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908B1 -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908B1
KR101902908B1 KR1020180031456A KR20180031456A KR101902908B1 KR 101902908 B1 KR101902908 B1 KR 101902908B1 KR 1020180031456 A KR1020180031456 A KR 1020180031456A KR 20180031456 A KR20180031456 A KR 20180031456A KR 101902908 B1 KR101902908 B1 KR 101902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nergy
usage
area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우
이승언
임지연
김유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3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은 건축물의 각종 일반정보를 입력하는 제1단계와, 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입력하는 제2단계와, 건축물의 리모델링현황을 입력하는 제3단계와, 건축물의 외피 및 창호 정보를 입력하는 제4단계와, 건축물의 설비현황을 입력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5단계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6단계를 구비하는 정보입력단계; 및 상기 정보입력단계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기, 가스, 지역난방 사용량의 자체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간이진단 단계와, 상기 정보입력단계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고 온도의 변곡점을 고려한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을 생성하여 전기, 가스, 지역난방의 사용량을 냉방, 난방, 기저 사용량으로 분리함으로써 전기, 가스, 지역난방 사용 패턴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정밀진단 단계를 구비하는 사용량 진단단계; 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How to Diagnose Excess Monthly Energy Use in Buildings}
본 발명은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천 데이터 자체의 이상 유무 진단과 전기, 가스 지역난방 사용 패턴의 이상 유무 진단을 할 수 있는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에너지는 전기, 가스, 지역난방으로 구비된다.
건물에서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사용되었는지 알기 위해선 사용 용도별로 분리하여 분석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에너지사용량 평가 방법은 건축물의 총 에너지사용량만을 토대로 건물의 에너지사용량의 우수성을 판정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에너지사용량 평가 방법은 에너지 사용 기기별 에너지 사용량 계량기(미터링)의 설치, 재실 공간에 대한 온도 또는 습도 등 환경 인자의 측정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에너지 사용 기기별 에너지 사용량 계량기(미터링)의 설치, 재실 공간에 대한 온도 또는 습도 등 환경 인자의 측정 등은 큰 비용과 공간적 손실 및 관리의 번거로움 등으로 사실상 중소형 건물에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중소형 건물을 포함한 대부분의 건물에 적용할 수 있고 에너지사용량 이상 유무를 진단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가스, 지역난방 사용량을 냉방, 난방, 기저 사용량으로 분리할 수 있는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원천 데이터 자체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 가스, 지역난방 사용 패턴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은 건축물의 각종 일반정보를 입력하는 제1단계와, 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입력하는 제2단계와, 건축물의 리모델링현황을 입력하는 제3단계와, 건축물의 외피 및 창호 정보를 입력하는 제4단계와, 건축물의 설비현황을 입력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5단계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6단계를 구비하는 정보입력단계; 및 상기 정보입력단계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기, 가스, 지역난방 사용량의 자체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간이진단 단계와, 상기 정보입력단계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고 온도의 변곡점을 고려한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을 생성하여 전기, 가스, 지역난방의 사용량을 냉방, 난방, 기저 사용량으로 분리함으로써 전기, 가스, 지역난방 사용 패턴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정밀진단 단계를 구비하는 사용량 진단단계; 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은 상기 변곡점을 중심으로 좌측에 난방구간이 형성되고, 우측에 냉방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곡점에 해당하는 온도가 25도에서 30도 사이에 위치할 시 난방 사용량이 많은 건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변곡점에 해당하는 온도가 20도에서 25도 사이에 위치할 시 난방과 냉방의 사용량이 균형적인 건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변곡점에 해당하는 온도가 15도에서 20도 사이에 위치할 시 냉방 사용량이 많은 건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변곡점에 해당하는 온도가 15도에 미치지 못하거나 30도를 초과할 시 에너지사용량이 비정상적인 건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량 진단단계를 통해 비정상적인 건물로 진단되었을 시 설문조사 실시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주거용 건축물의 상기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의 2차 상수 값이 0.023 kWh/m2/℃2와 0.030 kWh/m2/℃2 사이이거나 비주거용 건축물의 상기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의 2차 상수 값이 0.027 kWh/m2/℃2와 0.035 kWh/m2/℃2 사이일 경우, 외기온도에 민감한 건축물로 진단할 수 있다.
