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693B1 - Washing device and Fixed unit - Google Patents

Washing device and Fixed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693B1
KR101905693B1 KR1020170151840A KR20170151840A KR101905693B1 KR 101905693 B1 KR101905693 B1 KR 101905693B1 KR 1020170151840 A KR1020170151840 A KR 1020170151840A KR 20170151840 A KR20170151840 A KR 20170151840A KR 101905693 B1 KR101905693 B1 KR 10190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base frame
unit
guide rod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8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병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5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6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02Cleaning of turbo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device, having a pressure adjusting valve adjusting the amount of fluids discharged from a pump and supplied into the pump again so as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fluids, supplied to a fluid injecting unit to prevent injected fluids from scattering to the outside, by using the pressure adjusting valve. Moreover, a height-adjustable scaffold is installed in a base frame, and a position fixing unit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base frame is installed.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scaffold can be adjusted while the position of the base frame is fixed by the position fixing unit when an engine of a high-altitude aircraft is washed so that the engine of the aircraft can be stably and rapidly washed on the scaffold by a worker.

Description

세척 장치 및 위치고정유닛{Washing device and Fixed unit}[0001] Washing device and Fixed unit [

본 발명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 엔진의 압축기에 유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contaminants adhering to a compressor of an aircraft engine.

일반적으로 고속으로 비행하는 항공기에는 추진력을 얻기 위한 엔진이 장착된다.Generally, an aircraft flying at high speed is equipped with an engine for obtaining propulsive power.

항공기의 엔진은 비행중에 유입된 오염물질 및 미세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최적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주기적으로 세척하게 된다.The engine of the aircraft is periodically cleaned because it is important to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and fine dust that enter the airplane during flight to keep it in optimum condition.

이때, 항공기의 엔진 세척은 주로 고압의 유체를 엔진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행하여지게 되는데, 이 경우 높은 압력으로 분사되는 유체가 외부로 튀어나가거나 흘러내리게 되어 항공기 외부 등을 오염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engine cleaning of the aircraft is mainly performed by injecting a high-pressure fluid into the engine. In this case, the fluid injected at a high pressure spills out or flows out to pollute the outside of the aircraft.

또한, 종래 이동형 세척 장치의 경우, 유체저장부와 유체공급부가 설치된 수레형으로 위치고정이 쉽지 않고, 유체공급부에 유체분사부를 연결하는 구조가 나사체결 방식으로 복잡하여 불편함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obile cleaning apparatus, since it is not easy to fix the position of the fluid cleaning unit in the fluid storage unit and the fluid supply unit, and the fluid inj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unit, Improvement is required.

또한, 높게 위치한 항공기의 엔진을 세척하기 위해 작업자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동시 사다리와 이동형 세척 장치를 각각 움직임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Further, in order to clean an engine of a highly-located aircraft, a worker uses a ladder to work.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ng time is required for moving the ladder and the movable type cleaning devic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0193호(2012.02.15. 공고)Korean Patent No. 10-1110193 (Announcement of 15.01.2012)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펌프에서 토출되어 펌프로 재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가 구비됨으로써, 분사된 유체가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유체분사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압력조절밸브를 통해 조절할 수 있는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backgroun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ssure control valve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from a pump and supplied to a pum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pressure through a pressure regulating valve.

또한, 베이스프레임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발판이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위치고정유닛이 설치됨으로써, 높게 위치한 항공기의 엔진을 세척시, 위치고정유닛을 통해 베이스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자가 발판위에서 안정적으로 신속하게 항공기의 엔진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otrest is provided on the base frame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base frame is provided, Which is capable of reliably and rapidly cleaning an engine of an aircraft on a foot plat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ot plate in a state where the foot plate is fixed.

또한, 유체공급부의 토출구에 원터치커플러가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유체분사부의 유체이송관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device which can shorten the working time since a one-touch coupler is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fluid supply unit, thereby enabling the operator to quickly connect or disconnect the fluid transfer pipe of the fluid injection uni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며, 유체저장부의 유체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유체공급부와 원터치커플러로 연결되며,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위치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fluid supply apparatus comprising: a fluid supply unit installed in a base frame for pressurizing and supplying fluid in a fluid storage unit at a high pressure; A fluid ejection unit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unit through a one-touch coupler and ejecting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And a position fixing unit installed on the base frame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base fram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유체저장부의 유체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유체분사부로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 증감을 위해 상기 펌프에서 토출되어 상기 펌프로 재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supply unit may include: a pump for pressurizing and supplying fluid of the fluid storage unit to a high pressure; And a pressure regulating valve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from the pump and supplied to the pump to increase or decrease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fluid injecting uni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로드; 상기 가이드로드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로드와 함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지면과 이격되거나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fixing unit may include: a guide rod installed on the base fram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support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guide rod and moving upward or downward together with the guide rod and spaced from the ground or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로드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fix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latching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fixing or releasing the guide ro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터치커플러는, 상기 유체공급부의 토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분사부의 유체이송관 삽입통로가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이송관이 끼워지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를 통해 끼워지는 상기 유체이송관을 고정시키되, 상기 삽입통로에 상기 슬리브를 밀어넣으면 상기 유체이송관이 분리되도록 벌어지는 잠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touch coupler includes a housing installed at a discharge port of the fluid supply unit and having a fluid transfer pipe insertion passage of the fluid injection unit formed therethrough; A sleev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into which the fluid transfer tube is inserted; And a lock piece that fixes the fluid transfer tube inserted through the sleeve, and opens when the sleev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ssage to separate the fluid transfer tub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펌프에서 토출되어 펌프로 재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가 구비됨으로써, 분사된 유체가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유체분사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압력조절밸브를 통해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sure control valve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from the pump and re-supplied to the pump, so that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fluid spraying portion is maintained at a press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djusted through the control valve.

