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722B1 - Jig for pulling test - Google Patents

Jig for pulling t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722B1
KR101906722B1 KR1020170053796A KR20170053796A KR101906722B1 KR 101906722 B1 KR101906722 B1 KR 101906722B1 KR 1020170053796 A KR1020170053796 A KR 1020170053796A KR 20170053796 A KR20170053796 A KR 20170053796A KR 101906722 B1 KR101906722 B1 KR 10190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moving
jig body
groove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영진
배창환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3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7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7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axial thrust in a rotary shaft, e.g. of propulsion pl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7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involving a rotating movement, e.g. gearing, cam, eccentric, or centrifuge effe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 for testing drawing, disposed at a lower end of a jig body and the jig body, disposed in a moving groove formed in the jig body and the moving groove fixed to an apparatus for testing the drawing, and able to comprise a moving block to which a connector beam associated with a tube sheet is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nd securely fix a tube sheet connector beam through movement of the tube sheet connector beam formed at various intervals.

Description

인발시험용 지그{JIG FOR PULLING TEST}JIG FOR PULLING TEST

본 발명은 인발시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시트의 복수의 홀 간격에 상관없이 인발시험 과정에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인발시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ing test ji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wing test jig capable of being firmly fixed in a drawing test process regardless of a plurality of hole intervals of a tube sheet.

인발시험장치는 한 물체에 다른 물체를 용접, 체결 또는 일체로 가공한 후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기어 부착력 또는 인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시험하게 된다. The drawing test apparatus tests the adhesion force or the tensile force of the die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fter welding, fastening or integrally forming another object on one object.

도 1에는 인발시험장치(1)의 일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시험재료인 튜브시트(M)에 용접 부착된 돌출봉(M1)이 어느 정도의 부착력을 가지는 지를 시험하기 위해 튜브시트(M)의 하단은 지그(5)에 체결하고, 지그(5)는 인발시험장치(1)의 결합부(3)에 고정한다. Fig.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drawing test apparatus 1. Fig. The lower end of the tube sheet M is fastened to the jig 5 so as to test the degree of adhesion of the protruding bar M1 welded to the tube sheet M as a test material, (3) of the test apparatus (1).

그리고 돌출봉(M1)은 상단에서 암(2)으로 잡고 상방향으로 당기어 인발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Then, the protruding rod (M1) is gripped by the arm (2) at the upper end and the drawing test is performed in the upward direction.

도 2에는 종래 인발시험용 지그(5)의 일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튜브시트(M)의 복수의 홀에 체결되는 나사산(8a)를 구비하는 커넥터빔(8)이 지그바디(6)의 복수개로 부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지그바디(6)의 하단에는 고정구(7)이 배치되고, 핀홀(7a)이 있어, 인발시험장치(1)의 결합부(3)에 고정될 수 있다. Fig. 2 shows one form of a conventional pull-out test jig 5. Fig. A plurality of connector beams 8 having threads 8a fastened to a plurality of holes of the tube sheet M are attached to the jig body 6. [ A fixture 7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jig body 6 and has a pinhole 7a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engaging portion 3 of the draw test apparatus 1. [

그런데 종래 지그(5)는 커넥터빔(8)간의 간격이 고정되어 있어서, 복수 홀의 배치간격이 단일한 튜브시트(M)에만 적용될 수 있어, 다른 튜브시트(M)에 대해서는 별도 제작해야 하여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interval between the connector beams 8 is fixed in the conventional jig 5,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holes can be applied only to the single tube sheet M, there is a problem.

