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714B1 -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 - Google Patents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714B1
KR101905714B1 KR1020180025841A KR20180025841A KR101905714B1 KR 101905714 B1 KR101905714 B1 KR 101905714B1 KR 1020180025841 A KR1020180025841 A KR 1020180025841A KR 20180025841 A KR20180025841 A KR 20180025841A KR 101905714 B1 KR101905714 B1 KR 101905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water pressure
gas
supply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솔
Priority to KR1020180025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지점에서 기체가 배출되도록 함에 있어서, 기체의 배출압력을 높이고, 기체의 배출에 따라 누수지점에서 발생되는 보글거리는 버블음을 크게 함으로써, 누수지점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은 기압을 발생시키는 기압발생유닛과, 기압발생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기체의 압력과 분출량을 조절하는 기체공급유닛과, 기압발생유닛과 기체공급유닛을 연결하는 제1연결라인과, 기체공급유닛과 누수구간에서 누수지점이 포함된 상수도관을 연결하는 제2연결라인과, 제2연결라인에 구비되어 상수도관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LEAK POINT DEDUCTING SYSTEM AND LEAK POINT DEDUCTING METHOD}
본 발명은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누수지점에서 기체가 배출되도록 함에 있어서, 기체의 배출압력을 높이고, 기체의 배출에 따라 누수지점에서 발생되는 보글거리는 버블음을 크게 함으로써, 누수지점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정수장에서 정수 처리된 뒤, 시의 경우 각 구별로 큰 관을 통해 공급되고, 각 구에서는 중블록, 소블록 등으로 분류되어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각 분배점 사이에는 수도 미터기가 설치되어 있어 분배되는 지역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아파트단지와 같은 대단위 시설에는 큰 관을 통하여 한꺼번에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상수도관이 설치되기도 한다. 그리고 일반 가정 주택, 상가 건물 밀집 지역 등은 도로 아래 매설된 큰 관에서 작은 관으로 연결하여 최종 사용처로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일예로서 정수장에서 공급되는 전체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메인관에 메인 수도 미터기가 설치되고, 각 구별로 분배되는 구별 분배관마다 각 구별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별 수도 미터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 구에서 각 소블록(예를 들어 동 단위)으로 분류되는 소블록 분배관들에도 소블록 수도 미터기가 설치되어 각 소블록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소블록 분배관에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으로 분배되어 최종 사용처에서 사용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사용처 수도 미터기가 설치된다.
이때, 작은 관을 '지선'이라고 할 때, 대부분의 누수는 지선에서 발생하게 된다. 즉, 지선은 관이 가늘기 때문에 압력을 크게 받고, 주택 밀집 지역에서는 조인트 등으로 연결하여 길게 연결하기 때문에, 접합 및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쉽게 발생 된다.
이와 같이 각 지선에서 발생하는 누수량을 집계하게 되면, 전체적으로는 수돗물의 대략 20% 이상이 누수로 인하여 낭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양의 수돗물이 누수됨으로써, 비용의 낭비는 물론, 누수 위치에서의 압력변화에 의해 이물질, 세균, 중금속 등이 상수도관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75825호(발명의 명칭 : 관로의 누수위치 검사장치, 2001. 03. 0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수지점에서 기체가 배출되도록 함에 있어서, 기체의 배출압력을 높이고, 기체의 배출에 따라 누수지점에서 발생되는 보글거리는 버블음을 크게 함으로써, 누수지점의 위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은 기압을 발생시키는 기압발생유닛; 상기 기압발생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기체의 압력과 분출량을 조절하는 기체공급유닛; 상기 기압발생유닛과 상기 기체공급유닛을 연결하는 제1연결라인; 상기 기체공급유닛과 누수구간에서 누수지점이 포함된 상수도관을 연결하는 제2연결라인; 및 상기 제2연결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감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체공급유닛은, 상기 기체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제어밸브; 상기 제2연결라인으로 배출되는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분출량제어밸브; 상기 제1연결라인과 상기 제2연결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분출량제어밸브가 구비되는 공급라인; 및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설정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가능기압이 상기 제2연결라인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이 되도록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공급가능수압과 상기 수압감지부의 수압을 비교하여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통과한 기체가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되도록 상기 분출량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주입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입제어유닛은, 상기 공급가능기압을 이용한 기압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하는 기압제어부; 상기 수압감지부의 수압을 수신하는 수압수신부; 상기 수압감지부의 수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비교하는 수압비교부; 및 상기 수압비교부의 비교값을 이용한 수압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분출량제어밸브를 제어하는 분출량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입제어유닛은, 내장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수신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최대수압과 상기 최저수압을 도출하는 제어모니터링부; 상기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기압을 도출하는 제어기압도출부; 및 상기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도출하는 제어수압도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은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설정하고,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상기 주입제어유닛에 전송하는 정보수득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수득부는, 내장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수신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최대수압과 상기 최저수압을 도출하는 서버모니터링부; 상기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기압을 도출하는 서버기압도출부; 상기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도출하는 서버수압도출부; 및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상기 주입제어유닛에 송신하는 압력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제어유닛에는, 상기 압력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수신하는 압력수신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제어유닛에는,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이 입력되는 압력입력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제어유닛은,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상기 공급가능수압에 매칭되는 공급가능시간대를 바탕으로 상기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분출량제어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기체를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은 상기 최대수압과 상기 최저수압의 도출을 위해 상기 상수도관에 구비되어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을 시계열 순으로 측정하는 유체변화감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은 상기 누수구간의 도출을 위해 상기 상수도관에 구비되어 상기 상수도관에서 유체의 누수 여부를 감시하는 누수센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되는 기체에는, 가스탐지기에 의해 누수지점에서 검출 가능한 감지가스;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방법은 상수도관의 유체를 감시하여 누수구간을 도출하는 누수구간도출단계; 상기 누수구간에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수압확인단계; 상기 수압확인단계를 거쳐 모니터링되는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설정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기준으로 기체의 압력과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여 상기 기체를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하는 기체주입단계; 및 상기 기체주입단계에 대응하여 상기 누수구간의 누수지점에 대해 버블이 터지는 소리를 감지하는 청음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방법은 버블 발생을 위한 기체를 상수도관에 주입하여 누수지점을 도출하는 방법이고, 상기 기체의 압력과 분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에 기초하여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설정하는 제어설정단계; 및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가능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고, 상기 기체를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하기 위해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이용하여 상기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주입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의 압력과 상기 기체의 분출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기체를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한다.
