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934B1 -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934B1
KR101903934B1 KR1020180018258A KR20180018258A KR101903934B1 KR 101903934 B1 KR101903934 B1 KR 101903934B1 KR 1020180018258 A KR1020180018258 A KR 1020180018258A KR 20180018258 A KR20180018258 A KR 20180018258A KR 101903934 B1 KR101903934 B1 KR 101903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t
receivable
credit
corporate
issu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김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수 filed Critical 김문수
Priority to KR102018001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은, 판매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 대가로 발행된 기업 매출채권의 유동화를 위해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하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에 있어서,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양수하는 양수자의 기회비용에 해당하는 조달원가를 산출하는 조달원가 산출부,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보유 시 소정 기간 내 손실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에 해당하는 신용원가를 산출하는 신용원가 산출부, 및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에서 상기 조달원가와 상기 신용원가를 포함하는 유동화 소요원가를 차감하여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하는 매출채권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조달원가와 신용원가를 고려하여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합리적으로 산출함으로써 판매자의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에 도움을 주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Evaluating module for company sale credit and company sale credit securitiza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판매자가 외상 매출채권을 제3자에게 양도하고 제3자는 판매자를 대신하여 채무자로부터 매출채권을 추심하는 동시에, 이에 관련된 채권의 관리 및 장부작성 등의 행위를 인수하는 금융 기법으로 매출채권 유동화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매출채권 유동화와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금융기관이 주체가 되어 대부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고, 국제 무역에서는 팩토링 금융의 형태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매출채권 유동화가 활용되고 있기는 하나 활발히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는데, 매출채권의 유동화가 곤란한 이유는 법적 제약 외, 거래상대방 및 거래방식, 조건이 다양해 매출채권에 대한 확정이 곤란하기 때문이며, 더욱이 해당 매출채권의 경제적 가치 파악도 곤란하기 때문이다.
특히 음식점과 같은 소상공인 등이 보유한 소액 매출채권의 경우 매출채권의 발행자가 대기업 등으로 신용도가 높더라 하더라도 매출채권의 경제적 가치 파악이 어려워 유동화가 곤란하며, 이로 인해 소상공인들은 만성적인 현금 유동성 결핍에 시달리고 있고, 매출채권에 대한 부도위험까지 부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다수 소상공인들은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2금융권 또는 대부업체의 고리 운영자금 대출을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매출채권 채무자의 부도 시 연쇄 파산위험에 노출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특히, 외상 거래가 관행화 되어 있는 B2B시장의 소상공인(예를 들어 기업과 식권/장부 거래하고 있는 기업 주변 음식점)들은 대기업과 달리 보유 유동성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보유하고 있는 매출채권의 유동화가 시급하나, 제도적 장치의 부족으로 인해 과도한 유동성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판매자가 보유한 기업 매출채권의 가치를 비교적 합리적인 방식으로 평가하여 판매자가 소상공인이라 하더라도 매출채권의 유동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게 할 수 있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은, 판매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 대가로 발행된 기업 매출채권의 유동화를 위해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하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에 있어서,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양수하는 양수자의 기회비용에 해당하는 조달원가를 산출하는 조달원가 산출부,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보유 시 소정 기간 내 손실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에 해당하는 신용원가를 산출하는 신용원가 산출부, 및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에서 상기 조달원가와 상기 신용원가를 포함하는 유동화 소요원가를 차감하여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하는 매출채권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업 매출채권은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발행자에 소속된 직원이 개별적으로 상기 판매자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은 대가로 상기 발행자로부터 발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달원가 산출부는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과 상기 양수자의 타인자본비용을 곱하여 상기 조달원가를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수자의 타인자본비용은 상기 양수자의 외부 차입금리 또는 금융기관의 기업여신 평균금리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용원가 산출부는 상기 기업 매출채권 잔액에 부도확률과 부도 시 손실률을 곱하여 상기 신용원가를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도확률은 상기 기업 매출채권 발행자의 신용등급에 상응하는 부도확률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도확률은, 발행자 부도확률 × (1 + 조정계수)로 정의되며, 상기 발행자 부도확률은 상기 기업 매출채권 발행자의 신용등급에 상응하는 부도확률이고, 상기 조정계수는 상기 발행자의 신용을 나타내는 비정형데이터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정형데이터는 매입목적 항목, 매입규모 항목, 업종업황 항목, 거래성실도 항목, 매출증가율 항목, 및 판매자평점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매입목적 항목은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발행목적에 대하여 배점을 하며, 상기 매입규모 항목은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발행규모에 대하여 배점을 하고, 상기 업종업황 항목은 상기 발행자의 업황에 대하여 배점을 하며, 상기 거래성실도 항목은 상기 발행자의 매출채권 상환이력에 대하여 배점을 하고, 상기 매출증가율 항목은 상기 발행자의 매출증가율에 대하여 배점을 하며, 상기 판매자평점 항목은 상기 판매자가 상기 발행자에 대하여 평점을 하여 배점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계수는 상기 비정형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항목에 대한 상기 배점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회수 시까지 소요되는 제반비용에 해당하는 업무원가를 산출하는 업무원가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화 소요원가는 상기 업무원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반비용은 일반관리비, 수수료, 및 연체에 대한 사후관리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보유 시 예상손실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손실금액에 해당하는 자본원가를 산출하는 자본원가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화 소요원가는 상기 자본원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본원가는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에 소요자기자본율과 자기자본비용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동화 소요원가는 상기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의 