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509B1 -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509B1
KR101902509B1 KR1020170156224A KR20170156224A KR101902509B1 KR 101902509 B1 KR101902509 B1 KR 101902509B1 KR 1020170156224 A KR1020170156224 A KR 1020170156224A KR 20170156224 A KR20170156224 A KR 20170156224A KR 101902509 B1 KR101902509 B1 KR 101902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icroorganism
matching
microorganisms
skin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612A (ko
Inventor
임혜원
이승태
윤정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Priority to PCT/KR2017/0134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35744A1/ko
Publication of KR2018008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smet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특히 대상자의 피부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에 따라 다른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자의 피부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에 따라 유익한 균을 매칭시키고 그에 맞추어 화장품 원료를 선택해서 제조함으로서, 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정확하게 결정하고, 그에 따라 보다 근원적인 개인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maunfacturing customized cosmetics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특히 대상자의 피부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에 따라 맞춤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자의 피부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에 따라 유익한 균을 매칭시키고 그에 맞추어 화장품 원료를 선택해서 제조하는 것이다.
건강한 피부란 피부의 표면이 매끈하고 윤기가 있어야 하고, 피부에 닿았을 때 부드럽고 연한 느낌이 있고, 피부에 탄력과 팽팽한 감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혈액순환이 좋아 화색이 돌아야 한다.
피부를 정상적으로 보호하고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운동과 영양 섭취, 적절한 휴식, 자신의 피부에 맞는 피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피부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같은 연령, 같은 피부타입이라도 개개인이 처한 내적, 외적인 환경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일례로, 음주, 식습관, 흡연, 오염된 환경의 노출,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노출, 각종 스트레스 및 계절적 요인 등으로 인하여 피부에 심각한 영향을 주어 피부 기능이 저하되고 심지어는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상태에 이르는 사례가 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피부 상태를 호전 혹은 유지시킬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욕구심리는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현재는 주로 사용자 개개인에 대한 피부 상태의 인지는 단순한 피부문진 및 간단한 피부테스트를 통하여 자기 자신의 피부 상태가 어떤지를 파악하는 수준으로 피부 상태 정보에 대한 완전한 신뢰를 얻기는 어렵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들은 개개인을 타깃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범용적인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사용자 자신만의 적합한 화장품을 찾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 미용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제품으로서, 최근에는 미용목적으로 사용되는 용도를 넘어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피부건강케어의 기능성을 강조하는 화장품으로 전문화 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 건강케어 화장품이 추구하는 최상의 목적은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화장품 대신 개개인의 피부 상태에 특화된 맞춤형 화장품 개발에 있다. 이러한 개인용 맞춤형 화장품에 있어서, 해결해야 될 가장 큰 과제는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피부 상태가 각자 다르기 때문에, 수많은 다양한 상태의 피부에 대응하는 개인별 맞춤형 화장품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12386호(발명의 명칭 : 고객 맞춤형 화장품의 제공방법)는 고객의 각질층으로부터 피부 기능 대사물을 분리하고, 이를 기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고객의 등급 결정 후, 고객의 등급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성 화장료의 성분 및 함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화장품을 제조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고객 맞춤형 화장품의 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피부 각질층으로부터 피부 기능 대사물을 분리하여 분석하는데, 상기 기능 대사물을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가 없어서, 근원적인 개인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12386 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상자의 피부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에 따라 다른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대상자의 피부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에 따라 유익한 균을 매칭시키고 그에 맞추어 화장품 원료를 선택해서 제조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은, 관리자단말기가 대상자의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분석서버가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유전자 정보로부터 올리고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분석서버는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단계; 및 제조서버가 상기 매칭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피부 샘플로부터 16s rRNA 을 포함하는 게놈(genome)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게놈이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 프라이머의 염기서열과 매칭하는 정도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를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Propionibacterium acnes)으로 도출하거나 상기 추출한 게놈이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 프라이머의 염기서열과 매칭하는 정도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를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균(Staphylococcus warneri)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는 상기 피부 샘플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 : next generation sequencing)으로 분석하여 얻어진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는 