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332B1 - Stirring device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y - Google Patents

Stirring device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332B1
KR101904332B1 KR1020170059774A KR20170059774A KR101904332B1 KR 101904332 B1 KR101904332 B1 KR 101904332B1 KR 1020170059774 A KR1020170059774 A KR 1020170059774A KR 20170059774 A KR20170059774 A KR 20170059774A KR 101904332 B1 KR101904332 B1 KR 101904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coupled
corner
driv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동준
Original Assignee
배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동준 filed Critical 배동준
Priority to KR1020170059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3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3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having stirring elements connected to the stirrer shaft each by two or more radial rods, e.g. the shaft being interrupted between the rods, or of crankshaf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017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tirring device capable of rotating along different trajecto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ee stirring rods having stirring blades are joined to 1, 2, and 3 corners of connection support members bent at different angles, respectively, to enable each of the stirring rods to stir stirred materials by rotating and revolving along different trajectories from each other, and thus the stir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ir the stirred materials in a more efficient manner.

Description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STIRRING DEVICE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rre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반봉들이 서로 다른 궤적으로 공전 및 자전하면서 교반물을 교반하도록 함으로써, 교반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도록 된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itato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gitator in which agitates are agitated while revolving and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itator rotating in a trajectory.

일반적으로 교반기는, 액체나 고체 등을 휘저어 섞는 장치로서, 교반물을 수용하는 수용용기의 내부에 교반기를 설치한 후 구동장치로 교반기를 회전시켜 교반기의 교반 블레이드가 수용용기에 수용된 교반물을 교반하도록 구성된다. Generally, an agitator is a device for agitating a liquid or a solid. The agitator is installed inside a container for containing agitated material, and then the agitator is rotated by a driving device so that the agitating blade of the agitator is stirred in the container. .

이와 같은 교반기는, 화학실험, 제조화학 공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Such an agitator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hemical experiment, manufacturing chemical industry, and the like.

한편, 대형 요식업소 또는 음식 조달업체와 같이 한 번에 많은 음식을 준비해야 하는 곳에서는 대형솥을 이용한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를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places where a large number of food items such as a large foodservice company or a food procurement company have to be prepared at one time, a multi-shaft stirring cooker using a large pot is used.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0932호(공고일 : 2010.11.11)호에는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수단(6)에 의해 가열되는 대형 솥(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부 거치대(20)의 단부에 제1,2 교반날개(39,41)를 구비한 제1,2 축봉(36,40)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a multifarious shaft stirring and cooking apparatus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0932 (public date: November 11, 2010). The first and second agitating blades 39 and 41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upper mounting table 20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large pot 4 heated by the heating means 6, And a first and a second shaft rods 36 and 40 are installed.

이때, 제1,2 축봉(36,40)은 회전받침부(30)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받침부(30)가 회전하게 되면, 제1,2 축봉(36,40)이 편심회전을 하면서 제1,2 교반날개(39,41)가 대형 솥(4)에 담겨진 교반물을 교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제1 교반날개(39)는 솥(4)의 중앙을 젓게 되고, 제2 교반날개(41)는 솥(4)의 외곽부(내벽면)를 젓게 되므로, 음식물이 솥(4)에 눌러붙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The first and second shaft rods 36 and 40 are eccentrically installed in the rotation receiving portion 30. When the rotation receiving portion 30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shaft rods 36 and 40 are eccentrically rotated The first and second agitating blades 39 and 41 agitate the agitated material contained in the large pot 4. Particularly, since the first stirring blade 39 stirs the center of the pot 4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41 stirs the outer portion (inner wall surface) of the pot 4, It was possible to prevent the sticking and burning.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교반기는, 제1,2 축봉이 같은 궤적으로 편심되도록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각 교반날개가 항상 같은 곳을 젓게 됨으로써 제1,2 축봉이 1회전을 하는 동안 음식이 눌러 붙어 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However, since the stirr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shaft rods are eccentrically rotated in the same locus, each of the stirring blades is always pushed in the same place, The problem of sticking and riding could occur.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0932호(공고일 : 2010.11.11).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0932 (Notice: 2010.11.11)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날개들을 구비한 3개 이상의 교반봉들이 서로 다른 궤적으로 공전 및 자전하면서 교반물을 교반하도록 함으로써, 교반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솥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 3개 이상의 교반날개들이 서로 다른 궤적으로 자전 및 공전하면서 음식물을 젓게 되므로 음식물이 눌러 붙거나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irring device for mixing three or more stirrers having stirring blades with stirring while rotating or revolv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so as to agitate the stirrer more efficiently, In the case of cooking, three or more stirring blades are rotated with different trajectories, and the food is stirred, so that the stirrer rotates with different trajectories to prevent the food from sticking or burning.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교반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교반장치의 상부 지지체 일단부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구동축으로 이루어진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감싸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피동기어가 일단에 결합된 피동축을 구비한 회전부를 포함하고, 평편한 삼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공을 구비한 3개의 제1,2,3 코너 결합단들이 각 꼭지점 영역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코너 결합단은 수평상태이고, 상기 제2,3 코너 결합단은 서로 각도로 상향 절곡되며, 중앙부가 상기 피동축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축의 자전 및 공전에 따라 자전 및 공전하는 연결 지지부재; 하단부에 상기 용기의 바닥 중앙영역에 접촉되어 교반물을 젓기 위한 제1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 코너 결합단에 결합되는 제1 교반봉과, 하단부에 상기 용기의 바닥 중앙영역 일부와 측벽영역의 일부에 접촉되어 교반물을 젓기 위한 제2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 코너 결합단에 결합되는 제2 교반봉과, 하단부에 상기 용기의 측벽영역에 접촉되기 위한 제3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3 코너 결합단에 결합되는 제3 교반봉으로 이루어진 교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지지부재가 자전 및 공전할 때 상기 제1,2,3 교반봉이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상기 제1,2,3 코너 결합단에 의해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용기의 바닥영역과 측벽영역 및 상기 바닥영역과 측벽영역의 경계영역을 상기 제1,2,3 블레이드로 젓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s can be accomplished by a driving device comprising: a driving part comprising a driving shaft provided at one end of an upper support of a stirring device and having a driving gear driven by a driving motor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stirring object; And a rotating portion having a driven shaft coupled to one end of a driven gear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in a housing surrounding the driv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ortions are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flat triangl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rner engagement ends are respectively formed in respective vertex point regions, the first corner engagement end is in a horizontal state, the second and third corner engagement ends are bent upward at an angle to each other, A connection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driven shaft to rotate and revolve according to rotation and revolution of the driven shaft; A first stirring rod which is connected to a bottom central region of the container at a lower end thereof and is coupled to a first blade for stirring the agitated material and has an upper end coupled to the first corner engagement end, And a third blade for contacting the side wall region of the container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tirring rod, and the upper blade is coupled to the upper blad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ars are formed at different angles when the connecting and supporting member is rotating and revolving, By the second and third corner coupling stages, the bottom and sidewall regions of the container and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bottom and sidewall regions are rotated in different trajectories, So that the stirrer to each other is achieved by means of a stirrer rotating at different trajectories, characterized.