주거용 건축물의 상기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의 2차 상수 값이 0.012 kWh/m2/℃2와 0.006 kWh/m2/℃2 사이이거나 비주거용 건축물의 상기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의 2차 상수 값이 0.017 kWh/m2/℃2와 0.011 kWh/m2/℃2 사이일 경우, 외기온도에 둔감한 건축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의 2차 상수 값이 이외의 범주에 해당할 경우, 비정상 건축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간이진단 단계는 유사건물 집단과 상대비교를 통해 해당 건물의 에너지원별 사용량 정도가 표시되는 조정 박스 플롯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조정 박스 플롯은 유사건물 집단의 에너지 사용량을 활용하여 작도된 확률분포곡선을 기반으로 한 다수개의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확률분포곡선은 전체 통계치 중 50%가 존재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포함하며, 전체 통계치 중 75%가 존재하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포함하며, 전체 통계치 중 99%가 존재하는 제3영역과, 상기 제3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제4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정 박스 플롯은 상기 제1영역에 해당하며 정중앙에 위치하는 보통 구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정 박스 플롯은 상기 제2영역 중 상위 12.5%에 해당하며, 상기 보통 구역의 상측에 위치하는 많음 구역과, 상기 제2영역 중 하위 12.5%에 해당하며, 상기 보통 구역의 하측에 위치하는 적음 구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정 박스 플롯은 상기 제3영역 중 상위 12%에 해당하며, 상기 많음 구역의 상측에 위치하는 매우 많음 구역과, 상기 제3영역 중 하위 12%에 해당하며, 상기 적음 구역의 하측에 위치하는 매우 적음 구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정 박스 플롯은 상기 제4영역에 해당하며, 상기 매우 많은 구역의 상측과 상기 매우 적음 구역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정밀 진단 필요 구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에 의하면, 전기, 가스 지역난방 사용량을 냉방, 난방, 기저 사용량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원천 데이터 자체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 가스, 지역난방 사용 패턴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간이진단에 활용되는 조정 박스 플롯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밀진단에 활용되는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은 정보입력단계(S100)와 사용량 진단단계(S200)를 구비할 수 있다.
정보입력단계(S100)는 에너지사용량 이상 유무를 진단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입력단계(S100)는 제1단계(S110)에서 제6단계(S160)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1단계(S110)에서는 건축물의 건물명, 소재지, 주용도, 층수, 연면적 등 건축물의 각종 일반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제2단계(S120)에서는 연도별 각 월의 에너지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현황이 입력될 수 있다. 제2단계(S120)에서 입력되는 에너지로는 전기, 도시가스, 휘발유, 경유, 등유, 지역난방 등이 될 수 있다.
제3단계(S130)에서는 건축물의 리모델링 부위, 공사시작일자, 공사종료일자, 개선항목 등으로 세분화된 건축물의 리모델링현황이 입력될 수 있다.
제4단계(S140)에서는 건축물의 외피 및 창호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외피 정보로는 단열재의 열관류율과 두께, 외부 균열, 결로, 누수 여부 등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창호 정보로는 창호의 열관류율, 창의 종류, 창틀의 종류, 차양 설치 유무 등이 입력될 수 있다. 이외에도 출입문 형태나 출입문 방풍실 유무 등이 입력될 수 있다.
제5단계(S150)에서는 냉방설비, 난방/급탕설비, 공조설비, 동력설비, 조명설비, 전력설비, 신재생에너지설비 등과 같은 건축물의 각종 설비현황이 입력될 수 있다.
제6단계(S160)에서는 제1단계(S110)부터 제5단계(S150)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엑셀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일반 PC나 태블릿 PC 등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거쳐 건축물의 각종 정보를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량 진단단계(S200)에서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의 사용량 진단단계(S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간이진단에 활용되는 조정 박스 플롯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은 정보입력단계(S100)와 사용량 진단단계(S2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량 진단단계(S200)는 간이진단 단계(S210)와 정밀진단 단계(S220)로 나누어질 수 있다.