상기 미생물의 16s rRNA 상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은 아시네토박터 존스니균(Acinetobacter johnsonii), 프로피오니박테리움 그라누로섬균(Psropionibacterium granulosum), 아시네토박터 칼코아세티쿠스균(Acinetobater calcoaceticus),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균(Streptococcus salivarius), 스트렙토코커스 피오제네스균(Streptococcus pyogene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균(Lactobacillus paracasei HS-0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균(Lactobacillus rhamnosus HK-9), 프세우도모나스 아이루기노사균(Pseudomonas aeruginosa), 코리네박테리움 제이케이움균(Corynebacterium jeikeium),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균(Csorynebacterium diphtheria),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네이스세리아 서브플라바균(Neisseria subflava),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Propionibacterium acnes), 표피포도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트렙토코커스 크리스타투스균(Streptococcus cristatus), 아시네토박터 주니균(Acinetobacter junii), 피네골디아 마그나균(Finegoldia magna),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균(Staphylococcus warneri), 프세우도모나스 톨라균(Pseudomonas tolaasii), 스트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균(Stenotrophomonas maltophilia), 코리네박테리움 프세우도제니탈리움균(Corynebacterium pseudogenitalium), 아시도보락스 템퍼란스균(Acidovorax temperans), 디에치아 마리스균(Dietzia maris), 바실루스 리체니포르미스균(Bacillus licheniformis), 고초균(Bacillus subtilis), 및 근류균(Bradyrhizobium japonicum)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것은, 상기 유전자 정보가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과의 결합 정도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를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Propionibacterium acnes)으로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것은, 상기 유전자 정보가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과의 결합 정도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를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균(Staphylococcus warneri)로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것은,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2종류 이상을 매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것은, 상기 매칭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2종류 이상 매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은 성별, 연령별, 또는 나이대별로 구분하여 다르게 매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시스템은, 대상자의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입력받는 관리자단말기;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유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분석서버; 및 상기 매칭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제조서버;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은, 대상자의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얻은 유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대상자의 피부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에 따라 유익한 균을 매칭시키고 그에 맞추어 화장품 원료를 선택해서 제조함으로서, 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정확하게 결정하고, 그에 따라 보다 근원적인 개인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부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 별로 그에 대응하는 유익균의 종류와 그에 따른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자의 피부로부터 피부 샘플을 얻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부 샘플로부터 16s rRNA 을 포함하는 게놈(genome)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부 샘플로부터 추출한 게놈(genome) 내의 16s rRNA universal primer(R-, L-)에 해당하는 부분을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기법을 이용해 증폭시켜서 threshold cycle (Ct) 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명의 대상자(Candidate 1, Candidate 2, Candidate 3) 피부 샘플을 대상으로 그 안에 포함된 미생물 분포를 분석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은,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 상기 유전자 정보로부터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단계(S20);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단계(S30); 및 상기 매칭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는 대상자의 피부에 포함된 미생물 관련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자(피험자)로부터 피부 샘플을 채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샘플은 대상자의 피부 표피 세포나 각질 또는 피부상재 미생물인 것이 가능하다.
대상자의 피부에 포함된 미생물 관련 정보를 도출하는 것은, 대상자의 피부 상태 그리고 그 피부 안에 포함된 미생물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결정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어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로부터 피부상재 미생물을 포집하고, 포집된 피부상재 미생물을 배양하며, 배양된 피부상재 미생물의 전체 또는 일부 DNA를 분리한 후, 분리된 DNA를 분석하여 상기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관리자가 상기 얻은 유전자 정보를 관리자단말기(10)에 입력하면, 상기 관리자단말기(10)는 상기 유전자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관리자단말기(10)는 수신한 유전자 정보를 후술하는 분석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도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는 상기 피부 샘플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 : next generation sequencing)으로 분석하여 얻어진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종래에, 피부에 상재하는 미생물들의 발현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패치 등을 이용하여 피부에 상재하는 다양한 미생물을 포집하고, 이를 배양한 미생물을 단일 콜로니(single colony)로 분리한 뒤, 이를 API kit를 이용해서 미생물을 감별해 왔다. 또는 16S rRNA나 18S rRNA의 염기서열 확인을 통해 상재하는 미생물의 종류를 조사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분석할 수 있는 균 종류에도 한계가 있다.