국내특허 공개번호 : KR 10-2010-0002545 A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 10-2010-0002545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시트의 복수의 홀 간격에 상관없이 인발시험 과정에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지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ig that can be firmly fixed in a drawing test regardless of a plurality of hole intervals of a tube sheet .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발시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지그바디와 상기 지그바디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인발시험장치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지그바디에 형성되는 복수의 이동홈 및 상기 이동홈에 배치되고, 튜브시트와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빔이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aw test jig comprising: a jig body; a fixtur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jig body and fixed to the draw test apparatus; a plurality of moving grooves formed in the jig body; And a plurality of moving blocks which are disposed in the moving grooves and to which a plurality of connector beams connected with the tube sheet are coup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홈은 상기 지그바디의 상단부에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는 상측홈과 상기 상부홈의 하측에서 상기 지그바디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는 중부홈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상측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빔이 결합되는 연결홈이 형성된 상부블록과 상기 중부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블록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groove includes an upper groov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jig body in the center direction and a middle groove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groove toward the center of the jig body, And a lower block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groove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iddle groove and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lock, the upper block having a connection groove to which the connector beam is coup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그바디의 상단에서 상기 이동홈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눈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cale portion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jig body, the scale portion being disposed adjacent to the movement groo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그바디와 상기 지그바디에 형성되는 복수의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에 배치되고, 튜브시트와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빔이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블록 및 상기 지그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블록과 연결되며 배치되고,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jig body, a plurality of moving grooves formed in the jig body, a plurality of moving blocks arranged in the moving groove and coupl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or beams connected to the tube sheet, And a gap adjusting mean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dapted to move the moving block along the moving groo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원통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지그바디의 하단부에 형성된 내부홈에 일단부가 삽입 배치되는 회전빔과 원뿔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회전빔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승강유닛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빔에 대응되는 개수로 연결되며 상기 승강유닛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유닛의 상하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adjusting means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with a rotating beam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an inner groove formed in a lower end portion of the jig body, And a guide unit connected to the elevation unit and the plurality of connector beams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nnector beams and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elevation unit and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elevation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회전빔의 외주면 일부에 배치되는 제1 나사산부 및 상기 제1 나사산부에 맞물리고, 상기 승강유닛의 중앙홀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2 나사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threaded portion disposed o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eam, and a second threaded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threaded portion,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일측부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승강홈에 배치되고, 타측부는 상기 이동블록의 하단에 연결되는 링크바 및 상기 링크바가 상기 승강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링크바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adjusting means includes a link bar having one side portion disposed in an elevating groove of the guide unit and the other side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moving block, And a release preventing plate disposed at one end of the link ba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회전빔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기 회전빔의 상단부와 상기 지그바디의 내부홈 사이에 밀접되며 배치되는 구름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adjus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cloud ball closely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beam and the inner groove of the jig body to smoo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ea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회전빔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기 회전빔에 밀접되며 상기 지그바디의 내부홈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adjus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bearing which is disposed in the inner groove of the jig body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ng beam so that the rotation beam is smoothly rot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승강유닛의 중심방향으로 복원되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유닛간에 연결되며 배치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adjus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connected to and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units so that the guide unit is restored to the center of the lift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시트의 복수의 홀에 체결되는 커넥터빔의 간격을 복수의 홀 간격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튜브시트의 돌출봉에 대한 인발시험에서 튜브시트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val of the connector beams to be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tube sheet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 intervals, and the tube sheet can be firmly fixed in the drawing test for the protruding rod of the tube sheet .

튜브시트마다 다양한 간격으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하나의 지그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튜브시트에 적용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튜브시트마다 개별적으로 지그를 적용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작업부하도 감소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tube sheets through a single jig, which is economical and it is not necessary to individually apply jigs to each tube sheet, .

도 1은 종래 인발시험용 지그가 사용된 인발시험장치의 일부 개략도.
도 2는 종래 인발시험용 지그에 대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인발시험용 지그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조립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인발시험용 지그의 제2 실시에에 대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측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part of a drawing test apparatus using a conventional drawing test jig.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jig for drawing test.
FIG. 3 is an assembly drawing of a first embodiment of a drawing test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3; FIG.
5 is a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drawing test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ure 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발시험용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drawing test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인 인발시험용 지그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조립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사시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wing test ji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인발시험용 지그(10)의 제1 실시예에서는 지그바디(11), 고정구(12), 이동홈(21) 및 이동블록(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3 and 4, the drawing test jig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ig body 11, a fixture 12, a moving groove 21, and a moving block 23 .

상기 지그바디(11)는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이고, 삼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jig body 11 is made of a metal having high rigidity and can be realized in a triangular shape.