운영마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은,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을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발행하는 발행모듈, 상기 발행모듈에서 발행된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상기 판매자 별로 합산하는 합산모듈, 및 상기 판매자가 보유한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상기 양수자에게 양도하여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유동화하는 유동화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은 상기 합산모듈에서 합산된 상기 기업 매출채권에 대한 양수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유동화모듈은 상기 양수자가 상기 양수금액을 입금하면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상기 양수자에게 양도하고, 상기 양수금액을 상기 판매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은,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평가함에 있어 조달원가와 신용원가를 고려하여 비교적 합리적인 방식으로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출채권의 유동화 및 현금 유동성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평가함에 있어 업무원가, 자본원가, 운영마진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더욱 합리적인 기업 매출채권 양수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용원가를 산출할 때 발행자의 부도확률을 조정한 매출채권의 부도확률을 이용함으로써, 기업 매출채권의 부도확률을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에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관련 이해관계자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의 예시적인 부도확률 맵핑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을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의 연결관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은 신용 또는 금융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외부 데이터 제공서버(3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호 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 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데이터 제공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 기업의 신용 정보(예를 들어 신용등급, 부도확률 맵핑표 등) 또는 금융 정보(예를 들어 연체정보, 금리정보 등) 등의 데이터를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에 제공할 수 있고,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은 이러한 데이터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수집하여 저장해놓거나 또는 필요할 때마다 외부 데이터 제공서버(300)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외부 데이터 제공서버(300)는 신용평가회사, 신용정보회사, 은행, 증권사, 금융감독원 등 신용이나 금융과 관련된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은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는데, 사용자 단말기(200)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과 연결되는 통신 기능과 이미지나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는,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금융정보, 신용정보와 관련된 내용을 입력하거나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의 기초데이터를 세팅할 수 있고,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이 산출하는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출력받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을 설명하기 위한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관련 이해관계자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관련 이해관계자 관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는 3자(이하 개인과 기업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임)의 이해관계가 얽힐 수 있는데, 먼저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한 판매자(400; 이하 개인과 기업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임)가 있을 수 있다. 판매자(400)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매출채권 발행자(500; 이하 개인과 기업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임)에게 제공한 후 원칙적으로 현금을 받아야 하는데, 매출채권 발행자(500)가 바로 현금을 주지 않고 매출채권을 발행하여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한 판매자(400)는 매출채권을 보유하고 있다가 매출채권의 만기 시 매출채권 발행자(500)로부터 현금을 수취할 수 있다. 그러나 판매자(400)의 입장에서 매출채권의 만기 시까지 매출채권을 보유하게 되면,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한 후 바로 현금을 수취하지 못하여 현금 유동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출채권을 유동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반적으로 매출채권 유동화는 판매자(400)가 매출채권을 할인한 가격으로 제3자인 매출채권 양수자(600; 이하 개인과 기업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임)에게 매출채권에 대한 소유권을 이전시키고, 매출채권 양수자(600)로부터 할인된 양수금액에 상당하는 현금을 수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매출채권 양수자(600)는 양수받은 매출채권의 만기 시 매출채권 발행자(500)로부터 해당 매출채권에 상당한 현금을 수취하여 수익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은 이러한 매출채권 유동화 시 기업 매출채권을 평가하여 적정한 양수금액을 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은 직원 개별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업 매출채권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식비, 여비교통비, 비품비 등이 있을 수 있을 수 있는데, 예시로서 식비를 살펴보면 직원이 스마트폰 어플, 식권, 식비카드, 외상장부 등을 통해 음식점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직원은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또는 식권의 제시를 통해, 또는 식비카드를 결제하는 것을 통해, 또는 외상장부에 기재하는 것을 통해 음식점으로부터 식사를 제공받게 되며, 따로 현금을 지급하지는 않는다. 이후 음식점은 미리 정해놓은 기간, 예를 들어 한 달간 해당 기업의 직원들이 이용한 식비 내역을 기업의 총무팀이나 회계팀, 재무팀 등에 제출하게 되며, 일정 시간 후 기업의 결제기일에 식비에 상응하는 현금을 수취할 수 있다. 이때, 음식점은 발생주의 회계원칙에 따라 직원에게 식사를 제공한 순간부터 직원이 소속된 기업(발행자(500))의 결제기일이 만기일이며 기업(발행자(500))이 발행한 기업 매출채권을 보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업 매출채권의 규모가 커질 경우 판매자(400)인 음식점은 바로바로 현금을 수취하지 못해 현금 유동성에 큰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400)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매출채권 발행자(500)로부터 받은 기업 매출채권을 유동화시켜 현금 유동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와 유사한 기업 매출채권으로서 예시적으로 여비교통비를 살펴보면, 특정 택시회사와 기업이 거래하여 직원이 택시를 이용한 후 판매자(400)인 택시회사가 매출채권을 확보하여 추후 매출채권에 대한 현금을 수취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정 호텔과 기업이 거래하여 직원이 호텔을 이용한 후 판매자(400)인 호텔이 매출채권을 확보하여 추후 매출채권에 대한 현금을 수취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이란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는 직원 개개인이면서 추후 해당 직원이 소속된 기업(발행자(500))의 회계팀 등에서 직원들의 이용내역을 통합하여 결제기일(기업 매출채권의 만기일)에 매출채권에 대한 결제, 즉 현금을 지급해주는 매출채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의 세부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은 조달원가 산출부(111), 신용원가 산출부(112), 및 매출채권 평가부(113a)를 포함할 수 있다.
