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866B1 -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866B1
KR101905866B1 KR1020180074620A KR20180074620A KR101905866B1 KR 101905866 B1 KR101905866 B1 KR 101905866B1 KR 1020180074620 A KR1020180074620 A KR 1020180074620A KR 20180074620 A KR20180074620 A KR 20180074620A KR 101905866 B1 KR101905866 B1 KR 10190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ata
measur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lectronic balance
discri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걸
우상원
Original Assignee
(주)엠더블유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더블유스토리 filed Critical (주)엠더블유스토리
Priority to KR102018007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G06K2017/0051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은 창고에 보관된 자재의 변동 수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함으로써, 변동된 자재의 수량에 대응하는 소요자재 계획과 구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은 보관된 자재의 변동 중량에 따라 그 변동된 중량의 정확도 판별 과정을 거침으로써, 지진 및 진동 등 주변 환경으로 인한 변동 수량 산출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MATERIAL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창고에 보관된 자재의 변동 수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재 관리란, 생산활동에 필요한 자재의 입출유통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일을 의미한다. 또한 자재 관리는 생산에 필요한 자재를 적정한 가격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부문에, 필요한 시점에 공급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 구매하고 보관하는 일을 말한다. 즉, 자재 관리의 기능에는 계획과 구매 및 보관이라는 3가지 기본적인 기능이 있다.
자재 관리는 소요자재의 기준에 따라 그 사용처를 계획하고, 알맞는 수량의 자재를 구매하는 과정을 거치면, 구매한 자재를 보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특히, 자재 관리의 기능 중 보관 기능은 재고품의 입출고, 재고량의 통제, 재고 조사가 주된 기능이다. 이러한 보관 기능은 필요한 자재를 필요한 때에 즉시 꺼낼 수 있도록 자재의 분류 코드, 보관장소의 위치를 명확히 한다.
종래의 자재 관리는 보관된 자재의 변동에 대응하여 계획과 구매가 연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자재 관리는 관리자가 직접 창고를 돌아다니며 보관된 자재를 파악하였기 때문에 수시로 변동되는 자재의 수량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을뿐더러,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자재의 수량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232894호(2013.02.13.) (2)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14811호(2016.04.2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창고에 보관된 자재의 변동 수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전자저울 랙, 관리자 단말 장치 및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스마트 전자저울 랙은 각각의 지정위치마다 로드셀이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로드셀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측정주기마다 전송하며, 요청에 따라 상기 측정주기 중 하나가 분할된 분할 측정주기마다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는 상기 스마트 전자저울 랙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수신하고,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 정보의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어 그 몫을 산출하며, 정확도 판별 과정에 따라 저마다의 상기 식별 정보에 매칭되도록 그 몫을 전송한다. 상기 자재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저마다의 몫이 매칭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몫을 수량으로써 상기 식별 정보에 업데이트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는 상기 측정주기 중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와 그 직후에 발생된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동일한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었을 때 산출된 2 개의 몫이 서로 다르면,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 직후의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가 분할된 상기 분할 측정주기마다 상기 스마트 전자저울 랙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와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의 차이나는 복수의 절댓값을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절댓값을 상기 제 2 중량데이터에 대응되는 판별 중량데이터 및 판별 비율에 따라 비교하는 상기 정확도 판별 과정을 처리한다.
상기 정확도 판별 과정은 복수의 상기 절댓값 중 상기 판별 중량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상기 절댓값의 갯수가 상기 판별 비율보다 작으면,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을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으로 치환하고, 상기 측정주기마다 상기 스마트 전자저울 랙으로부터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계속해서 수신한다.
상기 정확도 판별 과정은 복수의 상기 절댓값 중 상기 판별 중량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상기 절댓값의 갯수가 상기 판별 비율보다 크면,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을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자재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방법은 제 1 내지 제 3 단계를 처리한다.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각각의 지정위치마다 로드셀이 설치된 스마트 전자저울 랙이 각각의 상기 로드셀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측정주기마다 전송하고, 요청에 따라 상기 측정주기 중 하나가 분할된 분할 측정주기마다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관리자 단말 장치가 상기 스마트 전자저울 랙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수신하고,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 정보의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어 그 몫을 산출하며, 정확도 판별 과정에 따라 저마다의 상기 식별 정보에 매칭되도록 그 몫을 전송한다.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자재 관리 서버가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저마다의 몫이 매칭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몫을 수량으로써 상기 식별 정보에 업데이트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주기 중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와 그 직후에 발생된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동일한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었을 때 산출된 2 개의 몫이 서로 다르면,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 직후의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가 분할된 상기 분할 측정주기마다 상기 스마트 전자저울 랙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와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의 차이나는 복수의 절댓값을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절댓값을 상기 제 2 중량데이터에 대응되는 판별 중량데이터 및 판별 비율에 따라 비교하는 상기 정확도 판별 과정을 처리한다.