또한, 베이스프레임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발판이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위치고정유닛이 설치됨으로써, 높게 위치한 항공기의 엔진을 세척시, 위치고정유닛을 통해 베이스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자가 발판위에서 안정적으로 신속하게 항공기의 엔진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otrest is provided on the base frame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base frame is provided, The operator can clean the engine of the aircraft stably and quickly on the footres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otrest.

또한, 유체공급부의 토출구에 원터치커플러가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유체분사부의 유체이송관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one-touch coupler is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fluid supply unit, the operator can quickly connect or disconnect the fluid transfer pipe of the fluid injection unit, there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유체 흐름을 나타낸 계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위치고정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위치고정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원터치커플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luid flow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sition fixing unit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sition fixing unit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one-touch coupler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유체 흐름을 나타낸 계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위치고정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위치고정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원터치커플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osition fixing unit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one-touch coupler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100)는, 베이스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유체저장부(120)의 유체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공급하는 유체공급부(130); 유체공급부(130)와 원터치커플러(300)로 연결되며, 유체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170); 및 베이스프레임(110)에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위치고정유닛(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a clea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unit 100 installed in a base frame 110, and a fluid supply unit 120 for pressurizing and supplying fluid of a fluid storage unit 120 at a high pressure, (130); A fluid injecting unit 170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ing unit 130 and the one-touch coupler 300 and injecting a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ing unit 130; And a position fixing unit 200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0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base frame 110.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장치(100)는 베이스프레임(110), 유체저장부(120), 유체공급부(130), 유체필터(140), 압력게이지(150), 유량계(160), 유체분사부(170), 전원공급부(190), 위치고정유닛(200) 및 원터치커플러(300)를 포함한다.1 to 3, the cleaning apparatus 100 includes a base frame 110, a fluid reservoir 120, a fluid supply 130, a fluid filter 140, a pressure gauge 150, a flow meter (not shown) 160, a fluid jetting unit 170, a power supply unit 190, a position fixing unit 200, and a one-touch coupler 300.

베이스프레임(110)은 후방에 손잡이부(112)가 형성된 수레 형상으로 하부에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으로 바퀴(114)가 설치된다.The base frame 110 is formed in a wagon shape having a handle 112 formed at the rear, and a wheel 114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또한, 베이스프레임(110)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발판(116)이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위치고정유닛(200)이 설치된다.The base frame 110 is provided with a foot plate 116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se frame 110 and a position fixing unit 200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base frame 110.

본 발명의 세척 장치(100)는 발판(116)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발판(116)과 베이스프레임(110) 사이에 한쌍의 X자형 프레임이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110)에 발판(116)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실린더가 설치될 수 있다.The clean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pair of X-shaped frames are foldably installed between the foot plate 116 and the base frame 110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oot plate 116, A cylinder for raising or lowering the valve 116 may be provided.

여기서, 발판(116)은 상측면에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기(118)가 돌출 형성된다.Here, the foot plate 116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8 protruding from its upper side to prevent an operator from slipping.

위치고정유닛(200)은 베이스프레임(110)에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것으로, 상단에 손잡이부(210)가 형성되고, 베이스프레임(1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로드(220); 및 가이드로드(2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로드(220)와 함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지면과 이격되거나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판(230);을 포함한다.The position fixing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0 to fix or unlock the position of the base frame 110. The position fixing unit 200 has a handle 210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 guide rod 220 installed as far as possible; And a support plate 23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guide rod 220 and moving upward or downward together with the guide rod 220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or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베이스프레임(110)은 위치고정유닛(200)의 가이드로드(220)가 상하로 관통되는 지지부(111)가 형성되어 위치고정유닛(200)의 가이드로드(220)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The base frame 110 supports the guide rod 220 of the position fixing unit 200 in a vertically movable manner by forming a support portion 111 through which the guide rod 220 of the position fixing unit 200 passes vertically .

이때, 가이드로드(22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지지부(111)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rod 220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11 of the base frame 110 by a screw fastening method, and moves upwards when it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moves downward when it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와 더불어, 가이드로드(2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판(230)은 가이드로드(220)와 함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지면과 이격되거나 지면에 밀착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2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220 moves upward or downward together with the guide rod 220, and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or closely attached to the ground.

보다 상세하게, 위치고정유닛(200)의 손잡이부(2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체결방식으로 베이스프레임(110)의 지지부(111)에 결합된 가이드로드(22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로드(2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된 지지판(23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지면과 이격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세척 장치(100)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handle 210 of the position fixing unit 20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guide rod 220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11 of the base frame 110 is moved upward by the screw fastening metho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plate 2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220 is moved upwar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re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cleaning apparatus 100.