여기서, 상기 기체가 주입되는 방향은 상기 상수도관에서 물이 이동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설정단계는, 내장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수신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을 도출하는 제어모니터링단계; 상기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을 적용하여 공상기 급가능기압을 도출하는 제어기압도출단계; 및 상기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도출하는 제어수압도출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설정단계는, 내장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수신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을 도출하는 서버모니터링단계; 상기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기압을 도출하는 서버기압도출단계; 상기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도출하는 서버수압도출단계;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주입제어유닛에 송신하는 압력송신단계; 및 상기 주입제어유닛에서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수신하는 압력수신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설정단계는,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이 입력되는 압력입력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입제어단계는,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 중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설정된 공급가능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압제어단계; 상기 상수도관에 수용된 유체의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을 수신하는 수압수신단계;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 중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설정된 공급가능수압과 상기 수압을 비교하는 수압비교단계; 및 상기 수압비교단계의 비교값에 따라 상기 기압제어단계를 거쳐 조절된 기체가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되도록 상기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분출량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방법은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상기 공급가능수압에 매칭되는 공급가능시간대를 바탕으로 상기 기체의 압력과 상기 기체의 분출량을 제어하고, 상기 공급가능시간대에서 상기 기체를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에 따르면, 누수지점에서 기체가 배출되도록 함에 있어서, 기체의 배출압력을 높이고, 기체의 배출에 따라 누수지점에서 발생되는 보글거리는 버블음을 크게 함으로써, 누수지점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수도관에 주입되는 기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기체의 분출량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체의 압력과 기체의 분출량 조절을 위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간편하게 설정하고, 압력이 증가된 기체를 상수도관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수득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을 빅데이터화하고, 누수지점 도출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수득부와의 통신을 통해 공급가능기압이 최대이고, 공급가능수압이 최소일 때, 작업자가 청음하도록 하고, 작업 시간의 효율성을 높이며, 청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족한 청음 효과를 보완하고, 누수지점 도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도하게 넓은 누수구간에서 누수지점 도출이 간편하고 정확해지고, 해당 가구 또는 해당 시설물의 단수를 최소화하여 누수지점 도출시 주변 환경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체의 주입을 원활하게 하고, 상수도관에서 기체의 이동이 간편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기체공급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누수예상구간에서 사용되는 물의 일일사용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누수예상구간에서 사용되는 물의 주간사용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방법에서 기체주입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서 x축은 물의 사용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물의 순시유량과 물의 압력(수압)을 나타낸다. 그러면, 붉은색은 시간에 따른 유량의 변화를 나타내고, 파란색은 시간에 따른 수압의 변화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은 기압발생유닛(100)과, 기체공급유닛(200)과, 제1연결라인(110)과, 제2연결라인(120)과, 수압감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압발생유닛(100)은 상수도관(160)에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압을 발생시킨다. 기압발생유닛(100)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기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예로, 기압발생유닛(10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기압을 발생시키는 컴프레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압발생유닛(100)은 상수도관(160)에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체가 충진된 압력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공급유닛(200)은 기압발생유닛(100)으로부터 전달되는 기체의 압력과 분출량을 조절한다. 기체공급유닛(200)은 기체공급유닛(200)에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제어밸브(210)와, 제2연결라인(120)으로 배출되는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분출량제어밸브(220)와, 제1연결라인(110)과 제2연결라인(120)을 연결하는 공급라인(230)과, 압력제어밸브(210)와 분출량제어밸브(220)를 제어하는 주입제어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라인(110)은 기압발생유닛(100)과 기체공급유닛(200)을 연결한다. 제2연결라인(120)은 기체공급유닛(200)과 누수구간에서 누수지점이 포함된 상수도관(160)을 연결한다. 제1연결라인(110)과 제2연결라인(120)은 각각 플라스틱, 스틸 등과 같은 공지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수도관(160)에 기체가 주입되는 방향은 상수도관(160)에서 물이 이동되는 방향과 일치시켜 기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수압감지부(130)는 제2연결라인(120)에 구비되어 누수지점이 포함된 상수도관(160)의 수압을 측정한다. 