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674B1 -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generating equipment based on 3D and a information managing method using the system - Google Patents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generating equipment based on 3D and a information managing method using th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674B1
KR101906674B1 KR1020160143100A KR20160143100A KR101906674B1 KR 101906674 B1 KR101906674 B1 KR 101906674B1 KR 1020160143100 A KR1020160143100 A KR 1020160143100A KR 20160143100 A KR20160143100 A KR 20160143100A KR 101906674 B1 KR101906674 B1 KR 101906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information
parts
specific
detai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7223A (en
Inventor
이진규
나광호
가흥문
백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Priority to KR102016014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674B1/en
Publication of KR2018004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6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전 장비 정보 관리에 대한 정보 접근성 및 정보 조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3D 도면을 기반으로 한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세부 부품에 대한 3D 도면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보 또는 도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DB와, 입력된 3D 도면 데이터를 DB에 수록된 해당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DB에 저장된 정보와 매핑시키는 매핑 수행부와; 작업자가 3D도면이 나타난 화면상에서 특정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을 선택하고, 이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조회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정보 조회 또는 현황 정보 조회 또는 조립/해체 정보 조회를 선택한 경우, 화면에, 선택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를 3D도면과 하나의 화면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based power gener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of managing equipment information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gener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3D drawings,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equipment information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interface for inputting 3D drawing data of at least one component assembly or a detailed component constituting a component assembly; A DB for storing information on detailed parts of each part assembly or each part assembly or drawing data; a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input 3D drawing data with information stored in a detailed part DB of the corresponding part assembly or part assembly included in the DB; When the operator selects a specific part assembly or detailed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on the screen in which the 3D drawing is displayed and selects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component assembly / parts information inquiry, status information inquiry,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nquiry, ,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parts assembly or the detailed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or the component assembly / parts detail specification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r the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single screen with the 3D drawing Based gener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escription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generating equipment based on 3D and a information managing method using the system }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based power gener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an apparatu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전 장비 정보 관리에 대한 정보 접근성 및 정보 조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3D 도면을 기반으로 한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based power gener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of managing equipment information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gener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3D drawings,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equipment information using the same.

하나의 발전소에는 복수의 발전호기가 구비되며, 각각의 발전호기에는 여러가지 부품 조립체(예, 터빈 부품 조립체) 및 각각의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세부 부품들(예, 케이싱, 터빈 블레이트, 블레이드 샤프트 등)으로 구성된다.A power plan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units, and each power generation unit includes various component assemblies (e.g., turbine component assemblies) and detailed components (e.g., casings, turbine blades, blade shafts, etc.) ).

각각의 부품 조립체는 수백 또는 수천개의 세부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부품 조립체나 세부 부품의 경우, 주기적으로 점검 관리되고 교체되어야 한다. Each component assembly consists of hundreds or thousands of sub-components, which must be periodically checked and replaced in the case of component assemblies or sub-components.

이러한 관리시스템은 한국등록특허 10-1329395에 나타난다. Such a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329395.

그런데, 종래 관리 방법에 의하면 부품 조립체나 부품의 2d 도면 정보와, 이에 대한 상세 스펙정보나 현황 정보가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이를 비교하면서, 일일히 점검하고, 정비 이력 또한 텍스트 기반으로 되어 있어서 이를 조회하고 비교 점검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anagement method, the 2d drawing information of the parts assembly and the parts, the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thereof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y are checked one by one while comparing them, and the maintenance history is also text- There was a great difficulty in comparing and checking.

그리고, 신규 관리자에게 정비 및 관리 교육을 함에 있어서, 2D 기반의 자료로만 제공이 되어 접근성 및 전달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provid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training to the new manager, it is provided only as 2D-based data, and the accessibility and the achievement of the achievement are remarkably deteriorated.

또한, 부품 조립체의 해체 및 조립의 경우, 그 순서가 매우 중요한데,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전달자료가 없었기 때문에 부품 조립체의 관리 및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대두되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disassembly and assembly of parts assemblies, the order is very important, and since there is no specific and effective delivery data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n effective system for the management and training of parts assemblies.

본 발명은 부품 조립체 또는 이를 구성하는 상세 부품에 대한 3D 도면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3D도면 데이터를 각각의 부품 조립체 또는 상세 부품에 대한 상세 정보와 매핑시킴으로써,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정보 접근성 및 학습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3D drawing data for a component assembly or its detailed components and maps acquired 3D drawing data with detailed information about each component assembly or detail component to provide a user with accessibility and learning And a method of managing equipment information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3D 도면 기반으로 부품 조립체의 조립 또는 해체를 위한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gener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more systematically managing information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a parts assembly based on a 3D drawing and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a method of managing equipment information using the same hav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세부 부품에 대한 3D 도면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보 또는 도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DB와, 입력된 3D 도면 데이터를 DB에 수록된 해당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DB에 저장된 정보와 매핑시키는 매핑 수행부와; 작업자가 3D도면이 나타난 화면상에서 특정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을 선택하고, 이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조회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정보 조회 또는 현황 정보 조회 또는 조립/해체 정보 조회를 선택한 경우, 화면에, 선택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를 3D도면과 하나의 화면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interface for inputting 3D drawing data of at least one component assembly or a detailed component constituting a component assembly; A DB for storing information on detailed parts of each part assembly or each part assembly or drawing data; a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input 3D drawing data with information stored in a detailed part DB of the corresponding part assembly or part assembly included in the DB; When the operator selects a specific part assembly or detailed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on the screen in which the 3D drawing is displayed and selects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component assembly / parts information inquiry, status information inquiry,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nquiry, ,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parts assembly or the detailed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or the component assembly / parts detail specification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r the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single screen with the 3D drawing Based gener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상기 DB는; 부품 조립체 DB와,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정보DB와,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3D 도면 데이터 DB와,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상세 정보 DB와;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점검 이력 DB와;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해체 또는 조립 정보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B comprises: A detailed component information DB for each component assembly, a detailed component 3D drawing data DB for each of the component assembly and the component assembly, a detailed component detailed information DB for each of the component assembly and the component assembly, A detailed part check history DB for each part assembly and each part assembly; And a detailed component disassembly or assembly information DB for each of the component assembly and the component assembly.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상세 정보 DB는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의 상세 스펙 정보와; 교체 대상 세부 부품 정보와; 부품 재고 현황 정보와; 수리 또는 교체 현황 정보와; 점검값 변경 현황 정보를 수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tailed information DB of each part assembly and each part assembly includes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iled parts of the parts assembly and the parts assembly; Replacement subject part information; Parts inventory status information; Repair or replacement status information; And the check status change status information.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의 정비 이력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의 3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에 매핑된 정비 이력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 specific detail part constituting a specific part assembly or a specific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ted and a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inquiry of a specific detail part constituting the selected specific part assembly or a specific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ted, The 3D history of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mapped thereto is displayed on the screen.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의 상세 스펙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의 3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에 매핑된 상세 스펙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 specific detail part constituting a specific part assembly or a specific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ted and a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inquiry of a specific detail part constituting the selected specific part assembly or a specific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ted, The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mapped to the 3D drawing of the component assembly or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displayed on the screen.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의 현황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의 3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에 매핑된 현황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현황 정보는 교체 대상 세부 부품 정보와, 부품 재고 현황 정보와, 수리 또는 교체 현황 정보와, 점검값 변경 현황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 specific detail component constituting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and a status information inquiry of a specific detail component constituting the select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ted, A 3D drawing of an assembly or a specific part assembly is displayed on a screen, and the status information mapped to the 3D draw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parts to be replaced, parts inventory status information, And the check value change status information.