이와는 반대로, 위치고정유닛(200)의 손잡이부(2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체결방식으로 베이스프레임(110)의 지지부(111)에 결합된 가이드로드(22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로드(2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된 지지판(230)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지면과 밀착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세척 장치(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The guide rod 220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11 of the base frame 110 is moved downward by a screw fastening method when the handle portion 210 of the position fixing unit 20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plate 2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220 is moved downwar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cleaning apparatus 1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유닛(200)은 베이스프레임(110)에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것으로, 상측 단부에 손잡이부(210)가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 개의 걸림홈(222)이 형성되며, 베이스프레임(1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로드(220); 베이스프레임(110)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걸림홈(222)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며 가이드로드(220)를 고정 시키거나 가이드로드(220)와 이격되며 가이드로드(220)를 고정 해제시키는 걸림부재(240); 손잡이부(210)와 베이스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어 손잡이부(2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50); 및 가이드로드(2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로드(220)와 함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지면과 이격되거나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판(230);을 포함한다.5, the position fixing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0 to fix or unlock the position of the base frame 110, and the upper end A guide rod 220 coupled to the handle 210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2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10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 lock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in the base frame 110 and is fitt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222 and is fixed to the guide rod 220 or spaced apart from the guide rod 220, 240); An elastic member 250 installed between the handle 210 and the base frame 110 to elastically support the handle 210; And a support plate 23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guide rod 220 and moving upward or downward together with the guide rod 220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or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유닛(200)의 손잡이부(210)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로드(220)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고, 가이드로드(220)는 외측면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 개의 걸림홈(222)이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지지부(11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판(230)은 가이드로드(2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로드(220)와 함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지면과 이격되거나 지면에 밀착된다.The grip 210 of the position fixing uni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rod 220 so that the grip 210 can be gripped by an operator and the guide rod 220 is vertically The support plate 23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22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support portion 111 of the base frame 110 Moves upward or downward together with the guide rod 220 and is spaced from the ground or closely attached to the ground.

또한, 걸림부재(240)는 가이드로드(220)를 향해 탄성 지지되어 복수 개의 걸림홈(222)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며 가이드로드(220)를 고정 시키거나 가이드로드(220)와 이격되며 가이드로드(220)를 고정 해제시키도록 베이스프레임(110)에 설치되고, 탄성부재(250)는 손잡이부(210)와 베이스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어 손잡이부(21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The engaging member 240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guide rod 220 and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222 to fix the guide rod 220 or to be separated from the guide rod 220, The elastic member 250 is installed between the handle 210 and the base frame 110 to elastically support the handle 210. The elastic member 250 is disposed between the handle 210 and the base frame 110,

이때, 가이드로드(220)는 걸림홈(222) 중 하측을 향하는 면에 경사부(224)가 형성되고, 걸림부재(240)는 상측을 향하는 면에 경사부(244)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guide rod 220 is formed with the inclined portion 224 on the downward facing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222, and the inclined portion 244 is formed on the upward facing surface of the engaging member 240.

따라서, 가이드로드(220)는 걸림부재(240)가 걸림홈(222)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경사부(224, 244)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되,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guide rod 220 moves downward by the inclined portions 224 and 244 even when the engaging member 240 is fitted in the engaging groove 222, but does not move upward.

이에 따라, 위치고정유닛(200)의 손잡이부(21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베이스프레임(110)의 지지부(1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로드(22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로드(2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된 지지판(230)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지면과 밀착된 상태가 되며, 가이드로드(220)를 향해 탄성 지지되는 걸림부재(240)가 가이드로드(220)의 걸림홈(222)에 끼워져 세척 장치(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The guide rod 220 slidab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11 of the base frame 110 is moved downward when the handle 210 of the position fixing unit 200 is moved downwar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plate 2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220 is moved downwar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retaining member 240,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guide rod 22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leaning apparatus 100 can be fixed.

여기서, 위치고정유닛(200)의 걸림부재(240)를 가이드로드(220)와 이격시키게 되면, 손잡이부(210)와 베이스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250)에 의해 손잡이부(210)에 결합된 가이드로드(22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로드(2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된 지지판(23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지면과 이격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세척 장치(100)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engaging member 240 of the position fixing unit 20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rod 220, the elastic member 250 provided between the handle 210 and the base frame 110 moves the handle 210 The support rod 2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220 is moved upwar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user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유닛(200)의 손잡이부(210)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로드(220)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고, 가이드로드(220)는 양측면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 개의 걸림홈(222)이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지지부(11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판(230)은 가이드로드(2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로드(220)와 함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지면과 이격되거나 지면에 밀착된다.The grip 210 of the position fixing uni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rod 220 so that the grip 210 can be gripped by an operator and the guide rod 220 is vertically The support plate 23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22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support portion 111 of the base frame 110 Moves upward or downward together with the guide rod 220 and is spaced from the ground or closely attached to the ground.