상기 고정구(12)는 상기 지그바디(11)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인발시험장치의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12)상에는 인발시험장치의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핀홀(12a)가 가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The fixture 12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jig body 11 and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drawing test apparatus. The pinhole 12a may be formed on the fixture 12 so as to be fix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drawing test apparatu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이동홈(21)은 상기 지그바디(11)에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홈(21)은 상기 지그바디(11)의 상단부에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는 상측홈(21a)와 상기 상측홈(21b)의 하부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홈(21b)보다는 확장된 중부홈(21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grooves 21 may be formed in the jig body 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movement groove 21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jig body 11 in the center direction and in the center dir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groove 21b, And a central groove 21b formed in the center.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23)은 상기 이동홈(21)에 배치되고, 튜브시트와 연결되는 커넥터빔(25)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블록(23)은 상기 상측홈(21a)에 끼워지는 상부블록(23a)와 상기 중부홈(21b)에 끼워지는 하부블록(23b)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록(23a)에는 커넥터빔(25)의 제1 연결부(25a)가 나사산 체결되는 연결홈(23c)가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빔(25)의 제2 연결부(25b)는 튜브시트에 나사산 체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The moving block 23 is disposed in the moving groove 21, and a connector beam 25 connected to the tube sheet can be coupled. The moving block 23 is composed of an upper block 23a fitted in the upper groove 21a and a lower block 23b fitted in the middle groove 21b, The connection groove 23c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5a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5 is threaded can be machine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5b of the connector beam 25 may be a portion that is threadedly connected to the tube sheet.

또한 상기 지그바디(11)의 상단에서 상기 이동홈(21)에 인접하여 눈금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눈금부(30)의 단위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Also, the scale part 3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moving groove 21 at the upper end of the jig body 11. The unit of the scale unit 30 can be appropriately set as required.

사용자는 도 3에서와 같이 커넥터빔(25)의 제1 연결부(25a)를 이동블록(23)의 연결홈(23c)에 나사산 체결하고, 이동블록(23)을 이동홈(21)에 맞춰 끼운다. The user connect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5a of the connector beam 25 to the connecting groove 23c of the moving block 23 and screws the moving block 23 to the moving groove 21 as shown in FIG.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이동홈(21)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3개의 이동블록(23)을 이동홈(21)에 끼우고, 도 4에서와 같이 이동블록(23)을 이동홈(21)을 따라 이동시키며, 튜브시트의 홀 간격에 대응하여 이동블록(23)에 연결된 커넥터빔(25)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 moving blocks 23 are formed in the three moving grooves 21, and the user inserts the three moving blocks 23 into the moving grooves 21,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or beams 25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23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hole interval of the tube sheet.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튜브시트마다의 홀 간격에 상관없이 튜브시트를 단단히 고정하여 인발시험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sheet can be firmly fixed regardless of the hole interval of each tube sheet, so that the pull tes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인 인발시험용 지그의 제2 실시에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FIG. 5 is a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drawing test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도 5 및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인발시험용 지그(10)의 제2 실시예에서는 지그바디(11), 이동홈(21), 이동블록(23) 및 간격조절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5 and 6,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drawing test ji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jig body 11, the moving groove 21, the moving block 23 and the gap adjusting means 50 Lt; / RTI >

상기 지그바디(11)는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뤄지고, 삼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jig body 11 is made of a metal having high rigidity and can be realized in a triangular shape.

상기 이동홈(21)은 상기 지그바디(11)에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홈(21)은 상기 지그바디(11)의 상단부에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는 상측홈(21a)와 상기 상측홈(21b)의 하부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홈(21b)보다는 확장된 중부홈(2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grooves 21 may be formed in the jig body 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movement groove 21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jig body 11 in the center direction and in the center dir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groove 21b, And a central groove 21b formed in the center.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부홈(21b)의 하부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는 하측홈(2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간격조절수단(50)과 이동블록(23)의 연결 및 이동영역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wer groove 21c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groove 21b. This is to secure the connection and movement area of the gap adjusting means 50 and the moving block 23.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23)은 상기 이동홈(21)에 배치되고, 튜브시트와 연결되는 커넥터빔(25)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블록(23)은 상기 상측홈(21a)에 끼워지는 상부블록(23a)와 상기 중부홈(21b)에 끼워지는 하부블록(23b)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록(23a)에는 커넥터빔(25)의 제1 연결부(25a)가 나사산 체결되는 연결홈(23c)가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빔(25)의 제2 연결부(25b)는 튜브시트에 나사산 체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The moving block 23 is disposed in the moving groove 21, and a connector beam 25 connected to the tube sheet can be coupled. The moving block 23 is composed of an upper block 23a fitted in the upper groove 21a and a lower block 23b fitted in the middle groove 21b, The connection groove 23c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5a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5 is threaded can be machine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5b of the connector beam 25 may be a portion that is threadedly connected to the tube sheet.