조달원가 산출부(111)는 기업 매출채권을 양수하는 양수자(600)의 기회비용에 해당하는 조달원가를 산출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기업 매출채권을 양수하려는 양수자(600)는 기업 매출채권의 보유기간 동안 자금조달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즉, 매출채권 양수자(600)는 양수시점부터 기업 매출채권의 만기시까지 양수자금을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기간 동안 양수자금에 상응하는 일종의 기회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회비용의 시장가치는 매출채권 양수자(600)의 타인자본비용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양수자(600)가 은행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하여 기업 매출채권을 양수하려는 경우, 은행의 금리 등 외부 차입금리를 적용한 기업 매출채권 잔액 부분을 조달원가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조달원가는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조달원가 =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 × 타인자본비용
여기서, 타인자본비용은 양수자(600)가 은행 등 금융기간을 이용하는 경우 양수자(600)가 실제 이용하고 있는 외부 차입금리로 결정할 수 있고, 또는 설정에 따라 양수자(600)를 일반기업으로 가정하여 은행 등 금융기관의 기업여신 평균금리를 대용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실제 이용하고 있는 외부 차입금리는 사용자 단말기(200; 도 1에 도시됨)를 통해 입력받거나 금융기관 등 외부 데이터 제공서버(300; 도 1에 도시됨)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금융기관의 기업여신 평균금리도 금융기관 등 외부 데이터 제공서버(300; 도 1에 도시됨)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조달원가 산출부(111)에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조달원가 산출부(111)가 조달원가를 산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이 100만원이고 양수자(600)의 타인자본비용이 2%라 가정할 때, 조달원가 산출부(111)는 조달원가를 100만원 × 2%인 2만원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의 예시적인 부도확률 맵핑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신용원가 산출부(112)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신용원가 산출부(112)는 기업 매출채권의 보유 시 소정 기간 내 손실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에 해당하는 신용원가를 산출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예상되는 손실금액인 신용원가는 은행에서 활용하는 대손충당금의 개념과 유사한데,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에 부도확률(PD; Probability of Default)과 부도 시 손실률(LGD; Loss Given Default)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신용원가 산출부(112)는 다음과 같은 수식에 따라 신용원가를 산출할 수 있다.
신용원가 =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 × 부도확률 × 부도 시 손실률
여기서, 부도확률이란 해당 매출채권의 채무불이행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차주의 신용등급 단위로 집계되며 은행 등 기관의 내부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하는 방식(내부등급법)과 외부 신용정보제공기관의 외부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하는 방식(외부등급법)이 있다. 또한, 부도 시 손실률이란 차주 또는 계좌의 부도 시 채권 보유자가 해당 익스포져(본 실시예에서는 매출채권의 잔액)로부터 입을 수 있는 경제적 손실의 비용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무불이행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독촉 및 법적절차 등으로 채무의 일정 부분은 보전받을 수 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부도가 발생하더라도 회수가 가능한 수준을 제외한 부분만으로 부도 시 손실률로 정의하고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의 부도확률은 직원들에게 식권 등을 제공하는 기업, 즉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부도확률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라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 소상공인의 매출채권을 유동화시킬 때 매출채권의 회수 관련 신용도는 매출채권의 발행자(500)인 기업이 아니라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한 음식점 등 판매자(400)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매출채권의 만기 시 실제 현금을 제공하는 주체는 판매자(400)가 아닌 매출채권의 발행자(500)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은 평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신용과 관련된 인자들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부도확률은 판매자(400)가 아닌 매출채권의 발행자(500)의 부도확률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도확률은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맵핑표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맵핑표를 이용하는 경우,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신용등급과 총자산 규모에 맞는 부도확률 수치를 본 실시예에 따른 부도확률로 이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직원에게 식권 등을 제공한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신용등급이 "A등급"이고 총자산이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인 경우,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부도확률은 0.05, 즉 5%로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도 4에 도시된 맵핑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직접 만들거나 또는 금융기관의 부도확률 맵핑표를 참고하여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부도 시 손실률도 바람직하게는 판매자(400)의 부도 시 손실률이 아닌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부도 시 손실률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맵핑표를 부도 시 손실률에 맞게 구성하여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신용등급에 맞는 부도 시 손실률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부도 시 손실률의 경우 신용등급에 따라 값을 달리하지 않고 채권의 특성에 따라 값을 달리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즉, 은행 등에서도 부도 시 손실률을 주체와 관계없이 소매채권, 기업여신, 주택채권 등 채권의 특성에 따라 값을 달리 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부도 시 손실률은, 바람직하게는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신용등급에 맞는 부도 시 손실률로 이용할 수 있으며, 만일 이에 대한 데이터 확보가 어려운 경우 은행 등 외부 기관이나 유사상품의 부도 시 손실률을 대용치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부도확률과 부도 시 손실률 등을 알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신용등급, 맵핑표, 유사상품의 부도확률과 부도 시 손실률 등은 외부 금융기관 등의 외부 데이터 제공서버(300; 도 1에 도시됨)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모듈 세팅 시 입력해두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수집된 데이터는 신용원가 산출부(112)에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신용원가 산출부(112)가 신용원가를 산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이 100만원이고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부도확률이 5%이며 부도 시 손실률이 30%이라 가정할 때, 신용원가 산출부(112)는 신용원가를 100만원 × 5% × 30%인 1.5만원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매출채권 평가부(113a)는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에서 조달원가와 신용원가를 포함하는 유동화 소요원가를 차감하여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하는 부분이다. 즉, 매출채권 평가부(113a)는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 =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 - 유동화 소요원가
