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249B1 - Apparatus for the deacid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he deacid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249B1
KR101904249B1 KR1020170056252A KR20170056252A KR101904249B1 KR 101904249 B1 KR101904249 B1 KR 101904249B1 KR 1020170056252 A KR1020170056252 A KR 1020170056252A KR 20170056252 A KR20170056252 A KR 20170056252A KR 101904249 B1 KR101904249 B1 KR 101904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emperature
temperature sensor
liqui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두원
정원용
Original Assignee
(주)센추리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추리이씨 filed Critical (주)센추리이씨
Priority to KR102017005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2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2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18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of old paper as in books, documents, e.g. res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63Preservation or restoration of currency, books or archival material, e.g. by deacidifying

Landscapes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cument deacidification apparatus which can easi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chamber storing documents and deacidification liquid and increase the recovery rate of deacidification liquid. The document deacidification apparatus comprises: a chamber to accommodate a cartridge storing documents; a deacidification liquid tank storing deacidification liquid to be supplied to the chamber; a pump arranged on a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deacidification liquid tank and the chamber to supply the deacidification liquid stored in the deacidification liquid tank to the chamber; and a recovery unit including a housing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chamber, a heater arranged on an outlet side of the housing to supply hot air to the chamber, an evaporator arranged on an inlet side of the housing to condense deacidification liquid evaporated by the heater, and a circulation fan arrang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The document deacidific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unit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recovery unit; a chamber temperature sensor to sense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and a control unit to receive temperature values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and the chamber temperature sens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covery unit or pump.

Description

문서 탈산장치{APPARATUS FOR THE DEACID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0001] APPARATUS FOR THE DEACT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 [0002]

본 발명은 문서 탈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산성화된 문서를 탈산액이 저장된 챔버(chamber) 안에 침수시킨 다음 탈산액을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산성화된 문서를 탈산시키는 문서 탈산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ument deoxidizing apparatus for deoxidizing an acidified document by continuously circulating a deoxidized solu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immersing the acidified document in a chamber containing deoxidized liquid .

일반적으로 각종 책이나 잡지, 신문, 기록문서 등을 보관하고 있는 도서관, 관공서, 교육기관, 언론기관, 문서 보관서 등에서는 오랜 시간이 경과 되면서 문서의 종이가 변질되는 것에 대하여 많은 고심을 하고 있으며, 특히, 고서(古書)나 중요 기록문서가 현 상태에서 더 이상 변질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in a library, a government office, an educational institution, a media institution, a document archive, etc. where a variety of books, magazines, newspapers, and recorded documents are stored, In particular,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prevent old documents or important documents from being altered in the current state.

이와 같이 시간이 경과 되면서 문서가 변질되는 원인으로는, 예컨대, 문서를 이루고 있는 종이의 재질이 변질되기 쉬운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종이의 제조과정에서 이물질이 필연적으로 포함되거나, 종이가 자연광, 인공광, 미생물 또는 세균 등에 노출되는 등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다.Causes of deterioration of the document over time include, for example, the fact that the material of the paper making up the document is made of fibers that are susceptible to deterioration, and that foreign matter is necessarily contain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aper, Artificial light, exposure to microorganisms or bacteria, and the like.

그 중, 섬유질 종이가 변질되는 가장 큰 이유는 섬유질에 포함되어 있는 산성물질에 의한 산성화로서, 이 산성화에 의해 종이의 섬유질 구조가 파괴되어 쉽게 변질되거나 변색될 수 있다.Among them, the main reason that the fibrous paper is altered is the acidification by the acidic substance contained in the fibrous material, and the fibrous structure of the paper is destroyed by this acidifica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changed or discolored.

따라서, 근래에는 탈산액을 이용하여 문서의 산성화를 방지하는 문서 탈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7032호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문서 탈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prevent acidification of a document by using a deoxidized solu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17032 discloses a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상기 문서 탈산장치는, 탈산액이 고가인 관계로 인하여, 챔버내로 유입된 탈산액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챔버내의 온도를 상기 탈산액이 기화되기 좋은 조건으로 유지한 뒤 회수유닛을 이용하여 기체상태의 탈산액을 응축시켜 회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eoxidized liquid introduced into the chamber is recovered and reused due to the high deoxidized liquid. That is,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is maintained under a condition that the deoxidized liquid is vaporized, and the deoxidized liquid in the gaseous state is condensed and recovered by using the recovery unit.

하지만, 상기 문서 탈산장치는, 상기 챔버내의 온도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정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챔버내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챔버의 과열 또는 냉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수단을 구비하지 않았기 때문에 장치의 과열 또는 냉각으로 인한 안전사고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is not precise in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it has been difficult to keep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furthermore, a safety accident caused by overheating or cooling of the chamb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afety accident due to overheating or cooling of the apparatus may occur because the safety means is not provided.

아울러, 챔버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탈산액의 기화율이 저감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탈산액의 회수율이 현격히 저감되어 문서의 탈산작업비용이 증가되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if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falls below a preset temperature, the rate of vaporization of the deoxidized liquid is reduced, and thus the recovery rate of the deoxidized liquid is remarkably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cost of deoxidizing the docu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서와 탈산액이 저장되는 챔버의 온도를 용이하게 제어함과 동시에 탈산액의 회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문서 탈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capable of easi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chamber in which a document and a deoxidized liquid are stored and raising the recovery rate of the deoxidized liquid.

본 발명은, 문서가 수납된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챔버; 상기 챔버로 공급될 탈산액이 저장된 탈산액 탱크; 상기 탈산액 탱크와 상기 챔버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탈산액 탱크에 저장된 탈산액을 상기 챔버로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챔버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토출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로 열풍을 제공하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히터에 의해 증발된 탈산액을 응축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상기 히터 사이에 마련되는 순환팬으로 구성된 회수유닛;을 포함하는 문서 탈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서 탈산장치는, 상기 회수유닛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 상기 챔버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챔버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부와 상기 챔버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을 제공받아 상기 회수유닛 또는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 chamber for accommodating a cartridge in which a document is housed; A deoxygenating tank storing a deoxidizing solution to be supplied to the chamber; A pump provided on a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deacid solution tank and the chamber to supply a deoxidized solution stored in the deacidified solution tank to the chamber; A housing provided with an inlet port and a discharge port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chamber, a heater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housing to supply hot air to the chamber, and a deoxidizer solution provided at the inlet side of the housing, And a circulation fan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wherein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unit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recovery unit; A chamber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valu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and the chamber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covery unit or the pump.

또한, 상기 온도센서부는,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측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 상기 증발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3온도센서; 및 상기 하우징의 토출구 측 온도를 감지하는 제4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n inlet-side temperature of the housing;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A third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heater; And a fourth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토출구에는 상기 순환팬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차압센서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inlet and outlet of the housing may each be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for checking whether the circulation fan is abnormal.

또한, 상기 챔버에는 상기 히터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을 확산시키는 대류팬이 마련될 수 있다.Also, the chamber may be provided with a convection fan for diffusing hot air supplied by the heater.

또한, 상기 카트리지는, 다수개의 문서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tridge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ming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documents can be accommodated; And a cover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a sliding manner.

또한, 상기 수용부는 다수개의 다공판이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됨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다공판의 상부에서 상기 다공판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단턱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ans, and the lower end of the perforated plate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at an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plat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탈산액 탱크에는 상기 탈산액 탱크에 저장된 탈산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The deoxygenation tank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sensor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deoxidation solution stored in the deoxidation tank.

