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052B1 -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052B1
KR101904052B1 KR1020170123355A KR20170123355A KR101904052B1 KR 101904052 B1 KR101904052 B1 KR 101904052B1 KR 1020170123355 A KR1020170123355 A KR 1020170123355A KR 20170123355 A KR20170123355 A KR 20170123355A KR 101904052 B1 KR101904052 B1 KR 101904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rnal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갑
Original Assignee
(주)텔레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텔레비트 filed Critical (주)텔레비트
Priority to KR1020170123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중고 스마트폰을 IoT 사물 인터넷을 융합하여 스마트 팜 시스템으로 상용화함으로써, 환경오염, 자원낭비, 외화 유출 및 농어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소득 증대 및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중고 스마트폰을 IoT 사물 인터넷을 융합하여 스마트 팜 시스템으로 상용화함으로써, 환경오염, 자원낭비, 외화 유출 및 농어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소득 증대 및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Smart farm system that recycles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중고 스마트폰을 IoT 사물 인터넷을 융합하여 스마트 팜 시스템으로 상용화함으로써, 환경오염, 자원낭비, 외화 유출 및 농어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소득 증대 및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중고 스마트폰의 경우, 환경부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2016년도에 1,600만대가 판매되기는 했으나 1,300만대가 폐기물로 전락했다.
이 중 400만대 만이 회수되어 회수율은 31%에 머물렀으며, 회수율의 80∼90%는 이동통신사의 대리점을 통해 회수되고, 10∼20%는 제조사 직영점이나 AS센터 등을 통해 회수되었다.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보면 스마트폰의 900만대 가량이 고스란히 가정의 장롱 속에 보관이 되거나 소각 또는 매립 처리되는 것으로 추정되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국내 중고 스마트폰의 처리 현황을 보면 재사용은 회수되는 중고 휴대폰의 일부는 국내의 연구소나 기업체에서 임대나 테스트용으로 재사용하나 물량은 미미하며, 재활용은 단말기에서 유가금속인 금, 은 등을 추출하여 재활용하는 업체는 3개사 정도가 파악되고 있으나, 규모가 작고 실적이 미미하다. 재활용되는 통계자료는 없으나 전체 회수량 수준이 10% 미만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국외 개발 및 연구동향을 보면 중고 스마트폰을 재활용하여 업 사이클링(up-cycling) 솔루션을 개발하는 회사는 전무하며, 2004년부터 2G/3G폰을 활용해 솔루션을 상용화한 기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국외 중고 스마트폰의 처리 현황을 보면 중고 휴대폰의 재활용을 위한 각종 대책을 수립하여 이미 실시 중에 있으며, 호주의 경우 휴대폰 제조수입자가 휴대폰을 판매할 시점에 일정액을 적립하여 Mobile Phone Industry Recycling Program에 투자하고, 중고 휴대폰과 배터리 및 충전기를 수집하여 유가금속 추출을 위해 재활용한다.
일본의 경우 NTT DoCoMo Group 등에서 휴대폰과 배터리 및 충전기 등에 대한 수집 캠페인을 실시하여 재활용을 하며, 유럽은 NOKIA사 등 휴대폰 제조업체에서 재활용 중이며, 다수의 개인 수집상들이 존재한다.
영국은 XS Tronix사 등에서 휴대폰, 배터리 및 충전기 수집 및 재활용하여 유가금속을 추출할 계획이다.
중고 스마트폰의 업 사이클링 개발의 필요성 및 중요성은 환경문제에서 휴대폰이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구환경오염에 주범인 납, 카드뮴 등이 다량 들어있으며, 자원낭비 측면에서 단순히 핸드폰의 고장에 의한 교체가 아닌 신제품 구입을 위한 휴대폰의 교체로 인하여 생긴 연간 약 1,600만대의 중고 휴대폰이 폐기되고, 외화낭비 측면에서 휴대폰 한 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칩·LCD·카메라 모듈 등의 수입비용은 물론이고 막대한 로열티를 제공해야 한다.