상기 용기는, 각도 조절장치를 구비한 조리용 대형 국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영역과 측벽영역 및 경계영역이 만곡지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may consist of a large cooker for cooking with an angle regulating device, and the bottom and sidewall areas and the boundary area may be curved.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의 상부영역을 회전 지지하여 상기 상부 지지체에 결합되기 위한 구동축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 지지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동축을 회전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shaft support for rotating the upper region of the driving shaft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pporting member and the housing for rotating and supporting the driven shaf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shaft supporting member by a bearing .

상기 제3 코너 결합단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코너 결합단보다 더 큰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The third corner coupling end may be bent at a greater angle than the second corner coupling end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line.

제1,2,3 교반봉은, 상단부가 상기 연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내부 지지봉과, 상기 내부 지지봉이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외부 지지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 지지봉이 상기 외부 지지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지지봉이 상기 내부 지지봉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고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외부 지지봉에는 다각형의 내경을 갖는 지지구가 결합되고, 상기 내부 지지봉은 상기 지지구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bars may include an inner support rod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and an outer support rod formed in a hollow shape to receive the inner support rod, wherein the inner support rod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pport rod A support having a polygonal inner diameter is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rods so that the outer support rods are moved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without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support rods, As shown in FIG.

상기 내부 지지봉의 하단부에는, 상기 외부 지지봉을 하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A spring for supporting the outer support rod in a downward direction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inner support rod.

제1,2,3 교반봉은, 상단부가 상기 연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랙기어가 형성되는 내부 지지봉; 상기 내부 지지봉이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외부 지지봉;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랙기어가 상기 제1 랙기어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부 지지봉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구; 및 상기 외부 지지봉이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거나 외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랙기어와 상기 제2 랙기어 사이에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have an inner support rod whos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and a first rack gear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outer support rod formed in a hollow shape to insert the inner support rod; A second rack gear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pport rod such that the second rack gear faces the first rack gear; And a pinion gear installed so as to be intermeshed between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such that the outer supporting rod is mov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or moved upward by an external force.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날개들을 구비한 3개의 교반봉들이 서로 다른 각도로 절곡된 연결 지지부재의 각 제1,2,3 코너 결합단에 결합됨으로써, 각각의 교반봉들이 서로 다른 궤적으로 공전 및 자전하면서 교반물을 교반할 수 있고, 따라서 교반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ee stirring rods having stirring wings are coupl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rner engagement ends of the connecting support member bent at different angles, so that each of the stirring rods revolves and rotates in different trajectories. It is possible to agitate the agitated material while rotating, and thus to provide an effect of agitating the agitated material more efficiently.

특히, 조리용 대형 솥에서 죽 등과 같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 3개 이상의 교반날개들이 서로 다른 궤적으로 자전 및 공전하면서 솥의 바닥과 벽면에 밀착되어 음식물을 젓게 되므로 음식물이 눌러 붙거나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when cooking food such as porridge in a cooking pot, the three or more stirring blades rotate and revolve in different trajectories, and they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and wall surfaces of the pot to stir the fo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반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반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가 교반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교반봉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교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irrer.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gitato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state of the agitato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shown in FIG. 2.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stirrer shown in Fig.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tirre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shown in FIG. 2 is applied to a stirring apparatus.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tirre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shown in FIG.
FIGS. 7 to 10 are schematic plan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stirre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shown in FIG. 2. FIG.
11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irring rod shown in Fig.
1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irring portion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반기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가 교반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3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stirrer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irrer shown in Fig. 2,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tirre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shown in FIG. 5, and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tirre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7 to 10 are schematic plan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s of the stirre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200)는, 3개의 제1,2,3 교반봉(272,274,276)이 서로 다른 궤적으로 자전 및 공전하여 교반물을 효율적으로 젓도록 구성된 것으로, 교반물을 수용하는 용기(1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교반장치(100)의 상부 지지체(120) 일단부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244)를 구비한 구동축(242)으로 이루어진 구동부(240)와, 구동부(240)를 감싸는 하우징(252)의 내부에서 구동기어(244)와 맞물리는 피동기어(254)가 일단에 결합된 피동축(256)을 구비한 회전부(250)와, 제1,2,3 교반봉(210,220,230)가 결합되는 삼각형상의 연결 지지부재(260)와, 제1,2,3 교반봉(272,274,276)을 구비한 교반부(27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to 10, the stirrer 200, which rotates in different trajectories, rotates and revolves in three different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2, 274, 276 in different trajectories, And a drive gear 244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support 120 of the stirring device 100 and driven by a drive motor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ontainer 110 housing the stirring object, And a driven gear 254 coupled to the driving gear 244 in a housing 252 enclosing the driving unit 240. The driven shaft 254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244, A rotation supporting part 260 and a stirring part 270 having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2, 274 and 27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support member 260 having a triangular shape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10, 220, .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교반장치(100)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켜 교반기(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교반장치(100)는 구동부(240)와 회전부(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tirring apparatus 100 is for driving a stirrer 200 by driving a driving motor (not shown). The stirring apparatus 100 includes a driving unit 240 and a rotation unit 250.