최근 인간게놈프로젝트이후에 NGS (nest generation sequencing,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 기술이 발전하였는데, 이 기술을 활용하게 되면 피부에서 포집된 미생물을 배양한 후 단일 콜로니로 배양하는 과정 없이 배양액에 존재하는 전체 미생물의 유전체 (Microbiome)를 단시간내에 분석할 수 있다. 그래서, 이를 바탕으로 미생물 관련 처방을 단시간 내에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익균을 배양한 후 발효대사체를 제조해서 기 판매되거나 제조된 화장품에 첨가함으로서 개인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가 있다.
일례로서, 상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은 피부 샘플로부터 게놈(genome)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게놈이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 특이적 프라이머(primer)와의 결합 여부 또는 혼성화 정도에 따라,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추출된 게놈이 특정한 종 특이적 프라이머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피부 샘플 안에는 상기 결합된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이 유전자 정보로 포함된 것이며, 나아가 상기 종에 해당하는 미생물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한 게놈의 위치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게놈의 다양한 위치 또는 부위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그 중에서도 16s rRNA 을 포함하는 게놈을 이용하는 것이, 피부 샘플에 포함된 다양한 미생물 종류를 효과적으로 도출하기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은 수종 내지 수십 종의 서로 다른 미생물일 수 있다.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은 아시네토박터 존스니균(Acinetobacter johnsonii), 프로피오니박테리움 그라누로섬균(Psropionibacterium granulosum), 아시네토박터 칼코아세티쿠스균(Acinetobater calcoaceticus),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균(Streptococcus salivarius), 스트렙토코커스 피오제네스균(Streptococcus pyogene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균(Lactobacillus paracasei HS-0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균(Lactobacillus rhamnosus HK-9), 프세우도모나스 아이루기노사균(Pseudomonas aeruginosa), 코리네박테리움 제이케이움균(Corynebacterium jeikeium),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균(Csorynebacterium diphtheria),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네이스세리아 서브플라바균(Neisseria subflava),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Propionibacterium acnes), 표피포도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트렙토코커스 크리스타투스균(Streptococcus cristatus), 아시네토박터 주니균(Acinetobacter junii), 피네골디아 마그나균(Finegoldia magna),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균(Staphylococcus warneri), 프세우도모나스 톨라균(Pseudomonas tolaasii), 스트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균(Stenotrophomonas maltophilia), 코리네박테리움 프세우도제니탈리움균(Corynebacterium pseudogenitalium), 아시도보락스 템퍼란스균(Acidovorax temperans), 디에치아 마리스균(Dietzia maris), 바실루스 리체니포르미스균(Bacillus licheniformis), 고초균(Bacillus subtilis), 및 근류균(Bradyrhizobium japonicum)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샘플에 포함된 수십 내지 수백 종의 미생물 중에서도, 대상자에게 유익하거나 무익하거나 또는 해로운 미생물 26종을 선정하였고, 이러한 26종의 미생물은 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이에 매칭되는 유익균은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하기에 더욱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 정보로부터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단계(S20)를 거친다. 분석서버(20)가 상기 관리자단말기(1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유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일 예로서, 분석서버(20)는 마이크로바이옴 (Microbiome) 분석에 의해서 피부상재 미생물의 종류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 정보가 특정한 종 특이적 염기서열(또는 프라이머)와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특정한 종의 미생물이 피부 샘플 안에 포함된 것으로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것은, 상기 유전자 정보가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과 결합하는 경우, 상기 미생물의 종류를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Propionibacterium acnes)으로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각각 포함하는 프라이머는 피부 샘플 안에 포함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을 검출하기에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유전자 정보가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과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미생물의 종류를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균(Staphylococcus warneri)로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각각 포함하는 프라이머는 피부 샘플 안에 포함된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균을 검출하기에 가장 효과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와 그에 따른 미생물 종류가 기 저장된 분석DB(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석서버(20)는 상기 분석DB(21)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자단말기(1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유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서버(20)가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종류를 매칭할 수 있다. 다양한 피부 상재균들의 발현 패턴은 개인의 피부 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피부 상재균들의 발현 패턴을 개인별로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미생물 관련 처방을 마련하는 것이다.
