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178B1 - Egr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Egr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178B1
KR101906178B1 KR1020160158184A KR20160158184A KR101906178B1 KR 101906178 B1 KR101906178 B1 KR 101906178B1 KR 1020160158184 A KR1020160158184 A KR 1020160158184A KR 20160158184 A KR20160158184 A KR 20160158184A KR 101906178 B1 KR101906178 B1 KR 101906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astening member
egr valve
assembly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057A (ko
Inventor
정진근
Original Assignee
효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1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66Lift valves, e.g. poppet valves
    • F02M26/67Pintles; Spindles; Springs; Bearings; Sealings; Connections to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2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분리형 구조를 가져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가 증대되고, 조립이 간단하되 강성이 향상된 조립구조를 가져 본연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면서 내구성이 강화되며, 분리형의 장점을 갖되 기밀이 유지됨으로써 일체형의 장점도 두루 접목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조립을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경비가 절감되고, 구조 변경이 크지않아 융착에 의한 조립체를 대체하여 보급이 용이하고, 강성, 실링(sealing), 로킹(locking) 등이 보완된 단순 조립구조를 가져 다양한 종류와 사용에 맞게 맞춤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 EGR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 조립체는, EGR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EGR 밸브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급 파이프와 배출 파이프가 형성된 밸브 결합부재에 체결되는 금속재질의 보디와, 상기 부품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가 일측에 구비되며, 하부측 외주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턱을 구비하고, 상기 보디의 상부에 탑재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 및 상기 보디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 밀착되어 상기 보디에 탑재된 상기 커버가 유동이 방지되며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보디와 동일한 금속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밀착되는 내측면에 기밀을 위한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커버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디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커버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버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1 체결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커버 하측의 상기 돌출턱 상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버의 종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제2 체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돌출턱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에 일부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EGR 밸브 조립체{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ASSEMBLY}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EGR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을 위해 사용되는 EGR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기가스는 연료가 실린더 내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어 팽창된 다음 배기 매니폴더를 통해 대기속으로 배출되는 가스다.
이러한 배기가스는 대부분 수중기와 일산화탄소이며, 그 밖에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는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 매니폴드로 다시 돌려보내어 혼합기가 연소될 때 연소 온도를 낮추어 질소산화물의 생성량을 저감한다.
즉, 질소산화물은 연소온도를 저하시켜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러한 연소온도는 연소속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이므로 실린더 혼합기 자체의 공연비를 변화시키지 않고 밀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연소속도가 저하되고 연소온도의 상승이 억제되면, 결과적으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배기가스 재순환밸브(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이하 'EGR 밸브'라 함)는 배기 매니폴드와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설치되어 공전 및 워밍업 이외의 회전에서만 EGR 밸브의 제어에 의해 통로를 개폐한다.
공전 및 워밍업 전에는 작동되지 않다가 공전 및 워밍업 이외의 회전에서 스로틀 밸브가 열리는 양에 따라 EGR 밸브를 열어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와 배기 매니 폴드에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가능한 한 엔진 출력의 감소를 최소로 하면서 연소온도를 낮추어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는 일반적으로 엔진에서 연소된 후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 매니폴드와, 엔진으로 흡기가 공급되는 흡기 매니폴드를 통과하는 배기가스 중 일부를 흡기 매니폴드로 재순환시키는 EGR 파이프, EGR 파이프 상에 설치되어 EGR 파이프의 개폐 작용을 하는 EGR 밸브조립체 및 EGR 파이프 상에 설치되어 EGR 파이프를 통과하는 배기가스를 냉각하는 EGR 쿨러, EGR 밸브조립체의 전자 제어유닛에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로 구성된다.
한편, EGR 밸브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와 커버가 사출로 되어 있고, 상하간에 실링(sealing)을 위해 부착면에 융착작업 및 로킹(locking)을 한 구조로서 이루어지는게 통상적이다.
그러나, 상기의 조립구조는 융착을 위한 별도의 조립공정과 실링의 확인을 위한 별도의 검사공정 등의 부차적인 작업공정이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조립의 공정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리 등과 같은 이유로 내부 확인을 하고자 케이스와 커버를 분리하여할 경우 융착과 로킹에 의한 조립구조로 인해 분리가 어려울뿐더러 분리후 재사용이 사실상 어렵다.