구동부(240)는 프레임부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지지체(120)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축 지지체(242A)에 의해 상부 지지체(120)의 단부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축(242)과 구동축(242)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구동기어(24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축(242)의 상단부에는 피동 스프로켓(247)이 결합된다. 이 피동 스프로켓(247)은 체인에 의해 상부 지지체(120)의 내부 또는 프레임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구동 스프로켓(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시 구동축(242)이 구동된다. 이때, 구동축 지지체(242A)은 구동축(242)을 회전 지지하고, 회전부(250)의 하우징(25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구동축(242)이 결합되고, 외부 하부 영역에는 하우징(252)기 베이링(B)을 구비하여 결합된다. The drive unit 2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pport 120 installed horizontally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unit and includes a drive shaft 242 provided inside the end of the upper support 120 by the drive shaft support 242A and a drive shaft 242 And a driving gear 244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driving gear 244. A driven sprocket 247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242. The driven sprocket 247 is connected to a driving sprocket (not shown) of the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upper support 120 or the frame portion by the chain, and the driving shaft 242 is driven when the driving motor is driven. The drive shaft support 242A rotatably supports the drive shaft 242 and rotatably couples the housing 252 of the rotation unit 250. The drive shaft 242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242, The housing 252 is coupled with the base ring B.

회전부(250)는, 구동부(240)의 구동축 지지체(242A)를 감싸면서 결합되되, 상단 내주면과 구동축 지지체(242A)의 하단부 사이에 베이링(B)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252)의 내부에는 구동기어(244)와 맞물리는 피동기어(254)가 일단에 결합된 피동축(256)이 구비된다. 이때, 피동축(256)의 하단부는 하우징(252)의 하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이러한 피동축(256)은 하우징(252)의 내부에 회전지지 되도록 결합된다. The rotary part 250 is coupled while wrapping the drive shaft support body 242A of the drive part 240 and a bay ring B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drive shaft support body 242A. A driven shaft 256 coupled to one end of the driven gear 254 engaged with the drive gear 244 is provided in the housing 252.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driven shaft 256 is exposed downward of the housing 252, and the driven shaft 256 is coupled to be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252.

이러한 구조에 의해, 피동축(256)의 피동기어(254)가 구동기어(244)에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기어(244)가 회전하면, 피동기어(254)는 구동기어(244)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자전하면서 구동기어(244) 주변을 공전하게 된다. 즉, 피동축(256)은 자전하면서 구동기어(244)의 주변을 공전하게 되는 것이다.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drive gear 244 rotates while the driven gear 254 of the driven shaft 256 is engaged with the drive gear 244, the driven gear 254 is engaged with the drive gear 244 So that it revolves around the driving gear 244 while rotating. That is, the driven shaft 256 rotates around the driving gear 244 while rotating.

한편, 상부 지지체(120)의 하부에는 용기(110)가 구비된다. 이 용기(110)는 교반물(음식물 등)이 수용되는 것으로,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조리용 대형 국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대형 솥의 지지체 교반장치(100)가 결합될 수도 있고, 대형 솥과 교반장치(100)가 별개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 container 110 is provided below the upper support 120. The container 110 accommodates agitated materials (food or the like) and can be made of a large cooker for cooking with an angle adjusting device. At this time, the support stirrer 100 of the large pot may be coupled, or the large pot and the stirring device 100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and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대형 국솥으로된 용기(110)의 내부는, 바닥영역(112)과 측벽영역(116) 및 경계영역(114)이 만곡지게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용기(110)의 내부면이 만곡지게 곡면으로 형성된 것은 각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가 원활하게 바닥영역(112)과 측벽영역(116) 및 경계영역(114)에 밀착되어 음식물을 긁어 교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10 made of a large cooker is curved so that the bottom region 112, the side wall region 116, and the boundary region 114 are curved. The first and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and 276C are smoothly formed between the bottom region 112 and the sidewall region 116 and the boundary region 114 So that the food can be scraped and agitated.