또한, 걸림부재(240)는 가이드로드(220)를 향해 탄성 지지되어 복수 개의 걸림홈(222)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며 가이드로드(220)를 고정 시키거나 가이드로드(220)의 걸림홈(222)과 이격되며 가이드로드(220)를 고정 해제시키도록 베이스프레임(110)에 설치되고, 탄성부재(250)는 손잡이부(210)와 베이스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어 손잡이부(21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The engaging member 240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guide rod 220 so as to be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222 and to fix the guide rod 220 or to fix the engaging groove 222 of the guide rod 220 The elastic member 250 is installed between the handle 210 and the base frame 110 to separate the handle 210 from the base 210. The elastic member 250 is disposed between the handle 210 and the base frame 110,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이때, 가이드로드(220)는 걸림홈(222) 중 하측을 향하는 면에 경사부(224)가 형성되고, 걸림부재(240)는 상측을 향하는 면에 경사부(244)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guide rod 220 is formed with the inclined portion 224 on the downward facing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222, and the inclined portion 244 is formed on the upward facing surface of the engaging member 240.

이에 따라, 가이드로드(220)는 걸림부재(240)가 걸림홈(222)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경사부(224, 244)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되,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The guide rod 220 moves downward by the inclined portions 224 and 244 even when the engaging member 240 is fitted in the engaging groove 222 but does not move upward.

이때, 가이드로드(220)는 전방과 후방을 제외한 양측 부분에만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걸림홈(222)이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걸림부재(240)가 걸림홈(222)으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탄성부재(25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rods 220 are formed at both sides except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so that the locking grooves 222 ar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member 250 at the same time.

따라서, 발 또는 손으로 눌러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 해제시 발 또는 손으로 손잡이부(210)를 90도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부재(240)가 걸림홈(222)으로부터 이격되어 세척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handle 210 is rotated 90 degrees with the hand or the hand when the handle is fixedly released from the state of being pressed with the foot or the hand, the engaging member 240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groove 222, .

여기서, 지지판(230)은 지면에 밀착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232)가 형성되며, 완충부(232)는 스펀지,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Here, the support plate 230 is formed with a buffer part 232 for buffering an impact when the support plate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buffer part 232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ponge, rubber, or silicon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110)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발판(116)이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위치고정유닛(200)이 설치됨으로써, 높게 위치한 항공기의 엔진을 세척시, 위치고정유닛(200)을 통해 베이스프레임(110)의 위치를 고정하고 발판(116)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자가 발판(116)위에서 안정적으로 신속하게 항공기의 엔진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116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0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200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base frame 110 is installed, The position of the base frame 110 is fixed through the position fixing unit 200 and the height of the foot plate 116 is adjusted to clean the engine of the aircraft stably and quickly on the foot plate 116 .

유체저장부(12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엔진을 세척하기 위한 유체가 수용된다.The fluid storage part 12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110, and a fluid for cleaning the engine is accommodated therein.

본 발명에서 유체저장부(120)는 내부에 40ℓ의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한쌍의 유체탱크(121)와, 유체탱크(121)의 수용공간부와 연결되어 유체탱크(121)의 유체를 유체공급부(130)로 공급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선택밸브(126)와, 선택밸브(126)와 연결되어 유체탱크(121)의 유체를 유체공급부(130)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차단밸브(128)를 포함한다.The fluid storage part 120 includes a pair of fluid tanks 121 in which a housing space is formed so that 40 L of fluid can be received therein and a fluid tank 121 connected to the housing space part of the fluid tank 121, A selector valve 126 connected to the selector valve 126 for supplying or blocking the fluid of the fluid tank 121 to the fluid supply unit 130; Valve 128. < / RTI >

여기서, 한쌍의 유체탱크(121)의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유체는 각각 선택밸브(126)와 차단밸브(128)를 통과하여 T형엘보 등에 의해 혼합되어 유체공급부(130)로 공급된다.The fluid received in the space of the pair of fluid tanks 121 passes through the selector valve 126 and the shutoff valve 128 and is mixed with the T-shaped elbow or the like and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unit 130.

유체탱크(121)는 40ℓ의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측이 개구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수용공간부의 개구된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부에 덮개(123)가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측부에 유체량 표시부(122)가 설치된다.The fluid tank 121 is formed with a housing space having an upper opening so that 40 L of fluid can be accommodated. A cover 123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to cover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housing space. A fluid amount indicating portion 122 is provided on the side portion so as to confirm the amount of fluid.

이때, 유체탱크(121)의 수용공간부에는 유체공급부(130)로 공급되는 유체 속의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도록 스크린망(124)이 설치된다.At this time, a screen net 124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luid tank 121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fluid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unit 130.

유체공급부(13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체저장부(120)의 유체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유체분사부(170)로 공급하는 것으로, 유체저장부(120)의 유체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공급하는 펌프(132)와, 유체분사부(170)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 증감을 위해 펌프(132)에서 토출되어 펌프(132)로 재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134)를 포함한다.The fluid supply part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110 to pressurize the fluid in the fluid storage part 120 at a high pressure and supply the fluid to the fluid injection part 170. The fluid supply part 130 is configured to pressurize the fluid in the fluid storage part 120, And a pressure regulating valve 132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from the pump 132 and supplied to the pump 132 in ord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fluid injecting unit 170, (134).