수압감지부(130)는 기체공급유닛(200)이 누수지점이 포함된 상수도관(160)에 기체를 주입할 때, 누수지점이 포함된 상수도관(160)의 수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수압감지부(130)는 상수도관(160)의 수압 측정에 따라 누수지점이 포함된 상수도관(160)의 수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수압감지부(130)에서 측정된 수압은 주입제어유닛(24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제어밸브(210)는 인가되는 기압제어신호에 의해 기압발생유닛(100)으로부터 전달되는 기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분출량제어밸브(220)는 인가되는 수압제어신호에 의해 압력제어밸브(210)로부터 전달되는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공급라인(230)에는 압력제어밸브(210)와 분출량제어밸브(220)가 직렬로 구비됨으로써, 기체는 압력제어밸브(210)를 통과한 다음, 분출량제어밸브(220)를 통과함으로써, 상수도관(160)에 안정된 기체가 공급되도록 하고, 기체의 압력과 분출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입제어유닛(240)은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설정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기준으로, 공급가능기압이 제2연결라인(120)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이 되도록 압력제어밸브(210)를 제어한다.
또한, 주입제어유닛(240)은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설정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기준으로, 공급가능수압과 수압감지부(130)의 수압을 비교하여 압력제어밸브(210)를 통과한 기체가 상수도관(160)에 주입되도록 분출량제어밸브(220)를 제어한다.
특히, 주입제어유닛(240)은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 중 공급가능수압에 매칭되는 공급가능시간대를 바탕으로 압력제어밸브와 분출량제어밸브를 조절함으로써, 기체를 상수도관에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주입제어유닛(240)에서는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 중 공급가능수압에 매칭되는 공급가능시간대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는 상수도관(160)마다 설치되는 유체변화감시부(165)를 통해 도 3 또는 도 4의 파란 부분과 같은 수압 변화를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상수도관(160)에 대하여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을 도출할 수 있다.
유체변화감시부(165)는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의 도출을 위해 상수도관(160)에 구비되어 상수도관(1650의 수압을 시계열 순으로 측정한다. 여기서, 유체변화감시부(165)는 유량 측정을 위해 상수도관(160)에 설치되는 수도미터기에 포함되거나 상수도관(160)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유체변화감시부(165)에서 측정된 수압은 주입제어유닛(240) 또는 후술하는 정보수득부(500)에 무선으로 전송되어 안정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공급가능기압은 최대수압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압효율이 적용되어 최대수압과 같거나 작게 설정된다. 공급가능기압은 상수도관(160)에 공급되는 기체의 기준 기압을 나타낼 수 있다. 일예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은 최대수압의 90% 내지 100%를 적용함으로써, 상수도관(160)에 최대한의 압력으로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일일사용량 또는 도 4에 도시된 주간사용량을 기준으로 최대수압이 5.5 bar 라고 가정하면, 공급가능기압은 4.95 bar 내지 5.5 bar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가능기압이 최대수압보다 크게 되면, 상수도관(160)의 파손 위험이 발생되므로, 공급가능기압은 최대수압과 같거나 작게 설정함으로써, 상수도관(1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급가능수압은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수압효율이 적용되어 최저수압보다 크게 설정된다. 공급가능수압은 기체를 상수도관(160)에 공급할 때, 상수도관(160)의 유체에 대한 기준 수압을 나타낼 낼 수 있다. 일예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은 최저수압의 5% 내지 10% 또는 5% 내지 15% 또는 10% 내지 15%를 적용함으로써, 상수도관(160)에 주입되는 기체의 압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고, 누수지점의 버블 발생에 대해 버블음을 크게 하므로, 청음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일일사용량 또는 도 4에 도시된 주간사용량을 기준으로 최저수압이 4.5 bar 라고 가정하면, 공급가능수압은 4.725 bar 내지 4.95 bar 또는 4.725 bar 내지 5.175 bar 또는 4.95 bar 내지 5.175 bar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가능수압이 최저수압과 같거나 작게 되면, 기체의 주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공급가능수압은 최저수압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상수도관(160)에서 기체의 주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공급가능기압은 최대기압에 인접하여 최대수압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고, 최저수압은 실제 측정되는 상수도관(160)의 수압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며, 공급가능수압에는 실제 측정되는 상수도관(160)의 수압이 포함되도록 한다.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 사이의 오차를 A라 하고, 최대수압과 최저수압 사이의 오차를 B라 하면, A/B는 0.5와 같거나 크고 1보다 작게 나타나므로, 공급가능기압을 최대화할 수 있고, 공급가능수압이 포함된 공급가능시간대에 상수도관(160)에 공급가능기압의 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결국, 공급가능기압은 상수도관(160)에 주입하고자 하는 기체의 압력을 최대화시키고, 공급가능수압은 상수도관(160)의 수압이 최소화되는 시점에서 상수도관(160)에 기체가 주입되도록 하므로, 버블에 의한 청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기재된 일일사용량 또는 도 4에 기재된 주간사용량을 기준으로 공급가능기압은 5 bar 내지 5.5 bar를 적용할 수 있고, 공급가능수압에 매칭되는 공급가능시간대가 낮시간대에 적용됨으로써, 상수도관(160)에 상대적으로 고압인 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결국, 최대수압은 공급가능기압과 같거나 크고, 공급가능기압은 공급가능수압보다 크며, 공급가능수압에는 실제 측정되는 상수도관(160)의 수압이포함되고, 실제 측정되는 상수도관(160)의 수압은 최저수압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은 압력제어밸브(210)와 분출량제어밸브(220) 