이외에도 유엔환경계획(UNEP)의 바젤 협약에 따라 중고 휴대폰을 유해 폐기물로 지정하여 수출이 금지되거나 엄격히 규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활용 방법을 찾아야 한다.
요약하자면, 휴대폰에는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구환경오염에 주범인 납, 카드뮴 등이 다량 들어있으므로 환경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또한, 단순히 핸드폰 고장에 의한 교체가 아닌 신제품 구입을 위한 휴대폰 교체로 인하여 생긴 연간 약 1,600만대의 폐휴대폰이 폐기되므로 이에 따른 자원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휴대폰 한 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칩·LCD·카메라 모듈 등의 수입비용은 물론이고 막대한 로열티를 제공해야 하므로 외화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유엔환경계획(UNEP)이 바젤 협약에 따라 중고휴대폰(중고폰)을 유해 폐기물로 지정하여 수출이 금지되거나 엄격히 규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활용 방법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폐 스마트폰을 재활용하여 세계 최초로 IoT(internet of things) '스마트 팜'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환경오염, 자원 낭비, 외화유출을 방지하는 장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5559호(2012. 07. 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9094호(2008. 02. 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중고 스마트폰을 IoT 사물 인터넷을 융합하여 스마트 팜 시스템으로 상용화함으로써, 환경오염, 자원낭비, 외화 유출 및 농어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소득 증대 및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용 스마트폰의 단말기와 연계된 전화번호의 관리는 주로 가입된 통신사에서 컴퓨터로 관리를 하지만 본 발명에서, 중고 스마트폰의 단말기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컨트롤러를 구성함으로써, 농업, 환경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고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IoT 기술을 융합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무선센서로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화재, 정전 등을 감지하여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농작물 장치들을 제어함으로써, 재배 시설 내의 모든 조건을 최적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관리자가 직접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은,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컨트롤 신호를 무선으로 획득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을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노드장치(200)와,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내부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내부센서군(310);과
상기 내부센서군에 의해 감지된 내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내부센서노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부센서노드장치(300)와,
농작물 재배 시설 외부의 외부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외부센서군(410);과
상기 외부센서군에 의해 감지된 외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센서노드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부센서노드장치(400)와,
내부센서노드장치(300) 및 외부센서노드장치(400)로부터 송출된 내부환경 정보와 외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하며, 설정된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일치하지 않은 환경 정보를 제공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내부에 구성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스마트폰(800)과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동시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데이터저장서버(700)로 전송하기 위한 메인스마트팜장치(100)와,
상기 메인스마트팜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부(500)와,
상기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서버(700)와,
상기 메인스마트팜장치로부터 제공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시키며,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해당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8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스마트폰(8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중고 스마트폰을 IoT 사물 인터넷을 융합하여 스마트 팜 시스템으로 상용화함으로써, 환경오염, 자원낭비, 외화 유출 및 농어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소득 증대 및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개인용 스마트폰의 단말기와 연계된 전화번호의 관리는 주로 가입된 통신사에서 컴퓨터로 관리를 하지만 본 발명에서, 중고 스마트폰의 단말기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컨트롤러를 구성함으로써, 농업, 환경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확장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중고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IoT 기술을 융합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무선센서로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화재, 정전 등을 감지하여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농작물 장치들을 제어함으로써, 재배 시설 내의 모든 조건을 최적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관리자가 직접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한 효율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의 메인 컨트롤러 구성 개념도이며, 도 3a는 스마트폰컨트롤러 구성 개념도이며, 도 3b는 스마트폰컨트롤러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온도와 상태정보 전달하는 프로토콜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연결요청처리부에서 사용자 스마트폰 번호를 설정하는 프로토콜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메인컨트롤러와 사용자 스마트폰과의 통신을 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농작물 재배시설 내에 문제가 발생시 스마트폰 컨트롤러에 등록된 3대의 스마트폰에 영상 정보나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스마트폰 컨트롤러에서 농작물 재배시설내에 문제가 발생시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통화를 시도하는 함수의 일부분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데이터저장서버 블록도이며, 도 9는 어플리케이션부 블록도이며, 도 10은 전체 상태정보를 사용자 스마트폰에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1은 메인컨트롤러 본체 외형도이며, 도 12는 스마트폰컨트롤러 예시도이며, 도 13은 무선통신부 예시도이며, 도 14는 내부센서노드부와 외부센서노드부의 외형도이며, 도 15는 농작물 재배 시설의 전화 걸기 화면 예시도이며, 도 16은 환경정보 요청 화면 예시도이며, 도 17은 분석 그래프 화면 예시도이며, 도 18은 화면정보 설정 화면 예시도이며, 도 19는 전화번호 원격 등록 및 변경 화면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은,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컨트롤 신호를 무선으로 획득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을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노드장치(200)와,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내부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내부센서군(310);과