먼저, 간이진단 단계(S210)에 대해 살펴보면, 간이진단 단계(S210)는 정보입력단계(S10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기, 가스, 지역난방의 연간 사용량 자체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간이진단 단계(S210)는 유사건물 집단과 상대비교를 통해 해당 건물의 에너지원별 사용량 정도가 표시되는 조정 박스 플롯(200)을 활용할 수 있다. 조정 박스 플롯(200)은 유사건물 집단의 에너지 사용량을 활용하여 작도된 확률분포곡선(300)을 기반으로 한 다수개의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확률분포곡선(300)은 전체 통계치 중 50%가 존재하는 제1영역(310), 제1영역(310)을 포함하며, 전체 통계치 중 75%가 존재하는 제2영역(320), 제2영역(320)을 포함하며, 전체 통계치 중 99%가 존재하는 제3영역(330) 및 제3영역(330)에 포함되지 않는 제4영역(34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정 박스 플롯(200)은 확률분포곡선(300)의 제1영역(310)에 해당하면 조정 박스 플롯(200)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보통 구역(210)을 구비할 수 있다. 건축물의 전기, 가스 등의 에너지 사용량이 보통 구역(210)에 위치할 경우, 해당 에너지는 유사건물 집단과 유사한 양을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조정 박스 플롯(200)은 확률분포곡선(300)의 제2영역(320) 중 상위 12.5%에 해당하며, 보통 구역(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많음 구역(220)과 제2영역(320) 중 하위 12.5%에 해당하며, 보통 구역(2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적음 구역(230)을 구비할 수 있다. 많음 구역(220)과 적음 구역(230)은 보통 구역(210)과 인접하고 보통 구역(210)보다 넓은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건축물의 전기, 가스 등의 에너지 사용량이 많음 구역(220)이나 적음 구역(230)에 위치할 경우, 해당 에너지는 유사건물 집단보다 많거나 적은 양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조정 박스 플롯(200)은 확률분포곡선(300)의 제3영역(330) 중 상위 12%에 해당하며, 많음 구역(220)의 상측에 위치하는 매우 많음 구역(240)과 제3영역(330) 중 하위 12%에 해당하며, 적음 구역(230)의 하측에 위치하는 매우 적음 구역(250)을 구비할 수 있다. 매우 많음 구역(240)과 매우 적음 구역(250)은 많음 구역(220)과 적음 구역(230)에 각각 인접하고 많음 구역(220)과 적음 구역(230)보다 넓은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건축물의 전기, 가스 등의 에너지 사용량이 매우 많음 구역(240)이나 매우 적음 구역(250)에 위치할 경우, 해당 에너지는 유사건물 집단보다 매우 많거나 매우 적은 양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조정 박스 플롯(200)은 확률분포곡선(300)의 제4영역(340)에 해당하며, 매우 많은 구역의 상측과 매우 적음 구역(250)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정밀 진단 필요 구역(260)을 구비할 수 있다. 정밀 진단 필요 구역(260)은 매우 많음 구역(240)과 매우 적음 구역(250)에도 포함되지 않아 전기, 가스 등의 에너지 사용량이 정말 진단 필요 구역에 위치할 경우, 해당 에너지는 유사건물 집단의 사용량과 상대비교를 할 수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에너지 사용량을 유사건물 집단과 조정 박스 플롯(200)을 활용하여 상대비교 함으로써 에너지원별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다.
다음은 사용량 진단단계(S200)의 정밀진단 단계(S2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밀진단에 활용되는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월별 에너지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은 정보입력단계(S100)와 사용량 진단단계(S2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량 진단단계(S200)는 간이진단 단계(S210)와 정밀진단 단계(S220)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정밀진단 단계(S220)에 대해 살펴보면, 정밀진단 단계(S220)는 정보입력단계(S10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활용하고 온도의 변곡점(110)을 고려한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100)을 생성하여 전기, 가스, 지역난방의 사용량을 냉방, 난방, 기저 사용량으로 분리함으로써 전기, 가스, 지역난방 사용 패턴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정밀진단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월별 사용량을 이용하며, 최소 3년 이상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밀진단에 사용되는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100)은 2차 함수를 이용하며 함수 최소값(ymin) 즉, 변곡점(110)을 계산하고 f(x)-ymin을 취하여 변곡점(110) 좌측으로 난방구간(120)을 형성하고 우측으로 냉방구간(13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추정된 파라메터 값은 적정 신뢰구간을 두어 최소, 평균, 최대값으로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최소, 평균, 최대값에 따라 건축물을 벤치마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변곡점(110)에 해당하는 온도가 25도에서 30도 사이에 위치할 경우, 해당 건축물은 난방 사용량이 많은 건축물로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변곡점(110)에 해당하는 온도가 20도에서 25도 사이에 위치할 경우, 해당 건축물은 난방과 냉방의 사용량이 균형적인 건축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도 4(c)와 같이, 변곡점(110)에 해당하는 온도가 15도에서 20도 사이에 위치할 경우, 해당 건축물은 냉방 사용량이 많은 건축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도 4(d)와 같이, 변곡점(110)에 해당하는 온도가 15도에 미치지 못하거나 30도를 초과할 경우, 해당 건축물은 에너지사용량이 비정상적인 건축물로 진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사용량 진단단계(S200)를 통해 비정상적인 건축물로 진단되었을 시에는 별도의 설문조사 실시 단계(S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설문조사 실시 단계(S300)에서는 재실자의 여름철 근무 쾌적성, 겨울철 근무 쾌적성, 빛환경 만족도, 공기질 만족도, 소음 만족도 등을 설문하고 각 항목에 점수를 부여하여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 대한 평가점수를 산정할 수 있다.