유동화 소요원가 = 조달원가 + 신용원가
여기서,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을 운영하는 운영자의 사업 연속성 유지를 위한 최소이윤인 운영마진을 더 고려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유동화 소요원가에 운영자의 운영마진을 더 포함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유동화 소요원가 = 조달원가 + 신용원가 + 운영마진"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운영마진은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의 운영자가 사용자 단말기(200; 도 1에 도시됨)를 통해 적절한 운영마진을 입력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동업계 평균 영업이익률을 운영마진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운영마진을 유동화 소요원가에 포함시키지 않고 산출된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에 일정 비율을 곱한 값으로, 또는 정액제로 별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예시적으로 매출채권 평가부(113a)가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이 100만원이고 조달원가가 2만원이며 신용원가가 1.5만원이라 가정할 때, 운영마진을 고려하지 않은 유동화 소요원가는 3.5만원이 되며, 이에 따라 매출채권 평가부(113a)가 산출하는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은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인 100만원에서 유동화 소유원가인 3.5만원을 차감한 96.5만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자(600)는 시스템 상에서 판매자(400)에게 양수금액인 96.5만원을 지급하고, 판매자(400)로부터 기업 매출채권의 발행자(500)가 발행한 기업 매출채권의 소유권을 이전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b)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b)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b)은 조달원가 산출부(111), 신용원가 산출부(112b), 및 매출채권 평가부(113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신용원가 산출부(112b)가 신용원가를 산출하는 방식이 이전 실시예와 상이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 신용원가 산출부(112a)가 신용원가를 산출할 때 이용하는 부도확률은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부도확률임을 설명하였고, 발행자(500)의 부도확률은 금융기관 등의 맵핑표와 같은 정형데이터로부터 산출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때, 일반적으로 부도확률은 차주의 채무불이행 위험으로 정의되는데, 채권의 채무불이행 위험과 차주의 채무불이행 위험은 상이한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예시로서, 회사채 및 기업어음 등의 채권 발행 시 발행자의 신용등급이 아닌 채권 자체의 신용등급을 따로 산출하며, 이를 부도확률 판단의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때, 매출채권의 경우에도 발행자의 부도확률을 그대로 활용할 경우 실제 매출채권의 채무불이행 가능성을 적절히 판단하기 곤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매출채권의 부도확률에 적합하도록 발행자의 부도확률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해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부도확률을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계수의 개념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부도확률 = 발행자의 부도확률 × (1 + 조정계수)
여기서, 발행자(500)의 부도확률은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도확률과 동일한 개념이며, 조정계수는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신용을 나타내는 비정형데이터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비정형데이터는 매입목적 항목, 매입규모 항목, 업종업황 항목, 거래성실도 항목, 매출증가율 항목, 및 판매자평점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조정계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조정계수 = f(매입목적 항목, 매입규모 항목, 업종업황 항목, 거래성실도 항목, 매출증가율 항목, 판매자평점 항목)
매입목적 항목은 기업 매출채권의 발행목적에 대하여 배점을 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대 매입목적은 매우 빈도수가 높아 위험도가 낮고 물품 구입목적은 빈도수가 비교적 낮아 위험도가 높으므로 식대 매입목적에는 비교적 낮은 배점인 -1%를 배점하고 물품 구입목적에는 비교적 높은 배점인 +1%를 배점할 수 있다. 즉, 매입목적에 따라 위험도가 높은 목적은 고배점을 하고 위험도가 낮은 목적에 대해서는 저배점을 할 수 있다. 이때, 평가의 효율성을 위해 미리 여러 목적에 대한 배점표를 만들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고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식대 매입목적은 -1% 배점, 여비교통비 매입목적은 0% 배점, 물품 구입목적은 1% 배점 등으로 배점표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매입규모 항목은 기업 매출채권의 발행규모에 대하여 배점을 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출채권의 발행규모가 클수록 현금 회수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반영하여 예시적으로 매출채권의 발행규모에 대한 배점표를 구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고 배점표에 따라 배점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총부채규모 대비 매출채권의 발행규모가 30% 이상인 경우에는 매출채권의 발행규모가 커 위험도가 높으므로 비교적 높은 배점인 1%를 배점하고, 10% 이상 30% 미만인 경우에는 0%를 배점하며, 10% 미만인 경우에는 비교적 낮은 배점인 -1%를 배점하는 배점표를 구성할 수 있다.
업종업황 항목은 기업 매출채권의 발행자(500)의 업황에 대하여 배점을 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업황을 지수화하여 평가에 반영할 수 있는데, 이때 업황을 나타내는 기본 데이터는 외부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제공업체의 리서치 결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업황을 나타내는 기본 데이터로서 예시적으로 한국은행에서 매년 국내 기업들의 재무제표를 모아 평균치를 발행하는 "기업경영분석"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데, "기업경영분석"은 업종별 매출액 합계액, 매출액 증가율 등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당 기업(매출채권 발행자(500))의 업종업황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매출채권 발행자(500)가 표준산업분류 중 "C15 가죽, 가방 및 신발"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업종의 최근 3개년 매출액 증가율이 2014년 -4.22%, 2015년 2.52%, 2016년 -1.02%인 점을 감안하여 업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높은 배점인 1%를 배점할 수 있다. 반대로 예시적으로 매출채권 발행자(500)가 표준산업분류 중 "C2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업종의 최근 3개년 매출액 증가율이 2014년 6%, 2015년 11.47%, 2016년 12.43%인 점을 감안하여 업황이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낮은 배점인 -1%를 배점할 수 있다. 평가의 효율성을 위해 마찬가지로 배점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고 이용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최근 3개년 해당 업종 매출액 증가율 평균이 3% 미만인 경우 업황이 좋지 않으므로 1% 배점, 3% 이상 8% 미만인 경우 0% 배점, 8% 이상인 경우 업황이 좋으므로 -1% 배점을 하는 배점표를 구성할 수 있다.