상기 내부센서군에 의해 감지된 내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내부센서노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부센서노드장치(300)와,
농작물 재배 시설 외부의 외부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외부센서군(410);과
상기 외부센서군에 의해 감지된 외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센서노드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부센서노드장치(400)와,
내부센서노드장치(300) 및 외부센서노드장치(400)로부터 송출된 내부환경 정보와 외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하며, 설정된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일치하지 않은 환경 정보를 제공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내부에 구성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동시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데이터저장서버(700)로 전송하기 위한 메인스마트팜장치(100)와,
상기 메인스마트팜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부(500)와,
상기 다수의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디브이알(600)과,
상기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서버(700)와,
상기 메인스마트팜장치로부터 제공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시키며,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해당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8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스마트폰(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스마트팜장치(100)는,
내부센서노드장치(300) 및 외부센서노드장치(400)로부터 송출된 내부환경 정보와 외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하며, 설정된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일치하지 않은 환경 정보를 제공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스마트폰컨트롤러로 전송하며,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 신호를 컨트롤노드장치(200)로 전송하며, 다수의 카메라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컨트롤러(110);와
내부센서노드장치(300) 및 외부센서노드장치(400)로부터 수집된 내부환경 정보와 외부환경 정보를 토대로 분석된 최적 환경 조건 정보를 참조하여 농작물장치들의 동작 조건을 메인컨트롤러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로거(120);와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며, 스마트폰으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폰컨트롤러(130);와
상기 스마트폰컨트롤러에서 제공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저장서버(700)로 전송하며,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를 음성 혹은 문자 및 내외부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폰(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컨트롤러(130)는,
등록된 사용자스마트폰을 추출하여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거나, 지정 시간에 등록된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연결요청처리부(131);와
해당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연결 완료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스마트폰으로 송출하기 위한 경보발생정보처리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저장서버(700)는,
누적 저장된 환경 정보를 합산 분석하거나 평균 분석하여 선형화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누적 저장된 영상 정보로부터 하나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선형화된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분석 보고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분석보고서생성부(710);와
주기적으로 획득된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및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저장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810)는,
상기 내외부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영상정보출력모듈(811);과
상기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환경정보출력모듈(812);과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화면에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컨트롤 신호를 획득하여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송출하기 위한 농작물장치컨트롤모듈(813);과
농작물 재배 시설의 전화 걸기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어느 한 농작물 재배 시설로 영상 또는 음성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걸기수행모듈(814);과
데이터저장서버(700)로 관리하는 농작물 재배 시설 중 어느 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데이터저장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환경정보요청모듈(815);과
데이터저장서버(700)로 관리하는 농작물 재배 시설 중 어느 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분석 보고서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석 보고서 정보를 데이터저장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분석보고서정보요청모듈(8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은, 메인스마트팜장치(100)와, 컨트롤노드장치(200)와, 내부센서노드장치(300)와, 외부센서노드장치(400)와, 카메라부(500)와, 디브이알(600)과, 데이터저장서버(700)와 사용자스마트폰(800) 및 무선통신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노드장치(200)는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컨트롤 신호를 무선으로 획득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농작물장치(210)들의 컨트롤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컨트롤 신호는 원격지의 사용자스마트폰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트롤 신호일 수 있으며, 메인스마트팜장치에서 최적의 환경 조건 정보를 토대로 이에 적합한 각각의 농작물장치들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900)을 구성하고, 여기에 접속되어 메인스마트팜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13과 같이 제작하였다.