상기 정확도 판별 과정은 복수의 상기 절댓값 중 상기 판별 중량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상기 절댓값의 갯수가 상기 판별 비율보다 작으면,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을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으로 치환하고, 상기 측정주기마다 상기 스마트 전자저울 랙으로부터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계속해서 수신한다.
상기 정확도 판별 과정은 복수의 상기 절댓값 중 상기 판별 중량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상기 절댓값의 갯수가 상기 판별 비율보다 크면,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을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자재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은 창고에 보관된 자재의 변동 수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함으로써, 변동된 자재의 수량에 대응하는 소요자재 계획과 구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은 보관된 자재의 변동 중량에 따라 그 변동된 중량의 정확도 판별 과정을 거침으로써, 지진 및 진동 등 주변 환경으로 인한 변동 수량 산출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자 단말 장치에 대한 구성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관리 서버에 대한 구성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의 관리 방법을 처리 수순에 따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S4 과정을 처리 수순에 따라 표현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그려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자 단말 장치에 대한 구성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관리 서버에 대한 구성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10)은 창고에 보관된 자재의 변동 수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기 위해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 관리자 단말 장치(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먼저,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은 각각의 지정위치마다 로드셀(1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지정위치란, 복수의 선반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반 이외에도 서로 다른 위치에 자리한 공간 저마다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은 각각의 로드셀(110)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반복되는 제 1 내지 제 n 측정주기마다 관리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측정주기 중 하나가 분할된 분할 측정주기(통계적 의미를 확보할 수 있는 횟수)마다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은 무게측정 소자에 해당되는 로드셀(110)을 이용해 선반 각각의 위치에 놓인 자재 저마다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측정주기 또는 분할 측정주기마다 관리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으로부터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수신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의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어 그 몫을 산출한다. 아울러,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정확도 판별 과정에 따라 저마다의 식별 정보에 매칭되도록 그 몫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 자재 관리 프로그램(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가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 및 관리 서버(300)와 상호 데이터 통신되도록 처리한다. 즉, 통신부(210)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와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 및 관리 서버(300)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포함된 모든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예컨대 공중의 통신망 내지 관리자 단말 장치(200)에 국한된 특정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자재 관리 프로그램(220)은 통신부(210)를 통해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으로부터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의 식별 정보에 따른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어 그 몫을 산출하고, 연속되게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 중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눈 몫이 서로 다른 제 1 중량데이터에 대한 정확도 판별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재 관리 프로그램(220)은 데이터 연산부(221) 및 이벤트 판별부(222)를 포함한다.
데이터 연산부(221)는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의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어 그 몫을 산출한다. 제 2 중량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 1 중량데이터의 최소 구성 단위가 되는 중량값을 의미하며, 100개의 전자소자가 포함된 제 1 중량데이터를 나누기 위한 제 2 중량데이터는 1개의 전자소자 중량값에 대응되는 10g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연산부(221)는 이벤트 판별부(222)에서 측정주기 중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와 그 직후에 발생된 다른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를 동일한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었을 때 산출된 2 개의 몫이 다르다고 1차 판별되면, 그 1차 판별에 따른 제 1 및 제 2 중량데이터 간의 연산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 연산부(221)는 다른 하나의 측정주기 직후의 또 다른 하나의 측정주기가 분할된 분할 측정주기마다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와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의 차이나는 복수의 절댓값을 산출한다. 즉, 데이터 연산부(221)는 1차 측정주기의 제 1 중량데이터와 2차 측정주기 각각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눈 몫이 서로 다르면, 1차 측정주기의 제 1 중량데이터와 3차 측정주기의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 각각을 뺄셈 방식으로 연산하여 그 뺄셈 방식의 결과에 따른 값을 절댓값으로 산출한다.