한편, 주거용 건축물을 대상으로 정밀진단할 시에는 정밀진단에 사용되는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100)의 2차 상수 값이 0.023 kWh/m2/℃2와 0.030 kWh/m2/℃2 사이일 경우 외기온도에 민감한 건축물로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100)의 2차 상수 값이 0.012 kWh/m2/℃2와 0.006 kWh/m2/℃2 사이일 경우 외기온도에 둔감한 건축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비주거용 건축물을 대상으로 정밀진단할 시에는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100)의 2차 상수 값이 0.027 kWh/m2/℃2와 0.035 kWh/m2/℃2 사이일 경우 외기온도에 민감한 건축물로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100)의 2차 상수 값이 0.017 kWh/m2/℃2와 0.011 kWh/m2/℃2 사이일 경우 외기온도에 둔감한 건축물로 진단할 수 있다.
더불어,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100)의 2차 상수 값이 상기에서 언급한 범주에 속하지 않고 이외의 범주에 해당할 경우 해당 건축물을 비정상 건축물로 진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 110: 변곡점
120: 난방구간 130: 냉방구간
200: 조정 박스 플롯 300: 확률분포곡선

Claims (17)

  1. 건축물의 월별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진단 모듈을 통한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에 있어서,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은 진단 모듈에 건축물의 각종 일반정보를 입력하는 제1단계와, 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입력하는 제2단계와, 건축물의 리모델링현황을 입력하는 제3단계와, 건축물의 외피 및 창호 정보를 입력하는 제4단계와, 건축물의 설비현황을 입력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5단계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6단계를 구비하는 정보입력단계; 및
    상기 정보입력단계를 통해 진단 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기, 가스, 지역난방 사용량의 자체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간이진단 단계와, 상기 정보입력단계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고 온도의 변곡점을 고려한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을 생성하여 전기, 가스, 지역난방의 사용량을 냉방, 난방, 기저 사용량으로 분리함으로써 전기, 가스, 지역난방 사용 패턴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정밀진단 단계를 구비하는 사용량 진단단계; 를 구비하고,
    상기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은 상기 변곡점을 중심으로 좌측에 난방구간이 형성되고, 우측에 냉방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변곡점에 해당하는 온도가 25도에서 30도 사이에 위치할 시 난방 사용량이 많은 건물로 진단하고,
    상기 변곡점에 해당하는 온도가 20도에서 25도 사이에 위치할 시 난방과 냉방의 사용량이 균형적인 건물로 진단하고,
    상기 변곡점에 해당하는 온도가 15도에서 20도 사이에 위치할 시 냉방 사용량이 많은 건물로 진단하고,
    상기 변곡점에 해당하는 온도가 15도에 미치지 못하거나 30도를 초과할 시 에너지사용량이 비정상적인 건물로 진단하고,
    상기 사용량 진단단계를 통해 비정상적인 건물로 진단되었을 시 설문조사 실시 단계를 구비하고,
    주거용 건축물의 상기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의 2차 상수 값이 0.023kWh/m2/℃2와 0.030 kWh/m2/℃2 사이이거나 비주거용 건축물의 상기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의 2차 상수 값이 0.027 kWh/m2/℃2와 0.035 kWh/m2/℃2 사이일 경우, 외기온도에 민감한 건축물로 진단하고,
    주거용 건축물의 상기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의 2차 상수 값이 0.012kWh/m2/℃2와 0.006 kWh/m2/℃2 사이이거나 비주거용 건축물의 상기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의 2차 상수 값이 0.017 kWh/m2/℃2와 0.011 kWh/m2/℃2 사이일 경우, 외기온도에 둔감한 건축물로 진단하고,
    상기 건물 에너지 회귀 모델의 2차 상수 값이 이외의 범주에 해당할 경우, 비정상 건축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진단 단계는 유사건물 집단과 상대비교를 통해 해당 건물의 에너지원별 사용량 정도가 표시되는 조정 박스 플롯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박스 플롯은 유사건물 집단의 에너지 사용량을 활용하여 작도된 확률분포곡선을 기반으로 한 다수개의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확률분포곡선은 전체 통계치 중 50%가 존재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포함하며, 전체 통계치 중 75%가 존재하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포함하며, 전체 통계치 중 99%가 존재하는 제3영역과,
    상기 제3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제4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박스 플롯은 상기 제1영역에 해당하며 정중앙에 위치하는 보통 구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박스 플롯은 상기 제2영역 중 상위 12.5%에 해당하며, 상기 보통 구역의 상측에 위치하는 많음 구역과,
    상기 제2영역 중 하위 12.5%에 해당하며, 상기 보통 구역의 하측에 위치하는 적음 구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박스 플롯은 상기 제3영역 중 상위 12%에 해당하며, 상기 많음 구역의 상측에 위치하는 매우 많음 구역과,
    상기 제3영역 중 하위 12%에 해당하며, 상기 적음 구역의 하측에 위치하는 매우 적음 구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박스 플롯은 상기 제4영역에 해당하며, 상기 매우 많은 구역의 상측과 상기 매우 적음 구역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정밀 진단 필요 구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KR1020180031456A 2018-03-19 2018-03-19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KR101902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456A KR101902908B1 (ko) 2018-03-19 2018-03-19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456A KR101902908B1 (ko) 2018-03-19 2018-03-19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908B1 true KR101902908B1 (ko) 2018-10-01

Family

