 브라우저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PIP기능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시로 온/오프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화면의 이동 및 조정을 위하여 지능적으로 동작되지 않고 사용자의 리모콘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들에 대한 수동적인 동작을 통하여 화면이 온/오프 되도록 함으로써, 가려진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주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에 대하여 유동적으로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주화면 및 부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화면 조정 방법에 있어서, 주화면에 중첩되어 부화면이 출력되는 단계, 주화면 또는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출력되는 부화면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서 화면 조정 장치에 있어서, 주화면 또는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을 주화면 또는 부화면으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분리된 주화면 또는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포인터의 위치 이동 및 주화면 또는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주화면에 소정 영역에 중첩되어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포인터가 부화면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에서 부화면이 주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어 주화면의 일부가 가려지는 경우에도 부화면의 온오프 동작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주화면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단순한 드래그 위치 이동을 위한 입력에 의해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 조정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 조정을 위한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 조정 시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복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영상 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메모리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영싱표시기기(100)와 방송 콘텐츠 제공자 또는 인터넷 콘텐츠 제공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방송신호 수신부(111), 인터넷 연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11)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 받아 영상표시기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인터넷 연결부(112)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연결부는 상기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의 형태에 따라 무선 또는 유선 등 다양한 형태로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111)와 인터넷 연결부(112)는 동시에 다양한 방송신호 및 인터넷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들을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마우스, 리모콘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20)는 주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140)에서 다양한 형태의 포인터(pointer)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상기 사용자 제어 신호에 대한 이동 경로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영상 또는 방송 정보 및 인터넷 콘텐츠 영상 및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적합한 사이즈 및 화질로 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부(130)는 주화면 영상처리부(131)와 부화면 영상처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주화면 영상처리부(131)와 부화면 영상처리부(132)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을 각각 주화면과 부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화면의 화질 및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및 영상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영상에 대하여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분리된 복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도 있다, 또한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한 변경에 따른 정보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부화면 디스플레이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신호 입력에 따라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되는 리모컨 또는 마우스 등의 외부 입력 기기의 동작에 대응되도록 화면 내부에서 움직이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50) 및 오디오 출력부(160)는 통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영상 또는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를 처리 및 출력 할 수 있다.
메모리부(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 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영상표시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부화면이 주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어 신호에 따라 포인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부화면에 포인터가 존재하는 경우 부화면을 투명 또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처리하여 부화면에 가려졌던 주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부화면 디스플레이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감지하고, 부화면 내부에서 부화면 외부로 포인터가 이동함을 감지하면 상기 부화면을 이전 디스플레이 상태로 복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부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 조정 동작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 조정을 위한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 조정 시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복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통신부(110)의 인터넷 연결부(112)를 통하여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웹 브라우저가 디스플레이되는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한다.(202단계)
제어부(180)는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 중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화면(300)에 일부 영역에 중첩되도록 부화면(310)이 출력되면(204단계) 리모컨 또는 마우스 등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포인터(P)의 위치를 확인한다.(206단계) 즉,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P)의 위치가 부화면(310)의 내부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80)는 포인터(P)의 위치가 도 4의 화면 예시도 (a)와 같이 포인터(P)가 부화면(310) 외부 즉, 주화면(300)에서 상기 부화면 내부로 포인터(P)가 이동함을 감지하면 상기 포인터(P)가 부화면(310)의 내부에 소정 시간 동아 존재하는지 판단한다.(208단계)
제어부(180)는 부화면(310)을 도 4의 화면예시도 (a)와 같이 투명으로 처리하거나 도 4의 화면 예시도 (b)와 (c)와 같이 화면의 외부 또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210단계)
즉, 제어부(180)는 도 3과 같이 주화면에 일부 영역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을 도 4의 화면예시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P)가 주화면(300)에서 부화면(310)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된 포인터(P)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 소정 시간 동안 존재하면 투명 처리하여 부화면(310)에 의해 가려졌던 주화면(300)이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화면 예시도 (b)는 부화면(310) 내부에 포인터(P)가 소정 시간 동안 존재하여 상기 부화면(310)의 주화면(300)의 외부로 사라지는 형태로 주화면(300)만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화면 예시도(c)는 부화면(310) 내부에 포인터(P)가 소정 시간 동안 존재하여 상기 부화면(310)이 주화면의 임의의 영역으로 이동(310)하여 디스플레이되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80)는 소정 시간 동안 포인터(P)가 부화면(310)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포인터(P)의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212단계)
제어부(180)는 포인터(P)가 드래그된 위치에 부화면(310)을 이동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214단계) 즉, 제어부(180)는 도 4의 화면 예시도(d)와 같이 부화면(310) 내부에 포인터(P)가 존재하나 상기 포인터(P)의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드래그된 포인터(P)가 위치하는 주화면(300)의 해당 영역에 부화면(3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이 부화면을 투명처리 또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 및 드래그된 상태에서 포인터(p)가 상기 디스플레이가 변경된 부화면(310)의 외부로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한다.(216단계)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된 부화면(310)의 내부에서 외부로 포인터(p)가 이동한 경우 상기 부화면(310)을 최초에 디스플레이된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형태로 복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도 5의 화면 예시도에서와 같이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투명 처리된 부화면(310)인 경우 포인터(P)가 상기 투명 부화면(310)의 내부에서 외부인 주화면(300)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투명 처리된 부화면(310)을 주화면(300)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던 원상태의 부화면(310)으로 복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웹 브라우저가 영상표시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방송 영상이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분할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부화면 디스플레이 상태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영상표시기기
110 : 통신부 120 : 사용자 입력부]
130 : 영상처리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오디오 처리부 160 : 오디오 출력부
170 : 메모리부 180 : 제어부