특정 부품 조립체에 대한 조립 또는 해체 순서를 3D 기반으로 시각적이며 시계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부품 조립체 세팅 항목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조립 또는 해체 순서에 맞게 복수의 세부 부품이 각각 선택되어 입력되고, 선택되어 입력된 복수의 세부 부품이 선택된 순서대로 리스트에 입력되고, 선택 및 추가가 완료되고, 조립 또는 해체 시뮬레이션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각각 분리되어 표시된 세부 부품들이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과정을 3D 기반 하에서 시계열적으로 선택된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조립되어 있는 특정 부품 조립체가 각각의 세부 부품으로 분리되어 해체되는 과정을 3D 기반하에서 시계열적으로 선택된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mponent assembly setting item for visually and chronologically displaying the assembling or disassembling order for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n the basis of 3D is selected and input and a plurality of detailed components are selected and input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assembly or disassembly order and selected When the inputted plurality of detailed parts are inputted to the list in the selected order, the selection and addition are completed, and the assembly or disassembly simulation button is selected, the control part performs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eparated detailed parts to constitute a specific part assembl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timely manner selected on a 3D basis, or a process in which the assembled specific parts assembly is separated into individual parts and disassembled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time-series selected order based on 3D .

외부의 통신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의 통신 단말기 중 인증된 단말기의 3D 도면이 나타난 화면상에서 특정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을 선택되고, 이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조회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정보 조회 또는 현황 정보 조회 또는 조립/해체 정보 조회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 요청된 단말기에 선택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가 3D도면과 하나의 화면에서 표시하도록 해당 정보를 입력 요청된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control part selects a specific component part or a detailed component for each component assembly on the screen in which the 3D drawing of the authenticated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inquiry, the parts assembly / parts information inquiry, the status information inquiry, the assembling / disassembling information inquiry request are input,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parts assembly or the detailed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selected for the terminal requested to be input,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r assembling / disassembl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3D drawing and one screen.

한편, 본 발명은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세부 부품의 3D 도면 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와; 입력된 3D 도면 데이터를, 해당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세부 부품의 정비 이력 정보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를 매핑시키는 단계와; 화면상에서 특정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이 선택되고, 이에 대한 이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조회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정보 조회 또는 현황 정보 조회 또는 조립/해체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화면에, 선택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를 3D도면과 하나의 화면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putting 3D drawing data of a subassembly and a subassembly constituting a part assembly; Mapping the input 3D drawing data to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parts and the detailed parts constituting the component assembly or the component assembly / parts detail specification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r the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f a specific part assembly or a detailed part for each part assembly is selected on the screen and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inquiry or parts assembly / parts information inquiry, status information inquiry, or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nquiry are selected and inputted, And displaying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parts assembly or the detailed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or the parts assembly / parts detail specification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r the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on a single screen with the 3D drawing. Provides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power plant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이 선택되어어 입력되고,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의 정비 이력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의 3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에 매핑된 정비 이력 정보가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 specific detail part constituting a specific part assembly or a specific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and a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inquiry of a specific detail part constituting the selected specific part assembly or a specific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ted, Or the 3D history of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mapped thereto is displayed on the screen.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의 상세 스펙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의 3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에 매핑된 상세 스펙 정보가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 specific detail component constituting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ted and a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inquiry of a specific detail component constituting the select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ted, And the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mapped thereto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state in which the 3D drawing of the specific part assembly is displayed on the screen.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의 현황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의 3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에 매핑된 현황 정보가 화면에 표시하되, 현황 정보는 교체 대상 세부 부품 정보와, 부품 재고 현황 정보와, 수리 또는 교체 현황 정보와, 점검값 변경 현황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 specific detail part constituting a specific part assembly or a specific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ted and a current status information inquiry of a specific detail part constituting the selected specific part assembly or a specific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ted, The 3D drawing of the part assembly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tatus information mapped to the 3D draw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replacement target part, parts inventory status, repair or replacement status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특정 부품 조립체에 대한 조립 또는 해체 순서를 3D 기반으로 시각적이며 시계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부품 조립체 세팅 항목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조립 또는 해체 순서에 맞게 복수의 세부 부품이 각각 선택되어 입력되고, 선택 및 추가가 완료되고, 조립 또는 해체 시뮬레이션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각각 분리되어 표시된 세부 부품들이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과정을 3D 기반 하에서 시계열적으로 선택된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조립되어 있는 특정 부품 조립체가 각각의 세부 부품으로 분리되어 해체되는 과정을 3D 기반하에서 시계열적으로 선택된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mponent assembly setting item for visual and time-based display on the 3D-based assembly or disassembly order for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and a plurality of detailed components are selected and input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assembly or disassembly order, When the addition is completed and the assembly or disassembly simulation button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causes each of the separated detailed parts to be assembled so as to form a specific part assembly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time series selected order based on 3D, or And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assembling the assembl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nto separate parts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time-sequentially selected order based on 3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3D 도면을 제공하여 보다 입체감 있는 장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동시에, 관리에 관련되는 각종 정보를 각 장비의 도면에 연계시킬 수 있어서 접근이나 학습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3D information by providing 3D drawings,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management can be linked to drawings of each equipment, so that access and learning can be facilitated.

관리 측면에서도 3D 도면과 각종 정보를 매핑할 수 있으므로 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From the aspect of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map 3D drawings and various information, so that more systematic management becomes possible.

그리고, 장비의 조립과 해체에 관하여 시계열 기반으로 조립 및 해체 순서를 보여주기 때문에 엄격한 안전 기준이 필요한 장비의 관리에 대한 인수인계 및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nd because it shows assembly and disassembly order based on time series about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of equipment, transferring and training of management of equipment requiring strict safety standards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또한,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고, 3D 기반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달하거나 외부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어서, 현장에서의 관리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정보 업데이트도 보다 현장 친화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lso,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3D-based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or to upd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outsid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in the field, have.