상기 농작물장치(210)는 예를 들어, antelope water, water supplyer, CO2 generator, boiler, extractor fan, cooler heater, led board, curtain, lighting 등과 같이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농작물을 최적의 환경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들을 의미한다.
상기 내부센서노드장치(300)는 내부센서군과 내부센서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되며, 무선통신부(900)와 연결되어 메인스마트팜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내부센서군(310)은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내부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것인데, 예를 들어, CO2센서, 온도센서, HUMIDITY, AC VOLTAGE, MACHINE, INBURST, FIRE, SOLAR OF DAY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상기 내부센서노드부(320)는 내부센서군에 의해 감지된 내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외부센서노드장치(400)는 외부센서군(410)과 외부센서노드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되며, 무선통신부(900)와 연결되어 메인스마트팜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외부센서군(410)은 농작물 재배 시설 외부의 외부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것인데, 내부센서군과 마찬가지로 CO2센서, 온도센서, HUMIDITY, AC VOLTAGE, MACHINE, INBURST, FIRE, SOLAR OF DAY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센서노드부(420)는 외부센서군에 의해 감지된 외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내부센서노드부(320)와 외부센서노드부(420)의 외형을 도 14와 같으며, 외부면에는 전원감시, 차단기 트립감시, 온습도 표시 및 방범 감시 등에 대한 결과값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메인스마트팜장치(100)는,
내부센서노드장치(300) 및 외부센서노드장치(400)로부터 송출된 내부환경 정보와 외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하며, 설정된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일치하지 않은 환경 정보를 제공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내부에 구성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동시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데이터저장서버(7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스마트팜장치(100)는,
내부센서노드장치(300) 및 외부센서노드장치(400)로부터 송출된 내부환경 정보와 외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하며, 설정된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일치하지 않은 환경 정보를 제공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스마트폰컨트롤러로 전송하며,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 신호를 컨트롤노드장치(200)로 전송하며, 다수의 카메라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컨트롤러(110);와
내부센서노드장치(300) 및 외부센서노드장치(400)로부터 수집된 내부환경 정보와 외부환경 정보를 토대로 분석된 최적 환경 조건 정보를 참조하여 농작물장치들의 동작 조건을 메인컨트롤러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로거(120);와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며, 스마트폰으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폰컨트롤러(130);와
상기 스마트폰컨트롤러에서 제공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저장서버(700)로 전송하며,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를 음성 혹은 문자 및 내외부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폰(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메인컨트롤러(110)는 내부센서노드장치(300) 및 외부센서노드장치(400)로부터 송출된 내부환경 정보와 외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즉, 별도의 메모리를 구성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당 정보들을 데이터저장서버(700)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내부환경 정보와 외부환경 정보를 동시에 감지하여 분석하는 이유는 외부 조건에 따라 내부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내부와 외부에 동시에 감지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설정된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일치하지 않은 환경 정보를 제공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스마트폰컨트롤러로 전송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설정된 환경 정보 중 온도가 30도로 설정되었다면, 감지된 온도가 만약 35도라면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때 내외부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온도 정보와 함께 스마트폰컨트롤러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창문 개폐기 혹은 냉방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컨트롤 신호를 컨트롤노드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내외부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카메라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메인컨트롤러는 도 2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며, 도 11과 같이 함체 내부에 설치 구성된다.