또한 상기 지그바디(11)의 상단에서 상기 이동홈(21)에 인접하여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동거리에 관한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눈금의 단위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cale relating to the moving distance may be displayed adjacent to the moving groove 21 at the upper end of the jig body 11. The scale unit can be set appropriately as needed.

다음으로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은 상기 지그바디(11)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블록(23)과 연결되며 배치되고, 상기 이동블록(23)이 상기 이동홈(21)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 gap adjusting means 50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23 at a lower portion of the jig body 11 and is provided so that the moving block 23 is moved along the moving groove 21 .

이러한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은 회전빔(51), 승강유닛(58), 가이드유닛(57), 제1 나사산부(51b), 제2 나사산부(58a), 링크바(55), 이탈방지판(56), 구름볼(52), 베어링(53) 및 탄성체(5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gap adjusting means 50 includes a rotation beam 51, a lift unit 58, a guide unit 57, a first screw portion 51b, a second screw portion 58a, a link bar 55, A ball plate 52, a bearing 53, and an elastic body 59, as shown in Fig.

우선 상기 회전빔(51)은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형상으로 구현되며, 상기 지그바디(11)의 하단부에 형성된 내부홈(11a)에 일단부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하단에는 인발시험장치의 결합부에 고정되는 핀홀(51a)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결합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rotary beam 5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rotatable, and one end of the rotary beam 51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11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jig body 11. And a pinhole 51a fix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draw test apparatus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 coupling structure.

상기 승강유닛(58)은 원뿔 형상으로 구현되며, 상기 회전빔(51)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elevating unit 58 may be conically shaped and may be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eam 51.

이때 상기 회전빔(51)의 외주면 일부에는 제1 나사산부(51b)가 가공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유닛(58)의 중앙홀 내주면에는 제2 나사산부(58a)가 가공되어 있어, 서로 맞물리며 회전빔(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유닛(58)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롤 이뤄진다.At this time, a first threaded portion 51b is machined i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eam 51. A second threaded portion 58a is machi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hole of the elevating unit 58, The elevating unit 58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elevating unit 51.

그리고 상기 구름볼(52)은 상기 회전빔(51)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기 회전빔(51)의 상단부와 상기 지그바디(11)의 내부홈(11a) 사이에 밀접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53) 또한 상기 회전빔(51)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기 회전빔(51)에 밀접되며 상기 지그바디(11)의 내부홈(11a)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olling ball 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beam 51 and the inner groove 11a of the jig body 11 so as to smoothly rotate the rotating beam 51, The bearing 53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groove 11a of the jig body 11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ry beam 51 to smoo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beam 51. [

이때 내부홈(11a)에 베어링(53)과 회전빔(51)의 상단부를 끼워 넣고, 고정커버(54b)를 덮고 볼트(54a)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earing 53 and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beam 51 are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11a, and the fixing cover 54b is covered with the bolts 54a.

다음 상기 가이드유닛(57)은 상기 복수의 커넥터비에 대응되는 개수로 연결되며 상기 승강유닛(58)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유닛(58)의 상하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 guide units 57 are connect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nector ratios and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elevating unit 58. The guide units 57 are provided so as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ing unit 58 .

상기 가이드유닛(57)의 상단에는 승강홈(57a)가 형성되며, 상기 링크바(55)의 일측부는 상기 가이드유닛(57)의 승강홈(57a)에 배치되고, 타측부는 상기 이동블록(23)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An elevating groove 57a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guide unit 57. One side of the link bar 55 is disposed in an elevating groove 57a of the guide unit 57, 23).

상기 회전빔(51)이 회전하면, 나사산 연결된 상기 승강유닛(58)이 회전빔(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이드유닛(57)이 승강유닛(58)의 표면을 따라 중앙측으로 모이거나 외측으로 멀어지게 된다. When the rotating beam 51 rotates, the threaded coupling unit 58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eam 51. Thus, the plurality of guide units 57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unit 58, To the central side along th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상기 가이드유닛(57)은 링크바(55)에 의해 이동블록(23)과 연결되어 있어, 가이드유닛(57)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이동블록(23) 또한 이동홈(21)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 guide unit 57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23 by the link bar 55 so that the moving block 23 moves along the moving groove 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이때 상기 링크바(55)가 상기 승강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링크바(55)의 일단부에 이탈방지판(5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홈(57a)의 상단부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탈방지판(56)이 걸리면서 링크바(55)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a release prevention plate 56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link bar 55 so that the link bar 55 is not separated from the lift groove. A stepped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ifting groove 57a to prevent the link bar 55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ifting groove 57a.