피부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상재한다고 알려져 있고, 상재하는 미생물의 종류 및 양식에 따라 피부 건강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즉, 유익한 미생물(유익균)들이 많이 존재하면 이들이 분비하는 다양한 대사체들에 의해 피부 분비물들이나 오염물들이 분해되어 피부건강 개선에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미생물 대사 유기체들이 영양분이나 보습물질로 작용해서 피부의 유수분 발란스를 유지시키는 역할에도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이러한 유익균들이 피부 상재균으로서 우점종이 되는 경우 유해균들의 성장을 억제시켜 유해균들이 일으킬 수 있는 피부 질환을 예방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석DB(21)는 다양한 미생물 종류와 그에 대응하는 유익균 종류가 기 저장된 매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석서버(20)는 이러한 분석DB(21)를 이용하여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익균은 효모나 유산균, GRAS 균주 등을 포함하고, 여기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것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피부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유익균의 종류와 그에 따른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상기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대일, 다대일, 일대다, 또는 다대다로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샘플에 이미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포함되지 않은 유익균이 매칭될 수도 있다. 또한, 도출한 미생물 1종류 이상에 대응하여 유익균은 2종류 이상 매칭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매칭은 성별, 연령별, 또는 나이대별로 구분하여 다르게 매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도출된 미생물의 종류 또는 양 등에 따라, 유익균의 양까지도 매칭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익균이 매칭되어 처방되면, 상기 처방된 유익균을 배양하거나, 또는 배양된 유익균으로부터 발효대사물을 준비할 수 있다. 이것은 관리자에 의해 준비되거나 자동화시스템에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은 상기 매칭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단계(S40)를 거친다. 제조서버(30)가 상기 매칭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익균의 종류에 따른 화장품 원료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제조DB(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조서버(30)는 이러한 제조DB(31)를 이용해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것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대일, 다대일, 일대다, 또는 다대다로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2종류 이상 매칭할 수 있고, 성별, 연령별, 또는 나이대별로 구분하여 다르게 매칭하는 것도 가능하며, 화장품 원료의 양까지 매칭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화장품 원료의 양까지 매칭되면, 관리자는 그 정보를 바탕으로 준비한 유익균(또는 그것의 발효대상물)과 화장품 원료를 이용해서, 피부 상재균 패턴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시스템은, 대상자의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입력받는 관리자단말기(10);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유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분석서버(20); 및 상기 매칭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제조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분석서버(20) 및 제조서버(30)의 구체적인 역할과 기능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분석서버(20) 및 제조서버(30)는 각각 별도의 세부적인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부분적으로 조합되어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 전체가 하나에 통합된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은, 대상자의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얻은 유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이다.