거래성실도 항목은 기업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매출채권 상환이력에 대하여 배점을 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최근 3개년 매출채권 상환이력을 살펴, 연체발생 일수를 기준으로 차등배점을 하고 연체가 없는 경우 가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평가의 효율성을 위해 배점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고 이용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연체발생 일수가 30일 이상이면 고위험에 해당하므로 1% 배점, 10일 이상 30일 미만이면 0% 배점, 10일 미만이면 저위험에 해당하므로 -1% 배점을 하는 배점표를 구성할 수 있다.
매출증가율 항목은 기업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매출(액)증가율에 대하여 배점을 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발행자(500)의 매출증가율은 신용정보제공업체 또는 전자공시 등에서 제공하는 재무제표 내지는 재무비율 정보를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의 효율성을 위해 배점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고 이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2년) 내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매출증가율(평균)이 2% 미만인 경우 성장률이 낮아 고위험에 해당하므로 1% 배점, 2% 이상 5% 미만인 경우 0% 배점, 5% 이상인 경우 성장률이 비교적 높아 저위험에 해당하므로 -1% 배점을 하는 배점표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재무제표 상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재무 결산일과 현재 시점 간 시간적 괴리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분기마다 신고하는 부가세 신고서 상 매출액을 본 실시예에서의 매출증가율 기초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부가세 신고서는 3개월 단위로 누적되어 신고되기 때문에 이를 연 단위의 매출액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구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부가세 신고서
상 매출액
1억원 1.5억원 3.6억원 7억원
변환된
연간 매출액
4억원
(1억원 × 4/1)
3억원
(1.5억원 × 4/2)
4.8억원
(3.6억원 × 4/3)
7억원
(7억원 × 4/4)
위의 [표 1] 예시에서와 같이 매출채권의 평가 시점에 1분기 부가세 신고서만 존재하는 경우 이를 연간 매출액으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1분기 부가세 상 매출액에 4개 분기에 해당하는 4를 곱해야 하고, 2분기 부가세 신고서까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연간 매출액으로 환산하기 위해 2분기 부가세 상 매출액을 1개 분기당 매출액으로 환산하기 위한 2로 나눈 후 4개 분기에 해당하는 4를 곱해야 하며, 3분기 부가세 신고서까지 존재하는 경우 3분기 부가세 상 매출액을 1개 분기당 매출액으로 환산하기 위한 3으로 나눈 후 4개 분기에 해당하는 4를 곱해야 하며, 4분기 부가세 신고서까지 존재하는 경우 4분기 부가세 상 매출액을 연간 매출액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된 연간 매출액에 전기 매출액을 차감한 후 변환된 연간 매출액으로 나누면 매출증가율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간 매출액을 산출하는 경우 상기 표에서 살핀 바와 같이, 어느 분기까지 부가세 신고서가 존재하느냐에 따라서 산출된 연간 매출액이 각각 4억원, 3억원, 4.8억원, 7억원과 같이 달라질 수 있으며, 현재 매출액 수준에 맞는 매출증가율이 비교적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어 기업 매출채권의 정확한 가치 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판매자평점 항목은 판매자(400)가 매출채권 발행자(500)에 대하여 수행한 평점을 기준으로 배점을 하여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평점 항목은 예를 들어 판매자(400)에게 매출채권 발행자(500)에 대한 선호도, 신용 등과 관련된 설문을 하여 평점을 받아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판매자(400)가 매출채권 발행자(500)에 대하여 1점, 2점, 3점 등으로 평점을 할 수 있고, 배점은 3점의 경우 위험도가 낮으므로(또는 선호도가 높으므로) -1%, 2점의 경우 0%, 1점의 경우 위험도가 높으므로(또는 선호도가 낮으므로) 1% 형식으로 배점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항목에 대하여 배점을 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발행자(500)의 신용을 나타내는 비정형데이터에 포함된 항목들의 배점을 모두 더하여 이를 조정계수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정형데이터에 상기 항목들이 모두 포함되고 매입목적 항목에 1% 배점, 매입규모 항목에 -1% 배점, 업종업황 항목에 -1% 배점, 거래성실도 항목에 0% 배점, 매출증가율 항목에 1% 배점, 판매자평점 항목에 1%가 배점된 경우, 조정계수는 이를 모두 더한 1%(1%-1%-1%+0%+1%+1%)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계수에 포함된 항목들이 모두 -1%~+1%로 배점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더 중요한 항목에는 가중치를 두거나 배점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적절한 조정계수 산출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조정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는 금융기관 등의 외부 데이터 제공서버(300; 도 1에 도시됨)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 도 1에 도시됨)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신용원가 산출부(112b)가 신용원가를 산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이 100만원이고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부도확률이 5%이며 조정계수가 1% 이고 부도 시 손실률이 30%라 가정할 때, 신용원가 산출부(112b)는 부도확률을 5% × (1+1%)인 5.05%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때 신용원가를 100만원 × 5.05% × 30%인 1.515만원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용원가 산출부(112b)는 비정형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정계수를 신용원가에 적용하기 때문에, 기업 매출채권 발행자(500)의 부도확률보다 더욱 적절한 기업 매출채권의 부도확률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한 신용원가가 산출되고 매출채권 평가부(113b)가 이러한 신용원가를 반영하여 더욱 정확한 유동화 소요원가 내지는 기업 매출채권 양수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c)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c)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c)은 조달원가 산출부(111), 신용원가 산출부(112), 및 매출채권 평가부(113c)를 포함하되, 업무원가 산출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업무원가 산출부(114)는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에 따른 소유권 이전 후 회수 시까지 소요되는 제반비용의 합계액인 업무원가를 산출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제반비용은 예를 들어 일반관리비, 수수료, 및 연체에 대한 사후관리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일반관리비는 인건비, 인건비성물건비, 기타물건비, 퇴직급여충당금전입액, 제세공과, 상각비, 기부금, 경비성 수수료, 사내 임차료 등의 관리비용 중 매출채권 소유권 이전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합계액을 의미할 수 있고, 수수료는 매출채권의 양수자(600)가 부담해야 하는 각종 수수료, 예를 들어 매출채권 중개 사이트의 플랫폼 수수료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연체에 대한 사후관리비용은 일반적으로 매출채권 양수자(600)가 부담하는 것으로, 양수한 매출채권에서 연체가 발생한 경우 상각처리 전까지 해당 매출채권에 대한 사후관리비용을 의미할 수 있다. 실무적인 편의를 위해서는 매출채권 잔액에 미리 정한 업무원가율을 곱하여 업무원가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업무원가 산출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는 금융기관 등의 외부 데이터 제공서버(300; 도 1에 도시됨)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 도 1에 도시됨)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매출채권 평가부(113c)는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업 매출채권 잔액에서 유동화 소요원가를 차감하여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의 유동화 소유원가는 이전 실시예와 달리 업무원가 산출부(114)가 산출한 업무원가까지 포함되는 개념일 수 있다.
