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442B1 - System for detecting user's moving direction and method - Google Patents

System for detecting user's moving direction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442B1
KR101902442B1 KR1020160176768A KR20160176768A KR101902442B1 KR 101902442 B1 KR101902442 B1 KR 101902442B1 KR 1020160176768 A KR1020160176768 A KR 1020160176768A KR 20160176768 A KR20160176768 A KR 20160176768A KR 101902442 B1 KR101902442 B1 KR 10190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eacon
user
unit
mov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3186A (en
Inventor
권용진
최종각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442B1/en
Publication of KR2018007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1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4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8Position of single direction-finder fixed by determining direction of a plurality of spaced sources of known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difference in transit time between electrical and acoustic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Abstract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이동방향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includes a first beacon unit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econd beacon unit arranged to receiv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sensed from each of the first beacon units and the second beacon units, The first and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detected during the same time interval among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unit and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unit, And a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Description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DETECTING USER'S MOVING DIRECTION AND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movement direction of a user,

본원은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과 더불어 이에 기초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oviding a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as well as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based thereon.

스마트폰이 보급화됨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상황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O2O 서비스의 핵심은 사용자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최근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을 이용한 위치 인식 기술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As smartphones become more popular, O2O (Online to Offline) service is being activated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by linking online and offline. The core of the O2O service is to find out the location of the user. Recently, a location recognition technology using a BLE (Bluetooth Low Energy) beacon is widely used.

종래에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의 일예로는 각 오프라인 매장 내에 비콘을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매장의 주변 영역을 지나가는 경우, 특정 매장 내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수신신호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기초하여 비콘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후, 그 거리에 기초하여 할인 쿠폰이나 광고 메시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존재한다.Conventionally, as an example of a service using a beacon, in a case where a beacon is installed in each off-line store, when a user passes a peripheral area of a specific store, a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There is a technique of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beacon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distance, and then providing a service such as a discount coupon or an advertisement message based on the distance.

여기서, 비콘 신호는 대략적으로 약 50m에서 이상적으로는 70m 까지 광범위하게 도달할 수 있는데, 종래 비콘 기반의 서비스는 이러한 하나의 비콘으로부터 발생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신호강도에 기초하여 거리에 따라 4가지의 경우로 구분(일반적으로, 약 20cm까지는 Immediate 거리, 약 2m 내지 3m 까지는 Near 거리, 약 50m 내지 70m까지는 Far 거리, 신호가 감지되나 거리를 특정할 수 없을 경우 Unknown 거리로 구분)한 후, 이에 기초하여 하나의 비콘과 사용자 단말 간에 거리를 계산하였다.Here, the beacon signal can reach a wide range from about 50 m to 70 m, which is a conventional beacon-based service. The beacon signal generated from this one beacon is divided into four types (Generally, an Immediate distance up to about 20 cm, a Near distance up to about 2 m to 3 m, a Far distance up to about 50 m to 70 m, and an Unknown distance when a signal can be detected but a distance can not be specified) The distance between one beacon and the user terminal is calculated.

비콘의 스펙에 의하면, 비콘은 비콘과 사용자 단말 간의 정확한 거리를 알아내는데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비콘을 이용하여서는 삼각측량 등과 같은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기존 방법을 사용할 수 없고,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별하는 기존 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According to the beacon specification, a beacon can not be used to determine the exact distance between a beacon and a user terminal.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xisting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cise position of the user, such as triangulation, can not be used by using the beacon and the existing method of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user using the precise position of the user can not be used.

또한, 종래와 같이 비콘이 각 오프라인 매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비콘과 다른 비콘이 상당히 먼 거리(대략적으로, 수십 미터 이상)에 떨어져 있음에 따라, 이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4가지로 구분된 거리의 경계를 지나간 경우에 대해서만 광역에서의 이동방향(예를 들어, 제1 매장에서 제2 매장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대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뿐이어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일예로 신호가 감지되는 영역(예를 들면, Far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영역)에서 특정 스팟을 지나가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해당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a beacon is installed in each off-line store as in the prior art, since one beacon and another beacon are separated by a considerable distance (approximately several tens of meters or more) It is only possible to roughly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in the wide area (for example, moving from the first store to the second stor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tore is located) only when passing the boundary of the distances separated by the branches,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for example, a user who passes a specific spot in an area where a signal is detected (for example, an area within the Far distance range) can not accurately grasp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moves.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43879호(공개일: 2016.04.22)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43879 (published on May 20, 2014).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accurately grasping the moving direction of a user by using a beacon.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특정 스팟을 통과하여 지나갈 때 실시간 또는 실시간에 가깝게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해당 특정 스팟을 지나갈 때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고려한 맞춤형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grasping a moving direction of a user close to real time or real time when a user passes through a specific spot,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이나 공공장소에 비치된 다양한 정보제공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기존 행동(또는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주변환경에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to a user without interfering with a user's existing behavior (or movem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echnique that can be adaptively provided.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황별 맞춤형 정보 및 사용자의 의도가 고려된 동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more effectively providing users with dynamic information in which context- .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이동방향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complishing the above technical object, a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eacon unit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econd beacon unit, And a second equal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and a second sam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that are detected during the same time period of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portion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portion, And a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가 동시에 감지되는 시점을 상기 동일 시간범위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may recognize a point in time when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unit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s the start time of the same time range.

또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비콘부 또는 상기 제2 비콘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또는 기설정된 신호세기 이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을 상기 동일 시간범위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may recognize a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r a predetermined signal intensity from the first beacon unit or the second beacon unit as an end time of the same time range .

또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동안의 시간에 따른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1 판단값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2 판단값을 상호 대비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a moving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based on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first coincident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second coincident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by comparing the judgment values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상호 대비의 결과, 상기 제1 판단값과 상기 제2 판단값 중 큰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에서 작은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로의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a moving direction of the beacon corresponding to a determination value having a small value at a position of the beac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value having a larger one of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as a result of the mutual contras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또한, 상기 제1 판단값은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이고, 상기 제2 판단값은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일 수 있다.Also,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values of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values of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또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내에서의 동일 시점에 대하여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감지된 정보를 누적값 계산시 제외할 수 있다.When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detected at the same time within the same time range,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incident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may be excluded in the cumulative value calculation.

또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는, 판단하고자 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을 이루며 배치되되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받고,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식별번호가 동일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판단값 간에 상호 대비를 통해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are arranged in a pai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to be determined, and are give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determination value based on the cumulative value of the sam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second beacons.

또한, 상기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하다가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이동방향의 판단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모두로부터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한 신호세기 정보를 제외하여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ceiving unit receive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from only one of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and receives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rom both of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moving direction is determined from any one of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before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both of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It can be judged by excluding the received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또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가 배치된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동선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간격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a gap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movement in a space where the first beacon portion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are disposed.

또한, 상기 소정의 간격은, 비콘의 신호세기 기반으로 계산된 사용자 단말과 비콘과의 거리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간격일 수 있다.Also, 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an interval within an error r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eacon calculated based on the beacon signal strength.