상기 대상자의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얻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을 이용해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샘플로부터 게놈(genome)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게놈이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 특이적 프라이머(primer)와의 결합 여부 또는 혼성화 정도에 따라,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얻은 유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바이옴 (Microbiome) 분석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전자 정보가 특정한 종 특이적 염기서열(또는 프라이머)와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특정한 종의 미생물이 피부 샘플 안에 포함된 것으로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례로서, 상기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얻는 단계는, 상기 피부 샘플로부터 16s rRNA 을 포함하는 게놈(genome)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게놈이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과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를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Propionibacterium acnes)으로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얻는 단계는, 상기 피부 샘플로부터 16s rRNA 을 포함하는 게놈(genome)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게놈이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과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를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균(Staphylococcus warneri)으로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또는 분석서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나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매칭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매칭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또는 분석서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나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매칭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대상자의 피부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에 따라 유익한 균을 매칭시키고 그에 맞추어 화장품 원료를 선택해서 제조함으로서, 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정확하게 결정하고, 그에 따라 보다 근원적인 개인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NGS (nest generation sequencing,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함으로서, 종래에 시행되었던 미생물을 배양후 단일 콜로니로를 배양하는 과정 없이 미생물 배양액에 존재하는 전체 미생물의 유전체 (Microbiome)를 단시간 내에 분석하고 이에 맞는 유익균에 대한 처방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맞춤형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험자의 피부 상태에 따른 유익균 정보와 함께 상기 유익균의 종류에 부합되는 화장품의 원료 종류 및 조합에 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기 제조된 화장품에 유익균을 첨가하거나 피험자에 맞는 새로운 색소, 향, 영양성분 등이 혼합된 개인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피부 상재 게놈 추출 및 미생물 분석
피부 상재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 되고 있는 swab 기법을 이용해서 회수 하였다. 피부 상재 미생물들로부터 genome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기법을 확립하기 위해, 우선 상업적으로 판매되어지고 있는 3가지 종류의 미생물 genome 추출 키트를 사용하여 swab을 통해 회수된 피부 상재 미생물로부터 genome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나서, genome내의 16s rRNA universal primer(R-, L-)에 해당 하는 부분을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기법을 이용해 증폭시켜 threshold cycle (Ct)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피부로부터 회수된 미생물 군집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서, 미리 미생물 종류에 따라 다른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는 16s rRNA sequence를 이용하여 미생물 종 특이적 oligo primer를 제작해 놓았다.
이후 피부로부터 회수된 미생물로부터 추출된 genome내의 미생물 특이적 oligo primer에 해당하는 부분을 PCR 기법을 통해 증폭하였고, 증폭된 산물들의 분자량을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피부 상재 게놈 추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자의 피부로부터 피부 샘플을 얻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손상을 유도하지 않고 다량의 피부 상재 미생물을 회수하기 위해, 세안 후 2시간째에 이마와 양쪽 볼을 smart swab 키트 (BNFKOREA Co., LTD, 김포, 한국)에 동봉된 젖은 면봉으로 문지르고 면봉을 70℃에서 건조시켰다. 그 후, 건조된 면봉은 genome 추출을 위해 쓰여졌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부 샘플로부터 16s rRNA 을 포함하는 게놈(genome)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피부로부터 회수된 미생물들의 genome을 손상 및 손실 없이 안정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NucleoSpin Soil, NucleoSpin Microbial DNA와 NucleoSpin Tissue XS (MACHEREY-NAGEL GmbH & Co. KG, 뒤렌, 독일) 키트를 사용해 제조업체의 지시 사항에 따라 genome을 추출하였다.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3가지 종류의 미생물 genome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피부로부터 회수된 미생물로부터 genome을 추출하였고, 이후, real-time PCR 기법으로 얻은 Ct 값을 비교하였다. 