예를 들어, CPU는 ARM926EJ-S(180MHz)를 사용하여 IEEE 802.3 Ethernet, 16GB SD Memory, GPIO, RS485, UART, USB, Voice Codec, Battery control 등의 다양한 기능과 데이터 로그기능으로 주변기기들과 연결되어 농작물 재배시설내의 환경이 최적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노드의 모듈에는 PIC을 사용하고 RF모듈과 전원장치를 이용하여 장비가 설치된 장소에 관계없이(100m 이상) 무선으로 장치들을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치의 입력 전원과 On/Off로 제어된 출력 전원을 항상 감시하므로 노드의 오류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데, 수동 제어모드일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각 장치를 On/Off 할 수 있으며, 반자동 제어모드의 경우에는 지정된 시간동안 장치(양액기, 급수기 등)를 On/Off 할 수 있고, 전자동 제어모드에서는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와 내부의 환경상태와 조도 및 온도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 제어하므로 완전자동으로 장치(CO2, 보일러, 환풍기 등)를 제어한다.
만약, 양액기 등과 같이 장치 내부에 제어장치가 부착된 경우에는 반자동 모드로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원은 Solar cell에 의한 내부 충전 Battery를 사용하므로 무선 및 무전원으로 어느 곳에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메인컨트롤러의 제어 흐름은 자동과 수동으로 구분되어 통신이 가능하며, 자동의 경우, 메인컨트롤러에서 지시하는 모든 정보를 무선으로 컨트롤노드장치(200)를 통해 각종 센서에서 입력된 값들과 비교하여 제어량을 각종 농작물 장치들에게 전달하고, 이러한 정보들을 스마트컨트롤러를 통하여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전달된다.
수동의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하여 정보를 요청하면 스마트폰컨트롤러를 통하여 메인컨트롤러의 정보를 음성이나 영상으로 획득하여 전송하도록 하며, 이러한 모든 정보들을 LTE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저장서버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11과 같은 본체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데이터로거(120)는 내부센서노드장치(300) 및 외부센서노드장치(400)로부터 수집된 내부환경 정보와 외부환경 정보를 토대로 분석된 최적 환경 조건 정보를 참조하여 농작물장치들의 동작 조건을 메인컨트롤러로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한 완전자동 모드로 동작하기 위하여 내외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최적의 환경 조건을 설정하게 되는데, 이때 농작물장치들의 동작 조건도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컨트롤러(130)는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며, 스마트폰으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스마트폰컨트롤러(130)는 도 3a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며, 도 12와 같이 제작하였다.
예를 들어, CPU는 COREX-M3(72MHz)를 사용하여 Bluetooth HID, USB, Analog I/F 등의 기능으로 다양한 모델의 스마트 폰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으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스마트폰컨트롤러에서 변경하여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Bluetooth HID를 통해 스마트폰을 외부에서 폰의 모드인 USB/WiFi 테더링 등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기기내 문제가 발생하거나 긴급한 상황이 발생될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메인컨트롤러와 직접 연결되게 된다.
또한, 도 3b와 같이, 스마트폰컨트롤러(130)는,
등록된 사용자스마트폰을 추출하여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거나, 지정 시간에 등록된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연결요청처리부(131);와
해당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연결 완료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스마트폰으로 송출하기 위한 경보발생정보처리부(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요청처리부(131)는 등록된 사용자스마트폰을 추출하여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거나, 지정 시간에 등록된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결요청처리부(131)는 모든 사용자들의 SMS 통신은 스마트폰 컨트롤러에 등록되어 있는 번호만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농작물 재배 시설내의 상태정보는 전화가 연결될 때와 요청하는 SMS 수신시에 해당 전화번호로 SMS를 송신하고, 지정시간에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번호에 SMS를 송신한다.