또한, 상기 펌프에는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챔버로 공급되는 탈산액의 유동상태를 감지하는 관류감지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Also, the pump may be provided with a flow rate sensing sensor for sensing a flow state of deoxidized liquid supplied to the chamber through the supply flow channel.

또한, 상기 탈산액 탱크와 상기 공급유로를 연결하는 순환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순환유로의 일단은 상기 탈산액 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펌프와 상기 공급유로에 마련된 제1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공급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The deoxygenating tank further includes a circulation flow path connecting the deoxidation tank and the supply flow path, wherein one end of the circulation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deoxygenation tank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between the pump and the first valve provided in the supply flow path Can be connected to the supply pass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는, 문서를 탈산시키는 과정에서 챔버가 과냉되거나 과열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hamber from being overcooled or overheated in the process of deoxidizing the document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는, 문서를 탈산시키는 과정에서 증발기와 히터 및 순환팬의 이상유무를 다수개의 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과냉 또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탈산액의 회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lso, in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of the evaporator, the heater, and the circulating fan can be checked in real time by a plurality of sensors during the process of deoxidizing the docu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covery rate of the deoxidized liquid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는, 대류팬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챔버에 잔류된 탈산액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Further,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recovery rate of the deoxidized liquid remaining in the chamber because it has the convection fa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는, 탈산액 탱크에 저장된 탈산액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eoxidized liquid stored in the deoxidation tank from being settl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는, 문서가 수납되는 카트리지의 커버가 챔버 내에서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여 문서가 탈산액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over of the cartridge in which the document is housed from being floated in the chamber, thereby preventing the document from flowing by the deoxidation liqui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는, 카트리지를 구획하는 다수개의 다공판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카트리지의 유지 및 보수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Further,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for partitioning cartridges are fastened by fastening means, so that the maintenance and repair work of the cartridges can be carried out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를 이용한 문서 탈산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회수단계의 세부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document deoxidation method using a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detailed procedure of the second collecting step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a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100)는, 문서가 수납된 카트리지(200)를 수용하는 챔버(110)와, 상기 챔버(110)로 공급될 탈산액이 저장된 탈산액 탱크(120)와,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저장된 탈산액을 상기 챔버(110)로 공급하는 펌프(P) 및 상기 챔버(110)로 공급된 탈산액을 회수하는 회수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1, a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110 for accommodating a cartridge 200 accommodating a document, a deoxidizer (not shown) to be supplied to the chamber 110, A pump P for supplying the deoxidized liquid stored in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to the chamber 110 and a deodorizing tank for recovering deoxidized liquid supplied to the chamber 110, Unit 140 as shown in FIG.

상기 챔버(110)는, 도시되지 않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저장된 탈산액과 상기 카트리지(2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다. 참고로, 상기 본체는 장방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탈산액 탱크(120)와 상기 펌프(P) 및 회수유닛(140)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챔버(110)가 형성하는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거나 외부와 차단시키는 개폐도어가 회동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chamber 110 may be provided inside a main body (not shown), and a deoxidized liquid stored in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and a space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artridge 200 are formed. For example, the main body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may accommodate the deoxygenating tank 120, the pump P, and the collecting unit 140.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opening / closing the space formed by the chamber 110 to / from the outsid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n a rotating manner.

상기 챔버(110)의 일측에는,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서 공급되는 탈산액이 기 설정된 양 이상 공급되었을 경우에, 과공급된 탈산액이 배출될 수 있는 오버플로우(110a)가 마련될 수 있다.An overflow 110a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hamber 110 to discharge the deoxidized liquid supplied when the deoxidized liquid supplied from the deoxidized liquid tank 120 is supplied by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have.

또한, 상기 챔버(110)의 타측에는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서 저장된 탈산액이 공급되는 주입구(110b)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구(110b)는 공급유로(10)를 매개로 상기 탈산액 탱크(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유로(10)에는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서 상기 챔버(110)로 공급되는 탈산액의 양을 제어하는 제1밸브(V1)가 마련된다.In addition, an injection hole 110b through which deacidified liquid stored in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is supplied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110. [ The inlet 110b may be connected to the deoxygenating tank 120 through a supply passage 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eoxidation tank 120 through the chamber 110 A first valve (V1)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deoxidized liquid is provided.

또한, 상기 챔버(110)의 하부에는 상기 챔버(110) 내부에 저장된 탈산액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10c)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10c)는 제1회수유로(20)를 통하여 상기 탈산액 탱크(120)와 연결되며, 상기 제1회수유로(20)에는 상기 챔버(110)에서 배출되는 탈산액의 양을 제어하는 제2밸브(V2)가 마련된다.In addition, an outlet 110c through which the deoxidizing solution stored in the chamber 110 can be discharged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110. [ The outlet 110c is connected to the deoxygenating tank 120 through a first recovery passage 20 and the amount of deoxidizing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chamber 110 is stored in the first recovery passage 20 A second valve (V2) for controlling the second valve (V2)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오버플로우(110a)는 제2회수유로(30)를 매개로 상기 탈산액 탱크(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수유로(30)에는 상기 오버플로우(110a)를 통해 배출되는 탈산액의 양을 제어하는 제3밸브(V3)가 마련된다. The overflow 110a may be connected to the deoxidizing liquid tank 120 through the second recovery flow path 3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covery flow path 30 through the overflow 110a A third valve (V3)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deoxidized liquid is provided.

상기 탈산액 탱크(120)는 본체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밀폐된 용기의 형태로 마련되어 탈산액을 기밀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losed container to store the deoxidized liquid in a hermetic state.

상기 탈산액 탱크(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펌프(P)를 통하여 탈산액을 상기 챔버(110)로 공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챔버(110)로 공급된 탈산액을 상기 제1회수유로(20)와 상기 제2회수유로(30) 및 상기 회수유닛(140)을 통하여 다시 전달받을 수 있다.The deoxygenating tank 120 can supply the deoxidized liquid to the chamber 110 through the pump P and supply deoxidized liquid supplied to the chamber 110 to the first Can be delivered again through the recovery flow path (20), the second recovery flow path (30), and the collection unit (140).

그리고, 상기 탈산액 탱크(120)의 저부에는 탈산액이 배출되는 배출구(120a)가 마련되는바, 상기 배출구(120a)는 상기 공급유로(10)를 매개로 상기 챔버(110)의 주입구(110b)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20a)에서 배출되는 탈산액은 상기 공급유로(10)와 상기 주입구(110b)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챔버(110)의 내부 공간부로 유동될 수 있다.The deoxidized liquid tank 120 is provided at its bottom with a discharge port 120a through which the deoxidized liquid is discharged. The discharge port 120a is connected to the inlet 110b of the chamber 110 through the supply passage 10. [ ). Therefore, the deoxidized liq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0a can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hamber 110 sequentially through the supply passage 10 and the injection port 110b.

상기 펌프(P)는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저장된 탈산액을 펌핑하여 상기 챔버(110)로 탈산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서 배출되는 탈산액을 상기 공급유로(10)를 통해 상기 챔버(110)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ump P pumps the deoxidized liquid stored in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and supplies the deoxidized liquid to the chamber 110. That is, the deoxidized liquid discharged from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is allowed to flow to the chamber 110 side through the supply passage 10.