도1은 본 발명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하여 특정 발전 호기의 초기 화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3D 도면과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순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하여 특정 발전 호기에서 특정 부품 조립체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하여 특정 부품 조립체와 그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팝업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하여 특정 부품 조립체가 나타나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서 객체 선택 후 여러 정보를 조회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서 선택된 객체의 정비/점검 이력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에서 선택된 객체의 상세 스펙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에서 선택된 객체의 현황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에서 조립/해체 순서 정보를 세팅하고 이를 보기 위한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2 내지 도13은 본 발명에서 해체 순서를 세팅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에서 해체 순서를 보기 위하여 세팅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15 내지 도16은 본 발명에서 해체 순서가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에서 다른 객체에 대해서 해체 순서가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과 외부 단말기 간의 통신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itial screen of a specific power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of a process for mapping information and 3D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selected in a specific power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p-up window for mapping information to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of certain component assembl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trol flowchart of a case where various information is inquired after selecting an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maintenance / inspection history information of an object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current status information of an object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low chart for setting and displaying assembly / disassembly ord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3 show screens for setting the disassembly procedur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shows a screen for setting the disassembly ord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s. 15 to 16 illustrate a screen in which the order of disassembly is display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shows a screen in which a disassembly order is displayed for other objects in the present invention.
18 shows a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ternal termina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이하 '관리 시스템'이라 한다)(100)은 외부의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0)를 구비한다.1, a 3D-based power gener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external data or receiving commands .

입력부(110)는 3D 스캐너(미도시)에 의하여 생성된 발전호기,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상세 부품의 3D 도면 데이터(D)가 입력되거나,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부분이다.The input unit 110 receives the 3D drawing data D of detailed parts constituting the power generation unit, the component assembly and the component assembly generated by the 3D scanner (not shown) or receives the user's command.

입력부(110)의 예로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터치패드, 키보드, 기타 입력용 하드웨어) 및 데이터 입력 포트가 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input unit 110 include a user input interface (a touch pad, a keyboard, and other input hardware) and a data input port.

3D 도면 데이터(D)는 실제 부품 조립체나 세부 부품을 3D 스캐너로 취득하여 전달받거나 아니면 렌더링 된 3D 도면 데이터를 복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The 3D drawing data D can be obtained by acquiring an actual part assembly or a detail part with a 3D scanner and receiving it or by copying rendered 3D drawing data.

이 경우 3D 도면 데이터(D)는 3D 파일 포맷인 ACIS / IGES / JT / PARASOLID / PRC / PDFPRC / STEP / STL / U3D / VRML 등의 형식으로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case, the 3D drawing data D is preferably received in the form of a 3D file format ACIS / IGES / JT / PARASOLID / PRC / PDFPRC / STEP / STL / U3D / VRML.

또한 관리 시스템(100)은 통신부(120)를 구비하는데, 통신부(12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주로 외부의 단말기(T)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ystem 100 also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20.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본 발명에 의한 관리시스템(100)은 현장 관리 담당자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어 데이터의 송수신, 업로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Th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terminal held by a site manager,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upload and download data.

따라서, 현장에 있는 관리 담당자는 자기가 보유한 단말기(T)로 본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서 관리 업무에 활용할 수 있고, 관리 업무 중에서 획득한 정보나 데이터를 관리 시스템(100)에 전송하여 정보가 그때그때 업데이트 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management representative in the field can access the management system 100 by using the terminal T possessed by the user, download the data and utilize the data in the management work, To allow the information to be updated at that time.

또한, 관리 시스템(100)은 정보 분류 수행부(13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system 100 includes an information classification unit 130.

정보 분류 수행부(130)는 입력부(110) 또는 통신부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의 포맷이나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분류하고, 이를 후술할 DB에 전달하여 DB에 카테고리 별도 수록되도록 분류하는 역할을 한다.The information classification performing unit 130 classifies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or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data or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a DB to be described later, .

DB(140)는 관리 시스템에 수록되는 모든 정보가 수록되는 요소이다.The DB 140 is an element that stores all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system.

DB(140)는 여러가지 세부 DB로 분류될 수 있다. The DB 140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DBs.

여기서 세부DB는 저장 영역으로도 불릴 수 있다. Here, the detailed DB can also be referred to as a storage area.

즉, 발전호기(예, 제1호기,제2호기 등) DB(141)와, 각 발전호기별 부품 조립체(예, 터빈 부품 조립체, 덕트 부품 조립체 등)DB(142)와,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예, 터빈 블레이트, 샤프트 등)DB(143)와, 도면 DB(144)를 포함한다.That is, the DB 141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e.g., the first unit, the second unit, etc.), the DB 142 of the component assemblies (e.g., turbine component assembly and the duct component assembly) A part (e.g., turbine blades, shafts, etc.) DB 143, and a drawing DB 144.

여기서 도면 DB(144)에 수록되는 도면 발전호기별,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별 도면이며, 도면은 위에서 언급한 3D도면 뿐만 아니라 기존의 책자나 종이, PDF 형태로 제공되는 2D 도면을 포함한다.Here, the drawings are included in the drawing DB 144, the drawings are by development unit, the parts assembly, and the detailed parts, and the drawings include 2D drawings provided in the form of existing booklets, paper, and PDF as well as the 3D drawings mentioned above.

또한, DB(140)는 각 발전호기 및 부품 조립체, 세부 부품별 점검 이력이 수정비/점검 이력 DB(145)를 포함한다.Also, the DB 140 includes a maintenance / maintenance history DB 145 for each power generation unit, parts assembly, and detailed parts maintenance history.

그리고, DB(140)는 세부 스펙 정보 DB(146)와 현황 정보 DB(147)를 포함한다. 세부 스펙 정보 DB(146)에는 발전호기별/부품 조립체별/세부 부품별 상세 스펙 정보가 수록된다The DB 140 includes a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DB 146 and a status information DB 147.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DB 146 stores detail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power generation unit / component assembly / detail parts

그리고, 현황 정보 DB(147)에는 세부 부품별 교체 대상 현황 정보, 세부 부품별 재고 현황 정보, 세부 부품별 수리/교체 현황 정보, 세부 부품별 점검값 변경 현황 정보가 수록된다. In addition, the status information DB 147 contains information on the replacement status of each sub-part, inventor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sub-part, repair / replacement status information for each sub-part, and status change status for each sub-part.

예를 들어 터빈 블레이드의 에지 부분의 마모값, 또는 물성치 등이 점검시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점검시마다 본 관리 시스템(100)에 반영하는데, 이러한 변경값은 부품별 점검값 변경 현황 정보에 수록된다. For example, the abrasion value or material property of the edge portion of the turbine blade may be changed at the time of inspection, and it is reflected in the management system 100 at the time of inspection. Such a change value is recorded i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inspection value change by each part.

또한, DB(140)는 부품 조립체 또는 세부 부품별 조립 순서 또는 해체 순서가 3D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조립/해체 정보 DB(148)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B 140 includes an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DB 148 that provides information that can be visually provided based on a 3D assembly or assembly order or disassembly order based on the 3D drawings.

한편, 본 관리 시스템(100)은 정보 매핑 수행부(150)를 포함한다. The management system 100 includes an information mapping unit 150.

정보 매핑 수행부(150)는 입력된 발전호기별/부품 조립체별/세부 부품별 3D 도면 데이터를 DB(140)에 저장된 부품 조립체별/세부 부품별 정보(정비/점검 이력 정보, 상세 스펙 정보, 부품별 교체 대상 현황 정보, 부품별 재고 현황 정보, 부품별 수리/교체 현황 정보, 부품별 점검값 변경 현황 정보)를 매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information mapping performing unit 150 stores the 3D drawing data for each power generation unit, each part assembly, and the detailed parts, inputted, by the information of the parts assembly / detailed parts (maintenance / inspection history information,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The status of the replacement status of each part, the inventory status information of each part, the repair / replacement status information of each part, and the status change status information of each part).