즉, 유동화 소요원가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유동화 소요원가 = 조달원가 + 신용원가 + 업무원가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유동화 소요원가는 이전 실시예에서의 유동화 소요원가에 비하여 업무원가만큼 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업무원가까지 고려하므로 더욱 정확한 양수금액을 산출할 수 있어, 매출채권의 판매자(400)와 양수자(600)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이 100만원 일 때 업무원가 산출부(114)가 산출한 업무원가가 1.5만원이고, 조달원가 산출부(111)가 산출한 조달원가가 2만원이며, 신용원가 산출부(112)가 산출한 신용원가가 1.5만원이라 가정해보면, 유동화 소요원가는 1.5만원+2만원+1.5만원인 5만원이며, 매출채권 평가부(113c)가 산출하는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은 95만원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d)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d)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d)은 조달원가 산출부(111), 신용원가 산출부(112), 및 매출채권 평가부(113d)를 포함하되, 자본원가 산출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본원가 산출부(115)는 기업 매출채권의 보유 시 예상치 못한 경기악화 등으로 예상손실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손실금액에 해당하는 자본원가를 산출하는 부분이다. 금융기관들의 경우 대출채권 보유 시 예상가능한 손실만큼을 대손충당금에 포함시켜 당기 비용화하는 한편(본 실시예에 따른 신용원가에 대응), 장기적으로 급격한 경기악화로 인한 예상치 못한 손실 발행을 대비해 대출금액의 일부에 상응하는 금액을 자본에 포함시켜 장기 비용화를 하고 있다(본 실시예에 따른 자본원가에 대응). 따라서, 기업 매출채권에 대해서도 이러한 예상치 못한 손실은 자본원가의 형태로 원가에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본원가는 예상치 못한 손실에 대비하여 자본으로 보유해야 하는 금액의 기회비용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업 매출채권의 보유로 인해 추가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자본금의 규모(소요자기자본)에 자본금 보유에 따른 기회비용(자기자본비용)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본원가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자본원가 = 소요자기자본 × 자기자본비용
여기서, 소요자기자본은 비예상손실이 발생했을 때 이 위험을 커버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기자본을 의미하는데,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에 소요자기자본율(k)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소요자기자본율(k)은 예시적으로 금융감독기관(바젤 또는 금융감독원)에서 정의한 값을 준용할 수 있다. 금융감독기관에서 정의한 소요자기자본율(k)은 아래와 같은 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8016175553-pat00001
Figure 112018016175553-pat00002
Figure 112018016175553-pat00003
Figure 112018016175553-pat00004
여기서, LGD는 부도 시 손실률을 나타내고 PD는 부도확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신용원가 산출부(112)가 사용하는 부도 시 손실률과 부도확률을 이용할 수 있으며, N(x)는 표준정규확률변수에 대한 누적분포함수를 의미하고, G(z)은 표준정규확률변수에 대한 역누적분포함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exp는 exponential constant를 의미하고 ln은 자연로그를 의미할 수 있으며, M은 기업 매출채권의 만기를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예시적으로 상기와 같은 수식을 통해 소요자기자본율이 5%로 산출되고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이 100만원이라면 소요자기자본은 5만원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자기자본비용은 자기자본 사용에 대한 기회비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본가치 유지를 위하여 달성해야 할 최소한의 자기자본 수익률, 즉 최소요구수익률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기자본비용은 CAPM(Capital Asset Pricing Model)을 통해 산출하는데 CAPM에 의한 자기자본비용 ke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CAPM에 의한 자기자본비용 ke = Rf + (Rm - Rf) × β
여기서, Rf는 무위험 이자율을 나타내고 Rm는 시장수익률을 나타내며 β는 시장수익률 대비 변동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CAPM에 의해 자기자본비용이 10%로 산출되었다면, 앞선 예시에서 자본원가는 소요자기자본인 5만원에서 자기자본비용 10%를 곱한 0.5만원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매출채권 평가부(113d)는 유동화 소요원가에 이러한 자본원가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화 소요원가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유동화 소요원가 = 조달원가 + 신용원가 + 자본원가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동화 소요원가에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업무원가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유동화 소요원가는 조달원가, 신용원가, 자본원가, 업무원가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d)의 운영마진까지 포함시킬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이 100만원이고, 조달원가가 2만원, 신용원가가 1.5만원, 업무원가가 1.5만원, 자본원가 산출부(115)가 산출한 자본원가가 0.5만원이라 가정하면, 매출채권 평가부(113d)는 운영마진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유동화 소요원가를 5.5만원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94.5만원으로 산출할 수 있다. 살핀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d)은 자본원가까지 고려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출채권의 양수자(600)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자본원가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는 금융기관 등의 외부 데이터 제공서버(300; 도 1에 도시됨)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 도 1에 도시됨)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고,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d)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둘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을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1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100)은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 발행모듈(120), 합산모듈(130), 및 유동화모듈(140)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정산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행모듈(120)은 판매자(400)에게 기업 매출채권을 발행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발행모듈(120)은 기업 매출채권 발행자(500)인 기업에 소속된 직원이 판매자(400)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으면 이를 승인하고 판매자(400)에게 유형 또는 무형의 기업 매출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
합산모듈(130)은 기업 매출채권을 합산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합산모듈(130)은 복수의 판매자(400)들이 있는 경우 판매자(400) 별로 기업 매출채권을 합산하며, 결제 기간(예를 들어 한 달)이 있는 경우 결제 기간 별로 합산할 수도 있다.