피동축(256)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결 지지부재(260)는, 평편한 삼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공을 구비한 3개의 제1,2,3 코너 결합단(262,264,266)들이 각 꼭지점 영역에 각각 형성되고, 제1 코너 결합단(262)은 수평상태이고, 제2,3 코너 결합단(264,266)은 서로 각도(a1,a2)로 상향 절곡되며, 중앙부(261)가 피동축(256)의 타단부(하단부)에 결합되어 피동축(256)의 자전 및 공전에 따라 자전 및 공전 작동을 한다.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26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driven shaft 256 is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flat triangle and has three first, second, and third corner coupling ends 262, 264, 266 having coupling holes, The first and second corner coupling ends 264 and 266 are bent upward at angles a1 and a2 and the center portion 26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riven shaft 256 (Lower end) of the driven shaft 256 to rotate and revolv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d revolution of the driven shaft 256. [

이러한 연결 지지부재(260)의 제1 코너 결합단(262)을 중앙부(261)와 일치하는 평면을 이루도록 수평상태로 형성하고, 제2,3 코너 결합단(264,266)은 서로 각도(a1,a2)로 상향 절곡되는 것은, 제1,2,3 코너 결합단(262,264,266)에 결합되는 제1,2,3 교반봉(272,274,276)이 각각 서로 다른 각도(a1,a2)에서 서로 다른 궤적으로 자전 및 공전하여 용기(110)의 내부면을 빈틈없이 저어 교반물을 교반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2 코너 결합단(264)은, 수평선(L1)을 기준으로 대략 5-10°의 각도(a1)로 상향 절곡되고, 제3 코너 결합단(266)은, 수평선(L1)을 기준으로 대략 10 - 20°의 각도(a2)로 상향 절곡된다. The first corner coupling end 262 of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260 is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so as to be coincident with the center portion 261 and the second and third corner coupling ends 264 and 266 are inclined at angles a1 and a2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2, 274, 276 coupl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rner coupling ends 262, 264, 266 are rotated and rotated in different trajectories at different angles a1, a2, And the in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is stirred to stir the stirring object. The second corner joining end 264 is upwardly bent at an angle a1 of about 5-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L1 while the third corner joining end 266 is bent upward To an angle a2 of approximately 10 - 20 degrees.

이와 같이, 제1 코너 결합단(262)이 중앙부(261)와 같이 평편한 수평상태이면, 제1 코너 결합단(262)에 결합되는 제1 교반봉(272)은 수직선(L2)과 평행한 수직상태가 되고, 수평선(L1)을 기준으로 대략 5-10°의 각도(a1)로 상향 절곡된 제2 코너 결합단(264)에 결합되는 제2 교반봉(274)은 수직선(L2)에 대하여 대략 5-10°의 각도(a3)로 기울어지는 상태가 되며, 수평선(L1)을 기준으로 대략 10 - 20°의 각도(a2)로 상향 절곡된 제3 코너 결합단(266)에 결합되는 제3 교반봉(276)은 수직선(L2)에 대하여 대략 10 - 20°의 각도(a4)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When the first corner coupling end 262 is horizontal and flat like the center portion 261, the first stirring rod 272 coupled to the first corner coupling end 262 is parallel to the vertical line L2 The second stirring rod 274 coupled to the second corner coupling end 264 that is bent upward at an angle a1 of about 5-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L1 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line L2 Is inclined at an angle a3 of approximately 5-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L1 and is coupled to the third corner coupling edge 266 upwardly bent at an angle a2 of approximately 10-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L1 The third stirring rod 276 is tilted at an angle a4 of approximately 10 - 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L2.

따라서, 제1,2,3 교반봉(272,274,276)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각도(a1,a2)로 설치되기 때문에, 연결 지지부재(260)가 자전을 하면서 공전을 하게 되면, 제1,2,3 교반봉(272,274,276)들은 용기(110)의 내부를 빈틈없이 젓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2, 274, 276 are installed at different angles a1, a2 at different positions, when the connecting and supporting member 260 revolves while rotating, And the three stirring rods 272, 274 and 276 stir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10 tightly.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연결 지지부재(260)는 3개의 코너 결합단(262,264,266)이 형성되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이나 오각형으로 구성되어 더 많은 코너 결합단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260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so as to form three corner coupling ends 262, 264 and 266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nection supporting member 26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or pentagonal shape, .

교반부(270)는, 전술한 제1,2,3 코너 결합단(262,264,266)에 결합되는 제1,2,3 교반봉(272,274,276)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제1,2,3 교반봉(272,274,276)은 각 상단부가 연결 지지부재(260)의 제1,2,3 코너 결합단(262,264,266)에 각각 결합되는 내부 지지봉(272A,274A,276A)과, 각 내부 지지봉(272A,274A,276A)이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부 지지봉(272A,274A,276A)이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이 내부 지지봉(272A,274A,276A)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고(자체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의 상단 내부에는 다각형의 내경을 갖는 지지구(275)가 결합되고, 내부 지지봉(272A,274A,276A)의 중간부와 하부 영역은 지지구(275)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The agitating unit 270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2, 274, 276 coupl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rner connecting ends 262, 264, 266.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2, 274, 276 have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276A each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rner coupling ends 262, 264, 266 of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260, And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that are formed in a hollow shape so as to insert the respective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and 276A.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are rotated about the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and 276A with the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and 276A inserted in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A support 275 having a polygonal inner diameter is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so that the inner support rods 272A and 274B And 276A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275. [

이러한 구조에 의해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은 자중에 의해 항상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자체 회전은 방지된다. 즉,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의 상단부에 다각형의 내경을 갖는 지지구(275)가 결합되어 있고, 다각형으로 된 내부 지지봉(272A,274A,276A)의 중간부와 하단부가 지지구(275)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외부 지지봉(272B,274B,276B)들은 내부 지지봉(272A,274A,276A)의 길이방향으로, 즉 상향 및 하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ith this structure,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are always moved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and self rotation is prevented. That is, a support 275 having a polygonal inner diameter is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and the middle and lower ends of the polygonal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are allowed to flow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and 276A, that is, upward and downward.