그리고, 상기 펌프(P)에는 상기 공급유로(10)를 통해 상기 챔버(110)로 공급되는 탈산액의 유동상태를 감지하는 관류감지센서(1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류감지센서(11)는 후술할 제어부(160)로 탈산액의 유동상태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관류감지센서(11)를 통해 상기 펌프(P)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pump P may be provided with a flow rate sensing sensor 11 for sensing a flow state of deoxidized liquid supplied to the chamber 110 through the supply flow channel 10. The flow rate of the deoxidized liquid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6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ontroller 160 can detect the abnormality of the pump P through the flow rate detection sensor 11, Can be confirm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100)는 상기 탈산액 탱크(120)와 상기 공급유로(10)를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순환유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tion flow path 40 connecting the deoxygenation tank 120 and the supply passage 10 in a communicable manner.

상기 순환유로(40)는 상기 펌프(P) 및 상기 공급유로(10)와 협력하여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저장된 탈산액의 산화마그네슘이 상기 탈산액 탱크(120)의 바닥으로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 일단은 상기 탈산액 탱크(12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펌프(P)와 상기 제1밸브(V1) 사이에 배치되는 공급유로(10)에 연결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flow path 40 cooperates with the pump P and the supply flow path 10 so that the magnesium oxide of the deoxygenation solution stored in the deoxidation solution tank 120 is precipitated at the bottom of the deoxidation solution tank 120 And one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deoxidizing liquid tank 12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passage 10 disposed between the pump P and the first valve V1.

따라서,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서 배출되는 탈산액은 상기 펌프(P)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공급유로(10)와 상기 순환유로(4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다시 상기 탈산액 탱크(120)로 유동될 수 있다.The deoxygen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deacidifying liquid tank 120 flows through the supply path 10 and the circulating path 40 sequentially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ump P, Lt; / RTI >

아울러, 상기 순환유로(40)에는 제4밸브(V4)가 마련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4밸브(V4)를 제어하여 순환유로(40)를 통해 유동되는 탈산액의 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fourth valve V4 may be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40 to control the amount of deoxidizing solution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40 by controlling the fourth valve V4 .

상기 회수유닛(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41a)와 토출구(141b)가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141)과, 상기 하우징(141)의 토출구(141b) 측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110)로 열풍을 제공하는 히터(142)와, 상기 하우징(141)의 유입구(141a) 측에 마련되어 상기 히터(142)에 의해 증발된 탈산액을 응축시키는 증발기(143)와, 상기 하우징(141)의 내부에 마련되는 순환팬(144)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recovery unit 140 includes a housing 141 having an inlet 141a and a discharge opening 141b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41 and an outlet 141b on the side of the outlet 141b of the housing 141 An evaporator 143 provided at the inlet 141a of the housing 141 to condense the deoxidized liquid evaporated by the heater 142, And a circulation fan 144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41.

상기 회수유닛(140)은 상기 챔버(110)에 공급된 탈산액이 상기 제1회수유로(20) 또는 상기 제2회수유로(30)를 통해 상기 탈산액 탱크(120)로 배출된 후에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수유닛(140)은 문서에 스며든 탈산액이나 챔버(110) 내부에 잔존하는 탈산액을 기체상태로 포집한 뒤 액체상태로 응축시켜 상기 탈산액 탱크(1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recovery unit 140 is operated after the deoxidized liquid supplied to the chamber 110 is discharged to the deoxygenation tank 120 through the first recovery channel 20 or the second recovery channel 30 . That is, the recovery unit 140 collects the deoxidized solution impregnated into the document or the deoxidized solution remaining in the chamber 110 in a gaseous state, condenses it into a liquid state, and supplies the deoxidized solution to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do.

상기 하우징(141)의 유입구(141a)는 포집유로(50)를 매개로 상기 챔버(110)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순환팬(14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서 증발된 탈산액이 상기 포집유로(50)를 통해 상기 하우징(141)의 유입구(141a)로 포집될 수 있다.The inlet 141a of the housing 141 is connected to the chamber 110 through a collecting flow passage 50. The evaporation of the evaporation gas in the chamber 110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144, Deoxidized liquid can be collected at the inlet 141a of the housing 141 through the collecting passage 50. [

그리고, 상기 하우징(141)의 유입구(141a)로 포집된 기체상태의 탈산액은 상기 증발기(143)에 의해 응축되어 상기 하우징(141)의 하부에 마련된 회수구(141c)를 유입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회수구(141c)는 제3회수유로(70)를 매개로 상기 탈산액 탱크(12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143)에 의해 응축된 탈산액은 상기 회수구(141c)와 상기 제3회수유로(70)를 순차 경유하여 상기 탈산액 탱크(120)로 회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증발기(143)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냉각팬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냉각기(145)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gaseous deoxidized liquid collected at the inlet 141a of the housing 141 is condensed by the evaporator 143 and may be introduced into a recovery port 141c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41. [ The deodorant liquid condensed by the evaporator 143 is supplied to the deoxidizing liquid tank 120 through the third recovery flow path 70, And may be recovered to the deacidifying liquid tank 120 through the recovery port 141c and the third recovery flow path 70 in order. For reference, the evaporator 143 can receive refrigerant from a conventional cooler 145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 cooling fan, and the like.

상기 하우징(141)의 토출구(141b)는 건조유로(60)를 매개로 상기 챔버(110)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토출구(141b) 측에 마련된 히터(142)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은 상기 건조유로(60)를 통해 상기 챔버(110)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문서에 스며든 탈산액이 증발되거나 상기 챔버(110) 내에 잔존하는 탈산액이 증발되는 과정에서 기화열에 의해 상기 챔버(110)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탈산액의 증발작용도 배가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141b of the housing 141 is connected to the chamber 110 through the drying channel 60 so that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heater 142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141b is discharged to the drying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chamber 110 through the flow path 6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mber 110 from being cooled by the heat of vaporization in the process of vaporizing the deoxidized liquid impregnated into the document or evaporating the deoxidized liquid remaining in the chamber 110, It can be doubl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100)는, 상기 히터(142)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을 확산시키는 대류팬(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류팬(112)은 상기 챔버(110)로 공급되는 열풍을 확산시켜 상기 챔버(110)의 온도가 급격히 냉각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문서에 스며든 탈산액의 증발작용을 더욱 배가시키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히터(142)에 의해 발생된 열풍은 상기 건조유로(60)를 통해 챔버(110)의 내부공간 일측으로만 배출되었으나 상기 대류팬(112)은 열풍이 챔버(110)의 내부공간 전체에 퍼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류팬(112)은 상기 챔버(110)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키는 개폐도어(미도시)의 저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챔버(110)를 구획하는 내벽 상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vection fan 112 for diffusing hot air supplied by the heater 142. The convection fan 112 diffuses the hot air supplied to the chamber 110 to further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110 from being rapidly cooled. The convection fan 112 also functions to evaporate the deoxidized solution impregnated into the document It also plays a role of doubling. That is,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heater 142 is discharged only to one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110 through the drying channel 60, but the convection fan 112 is operated so that hot air flows through the entire inner space of the chamber 110 As shown in FIG. The convection fan 112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an opening / closing door (not shown) that opens or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참고로, 상기 챔버(110)에 공급된 탈산액은 높은 휘발성을 가지기 때문에 기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챔버(110)의 온도를 급격하게 떨어뜨린다. 이때, 상기 챔버(110)의 온도가 떨어지면 탈산액이 기화되기 적합한 온도조건을 상기 챔버(110)가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탈산액의 회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Since the deoxidized liquid supplied to the chamber 110 has a high volatility,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110 drops sharply during vaporization. At this tim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110 is lowered, the chamber 110 can not maintain a temperature condition suitable for deacidification to vaporiz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overy rate of the deoxidized liquid is lowered.