경보 발생시에는 경보정보를 포함한 모든 정보를 스마트폰컨트롤러에 등록된 모든 전화번호에 경보정보를 우선 송신한 후 나머지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때, 각종 설정 값이 변화된 경우 해당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에게 설정 정보를 SMS로 송신하고, 연락받을 전화번호와 시설동의 명칭이 변화된 경우 즉시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의 경우에는 연결요청처리부(131)에서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온도와 상태정보 전달하는 프로토콜 일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경우에는 연결요청처리부(131)에서 사용자 스마트폰 번호를 설정하는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메인컨트롤러와 사용자 스마트폰과의 통신을 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농작물 재배시설 내에 문제가 발생시 스마트폰 컨트롤러에 등록된 예를 들어, 3대의 스마트폰에 영상 정보나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었으며, 등록된 3대의 전화에 정보가 연결되는 과정은 1번 사용자 폰에 영상으로 전화를 걸 것인지 아니면 음성으로 걸 것인지 상태를 확인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화를 걸어서 연결이 되면 현재의 재배시설내의 문제점이나 정보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면 더 이상 전화 통화연결을 하지 않으며, 전화통화가 안될 경우 2번째 등록된 사용자 폰에 전화를 걸기를 시도하고, 안되면 3번째 등록된 사용자 폰에 전화를 걸어서 현재 상태의 정보를 전달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도 7은 스마트폰 컨트롤러(연결요청처리부(131))에서 농작물 재배시설내에 문제가 발생시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통화를 시도하는 함수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경보발생정보처리부(132)는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연결 완료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스마트폰으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외부와 통신하기 위하여, 스마트폰(140)을 구성하게 된다.
즉, 스마트폰컨트롤러에서 제공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저장서버(700)로 전송하며,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를 음성 혹은 문자 및 내외부 영상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수의 카메라부(500)를 메인스마트팜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설치 구성하게 된다.
이때, 디브이알(600)을 구성하게 되며, 다수의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메인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디브이알에 저장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저장서버(700)는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게 된다.
즉, 환경 정보 이외에도 내외부 영상 정보를 동시에 저장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정보들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저장서버(700)는
누적 저장된 환경 정보를 합산 분석하거나 평균 분석하여 선형화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누적 저장된 영상 정보로부터 하나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선형화된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분석 보고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분석보고서생성부(710);와
주기적으로 획득된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및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저장부(7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석보고서생성부(710)는 누적 저장된 환경 정보를 합산 분석하거나 평균 분석하여 선형화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누적 저장된 영상 정보로부터 하나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선형화된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분석 보고서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저장부(720)는 주기적으로 획득된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및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스마트폰(800)은 어플리케이션부(81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810)는 메인스마트팜장치로부터 제공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시키며,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해당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상태정보를 사용자 스마트폰에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환경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컨트롤러에 연결된 스마트폰과 연결이 되면 사용자스마트폰에 나타나는 화면으로 동의 단위로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상태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확인이 가능하며 다른 동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스크린 터치를 이용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면 다른 동이 표시되고, 다시 스크롤하면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동 등으로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1개 동의 화면을 터치하면 상태정보 화면으로 전환되며, 기타 온도/습도/이산화탄소/일사량은 경보설정 최저/최고와 하루 동안의 최저/최고의 모든 조건을 현재 상태로 표시한다.
그리고 1동의 온도 상세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온도/습도/이산화탄소/일사량 부분을 터치하고, 터치를 사용하여 아래로 스크롤하면 제어정보가 표시되고, 제어정보는 터치할 때마다 On/Off가 바뀐다.
또한, 커튼정보는 열림/닫힘으로 표시되고, 터치로 밀어올리면 제어정보가 나타나고, On/Off할 수 있으며, 재배 시설동의 상세 상태정보는 최근 1개월 동안의 모든 측정치의 변화와 최저, 최고, 평균 온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부(810)는,
상기 내외부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영상정보출력모듈(811);과
상기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환경정보출력모듈(812);과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화면에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컨트롤 신호를 획득하여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송출하기 위한 농작물장치컨트롤모듈(813);과
농작물 재배 시설의 전화 걸기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어느 한 농작물 재배 시설로 영상 또는 음성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걸기수행모듈(814);과
데이터저장서버(700)로 관리하는 농작물 재배 시설 중 어느 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데이터저장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환경정보요청모듈(815);과
데이터저장서버(700)로 관리하는 농작물 재배 시설 중 어느 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분석 보고서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석 보고서 정보를 데이터저장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분석보고서정보요청모듈(816);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영상정보출력모듈(811)은 재배시설의 내외부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게 된다.