이러한 구조는 외부 지지봉(272B,274B,276B)들이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여 각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들이 적정한 압력으로 용기(110)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structure allows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to move downward due to their own weight so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and 276C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10 with an appropriate pressure. will be.

이때,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이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즉,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이 내부 지지봉(272A,274A,276A)을 기준으로 하향으로 이동하고 상향으로 이동하는 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은, 각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가 과도한 압력으로 용기(110)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276B are mov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276A so that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276B can be moved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To prevent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and 276C from being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due to excessive pressure.

한편, 각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의 하단부에는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이 각각 결합된다. 각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들은 블레이드 지지구(277)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블레이드 지지구(277)의 타단이 각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진 후 볼트로 고정됨에 따라 각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and 276C are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respectively. The other end of the blade support 277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276B in a state whe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276C are coupled to one end of the blade support 277, 274B, and 276B, respectively, by being bolted to the lower ends of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각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의 형상은 평편한 중앙영역(112)에 접촉되는지, 경계영역(114)에 접촉되는지 또는 측벽영역(116)에 접촉되는지에 따라 그 형상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계영역(114)이나 측벽영역(116)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접촉영역이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평편한 중앙영역(112)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직선으로 형성된다. 이는 각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의 단부가 용기(110)의 내측면(중앙영역, 경계영역, 측벽영역)에 들뜸없이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각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의 밀착여부는 점도가 있는 죽과 같은 음식을 눌러붙지 않게 저어야 하는 경우에, 각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가 용기(110)의 내측면에 들뜸없이 밀착되어 음식물을 젓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조건이다.The shape of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and 276C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it is in contact with the flat central region 112, . For example, when the contact area is in contact with the boundary area 114 or the sidewall area 116, the contact area is formed as a curved line. When the contact area is in contact with the flat central area 112, the contact area is formed as a straight line. This is to ensure that the en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and 276C are closely contacted with the inner surface (central region, boundary region, and sidewall region) of the container 110. Whether or not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and 276C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s determined by stack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276C are tight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so as to stir the food.

그리고, 외부 지지봉(272B,274B,276B)가 내부 지지봉(272A,274A,276A)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즉 외부 지지봉(272B,274B,276B)가 내부 지지봉(272A,274A,276A)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지지구(275)와 내부 지지봉(272A,274A,276A)의 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수단은 지지구(275)에는 통과홈이 형성되고, 내부 지지봉(272A,274A,276A)의 단부에는 통과홈을 통하여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는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의 내부로 내부 지지봉(272A,274A,276A)가 삽입될 때, 지지구(275)의 통과홈을 통하여 삽입되고, 추후 지지구(275)에 형성된 통과홈의 입구를 마개 등으로 막아 걸림돌기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이 내부 지지봉(272A,274A,276A)과 임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from being arbitrarily disengaged from the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and 276A, that is,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are arranged on the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and 276A Release preventing means may b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support member 275 and the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and 276A to prevent the protrusion from occurring. The release preventing means may be formed of a locking protrusion formed in the retainer 275 and inserted into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through the passage grooves at the ends of the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and 276A . This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groove of the retainer 275 when the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and 276A are inserted into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support rods 272A, 274A, and 276A by blocking the entrance of the passage groove with a stopper or the like to prevent the locking protrusion from coming out.

한편, 도면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지지봉(274)의 내부에는 스프링(279)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내부 지지봉(272A)과 외부 지지봉(272B) 사이에 외부 지지봉(272B)을 하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외부 지지봉(272B)이 음식물이나 교반물의 저항에 의해 하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부 지지봉(272B)을 하향으로 탄력 지지하여 블레이드(272C)가 용기(110)의 바닥에 들뜸없이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이때, 도 12는 제1 교반봉(272)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3 교반봉(274,276)에 동일하게 적용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a spring 279 may be installed inside the outer support rod 274. That is, a spring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upport rod 272A and the outer support rod 272B to elastically support the outer support rod 272B downward. The outer support bar 272B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ownward direction by a spring 272C so that the outer support rod 272B can not move smoothly downward due to the resistance of food or agitated material.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10 without squeezing. At this time, although FIG. 12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stirring rod 272,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4 and 276.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2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stirrer 200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교반기(200)의 구동부(240)와 회전부(250)가 상부 지지체(120)에 결합되고, 피동축(256)이 상부 지지체(120)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연결 지지부재(260)의 중앙부(261)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하여 체결볼트를 피동축(256)의 저면에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연결 지지부재(260)는 피동축(256)에 결합된다. 이때, 연결 지지부재(260)의 제1,2,3 코너 결합단(262,264,266)에 제1,2,3 교반봉(272,274,276)이 각각 결합된 상태로 연결 지지부재(260)가 피동축(256)에 결합될 수도 있고, 연결 지지부재(260)가 피동축(256)에 결합된 후에 각 제1,2,3 코너 결합단(262,264,266)에 각 제1,2,3 교반봉(272,274,276)을 각각 결합할 수도 있다. The driving unit 240 and the rotation unit 250 of the stirrer 200 are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120 and the driven shaft 256 is proj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120, The fastening bolt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ven shaft 256 through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261. [ In this process,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260 is engaged with the driven shaft 256. [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2, 274 and 276 are coupl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rner connecting ends 262, 264 and 266 of the connection supporting member 260, And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rods 272, 274 and 276 are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rner connecting ends 262, 264 and 266 after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260 is coupled to the driven shaft 256 Respectively.