또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비콘을 기준으로 RSSI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를 Immediate, Near, Far 및 Unknown로 구분한 간격에서 Far 이상의 영역에서 감지된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based on the beacon,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detected in an area of Far or more in an interval in which the distance to the user terminal is divided into Immediate, Near, Far, The moving directio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two beacons.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의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상기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을 통해 판단된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방향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는 맞춤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맞춤형 정보를 외부에 설치된 정보제공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zing system, the 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through the user moving direction recognizing system And a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customized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he user terminal provided outside.

또한, 상기 맞춤형 정보 생성부는, 상기 맞춤형 정보로서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공적인 정보가 포함된 공적 맞춤형 정보 및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가 포함된 사적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정보제공장치로는 상기 이동방향에 따른 공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는 상기 이동방향에 따른 사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may include publicly-tailored information including public information that is determined to be not a problem with exposure to the outside as the customized information, and private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to be a problem in exposure to the outside And the providing unit provides the publicly-tailor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provides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름 및 상기 사용자의 동의하에 제공되는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ame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person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s consent.

또한, 상기 정보제공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기 맞춤형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속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방향과 무관한 진동치의 스칼라값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상황 판단 정보를 상기 이동방향 정보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link the situation determin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ased on the scalar value of the vibration value irrelevant to the direction measured through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of the user terminal to the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의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z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first and second beacon signals from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The first beacon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and the second beacon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detected during the same time range among the first beacon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beacon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a step of judging.

또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가 동시에 감지되는 시점을 상기 동일 시간범위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may recognize a point in time when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portion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portion are simultaneously sensed as the start point of the same time range.

또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비콘부 또는 상기 제2 비콘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또는 기설정된 신호세기 이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을 상기 동일 시간범위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to have entered a predetermined distance or a predetermined signal intensity from the first beacon unit or the second beacon unit, .

또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동안의 시간에 따른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1 판단값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2 판단값을 상호 대비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may include calculating a first determination value based on an accumulated value of the first coincident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time during the same time range and an accumulated value of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based on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또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상호 대비의 결과, 상기 제1 판단값과 상기 제2 판단값 중 큰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에서 작은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로의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may correspond to a determination value having a small value at a position of the beac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value having a larger one of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as a result of the mutual contras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user mov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osition of the beacon portion.

또한, 상기 제1 판단값은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이고, 상기 제2 판단값은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일 수 있다.Also,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values of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values of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또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내에서의 동일 시점에 대하여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감지된 정보를 누적값 계산시 제외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incident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incident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detected for the same time within the same time range, 1 < / RTI > same-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same-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may be excluded in the cumulative value calculation.

또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는, 판단하고자 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을 이루며 배치되되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받고,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식별번호가 동일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판단값 간에 상호 대비를 통해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are arranged in a pai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to be determined and are give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step of determining the movement direction comprises: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may determine the movement direction based on mutual contrast between the determination values based on the cumulative value of the sam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또한,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하다가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방향의 판단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모두로부터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한 신호세기 정보를 제외하여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ceiving step,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either the first beacon unit or the second beacon unit, and received from both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The determining of the moving direction may include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beacon and the second beacon before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both the first beacon and the second beacon,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received from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may be excluded.

또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가 배치된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동선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간격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a gap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movement in a space where the first beacon portion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are disposed.

또한, 상기 소정의 간격은, 비콘의 신호세기 기반으로 계산된 사용자 단말과 비콘과의 거리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간격일 수 있다.Also, 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an interval within an error r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eacon calculated based on the beacon signal strength.

또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비콘을 기준으로 RSSI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를 Immediate, Near, Far 및 Unknown로 구분한 간격에서 Far 이상의 영역에서 감지된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may include: determin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beacon based on the beacon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detected in an area exceeding Far in an interval in which the distance to the user terminal is divided into Immediate, Near, Far,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unit.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ask solution is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와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함으로써, 좁은 영역에서의 특정 스팟을 지나가는 사용자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sensed during the same time range from the first beacon portion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which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moves to a user passing through a specific spot in a narrow reg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가 특정 스팟에 구비된 한 쌍의 비콘을 향해 접근할 때, 사용자가 특정 스팟을 지나가기 이전에 이미 실시간 또는 실시간에 가깝게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이동방향을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가 해당 특정 스팟을 지나갈 때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pproaches a pair of beacons provided in a specific spot, the user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user's movement in real time or close to real time before passing the specific spo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customized information considering the determined moving direction immediately when the user passes the specific spot.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동방향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지 않는 공적인 정보가 포함된 공적 맞춤형 정보는 외부에 설치된 정보제공장치로 제공하고,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가 포함된 사적 맞춤형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정보의 특성을 고려해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provided outside, publicly-tailored information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to a user, the publicly- Personalized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which is considered to be a problem in exposure to the outsid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ereby providing a more suitable service to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와 제2 비콘부를 이용해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파악된 이동방향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기존 행동(또는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맞춤형 정보를 주변환경에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grasp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by using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o provide a customized service considering the detected moving direction , And the customized information can be adaptively provided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user's existing behavior (or movement).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2개의 비콘에 기초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이동방향에 따라 통상적으로 진행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동방향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미리 추정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ask resolution means,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that normally proceeds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user, which is grasped based on two beacons, or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in which the behavior of the user is estimated in advance based on the movement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비콘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시스템 구축시 사용자에게 별도의 금전적인 부담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내외 어디에든지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eacon-based services are provided, there is no financial burden to the user when constructing the system, an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eacon-based service anywhere indoors and outdoors regardless of the plac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기반의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내외의 공공장소에 비치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기반 안내시스템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영상기반 안내 시스템 등과 유기적으로 연동 가능한 인터렉티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간단한 앱 설치만으로 본원의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moving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gital signage, a voice-based guid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n interactive service that can be interlinked with an image-based guide system for the user can be provided, and the user can easily use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by installing a simple applica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동일한 식별번호가 부여된 한 쌍의 비콘부를 필요에 따라 여러대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비콘부와 같은 장치의 운영에 있어서의 확장성 및 유연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arrange a plurality of pairs of beacons with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as needed, the effect of expanding and flexibility in operation of a device such as a beacon is excellent hav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가 한 쌍의 비콘부(1, 2)의 근처를 지나갈 때 정보제공장치(20) 또는 사용자 단말(10)로 이동방향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그 즉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asses near the pair of beacons (1, 2), user-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is immediately sent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or the user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또한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Furth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한 쌍의 비콘부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동일 시간범위 동안에 한 쌍의 비콘부로부터 실측된 신호세기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한 쌍의 비콘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의 실측값 중 측정값이 누락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공적 맞춤형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맞춤형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pair of beacons used in a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a user terminal in a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intensity values measured from a pair of beacons during the same time range in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measured value among measured values of signal intensities sensed from a pair of beacons in a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issing.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publicly-tailored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of recognizing a user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intended to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op", "top", "under", "bottom"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원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비콘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하게 판단한 후, 판단된 이동방향에 따라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고, 맞춤형 정보 중에서도 공적 맞춤형 정보는 외부에 설치된 정보제공장치로 제공하고 사적 맞춤형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원은 사용자의 이동방향에 기초하여 각종 인터랙티브한 서비스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기존 행동에 방해없이 엠비언트적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direction of a user is accurately determined using a pair of beacon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ustomized information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moving direction, and among the customized information, publicly- And provides personaliz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interactive services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nd can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in an ambient manner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existing behavior of the user.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수신부(110) 및 이동방향 판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ption unit 110 and a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과는 별도의 시스템(예를 들어, 후술할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서버를 의미할 수 있음)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과는 별도의 시스템인 서버(일예로, 후술할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해당 서버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a user terminal or may be a system separate from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a server as a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 be described later) . ≪ / RTI >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is included in a user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ccordingly,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can be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When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is included in a server (for example, a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a system separate from the user terminal as described above, .