유체공급부(130)는 압력조절밸브(134)를 통해 유체분사부(170)로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The fluid supply part 130 regulates the amount of fluid supplied to the fluid injection part 170 through the pressure control valve 134.

즉, 유체공급부(130)는 펌프(132)의 유입구(138)와 유출구(139)에 연결된 압력조절밸브(134)를 통해 펌프(132)에서 토출되어 펌프(132)로 재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데 펌프(132)에서 토출되어 펌프(132)로 재공급되는 유체의 양이 작을 경우, 유체분사부(170)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은 증가하게 되고, 펌프(132)에서 토출되어 펌프(132)로 재공급되는 유체의 양이 많을 경우, 유체분사부(170)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은 감소하게 된다.That is, the fluid supply unit 130 supplies the amount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pump 132 to the pump 132 through the inlet 138 of the pump 132 and the pressure control valve 134 connected to the outlet 139,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fluid injecting unit 170 is increased and th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pump 132 when the amount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pump 132 to the pump 132 is small. When the amount of the fluid re-supplied to the pump 132 is large,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fluid injecting unit 170 is reduced.

이와 같이 유체공급부(130)는 펌프(132)에서 토출되어 펌프(132)로 재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134)를 통해 분사된 유체가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유체분사부(170)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fluid supply part 130 is provided with a fluid delivery part 134 so that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pressure control valve 134,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pump 132 and regulates the amount of fluid supplied to the pump 132,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fluid passage 170 can be adjusted.

여기서, 펌프(132)는 전원공급부(19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꾸는 모터를 통해 유체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공급하게 된다.Here, the pump 132 pressurizes the fluid to a high pressure through a motor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90 to mechanical energy.

본 발명의 세척 장치(100)는 기계식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펌프(132)에서 토출되어 펌프(132)로 재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134)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다르게, 본 발명의 세척 장치(100)는 전자식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펌프(13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속도제어모듈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clean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with the pressure control valve 134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from the pump 132 and supplied to the pump 132 so as to be mechanically controllable, , The clean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peed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ump 132 so as to control the amount of fluid to be injected so as to be electronically controllable.

속도제어모듈은 가변저항의 선택에 따라 펌프(13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The speed control module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ump 132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variable resistor to control the amount of fluid to be injected.

이때, 유체공급부(130)는 펌프(132)의 유출구(139)가 유체분사부(170)가 결합되는 토출구(137)에 연결되며, 펌프(132)의 유출구(139)와 토출구(137) 사이에는 유체로부터 부유물질이나 콜로이드 상태의 물질을 걸러내는 유체필터(140) 및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150)가 설치된다.The fluid supply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37 through which the fluid discharge part 170 is connected and the discharge port 139 of the pump 132 is connect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139 of the pump 132 and the discharge port 137 A fluid filter 140 for filtering the suspended material or the colloidal material from the fluid, and a pressure gauge 150 for indicating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fluid.

이와 더불어, 유체공급부(130)는 유체필터(14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필터점검창(142)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luid supply part 130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check window 142 for confirming the state of the fluid filter 140.

전원공급부(19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체공급부(130)의 펌프(132) 및 각종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110 to supply power to the pump 132 of the fluid supply unit 130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에서 전원공급부(190)는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력을 펌프(132) 및 각종 전자기기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136) 및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계(192)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태양광 발전장치 또는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a switch 136 for switch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to the pump 132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a battery remaining amount indicator (192), and the battery can be charged by the photovoltaic device or an external power source.

이때,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 또는 자동차, 항공기 등의 외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선택 스위치(194)를 더 포함하며, 선택 스위치(194)는 배터리의 전력을 펌프(132) 및 각종 전자기기에 공급하거나 자동차, 항공기 등의 외부전원을 펌프(132) 및 각종 전자기기에 공급하도록 스위칭하게 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further includes a selection switch 194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such as a battery or an automobile or an airplane and the selection switch 194 is connected to the pump 132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Or an external power source such as an automobile or an airplane is supplied to the pump 132 and various electronic apparatuses.

이에 따라 전원공급부(190)는 선택 스위치(194)를 배터리로 선택시, 배터리의 전력을 펌프(132) 및 각종 전자기기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터리 잔량 표시계(192)를 통해 배터리의 잔량 및 잔여 작동시간을 표시하게 되고, 선택 스위치(194)를 외부전원으로 선택시, 외부 전력을 펌프(132) 및 각종 전자기기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터리 잔량 표시계(192)를 통해 외부전원 공급 및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When the selection switch 194 is selected as a battery, 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pump 132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at the same time,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and the remaining operation time When the selection switch 194 is selected as the external power supply, external power is supplied to the pump 132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at the same time, the external power supply and the battery charging state are displayed through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ndicator 192 do.

스위치(136)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하부 유체공급부(130)와 상부 손잡이부(112)에 설치되며, 하부 유체공급부(130)에 설치되는 스위치(136)는 유량 및 압력 점검시 펌프를 온-오프 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부 손잡이부(112)에 설치되는 스위치는 일정 유량 분사 후 손쉽게 펌프를 온-오프 하기 위해 사용된다.A plurality of switches 136 are provided in the lower fluid supply part 130 and the upper grip part 112 and the switch 136 installed in the lower fluid supply part 130 controls the pump to be turned on and off And a switch installed in the upper handle 112 is used to easily turn the pump on and off after a constant flow rate injection.