또한, 융착과 로킹에 의한 조립구조는 조립상태의 확인이 비교적 어렵고, 모터의 구동 등을 포함한 진동과 같은 외력으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639512호(2016.07.07)
2. 한국 특허등록 제10-1629602호(2016.06.03)
3. 한국 특허등록 제10-1307914호(2013.09.06)
분리형 구조를 가져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가 증대되는 EGR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립이 간단하되 강성이 향상된 조립구조를 가져 본연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면서 내구성이 강화된 EGR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리형의 장점을 갖되 기밀이 유지됨으로써 일체형의 장점도 두루 접목된 EGR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립을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경비가 절감되고, 구조 변경이 크지않아 융착에 의한 조립체를 대체하여 보급이 용이한 EGR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강성, 실링(sealing), 로킹(locking) 등이 보완된 단순 조립구조를 가져 다양한 종류와 사용에 맞게 맞춤제작이 용이한 EGR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의한 EGR 밸브 조립체는, EGR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EGR 밸브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급 파이프와 배출 파이프가 형성된 밸브 결합부재에 체결되는 금속재질의 보디와, 상기 부품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가 일측에 구비되며, 하부측 외주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턱을 구비하고, 상기 보디의 상부에 탑재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 및 상기 보디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 밀착되어 상기 보디에 탑재된 상기 커버가 유동이 방지되며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보디와 동일한 금속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밀착되는 내측면에 기밀을 위한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커버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디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커버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버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1 체결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커버 하측의 상기 돌출턱 상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버의 종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제2 체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돌출턱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에 일부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은 EGR 밸브 조립체는, 분리형 구조를 가져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가 증대되고, 조립이 간단하되 강성이 향상된 조립구조를 가져 본연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면서 내구성이 강화되며, 분리형의 장점을 갖되 기밀이 유지됨으로써 일체형의 장점도 두루 접목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조립을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경비가 절감되고, 구조 변경이 크지않아 융착에 의한 조립체를 대체하여 보급이 용이하고, 강성, 실링(sealing), 로킹(locking) 등이 보완된 단순 조립구조를 가져 다양한 종류와 사용에 맞게 맞춤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EGR 밸브 조립체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EGR 밸브 조립체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EGR 밸브 조립체의 상부를 개방시킨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EGR 밸브 조립체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일부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EGR 밸브 조립체에 구비된 체결부재가 커버에 일부 삽입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 조립체(10)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을 위해 사용되는 EGR 밸브 조립체로서, 특히 케이스와 커버가 사출로 성형되어 상하간에 실링을 위해 부착면에 융착작업 및 로킹을 한 종래 구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므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와 그 작동 및 작용, 배기 매니폴드, 흡기 매니폴드, EGR 파이프, EGR 밸브 조립체의 작동 및 작용, EGR 쿨러, 전자 제어유닛, 센서기어, 센서 마그네트, 커넥터, 회전축, 정류자, 아마추어 조립체, 영구자석, 베어링, 코어, 요크 조립체, 요크, 모터 등 배기가스 재순환에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접목되어 사용되는 구성 및 기술에 관련하여서는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고 결합구조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EGR 밸브 조립체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EGR 밸브 조립체의 상부를 개방시킨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EGR 밸브 조립체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일부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EGR 밸브 조립체에 구비된 체결부재가 커버에 일부 삽입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 조립체(10)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을 위해 사용되는 EGR 밸브 조립체로서, 보디(100), 커버(200), 체결부재(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디(100)는 EGR 밸브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급 파이프와 배출 파이프가 형성된 밸브 결합부재에 체결된다.
보디(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바닥면이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사각 판상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플랜지 결합 등을 위해 볼트 등이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공급파이프와 배출 파이프가 형성된 결합부재는 EGR 밸브를 구성하는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보디(100)의 공간부에는 EGR 밸브를 구성하는 부품 즉, 모터, 밸브 로드, 밸브시트 플레이트, 스프링, 스프링 홀더, 회전축과 코어와 정류자와 기어와 가이드 링 그리고 원판부 등으로 구성되는 아마추어 조립체 및, 요크와 영구자석과 베어링 등으로 구성되는 요크 조립체, 회전축이 결합되는 결합공과 감지부가 설치되는 설치공이 형성된 캡 등이 구비되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개시의 보디(100)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어 금속가공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형성되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어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등 다양한 재질 및 그에 따른 성형방법이 접목될 수 있다.
이러한, 보디(100)의 개방된 상부에는 보디(100)가 밀폐되도록 하는 커버(200)가 결합된다.
커버(200)는 EGR 밸브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가 일측에 구비되어 보디(100)의 상부에 탑재된다.