수신부(11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도 2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sens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which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is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from Fig.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서 이용되는 한 쌍의 비콘부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pair of beacon units used in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한 쌍의 비콘부(1, 2)는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는 소정의 간격(r1)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pair of beacons 1 and 2 applied to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eacon unit 1 and a second beacon unit 2, And the first beacon portion 1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r1.

여기서, 소정의 간격(r1)은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가 배치된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동선(또는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나란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비콘부(1, 2)가 배치된 공간이 수평한 이동경로를 갖는 일반적인 복도 등인 경우,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는 이러한 복도와 같이 수평한 이동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일예에서는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가 복도의 벽면 등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는 복도 외에도 골목, 육교, 지하철 등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감지하고자 하는 다양한 공간(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간격(r1)은 비콘부(1, 2)의 신호세기 기반으로 계산된 사용자 단말(10)과 비콘부(1, 2)와의 거리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간격일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interval r1 means an interva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arallel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movement line (or movement path) in the space where the first beacon portion 1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2 are arranged can do. For example, when the space in which the pair of beacons 1 and 2 are arranged is a general hallway or the like having a horizontal movement path, the first beacon portion 1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2 are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hallway And may b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In the example of Fig. 2,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are provided on a wall surface of a corridor or the like, and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In addition, it can be arranged in various spaces (places) for sensing the moving direction of a user such as an alley, a bridge, a subway, and the like. The predetermined interval r1 may be an interval within an error r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beacons 1 and 2 calculat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cons 1 and 2. [

전술한 바와 같이, 비콘은 신호세기에 따라 Immediate, Near, Far 및 Unknown로 영역(거리 범위)을 크게 구분하고 있을 뿐, 예를 들어 Far 영역 내에서는 정확한 거리 계산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본원의 비콘부(1,2)는 이처럼 거리 계산 상의 오차 범위 이내에 배치되어 정확한 거리 판단 또는 이동 방향 판단이 어려운 경우에도 그 이동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사용자 이동 방향 인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한 쌍의 비콘부(1, 2)를 수미터 이내에 가까이 배치하면 한 쌍의 비콘부(1, 2)가 배치된 특정 스팟에서의 이동방향을 명확히 감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복수의 비콘들이 수십미터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었기에 사용자가 수십미터에 걸쳐 이동하고 나면 동선을 결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뿐이었지만, 본원에 의하면 특정 스팟에서의 이동방향을 실시간 또는 실시간에 가깝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beacon greatly divides the area (distance range) into Immediate, Near, Far, and Unknown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For example, in the Far area, accurate calculation of the distance is difficult. The beacons (1, 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distance calculation to provide a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which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direction of movement even when accurate distance determination or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is difficult. By arranging the pair of beacons 1 and 2 within a few meters, it is possible to clearly detec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air of beacons 1 and 2 at a specific spot. Conventionally, since a plurality of beacon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several tens of meters, the user can only estimate a copper wire once the user has traveled for several tens of meter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travel at a specific spot is close to real time or real tim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이러한 한 쌍의 비콘부(1, 2)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소정의 간격(r1)으로서 수미터 이내의 가까운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일예로, 소정의 간격(r1)은 2.4m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콘부(1, 2)는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air of beacons 1 and 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r1 within a few meters to be a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May be 2.4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eacons 1 and 2 may be BLE (Bluetooth Low Energy) beacon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사이에는 후술할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정보제공장치(20)가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정보제공장치(20)는 디지털사이니지(Digital Signage)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Between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capable of displaying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ed by a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may be a digital signage, but not limited thereto, may include all devices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사용자 단말(1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i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guaranteed to be portable and mobility and can be used a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a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A SmartPad, a tablet PC, a notebook, a wearable device, and the like.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incidence time information that are detected during the same time period among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unit 2,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user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is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10 in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이 제1 비콘부(1)를 지나 제2 비콘부(2)가 배치된 위치의 방향(일예로, 도 3의 도면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했을 때,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각각과 사용자 단말(10) 간에 수신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의 변화 그래프를 나타낸다.3, the user terminal 10 includes a first beacon unit 1 and a second beacon unit 2 in a state where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irst beacon portion 1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2 are assum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beacon portion 2 is disposed (for example, from left to right in the drawing of Fig. 3)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between each user terminal 10 and each of the mobile stations 10 and 20.

구체적으로, S1 그래프는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시 사용자 단말(10)에 의하여 감지된 사용자 단말(10)과 제1 비콘부(1) 간에 거리에 따른 이상적인 비콘신호세기의 변화 그래프로서, 달리 표현하여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를 나타내며, S2 그래프는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시 사용자 단말(10)에 의하여 감지된 사용자 단말(10)과 제2 비콘부(2) 간에 거리에 따른 이상적인 비콘신호세기의 변화 그래프로서, 달리 표현하여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를 나타낸다. 이상적으로는 도 3의 그래프와 같이 사용자 단말(10)과 비콘부(1, 2) 간에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신호세기(RSSI)는 강하게 나타나고, 사용자 단말(10)과 비콘부(1, 2) 간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세기는 약하게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비콘 신호가 주변 환경 등 여러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음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에 의하여 측정된 비콘부(1, 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세기의 측정값에는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Specifically, the graph S1 is a graph of a change in an ideal beacon signal intensity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first beacon portion 1 sensed by the user terminal 10 when the user terminal 10 is moved, The graph of S2 indic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2 sensed by the user terminal 10 during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10. [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unit 2 is expressed differently. Ideally,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3,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beacons 1 and 2 approaches, the signal strength RSSI becomes stronger and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beacons 1, As the distance increases, the signal strength will become weaker. However, in reality, as the beacon signal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 may be an error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signal intensity generated from the beacons 1 and 2 measured by the user terminal 1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한편, 일반적으로 비콘 신호의 경우, 이상적으로는 약 70m까지 도달하고,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약 50m 까지 도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비콘 신호의 최대 전송거리를 고려하고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가 소정의 간격(r1)을 두고 배치되는 점을 고려하면, 사용자 단말(10)이 도 3에서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먼저 소정의 시간 동안에는 제1 비콘부(1)로부터 발생되는 신호(S1a)만 감지하고, 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에는 제1 비콘부(1)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와 제2 비콘부(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동시에 감지하고, 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에는 제2 비콘부(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만 감지하고, 이후 소정의 시간 이후에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모두 감지하지 못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beacon signal reaches an ideal of about 70 m and reaches about 50 m in a normal environment. Considering that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r1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beacon signal, The user terminal 10 first senses only the signal S1a generat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outputs the signal S1a generat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1) and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econd beacon unit (2), detects only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econd beacon unit (2)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will not be able to detect all signals.