즉, 재배동마다 사용자가 선택하게 되면 해당 동의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환경정보출력모듈(812)은 일상적인 환경 정보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이벤트 요소인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농작물장치컨트롤모듈(813)은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화면에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컨트롤 신호를 획득하여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송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온도가 설정된 온도값보다 높을 경우에 해당 냉방기의 조작 패널을 선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벤트 요소인 온도값을 제어하기 위하여 냉방기의 제어 패널을 자동적으로 표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전화걸기수행모듈(814)은 도 15와 같이, 농작물 재배 시설의 전화 걸기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어느 한 농작물 재배 시설로 영상 또는 음성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영상 통화를 실시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거나, 음성 연결을 위한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환경정보요청모듈(815)은 도 16과 같이, 데이터저장서버(700)로 관리하는 농작물 재배 시설 중 어느 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데이터저장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게 된다.
즉, 사전에 데이터저장서버에 저장된 환경 정보 혹은 영상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정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분석보고서정보요청모듈(816)은 도 17과 같이, 데이터저장서버(700)로 관리하는 농작물 재배 시설 중 어느 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분석 보고서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석 보고서 정보를 데이터저장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게 된다.
또한, 도 18과 같이, 사용자가 환경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19와 같이, 전화번호 원격 등록을 위한 설정창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각종 센서들의 환경 정보를 설정하고, 전화걸기를 수행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수시로 등록 혹은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중고 스마트폰을 IoT 사물 인터넷을 융합하여 스마트 팜 시스템으로 상용화함으로써, 환경오염, 자원낭비, 외화 유출 및 농어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소득 증대 및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개인용 스마트폰의 단말기와 연계된 전화번호의 관리는 주로 가입된 통신사에서 컴퓨터로 관리를 하지만 본 발명에서, 중고 스마트폰의 단말기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컨트롤러를 구성함으로써, 농업, 환경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확장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메인스마트팜장치
200 : 컨트롤노드장치
300 : 내부센서노드장치
400 : 외부센서노드장치
500 : 카메라부
600 : 디브이알
700 : 데이터저장서버
800 : 사용자스마트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컨트롤 신호를 무선으로 획득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을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노드장치(200)와,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내부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내부센서군(310);과
    상기 내부센서군에 의해 감지된 내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내부센서노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부센서노드장치(300)와,
    농작물 재배 시설 외부의 외부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외부센서군(410);과
    상기 외부센서군에 의해 감지된 외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센서노드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부센서노드장치(400)와,
    내부센서노드장치(300) 및 외부센서노드장치(400)로부터 송출된 내부환경 정보와 외부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하며, 설정된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일치하지 않은 환경 정보를 제공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스마트폰컨트롤러로 전송하며,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 신호를 컨트롤노드장치(200)로 전송하며, 다수의 카메라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컨트롤러(110);와
    내부센서노드장치(300) 및 외부센서노드장치(400)로부터 수집된 내부환경 정보와 외부환경 정보를 토대로 분석된 최적 환경 조건 정보를 참조하여 농작물장치들의 동작 조건을 메인컨트롤러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로거(120);와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며, 스마트폰으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등록된 사용자스마트폰을 추출하여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거나, 지정 시간에 등록된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연결요청처리부(131);와
    해당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연결 완료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스마트폰으로 송출하기 위한 경보발생정보처리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컨트롤러(130);와
    상기 스마트폰컨트롤러에서 제공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저장서버(700)로 전송하며, 사용자스마트폰으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를 음성 혹은 문자로 제공하거나, 일치하지 않은 환경 정보를 제공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내외부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폰(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스마트팜장치(100)와,