후술하겠지만,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세부 부품의 3D 도면이나, 부품 조립체/세부 부품 디렉토리를 선택하고, 조회하고자 하는 정보 항목 버튼(예, 정비/점검 이력정보, 상세 스펙 정보)를 선택하면, 정보 매핑 수행부(150)에 의하여 매핑된 각종 정보가 선택된 항목에 따라서 화면에 표시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anagement system 100 allows the manager to select a 3D drawing of a specific part assembly or a specific detail part, a part assembly / detail part directory, and displays an information item button (for example, maintenance /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the various information mapped by the information mapping performing unit 150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elected item.

한편, 설명하지 않은 도면 부호 160는 출력부로서 대표적으로 모니터가 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Meanwhile, reference numeral 160, which is not described, may represent a monitor as an output uni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70)는 관리 시스템(100)의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데이터의 입력, 출력, 정보 분류, 정보 매핑,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은 제어부(170)의 제어하에서 수행된다. The control unit 170 is a means for controlling all components of the management system 100. Data input, output, informa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mapping, and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ar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

도2는 본 시스템에서 특정한 발전호기(예, 8호기) 전체의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좌측에는 발전호기의 이름이 상위 디렉토리를 구성하고, 그 아래에 여러가지 부품 조립체들이 하위 디렉토리를 구성한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entirety of a specific power generation unit (for example, No. 8) in the present system. On the left side, the name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constitutes a parent directory, and below this, various component assemblies constitute a subdirectory.

현재 3D 도면 데이터와 각 디렉토리에 있는 정보들은 매칭이 되지 않은 분리된 상태이다. The current 3D drawing data and the information in each directory are in an unmatched separate state.

따라서, 3D 도면 데이터와 발전호기/발전부품 조립체/세부 부품의 정보에 대한 매칭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refore, matching of the 3D drawing data with the information of power generation / power generation parts assembly / detail parts should be made.

도3은 도면 데이터와 정보의 매칭을 위한 순서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4와 도5는 매핑을 위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a sequence flow for matching the drawing data with information, and FIG. 4 and FIG. 5 show screens for mapping.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발전호기(예, 제8호기) / 부품 조립체(예, 케이싱) / 세부 부품(예, 케이싱을 구성하는 세부 부품)에 대해서 스캔을 수행하고(S301), 3D 스캔 데이터를 소정의 포맷에 맞게 생성한다(S302). As shown in Fig. 3, a scan is performed on each power generation unit (e.g., eighth unit) / component assembly (e.g., casing) / detailed components (e.g., The scan data i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at (S302).

그리고 생성된 3D 스캔 데이터를 본 발명에 의한 관리 시스템에 입력하고 (S303), 입력된 3D 스캔 데이터를 각각의 발전 호기/부품 조립체/세부 부품 정보와 매핑시킨다(S304).Then, the generated 3D scan data is input to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303), and the input 3D scan data is mapped to each power generation unit / part assembly / detail part information (S304).

즉,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부품 조립체(빨간색으로 표시)을 선택하고, 매핑을 위해서 'part mapping' 버튼을 누르면 도5와 같은 팝업창(3D part 부품 연계) 화면이 나타나면서 수록된 정보를 선택된 3D 도면과 매핑을 시킬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a specific part assembly (indicated by red) is selected and a 'part mapping' button is clicked for mapping, a popup window You can map to the selected 3D drawing.

팝업창에는 분류 구분(대분류/중분류)등이 나타나고, 이들을 구성하는 세부 부품들이 상위-중위-하위 디렉토리 형태로 배열된다. In the pop-up window, classification division (major classification / subdivision classification) appears, and the detailed parts constituting these are arranged in the form of upper-middle-lower directory.

이와 같이 3D 도면과 정보가 매핑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매핑 작업 이후에, 정보 조회가 필요한 발전호기/발전부품 조립체/세부 부품을 도면상에서 선택하거나, 아니면 디렉토리 상에서 클릭 한후, 정보 종류(정비 이력 정보, 상세 스펙 정보, 현황정보, 조립/해체 순서 정보)를 선택하면, 그에 맞는 정보가 3D 도면과 함께 화면에 표시된다. When the 3D drawing and the information are mapped in this manner, after the mapping operation, the power generation / power generation component assembly / detail parts requiring information inquiry are selected on the drawing or clicked on the directory, and the information type Information,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ssembly / disassembly order information) is selec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3D drawing.

도6은 좌측에 있는 디렉토리 상에서 특정 부품 조립체의 명칭(Casing)을 클릭한 경우, 해당 부품 조립체만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 state in which only the component assembly is displayed when the name of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clicked on the directory on the left side.

즉, 정보가 매핑된 이후에, 도4와 같은 화면에서 특정 부품 조립체(예, 케이싱)을 선택한 경우(도6와 같이), 그 부품 조립체를 제외한 모든 부품 조립체는 없어지고 선택된 부품 조립체만 화면에 표시된다.That is, after the information is mapped, if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e.g., casing) is select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 (as in FIG. 6), all component assemblies except the component assembly are removed and only the selected component assembly is displayed Is displayed.

이를 통해서, 관리자는 해당 부품 조립체의 명칭과 실제 외관을 연계시켜 보다 체계적으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manager can acquire knowledge more systematically by linking the name of the part assembly and the actual appearance.

이는 부품 조립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상위인 발전호기, 그 하위인 세부 부품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명칭과 외관을 연계시킬수 있다. This is not limited to the component assembly, but it can be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subordinate components, and the name and the appearance can be linked.

한편, 3D 도면과 여러 정보가 매핑된 상태에서 여러가지 정보를 조회하는 경우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On the other hand, let's look at a case where a 3D drawing and various information are mapped and various information is inquired.

도7은 발전호기/부품 조립체/세부 부품을 선택한 이후, 선택된 객체에 대한 점검이력 정보 또는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를 조회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nquiring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the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of the selected object after selecting the power generation unit / component assembly / detailed parts.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는 화면상에서 3D 도면상에 나타난 객체(발전호기/ 발전부품 조립체/ 세부 부품)을 클릭하거나, 객체의 명칭을 디렉토리에서 선택하거나 검색창에서 객체의 명칭을 입력하여 정보를 조회할 객체를 선택한다(S710).As shown in Fig. 7, the manager clicks the object (power generation unit / power generation component assembly / detail part) displayed on the 3D drawing on the screen, selects the object name in the directory, or inputs the object name in the search window An object to be searched for information is selected (S710).

객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는 어떤 정보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720).If the object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ich information item has been selected (S720).

여기서, 정비/점검 이력 정보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객체의 정비/점검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데(S730), 이러한 화면은 도4와 도8에서와 같이 나타난다.Here, when the maintenance / inspection history information is selected, the maintenance / inspec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selected object is displayed (S730), and such a screen appears as shown in FIGS.