이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 정보(S1, S2)를 전부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S1)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S2) 중에서 동일 시간범위(tsame) 동안에 감지된 신호세기 정보(S1b, S2b)만을 이용해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시간범위(tsame)라 함은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S1)와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S2)가 동시에 감지되는 시간범위 중에서도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고려되는 시간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신호세기 정보(S1b, S2b) 중에서 S1b는 제1 비콘부(1)로부터 감지된 정보로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라 할 수 있고, S2b는 제2 비콘부(2)로부터 감지된 신호로서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라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user based on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S1 and S2 sens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S1 detected during the same time range t same among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S1 of the first beacon portion 1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S2 of the second beacon portion 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by using only the slits S1b and S2b. Here, the same time range ( t.sub.ame ) refers to a time range during which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S1 of the first beacon portion 1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S2 of the second beacon portion 2 are simultaneously detected. It may mean a time rang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1b and S2b sensed during the same time range, S1b may b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as the first coincident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S2b may be the second beacon unit 2) as the second same-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S1)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S2)가 동시에 감지되는 시점(A)을 동일 시간범위(tsame)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사용자 단말(10)이 제1 비콘부(1) 또는 제2 비콘부(2)로부터 기설정된 거리(r2) 또는 기설정된 신호세기 이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B)을 동일 시간범위(tsame)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A 시점은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고려되는 동일 시간범위(tsame)의 시작 시점을 의미하고, B 시점은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고려되는 동일 시간범위(tsame)의 종료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a point A at which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S1 of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S2 of the second beacon unit 2 are simultaneously detected It can be recognized as the start time of the time range (t same ).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or the second beacon unit 2 (B) can be recognized as the end time of the same time range (t same ). Here, A point refers to the start time of the same time range (t same) ar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user's direction of movement, and B the time refers to the end of the same time range (t same) ar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user's direction of movement can do.

도 3의 일예에서는 동일 시간범위(tsame)의 시작 시점(A)과 종료시점(B)의 표시 및 기설정된 거리(r2) 등에 대한 표시를 제1 비콘부(1)를 기준으로만 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논리는 제2 비콘부(2)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즉, 이러한 논리는 사용자 단말(10)이 제2 비콘부(2)를 지나 제1 비콘부(1)가 배치된 위치의 방향(일예로, 도 3의 도면 상에서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3, the display of the starting time point A and the ending time point B of the same time range t same and the display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are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first beacon unit 1 as a referen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ame logic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second beacon unit 2 is used as a reference. That is, this logic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user terminal 10 moves through the second beacon portion 2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beacon portion 1 is disposed (for example, from the right to the left in the drawing of Fig. 3)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same cas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일 시간범위(tsame)의 종료 시점(B)에 기준이 되는 기설정된 거리(r2)가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각각을 기준으로 하여 정의된 거리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설정된 거리(r2)가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 사이에 배치된 정보제공장치(20)를 기준으로 하여 정의된 거리일 수 있다. 일예로, 기설정된 거리(r2)는 반경 3m일 수 있다.The first beacon portion 1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2 may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r2 that is a reference to the end time B of the same time range t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may be a distance defined between the first beacon portion 1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 may be a distance def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 dispo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may be a radius of 3 m.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동일 시간범위(tsame) 동안의 시간에 따른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1 판단값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2 판단값을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판단값은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의 누적값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제2 판단값은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의 누적값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제1 판단값 및 제2 판단값은 이로만 한정된 것은 아니고 누적값 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may determine a first determination value and a second sam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S2b based on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first coincidenc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b according to the time during the same time range t same ,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based on the cumulative value of the user can be determined to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Here, the first judgment value means an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value of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 1 b and the second judgment value may mean the mean value of the cumulative value of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 2 b have. However, the first judgment value and the second judgment value are not limited to this but may mean the cumulative value itself.

또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판단값과 제2 판단값의 상호 대비 결과, 제1 판단값과 제2 판단값 중 큰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에서 작은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로의 방향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평균값이 제2 평균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평균값에 대응하는 제1 비콘부(1)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제2 평균값에 대응하는 제2 비콘부(2)가 배치된 위치로의 방향(즉, 도 2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may determine a small value at a position of the beacon corresponding to a determination value having a larger one of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as a result of mutual comparison of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mov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osition of the beacon corresponding to the judgment value.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average value is larger than the second average value,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first beacon unit 1 corresponding to the first average value corresponds to the second average valu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user moves in the direction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beacon unit 2 is disposed (i.e., from left to right as shown in FIG. 2).

구체적으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동일 시간범위(tsame) 동안에 제1 비콘부(1)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RSSI) 값들의 누적값, 즉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의 누적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누적값의 평균값(이하 제1 평균값이라 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동일 시간범위(tsame) 동안에 제2 비콘부(2)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RSSI) 값들의 누적값, 즉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의 누적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누적값의 평균값(이하 제2 평균값이라 함)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평균값과 제2 평균값을 상호 대비를 통해, 더 큰 평균값을 가지는 비콘부의 위치에서 더 작은 평균값을 가지는 비콘부의 위치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방향 판단부(120)가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신호세기(RSSI) 값의 누적값 또는 누적값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이유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umulative value of the RSSI values sens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during the same time range t same , that is,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1b,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value calculated after calculating the cumulative value of the cumulative value of the cumulative value. In addition,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umulative value of the RSSI values detected from the second beacon unit 2 during the same time range t same , i.e., the cumulative value of the second sam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S2b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average value ") of the cumulative value calculated after the value is calculated. Then,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moves from the position of the beacon unit having the larger average value to the position of the beacon unit having the smaller average value through the mutual contrast between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second mean value . The reason why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signal strength (RSSI) value or the average value of the accumulated value when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is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동일 시간범위 동안에 한 쌍의 비콘부로부터 실측된 신호세기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달리 표현하여, 도 4는, 일예로 도 3과 같은 상황일 때 동일 시간범위(tsame) 동안에 시간에 따라 실측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와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를 나타낸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intensity values measured from a pair of beacons during the same time range in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FIG. 4 shows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 1 b and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 2 b (FIG. 3) measured in time during the same time range t same , for example, ).