여기서 복수의 가이드유닛(57)간에는 고정핀(59a)에 의해 탄성체(59)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59)를 분리할 때는 고정핀(59a)을 제거하면 된다. Here, the plurality of guide units 57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lastic body 59 by a fixing pin 59a. When separating the elastic body 59, the fixing pin 59a may be removed.

상기 탄성체(59)는 상기 가이드유닛(57)이 상기 승강유닛(58)의 중심방향으로 복원되도록, 상기 가이드유닛(57)간에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The elastic body 59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unit 57 so that the guide unit 57 is restored to the center of the elevating unit 58.

이는 상기 회전빔(51)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승강유닛(58)이 상승함에 따라 가이드유닛(57)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rotary beam 51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guide unit 57 moves outward as the lift unit 58 moves upward.

그런데 상기 회전빔(5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유닛(58)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유닛(57)은 별도의 복원력이 없으며, 승강유닛(58)의 중심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탄성체(59)가 탄성에 의해 복수의 가이드유닛(57)을 서로 당기며 승강유닛(58)이 하강할 때, 중심방향으로 모이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When the rotary beam 51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elevating unit 58 is lowered. At this time, the guide unit 57 does not have any restoring force and is not moved toward the center of the elevating unit 58. At this time, the elastic body 59 pulls the plurality of guide units 57 together by elasticity, and provides the restoring force so as to be gathered in the center direction when the lift unit 58 descend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이동홈(21)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3개의 이동블록(23)을 이동홈(21)에 끼우고, 도 6에서와 같이 간격조절수단(50)을 이동블록(23)에 연결하여 회전에 의해 이동홈(21)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며, 튜브시트의 홀 간격에 대응하여 이동블록(23)에 연결된 커넥터빔(25)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 moving blocks 21 are formed in the three moving grooves 21, and the user inserts the three moving blocks 23 into the moving grooves 21 and moves the distance adjusting means 5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or beams 25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23 corresponding to the hole interval of the tube sheet.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튜브시트마다의 홀 간격에 상관없이 튜브시트를 단단히 고정하여 인발시험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sheet can be firmly fixed regardless of the hole interval of each tube sheet, thereby effectively performing the pull test.

이상의 사항은 인발시험용 지그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The above items are only specific examples of the drawing test jig.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do.

10:인발시험용 지그
11;지그바디 12:고정구
21:이동홈 21a:상측홈
21b:중부홈 21c:하측홈
23:이동블록 23a:상부블록
23b:하부블록 23c:연결홈
25:커넥터빔 25a:제1 연결부
25b:제2 연결부 30:눈금부
50:간격조절수단 51:회전빔
51a:핀홀 51b:제1 나사산부
52:구름볼 53:베어링
54a:볼트 54b:고정커버
55:링크바 57:가이드유닛
58:승강유닛 58a:제2 나사산부
59:탄성체
10: Jig for drawing test
11: jig body 12: fastener
21: moving groove 21a: upper groove
21b: Middle groove 21c: Lower groove
23: moving block 23a: upper block
23b: lower block 23c: connecting groove
25: connector beam 25a: first connection
25b: second connection part 30:
50: space adjusting means 51: rotating beam
51a: pinhole 51b: first threaded portion
52: rolling ball 53: bearing
54a: bolt 54b: fixed cover
55: Link bar 57: Guide unit
58: lifting unit 58a: second screw portion
59: elastomer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그바디;
상기 지그바디에 형성되는 복수의 이동홈;
상기 이동홈에 배치되고, 튜브시트와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빔이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블록; 및
상기 지그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블록과 연결되며 배치되고,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원통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지그바디의 하단부에 형성된 내부홈에 일단부가 삽입 배치되는 회전빔;
원뿔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회전빔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승강유닛;
상기 복수의 커넥터빔에 대응되는 개수로 연결되며, 상기 승강유닛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유닛의 상하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유닛;
일측부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승강홈에 배치되고, 타측부는 상기 이동블록의 하단에 연결되는 링크바;
상기 링크바가 상기 승강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링크바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판; 및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승강유닛의 중심방향으로 복원되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유닛간에 연결되며 배치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시험용 지그.
Jig body;
A plurality of moving grooves formed in the jig body;
A plurality of moving blocks disposed in the moving grooves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connector beams connected to the tube sheet; And
And spacing adjusting mean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at a lower portion of the jig body for moving the moving block along the moving groove,
The gap adjusting means
A rotating beam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an inner groove formed in a lower end of the jig body;
A lift unit disposed in a conical shape and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eam;
A guide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or beams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nector beams, the guide unit being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elevation unit and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elevation unit;
A link ba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guide unit and a lower side of the guide block;
A release preventing plate disposed at one end of the link bar so that the link bar is not separated from the lift groove; And
An elastic body connected to and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units so that the guide unit is restored to the center of the lift unit;
And a jig for pulling test.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회전빔의 외주면 일부에 배치되는 제1 나사산부; 및
상기 제1 나사산부에 맞물리고, 상기 승강유닛의 중앙홀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2 나사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시험용 지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ap adjusting means
A first threaded portion disposed o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eam; And
A second threaded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threaded portion and dispos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 center hole of the elevat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jigs.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회전빔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기 회전빔의 상단부와 상기 지그바디의 내부홈 사이에 밀접되며 배치되는 구름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시험용 지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ap adjusting means
Further comprising a rolling ball disposed closely between an upper end of the rotating beam and an inner groove of the jig body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rotating bea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회전빔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기 회전빔에 밀접되며 상기 지그바디의 내부홈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시험용 지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ap adjusting means
Further comprising: a bearing disposed in the inner groove of the jig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ng beam so that rotation of the rotating beam can be smoothly performed.
삭제delete
KR1020170053796A 2017-04-26 2017-04-26 Jig for pulling test KR1019067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796A KR101906722B1 (en) 2017-04-26 2017-04-26 Jig for pulling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796A KR101906722B1 (en) 2017-04-26 2017-04-26 Jig for pulling t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722B1 true KR101906722B1 (en) 2018-10-10