이 과정으로 교반기(200)가 교반장치(100)에 설치되면, 교반기(200)의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들은 용기(110)의 만곡진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즉, 수평선(L1)과 같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제1 코너 결합단(262)에 결합된 제1 교반봉(272)은 직하방으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블레이드(272C)는 중앙영역(112)에 접촉되고, 수평선(L1)에 대하여 5-10°의 각도(a1)으로 상향 절곡된 제2 코너 결합단(264)에 결합되는 제2 교반봉(274)은 수직선(L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a3)로 기울어짐으로써 블레이드(274C)는 경계영역(114)에 접촉되며, 수평선(L1)에 대하여 10°이상으로 상향 절곡된 제3 코너 결합단(266)에 결합되는 제3 교반봉(276)은 수직선(L2)에 대하여 제2 교반봉(274)보다 더 큰 각도(a4)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블레이드(276C)가 측벽영역(116)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When the stirrer 200 is installed in the stirring device 100,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and 276C of the stirrer 200 are in contact with the curved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 That is, since the first stirring rod 272 coupled to the first corner coupling end 262, which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such as the horizontal line L1, maintains the vertical state directly below the blade 272C, And the second stirring rod 274 which is engaged with the second corner coupling end 264 which is upwardly bent at an angle a1 of 5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L1, The blade 274C contacts the boundary region 114 by tilting at an angle a3 of the third corner coupling edge 266 and is coupled to the third corner coupling edge 266 that is upwardly bent at least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L1, The rod 27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wall region 116 in a state in which the rod 276 is inclined at an angle a4 larger than the second stirring rod 274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L2.

이때, 제1,2,3 교반봉(272,274,276)의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은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내부 지지봉(272A,274A,276A)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들은 외부 지지봉(272B,274B,276B)의 자중에 따른 하중(압력)으로 용기(110)의 바닥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Since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2, 274 and 276 are coupled to the inner support rods 272A and 274A and 276A so as to move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And the three blades 272C, 274C and 276C mainta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10 with a load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self weight of the outer support rods 272B, 274B and 276B.

그리고, 제1 블레이드(272C)는 용기(110)의 중앙영역(112)에 밀착되고, 제2 블레이드(274C)는 제2 교반봉(274)이 제2 코너 결합단(264)에 결합되어 소정의 각도(a3)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경계영역(114)에 밀착되며, 제3 블레이드(276C)는 제3 코너 결합단(266)에 결합되어 소정의 각도(a4)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측벽영역(116)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The first blade 272C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ral region 112 of the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blade 274C is coupled to the second corner coupling end 264 by a second stirring rod 274, Since the third blade 276C is joined to the third corner coupling end 266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4, (116).

이어서, 구동부(240)가 작동되면, 구동기어(244)게 맞물린 피동기어(254)가 자전하면서 연결 지지부재(260)를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피동기어(254)는 구동기어(244)에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기어(244)의 주변을 회전(공전- 또는 편심회전)하게 된다. Then, when the driving unit 240 is operated, the driven gear 254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244 rotates and rotates the connecting supporting member 260. At the same time, the driven gear 254 rotates (revolves or eccentrically rotates) the periphery of the driving gear 244 while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244.

따라서 피동축(256)은 자전과 동시에 공전을 하게 되고, 피동축(256)의 하단부에 결합된 연결 지지부재(260)도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게 되므로, 각 제1,2,3 교반봉(272,274,276)은 서로 다른 괘적으로 자전 및 공전을 하게 된다. Therefore, the driven shaft 256 revolves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on, and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26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driven shaft 256 simultaneously rotates and revolves. Therefore, 272, 274, 276) rotate and revolve in different paths.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부재(260)가 자전하면서 공전을 하게 될 때, 제1,2,3 교반봉(272,274,276)의 회전 궤적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각각의 궤적은 블레이드(272C,274C,276C)가 움직이는 궤적을 의미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260 revolves while revolving, the rotation loci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2, 274, 276 are as shown in FIGS. Here, each of the trajectories shown in Figs. 7 to 10 represents a trajectory in which the blades 272C, 274C, and 276C mov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편한 구조의 제1 코너 결합단(262)에 결합된 제1 교반봉(272)은 수직선(L2)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적으로 자전 및 공전을 하면서 용기(110)의 바닥 중앙영역(112)을 젓게 된다. 7, since the first stirring rod 272 coupled to the first corner coupling end 262 of the flat structure maintains a vertical stat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line L2, And stirs the bottom central region 112 of the container 110 while rotating and revolving with the locus as it is.

그리고, 소정의 각도로 상향 절곡된 제2 코너 결합단(264)에 결합된 제2 교반봉(274)은 수직선(L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적으로 자전 및 공전을 하면서 용기(110)의 경계영역(114)를 젓게 된다. 즉, 제2 블레이드(274C)는 중앙영역(112)의 일부와 측벽영역(116)의 일부를 포함한 궤적을 이룬다. Since the second stirring rod 274 coupled to the second corner coupling end 264 bent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is provid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L2, The boundary region 114 of the container 110 is stirred while rotating and revolving in the same locus. That is, the second blade 274C forms a locus including a portion of the central region 112 and a portion of the sidewall region 116.

마지막으로, 제2 코너 결합단(264)보다 더 큰 각도로 상향 절곡된 제3 코너 결합단(266)에 결합된 제3 교반봉(276)은 수직선(L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적으로 자전 및 공전을 하면서 용기(110)의 측벽영역(116)과 경계영역(114)의 일부를 젓게 된다. Finally, the third stirring rod 276 coupled to the third corner coupling end 266, which is upwardly bent at a larger angle than the second corner coupling edge 264,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L2 So that the sidewall region 116 of the container 110 and a part of the boundary region 114 are stirred while rotating and revolving in a locus as shown in Fig.