도 4를 참조하면, 이상적으로는 사용자 단말(10)이 제2 비콘부(2) 보다 제1 비콘부(1)에 더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측정값(S1b)이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측정값(S2b)보다 항상 더 크게 측정되어야 정상이지만, 실측 정보에서는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측정값(S1b)과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측정값(S2b)이 각 시간대별로 비교했을 때 그 값이 같거나 역전되는 경우(즉,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측정값인 S2b가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측정값인 S1b 보다 더 크게 측정되는 경우)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두 비콘부(1, 2)로부터 매 순간 측정된 신호세기 값의 비교 만으로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4, ideally, because the user terminal 10 is positioned closer to the first beacon portion 1 than the second beacon portion 2, 2 time-signal strength measurement value (S2b), it is normal that the first same-tim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value (S1b) and the second same-tim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value (S2b) (That is, when the second coincident tim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value S2b is measur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value S1b) exists. According to this,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only by comparing the signal intensity values measured at each moment from the two beacons 1 and 2. [

따라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두 비콘부(1, 2)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 측정값에 오차가 존재하더라도, 제1 비콘부(1)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가 제2 비콘부(2)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 보다 전반적으로 강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단순히 매순간 측정된 신호세기(RSSI) 값 만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된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eacon units 1 and 2 based on the signal intensity detect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Is not stronger than the signal intensity detected from the second beacon unit 2, and instead of comparing only the signal intensity (RSSI) value measured every moment, the average valu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또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동일 시간범위(tsame) 내에서의 동일 시점에 대하여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 중 적어도 하나가 미감지(또는 누락)되는 경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 중 미감지된 정보가 존재하는 동일 시점에서 감지된 정보를 누적값 계산시 제외할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first coincident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 1 b and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 b at the same time point within the same time range t same S2b are not detected (or missing), information detected at the same point in time that the unrecognized information exists among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1b) and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2b) Can be excluded when calculating the cumulative value. This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한 쌍의 비콘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의 실측값 중 측정값이 누락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달리 표현하여, 도 5는 일예로 도 3과 같은 상황일 때 동일 시간범위(tsame) 동안에 시간에 따라 실측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와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이 실제로 이동하면서 한 쌍의 비콘부(1, 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신호세기(RSSI) 값을 1초 간격으로 측정한 값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measured value among measured values of signal intensities sensed from a pair of beacons in a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issing. In other words, FIG. 5 illustrates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 1 b and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 2 b measured over time during the same time range t same , for example, In more detail, an example of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RSSI) value of a signal generated from a pair of beacons 1 and 2 at intervals of 1 second while the user terminal 10 actually moves FIG.

도 5를 참조하면, 이상적으로는 사용자 단말(10)이 매 초마다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값을 모두 감지해야 정상이지만, 실측 정보에서는 비콘 신호가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음에 따라 일부 신호세기 값이 누락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초, 2초 및 14초에서는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값만 감지되고, 3초 내지 7초 동안에는 두 비콘부(1, 2)의 신호세기 값이 모두 감지되지 않았으며, 8초 내지 10초 동안에는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값만 감지되고, 11초 내지 13초 동안에는 두 비콘부(1, 2)의 신호세기 값이 모두 감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5, ideally, the user terminal 10 should detect the signal intensity values of the first beacon portion 1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2 every second, but in the actual information, the beacon signal It can be confirmed that some signal strength values are miss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pecifically, only the signal intensity value of the first beacon portion 1 is detected at 1 second, 2 seconds, and 14 seconds, and the signal intensity values of the two beacons 1 and 2 are not detected for 3 to 7 seconds , Only the signal intensity value of the second beacon unit 2 is sensed for 8 to 10 seconds and that the signal intensity values of the two beacons 1 and 2 are sensed for 11 to 13 seconds.

이때,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값이 모두 감지되지 않거나(즉, 모두 누락되거나) 둘 중 어느 하나만 감지된 경우에는, 해당 시점에 감지된 신호세기 값을 이동방향 판단을 위한 누적값 계산 시 제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값이 모두 감지된 경우에만 해당 값을 이동방향 판단을 위한 누적값 계산시 고려할 수 있다. 즉,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1초 내지 10초 및 제14초에 감지된 비콘의 신호세기 값은 누적값 계산시 제외하고, 11초 내지 13초에 감지된 비콘의 신호세기 값은 누적값 계산시 고려할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 각각에 대한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 이후 두 평균값 간의 비교를 통해 이동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signal strength values of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are not detected (that is, all of them are missing) or only one of them is detected, The signal strength value detected at the time point can be excluded when calculating the cumulative value for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considers the value only when the signal intensity values of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are detected in the calculation of the cumulative value for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 That is,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excludes the beacon signal intensity values sensed at 1 second to 10 seconds and 14th seconds in the cumulative value calculation, and the signal intensity values of the beacons sensed at 11 to 13 seconds are accumulated Can be considered when calculating the value.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the accumulated values of the signal intensity values for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can do.

한편,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는, 판단하고자 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을 이루며 배치되어 동일한 식별번호(달리 표현하여, 공통 서비스 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식별번호가 동일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 S2b)의 누적값에 기반한 판단값 간에 상호 대비를 통해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may be arranged in a pair in correspondence with the movement direction to be determined, and may be give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differently, a common service number) . Then,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a movement direc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sam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1b, S2b) received from each of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The direction of movement can be determined through mutual contrast between the two.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내에는 비콘부에 대한 고유 식별ID로서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에 부여된 동일한 식별번호에 관한 정보 외에도, 다른 복수의 비콘쌍들에 부여된 식별번호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내에는 한 쌍의 비콘부(1, 2)에 대한 식별번호 외에도 그와 연계된 정보제공장치(20)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may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not shown). In the database, a first beacon unit 1 and a second beacon unit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the other beacon pairs, an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the other plurality of beacon pairs, and the like may be stored.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air of beacons 1 and 2, information on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associated therewith may be stored together in the database.