즉, 도4에서와 같이 특정한 객체를 3D 도면상에서 클릭하거나(빨간색으로 변색됨) 특정한 객체를 디렉토리 상에서 선택하거나 검색창에서 텍스트 입력을 한 후, 디렉토리창 위에 있는 '이력 정보'를 클릭하면,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객체와 관련된 정비/점검 이력 정보가 시계열 적으로 표시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a specific object is clicked on the 3D drawing (it changes color to red) or a specific object is selected on the directory or text input is made on the search window and then the 'history information' As shown in FIG. 8, maintenance / inspection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is displayed in a time-series manner.

도8의 정비/점검 이력 정보는 도면 위에 겹쳐지게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tenance / inspection history information shown in Fig. 8 is superimposed on the figure.

이를 통해서 관리자는 입체적인 도면을 통해서 해당 객체의 위치나 형상, 다른 객체와의 결합/연결 관계를 인식하면서도, 해당 객체의 정비/점검 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administrator can inquire the maintenance / inspection history of the object while recognizing the position, shape, and connection / connection relation of the object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drawing.

한편, 관리자가 S720 단계에서 객체의 상세 스펙 정보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객체의 상세 스펙 정보를 표시하는데(S740), 이러한 화면은 도4와 도9에서와 같이 나타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dministrator selects the detail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n step S720, the detail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object is displayed (S740), and such a screen appears as shown in FIG. 4 and FIG.

즉, 도4에서와 같이 특정한 객체를 3D 도면상에서 클릭하거나(빨간색으로 변색됨) 특정한 객체를 디렉토리 상에서 선택하거나 검색창에서 텍스트 입력을 한 후, 도면 위쪽에 있는 'part info' 버튼을 클릭하면,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객체와 관련된 상세 스펙 정보가 테이블 형태로 표시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a specific object is clicked on a 3D drawing (it turns red), a specific object is selected on the directory, or text is entered in the search window, and a 'part info' As shown in FIG. 9, the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table.

이 테이블은 객체의 도면위에 겹쳐지게 나타날 수 있다. This table may appear superimposed on the drawing of the object.

그리고, 상세 스펙 정보의 팝업창의 상부에는 탭 형태로 목록, 상세 정보, 사용이력, 재고/입출고 이력, 자료 도면(2D 도면 및 3D 도면), 사용 부품 조립체 항목이 나타난다.At the upper part of the pop-up window of the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a list, detailed information, history of use, inventory / output history, data drawing (2D drawing and 3D drawing), and used parts assembly items are displayed in tab form.

이러한 탭 버튼을 각각 누르면,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By pressing each of these tap buttons, related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한편, 관리자가 S720 단계에서 객체의 현황 정보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객체의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데(S750), 이러한 화면은 도4와 도10에서와 같이 나타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dministrator selects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object in step S720,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object is displayed (S750), and such a screen appears as shown in FIG. 4 and FIG.

즉, 도4에서와 같이 특정한 객체를 3D 도면상에서 클릭하거나(빨간색으로 변색됨) 특정한 객체를 디렉토리 상에서 선택하거나 검색창에서 텍스트 입력을 한 후, 화면상에 나타난 '현황 정보' 버튼을 클릭하면,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객체의 도면 위에 해당 객체와 관련된 현황 정보가 표시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a specific object is clicked on a 3D drawing (changed to red) or a specific object is selected on a directory or a text is input in a search window, a 'status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0,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is displayed on the drawing of the object.

여기서 현황 정보는 교체 대상 현황, 부품 재고 현황, 수리 및 교체 현황, 점검값 변경 현황이며, 이는 선택된 객체가 분해된 상태에서 나타난다.Here,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is the status of the replacement object, the parts inventory status, the repair and replacement status, and the inspection value change status, which are displayed when the selected object is disassembled.

그리고, 현황 정보는 교체 대상이나, 수리/교체 현황의 경우, 시기별로 구분(예, 현재로부터 1년이내, 2년 이내, 3년 이내)로 구분되거나, 재고 현황의 경우 보유하고 있는 수량별로 구분(예, 없음, 5개 이상, 10개 이상)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구분의 표시는 해당되는 세부 부품에 대해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다. In addition, the status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as a replacement target or a repair / replacement status according to the time (eg, within one year from the present, within two years, within three years) (Eg, no, more than 5, more than 10), and each division mark is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for the corresponding parts.

한편, 관리자가 S720 단계에서 객체의 조립/해체 정보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객체의 조립/해체 정보를 표시한다(S760).On the other hand, if the administrator selects the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of the object in step S720, the assembling / disassembl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object is displayed (S760).

보통 하나의 부품 조립체(예, 케이싱)은 여러개의 세부 부품(예, 프레임, 커버, 체결 부재) 등으로 구분되는데, 엄격한 안전 기준 때문에 조립 또는 해체 순서는 엄격하게 준수되어야 한다.Usually, one component assembly (eg, casing) is divided into several sub-components (eg, frame, cover, fastener), etc. Due to strict safety standards, assembly or disassembly procedures must be strictly followed.

다만, 이러한 조립 또는 해체 순서에 대해서 기존에는 구술이나, 메뉴얼, 현장 시범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져서 제대로 정보 전달이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의 경우, 특정 객체(부품 조립체)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조립 또는 해체 정보 조회를 선택하면, 미리 세팅된 조립 및 해체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세부 부품이 조립 또는 해체되는 과정을 3D 기반으로 보여줄 수 있다(S760).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object (a component assembly) is selected and assembled for this purpose. (S760), the process of assembling or disassembling the detailed parts in a time-series manner according to the previously set assembly and disassembly order can be displayed on a 3D basis.

도11은 객체의 조립 또는 해체 순서를 세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 11 shows a process of setting an assembly or disassembly order of objects.

도11에서 표시된 과정을 이해를 돕기 위해서 다른 도면과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다. The process shown in FIG. 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이하 도면은 해체 순서를 세팅하는 것이나, 조립은 해체 순서의 역순이어서 기본적인 흐름은 거의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 생략을 위해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해체 순서 과정 및 도시를 참고하면 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order of disassembly is set, but the assembling i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disassembling procedure, and the basic flow is almost the same,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omitting redundant description.

우선,해체 순서를 세팅할 객체를 선택하면(S1101) 도6과 같이 특정 객체인 부품 조립체(예, 케이싱)가 화면에 나온 상태가 된다.First, when an object to set the disassembly order is selected (S1101), a part assembly (e.g., a casing) as a specific objec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그리고, 체할 순서 대로 객체(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세부 부품을 선택한다(S1102).Then, the detail parts constituting the object (component assembly) are selected in order to be squeezed (S1102).