이러한, 커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100)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원통형의 외주면 일측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가 구비된다.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지관용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커버(200)의 내부에는 EGR 밸브를 구성하는 부품 즉, 센서기어, 센서마그네트, 인쇄회로기판, 홀 센서, 진동흡수 수단 등으로 이루어진 감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개시의 커버(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어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재질로 구비되어 사출이 아닌 금속 가공을 위한 다양한 성형방법이 접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개시의 커버(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면서 보디(100)가 금속재질로 구비되는 즉, 이종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와 반대로 커버(200)가 금속 재질로 구비되면서 보디(100)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자명한 사항에 해당된다.
이러한, 커버(200)는 보디(100)의 상부에 하부가 정합되게 결합됨으로써 보디(100)와 함께 내부가 밀폐된 하나의 조립체 구조로 구비되며, 이때 결합은 체결부재(300)를 통해 가능해진다.
체결부재(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100)에 구비되며, 커버(200)에 밀착되어 보디(100)에 탑재된 커버(200)가 유동이 방지되며 체결되도록 한다.
체결부재(300)는 보디(100)와 일체로 형성되되, 보디(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로 돌출형성되어 커버(200)에 밀착된다.
즉, 체결부재(300)는 금속재질인 보디(100)가 성형될 때 보디(100)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즉, 상부를 향해 보디(100)와 동일한 금속재질로서 일체로 성형되되, 보디(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로 구비된다.
이러한, 체결부재(30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의 유동이 방지되게 고정하는 제1 체결부재(310), 제2 체결부재(320)로 이루어진다.
제1 체결부재(310)는 보디(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커버(200)의 측면에 밀착되어 커버(200)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한다.
즉, 제1 체결부재(310)는 "ㄴ"자 단면을 갖는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되, "ㄴ"자 형상에서 "l"자 부위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보디(100)의 상측 외주면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이는, 제1 체결부재(310)가 절곡된 형태의 부위를 갖는 "ㄴ"자 단면 구조를 가져 보디(100)와 대응되게 원통형으로 구비된 커버(200)의 단부 중 하부면과 외주면을 에워싸서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제1 체결부재(310)의 내측면에 커버(200)의 하부측 가장자리,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측 외주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턱(210)을 갖는 커버(200)의 외주면이 맞닿아 밀착됨으로써 커버(200)의 횡방향 유동이 방지된다.
제2 체결부재(320)는 제1 체결부재(3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커버(200) 하측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커버(200)의 종방향 유동을 방지한다.
제2 체결부재(320)는 제1 체결부재(310)와 같이 "ㅡ"자 단면을 갖는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되, 일단이 제1 체결부재(310)의 "l"자 부위 단부에 연결되고 연장된 타단이 커버(200)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제1 체결부재(3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체결부재(320)는 보디(100)를 향하는 바닥면이 커버(200)의 돌출턱(210) 상부면에 맞닿음으로써 커버(200)가 보디(10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하 구속에 의한 커버(200)의 종방향 유동이 방지되며 보디(10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전술된 바에 따른 제2 체결부재(320)와 제1 체결부재(310)는 최종 "ㄷ"자 단면의 형상을 이루되, 커버(200)의 돌출턱(210)이 "ㄷ"자 단면의 내측에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커버(200)의 횡방향과 종방향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면서 동시에 강성을 부여하여 보디(100)와 커버(200)가 조립된 하나의 일체형 구조를 갖도록 한다.
한편, 제2 체결부재(320)는 커버(200)의 돌출턱(210) 상부에 밀착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커버(20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소정 크기의 홈을 형성시키고 이 홈에 제2 체결부재(32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며, 이는 커버(200)가 보디(100)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견고히 고정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된 바와 같은 제2 체결부재(320)와 제1 체결부재(310)는 보디(100)로부터 컬링(curling)공정을 통해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나, 제2 체결부재(320)와 제1 체결부재(310)를 구부려 커버(200)가 보디(1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방법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체결부재(30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가 밀착되는 내측면에 기밀을 위한 실링부재(400) 구비된다.