유체분사부(170)는 유체공급부(130)와 원터치커플러(300)로 연결되며, 유체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항공기의 엔진에 분사하게 된다.The fluid injecting section 170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ing section 130 and the one-touch coupler 300 and injects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ing section 130 to the engine of the aircraft.

유체분사부(170)는 플렉시블한 파이프 형상으로 유체공급부(130)와 원터치커플러(300)로 연결되는 유체이송관(172)과, 파이프 형상으로 유체이송관(172)과 연결되는 손잡이부(174) 및 하나 이상의 분사구(178)가 형성되어 손잡이부(174)와 연결되는 노즐부(176)를 포함한다.The fluid injecting unit 170 includes a fluid transfer pipe 172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unit 130 and the one-touch coupler 300 in the form of a flexible pipe, a handle 174 connected to the fluid transfer pipe 172 in a pipe shape, And a nozzle portion 176 formed with at least one jetting port 178 and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174. [

즉, 유체분사부(170)는 플렉시블한 파이프 형상으로 일측이 유체공급부(130)와 원터치커플러(300)로 연결되는 유체이송관(172)의 타측에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74)의 일측이 결합되고, 손잡이부(174)의 타측에 하나 이상의 분사구(178)가 형성되는 노즐부(176)가 결합된다.That is, the fluid injecting unit 170 includes a handle 174 formed in a flexible pipe shape and formed in a pipe shape on the other side of the fluid transfer pipe 172,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unit 130 and the one-touch coupler 300, And a nozzle portion 176 to which at least one jetting port 178 is forme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174.

이때, 유체이송관(172)과 손잡이부(174) 사이에는 유체분사시 작업자가 분사량을 확인하여 분사 중단시기를 인지 할 수 있도록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160)가 설치된다.A flow meter 160 is provided between the fluid transfer pipe 172 and the handle 174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fluid so that the operator can check the injection amount and recognize the injection stop time when the fluid is injected.

이에 따라, 유체분사부(170)는 유체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어 유체이송관(172)을 통해 손잡이부(174)로 유입되는 유체를 노즐부(176)의 분사구(178)를 통해 분사시키게 된다.The fluid injecting unit 170 injects the fluid that is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ing unit 130 and flows into the handle 174 through the fluid transfer pipe 172 through the injection port 178 of the nozzle unit 176 .

본 발명에서, 노즐부(176)는 링 형상 또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분사구(178)는 링 형상 또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노즐부(176)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portion 176 is formed in a ring shape or a disk shape, and a plurality of ejection openings 178 are formed in the nozzle portion 176 formed in a ring shape or a disk sha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o.

이와 같은 노즐부(176)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분사구(178)는 유체를 동일한 방향으로 분사하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nozzle unit 176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the jetting ports 178 may be formed to jet the fluid in the same direction or may be formed to jet in different directions.

계속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커플러(300)는 유체공급부(130)의 토출구(137)에 설치되며, 유체분사부(170)의 유체이송관 삽입통로(380)가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310); 하우징(310)에 설치되며, 유체이송관(172)이 끼워지는 슬리브(320); 및 슬리브(320)를 통해 끼워지는 유체이송관(172)을 고정시키되, 삽입통로(380)에 슬리브(320)를 밀어넣으면 유체이송관(172)이 분리되도록 벌어지는 잠금편(340);을 포함한다.8, the one-touch coupler 300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137 of the fluid supply unit 130 a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300 through which the fluid transfer pipe insertion passage 380 of the fluid injection unit 170 is inserted, (310); A sleeve (320) installed in the housing (310) and into which the fluid transfer tube (172) is fitted; And a lock piece 340 that fixes the fluid transfer tube 172 fitted through the sleeve 320 and fires so that the fluid transfer tube 172 is separated by pushing the sleeve 320 into the insertion path 380.

보다 상세하게, 원터치커플러(300)는 유체공급부(130)의 토출구(137)에 설치되어 유체분사부(170)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으로, 하우징(310), 슬리브(320), 고정링(330), 잠금편(340), 가이드링(350) 및 패킹(360)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one-touch coupler 300 is provided at a discharge port 137 of the fluid supply unit 130 to detachably connect the fluid injection unit 170 and includes a housing 310, a sleeve 320, 330, a locking piece 340, a guide ring 350, and a packing 360.

하우징(310)은 유체이송관 삽입통로(380)가 관통 형성되며, 유체공급부(130)의 토출구(137)에 결합된다.The housing 310 is formed with a fluid passage insertion passage 380 formed therein and is coupled to a discharge port 137 of the fluid supply part 130.

이때, 하우징(310)은 유체공급부(130)의 토출구(137)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나, 이와는 다르게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접합시키는 용접법과 압접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using 310 may be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137 of the fluid supply unit 130 by a screw connection method, but may be coupled by a welding method and a pressure welding method in which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differently.