구체적으로, 특정 영역에 배치된 한 쌍의 비콘부(1, 2) 측으로 사용자가 이동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해당 한 쌍의 비콘부(1, 2)에는 동일한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비콘부(1, 2)와는 다른 한 쌍의 비콘부에는 상기의 한 쌍의 비콘부(1, 2)에 부여된 식별번호와는 구분되는 다른 식별번호가 동일하게 부여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moving to a pair of beacon units 1 and 2 disposed in a specific area,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may be given to the pair of beacon units 1 and 2, The pair of beacons different from the pair of beacons 1 and 2 may be give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different from the identification number given to the pair of beacons 1 and 2 .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110) 및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되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는 사용자 단말(10)과는 별도의 서버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110), 이동방향 판단부(120) 및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모두 서버에 구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unit 110 and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ing unit 120 are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0, the database (not shown) is provided in a server separate from the user terminal 1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unit 110,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ing unit 120, and a database (not shown) may all be provided in the server.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서는 한 쌍의 비콘부(1, 2)와 한 쌍의 비콘부(1, 2) 사이에 배치된 정보제공장치(20)는 한 세트(set)의 서비스 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한 세트를 이루는 서비스 장치는 예를 들어, 지하철 역사와 같은 공간에서 이동방향의 판단이 필요한 영역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한 세트의 서비스 장치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비스 장치 각각에는 동일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각기 다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 지하철역 벽면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에 상기와 같은 복수의 서비스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각각의 사이니지 화면마다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서는, 필요에 따라 서비스 장치의 수를 늘리는 것과 같은 장치 운영에 있어서의 확장성 및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In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disposed between a pair of beacons 1 and 2 and a pair of beacons 1 and 2 includes a set and may be provided as a service apparatus of a set. At this time, the service apparatus constituting such a set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areas requiring judgment of the moving direction in a space such as the history of the subway. That is, a plurality of service apparatuses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rvice apparatuses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service, or different services may be provided.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service apparatuses are applied to a plurality of digital signage arranged along a wall of a subway station, the same service may be provided for each of the signage screens, or a different service may be provided. Thus, in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lability and flexibility in operation of the apparatus, such as increasing the number of service apparatuses as necessary, can be ensured.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두 비콘부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 경우, 두 비콘부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 각각이 동일한 식별번호(달리 표현하여, 공통 서비스 번호)를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수신한 비콘신호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가질 경우, 해당 시점부터 두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을 사용자 단말(10)이 기설정된 거리(r2) 이내에 진입하기 전까지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사용자 단말(r2)이 기설정된 거리(r2) 이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두 비콘부 각각에 대하여 현재까지 누적된 신호세기 값에 대한 평균을 산출한 후, 두 값을 비교함으로써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두 비콘부로부터 감지된 비콘신호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지 않는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동일한 식별번호를 가진 두 비콘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먼저 수신한 비콘신호에 대한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two beacons,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can confirm whether each of the beacons received from the two beacons has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differently, a common service number). When the received beacon signal has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signal strength values received from each of the two beacons from the corresponding point of time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by the user terminal 10,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before entering. Thereaf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r2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calculates an average of the signal intensity values accumulated up to the present time for each of the two beacons , The moving direction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two values. If the beacon signals detected from the two beacon units do not have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달리 표현하여, 수신부(110)가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하다가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이동방향의 판단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모두로부터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한 신호세기 정보를 제외하여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하나의 비콘부로부터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신호의 신호세기 값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누적값을 계산할 수 있는데, 이때, 소정 시간 이후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로부터 동시에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두 비콘부(1, 2)로부터 동시에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계산되었던 누적값은 삭제하고, 두 비콘부(1, 2)로부터 동시에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두 비콘부(1, 2)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누적값은 사용자 단말(2)이 기설정된 거리(r2) 내에 진입하기 전까지 실시간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 단말이(2) 기설정된 거리(r2)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두 비콘부(1, 2) 각각에 대하여 계산된 누적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해당 평균값의 비교를 통해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10 only from either the first beacon unit 1 or the second beacon unit 2,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rom both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is &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received from only one of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may be excluded before being received. Specifically, 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one beacon unit,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may calculate an accumulated value in real time with respect to the signal intensity value of the corresponding beacon signal. At this time, When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simultaneously received from the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calculate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eacon unit 1, And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signal intensity values detected from the two beacons 1 and 2 can be calculated from the time when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is simultaneously received from the two beacons 1 and 2. [ At this time, the accumulated value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until the user terminal 2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2,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has entered (2)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The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may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the accumulated values calculated for each of the two beacons 1 and 2 and determine the direction of movement by comparing the average values.

예를 들어, 소정의 공간에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받은 한 쌍의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 외에 다른 식별번호를 부여받은 제3 비콘부(미도시)가 한 쌍의 비콘부(1, 2)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For example, a pair of first beacons 1 and second beacons 2, which have been give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in a predetermined space, are provided with a pair of third beacons (not shown) The beacon units 1 and 2 are located at positions close to each other.

이때, 사용자 단말(10)이 소정의 공간을 지나가면서 제1 비콘부(1)의 비콘신호를 먼저 수신한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수신부(110)가 제3 비콘부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와 제3 비콘부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비콘부와 제2 비콘부는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지 않으므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와 제3 비콘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 값을 각각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수신부(110)가 제2 비콘부(2)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기존에 수신하고 있던 제1 비콘부(1)와 제3 비콘부의 신호 중에서 제2 비콘부(2)의 신호와 동일한 식별번호(공통 서비스 번호)를 갖는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초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가 동일한 식별번호(공통 서비스 번호)를 가지므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전에 계산된 누적값들(즉, 제1 비콘부(1)와 제3 비콘부의 누적값)은 초기화(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두 비콘(1, 2)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세기 값에 대한 누적값을 계산하되, 사용자 단말(2)이 기설정된 거리(r2) 이내에 진입하기 전까지 누적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이 기설정된 거리(r2) 이내의 진입 여부에 기초하여 누적값에 대한 평균값의 상호 대비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10 receives the beacon signal of the first beacon unit 1 while passing through the predetermined space,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value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If the receiving unit 110 receives a beacon signal from the third beacon unit,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ing unit 120 may check whether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third beacon unit have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Since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do not have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may accumulate and store the signal intensity values detect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third beacon unit, respectively. When the receiving unit 110 receives the beacon signal from the second beacon unit 2,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third beacon signal are received, Whether or not there is a signal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common service number) as the signal of the beacon unit 2 can be confirmed based on a database (not shown).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have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common service number),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have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I.e., the accumulated values of the first beacon portion 1 and the third beacon portion) calculated before the point in time when the signal is simultaneously received from the first beacon portion 2 may be initialized (or deleted).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eacons 1 and 2 based on the cumulative value of the signal intensity value received from each of the two beacons 1 and 2 from the time when the signals are simultaneously receiv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 , But can calculate the cumulative value until the user terminal 2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2. Then,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can determin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user through the mutual contrast of the average values of the accumulated values based on whether or not the movement is within the preset distance r2.

또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비콘부(1, 2)를 기준으로 RSSI에 따라 사용자 단말(10)과의 거리를 Immediate, Near, Far 및 Unknown로 구분한 간격에서 Far 이상의 영역에서 감지된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10 is Far or Far in an interval where the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10 is divided into Immediate, Near, Far, and Unknown based on the beacon units 1 and 2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unit 2. [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는 비콘과 사용자 단말(10) 간에 거리가 신호세기 값에 따라 대략적으로 4가지의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비콘을 기준으로 약 20cm까지는 Immediate 거리, 약 2 ~ 3m 까지는 Near 거리, 약 50 ~ 70m까지는 Far 거리, 신호가 감지되나 거리를 특정할 수 없을 경우 Unknown 거리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the distance between the beacon and the user terminal 10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four cases according to the signal intensity value, and the distance from the beacon to the user terminal 10 is about Immediate to about 20 cm, , Far distance up to about 50 ~ 70m, Unknown distance when signal can be detected but distance can not be specified.