이러한 과정으로 제1,2,3 교반봉(272,274,276)의 각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들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의 내부면(바닥 중앙영역, 측벽영역 및 경계영역)에 빈틈없는 궤적을 이루면서 젓게 되므로 용기(110)에서 조리되는 교반물(죽을 포함하는 음식물 등)를 젓는 교반작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교반물이 용기(110)의 바닥에 눌러 붙어 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and 276C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2, 274, The sidewall area and the boundary area), the agitating operation of stirring the agitated product (food or the like including the porridge) cooked in the container 110 is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agitated product is stirred i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pressing on the pressing member.

특히,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가 대략 10 - 15cm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용기(110)의 바닥은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들이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면서 빈틈없이 젓게 되므로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저을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and 276C are formed to have a length of approximately 10 to 15 c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10 is substantially flush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Are rotated with different trajectories and stirred together, so that the food can be efficiently stored.

물론, 제1,2,3 교반봉(272,274,276)에 제1,2,3 블레이드(272C,274C,276C)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각 제1,2,3 교반봉(272,274,276)은 교반물을 효율적으로 휘저어 교반할 수도 있다. Wh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bars 272, 274 and 276 are not provided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272C, 274C and 276C,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2, 274 and 276, Can be efficiently stirred and stirred.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교반봉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11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irring rod shown in Fig.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 교반봉(272,274,276)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단부가 연결 지지부재(26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랙기어(278A-1)가 형성되는 내부 지지봉(278A)과, 내부 지지봉(278A)이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외부 지지봉(278B)과,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랙기어(278C-1)가 형성되고 제2 랙기어(278C-1)가 제1 랙기어(278A-1)와 마주보도록 외부 지지봉(278B)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구(278C)와, 외부 지지봉(278B)이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거나 외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랙기어(278A-1)와 제2 랙기어(278C-1) 사이에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피니언기어(278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피니언(278D)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어느 곳에도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구(278C)와 외부 지지봉(278B)이 하향으로이동하면 피니언(278D)도 회전하면서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272, 274, 276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An inner support rod 278A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260 and having a first rack gear 278A-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n inner support rod 278B having an inner support rod 278A An outer support rod 278B is formed so that a second rack gear 278C-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rack gear 278C-1 is opposed to the first rack gear 278A- A first rack gear 278A-1 and a second rack gear 278C-1 so that the outer support rod 278B is mov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or moved upward by an external force, 1 of the pinion gear 278D. At this time, the pinion 278D is not fixed anywher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ccordingly, when the coupling hole 278C and the outer support rod 278B move downward, the pinion 278D also rotates and moves downward.

이와 같이, 외부 지지봉(278B)와 내부 지지봉(278A)가 랙기어(278A-1,278C-1)에 맞물린 피니언(278D)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지지봉(278B)는 내부 지지봉(278A)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향 또는 하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outer support rods 278B and the inner support rods 278A are connected by the pinions 278D engaged with the rack gears 278A-1 and 278C-1, the outer support rods 278B are connected to the inner support rods 278A It is possible to move only upward o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교반장치 110 : 용기
120 : 상부 지지체 200 : 교반기
240 : 구동부 250 : 회전부
260 : 연결 지지부재 270 : 교반부
100: stirrer 110: container
120: upper support 200: stirrer
240: driving part 250:
260: connection supporting member 270: stirring part

Claims (7)

교반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교반장치의 상부 지지체 일단부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구동축으로 이루어진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감싸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피동기어가 일단에 결합된 피동축을 구비한 회전부를 포함하고,
평편한 삼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공을 구비한 3개의 제1,2,3 코너 결합단들이 각 꼭지점 영역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코너 결합단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선과 같은 수평 상태이고, 상기 제2,3 코너 결합단은 서로 각도로 각각 상향 절곡되며, 중앙부가 상기 피동축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축의 자전 및 공전에 따라 자전 및 공전하는 연결 지지부재;
하단부에 상기 용기의 바닥 중앙영역에 접촉되어 교반물을 젓기 위한 제1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 코너 결합단에 결합되는 제1 교반봉과, 하단부에 상기 용기의 바닥 중앙영역 일부와 측벽영역의 일부에 접촉되어 교반물을 젓기 위한 제2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 코너 결합단에 결합되는 제2 교반봉과, 하단부에 상기 용기의 측벽영역에 접촉되기 위한 제3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3 코너 결합단에 결합되는 제3 교반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3 교반봉은, 상단부가 상기 연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랙기어가 형성되는 내부 지지봉; 상기 내부 지지봉이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외부 지지봉;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랙기어가 상기 제1 랙기어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부 지지봉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구; 및 상기 외부 지지봉이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거나 외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랙기어와 상기 제2 랙기어 사이에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지지부재가 자전 및 공전할 때 상기 제1,2,3 교반봉이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상기 제1,2,3 코너 결합단에 의해 서로 다른 궤적으로 자전 및 공전하면서 상기 용기의 바닥영역과 측벽영역 및 상기 바닥영역과 측벽영역의 경계영역을 상기 제1,2,3 블레이드로 젓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
A driving unit having a driving shaft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support of the stirring device and having a driving gear driven by a driving motor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stirring object; And a rotating portion having a driven shaft coupled to one end of a driven gear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in a housing surrounding the driving portion,
Three first, second, and third corner joining ends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flat triangle and having coupling holes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respective vertex point regions, and the first corner coupling ends are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horizontal line Wherein the second and third corner engagement ends are upwardly bent at an angle to each other and the center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driven shaft to rotate and revolv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d revolution of the driven shaft;
A first stirring rod which is connected to a bottom central region of the container at a lower end thereof and is coupled to a first blade for stirring the agitated material and has an upper end coupled to the first corner engagement end, And a third blade for contacting the side wall region of the container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tirring rod, and the upper blade is coupled to the upper blade,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irring rods are coupled to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rack gear i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rods, Yong - Bong; An outer support rod formed in a hollow shape to insert the inner support rod; A second rack gear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pport rod such that the second rack gear faces the first rack gear; And a pinion gear provided so as to be intermeshed between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such that the outer supporting rod is mov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or moved upward by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ars rotate and revolve in different trajectories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rner connecting ends formed at different angles when the connecting and supporting member rotates and revolves, Wherein the sidewall area an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bottom area and the sidewall area are rough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ades.
An agitato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각도 조절장치를 구비한 조리용 대형 국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영역과 측벽영역 및 경계영역이 만곡지게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may includ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king cavity comprises a large cooker for cooking with an angle adjusting device, and the bottom and sidewall regions and the boundary region are curved and curved,
An agitato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의 상부영역을 회전 지지하여 상기 상부 지지체에 결합되기 위한 구동축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 지지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동축을 회전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ncludes:
And a drive shaft support for rotating the upper region of the drive shaft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body. The housing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driven shaft is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shaft support body by a bearing. ,
An agitato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코너 결합단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코너 결합단보다 더 큰 각도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hird corner coupling end is bent at a larger angle than the second corner coupling end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line.
An agitator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i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59774A 2017-05-15 2017-05-15 Stirring device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y KR1019043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774A KR101904332B1 (en) 2017-05-15 2017-05-15 Stirring device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774A KR101904332B1 (en) 2017-05-15 2017-05-15 Stirring device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332B1 true KR101904332B1 (en) 2018-10-04