    상기 메인스마트팜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부(500)와,
    다수의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디브이알(600)와,
    상기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서버(700)와,
    상기 메인스마트팜장치로부터 제공된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시키며,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해당 농작물 재배 시설 내의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8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스마트폰(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810)는,
    상기 내외부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영상정보출력모듈(811);과
    상기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환경정보출력모듈(812);과
    농작물장치들의 컨트롤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화면에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컨트롤 신호를 획득하여 메인스마트팜장치(100)로 송출하기 위한 농작물장치컨트롤모듈(813);과
    농작물 재배 시설의 전화 걸기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어느 한 농작물 재배 시설로 영상 또는 음성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걸기수행모듈(814);과
    데이터저장서버(700)로 관리하는 농작물 재배 시설 중 어느 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데이터저장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환경정보요청모듈(815);과
    데이터저장서버(700)로 관리하는 농작물 재배 시설 중 어느 한 농작물 재배 시설의 분석 보고서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석 보고서 정보를 데이터저장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분석보고서정보요청모듈(8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저장서버(700)는,
    누적 저장된 환경 정보를 합산 분석하거나 평균 분석하여 선형화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누적 저장된 영상 정보로부터 하나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선형화된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분석 보고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분석보고서생성부(710);와
    주기적으로 획득된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 및 일치하지 않는 환경 정보 혹은 내외부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저장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
  5. 삭제
KR1020170123355A 2017-09-25 2017-09-25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 KR101904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355A KR101904052B1 (ko) 2017-09-25 2017-09-25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355A KR101904052B1 (ko) 2017-09-25 2017-09-25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052B1 true KR101904052B1 (ko) 2018-10-05

Family

ID=6387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355A KR101904052B1 (ko) 2017-09-25 2017-09-25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0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066B1 (ko) * 2016-08-08 2016-12-20 (주)다온정보 IoT 기술을 활용한 하우스 운영 관리 시스템
KR101702892B1 (ko) * 2015-07-30 2017-02-22 (주)텔레비트 스마트폰을 활용한 환경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892B1 (ko) * 2015-07-30 2017-02-22 (주)텔레비트 스마트폰을 활용한 환경관리 시스템
KR101682066B1 (ko) * 2016-08-08 2016-12-20 (주)다온정보 IoT 기술을 활용한 하우스 운영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버려진 스마트폰의 재활용’, egloos의 블로그 (201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4686B2 (en) Provisioning a wireless-capable device for a wireless network
CN103273982B (zh) 一种多功能全地形仿生机器人
CN105588923B (zh) 基于环境监测仪的环境监测方法及环境监测装置
CN109067879A (zh) 一种物联网多参数水质在线监测系统
CN104244378B (zh) 改进电源管理的无线通信装置和方法
CN105812723A (zh) 一种智能摄像头监控的方法及装置
CN103647938A (zh) 安防监控一体机及其远程监控系统
CN104375486A (zh) 智能家居控制系统
Rakesh et al. An improved real-time surveillance system for home security system using BeagleBoard SBC, Zigbee and FTP webserver
CN103731633A (zh) 一种可进行远程监控的电视装置及其控制方法
CN105677025A (zh) 一种终端应用的启动方法、装置及终端
CN102467815B (zh) 多功能遥控器、遥控方法和能耗监控方法
CN108810081A (zh) 工业物联监控系统及其方法
CN110045629A (zh) 一种智能安防家居控制系统
CN105579921A (zh) 能量装置
CN107270968A (zh) 一种室内无尘环境监测的一体机系统
CN113110085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家居管理系统
KR101904052B1 (ko)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
CN107371214B (zh) 终端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6843187A (zh) 一种家庭智能监控系统
CN207517175U (zh) 基于4g全网通的物联网智能采集终端
CN204090013U (zh) 用于远程监控系统中的安防监控一体机
US20160142526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remote monitoring method
CN213934226U (zh) 一种监测系统
CN101917539B (zh) 消费性电子装置的保全监控模块及其保全监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