이때,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4가지의 경우로 구분된 거리에 기초하여 하나의 비콘과 사용자 단말(10) 간에 신호세기에 따라 거리값을 산출하기 때문에, Far의 거리 범위가 대략적으로 3m 내지 70m 까지의 광범위한 범위로 인식되고 비콘신호에는 방향성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종래기술을 통해서는 특정 스팟을 지나가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즉각적이고 정확하게 판단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In this case, since the distance valu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ignal intensity between one beacon and the user terminal 10 based on the distances classified into the four cases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range of Far is approximately 3m to 70m And that there is no directionality in the beacon signal, it has been difficult to determine immediately and accurately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 user passing through a specific spot through this conventional technique.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 비콘 기반의 서비스는 비콘과 비콘 사이의 간격이 상당히 먼 거리(대략적으로, 수십 미터 이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하나의 비콘에 대하여 4가지로 구분된 거리의 경계를 in/out 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하나의 비콘이 감지 가능한 영역에서 다른 비콘이 감지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한해서 사용자의 이동방향(또는 이동 경향)을 광역에서 대략적으로만 판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두 비콘 사이의 간격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대략적으로만 판단할 수 있을 뿐이다.More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since a beacon-based service is install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approximately, several tens of meters or more) between the beacons and the beacons, (Or moving tendency) of the user can be detected in a wide area only when the boundary of the four distances is in / out or when the user moves from one beacon detectable area to another beacon detectable area I could only judge it roughly. Thus, if the distance between two beacons is far apart, the user can only roughly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또한, 비콘 2개를 서로 신호가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하더라도 Far에 해당하는 거리 범위가 대략 3 m 내지 70 m로 상당히 넓어서, 2개 비콘이 공통적으로 Far의 거리 범위라고 인식하는 중첩 영역에서 사용자가 이동중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할 것이므로, 해당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파악하기 어려운 측면(2개의 비콘 모두 Far로만 인식)이 있었다.Even if two beacons are arranged so as to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the distance range corresponding to Far is considerably wide, approximately 3 m to 70 m, so that when the user moves in an overlapped area in which two beacons are commonly regarded as the distance range of Far ,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only two beacons are recognized as Far).

즉, 종래 기술을 통해서는 특정 스팟에서의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상당히 불명확하고 신뢰도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Far 거리 범위 내에서 Near 거리로 접근 중인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termina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t a specific spot is considerably unclear and the reliability is low. On the other hand,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pproaching the near distance within the Far distance rang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한 쌍의 비콘부(1, 2)의 인근을 지나가기 이전에, 즉 기설정된 거리(r2) 내에 진입하기 이전에, 이미 사용자 단말(10)의 동선에 따른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에 기초하여 이동방향을 추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쌍의 비콘부(1, 2)의 인근을 지나갈 때 이동방향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하고자 하여 도출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이 기설정된 거리(r2) 내에 진입하기 이전에 실시간 또는 실시간에 거의 근접하도록 즉각적인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설정된 거리(r2)는 대략적으로 Near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z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user's moving direction before the user passes the vicinity of the pair of beacons 1 and 2 or enters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By estimating the moving direction based on the cumulative value of the signal intensity values according to the copper wire of the user terminal 10, 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when the user passes the vicinity of the pair of beacons 1, As a result, Accordingly,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can determine an instantaneous movement direction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terminal 10 comes close to real time or real time before enter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The set distance r2 may mean a near distance.

이 때, 신호세기 값의 누적을 종료하고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지점(기설정된 거리(r2))은 사용자 단말(10)의 신호 인식 주기(예를 들면, 애플사의 IOS의 경우 1초로 고정이고, 구글사의 안드로이드의 경우 적어도 0.5초 이상의 주기 중 원하는 주기를 설정 가능)와 신호세기 값이 주로 신호세기가 약해지는 방향(비콘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튀는(오차가 발생하는) 경향성과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고려하며, 비콘부(1,2) 사이에 설치되는 정보제공장치(2) 앞을 지나치기 전에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여 여기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과 비콘부가 대략적으로 3m~5m 떨어진 위치로 정하는 것이 최적이다. 다만, 이러한 기설정된 거리(r2)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경 및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정한 위치에서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해 해당 지점에서 사용자 단말에 입감(감지)되는 비콘부 신호세기 값을 도출(예를 들면, 평균값)해 내고 이 값을 역치(threshold)로 두어 실제 사용시 사용자 단말에 입감(감지)되는 신호가 이보다 강하면 신호세기 값의 누적을 종료하고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oint (predetermined distance r2) for terminating the accumulation of the signal intensity value and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is fixed to the signal recognition period of the user terminal 10 (for example, 1 second for Apple's IOS, Google's Android can set a desired period of at least 0.5 second) and the tendency of the signal strength value to jump out of the direction of the signal intensity (direction away from the beacon) In order to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before pass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 installed between the beacons 1 and 2 and to provide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user, It is best to set it to a position 5m away. However,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purpose. Therefore,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a beacon signal intensity value sensed (sensed) by the user terminal at a predetermined point through several experiment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 If this value is set to a threshold value and the signal detected (sensed) by the user terminal is stronger in actual use, the accumulation of the signal strength value can be terminated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지점인 거리 r2에 대응하는 신호세기(RSSI) 값이 x로 설정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이 거리 r2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신호세기 값이 x보다 큰 값이 측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r2 이내의 위치에서의 신호세기 값이 x보다 작은 값으로 측정되는 경향성을 보이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거리 r2 이내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면 x 이상의 신호세기 값이 측정되면서 신호세기 값의 누적이 중단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신호세기 값이 여전히 x보다 작은 값으로 측정되면서 아직 3 m보다 먼 거리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신호세기 값의 누적이 중단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suppose that the signal strength (RSSI)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r2, which is the point at which the moving direction is determined, is set to x. In this case, when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distance r2, although the signal strength value is measured to be larger than x, a signal strength value at a position within r2 is measured as a value smaller than x . That is, 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within the distance r2, although the signal strength value is measured as a value smaller than x, although the signal strength value of x or more is measured and the accumulation of the signal strength value should be stopp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located, and an error that the accumulation of the signal strength value is not interrupted may occur.

이러한 오류(오차)로 인해 신호세기 값의 누적이 중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이 한 쌍의 비콘부 사이로 진입하게 되면, 한 쌍의 비콘부 중 사용자 단말이 지나쳐 간 비콘부(예를 들면 제1 비콘부)에 대해서는 신호세기가 오히려 점점 약해지는 방향으로 신호세기 누적(역방향 누적)이 이루어지고, 사용자 단말이 아직 도달하지 않은 비콘부(예를 들면 제2 비콘부)에 대해서는 신호세기가 여전히 점점 강해지는 방향으로 신호세기 누적(정방향 누적)이 이루어지게 되어, 이동방향 판단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오히려 낮아질 수 있다.If the user terminal enters a pair of beacon units in a state where the accumulation of the signal strength values is not interrupted due to such error (error), the beacon unit passed by the user terminal among the pair of beacon units (Reverse accumulation) is per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ignal intensity becomes weaker and weaker with respect to the beacon portion (for example, the second beacon portion) The signal intensity accumulation (forward accumulation)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stronger, and the reliability in the judgment of the moving direction can be rather lowered.

이에 따라, 기설정된 거리(r2)(신호세기 누적 종료 지점)는 신호세기 측정 오차의 상기와 같은 경향성 및 사람의 일반적인 도보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한 쌍의 비콘부 사이에서 신호세기의 누적이 종료되거나, 한 쌍의 비콘부를 모두 지나쳐 간 상태에서 신호세기의 누적이 종료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여유치를 두고 설정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accumulation end point of the signal strength) is determined such that the accumulation of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pair of beacon units is comple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tendency of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error and the general walking speed of the person. Or a predetermined margin value is set in a direction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the signal strength from being terminated in a state where the pair of beacons are passed all over.