Family

ID=6386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774A KR101904332B1 (en) 2017-05-15 2017-05-15 Stirring device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332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4942A (en) * 2019-01-15 2019-03-15 曹江涛 A kind of program-controlled two-dimentional blender
KR20210025904A (en) 2019-08-28 2021-03-10 국방과학연구소 Revolution and rotation type agitator for manufacturing a thermal battery
CN114715500A (en) * 2022-04-22 2022-07-08 武汉理工大学 Track device
KR102458217B1 (en) * 2022-08-23 2022-10-24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Manual rotation type induction stir-fly pot equipped with automatic stirrer
KR102458220B1 (en) * 2022-08-23 2022-10-24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Automatic rotation type induction stir-fly pot equipped with automatic stirrer
KR102479813B1 (en) * 2022-10-14 2022-12-21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Rotation type induction stir-fly pot equipped with automatic stirr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9765B2 (en) * 1998-11-12 2008-05-28 梶原工業株式会社 Agitator blade shaft device for agitator
JP6095232B2 (en) * 2014-04-22 2017-03-15 株式会社飯田製作所 Stirr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9765B2 (en) * 1998-11-12 2008-05-28 梶原工業株式会社 Agitator blade shaft device for agitator
JP6095232B2 (en) * 2014-04-22 2017-03-15 株式会社飯田製作所 Stirr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4942A (en) * 2019-01-15 2019-03-15 曹江涛 A kind of program-controlled two-dimentional blender
CN109464942B (en) * 2019-01-15 2024-04-12 曹江涛 Program-controlled two-dimensional stirrer
KR20210025904A (en) 2019-08-28 2021-03-10 국방과학연구소 Revolution and rotation type agitator for manufacturing a thermal battery
KR102264406B1 (en) * 2019-08-28 2021-06-14 국방과학연구소 Revolution and rotation type agitator for manufacturing a thermal battery
CN114715500A (en) * 2022-04-22 2022-07-08 武汉理工大学 Track device
KR102458217B1 (en) * 2022-08-23 2022-10-24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Manual rotation type induction stir-fly pot equipped with automatic stirrer
KR102458220B1 (en) * 2022-08-23 2022-10-24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Automatic rotation type induction stir-fly pot equipped with automatic stirrer
KR102479813B1 (en) * 2022-10-14 2022-12-21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Rotation type induction stir-fly pot equipped with automatic stirr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332B1 (en) Stirring device rotating in different trajectory
CN101209398A (en) Particulate mixer
JP5873857B2 (en) Vertical biaxial food mixer
KR20170138523A (en) Mixer for fluid products
CN213467575U (en) Compounding device is used in processing of zongzi intestines
JP6515390B2 (en) Mixer head
JP2002253191A (en) Food stirrer
KR101480761B1 (en) Agitation apparatus for soup kettle
KR101022154B1 (en) Mixer device
JP6576623B2 (en) Mixing equipment
WO2010094954A1 (en) Concrete mixer
JP2008259947A (en) Powder mixer for foodstuff
JP3164679U (en) Stirrer
JP5567298B2 (en) Stirrer and stirrer
KR100459309B1 (en) Food cooker
KR102034859B1 (en) Burrito filling material mixing appratus
KR100648522B1 (en) Agitator for cooking
CN110508176A (en) A kind of more raw material aggregation agitating devices
CN209612691U (en) A kind of meat meal tankage blender
JP4806195B2 (en) Automatic bread machine
JP3139114U (en) Stirring blade for cake dough
CN208388388U (en) Full-automatic sauce pot
JPH029884Y2 (en)
KR101988401B1 (en) Device for Mixing Food Material
CN110226882A (en) A kind of semi-automatic dish thin pancak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