따라서, 상기 히터(142)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으로 상기 챔버(110)의 온도를, 탈산액이 기화되기 좋은 조건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110 constant by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heater 142, on condition that the deoxidized liquid vaporizes.

아울러, 상기 챔버(110)에는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챔버온도센서(11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챔버온도센서(111)는 상기 회수유닛(140)에 의해 가변되는 상기 챔버(110)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후술할 제어부(160)로 그 온도값을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mber 110 may be provided with a chamber temperature sensor 111 for sensing an internal temperature. The chamber temperature sensor 111 sens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10 which is variable by the collection unit 140 in real time and can transmit the temperature value to a controller 16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회수유닛(140)은 온도센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1)의 유입구(141a)측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151)와, 상기 제1온도센서(151)보다 상기 하우징(141)의 토출구(141b)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143)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152)와, 상기 제2온도센서(152)보다 상기 하우징(141)의 토출구(141b)측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143)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3온도센서(153) 및 상기 하우징(153)의 토출구(141b)측 온도를 감지하는 제4온도센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covery unit 14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unit 150. 2,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50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151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141a of the housing 141, A second temperature sensor 152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41b of the housing 141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143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152 disposed on the discharge port 141b of the housing 141, A third temperature sensor 153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53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43 and a fourth temperature sensor 153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41b of the housing 153, hav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온도센서부(150)는 후술할 제어부(160)로 상기 하우징(141)의 유입구(141a) 및 토출구(141b)측 온도를 각각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히터(142)와 상기 증발기(143)의 온도를 각각 전달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unit 1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transmit the temperatures of the inlet 141a and the outlet 141b of the housing 141 to the controller 160, And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143,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센서부(150)에 의해 감지된 상기 회수유닛(140)의 온도와 상기 챔버온도센서(111)에 의해 감지된 상기 챔버(110)의 내부 온도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회수유닛(140)의 히터(142), 증발기(143) 및 순환팬(144)과 상기 냉각기(145) 및 상기 펌프(P)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recovery unit 14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50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10 sensed by the chamber temperature sensor 111, The evaporator 143 and the circulation fan 144 of the recovery unit 140 and the operation of the cooler 145 and the pump P can be controlled.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챔버(110)의 내부 온도가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거나 설정치 이상으로 올라갔을 때 상기 회수유닛(140)과 상기 펌프(P)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회수유닛(140), 상기 냉각기(145) 및 상기 펌프(P)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110 falls below the set value or rises above the set value, the controller 160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recovery unit 140 and the pump P, It can be stopped. The control unit 16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recovery unit 140, the cooler 145, and a power unit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to the pump.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챔버(110)의 내부 온도가 설정치 이하(예컨대, 20도 이하)로 떨어지거나 설정치 이상(예컨대, 36도 이상)으로 올라갔을 때 경보신호를 발생시켜 작업자에거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110)가 수용된 본체에는 상기 제어부(160)로부터 경보신호를 전달받는 부저 또는 경보램프가 마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110 fall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20 degrees or less) or rises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or example, 36 degrees or more) . At this time, the main body accommodating the chamber 110 may be provided with a buzzer or an alarm lamp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from the controller 160.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센서부(150)의 제2온도센서(152)로부터 상기 증발기(143)의 온도를 전달받아 상기 증발기(143)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3온도센서(153)로부터 상기 히터(142)의 온도를 전달받아 상기 히터(142)의 이상유무도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receives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143 from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52 of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50 to determine whether the evaporator 143 is abnormal,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42 may be received from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53 to determine whether the heater 142 is abnormal.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센서부(150)의 제1온도센서(151)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유입구(141a)측 온도를 전달받아 상기 증발기(143)의 이상유무도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센서부(150)의 제1온도센서(151)는, 상기 증발기(143)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기 제2온도센서(152)가 기능상의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상기 증발기(143)의 온도를 가늠하는 또 다른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port 141a of the housing 110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51 of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50 to determine whether the evaporator 143 is abnormal . That is,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51 of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50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143 whe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52 detects a malfunction, 143). ≪ / RTI >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2온도센서(152)로부터 감지된 상기 증발기(143)의 온도가 설정치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저장된 탈산액의 양이 증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2온도센서(152)에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151)로부터 제공되는 온도값을 기초로 상기 증발기(143)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143 sens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52 is maintained at the set value,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deoxidized liquid stored in the deoxidized liquid tank 120 It is determined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52 and the abnormality of the evaporator 143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provided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51 have.

여기서,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는 탈산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센서(121)가 마련되는바, 상기 레벨센서(121)는 탈산액 탱크(120)에 저장된 탈산액의 수위값을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The level sensor 121 senses the level of deacidified liquid stored in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from the level of the deacidified liquid stored in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160).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레벨선서(121)로부터 전달되는 수위값과 상기 제1온도센서(151)에 의해 전달되는 온도값을 비교분석하여 상기 제2온도센서(152) 또는 상기 증발기(143)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compares the level value transmitted from the level voucher 121 with the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51 and outputs the comparison result to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52 or the evaporator 143) can be determined.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센서부(150)의 제4온도센서(154)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토출구(141b)측 온도를 전달받아 상기 히터(142)의 이상유무도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센서부(150)의 제4온도센서(154)는 상기 히터(142)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기 제3온도센서(153)가 기능상의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상기 히터(142)의 온도를 가늠하는 또 다른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port 141b of the housing 110 from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54 of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50 to determine whether the heater 142 is abnormal . That is,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54 of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50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42 when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53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42, Can be used as another means of gaug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다시 말해, 상기 제3온도센서(153)로부터 감지된 상기 히터(142)의 온도가 설정치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챔버(110)의 온도가 설정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상기 제3온도센서(153)에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4온도센서(154)로부터 제공되는 온도값을 기초로 상기 히터(142)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110 is lower than the set value even though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42 sensed by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53 maintains the set value,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5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heater 142 is abnormal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provided from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54. [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하우징(141)의 유입구(141a)로 유입되는 기체의 온도 및 상기 토출구(141b)로 토출되는 기체의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회수유닛(140)의 정삭적인 작동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설정된 고온의 공기가 상기 토출구(141b)로 토출되고, 그 토출된 공기가 감온되어 상기 유입구(141a)를 통해 유입되는 지를 상기 제1온도센서(151) 및 상기 제4온도센서(154)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ompares the temperature of the gas introduced into the inlet 141a of the housing 141 and the temperature of the gas discharged to the outlet 141b to determine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covery unit 140 Can be determined. That is,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51 and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54 determine whether the set high temperature ai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41b, and the discharged air is thermally sensed and flowing through the inlet 141a. . ≪ / RTI >

한편, 상기 하우징(141)의 유입구(141a) 및 토출구(141b)에는 상기 순환팬(144)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차압센서(155)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inlet 141a and the outlet 141b of the housing 141 may be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55 for checking whether the circulation fan 144 is abnormal.