사이에 구비되는 기압감지부(140)를 통해 압력제어밸브(210)에서 조절되는 기체의 압력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기압감지부(140)는 압력제어밸브(210)에 의해 조절된 기압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은 제2연결라인(120) 또는 공급라인(230)에 구비되는 체크밸브(170)를 통해 상수도관(160)의 유체가 분출량제어밸브(2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은 제1연결라인(110) 또는 공급라인(230)에 구비되는 개폐밸브(150)를 통해 압력제어밸브(210)에 기체의 공급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과압 발생시 제1연결라인(110) 또는 공급라인(230)을 차단하여 기체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입제어유닛(240)은 제어설정부(240a)와, 주입제어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설정부(240a)는 압력제어밸브(210)와 분출량제어밸브(220)를 제어하기 위해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설정한다. 제어설정부(240a)는 주입제어유닛(240) 자체적으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설정하는 자체제어부(25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정보수득부(500)를 통해 설정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이 입력되는 서버연동부(260)와, 작업자가 수동으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입력하는 수동제어부(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자체제어부(250)는 내장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수신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설정한다.
자체제어부(250)는 내장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수신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을 도출하는 제어모니터링부(251)와,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을 적용하여 공급가능기압을 도출하는 제어기압도출부(252)와,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을 적용하여 공급가능수압을 도출하는 제어수압도출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니터링부(251)에 수신되는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는 유체변화감시부(165)에서 시계열 순으로 측정되는 수압을 나타낼 수 있다.
둘째, 서버연동부(260)는 후술하는 정보수득부(500)로부터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수신하는 압력수신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정보수득부(500)는 자체제어부(250)와 같이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설정하고,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주입제어유닛(240)의 서버연동부(260)에 전송한다.
그러면, 압력수신부(261)는 압력송신부(304)에서 전송되는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수신하게 된다.
셋째, 수동제어부(270)는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에 기초하여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이 입력되는 압력입력부(271)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입력부(271)에 입력되는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에 의해 누수지점을 도출하기 위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이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은 기체공급유닛(200)과 유체변화감시부(165)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정보수득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수득부(500)에는 휴대가 불가능한 관리서버(300)와, 휴대가 가능한 휴대단말(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정보수득부(500)는 내장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수신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을 도출하는 서버모니터링부(301)와,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을 적용하여 공급가능기압을 도출하는 서버기압도출부(302)와,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을 적용하여 공급가능수압을 도출하는 서버수압도출부(303)와,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주입제어유닛(240)의 압력수신부(261)에 송신하는 압력송신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모니터링부(301)에 수신되는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는 유체변화감시부(165)에서 시계열 순으로 측정되는 수압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보수득부(500)의 관리서버(300)에 서버모니터링부(301)와, 서버기압도출부(302)와, 서버수압도출부(303)와, 압력송신부(304)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다른 예로, 해당 상수도관(160)의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은 관리서버(300)로부터 압력송신부(304)를 통해 휴대단말(40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400)에 수신된 해당 상수도관(160)의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은 압력입력부(271)에 입력하여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급가능시간대도 휴대단말(400)에 전송되어 압력입력부(271)에 입력됨에 따라 공급가능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자체제어부(250) 또는 정보수득부(500)에서 공급가능수압에는 상수도관(160)의 수압이 공급가능수압과 같거나 낮을 때, 상수도관(160)에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공급가능시간대가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입제어유닛은 공급가능수압에 매칭되는 공급가능시간대를 도출할 수 있고, 작업자는 공급가능시간대에 대응하여 누수구간에서 상수도관(160)에 기체를 주입함으로써, 상수도관(160)에 주입되는 기체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청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누수지점 도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면서 누수지점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주입제어부(240b)는 설정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이용하여 압력제어밸브(210)와 분출량제어밸브(220)를 제어한다.