이벤트 판별부(222)는 데이터 연산부(221)의 연산 과정에 따른 결과값(몫과 절댓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의 측정주기 중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와 그 직후에 발생된 다른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를 동일한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었을 때 산출된 2 개의 몫이 서로 다르면, 1차 판별에 따라 데이터 연산부(221)에서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와 분할 측정주기에 수신한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비교하게끔 한다. 또한 이벤트 판별부(222)는 1차 판별 이후, 데이터 연산부(221)의 연산 과정에 따른 복수의 절댓값을 제 2 중량데이터에 대응되는 판별 중량데이터 및 판별 비율에 따라 비교한다. 즉, 이벤트 판별부(222)는 복수의 절댓값 중 판별 중량데이터와 비교되는 절댓값의 갯수를 산출하고, 그 갯수를 다시 판별 비율과 비교하여 데이터 연산부(221)가 계속해서 제 1 내지 제 n 측정주기에 따른 제 1 중량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변동된 제 1 중량데이터를 식별 정보에 매칭하여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게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판별부(222)는 복수의 절댓값 중 판별 중량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절댓값의 갯수가 판별 비율보다 작으면, 다른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가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을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가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으로 치환하고, 일정한 측정주기마다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으로부터 통신부(310)로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가 계속해서 수신되게끔 한다. 한편, 이벤트 판별부(222)는 복수의 절댓값 중 판별 중량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절댓값의 갯수가 판별 비율보다 크면, 다른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가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이 자재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한다.
저장부(230)는 자재 관리 프로그램(220)에서 처리되는 정보들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식별 정보(231), 중량 정보(232) 및 이벤트 정보(233)를 포함한다. 식별 정보(231)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관리자 단말 장치(200)로 수신한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 지정위치 저마다에 대응되는 정보로써,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정보(232)는 자재 관리 프로그램(220)의 연산 과정에 따른 서로 다른 중량데이터를 식별 정보(233)에 매칭되도록 저장한다. 이벤트 정보(334)는 자재 관리 프로그램(220)의 연산 과정 중 연달아 수신한 2개의 측정주기 중 서로 다른 제 1 중량데이터를 포함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그 기록을 저장한다. 또한 이벤트 정보(334)는 자재 관리 프로그램(220)의 정확도 판별 과정에 따른 이벤트의 발생 기록도 같이 저장한다.
제어부(240)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의 제반 작동이 처리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40)는 통신부(210), 자재 관리 프로그램(220) 및 저장부(230)의 처리를 제어하여 모든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고,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으로부터 관리자 단말 장치(200)로 수신되는 제 1 중량데이터의 측정주기를 조절하며, 정확도 판별 과정에 따른 제 1 중량데이터의 변동된 몫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예컨대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한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 등의 연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저마다의 몫이 매칭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몫을 수량으로써 식별 정보에 업데이트한다. 이러한 관리 서버(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관리 서버(300)가 관리자 단말 장치(200)와 상호 데이터 통신되도록 처리한다. 즉, 통신부(310)는 관리 서버(300) 및 관리자 단말 장치(200)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포함된 모든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예컨대 공중의 통신망 내지 관리 서버(300)에 국한된 특정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관리 서버(300)의 제반 작동이 처리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320)는 통신부(310) 및 데이터베이스(330)의 처리를 제어하여 모든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20)는 예를 들어,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한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 등의 연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30)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와의 사이에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330)는 식별 정보(331), 중량 정보(332), 판별 정보(333), 이벤트 정보(334) 및 빅데이터 정보(335)를 포함한다. 식별 정보(331)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관리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되는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 지정위치 저마다에 대응되는 정보로써,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정보(332)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관리 서버(300)로 전송된 식별 정보(331)에 매칭되는 제 1 중량데이터 및 그 제 1 중량데이터를 나누는 제 2 중량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 2 중량데이터는 관리 서버(300)의 관리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판별 정보(333)는 변동된 제 1 중량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 중량데이터 및 변동된 제 1 중량데이터 및 제 2 중량데이터 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된 절댓값의 비율을 비교하기 위한 판별 비율을 저정한다. 이때 판별 정보(333)에 포함된 정보들은 백분율 등의 표현방식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이벤트 정보(334)는 정확도 판별 과정을 거쳐 제 2 중량데이터와 비교해 변동된 제 1 중량데이터와 그에 매칭된 식별 정보의 기록을 저장한다. 빅데이터 정보(335)는 이벤트 정보(334)의 발생 기록을 시간의 흐름이나 기록의 발생 빈도 등의 기준에 따라 분석한 정보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소요자재의 구매에 대한 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과 더불어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여 자재 관리 시스템의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의 관리 방법을 처리 수순에 따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S4 과정을 처리 수순에 따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를 먼저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10)의 관리 방법은 단계 S1 내지 단계 S5를 처리한다.
단계 S1에서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은 각각의 로드셀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측정주기마다 관리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측정주기 중 하나가 분할된 분할 측정주기마다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전송한다.