그리고, 삽입통로(380)에는 패킹(360)과 고정링(330) 및 잠금편(34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다음으로 가이드링(350)과 슬리브(320)가 순차적으로 삽입된다.The packing 360, the fixing ring 330 and the locking piece 340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ssage 380 and then the guide ring 350 and the sleeve 320 are inserted sequentially.

패킹(360)은 유체이송관(172)이 기밀한 상태로 접속되도록 하우징(310)에 압입되어 토출구(137)에 밀착되며, 유체이송관(172)이 억지 끼워 맞춤으로 연결된다.The packing 360 is press-fitted into the housing 3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37 so that the fluid transfer pipe 172 is connected in an airtight state, and the fluid transfer pipe 172 is connected in an interference fit.

고정링(330)은 하우징(310)에 압입되어 패킹(360)에 밀착되며, 잠금편(340)의 일부 즉, 잠금편(340)의 측면 경방향 외측을 지지하게 된다.The stationary ring 330 is press-fitted into the housing 31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cking 360 to support a part of the lock piece 340, that is,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lock piece 340.

잠금편(340)은 슬리브(320)를 통해 끼워지는 유체이송관(172)을 고정시키되, 삽입통로(380)에 슬리브(320)를 밀어넣으면 유체이송관(172)이 분리되도록 벌어지게 된다.The locking piece 340 fixes the fluid transfer tube 172 fitted through the sleeve 320 so that when the sleeve 320 is pushed into the insertion passage 380, the fluid transfer tube 172 is opened to separate.

가이드링(350)은 하우징(310)에 압입되어 잠금편(340)에 밀착되며, 슬리브(320)가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게 된다.The guide ring 350 is press-fitted into the housing 31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cking piece 340 and is supported so that the sleeve 320 is slid without being detached.

슬리브(320)는 하우징(310)의 후단에 설치되며, 끼워지는 유체이송관(172)을 가이드 하게 된다.The sleeve 320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housing 310 to guide the fluid transfer pipe 172 to be fitted.

또한, 슬리브(320)는 선단부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체이송관(172)을 분리시, 삽입통로(380)에 슬리브(320)를 밀어넣으면, 유체이송관(172)이 구속해지 되도록 쐐기 형상의 슬리브(320)가 잠금편(340)의 측면 경방향 내측을 밀어 확경시키게 된다.The sleeve 320 is formed in a wedge shape so that when the sleeve 320 is pushed into the insertion path 380 when the fluid transfer tube 172 is separated from the sleeve 320, (320) pushes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ock piece (340).

이에 따라, 유체분사부(170)의 유체이송관(172)을 결합하게 되면, 유체이송관(172)은 슬리브(320)와 가이드링(350)과 잠금편(340) 및 고정링(330)을 관통하여 패킹(360)에 기밀한 상태로 접속하게 됨과 동시에 잠금편(340)에 구속된다.Accordingly, when the fluid transfer pipe 172 of the fluid injecting unit 170 is engaged, the fluid transfer pipe 172 passes through the sleeve 320, the guide ring 350, the lock piece 340, and the fixing ring 330 So that it is hermetically connected to the packing 360 and at the same time is restrained by the lock piece 340.

그리고, 유체분사부(170)의 유체이송관(172)을 분리시, 삽입통로(380)에 슬리브(320)를 밀어넣으면, 유체이송관(172)이 구속해지 되도록 슬리브(320)가 잠금편(340)의 측면 경방향 내측을 밀어 확경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유체이송관(172)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leeve 320 is pushed into the insertion passage 380 when the fluid delivery tube 172 of the fluid delivery portion 170 is removed, the sleeve 32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lock piece 340 So that the fluid transfer pipe 172 can be easily separated.

이와 같이, 유체공급부(130)의 토출구(137)에 원터치커플러(300)가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유체분사부(170)의 유체이송관(172)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ne-touch coupler 300 is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137 of the fluid supply unit 130, the operator can quickly connect or disconnect the fluid transfer pipe 172 of the fluid injection unit 170, .

이와 같은 원터치커플러(300)는 유체이송관(172)이 쉽게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유체분사부(170)의 손잡이부(174)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one-touch coupler 300 may be installed in the handle portion 174 of the fluid injecting portion 170 so that the fluid conveying pipe 172 can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easily.

즉, 본 발명은 유량계(160)가 유체분사부(170)와 인접하도록 유체이송관(172)에 설치되고, 유체분사부(170)의 손잡이부(174)에 원터치커플러(300)가 설치되어 원터치커플러(300)를 통해 유체이송관(172)을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meter 160 is installed in the fluid delivery pipe 172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luid spraying unit 170, the one-touch coupler 300 is installed in the handle 174 of the fluid spraying unit 170, So that the fluid transfer pipe 172 can be easily connected or disconnected via the coupler 300.

이에 따라, 원터치커플러(300)를 활용하여 다 기종 유체분사부(170)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multi-type fluid ejection unit 170 can be easily replaced by using the one-touch coupler 300.