Claims (10)

  1. 주화면에 중첩되어 부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주화면 또는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화면에 중첩되어 부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출력되는 부화면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포인터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서 부화면 외부로 이동하면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 이전으로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 소정 시간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화면을 투명처리하여 상기 주화면을 상기 부화면 상위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 존재하고 상기 포인터의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포인터가 드래그된 위치로 상기 부화면을 이동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 이전으로 복구하는 단계는
    상기 부화면이 투명처리된 경우에는 부화면을 복구하여 상기 주화면에 중첩되게 출력하고,
    상기 부화면이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부화면을 이동 전 위치로 이동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주화면 또는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을 주화면 또는 부화면으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분리된 주화면 또는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포인터의 위치 이동 및 주화면 또는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주화면에 소정 영역에 중첩되어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주화면에 중첩되어 부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포인터가 부화면의 내부에 존재하며 상기 포인터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 소정 시간 이상 존재함을 감지하면 상기 부화면을 투명처리하고, 상기 포인터가 부화면의 내부에 존재하며 상기 부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포인터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드래그 위치에 따라 상기 부화면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포인터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서 부화면 외부로 이동하면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 이전으로 복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화면이 투명처리된 경우에는, 상기 주화면에 중첩되게 상기 부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 이전으로 복구하고,
    상기 부화면이 이동된 경우에는, 상기 부화면을 이동 전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 이전으로 복구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05638A 2012-01-18 2012-01-18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1907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638A KR101907212B1 (ko) 2012-01-18 2012-01-18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638A KR101907212B1 (ko) 2012-01-18 2012-01-18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792A KR20130084792A (ko) 2013-07-26
KR101907212B1 true KR101907212B1 (ko) 2018-10-11

Family

ID=4899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638A KR101907212B1 (ko) 2012-01-18 2012-01-18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2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15B1 (ko) * 2006-09-2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그의 pip 화면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682B1 (ko) * 2001-02-20 2003-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피아이피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50076448A (ko) * 2004-01-20 2005-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장치 및 그의 부 화면 처리방법
KR100739774B1 (ko) * 2005-12-12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Pip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15B1 (ko) * 2006-09-2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그의 pip 화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792A (ko) 201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1257A1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and user interfa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77020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EP2671148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displayed image information of a mobile media device on a large display and control of the mobile media device therefrom
US20150189358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20246678A1 (en) Distance Dependent Scalable User Interface
US20130050274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CN113330736A (zh) 一种显示器及图像处理方法
CN111405338B (zh) 一种智能画质的切换方法及显示设备
US20140298252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428548A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KR20100024260A (ko) 영상처리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30212629A1 (en) Television system operated with remote touch control
US9258509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creen thereof
CN111176603A (zh) 一种用于显示设备的图像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12543359A (zh) 一种显示设备及自动配置视频参数的方法
EP268829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4430492B (zh) 显示设备、移动终端及图片同步缩放方法
KR20120065689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CN111078926A (zh) 一种人像缩略图像的确定方法及显示设备
KR101907212B1 (ko)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
CN103782603B (zh) 用户界面显示的系统和方法
EP2934002B1 (en) Control of a cursor of a multimedia device
WO2021196432A1 (zh) 一种控件对应的内容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US8724028B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