피부 상재 미생물 genome내의 16s rRNA universal primer에 해당하는 부분들은 THUNDERBIRD SYBR qPCR Mix (Toyobo, 오사카, 일본)을 통해 7500 Real 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포스터 시티, 캘리포니아)하에서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증폭하였다. PCR 특이성은 melting curve data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부 샘플로부터 추출한 게놈(genome) 내의 genome내의 16s rRNA universal primer(R-, L-)에 해당 하는 부분을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기법을 이용해 증폭시켜서 threshold cycle (Ct) 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NucleoSpin Tissue XS 키트를 이용한 Method 3 방법에 의해 추출된 genome의 Ct값이 다른 나머지 방법들보다 더욱더 낮았으며, 이는 Method 3 방법이 미생물로부터 genome을 가장 많이 추출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swab 방법은 피부 상재 미생물을 회수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방법이며, Method 3 방법은 피부 상재 미생물로부터 genome을 가장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피부 상재 미생물 분석
미생물 특이적 oligo primer를 이용하여, 피부 상재 미생물의 종류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피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생물을 기존의 피부상재미생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선별하였고, 그 중에서도 26가지의 미생물을 선택하였다. 이들 26가지의 미생물의 16s rRNA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26가지 미생물들을 특이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oligo primer를 제작하였다. 선별된 26가지의 피부상재 미생물 이름은 아래 표 1에 정리하였고, 이들 중 2가지 종류의 미생물 특이적 oligo primer 염기 서열은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No. Type of microorganism No. Type of microorganism
1 Acinetobacter johnsonii 14 Staphylococcus epidermidis
2 Propionibacterium granulosum 15 Streptococcus cristatus
3 Acinetobater calcoaceticus 16 Acinetobacter junii
4 Streptococcus salivarius 17 Finegoldia magna
5 Streptococcus pyogenes 18 Staphylococcus warneri
6 Lactobacillus paracasei HS-05 19 Pseudomonas tolaasii
7 Lactobacillus rhamnosus HK-9 20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8 Pseudomonas aeruginosa 21 Corynebacterium pseudogenitalium
9 Corynebacterium jeikeium 22 Acidovorax temperans
10 Corynebacterium diphtheriae 23 Dietzia maris
11 Staphylococcus aureus 24 Bacillus licheniformis
12 Neisseria subflava 25 Bacillus subtilis
13 Propionibacterium acnes 26 Bradyrhizobium japonicum
No. Type of microorganism Primer name Primer sequence
(5'-3')
Product size Tm.
13
Propionibacterium acnes L-Propionibacterium acnes

(Sequence 1)
AATGGGTAAAGAAGCACCGG 127 62
R-Propionibacterium acnes

(Sequence 2)
AAGATTACACTTCCGACGCG
18
Staphylococcus warneri L-Staphylococcus warneri

(Sequence 3)
GGCGTGCCTAATACATGCAA 180 62
R-Staphylococcus warneri

(Sequence 4)
AAAGCCGCCTTTCACTATTGA
이후, PCR 기법을 통해 제작된 26가지의 미생물 특이적 oligo primer를 이용한 유전자 증폭을 3명의 다른 사람의 얼굴 피부에서 회수된 미생물 genome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 상재 미생물 genome 내에서 피부 상재 미생물을 특이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oligo primer에 해당하는 부분들은 Premix Ex TaqTM Hot Start Version (TaKaRa Bio Inc. 오쓰, 일본)을 이용해 PCR 기법을 통해 증폭하였다.
이어서, 증폭된 PCR 산물의 전기영동은 2% agarose gel (Sigma-Aldrich, 세인트루이스, 미주리)에서 수행하였고, Gel DocTM XR+ imaging system (Bio-Rad Laboratories, 헤라클레스, 캘리포니아)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명의 대상자(Candidate 1, Candidate 2, Candidate 3) 피부 샘플을 대상으로 그 안에 포함된 미생물 분포를 분석한 결과이고, 표 3은 그것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여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상자 각각에 따라 매우 상이한 유전자 증폭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아래 표 3(개인별 피부 미생물 분포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 보다시피 유전자 증폭 산물의 존재 유무에 따른 미생물 검출 정도가 개인별로 매우 상이하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oligo primer Candidate 1 Candidate 2 Candidate 3
1 x o x
2 o o o
3 o o o
4 o o o
5 x x x
6 x x x
7 x x x
8 o o o
9 x x o
10 x o o
11 x x x
12 x x x
13 o o o
14 x x x
15 x x x
16 o o o
17 o o o
18 o o o
19 o o o
20 o o o
21 x x o
22 o o x
23 o o o
24 x x x
25 x x x
26 o o o