주입제어부(240b)는 공급가능기압을 이용한 기압제어신호를 통해 압력제어밸브(210)를 제어하는 기압제어부(241)와, 수압감지부(130)에서 측정되는 수압을 수신하는 수압수신부(242)와, 수압감지부(130)에서 측정되는 수압과 공급가능수압을 비교하는 수압비교부(243)와, 수압비교부(243)의 비교값을 이용한 수압제어신호를 통해 분출량제어밸브(220)를 제어하는 분출량제어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기압제어부(241)는 압력제어밸브(210)에서 조절되는 기압이 공급가능기압이 되도록 압력제어밸브(210)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공급라인(230)의 기체는 공급가능기압으로 세팅된다.
분출량제어부(244)는 수압비교부(243)의 비교값에 있어서, 공급가능수압이 수압감지부(130)에서 측정되는 수압과 같거나 크면, 분출량제어밸브(220)의 제어에 따라 분출량제어밸브(220)의 개도를 조절하여 압력제어밸브(210)를 통과한 기체가 상수도관(160)에 주입되도록 한다. 또한, 분출량제어부(244)는 수압비교부(243)의 비교값에 있어서, 공급가능수압이 수압감지부(130)에서 측정되는 수압보다 작으면, 분출량제어밸브(220)의 제어에 따라 분출량제어밸브(220)를 차단하여 기체의 주입을 차단한다.
주입제어부(240b)는 기압감지부(140)에서 측정되는 기압과 공급가능기압을 비교하는 기압비교부(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압제어부(241)는 기압비교부(245)의 비교값에 있어서, 공급가능기압이 수압감지부(130)에서 측정되는 수압과 같거나 크면, 기압감지부(140)에서 측정되는 기압이 증가하도록 압력제어밸브(210)의 제어에 따라 압력제어밸브(210)의 개도를 조절한다. 또한, 기압제어부(241)는 기압비교부(245)의 비교값에 있어서, 공급가능기압이 기압감지부(140)에서 측정되는 기압보다 작으면, 압력제어밸브(210)의 제어에 따라 압력제어밸브(210)를 차단하여 기압의 상승을 제한한다.
주입제어부(240b)는 공급가능기압에 대응하여 기압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압변환부(246)와, 공급가능수압에 대응하여 수압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압변환부(2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수도관(160)에 기체가 안정적으로 주입되어 버블을 형성하고, 누수지점에서는 기체의 배출에 따라 버블이 터지면서 보글거리는 소리를 발생시키므로, 청음장치(미도시)를 통해 보글거리는 소리를 감지함으로서, 누수지점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누수지점의 정확도가 높아지므로, 누수지점에 대한 굴착면적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상수도관(160)의 매설심도가 기설정된 매설깊이보다 커서 청음장치(미도시)로도 보글거리는 소리를 찾기 어려울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에서 상수도관(160)에 주입되는 기체에는 누수지점의 검출을 위한 감지가스가 포함될 수 있다. 감지가스는 누수구간 중 누수지점에 대응하여 가스탐지기(미도시)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누수지점의 도출을 더욱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은 누수구간의 도출을 위해 상수도관(160)에 구비되어 상수도관(160)에서 유체의 누수 여부를 감시하는 누수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수센서(미도시)가 감시하는 상수도관(160)의 유체 감시 상태는 무선을 통해 정보수득부(500)의 관리서버(400)에 전송되고, 정보수득부(500)의 관리서버(400)에서는 상수도관(160)의 누수구간을 도출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방법은 누수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상수도관(160)의 유체 상태를 감시하여 누수구간을 도출하는 누수구간도출단계(S1)와, 상수도관(160)에 구비되는 유체변화감시부(165)를 통해 누수구간에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수압확인단계(S2)와, 수압확인단계(S2)를 거쳐 모니터링되는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설정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기준으로 기체의 압력과 기체의 분출량을 제어하여 상수도관(160)에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주입단계(S4)와, 기체주입단계(S4)에 대응하여 누수구간의 누수지점에 대해 버블이 터지는 소리를 감지하는 청음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체주입단계(S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방법은 청음단계(S5)를 거쳐 도출된 누수지점에 대해 상수도관(160)을 굴착하는 굴착단계(S6)와, 외부로 노출된 상수도관(160)에서 누수지점을 수리하는 누수지점수리단계(S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청음단계(S5)를 통해 감지되는 소리의 위치가 누수지점으로 결정하게 되므로, 굴착단계(S6)에서 굴착면적을 최소화하고, 누수지점의 수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기체주입단계(S4)에서는 기체와 함께 감지가스가 주입될 수 있고, 청음단계(S5)에서는 소리 감지와 더불어 가스탐지기(미도시)를 통해 감지가스를 감지함으로써, 누수지점의 위치 정밀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방법은 누수구간도출단계(S1)를 거친 다음, 도출된 누수구간에서 상수도관(16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이 연결되는 시스템연결단계(S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주입단계(S4)에서 상대적으로 고압인 기체를 상수도관(160)에 주입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방법은 버블 발생을 위한 기체를 상수도관(160)에 주입하여 누수지점을 도출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지점 도출방법은 기체의 압력과 분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에 기초하여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설정하는 제어설정단계와, 설정된 공급가능기압을 이용하여 상수도관(160)의 수압 중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고 설정된 공급가능수압을 이용하여 상수도관(160)의 수압 중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주입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기체주입단계(S4)는 제어설정단계와, 주입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체가 주입되는 방향은 상수도관(160)에서 물이 이동되는 방향과 일치되도록 한다.