이를 위해서 도6의 화면상태에서 도면 위쪽의 'assy setting' 버튼을 누르면 도12와 같이, 해체 순서 세팅을 위한 팝업창(SettingDialog)이 표시된다.For this purpose, when the 'assy setting' button at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in the screen state of FIG. 6 is pressed, a pop-up window for setting the disassembly order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 첫번째로 해체되어야 할 세부 부품(예, LP A,B Exhaust Hood-A)을 3D 도면상에서 클릭을 하면(S1102) 해당 부품의 색상이 변하고, 클릭된 세부 부품의 명칭이 팝업창에 있는 리스트의 첫번째 순번에 등재된다(S1103).In this state, when the detail parts (for example, LP A and B Exhaust Hood-A) to be disassembled first are clicked on the 3D drawing (S1102),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part is changed, and the name of the clicked detail part is displayed in the list (S1103).

그리고, 도13과 같이, 두번째로 해체되어야 할 세부 부품(예, mang)을 3D 도면상에서 클릭을 하면, 클릭된 세부 부품의 명칭이 팝업창에 있는 리스트의 두번째 순번에 등재된다.Then, as shown in FIG. 13, when a detail part (for example, mang) to be disassembled secondly is clicked on the 3D drawing, the name of the clicked detail part is registered in the second order of the list in the pop-up window.

그리고, 선택/추가가 완료된 경우(S1104), 해체 시뮬레이션 보기를 위해서 도14와 같은 화면에서 해당 부품 조립체의 도면 위에 있는 'Diassembly Play'버튼을 누르면, 'PlayDialog'라는 이름의 보기 옵션과 관련된 팝업창이 표시된다(S1105).When the selection / addition is completed (S1104), a 'Diassembly Play' button on the drawing of the relevant part assembly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4 for viewing the disassembly simulation, and a popup window related to the view option named 'PlayDialog' (S1105).

보기 옵션 팝업창의 경우 해체의 각 단계가 소정 시간 간격(예, 2초) 또는 마우스 클릭시마다 표시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In the case of the view option pop-up window, each step of disassembly provides an opportunity to selec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g, 2 seconds) or to be displayed for each mouse click.

보기 옵션을 선택하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도14의 상태에서 첫번째 해체 순서에 따라서 1번으로 분리되어야 할 세부 부품이 원래 있던 조립위치에서 떨어진 위치로 이동하고, 보기 옵션에 따른 순서(예, 2초 후, 또는 마우스 클릭)에 따라서 2번으로 분리되어야 할 세부 부품이 원래 있던 조립위치에서 떨어진 위치로 이동한다. 즉, 선택/추가한 순서대로 부품 조립체의 해체가 3D 도면 기반으로 시계열적으로 이루어진다(S1106).When the view option is selected and the start button is pressed, the detailed parts to be separated into the first part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disassembly order in the state of FIG. 14 are moved to a position apart from the original assembly position and the order according to the view option Afterwards, or by a mouse click), the detail parts to be separated into two move to a position apart from the original assembly position. That is, the disassembly of the component assembly is performed in a time-series manner based on the 3D drawing in the selected / added order (S1106).

도17은 다른 부품 조립체에서 해체 순서가 나타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disassembly procedures are displayed in another component assembly.

위에서 언급한 순서에 따라서 특정 부품 조립체에서의 해체 순서를 세팅하고, 보기 옵션을 선택하면, 조립된 상태(좌상단 화면)에서, 첫번째로 분리되어야 할 세부 부품이 분리되어 이격되고( 우상단 화면), 두번째와 세번째로 분리되어야 할 세부 부품이 각각 분리되어 이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좌하단 하면, 우하단 화면 화면).In the assembled state (upper left screen), the first parts to be separated are separated and separated (upper right screen), and the second part And the parts to be separated for the third time are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left bottom, bottom right screen).

조립의 경우, 해체의 역순이므로 그 세팅과정이나 보기 옵션 선택, 그리고 시뮬레이션 플레이 과정은 유사하므로 구체적은 설명은 해체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하겠다. In the case of assembly, since the reverse order of disassembly is selected, the setting process, the selection of view options, and the simulation play process are similar, so the concrete explanation will be replaced with a description of disassembly.

도18은 본 발명에 의한 관리 시스템(100)과 외부의 단말기(T)와 통신하고 정보를 주고 받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8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nagement system 100 and the external terminal T communicate and exchan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관리 시스템(100)의 통신부(120)는 외부의 통신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of the management system 10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의 통신 단말기 중 인증된 단말기의 3D 도면이 나타난 화면상에서 특정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n,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whether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a detailed component for each component assembly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the 3D terminal of the authenticated terminal among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s.

그리고, 이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조회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정보 조회 또는 현황 정보 조회 또는 조립/해체 정보 조회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요청한 정보를 처리한다.If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inquiry, parts assembly / parts information inquiry, status information inquiry, or assembling / disassembling information inquiry request are input thereto, the information is processed.

즉, 입력 요청된 단말기에 선택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가 3D도면과 하나의 화면에서 표시하도록 해당 정보를 입력 요청된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parts assembly or the detailed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or the parts assembly / parts specification specification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r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ingle screen with the 3D drawing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requested to be input.

이 경우, 외부의 단말기(T)는 유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나 스마트 폰이 된다.In this case, the external terminal T may be a desktop or laptop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or a tablet PC or a smart phone.

이러한 외부 단말기(T)와의 통신을 통해서 현장에서 일하는 담당자가 본 발명에 의한 관리 시스템(100)에 접근하여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취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현장에서 일어난 정보를 송신하여, 해당 현장에서 변경된 정보가 관리 시스템에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A person working in the field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terminal T can access th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quire necessary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changed information can be updated in the management syste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100: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110: 입력부 120: 통신부
130: 정보 분류 수행부 140:DB
150: 정보 매핑 수행부 160: 출력부
170: 제어부
100: 3D based power gener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10: input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information classification performing unit 140: DB
150: information mapping performing unit 160: outputting unit
170:

Claims (13)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세부 부품에 대한 3D 도면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보 또는 도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DB와,
입력된 3D 도면 데이터를 DB에 수록된 해당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DB에 저장된 정보와 매핑시키는 매핑 수행부와;
작업자가 3D도면이 나타난 화면상에서 특정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을 선택하고, 이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조회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정보 조회 또는 현황 정보 조회 또는 조립/해체 정보 조회를 선택한 경우,
화면에, 선택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를 3D도면과 하나의 화면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와,
외부의 통신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의 통신 단말기 중 인증된 단말기의 3D 도면이 나타난 화면상에서 특정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을 선택되고, 이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조회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정보 조회 또는 현황 정보 조회 또는 조립/해체 정보 조회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 요청된 단말기에 선택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가 3D도면과 하나의 화면에서 표시하도록 해당 정보를 입력 요청된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하나의 화면의 일측에는 정보 조회가 필요한 발전호기와 발전 부품 조립체와 세부 부품이 상위 디렉토리와 하위 디렉토리 관계를 가지면서 배열되고, 하나의 화면의 타측에는 정보 조회가 필요한 발전호기와 발전부품 조립체와 세부 부품이 3D 도면형태로 나타나며,
정보 조회가 필요한 발전호기/발전부품 조립체/세부 부품이 상위 디렉토리 또는 하위 디렉토리 상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도면상에서 선택되고, 조회가 필요한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면, 그에 맞는 정보가 3D 도면과 함께 화면상에서 표현되고,
정보 조회가 필요한 발전호기/발전부품 조립체/세부 부품을 제외한 나머지 발전호기/발전부품 조립체/세부 부품은 화면상에서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An input interface for inputting 3D drawing data of at least one component assembly or a detailed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ponent assembly;
A DB for storing information on detailed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or each part assembly or drawing data,
A mapping unit configured to map the input 3D drawing data with information stored in the detailed part DB of the corresponding part assembly or part assembly contained in the DB;
When an operator selects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a detailed component for each component assembly on the screen on which the 3D drawing is displayed and selects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inquiry, component assembly / part information inquiry, status information inquiry, assembly /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o display on the screen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parts assembly or detailed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or part assembly / parts detail specific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r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on a single screen with the 3D drawing. Wow,
And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unit selects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a detailed component for each component assembly on the screen of the 3D terminal of the authenticated terminal, Or a part assembly / part information inquiry, status information inquiry,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nquiry request are inputted,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parts assembly or detailed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or the parts assembly / parts specification specification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r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ingle screen with the 3D drawing To the terminal,
One side of the screen has a power generator, a power generating part assembly and a detail part, which need information inquiry, are arranged with a subordinate directory relationship with a parent directory, and a power generating part and a power generating part assembly The part appears as a 3D drawing,
When the power generation / power generation component assembly / sub-components requiring information inquiry are selected on the upper directory or the sub-directory or selected on the drawing and the type of information required to be inquired is selected,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3D drawing ,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unit / power generation component assembly / detail parts other than the power generation unit / power generation component assembly / detailed parts requiring information inquiry disappear on the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B는;
부품 조립체 DB와,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정보DB와,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3D 도면 데이터 DB와,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세부 스펙 정보 DB와;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점검 이력 DB와;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현황 정보 DB와;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 해체 또는 조립 정보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B comprises:
A component assembly DB,
A detailed part information DB for each part assembly,
Component parts and detail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3D drawing data DB,
A detailed component specifi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of the component assembly and the component assembly;
A detailed part check history DB for each part assembly and each part assembly;
A detailed component status information DB for each component assembly and component assembly;
And a DB for disassembling or assembling detailed parts for each of the parts assembly and the parts assembly.
제2항에 있어서,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의 현황 정보 DB는;
교체 대상 세부 부품 정보와;
부품 재고 현황 정보와;
수리 또는 교체 현황 정보와;
점검값 변경 현황 정보를 수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DB of each parts assembly and parts assembly is as follows;
Replacement subject part information;
Parts inventory status information;
Repair or replacement status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change of the inspection value is recorded.
제1항에 있어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의 정비 이력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의 3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에 매핑된 정비 이력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pecific subassembly or a specific subassembly constituting a specific sub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When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inquiry of the selected specific parts assembly or the specific sub-parts constituting the specified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mapped to the select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n the state that the 3D drawings of the select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displayed on the screen.
제2항에 있어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의 상세 스펙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의 3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에 매핑된 상세 스펙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specific subassembly or a specific subassembly constituting a specific sub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When the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inquiry of the selected specific part assembly or the specific sub-part constituting the specified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mapped to the select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n a state that the 3D drawings of the select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제2항에 있어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의 현황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의 3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에 매핑된 현황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현황 정보는 교체 대상 세부 부품 정보와, 부품 재고 현황 정보와, 수리 또는 교체 현황 정보와, 점검값 변경 현황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specific subassembly or a specific subassembly constituting a specific sub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When the status information inquiry of the selected specific part assembly or the specific sub part constituting the specified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t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state information mapped to the select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n a state where the 3D drawing of the select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the specified component assembly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rein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replacement detail part information, parts inventory status information, repair or replacement status information, and check value change status information. .
제1항에 있어서,
특정 부품 조립체에 대한 조립 또는 해체 순서를 3D 기반으로 시각적이며 시계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부품 조립체 세팅 항목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조립 또는 해체 순서에 맞게 복수의 세부 부품이 각각 선택되어 입력되고,
선택되어 입력된 복수의 세부 부품이 선택된 순서대로 리스트에 입력되고,
선택 및 추가가 완료되고, 조립 또는 해체 시뮬레이션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각각 분리되어 표시된 세부 부품들이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과정을 3D 기반 하에서 시계열적으로 선택된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조립되어 있는 특정 부품 조립체가 각각의 세부 부품으로 분리되어 해체되는 과정을 3D 기반하에서 시계열적으로 선택된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mponent assembly setting item for visually and chronologically displaying the assembling or disassembling order for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based on 3D is selected and input,
A plurality of detailed parts are respectively selected and inputted in accordance with the assembly or disassembly order,
The selected plurality of detailed parts are input to the list in the selected order,
When selection and addition are completed and the assembly or disassembly simulation button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n the screen the processes of separately assembled detailed parts assembled to form a specific part assembly in order of time-sequentially selected on a 3D basis, or
Where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assembling the assembl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nto the respective detailed components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time-sequentially selected order based on 3D.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통신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의 통신 단말기 중 인증된 단말기의 3D 도면이 나타난 화면상에서 특정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을 선택되고, 이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조회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정보 조회 또는 현황 정보 조회 또는 조립/해체 정보 조회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 요청된 단말기에 선택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가 3D도면과 하나의 화면에서 표시하도록 해당 정보를 입력 요청된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selects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a detailed component for each component assembly on the screen in which the 3D drawing of the authenticated terminal among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s is selected and displays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or component assembly / When the assembling / disassembling information inquiry request is inputted,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parts assembly or detailed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or the parts assembly / parts specification specification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r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ingle screen with the 3D drawing Based on the 3D-based power gener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세부 부품의 3D 도면 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와;
입력된 3D 도면 데이터를, 해당 부품 조립체 및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세부 부품의 정비 이력 정보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를 매핑시키는 단계와;
화면상에서 특정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이 선택되고, 이에 대한 이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조회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정보 조회 또는 현황 정보 조회 또는 조립/해체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화면에, 선택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를 3D도면과 하나의 화면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외부의 통신 단말기 중 인증된 단말기의 3D 도면이 나타난 화면상에서 특정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을 선택되고, 이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조회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정보 조회 또는 현황 정보 조회 또는 조립/해체 정보 조회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 요청된 단말기에 선택된 부품 조립체 또는 부품 조립체별 세부 부품에 대한 정비이력 정보 또는 부품 조립체/부품 상세 스펙 정보 또는 현황 정보 또는 조립/해체 정보가 3D도면과 하나의 화면에서 표시하도록 해당 정보를 입력 요청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하나의 화면의 일측에는 정보 조회가 필요한 발전호기와 발전 부품 조립체와 세부 부품이 상위 디렉토리와 하위 디렉토리 관계를 가지면서 배열되고, 하나의 화면의 타측에는 정보 조회가 필요한 발전호기와 발전부품 조립체와 세부 부품이 3D 도면형태로 나타나며,
정보 조회가 필요한 발전호기/발전부품 조립체/세부 부품이 상위 디렉토리 또는 하위 디렉토리 상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도면상에서 선택되고, 조회가 필요한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면, 그에 맞는 정보가 3D 도면과 함께 화면상에서 표현되고,
정보 조회가 필요한 발전호기/발전부품 조립체/세부 부품을 제외한 나머지 발전호기/발전부품 조립체/세부 부품은 화면상에서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
Inputting 3D drawing data of a subassembly and a subassembly constituting the subassembly;
Mapping the input 3D drawing data to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parts and the detailed parts constituting the component assembly or the component assembly / parts detail specification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r the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f a specific part assembly or a detailed part for each part assembly is selected on the screen and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inquiry or parts assembly / parts information inquiry, status information inquiry,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nquiry,
Displaying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or detailed assembly information / status detail information or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for a selected part assembly or a detailed part for each part assembly on a screen with a 3D drawing on a screen,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a detailed component for each component assembly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the 3D terminal of the authenticated terminal of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inquiry, component assembly / parts information inquiry, status information inquiry, assembly / When a query request is input,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parts assembly or detailed parts for each part assembly or the parts assembly / parts specification specification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r assembly / disassembl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ingle screen with the 3D drawing To the terminal,
One side of the screen has a power generator, a power generating part assembly and a detail part, which need information inquiry, are arranged with a subordinate directory relationship with a parent directory, and a power generating part and a power generating part assembly The part appears as a 3D drawing,
When the power generation / power generation component assembly / sub-components requiring information inquiry are selected on the upper directory or the sub-directory or selected on the drawing and the type of information required to be inquired is selected,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3D drawing ,
A method for managing equipment information using a 3D-based power generation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ower generation units / power generation parts assemblies / detail parts other than power generation units / power generation parts assembly /
제9항에 있어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이 선택되어어 입력되고, ,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의 정비 이력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의 3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에 매핑된 정비 이력 정보가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 specific subassembly or a specific subassembly constituting a specific sub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When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inquiry of the selected specific parts assembly or the specific sub-parts constituting the specified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Wherein the 3D history of the select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mapped to the 3D history is displayed on the screen.
제9항에 있어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의 상세 스펙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의 3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에 매핑된 상세 스펙 정보가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 specific subassembly or a specific subassembly constituting a specific sub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When the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inquiry of the selected specific part assembly or the specific sub-part constituting the specified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Wherein the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mapped to the select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screen.
제9항에 있어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는 특정 세부 부품의 현황 정보 조회가 선택되어 입력된 경우,
선택된 특정 부품 조립체 또는 특정 부품 조립체의 3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에 매핑된 현황 정보가 화면에 표시하되,
현황 정보는 교체 대상 세부 부품 정보와, 부품 재고 현황 정보와, 수리 또는 교체 현황 정보와, 점검값 변경 현황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 specific subassembly or a specific subassembly constituting a specific sub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
When the status information inquiry of the selected specific part assembly or the specific sub part constituting the specified part assembly is selected and inputted,
The 3D drawing of the selected specific component assembly or the specific component assembly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tatus information mapped thereto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rein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replacement detail part information, parts inventory status information, repair or replacement status information, and check value change status information. How to manage.
제9항에 있어서,
특정 부품 조립체에 대한 조립 또는 해체 순서를 3D 기반으로 시각적이며 시계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부품 조립체 세팅 항목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조립 또는 해체 순서에 맞게 복수의 세부 부품이 각각 선택되어 입력되고,
선택 및 추가가 완료되고, 조립 또는 해체 시뮬레이션 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는 각각 분리되어 표시된 세부 부품들이 특정 부품 조립체를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과정을 3D 기반 하에서 시계열적으로 선택된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조립되어 있는 특정 부품 조립체가 각각의 세부 부품으로 분리되어 해체되는 과정을 3D 기반하에서 시계열적으로 선택된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기반 발전 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장비 정보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 component assembly setting item for visually and chronologically displaying the assembling or disassembling order for a specific component assembly based on 3D is selected and input,
A plurality of detailed parts are respectively selected and inputted in accordance with the assembly or disassembly order,
When selection and addition are completed and the assembly or disassembly simulation button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causes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eparated detailed parts to constitute a specific part assembly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order selected in a time series on a 3D basis,
Where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disassembling the assembled specific parts assembly into respective detailed parts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order selected in a time series based on 3D.