Family

ID=6387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796A KR101906722B1 (en) 2017-04-26 2017-04-26 Jig for pulling t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72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78B1 (en) 2005-12-24 2007-06-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Jig for holding a shoulder in drawing test
JP2007284896A (en) * 2006-04-13 2007-11-01 Univ Chuo In situ shear strength measuring device and in situ shear strength measuring method
KR101371280B1 (en) * 2012-10-31 2014-03-07 대원강업 주식회사 Universal seat for durability tester of coiled sp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78B1 (en) 2005-12-24 2007-06-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Jig for holding a shoulder in drawing test
JP2007284896A (en) * 2006-04-13 2007-11-01 Univ Chuo In situ shear strength measuring device and in situ shear strength measuring method
KR101371280B1 (en) * 2012-10-31 2014-03-07 대원강업 주식회사 Universal seat for durability tester of coiled spr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경훈 외,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초음파 진동 인발기 설계 및 제작, 소성가공제19권제6호, 한국소성가공학회, 2010.10, pp363-37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68754B (en) Vibration test fixture
US10859478B2 (en) Biaxial load test specimen, biaxial load test apparatus, and biaxial load test method
US9677982B2 (en) Jig mounting device for material testing machine
KR101556244B1 (en) Testing apparatus for evaluating structural performance of structures
JPWO2007144929A1 (en) Material testing machine
CN107515090A (en) Battery system vibration-testing apparatus
KR101906722B1 (en) Jig for pulling test
JP2020094867A (en) Material tester
US9116079B2 (en) Dynamic test fixture
CN109141792B (en) Clamp applied to telemetering antenna vibration test
US11780038B2 (en) Clamping device and machining method
CN113109170A (en) Composite material long beam strength test device
KR200474951Y1 (en) lug load testing device
KR10183687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quare pipe
CN215677844U (en) Clamp holder of tensile testing machine
KR101752828B1 (en)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 member for cable tray support member
JP7485915B2 (en) Positioning fixture
KR102212052B1 (en) Multi-axis fatigue test jig constituting fatigue testing device
CN103149021A (en) Three-dimensional comprehensive loading fatigue test device for rubber damping product
JP6316699B2 (en) Suspended runner device for movable partitions
CN106437120A (en) Wall straddling support
KR102152525B1 (en) Welding jig for butt welding
KR101906723B1 (en) Test jig for shearing stress
JPWO2020065770A1 (en) Heavy object installation device
RU128264U1 (en) DEVICE FOR CENTERING LARGE-SIZED COMPONENT PARTS OF ASSEMBLY-Dismountable MECH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