일예로, 제어설정단계는 주입제어유닛(240) 자체의 제어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제어설정단계는 자체제어부(250)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제어설정단계는 내장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수신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설정한다. 제어설정단계는 주입제어유닛(240)의 자체제어부(250)에 내장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주입제어유닛(240)의 자체제어부(250)에 수신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을 도출하는 제어모니터링단계(S21)와,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을 적용하여 공급가능기압을 도출하는 제어기압도출단계(S22)와,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을 적용하여 공급가능수압을 도출하는 제어수압도출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니터링단계(S21)에 수신되는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는 유체변화감시부(165)에서 시계열 순으로 측정되는 수압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설정단계는 정보수득부(500)와 주입제어유닛(240) 사이의 통신이 접목된 제어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제어설정단계는 정보수득부(500)와 서버연동부(260)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제어설정단계는 정보수득부(500)에 내장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정보수득부(500)에 수신된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을 도출하는 서버모니터링단계(S31)와, 정보수득부(500)에서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을 적용하여 공급가능기압을 도출하는 서버기압도출단계(S32)와, 정보수득부(500)에서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을 적용하여 공급가능수압을 도출하는 서버수압도출단계(S33)와, 정보수득부(500)에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주입제어유닛(240)에 송신하는 압력송신단계(S34)와, 주입제어유닛(240)에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수신하는 압력수신단계(S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설정단계는 수동입력방식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제어설정단계는 수동제어부(270) 또는 압력입력부(271)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제어설정단계는 상수도관(160)에 대한 수압정보에 기초하여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이 입력되는 압력입력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제어단계는 설정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이용하여 기체의 압력과 기체의 분출량을 제어한다.
주입제어단계는 상수도관(160)의 수압 중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설정된 공급가능기압을 이용하여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압제어단계(S12)와, 상수도관(160)에 수용된 유체의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수도관(160)의 수압을 수신하는 수압수신단계(S14)와, 상수도관(160)의 수압 중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설정된 공급가능수압과 수압을 비교하는 수압비교단계(S15)와, 수압비교단계(S15)의 비교값에 따라 기압제어단계(S12)를 거쳐 조절된 기체가 상수도관(160)에 주입되도록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분출량제어단계(S16)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제어단계에서 기압제어단계(S12)와, 수압수신단계(S14)와, 수압비교단계(S15)와, 분출량제어단계(S16)는 각각 기압제어부(241)와, 수압수신부(242)와, 수압비교부(243)와, 분출량제어부(244)의 동작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주입제어단계는 기체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기압발생단계(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압발생단계(S11)는 기압발생유닛(100)의 동작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주입제어단계는 기압감지부(140)의 기압과 공급가능기압을 비교하는 기압비교단계(S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압비교단계(S13)는 기압비교부(245)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에 따르면, 누수지점에서 기체가 배출되도록 함에 있어서, 기체의 배출압력을 높이고, 기체의 배출에 따라 누수지점에서 발생되는 보글거리는 버블음을 크게 함으로써, 누수지점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수도관(160)에 주입되는 기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기체의 분출량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기체의 압력과 기체의 분출량 조절을 위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간편하게 설정하고, 압력이 증가된 기체를 상수도관(160)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정보수득부(500)와의 통신을 통해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을 빅데이터화하고, 누수지점 도출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보수득부(500)와의 통신을 통해 공급가능기압이 최대이고, 공급가능수압이 최소일 때, 작업자가 청음하도록 하고, 작업 시간의 효율성을 높이며, 청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부족한 청음 효과를 보완하고, 누수지점 도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과도하게 넓은 누수구간에서 누수지점 도출이 간편하고 정확해지고, 해당 가구 또는 해당 시설물의 단수를 최소화하여 누수지점 도출시 주변 환경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기체의 주입을 원활하게 하고, 상수도관에서 기체의 이동이 간편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기압발생유닛 110: 제1연결라인 120: 제2연결라인
130: 수압감지부 140: 기압감지부 150: 개폐밸브
165: 유체변화감시부 170: 체크밸브 200: 기체공급유닛
210: 압력제어밸브 220: 분출량제어밸브 230: 공급라인
240: 주입제어유닛 240a: 제어설정부 241: 기압제어부
242: 수압수신부 243: 수압비교부 244: 분출량제어부
245: 기압비교부 246: 기압변환부 247: 수압변환부
240b: 주입제어부 250: 자체제어부 251: 제어모니터링부
252: 제어기압도출부 253: 제어수압도출부 260: 서버연동부
261: 압력수신부 270: 수동제어부 271: 압력입력부
300: 관리서버 301: 서버모니터링부 302: 서버기압도출부
303: 서버수압도출부 304: 압력송신부 400: 휴대단말
S1: 누수구간도출단계 S2: 수압확인단계 S3: 시스템연결단계
S4: 기체주입단계 S11: 기압발생단계 S12: 기압제어단계
S13: 기압비교단계 S14: 수압수신단계 S15: 수압비교단계
S16: 분출량제어단계 S21: 제어모니터링단계 S22: 제어기압도출단계
S23: 제어수압도출단계 S31: 서버모니터링단계 S32: 서버기압도출단계
S33: 서버수압도출단계 S34: 압력송신단계 S35: 압력수신단계
S41: 압력입력단계 S5: 청음단계 S6: 굴착단계
S7: 누수지점수리단계

Claims (15)

  1. 기압을 발생시키는 기압발생유닛;
    상기 기압발생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기체의 압력과 분출량을 조절하는 기체공급유닛;
    상기 기압발생유닛과 상기 기체공급유닛을 연결하는 제1연결라인;
    상기 기체공급유닛과 누수구간에서 누수지점이 포함된 상수도관을 연결하는 제2연결라인; 및
    상기 제2연결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공급유닛은,
    상기 기체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제어밸브;
    상기 제2연결라인으로 배출되는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분출량제어밸브;
    상기 제1연결라인과 상기 제2연결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분출량제어밸브가 구비되는 공급라인; 및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설정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가능기압이 상기 제2연결라인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이 되도록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공급가능수압과 상기 수압감지부의 수압을 비교하여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통과한 기체가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되도록 상기 분출량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주입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제어유닛은,