단계 S2에서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으로부터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수신하고,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의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어 그 몫을 산출한다.
단계 S3에서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측정주기 중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와 그 직후에 발생된 다른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를 동일한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었을 때 산출된 2 개의 몫이 다른지 판별한다. 단계 S3에서 산출된 2 개의 몫이 다르다고 판별되면 이 수순은 단계 S4로 진행되고, 다르지 않다고 판별되면 이 수순은 단계 S5로 진행된다.
단계 S5에서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측정주기 중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와 그 직후에 발생된 다른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를 동일한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었을 때 산출된 2 개의 몫이 서로 같다고 판별되었으므로, 그 처리 과정이 종료되고, 다른 측정주기에 다라 단계 S1 내지 단계 S5의 처리 과정이 반복된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단계 S4에서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측정주기 중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와 그 직후에 발생된 다른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를 동일한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었을 때 산출된 2 개의 몫이 다르다고 판별되면, 단계 S4-1 내지 단계 S4-5의 정확도 판별 과정을 수행한다.
단계 S4-1에서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은 다른 하나의 측정주기 직후의 또 다른 하나의 측정주기가 분할된 분할 측정주기마다 관리자 단말 장치(200)로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전송한다.
단계 S4-2에서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분할 측정주기마다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와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의 차이나는 복수의 절댓값을 산출한다.
단계 S4-3에서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산출된 복수의 절댓값을 제 2 중량데이터에 대응되는 판별 중량데이터 및 판별 비율에 따라 비교하는 상기 정확도 판별 과정을 처리한다. 즉, 단계 S4-3에서 복수의 절댓값을 판별 중량데이터 및 판별 비율에 따라 비교하여 그 비교가 기준을 통과하면 이 수순은 단계 S4-4로 진행되고, 그 비교가 기준을 통과하지 못 하면, 이 수순은 단계 S4-5로 진행된다.
단계 S4-4에서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산출된 복수의 절댓값 중 판별 중량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절댓값의 갯수가 판별 비율보다 작으면, 다른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제 1 중량데이터가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을 하나의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으로 치환하고, 측정주기마다 스마트 전자저울 랙(100)으로부터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계속해서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단계 S4-4는 1차 측정주기에서 100개의 전자소자가 포함된 제 1 중량데이터의 중량값이 1000g이고, 3차 측정주기 10번의 중량값이 1개만 990g이면, 절댓값인 10g을 판별 중량데이터 5g과 비교하여 비교대상을 1개로 산출하며, 그 비교대상에 대한 판별 비율인 90%에 대해 10번의 3차 측정주기 중 비교대상 1개가 10%의 비율을 가지므로, 3차 측정주기의 제 1 중량데이터가 지진이나 진동 등의 주변환경에 의해 잠시 변동된 것으로 간주한다.
단계 S4-5에서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산출된 복수의 절댓값 중 판별 중량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절댓값의 갯수가 판별 비율보다 크다고 판별되었으므로, 2차 측정주기의 변동된 제 1 중량데이터를 그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의 제 2 중량데이터에 따라 나누어 그 몫을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 즉, 관리 서버(300)는 정확도 판별 과정을 거쳐 식별 정보의 몫을 전달받음으로써, 지진이나 진동 등의 주변 환경에 대응하여 자재의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나타내었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자재 관리 시스템
100 : 스마트 전자저울 랙
110 : 로드셀
200 : 관리자 단말 장치
210 : 통신부
220 : 자재 관리 프로그램
221 : 데이터 연산부
222 : 이벤트 판별부
230 : 저장부
231 : 식별 정보
232 : 중량 정보
233 : 이벤트 정보
240 : 제어부
300 : 관리 서버
310 : 통신부
320 : 제어부
330 : 데이터베이스
331 : 식별 정보
332 : 중량 정보
333 : 판별 정보
334 : 이벤트 정보
335 : 빅데이터 정보

Claims (6)

  1. 각각의 지정위치마다 로드셀이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로드셀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측정주기마다 전송하며, 요청에 따라 상기 측정주기 중 하나가 분할된 분할 측정주기마다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전송하는 스마트 전자저울 랙;
    상기 스마트 전자저울 랙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수신하고,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 정보의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어 그 몫을 산출하며, 정확도 판별 과정에 따라 저마다의 상기 식별 정보에 매칭되도록 그 몫을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 장치; 및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저마다의 몫이 매칭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몫을 수량으로써 상기 식별 정보에 업데이트하는 자재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는,
    상기 측정주기 중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와 그 직후에 발생된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동일한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었을 때 산출된 2 개의 몫이 서로 다르면,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 직후의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가 분할된 상기 분할 측정주기마다 상기 스마트 전자저울 랙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와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의 차이나는 복수의 절댓값을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절댓값을 상기 제 2 중량데이터에 대응되는 판별 중량데이터 및 판별 비율에 따라 비교하는 상기 정확도 판별 과정을 처리하며,
    상기 정확도 판별 과정은,