상기 차압센서(155)는 상기 순환팬(144)이 작동되었을 시에, 상기 유입구(141a) 및 토출구(141b)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차압센서(155)에서 제공되는 압력값을 기 설정된 압력값과 비교하여 상기 순환팬(144)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값이 기 설정된 압력값과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될 경우 상기 회수유닛(140)과 상기 펌프(P)의 가동을 멈출 수 있다.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55 can measure the pressures of the inlet 141a and the outlet 141b and transmit the measured pressure to the controller 160 when the circulating fan 144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160 may compare the pressure value provid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55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to check whether the circulation fan 144 is abnormal or not, The operation of the recovery unit 140 and the pump P can be stopped.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순환팬(144)이 미작동하거나 상기 히터(142)의 과열 또는 상기 증발기(143)의 과냉이나 펌프(P)의 미작동 등과 같은 장치의 이상이 발생 될 경우 그 이상이 발생된 구성장치만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고 모든 구성장치들의 작동을 동시에 중단시킴과 동시에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히터(142), 증발기(143), 순환팬(144) 및 펌프(P)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상이 발생된 것을 판단하였을 때에는 상기 구성들의 작동을 모두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히터(142)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순환팬(144)이 미작동되거나 이상이 발생된 것을 확인할 경우에는 히터(142), 증발기(143), 순환팬(144) 및 펌프(P)의 작동을 중단시켜 히터(142) 및 챔버(11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144 such that the circulation fan 144 does not operate or an abnormality such as overheating of the heater 142 or over-cooling of the evaporator 143, It is possible not only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 device in which the abnormality occurs but also to stop the operation of all the components at the same time and to generate an alarm.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any one of the heater 142, the evaporator 143, the circulating fan 144, and the pump P has generated an abnormality,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heater 142, the evaporator 143, the circulation fan 144, and the circulation fan 144 in a state in which the circulation fan 144 is inoperable or abnormal, And the pump P can be stopped to prevent the heater 142 and the chamber 110 from overheating.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히터(142)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3온도센서(153)를 통해 히터(142)가 과열된 것을 확인하거나 상기 챔버온도센서(111)를 통해 챔버(110)가 과열된 것을 확인할 경우에도 모든 구동장치들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heater 142 is overheated through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53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42 or the chamber temperature sensor 111 Even if it is confirmed that it is overheated, all the driving devices can be stopped.

결론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과열에 의한 화재방지를 위해, 상기 회수유닛(140)과 펌프(P)와 같은 모든 구동장치의 작동상태와 다수개의 밸브(V1~V6)들의 작동상태 및 온도센서부(150)로부터 감지된 온도값을 기초로 탈산장치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2중 내지 3중의 안전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peration states of all the drive units such as the recovery unit 140 and the pump P and the operation states of the plurality of valves V1 to V6,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5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deoxidation apparatus, and to carry out the safety check of the second to third aspects.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문서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210) 및 상기 수용부(210)의 상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cartridg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art 210 forming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documents can be accommodated, And a cover 220 that is detachably coupled in a sliding manner.

상기 수용부(21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수개의 다공판(211)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됨에 따라 함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용부(210)는 바닥을 형성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다공판(211)과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다공판(211)의 윗면 테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다공판(211)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다수개의 다공판(211)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문서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5개의 다공판(211)이 사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다공판(211)의 개수를 늘려 다양한 형태의 수용부(210)를 제작할 수도 있다.The accommodating portion 210 may have a shape of an enclosure opened at an upper portion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n enclosure as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211 are interconnect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nuts. For example, the accommodat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211 arranged horizontally to form a bottom, and a plurality of vertically arranged vertically arranged perforations of the perforated plate 211 disposed horizontally, And the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21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For referen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ve perforated plates 211 are used so that a space in which a document can be accommodated has a rectangular shape. However, the number of the perforated plates 211 is not limited to this, Shaped receiving portion 210 may be manufactured.

아울러, 상기 다수개의 다공판 중 어느 하나가 부식되었거나 파손되었을 그 파손된 다공판(211)만 상기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다공판(211)의 보수작업이나 교체작업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only the damaged perforated plate 211, which is corroded or broken, can be separated by using the engaging means, any maintenance work or replacement work of the perforated plate 211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e operator .

상기 커버(220)는 상기 수용부(210)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할 수 있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20)에는 상기 다공판(211)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211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단턱부(22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턱부(221)는 상기 커버(220)의 저부에서 상기 가이드홈(211a)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220 may have a shape and a size that can block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10. The cover 220 may be provided with a step 221 which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211 a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211. Here, the step portion 22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211a at the bottom of the cover 220.

위와 같이 상기 커버(22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수용부(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이유는, 상기 카트리지(200)가 챔버(1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탈산액에 침수되었을 시에, 상기 커버(220)가 상기 수용부(210)상에서 상부로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The reason why the cover 2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210 in a sliding manner is that when the cartridge 200 is receiv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110 and is submerged in the deoxidizing liquid, In order to prevent the cover 220 from floating upward on the receiving portion 210.

즉, 탈산액의 비중에 의해 상기 수용부(210)에 수압된 문서가 부유되면서 상기 커버(220)의 저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220)가 상기 수용부(210)상에서 부유되는 문제점이 기존에는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220)가 상기 수용부(210)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방식의 체결방식을 도입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였다.That is, due to the specific gravity of the deoxidized liquid, a document having been hydraulically pressuriz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10 is floated to press the bottom of the cover 220, thereby causing the cover 220 to float on the accommodating portion 210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 by introducing a sliding type fasten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over 220 is firmly coupled to the receiving part 210. [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100)를 이용한 문서 탈산방법이 도 1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된다.Hereinafter, a document deoxidation method using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4, and 5.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100)를 이용한 문서 탈산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의 내부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형성시키는 대기압 유지단계(S10)와, 상기 챔버(110)에 탈산액을 공급하는 탈산액 공급단계(S20)와, 상기 챔버(110)에 공급된 탈산액을 회수하는 제1회수단계(S30)와, 상기 챔버(110)에 잔류된 탈산액을 회수하는 제2회수단계(S40)를 크게 포함할 수 있다.4, the document deoxidation method using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tmospheric pressure maintaining step S10 for forming an internal pressure of the chamber 110 to an atmospheric pressure state, A deoxidized liquid supplying step S20 for supplying deoxidized liquid to the chamber 110, a first collecting step S30 for recovering the deoxidized liquid supplied to the chamber 110, And a second recovering step (S40) of recovering the deoxidized liquid.

상기 대기압 유지단계(S10)에서는, 문서가 수납된 카트리지(200)를 상기 챔버(110)의 내부공간에 투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110)의 에어밴트에 마련된 솔레노이드밸브(V5, 도1참조)를 개방하여 상기 챔버(1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챔버(110)의 내부공간을 대기압 상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In the atmospheric pressure maintaining step (S10), the cartridge 200 in which a document is stored can be put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hamber 110. [ The solenoid valve V5 (see FIG. 1) provided in the air vent of the chamber 110 is opened to exhaust the inner spac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110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상기 탈산액 공급단계(S20)는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저장된 탈산액을 상기 챔버(110)로 공급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The deacidifying solution supplying step (S20) may be a step of supplying the deoxidized solution stored in the deacidifying solution tank 120 to the chamber 110. [

상기 탈산액 공급단계(S20)에서는 상기 공급유로(10)에 마련된 제1밸브(V1)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P)를 작동시켜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저장된 탈산액을 펌핑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탈산액 탱크(10)에 저장된 탈산액이 상기 공급유로(10)를 통해 상기 챔버(110)의 주입구(110b)를 통해 상기 챔버(1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챔버(110)에 수용된 카트리지(200)와 문서가 탈산액에 침수될 수 있다. 이때, 탈산액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마련된 솔레노이드밸브(V6, 도1참조)를 개방시켜 탈산액 탱크(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벨센서(121)를 통해 펌프의 작동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In the deacidified liquid supply step S20, the pump P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lve V1 provided in the supply passage 10 is opened to pump the deoxidized liquid stored in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 The deoxidized liquid stored in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0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110 through the inlet 110b of the chamber 110 through the supply passage 10, The cartridge 200 and the document received in the chamber 110 may be submerged in the deoxidation liquid. At this time, in order to smoothly supply the deoxidized liquid, the solenoid valve V6 (see FIG. 1) provided in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is opened to discharge the air formed inside the deoxidized liquid tank 120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pump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level sensor 121.