* o = 미생물 검출, x = 미생물 비검출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Candidate 1의 얼굴에는 Propionibacterium qranulosum, Acinetobater calcoaceticus, Streptococcus salivarius, Pseudomonas aeruginosa, Propionibacterium acnes, Acinetobacter junii, Finegoldia magna, Staphylococcus warneri, Pseudomonas tolaasii,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Acidovorax temperans, Dietzia maris, Bradyrhizobium japonicum이 존재하였다. 또한, Candidate 2의 얼굴에는 Acinetobacter johnsonii, Propionibacterium qranulosum, Acinetobater calcoaceticus, Streptococcus salivarius, Pseudomonas aeruginosa, Corynebacterium diphtheria, Propionibacterium acnes, Acinetobacter junii, Finegoldia magna, Staphylococcus warneri, Pseudomonas tolaasii,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Acidovorax temperans, Dietzia maris, Bradyrhizobium japonicum이 존재하였다. 또한, Candidate 3의 얼굴에는 Propionibacterium qranulosum, Acinetobater calcoaceticus, Streptococcus salivarius, Pseudomonas aeruginosa, Corynebacterium jeikeium, Corynebacterium diphtheria, Propionibacterium acnes, Acinetobacter junii, Finegoldia magna, Staphylococcus warneri, Pseudomonas tolaasii,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Corynebacterium pseudogenitalium, Dietzia maris, Bradyrhizobium japonicum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개인별로 피부상재미생물의 종류가 매우 상이함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 : 관리자단말기
20 : 분석서버
21 : 분석DB
30 : 제조서버
31 : 제조DB
<110> SHEBAHBIOTECH INC. <120> Method for maunfacturing customized cosmetics and System thereof <130> PA-D2017-60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Propionibacterium acnes primer <400> 1 aatgggtaaa gaagcaccg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Propionibacterium acnes primer <400> 2 aagattacac ttccgacgcg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Staphylococcus warneri primer <400> 3 ggcgtgccta atacatgcaa 20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taphylococcus warneri primer <400> 4 aaagccgcct ttcactattg a 21

Claims (13)

  1. 관리자단말기가 대상자의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분석서버가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유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분석서버는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단계; 및
    제조서버가 상기 매칭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 종류를 도출하는 것은, 상기 유전자 정보와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과의 매칭 정도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를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Propionibacterium acnes)으로 도출하고, 상기 유전자 정보와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과의 매칭 정도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를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균(Staphylococcus warneri)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는 상기 피부 샘플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 : next generation sequencing)으로 분석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은 아시네토박터 존스니균(Acinetobacter johnsonii), 프로피오니박테리움 그라누로섬균(Psropionibacterium granulosum), 아시네토박터 칼코아세티쿠스균(Acinetobater calcoaceticus),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균(Streptococcus salivarius), 스트렙토코커스 피오제네스균(Streptococcus pyogene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균(Lactobacillus paracasei HS-0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균(Lactobacillus rhamnosus HK-9), 프세우도모나스 아이루기노사균(Pseudomonas aeruginosa), 코리네박테리움 제이케이움균(Corynebacterium jeikeium),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균(Csorynebacterium diphtheria),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네이스세리아 서브플라바균(Neisseria subflava),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Propionibacterium acnes), 표피포도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트렙토코커스 크리스타투스균(Streptococcus cristatus), 아시네토박터 주니균(Acinetobacter junii), 피네골디아 마그나균(Finegoldia magna),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균(Staphylococcus warneri), 프세우도모나스 톨라균(Pseudomonas tolaasii), 스트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균(Stenotrophomonas maltophilia), 코리네박테리움 프세우도제니탈리움균(Corynebacterium pseudogenitalium), 아시도보락스 템퍼란스균(Acidovorax temperans), 디에치아 마리스균(Dietzia maris), 바실루스 리체니포르미스균(Bacillus licheniformis), 고초균(Bacillus subtilis), 및 근류균(Bradyrhizobium japonicum)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것은, 상기 도출한 미생물 종류에 대응하는 유익균 2종류 이상을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것은, 상기 매칭된 유익균 종류에 대응하는 화장품 원료를 2종류 이상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익균 종류를 매칭하는 것과 상기 화장품 원료를 매칭하는 것은, 성별, 연령별, 또는 나이대별로 구분하여 다르게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156224A 2017-01-17 2017-11-22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시스템 KR101902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3446 WO2018135744A1 (ko) 2017-01-17 2017-11-23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955 2017-01-17
KR20170007955 2017-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612A KR20180084612A (ko) 2018-07-25