합산모듈(130)이 합산한 기업 매출채권 관련 정보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로 전달될 수 있으며,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은 합산된 기업 매출채권에 대한 조달원가, 신용원가, 업무원가, 자본원가, 운영마진 등을 고려한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유동화모듈(140)은 판매자(400)가 보유한 기업 매출채권을 양수자(600)에게 양도하여 기업 매출채권을 유동화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110a)에서 산출된 양수금액 관련 정보는 유동화모듈(14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유동화모듈(140)은 미리 설정된 양수자(600) 또는 P2P 경매 등을 통해 낙찰된 양수자(600) 등이 양수금액을 입금하면 이를 판매자(400)에게 지급하고, 기업 매출채권을 양수자(600)에게 양도할 수 있다. 이후, 양수자(600)는 기업 매출채권의 만기 시 본 시스템을 통해 또는 별도의 시스템을 통해 발행자(500)에게 현금 지급을 요청하여 현금 지급을 받을 수 있다.
정산모듈(15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100)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 판매자(400)가 정산요청을 하면 결제 기간에 적합한 요청인지 판단하고 적합하다고 판단하면 유동화모듈(140)에 유동화를 신청할 수 있다. 이때, 유동화를 신청받은 유동화모듈(140)은 적합한 양수자(600)를 탐색하고 양수자(600)가 양수금액을 입금하면 이를 판매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
110a, 110b, 110c, 110d :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111 : 조달원가 산출부
112, 112b : 신용원가 산출부
113a, 113b, 113c, 113d : 매출채권 평가부
114 : 업무원가 산출부
115 : 자본원가 산출부
120 : 발행모듈
130 : 합산모듈
140 : 유동화모듈
150 : 정산모듈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외부 데이터 제공서버
400 : 판매자
500 : 발행자
600 : 양수자

Claims (15)

  1. 판매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 대가로 발행된 기업 매출채권의 유동화를 위해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하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에 있어서,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양수하는 양수자의 기회비용에 해당하는 조달원가를 산출하는 조달원가 산출부;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보유 시 소정 기간 내 손실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에 해당하는 신용원가를 산출하는 신용원가 산출부;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보유 시 예상손실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손실금액에 해당하는 자본원가를 산출하는 자본원가 산출부; 및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에서 상기 조달원가, 상기 신용원가 및 상기 자본원가를 포함하는 유동화 소요원가를 차감하여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양수금액을 산출하는 매출채권 평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신용원가 산출부는 상기 기업 매출채권 잔액에 부도확률과 부도 시 손실률을 곱하여 상기 신용원가를 산출하고,
    상기 부도확률은,
    발행자 부도확률 × (1 + 조정계수)
    로 정의되며,
    상기 발행자 부도확률은 상기 기업 매출채권 발행자의 신용등급과 총자산 규모에 상응하는 부도확률이고, 상기 조정계수는 상기 발행자의 신용을 나타내는 비정형데이터로부터 산출되며,
    상기 비정형데이터는 매입목적 항목, 매입규모 항목, 업종업황 항목, 거래성실도 항목, 매출증가율 항목, 및 판매자평점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매입목적 항목은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발행목적에 대하여 배점을 하며, 상기 매입규모 항목은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발행규모에 대하여 배점을 하고, 상기 업종업황 항목은 상기 발행자의 업황에 대하여 배점을 하며, 상기 거래성실도 항목은 상기 발행자의 매출채권 상환이력에 대하여 배점을 하고, 상기 매출증가율 항목은 상기 발행자의 매출증가율에 대하여 배점을 하며, 상기 판매자평점 항목은 상기 판매자가 상기 발행자에 대하여 평점을 하여 배점을 하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 매출채권은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발행자에 소속된 직원이 개별적으로 상기 판매자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은 대가로 상기 발행자로부터 발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달원가 산출부는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과 상기 양수자의 타인자본비용을 곱하여 상기 조달원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수자의 타인자본비용은 상기 양수자의 외부 차입금리 또는 금융기관의 기업여신 평균금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계수는 상기 비정형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항목에 대한 상기 배점을 합산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회수 시까지 소요되는 제반비용에 해당하는 업무원가를 산출하는 업무원가 산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화 소요원가는 상기 업무원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반비용은 일반관리비, 수수료, 및 연체에 대한 사후관리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본원가는 상기 기업 매출채권의 잔액에 소요자기자본율과 자기자본비용을 곱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 소요원가는 상기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의 운영마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15. 제1항에 따른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을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발행하는 발행모듈;
    상기 발행모듈에서 발행된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상기 판매자 별로 합산하는 합산모듈; 및
    상기 판매자가 보유한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상기 양수자에게 양도하여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유동화하는 유동화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은 상기 합산모듈에서 합산된 상기 기업 매출채권에 대한 양수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유동화모듈은 상기 양수자가 상기 양수금액을 입금하면 상기 기업 매출채권을 상기 양수자에게 양도하고, 상기 양수금액을 상기 판매자에게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
KR1020180018258A 2018-02-14 2018-02-14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 KR101903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258A KR101903934B1 (ko) 2018-02-14 2018-02-14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258A KR101903934B1 (ko) 2018-02-14 2018-02-14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934B1 true KR101903934B1 (ko) 2018-10-02

Family