참고로, 탈산액에 문서를 침수시키는 시간은 약 20분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문서의 개수에 따라 침수시간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저장된 탈산액을 상기 챔버(110)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P)를 가동시키는 시간은 약 200초~1400초 일 수 있으며, 펌프(P)의 가동시간 또한, 상기 챔버(110)의 용량 및 문서의 개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문서가 탈산액에 완전히 침수되며 침수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V5, V6)를 차단 시켜 상기 챔버(110)에 저장된 탈산액과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저장된 탈산액이 기화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immersion time of the document in the deoxygenation solution may be about 20 minutes. However, the immersion time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documents. The time for operating the pump P to supply the deoxidized liquid stored in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to the chamber 110 may be about 200 seconds to 1400 seconds, In addition, it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chamber 110 and the number of documents. The document is completely immersed in the deoxidation liquid and the immersion liquid blocks the solenoid valves V5 and V6 so that the deoxidized liquid stored in the chamber 110 and the deoxidized liquid stored in the deoxidation liquid tank 120 are vaporized and flowed out .

상기 제1회수단계(S30)는 상기 챔버(110)에 공급되어 카트리지(200)와 문서를 침수시키는 탈산액을 상기 탈산액 탱크(120)로 회수시키는 단계라 할 수 있다.The first recovery step S30 may be a step of recovering the deacidified solution supplied to the chamber 110 and immersing the cartridge 200 and the document into the deacidified solution tank 120. [

상기 제1회수단계(S30)에서는 상기 대기압 유지단계(S10)에서 개방되었던 솔레노이드밸브(V5)를 차단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챔버(110)의 배출구(110c)와 상기 탈산액 탱크(120)를 연결하는 제1회수유로(20)에 마련된 제2밸브(V2)를 개방하고, 또한, 상기 챔버(110)의 오버플로우(110b)와 상기 탈산액 탱크(120)를 연결하는 제2회수유로(30)에 마련된 제3밸브(V3)를 개방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3밸브(V3)는 상기 챔버(110)에 탈산액이 공급되는 순간에도 개방되어 상기 오버플로우(110b)로 배출되는 탈산액이 상기 제2회수유로(30)를 통해 다시 상기 탈산액 탱크(120)로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first recovery step S30, the solenoid valve V5 that has been opened in the atmospheric pressure maintaining step S10 may be shut off. The second valve V2 provided in the first recovery passage 20 for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110c of the chamber 110 to the deacidification tank 120 is opened and the second valve V2 The third valve (V3) provided in the second recovery flow path (30) connecting the overflow (110b) and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can be opened. The third valve V3 is opened even when the deoxidized liquid is supplied to the chamber 110 so that the deoxidized liquid discharged to the overflow 110b flows through the second recovering passage 30 again, And can be recovered to the liquid tank 120.

그러면, 상기 챔버(110)에 공급된 탈산액이 상기 제1회수유로(20) 및 상기 제2회수유로(30)를 경유하여 상기 탈산액 탱크(120)로 회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110)에 공급된 탈산액이 상기 탈산액 탱크(120)로 회수될 시에는, 상기 챔버(110) 및 상기 탈산액 탱크(120)의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지 않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V5, V6)를 개방하여 탈산액이 원활히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The deoxidized liquid supplied to the chamber 110 may be recovered to the deoxygenation tank 120 via the first recovery flow path 20 and the second recovery flow path 30. When the deoxidized liquid supplied to the chamber 110 is recovered to the deoxygenating tank 120, the deoxidation tank 120 may be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so that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and the deoxidation tank 120 are not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he valves V5 and V6 are opened to allow the deoxidized liquid to be recovered smoothly.

아울러, 상기 제1회수단계(S30)에서는 상기 탈산액 탱크(120)로 회수되는 탈산액의 회수량을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마련된 레벨선세(121)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1차회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2밸브(V2)와 상기 제3밸브(V3)를 차단시킬 수 있다.In the first recovery step S30, the amount of the deoxidized liquid recovered to the deoxidation liquid tank 120 may be checked through the level line 121 provided in the deoxidation liquid tank 120. [ When the first recovery is completed, the second valve (V2) and the third valve (V3) can be shut off.

상기 제2회수단계(S40)는, 상기 회수유닛(140)을 이용하여 문서에 스며든 탈산액이나 상기 챔버(110)에 잔류된 탈산액을 회수시키는 단계라 할 수 있다.The second recovery step S40 may be a step of recovering the deoxidized solution impregnated into the document or the deoxidized solution remaining in the chamber 110 by using the recovery unit 140. [

상기 제2회수단계(S40)는, 상기 순환팬(144)을 이용하여 기화된 탈산액을 포집하는 포집단계(S41)와, 상기 히터(142)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110)에 열풍을 제공하는 건조단계(S43)와, 상기 증발기(143)를 이용하여 상기 포집단계(S41)에서 포집된 기체상태의 탈산액을 응축하는 응축단계(S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llecting step S40 may include a collecting step S41 of collecting vaporized deoxidized liquid using the circulating fan 144 and a step of supplying hot air to the chamber 110 using the heater 142 , And a condensing step (S45) for condensing gaseous deacidified liquid collected in the collecting step (S41) using the evaporator (143).

상기 포집단계(S41)에서는 상기 회수유닛(140)의 순환팬(144)을 가동시켜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서 증발된 기체상태의 탈산액을 포집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팬(144)이 가동되면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서 기체상태로 존재하는 탈산액이 상기 포집유로(50)를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141)의 유입구(141a)로 유입될 수 있다.In the collecting step S41, the circulating fan 144 of the collecting unit 140 is operated to collect the gaseous deoxidized liquid evaporated in the chamber 110. That is, when the circulation fan 144 is operated, the deoxidized liquid existing in the gaseous state inside the chamber 110 flows into the inlet 141a of the housing 141 via the collecting flow path 50 have.

상기 건조단계(S43)에서는 상기 회수유닛(140)의 히터(142)를 가동시켜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 열풍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142)가 가동되면 상기 건조유로(60)를 통하여 상기 챔부(110)의 내부공간으로 열풍이 전달될 수 있다.In the drying step S43, the heater 142 of the collecting unit 140 may be operated to supply the hot ai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That is, when the heater 142 is operated, the hot air can be transmit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110 through the drying channel 60.

그러면,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 배치된 문서에 스며든 탈산액이 더욱 원활하게 증발될 수 있으며, 또한, 탈산액이 기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챔버(110)가 과냉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oxidized liquid impregnated in the document disposed in the chamber 110 can be more smoothly evaporated, and the chamber 1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ubcooled in the process of vaporizing the deoxidized liquid.

상기 건조단계(S43)는 상기 포집단계(S41) 이후에 실시되기보다도 상기 포집단계(S41)와 동시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순환팬(144)과 상기 히터(142)를 동시에 가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rying step (S43)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collecting step (S41) rather than after the collecting step (S41). That is, the circulation fan 144 and the heater 142 are preferably operated simultaneously.

상기 응축단계(S45)는, 상기 회수유닛(140)의 증발기(143)를 가동시켜 상기 하우징(141)의 유입구(141a)로 유입되는 기체상태의 탈산액을 냉각시겨 응축시키는 단계라 할 수 있다.The condensing step S45 may be a step of activating the evaporator 143 of the recovery unit 140 to cool and condense the gaseous deoxidized liquid flowing into the inlet 141a of the housing 141 have.