ID=6387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456A KR101902908B1 (ko) 2018-03-19 2018-03-19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9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636B1 (ko) * 2018-12-28 2019-07-22 주식회사 한일엠이씨 건축물 리트로핏을 위한 기계 설비 설계의 사전 분석 방법과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06307B1 (ko) 2019-11-11 2020-05-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너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140012B1 (ko) 2019-11-20 2020-07-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물의 에너지 사용 패턴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1699B1 (ko) 2020-07-06 2021-03-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너지 사용량의 일별 기간 조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2300918B1 (ko) 2020-12-30 2021-09-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인원수 기반 냉, 난방 설정온도 자동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636B1 (ko) * 2018-12-28 2019-07-22 주식회사 한일엠이씨 건축물 리트로핏을 위한 기계 설비 설계의 사전 분석 방법과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06307B1 (ko) 2019-11-11 2020-05-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너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140012B1 (ko) 2019-11-20 2020-07-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물의 에너지 사용 패턴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1699B1 (ko) 2020-07-06 2021-03-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너지 사용량의 일별 기간 조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2300918B1 (ko) 2020-12-30 2021-09-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인원수 기반 냉, 난방 설정온도 자동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908B1 (ko) 건물 월별 에너지 사용량 이상 유무 진단 방법
Reddy Literature Review on Calibration of Building Energy Simulation Programs: Uses, Problems, Procedures, Uncertainty, and Tools.
Geng et al. Building energy performance diagnosis using energy bills and weather data
Soebarto et al. Multi-criteria assessment of building performance: theory and implementation
Haberl et al. ASHRAE's Guideline 14-2002 for Measurement of Energy and Demand Savings: How to Determine what was really saved by the retrofit
Panão et al. Modelling aggregate hourly electricity consumption based on bottom-up building stock
Parekh et al. Development of archetypes of building characteristics libraries for simplified energy use evaluation of houses
Jones et al. The gap between simulated and measured energy performance: A case study across six identical new-build flats in the UK
Siu et al. Evaluating thermal resilience of building designs using building performance simulation–A review of existing practices
Attia et al. Developing a benchmark model for renovated, nearly zero-energy, terraced dwellings
Jafari et al. Sustainable impact of building energy retrofit measures
Zare et al. Investigation of heating energy performance gap (EPG) in design and operation stages of residential buildings
Tyler et al. Data Analysis of Energy Code Compliance in Commercial Buildings
Hajj-Hassan et al. Behavioral and parametric effects on energy consumption through BIM, BEM, and ABM
Jain et al. Improving Model Calibration Methods: A Case Study Application of Incorporating IEQ with Energy
Kim Development of an improved methodology for analyzing existing single-family residential energy use
Lozinsky Improving the Characterization of Infiltration and Natural Ventilation Parameters in Whole-Building Energy Models of Multi-Unit Residential Buildings
Soebarto et al. Designer orientated performance evaluation of buildings
Rathnasiri et al. An Assessment for the Use of Green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for Sustainable and Green Buildings–Sri Lankan Perspective
McDowell et al. A bottom-up data collection methodology for characterising the residential building stock in Australia
Pigg National Weatherization Assistance Program Impact Evaluation: A Field Investigation of Apparent Low and High Savers
Lee et al. Impact of Lighting and Plug Load Schedule Variations on Residential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d Zero Energy Building Certification
Xu A Data-Driven Framework for Conducting Large-Scale Household Energy Audits Using Monthly Utility Data
Jain Reducing the performance gap using calibrated simulation models
Rashani et al. Calibration of building energy use models: a case study of three residential buildings in Koso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