본 발명의 세척 장치(100)는 액체 또는 기체 등의 유체를 분사하는 것으로, 항공기의 엔진 세척뿐만 아니라, 차량, 또는 기계장치 등의 세척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작물을 잘 생장시키기 위한 용도로 농약, 비료 등의 살포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clea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spraying fluids such as liquids or gases and can be used not only for washing an engine of an aircraft but also for cleaning a vehicle or a machine, , Fertilizer and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유체저장부
122 : 유체량 표시부 124 : 스크린망
126 : 선택밸브 128 : 차단밸브
130 : 유체공급부 132 : 펌프
134 : 압력조절밸브 136 : 스위치
140 : 유체필터 150 : 압력게이지
160 : 유량계 170 : 유체분사부
190 : 전원공급부 200 : 위치고정유닛
300 : 원터치커플러
110: base frame 120: fluid storage part
122: fluid amount display section 124: screen net
126: Selection valve 128: Shutoff valve
130: fluid supply part 132: pump
134: Pressure regulating valve 136: Switch
140: Fluid filter 150: Pressure gauge
160: Flow meter 170: Fluid dispensing part
190: Power supply unit 200: Position fixing unit
300: One-touch coupler

Claims (7)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며, 유체저장부의 유체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유체공급부와 원터치커플러로 연결되며,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위치고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원터치커플러는,
상기 유체공급부의 토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분사부의 유체이송관 삽입통로가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이송관이 끼워지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를 통해 끼워지는 상기 유체이송관을 고정시키되, 상기 삽입통로에 상기 슬리브를 밀어넣으면 상기 유체이송관이 분리되도록 벌어지는 잠금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A fluid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base frame for pressurizing and supplying the fluid in the fluid storage unit to a high pressure;
A fluid ejection unit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unit through a one-touch coupler and ejecting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And
A position fixing unit installed on the base frame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base frame;
/ RTI >
The one-
A housing installed at a discharge port of the fluid supply unit and through which a fluid transfer pipe insertion passage of the fluid injection unit is inserted;
A sleev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into which the fluid transfer tube is inserted; And
A lock piece which fixes the fluid transfer tube inserted through the sleeve and opens when the sleev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ssage to separate the fluid transfer tube;
And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the clean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유체저장부의 유체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유체분사부로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 증감을 위해 상기 펌프에서 토출되어 상기 펌프로 재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id supply portion includes:
A pump for pressurizing and supplying the fluid in the fluid storage portion to a high pressure; And
A pressure regulating valve for regulating an amount of fluid discharged from the pump and regenerated by the pump to increase or decrease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fluid injecting unit;
The cleaning device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로드;
상기 가이드로드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로드와 함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지면과 이격되거나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 fixing unit includes:
A guide rod installed on the base fram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support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guide rod and moving upward or downward together with the guide rod and spaced apart from or close to the ground;
And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the clean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로드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osition fixing unit includes:
An engaging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fixing or releasing the guide rod;
The cleaning device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51840A 2017-11-14 2017-11-14 Washing device and Fixed unit KR101905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840A KR101905693B1 (en) 2017-11-14 2017-11-14 Washing device and Fixed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840A KR101905693B1 (en) 2017-11-14 2017-11-14 Washing device and Fixed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693B1 true KR101905693B1 (en) 2018-10-11

Family

ID=6386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840A KR101905693B1 (en) 2017-11-14 2017-11-14 Washing device and Fixed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69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402B1 (en) * 2006-05-08 2008-05-22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Apparatus for Supplying High Pressure Cleaning Liquid to Substrate
KR100980118B1 (en) * 2008-04-30 2010-09-0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Transformer radiator auto clean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402B1 (en) * 2006-05-08 2008-05-22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Apparatus for Supplying High Pressure Cleaning Liquid to Substrate
KR100980118B1 (en) * 2008-04-30 2010-09-0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Transformer radiator auto clea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40130A1 (en) Coffee machine and working method therefor
TWI292020B (en)
CN101857090A (en) Turbine cleaning system
JP5566829B2 (en) Liquid automatic supply mechanism and coa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CN110485684A (en) A kind of wall surface spraying device of external wall
WO2008142944A1 (en) Nozzle cleaning method, nozzle cleaning device, and automatic analyzer
JP2016000599A (en) On-vehicle sensor washing equipment
CN108177441A (en) Liquid injection apparatus
KR101905693B1 (en) Washing device and Fixed unit
EP3730222A1 (en) Droplet ejection device and droplet ejection method
US5193561A (en) Apparatus having a fluid timer for cleaning paint from objects
JP2010230342A (en) Elution testing device
KR20190034660A (en) Unmanned aerials for agricultural use
KR101634243B1 (en) Chemical injection apparatus
KR20160056225A (en) A Dust Remover for Electronics
KR102018433B1 (en) Stirring device for liquid abrasive and cleanning method thereof
KR101469043B1 (en) System for removing pollutants of cctv camera
KR101513677B1 (en) Ink refill device of ink cartridge
GB2505692A (en) Spray gun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JP6445791B2 (en) Jet cleaning tool
KR20130019963A (en) Window cleaning system of a wheel house of ship
CN114176814A (en) Tooth flushing device
KR20170019673A (en) A waxhing equipment for vehicle
CN208928686U (en) Multistation spray head automatic cleaning equipment
KR101445925B1 (en) A portable 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