    내장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수신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최대수압과 상기 최저수압을 도출하는 제어모니터링부;
    상기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기압을 도출하는 제어기압도출부;
    상기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도출하는 제어수압도출부;
    상기 공급가능기압을 이용한 기압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하는 기압제어부;
    상기 수압감지부의 수압을 수신하는 수압수신부;
    상기 수압감지부의 수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비교하는 수압비교부; 및
    상기 수압비교부의 비교값을 이용한 수압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분출량제어밸브를 제어하는 분출량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제어유닛은,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상기 공급가능수압에 매칭되는 공급가능시간대를 바탕으로 상기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분출량제어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기체를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하되,
    상기 기압제어부는,
    상기 압력제어밸브에서 조절되는 기체의 압력이 상기 공급가능기압이 되도록 상기 압력제어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며,
    상기 분출량제어부는,
    상기 수압비교부의 비교값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능수압이 상기 수압감지부에서 측정되는 수압과 같거나 크면, 상기 분출량제어밸브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출량제어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통과한 기체가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수압비교부의 비교값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능수압이 상기 수압감지부에서 측정되는 수압보다 작으면, 상기 분출량제어밸브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출량제어밸브를 차단하여 기체의 주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지점 도출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설정하고,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상기 주입제어유닛에 전송하는 정보수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지점 도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득부는,
    내장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수신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최대수압과 상기 최저수압을 도출하는 서버모니터링부;
    상기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기압을 도출하는 서버기압도출부;
    상기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도출하는 서버수압도출부; 및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상기 주입제어유닛에 송신하는 압력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제어유닛에는,
    상기 압력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수신하는 압력수신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지점 도출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제어유닛에는,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가능기압과 상기 공급가능수압이 입력되는 압력입력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지점 도출시스템.
  7. 삭제
  8.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수압과 상기 최저수압의 도출을 위해 상기 상수도관에 구비되어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을 시계열 순으로 측정하는 유체변화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지점 도출시스템.
  9.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구간의 도출을 위해 상기 상수도관에 구비되어 상기 상수도관에서 유체의 누수 여부를 감시하는 누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지점 도출시스템.
  10.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되는 기체에는, 가스탐지기에 의해 누수지점에서 검출 가능한 감지가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지점 도출시스템.
  11. 상수도관의 유체를 감시하여 누수구간을 도출하는 누수구간도출단계;
    상기 누수구간에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수압확인단계;
    상기 수압확인단계를 거쳐 모니터링되는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과 최저수압에 기초하여 설정된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기준으로 기체의 압력과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여 상기 기체를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하는 기체주입단계; 및
    상기 기체주입단계에 대응하여 상기 누수구간의 누수지점에 대해 버블이 터지는 소리를 감지하는 청음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주입단계는,
    상기 기체의 압력과 분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에 기초하여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설정하는 제어설정단계; 및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가능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고, 상기 기체를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하기 위해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이용하여 상기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주입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설정단계는,
    내장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수신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최대수압과 상기 최저수압을 도출하는 모니터링단계;
    상기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기압을 도출하는 기압도출단계; 및
    상기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도출하는 수압도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제어단계는,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 중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설정된 공급가능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압제어단계;
    상기 상수도관에 수용된 유체의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을 수신하는 수압수신단계;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 중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설정된 공급가능수압과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을 비교하는 수압비교단계; 및
    상기 수압비교단계의 비교값에 따라 상기 기압제어단계를 거쳐 조절된 기체가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되도록 상기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분출량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제어단계는,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상기 공급가능수압에 매칭되는 공급가능시간대를 바탕으로 상기 기체의 압력과 상기 기체의 분출량을 제어하여 상기 공급가능시간대에서 상기 기체를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하되,
    상기 기압제어단계는,
    상기 기체의 압력이 상기 공급가능기압이 되도록 상기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분출량제어단계는,
    상기 수압비교단계의 비교값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능수압이 상기 수압수신단계에서 측정되는 수압과 같거나 크면, 상기 기체가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수압비교단계의 비교값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능수압이 상기 수압수신단계에서 측정되는 수압보다 작으면, 상기 기체의 주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지점도출방법.