상기 응축단계(S45)에서 증발기(143)에 의해 응축된 탈산액은 상기 제3회수유로(70)를 경유하여 상기 탈산액 탱크(120)로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110)의 내부공간이 진공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V5)를 개방시켜 기체상태의 탈산액을 원활히 회수하도록 할 수 있다.The deoxidized liquid condensed by the evaporator 143 in the condensing step S45 may be recovered to the deacidifying liquid tank 120 via the third recovering flow path 70. [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internal space of the chamber 110 from being evacuated, the solenoid valve V5 may be opened to smoothly recover the gaseous deoxidized liquid.

그리고, 상기 챔버(110)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응축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회수유닛(140)의 순환팬(144)만 약 5분간 작동시키는 응축열 제거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In order to remove the heat of condensation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110, a condensation heat removing step of operating only the circulation fan 144 of the recovery unit 140 for about 5 minutes may be performed.

그러면,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 배치된 문서에 스면든 탈산액의 회수작업이 완료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챔버(110)에서 탈산된 문서가 수납된 카트리지(200)를 꺼낼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수유닛(140)의 히터(142)와 증발기(143) 및 순환팬(144)의 작동은 정지되며, 아울러, 상기 응축단계(S45)에서 개방되었던 솔레노이드밸브(V5)를 차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43)로 냉매를 전달하는 냉각기(145)의 작동도 정지된다.Then, the recovery operation of the spatially deoxidized liquid is completed on the document placed inside the chamber 110, and finally the cartridge 200 in which the deoxidized document is stored in the chamber 110 can be taken out.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heater 142 of the recovery unit 140, the evaporator 143 and the circulation fan 144 is stopped, and the solenoid valve V5, which was opened in the condensing step S45, have. The operation of the cooler 145 for transferring the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 143 is also stopped.

한편, 상기 제2회수단계(S40)는 확산단계(S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recovery step S40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 step S44.

상기 확산단계(S44)는 상기 건조단계(S43)에서 상기 챔버(110)로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챔버(110)의 내부공간에 확산시키는 단계라 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는, 상기 대류팬(112)을 가동시키는 단계라 할 수 있다.The diffusing step S44 may be a step of diffusing the hot air supplied to the chamber 110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110 in the drying step S43,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100)를 이용한 문서 탈산방법은 순환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ocument deoxidation method using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tion step S5.

상기 순환단계(S5)는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저장된 탈산액의 침전을 방지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단계(S5)에서는 상기 공급유로(10)에 마련된 제1밸브(V1)를 차단하고, 상기 순환유로(40)에 마련된 제4밸브(V4)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P)를 가동시킬 수 있다.The circulation step S5 may be a step of preventing sedimentation of the deoxidized liquid stored in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 That is, in the circulation step S5, the first valve (V1) provided in the supply passage (10) is shut off and the fourth valve (V4)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40) ).

그러면, 상기 탈산액 탱크(120)의 배출구(120a)에서 배출되는 탈산액이 상기 공급유로(10)와 상기 순환유로(40)를 순차 경유하여 다시 상기 탈산액 탱크(120)로 순환되며, 이에 따라, 탈산액에 포함된 산화마그네슘이 상기 탈산액 탱크(120)의 바닥면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eoxidized liq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0a of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is circulated to the deoxidized liquid tank 120 through the supply passage 10 and the circulating flow passage 4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gnesium oxide contained in the deoxidized liquid from deposi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상기 순환단계(S5)는 상기 챔버(110)에 탈산액이 공급되는 탈산액 공급단계(S20) 이전에 실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110)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대기압 유지단계(S10)이전에 실시되고, 또한, 상기 제2회수단계(S40)가 종료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장 좋다.The circulation step S5 may be performed before the deoxidized liquid supplying step S20 in which the deoxidized liquid is supplied to the chamber 110. Preferably, the circulating step S5 may include an atmospheric pressure maintaining step of discharg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to the outside (S10), and it is best to be continuously performed even after the second collecting step (S40) is finished.

상기 순환단계(S5)가 상기 탈산액 공급단계(S20) 이전에 실시될 경우에는 펌프(P)를 약 5분정도 가동시켜 탈산액이 순환되도록 하고, 상기 제2회수단계(S40) 이후에 실시될 경우에는 펌프(P)를 1일 기준으로 약 8시간~9시간 동안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가동시켜 탈산액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탈산액 탱크(120)의 용량과 상기 탈산액 탱크(120)에 저장된 탈산액의 량에 따라 상기 펌프(P)의 가동시간 및 가동주기가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circulation step S5 is performed before the deoxidized liquid supply step S20, the pump P is operated for about 5 minutes to circulate the deoxidized liquid, and after the second collection step S40 It is preferable that the pump P is repeatedly operated for a period of about 8 hours to 9 hours on a daily basis so that the deoxidized liquid circulates so that the deoxidation liquid tank 120 and the deoxidation liquid tank The operation time and the operation cycle of the pump P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deoxidizing solution stored in the deoxidizing unit 120.

한편, 상기 제2회수단계(S40)는 약 3~4시간 후 다시 동일하게 반복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수단계(S40)가 일정시간 후에 다시 반복 실시되는 이유는 상기 탈산액 탱크(120)의 내부공간에서 비산된 탈산액이 탈산액 탱크(120)의 저부로 가라앉을 시간적 여유를 주기 위해서이다. 즉, 비산된 탈산액이 포집되는 시간 이후에 상기 제2회수단계(S40)를 반복실시하여 탈산액의 회수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econd recovery step S40 may be repeated in the same manner again after about 3 to 4 hours. The reason why the second recovery step S40 is repeat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s that the deoxidized liquid scatte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is allowed to sink to the bottom of the deacidified liquid tank 120 to be. That is, after the time when the scattered deoxidized liquid is colle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ecovery step (S40) is repeated to increase the recovery rate of the deoxidized liqui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탈산장치(100)를 이용한 문서 탈산방법은, 상기 온도센서부(150)에서 전달되는 온도값과 상기 챔버온도센서(111)에서 전달되는 온도값을 비교분석하여 상기 회수유닛(140)의 온도와 상기 챔버(111)의 온도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ocument deoxidation method using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a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50 with a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from the chamber temperature sensor 111 And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recovery unit 140 and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111 in real time.

상기 감지단계(S7)는, 상기 탈산액 공급단계(S20)와 상기 제2회수단계(S40)가 실시되는 시간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회수유닛(140)의 증발기(143), 히터(142), 순환팬(144)의 이상유무와 상기 챔버(111)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The sensing step S7 may be performed during the deoxidized solution supplying step S20 and the second collecting step S40, and the evaporator 143, the heater 142 ),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of the circulating fan 144,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of the chamber 111.