KR1020160143100A 2016-10-31 2016-10-31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generating equipment based on 3D and a information managing method using the system KR1019066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100A KR101906674B1 (en) 2016-10-31 2016-10-31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generating equipment based on 3D and a information managing method using th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100A KR101906674B1 (en) 2016-10-31 2016-10-31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generating equipment based on 3D and a information managing method using th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23A KR20180047223A (en) 2018-05-10
KR101906674B1 true KR101906674B1 (en) 2018-10-10

Family

ID=6218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100A KR101906674B1 (en) 2016-10-31 2016-10-31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generating equipment based on 3D and a information managing method using th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6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821B1 (en) * 2020-05-11 2021-09-10 이창근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corporations using 3D modeling im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803B1 (en) * 2021-01-11 2024-02-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4D Simulation apparatus of nuclear power pla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7710A (en) * 2001-03-29 2002-10-11 Hitachi Lt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aintenance plan of power plant
JP2004334510A (en) * 2003-05-07 2004-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Assembly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7710A (en) * 2001-03-29 2002-10-11 Hitachi Lt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aintenance plan of power plant
JP2004334510A (en) * 2003-05-07 2004-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Assembly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821B1 (en) * 2020-05-11 2021-09-10 이창근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corporations using 3D modeling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23A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47004B (en) A kind of approaches to IM based on the integrated BIM model of electromechanics and system
KR101833779B1 (en) interior service method and interior service system
CN105190460B (en) Graphically show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 Control System information
CN101685295A (en) Dynamically generating visualizations in industrial automation environment as a function of context and state information
JP2015109011A (en) Field device management apparatus,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171910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switchgear cabinet
US201502565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erty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KR101906674B1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generating equipment based on 3D and a information managing method using the system
US9805477B2 (en) Display management method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electronic device
JP2013218559A (en) Air conditioner management device, air conditioner management program and air conditioner management system
KR20160069008A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bas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N110554901A (en) linkage method and system of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and two-dimensional drawing
JP2021018710A (en) Site cooperation system and management device
JP6538470B2 (en) Building specification document creation system
CN116663112A (en) Scene configur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652321B1 (en) Loop wiring diagram auto drawing system for power plant using relationship db and method thereof
JP6210108B2 (en) Field device management apparatus,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40279182A1 (en) Digital Product Binder Librar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895773B1 (en) A database for link of Serch data in GIS system, a serch method
JP2021015572A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101851263B1 (en) Apparatus for setting multi display of hmi
Prescott et al. Investigating Application of LiDAR for Nuclear Power Plants
JP5287878B2 (en) Housing storage display system
US11586168B2 (en) Storage medium and PLC system construction support device
RU2739901C1 (en) Mobile device for visualizing process control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