  12. 버블 발생을 위한 기체를 상수도관에 주입하여 누수지점을 도출하는 방법이고,
    상기 기체의 압력과 분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에 기초하여 공급가능기압과 공급가능수압을 설정하는 제어설정단계; 및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가능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고, 상기 기체를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하기 위해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이용하여 상기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주입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설정단계는,
    내장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또는 수신된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최대수압과 상기 최저수압을 도출하는 모니터링단계;
    상기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기압을 도출하는 기압도출단계; 및
    상기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압효율을 적용하여 상기 공급가능수압을 도출하는 수압도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제어단계는,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 중 최대수압을 기준으로 설정된 공급가능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압제어단계;
    상기 상수도관에 수용된 유체의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을 수신하는 수압수신단계;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 중 최저수압을 기준으로 설정된 공급가능수압과 상기 상수도관의 수압을 비교하는 수압비교단계; 및
    상기 수압비교단계의 비교값에 따라 상기 기압제어단계를 거쳐 조절된 기체가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되도록 상기 기체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분출량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제어단계는,
    상기 상수도관에 대한 수압정보 중 상기 공급가능수압에 매칭되는 공급가능시간대를 바탕으로 상기 기체의 압력과 상기 기체의 분출량을 제어하여 상기 공급가능시간대에서 상기 기체를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하되,
    상기 기압제어단계는,
    상기 기체의 압력이 상기 공급가능기압이 되도록 상기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분출량제어단계는,
    상기 수압비교단계의 비교값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능수압이 상기 수압수신단계에서 측정되는 수압과 같거나 크면, 상기 기체가 상기 상수도관에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수압비교단계의 비교값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능수압이 상기 수압수신단계에서 측정되는 수압보다 작으면, 상기 기체의 주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지점도출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가 주입되는 방향은 상기 상수도관에서 물이 이동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지점 도출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025841A 2018-03-05 2018-03-05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 KR101905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841A KR101905714B1 (ko) 2018-03-05 2018-03-05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841A KR101905714B1 (ko) 2018-03-05 2018-03-05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714B1 true KR101905714B1 (ko) 2018-12-05

Family

ID=6474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841A KR101905714B1 (ko) 2018-03-05 2018-03-05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377B1 (ko) * 2020-11-27 2022-01-03 주식회사 이엘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리 시설 자율 점검 및 운영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876B1 (ko) * 2014-04-30 2014-11-07 (주)서용엔지니어링 누수지점 탐사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876B1 (ko) * 2014-04-30 2014-11-07 (주)서용엔지니어링 누수지점 탐사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377B1 (ko) * 2020-11-27 2022-01-03 주식회사 이엘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리 시설 자율 점검 및 운영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2227B2 (en) Water flow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01278180B (zh) 过程阀门的泄漏检测器
US20170318761A1 (en) Water flow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EA024948B1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утечек текучей среды
CN102465715B (zh) 用于二氧化碳地质储存的综合管理系统
KR101905714B1 (ko) 누수지점 도출시스템과 누수지점 도출방법
Güngör et al. Increasing performance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by using pressure management and database integration
KR20080005694A (ko) 상수도관망 원격통합 누수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3644B1 (ko) 토양, 지하수 오염방지 배송관 누출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10228003A1 (en) Delivery pressure detection system for long distance slurry pipelin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US20170016214A1 (en) A fluid flow system and method
KR102113951B1 (ko) IoT 기반 실시간 무선 수압계 및 이를 포함하는 상수도 관리 시스템
KR100317201B1 (ko) 자동 염소 투입 장치 및 방법
US20220113217A1 (en) Egress point localization
US107362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luid flow measurement and control
CN208746789U (zh) 一种双层油罐泄漏检测装置及系统
KR20180091378A (ko) 유류배관 누출 위치 탐지 방법
KR100548511B1 (ko) 누수 차단 및 유수량 무선 검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58876B1 (ko) 누수지점 탐사장비
CN209605876U (zh) 一种用水量监控装置
US20210236865A1 (en)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for extinguishing fires
KR101184726B1 (ko) 시간대를 구분설정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JP2022015555A (ja) ガス漏れ検査システム
KR200361569Y1 (ko) 실내에서 확인/제어 가능한 다기능 표시/제어장치
US9044792B1 (en) Conduit decontamination and pressure tes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