즉, 상기 감지단계(S7)는 전술한 제어부(160)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부(150)의 제1온도센서(151) 내지 제4온도센서(154)와 상기 차압센서(155)를 통하여 상기 회수유닛(140)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챔버(111)가 과냉되거나 과열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터(142)의 과열 및 증발기(143)의 과냉을 확인할 수 있는 단계라 할 수 있다.That is, the sensing step S7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60. The sensing unit S7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60, and the first to fourth temperature sensors 151 to 154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chamber 111 is undercooled or overheated by confirming the abnormality of the recovery unit 140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155 and the overheating of the heater 142 and the supercooling of the evaporator 143 Can be identifi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문서 탈산장치 110 : 챔버
110Aa : 오버플로우 110b : 주입구
110c : 배출구 111 : 챔버온도센서
112 : 대류팬 120 : 탈산액 탱크
120a : 배출구 121 : 레벨센서
140 : 회수유닛 141 : 하우징
142 : 히터 143 : 증발기
144 : 순환팬 150 : 온도센서부
151 : 제1온도센서 152 : 제2온도센서
153 : 제3온도센서 154 : 제4온도센서
155 : 차압센서 160 : 제어부
S5 : 순환단계 S10 : 대기압 유지단계
S20 : 탈산액 공급단계 S30 : 제1회수단계
S40 : 제2회수단계 S41 : 포집단계
S43 : 건조단계 S44 : 확산단계
S45 : 응축단계
100: document deoxidizer 110: chamber
110Aa: Overflow 110b: Inlet port
110c: exhaust port 111: chamber temperature sensor
112: convection fan 120: deoxygenation tank
120a: Outlet 121: Level sensor
140: collection unit 141: housing
142: heater 143: evaporator
144: circulating fan 150: temperature sensor unit
151: first temperature sensor 152: second temperature sensor
153: third temperature sensor 154: fourth temperature sensor
155: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60:
S5: circulation step S10: atmospheric pressure maintenance step
S20: deacid solution supplying step S30: first collecting step
S40: Second collecting step S41: Collecting step
S43: drying step S44: diffusion step
S45: Condensation stage

Claims (7)

문서가 수납된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챔버;
상기 챔버로 공급될 탈산액이 저장된 탈산액 탱크;
상기 탈산액 탱크와 상기 챔버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탈산액 탱크에 저장된 탈산액을 상기 챔버로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챔버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토출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로 열풍을 제공하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히터에 의해 증발된 탈산액을 응축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상기 히터 사이에 마련되는 순환팬으로 구성된 회수유닛;을 포함하는 문서 탈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서 탈산장치는,
상기 회수유닛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
상기 챔버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챔버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부와 상기 챔버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을 제공받아 상기 회수유닛 또는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부는,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측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
상기 증발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3온도센서; 및
상기 하우징의 토출구 측 온도를 감지하는 제4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탈산장치.
A chamber for accommodating a cartridge containing a document;
A deoxygenating tank storing a deoxidizing solution to be supplied to the chamber;
A pump provided on a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deacid solution tank and the chamber to supply a deoxidized solution stored in the deacidified solution tank to the chamber; And
A housing provided with an inlet port and a discharge port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chamber, a heater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housing to supply hot air to the chamber, and a deoxidizing liquid evaporated by the heater at the inlet side of the housing, And a circulation fan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the deoxidizer comprising:
The document deoxidation apparatus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unit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recovery unit;
A chamber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And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valu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and the chamber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covery unit or the pump,
The temperature sensor unit,
A first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n inlet side temperature of the housing;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A third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heater; And
And a fourth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hous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토출구에는 상기 순환팬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차압센서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탈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housing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differential pressure sensors for checking whether the circulation fan is abnorm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는 상기 히터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을 확산시키는 대류팬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탈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mber is provided with a convection fan for diffusing hot air supplied by the he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다수개의 문서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다수개의 다공판이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됨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다공판의 상부에서 상기 다공판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단턱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탈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ccommodating portion forming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documents can be accommodated; And
And a cover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a sliding manner,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s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are interconnected by fastening means,
Wherein a step portion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over so as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at an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는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챔버로 공급되는 탈산액의 유동상태를 감지하는 관류감지센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탈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mp is provided with a perfusion sensor for sensing a flow state of deoxidized liquid supplied to the chamber through the supply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산액 탱크와 상기 공급유로를 연결하는 순환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순환유로의 일단은 상기 탈산액 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펌프와 상기 공급유로에 마련된 제1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공급유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탈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irculation flow path connecting the deoxygenation tank and the supply flow passage,
Wherein one end of the circulating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deoxidizing liquid tank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supply flow path disposed between the pump and the first valve provided in the supply flow path.
KR1020170056252A 2017-05-02 2017-05-02 Apparatus for the deacid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 KR1019042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252A KR101904249B1 (en) 2017-05-02 2017-05-02 Apparatus for the deacid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252A KR101904249B1 (en) 2017-05-02 2017-05-02 Apparatus for the deacid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249B1 true KR101904249B1 (en) 2018-10-04

Family

ID=6386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252A KR101904249B1 (en) 2017-05-02 2017-05-02 Apparatus for the deacid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24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4113A (en) * 2019-01-29 2019-06-28 齐鲁工业大学 A kind of drying device and method for paper submergence depickling
CN112853810A (en) * 2021-01-26 2021-05-28 青岛大学 Portable integral type paper archives hang processing apparatus
CN116334955A (en) * 2023-02-17 2023-06-27 甘继东 Paper repair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94B1 (en) * 2006-08-28 2007-10-08 (주)센추리이씨 Deacidification method of library materials using deacidifiable apparatus by inundation of library materials
KR100931862B1 (en) * 2009-06-11 2009-12-15 (주)센추리이씨 Apparatus for the deacid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94B1 (en) * 2006-08-28 2007-10-08 (주)센추리이씨 Deacidification method of library materials using deacidifiable apparatus by inundation of library materials
KR100931862B1 (en) * 2009-06-11 2009-12-15 (주)센추리이씨 Apparatus for the deacid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4113A (en) * 2019-01-29 2019-06-28 齐鲁工业大学 A kind of drying device and method for paper submergence depickling
CN112853810A (en) * 2021-01-26 2021-05-28 青岛大学 Portable integral type paper archives hang processing apparatus
CN112853810B (en) * 2021-01-26 2023-03-21 青岛大学 Portable integral type paper archives hang processing apparatus
CN116334955A (en) * 2023-02-17 2023-06-27 甘继东 Paper repairing device
CN116334955B (en) * 2023-02-17 2024-05-03 甘继东 Paper repai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249B1 (en) Apparatus for the deacid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
KR101639551B1 (en) Recovery apparatus of oil vapor
TW202219682A (en) Two-phase immersion cooling apparatus with active vapor managemfent
US4304102A (en) Refrigeration purging system
KR20090024586A (en)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ing apparatus of dryer
US6740205B2 (en) Processing of shipboard wastewater
US52612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ging a refrigeration system
US5245840A (en) Refrigerant reclaim method and apparatus
JPH065000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emulsions
KR102282320B1 (en) Dehumidifying device with improved positive pressure of positive pressure switchgear, distribution panel, connection panel, and control panel
KR101904250B1 (en) Deacidification method of library materials usingdeacidifiable apparatus
US11835272B2 (en) Cooling system with oil return to accumulator
CN108474600B (en) Air extraction device, refrigerator provided with same, and control method for air extraction device
KR101275188B1 (en) Water furifier with ice maker
KR100931862B1 (en) Apparatus for the deacid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
KR20070119889A (en) Drying apparatus for food trash
EP3872415A1 (en) Cooling system with oil return to oil reservoir
US57627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water from compressed air system condensate
KR102160586B1 (en) Cold trap for multi cooling
JP4362979B2 (e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KR101424532B1 (en) Apparatus for circulating a vacuum pump oil of sterilizer with apparatus for removing the condensed water
KR20170086388A (en) Cooling apparatus for purging non-condensating gas and method for maintaining cooling apparatus
KR20110079947A (en) Ice storage tank of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2083664B1 (en) Deacidification apparatus for extending the preservation life of valuable materials
KR0146825B1 (en) Data backup apparatus of cold and hot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