ID=6386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258A KR101903934B1 (ko) 2018-02-14 2018-02-14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93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2377B2 (en) 2019-05-08 2020-12-22 Toast, Inc. Dynamic origination of capital pricing based on historical point-of-sale data
US10956974B2 (en) * 2019-05-08 2021-03-23 Toast, Inc. Dynamic origination of capital pricing determination based on forecasted point-of-sale revenue
US11100575B2 (en) 2019-05-08 2021-08-24 Toast, Inc. System for automated origination of capital based on point-of-sale data informed by time of year
US11107159B2 (en) 2019-05-08 2021-08-31 Toast, Inc. System for automated origination of capital client engagement based on default probability derived from point-of-sale data
KR20220030444A (ko) 2020-08-31 2022-03-11 (주) 더존비즈온 매출채권 거래소의 진성거래 판별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0443A (ko) 2020-08-31 2022-03-11 (주) 더존비즈온 매출채권 거래소의 상장심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0445A (ko) 2020-08-31 2022-03-11 (주) 더존비즈온 매출채권 거래소의 거래위험 평가 방법 및 시스템
US11532042B2 (en) 2019-05-08 2022-12-20 Toast, Inc. System for automated origination of capital based on point-of-sale data
US11562425B2 (en) 2019-05-08 2023-01-24 Toast, Inc. System for automated origination of capital based on point-of-sale data informed by lo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470B1 (ko) * 2017-07-18 2017-10-30 주식회사 핀투비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470B1 (ko) * 2017-07-18 2017-10-30 주식회사 핀투비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2377B2 (en) 2019-05-08 2020-12-22 Toast, Inc. Dynamic origination of capital pricing based on historical point-of-sale data
US10956974B2 (en) * 2019-05-08 2021-03-23 Toast, Inc. Dynamic origination of capital pricing determination based on forecasted point-of-sale revenue
US11100575B2 (en) 2019-05-08 2021-08-24 Toast, Inc. System for automated origination of capital based on point-of-sale data informed by time of year
US11107159B2 (en) 2019-05-08 2021-08-31 Toast, Inc. System for automated origination of capital client engagement based on default probability derived from point-of-sale data
US11532042B2 (en) 2019-05-08 2022-12-20 Toast, Inc. System for automated origination of capital based on point-of-sale data
US11562425B2 (en) 2019-05-08 2023-01-24 Toast, Inc. System for automated origination of capital based on point-of-sale data informed by location
KR20220030444A (ko) 2020-08-31 2022-03-11 (주) 더존비즈온 매출채권 거래소의 진성거래 판별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0443A (ko) 2020-08-31 2022-03-11 (주) 더존비즈온 매출채권 거래소의 상장심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0445A (ko) 2020-08-31 2022-03-11 (주) 더존비즈온 매출채권 거래소의 거래위험 평가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934B1 (ko) 기업 매출채권 평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업 매출채권 유동화 시스템
US63633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d originating a contractual option arrangement for a bank deposits liabilities base
US20150294424A1 (en) Method for virtual currency futures transactions
US200601737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rocessing, handling, and facilitating a trade credit transaction
US20120290474A1 (en) Payment Network Facilitating Multi-Currency Trade Finance
US9830651B1 (en) Crowdfunding framework
Kochin et al. Was the tax‐exempt bond market inefficient or were future expected tax rates negative?
Simatele et al. Consumer payment choices, costs, and risks: Evidence from Zimbabwe
Agbo et al. E–commerce and tax revenue
JP2021170406A (ja) 不動産関連経済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US20090319380A1 (en) Facilitating Real Estate Transaction Collaboration
CA2520947A1 (en) System and method of supply chain procurement, settlement and finance
US844767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ording legal tender decomposition of accounting system entries
US20220405859A1 (en) Recommendation system for recording a transaction
US20090248451A1 (en) Method, system and media for specified expense coverage life insurance policies
Fleckenstein et al. Private equity returns: Empirical evidence from the business credit card securitization market
Ahmad et al. The Concept of Murabahah (Buy and Buy) and Its Applications In The Sharia Financial Services Cooperative Pariri Lema Bariri (KJKS Paleba)
Sengupta BNPL as a New Financial Instrument & Its impact on Consumer’s Buying Behaviour
Wilson Trade credit in the UK economy (1998–2012): An exploratory analysis of company accounts
Bryan et al. How fair values and accounting structures allow triple-counting income: Implications for standard setters, market participants, and academics
Miller Mas consultant's role asset-based financing
Bradford The investment industry for IT practitioners: an introductory guide
Pandey Credit Risk Assessment of Payment Gateway Loans for Working Capital Funding of E-Commerce Industry
Trang et al. Difference of Gain and Loss on Currency Translation and Conversion
Borges Equity research: Shopify In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