    복수의 상기 절댓값 중 상기 판별 중량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상기 절댓값의 갯수가 상기 판별 비율보다 작으면,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을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으로 치환하고, 상기 측정주기마다 상기 스마트 전자저울 랙으로부터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계속해서 수신하며, 복수의 상기 절댓값 중 상기 판별 중량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상기 절댓값의 갯수가 상기 판별 비율보다 크면,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을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자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자재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각각의 지정위치마다 로드셀이 설치된 스마트 전자저울 랙이 각각의 상기 로드셀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제 1 중량데이터를 측정주기마다 전송하고, 요청에 따라 상기 측정주기 중 하나가 분할된 분할 측정주기마다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단계;
    관리자 단말 장치가 상기 스마트 전자저울 랙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수신하고,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저마다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 정보의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어 그 몫을 산출하며, 정확도 판별 과정에 따라 저마다의 상기 식별 정보에 매칭되도록 그 몫을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자재 관리 서버가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저마다의 몫이 매칭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몫을 수량으로써 상기 식별 정보에 업데이트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주기 중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와 그 직후에 발생된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동일한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누었을 때 산출된 2 개의 몫이 서로 다르면,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 직후의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가 분할된 상기 분할 측정주기마다 상기 스마트 전자저울 랙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와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의 차이나는 복수의 절댓값을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절댓값을 상기 제 2 중량데이터에 대응되는 판별 중량데이터 및 판별 비율에 따라 비교하며,
    상기 정확도 판별 과정은,
    복수의 상기 절댓값 중 상기 판별 중량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상기 절댓값의 갯수가 상기 판별 비율보다 작으면,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을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으로 치환하고, 상기 측정주기마다 상기 스마트 전자저울 랙으로부터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 복수의 상기 제 1 중량데이터를 계속해서 수신하며, 복수의 상기 절댓값 중 상기 판별 중량데이터보다 크거나 같은 상기 절댓값의 갯수가 상기 판별 비율보다 크면, 다른 하나의 상기 측정주기에 수신한 상기 제 1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중량데이터로 나뉜 몫을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자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자재 관리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80074620A 2018-06-28 2018-06-28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190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620A KR101905866B1 (ko) 2018-06-28 2018-06-28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620A KR101905866B1 (ko) 2018-06-28 2018-06-28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866B1 true KR101905866B1 (ko) 2018-11-28

Family

ID=6456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620A KR101905866B1 (ko) 2018-06-28 2018-06-28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86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8127B1 (en) Forecast model quality index for computer storage capacity planning
CN109649916B (zh) 一种智能货柜货物识别方法和装置
KR19980086544A (ko) 물적 분배 네트워크에서 장래 보충 소요 및 재고 수준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US103320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tail product inventory
US2017016944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tilizing multiple forecast models in forecasting customer demands for products at retail facilities
CN101118625A (zh) 存货管理系统和方法
CN113723985A (zh) 销量预测模型的训练方法、装置及电子设备、存储介质
CN108388512A (zh) 数据处理方法和服务器
CN105761000A (zh) 交易数据处理及风险预警系统和方法
KR20200122687A (ko) 상품 판매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9560977A (zh) 网站业务监控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电子设备
CN111062660A (zh) 一种网上商城库存数量计算方法及装置
KR20210149550A (ko) 기상정보를 활용한 외식기업의 매출 추정 시스템 및 매출 추정액의 산출 방법
CN110570271A (zh) 信息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487021B (zh) 业务数据的关联分析方法、装置及设备
KR101905866B1 (ko) 자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EP3664056B1 (en) Sensor device, background nois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background noise data transmission program
US10909177B1 (en) Percentile determination system
KR20130085062A (ko) 리스크 관리 장치
CN110826579A (zh) 一种商品分类的方法和装置
CN114626660A (zh) 用于激增调整预报的方法和装置
EP3664057B1 (en) Sensor management unit, sensing data distribution system, sensing data evaluation method, and sensing data evaluation program
WO2022203591A1 (en) Compatibility scoring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compatibility
US10552485B1 (en) Performance percentile determination and display
CN111310618A (zh) 物品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