KR101902509B1 true KR101902509B1 (ko) 2018-11-22

Family

ID=6305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224A KR101902509B1 (ko) 2017-01-17 2017-11-22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996B1 (ko) * 2019-09-27 2020-12-29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타필로코커스 와르네리 st-12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123050B1 (ko) * 2019-12-13 2020-06-15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안면 피부 모사체막 진단 키트를 이용한 맞춤형 화장품 원료 제조방법
CN114686606A (zh) * 2020-12-30 2022-07-01 北京本真工坊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皮肤菌群进行护肤推荐的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4745A1 (en) 2008-02-19 2013-08-29 Gen-Probe Incorpor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propionibacterium acnes nucleic aci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386A (ko) 2012-07-20 2014-02-03 코웨이 주식회사 고객 맞춤형 화장품의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4745A1 (en) 2008-02-19 2013-08-29 Gen-Probe Incorpor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propionibacterium acnes nucleic ac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612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hipp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ovicida-like subspecies of Francisella tularensis isolated in Australia
Reva et al. Taxonomic characterization and plant colonizing abilities of some bacteria related to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Bacillus subtilis
Chimara et al. Reliable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al species by PCR-restriction enzyme analysis (PRA)-hsp65 in a reference laboratory and elaboration of a sequence-based extended algorithm of PRA-hsp65 patterns
Cooksey et al. Mycobacterium cosmeticum sp. nov., a novel rapidly growing species isolated from a cosmetic infection and from a nail salon
Wielinga et al. A multiplex real-time PCR for identifying and differentiating B. anthracis virulent types
Truman et al. Genotypic variation and stability of four variable-number tandem repeats and their suitability for discriminating strains of Mycobacterium leprae
KR101902509B1 (ko)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시스템
Coutinho et al. Evaluation of the diversity of rhizobia in Brazilian agricultural soils cultivated with soybeans
Dangel et al. Corynebacterium silvaticum sp. nov., a unique group of NTTB corynebacteria in wild boar and roe deer
Caro et al. Temporal analysis of French Bordetella pertussis isolates by comparative whole-genome hybridization
Trakulsomboon et al. Ribotype differences between clinical and environmental isolates of Burkholderia pseudomallei
Mashima et al. Veillonella tobetsuensis sp. nov., an anaerobic, Gram-negative coccus isolated from human tongue biofilms
Nogueira et al. Mycobacterium saopaulense sp. nov., a rapidly growing mycobacterium closely related to members of the Mycobacterium chelonae–Mycobacterium abscessus group
Brown‐Elliott et al. Mycobacterium: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rapidly growing mycobacteria
CN105525025A (zh) 基于16SrDNA深度测序检测不同大豆根际土壤原核微生物的方法
Joyce et al. Fungal diversity and onychomycosis: An analysis of 8,816 toenail samples using quantitative PCR and next-generation sequencing
Ezeokoli et al.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in soy-daddawa, a Nigerian fermented soybean (Glycine max (L.) Merr.) condiment
Litt et al. Direct molecular typing of Bordetella pertussis from clinical specimens submitted for diagnostic quantitative (real-time) PCR
Kazwala et al. The molecular epidemiology of Mycobacterium bovis infections in Tanzania
Martínez-Lamas et al. Streptococcus downii sp. nov., isolated from the oral cavity of a teenager with Down syndrome
Hung et al. Species identification of mutans streptococci by groESL gene sequence
Rieser et al. Micrococcus cohnii sp. nov., isolated from the air in a medical practice
Kenchappa et al. High-resolution genotyping of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s linked to acute post cataract surgery endophthalmitis outbreaks in India
Saito et al. Hypervirulent clade 2, ribotype 019/sequence type 67 Clostridioides difficile strain from Japan
Humphreys et al. Continuous culture of sessile human oropharyngeal microbiot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