이러한, 실링부재(40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오링(O-ring)의 형태로 구비되어 체결부재(300)와 커버(200)가 밀착되는 사이에 상하좌우 압축하여 삽입되게 함으로써 틈새를 메워 기밀성을 보강되게 한다. 이를 위해, 보디(100) 또는 커버(200) 또는 이 둘의 각각에 실링부재(4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별도의 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링부재(400)는 기밀성은 물론이며, 컬링공정시 발생되는 외력으로부터 커버(200)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EGR 모터의 동작 등에 의한 진동 등의 충격으로부터 커버(200)가 이격되어 이탈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완충작용의 기능도 수행한다.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EGR 밸브 조립체(10)는 보디(100)가 금속 재질이고 커버(200)가 플라스틱 재질인 이종재질의 결합으로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컬링에 의해 이를 체결시킨 간단한 조립의 구조를 가져 EGR 모터 뿐만 아니라 EGR 모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양한 모터에 접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EGR 밸브 조립체(10)는, 분리형 구조를 가져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가 증대되고, 조립이 간단하되 강성이 향상된 조립구조를 가져 본연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면서 내구성이 강화되며, 분리형의 장점을 갖되 기밀이 유지됨으로써 일체형의 장점도 두루 접목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조립을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경비가 절감되고, 구조 변경이 크지않아 융착에 의한 조립체를 대체하여 보급이 용이하고, 강성, 실링(sealing), 로킹(locking) 등이 보완된 단순 조립구조를 가져 다양한 종류와 사용의 목적에 맞게 맞춤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EGR 밸브 조립체 100 : 보디
200 : 커버 210 : 돌출턱
300 : 체결부재 310 : 제1 체결부재
320 : 제2 체결부재 400 : 실링부재

Claims (5)

  1. EGR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EGR 밸브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급 파이프와 배출 파이프가 형성된 밸브 결합부재에 체결되는 금속재질의 보디;
    상기 부품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가 일측에 구비되며, 하부측 외주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턱을 구비하고, 상기 보디의 상부에 탑재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 및
    상기 보디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 밀착되어 상기 보디에 탑재된 상기 커버가 유동이 방지되며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보디와 동일한 금속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밀착되는 내측면에 기밀을 위한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커버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디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커버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버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1 체결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커버 하측의 상기 돌출턱 상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버의 종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제2 체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돌출턱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에 일부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58184A 2016-11-25 2016-11-25 Egr 밸브 조립체 KR101906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184A KR101906178B1 (ko) 2016-11-25 2016-11-25 Egr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184A KR101906178B1 (ko) 2016-11-25 2016-11-25 Egr 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57A KR20180059057A (ko) 2018-06-04
KR101906178B1 true KR101906178B1 (ko) 2018-10-11

Family

ID=6262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184A KR101906178B1 (ko) 2016-11-25 2016-11-25 Egr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1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2971A (ja) * 2013-05-13 2014-11-27 ニスカ株式会社 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914B1 (ko) 2011-09-26 2013-09-13 (주)모토닉 Egr 밸브 조립체
DE102013101938B4 (de) * 2013-02-27 2020-02-13 Pierburg Gmbh Antriebsanordnung für ein Aggregat eines Verbrennungsmotors und Abgasrückführventil
KR101619013B1 (ko) 2015-01-08 2016-05-09 효성전기주식회사 브러쉬 카드 일체형의 리어커버를 구비한 egr 밸브 구동용 모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2971A (ja) * 2013-05-13 2014-11-27 ニスカ株式会社 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57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2620B2 (ja) 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JP5811132B2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JP4556864B2 (ja) 内燃機関用吸気装置
US7263983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device
KR100790670B1 (ko) 하우징 내에 수용된 액츄에이터를 위한 지지 장치
JP4093173B2 (ja) 内燃機関用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2007064277A (ja) 流体制御弁
KR101619013B1 (ko) 브러쉬 카드 일체형의 리어커버를 구비한 egr 밸브 구동용 모터
US8069837B2 (en) Intake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307914B1 (ko) Egr 밸브 조립체
JP4600319B2 (ja) 流体制御弁の製造方法
US20090126678A1 (en) Air Cleaner
JP2003106175A (ja) 駆動装置収容部と駆動装置コンタクト形成部とを備えた絞り装置
JP2003507632A (ja) 内燃機関のための吸気装置
KR101906178B1 (ko) Egr 밸브 조립체
JP2015110912A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JP2008095924A (ja) シール装置
JP2006057552A (ja) 空気制御弁
WO2001055579A1 (fr) Dispositif de soupape de recirculation des gaz d'echappement
KR101987007B1 (ko) 강성과 조립성이 향상된 egr 밸브 구동용 모터
JP5061934B2 (ja) バルブユニット
KR200218160Y1 (ko) 자동차용 아이에이씨브이 스텝모타
KR20180059033A (ko) 강성과 조립성이 향상된 egr 밸브 구동용 모터
JP2005233023A (ja) 排気ガス再循環装置
KR20180059028A (ko)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egr 밸브 구동용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