상기 소정의 여유치는 3 m 내지 5 m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대략 3 km/h 내지 5 km/h(평균 4 km/h)의 속도로 도보 이동한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3 km/h의 속력으로 걷는 사람은 초당 약 0.833 m를 이동하고, 5 km/h의 속력으로 걷는 사람은 초당 약 1.389 m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이 비콘신호를 인식하는 신호 인식 주기는 1초 가량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신호세기 값이 더 약하게 측정되는 경향성을 보이는 오차를 극복하고 사용자 단말이 한 쌍의 비콘부 중 어느 하나에도 도달하기 전에 신호세기 누적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이 비콘신호를 적어도 3회 인식하고 판단할 기회를 부여함이 바람직하다. 즉, 기설정된 거리(r2)는 2.499 m(0.833 m/sec[느리게 걷는 사람의 도보 이동 속도] X 1 sec[일반적인 신호 인식 주기; 애플사의 Ibeacon 기준] X 3회) 내지 4.14 m(1.389[빠르게 걷는 사람의 도보 이동 속도] X 1 sec X 3회] 정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소숫자리 올림 처리를 하여 보다 여유치를 두면, 기설정된 거리(r2)는 3 m 내지 5 m임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margin value may be 3 m to 5 m. Generally, a person is known to walk at a speed of about 3 km / h to 5 km / h (average 4 km / h). Specifically, a person walking at a speed of 3 km / h moves about 0.833 meters per second, and a person walking at a speed of 5 km / h can move about 1.389 meters per second. Also,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recognition period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 recognizes the beacon signal may be about one second. Under such condi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error that the signal strength value is more likely to be measured weakly and to terminate the signal strength accumulation before the user terminal reaches any one of the pair of beacons,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 beacon signal at least three It is desirable to give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and judge the society. That is,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is 2.499 m (0.833 m / sec [walking speed of the person walking slowly] X 1 sec (general signal recognition period; Ibeacon standard of Apple X 3 times) It is preferable that the walking distance of the walking person is set to about X 1 sec X 3 times], and if the margin is raised by performing the small number re-rounding process, the predetermined distance r 2 is preferably 3 m to 5 m have.

이후, 본원은 후술할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판단된 이동방향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맞춤형 정보를 한 쌍의 비콘부(1, 2) 사이에 위치한 정보제공장치(20) 또는 사용자 단말(10)로 즉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비콘부(1, 2)의 근처를 지나가는 사용자에게 즉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한 쌍의 비콘부(1, 2)의 근처를 지나갈 때 정보제공장치(20) 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이동방향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그 즉시 제공받을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ailor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ed by the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 be described late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ustomized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or the user 20 located between the pair of beacons 1,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provide the customiz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0, thereby providing the customized information immediately to the user passing near the pair of beacons 1, 2. That is, the user can immediately receive the user-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 or the user terminal 10 when passing the vicinity of the pair of beacons 1, 2.

이하에서는 상기의 설명을 기반으로 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echniques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수신부(610), 이동방향 판단부(620),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 및 제공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6, the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610, a moving direction determining unit 620, a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and a providing unit 640 .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과는 별도의 시스템으로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6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customized information as a system separate from the user terminal 10,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6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description of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may be applied to the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600 as well. Accordingly,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can be similarly applied to FIG. 6, even if omitted below.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한 쌍의 비콘부(1, 2)를 이용해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이동방향 등과 같은 사용자 상황에 맞는 정보(맞춤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10) 혹은 공공장소(외부)에 비치된 다양한 정보제공장치(20)를 통해 사용자의 기존 행동에 방해 없이 엠비언트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600 can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by using a pair of beacons 1 and 2. Based on the information, customiz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ituation such as the user's location / And the generated user-customiz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an ambient manner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user's existing behavior through the various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20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0 or the public place (outside).

수신부(610) 및 이동방향 판단부(620)는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의 수신부(110) 및 이동방향 판단부(1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610 and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ing unit 620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receiving unit 110 and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ing unit 120 of the user moving direction recognizing system 100. [

간단히 살펴보면, 수신부(610)는 소정의 간격(r1)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610)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세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610)는 신호세기 정보 외에 맞춤형 정보 제공시 필요한 각종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The receiving unit 610 may receive a signal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10 sens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r1,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t this time, the receiver 610 can receive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detected by the user terminal 10 from the user terminal 10. In addition to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the receiving unit 610 may receive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이동방향 판단부(620)는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동방향 판단부(620)는 수신부(610)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직접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이동방향 판단부(620)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하여 이미 판단된 판단결과 정보(즉,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를 단순히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맞춤형 정보 제공시 활용할 수 있다.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620 determines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incidence time information that are detected during the same time period among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unit 2,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user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620 may directly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610. [ Alternatively,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620 may simply receive the determination result information (i.e.,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lready determined by the user terminal 10 from the user terminal 10, Can be utiliz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수신부(6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판단결과 정보(즉,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것 외에도, 이동방향 판단시 이용된 두 비콘(1, 2)의 식별번호, 두 비콘(1, 2) 사이에 위치한 정보제공장치(20)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의 USIM 카드 또는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e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receives judgment result information (i.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receiving unit 61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located between the two beacons 1 and 2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IMs 1 and 2 of the user terminal 10 in order to identif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0, User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card or the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사용자 단말(10)과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100), 즉 서버 간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일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that is,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Examples of the network includ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the Internet, a LAN (Local Area Network) Network, a Wide Area Network (WA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Bluetooth network,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 network, an analog broadcast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맞춤형 정보 제공 생성부(630)는 이동방향 판단부(620)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and generating unit 630 may generate 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ing unit 620. [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정보제공장치(20) 식별정보,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2개의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공적 맞춤형 정보 및 사적 맞춤형 정보를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can generate two pieces of customized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th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user information. That is,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can individually generate the publicly-customized information and the private-customized inform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below.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정보제공장치(20)로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공적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공적 맞춤형 정보는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공적인 정보가 포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may generate the publicly-customiz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and the publicly-customized information may include public information that is determined not to be a problem for exposure to the outside It can mean information.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공적 맞춤형 정보 생성시,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와 정보제공장치(20)의 식별번호를 단순히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이동방향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저장된 정보제공장치(20)의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문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구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이동방향 정보에 사용자 정보를 포함시켜 공적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공적 맞춤형 정보의 예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can generate the publicly-customized information by simply including th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 Also,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may extract the phrase information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not sh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and generate the phrase information by including the extracted phrase information . In addition,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630 can include the user information in the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to generate the publicly customized information. Examples of publicly-tailored information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 및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공적 맞춤형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publicly-tailored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을 참조하면, 한 쌍의 비콘(1, 2) 사이에 배치된 정보제공장치(20)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중인 경우,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추출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니"와 같은 문구에 기초하여 공적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추출된 정보 및 생성된 공적 맞춤형 정보는 제공부(640)를 통해 정보제공장치(2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예로, 정보제공장치(20)의 화면 상에는 공적 맞춤형 정보로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니?"와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밖에, 정보제공장치(20)의 화면 상에는 공적 맞춤형 정보로서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이름)님, 식당으로 가시는군요, 오늘의 메뉴는 xxx 입니다. (가격: xxxx원)" 등과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7, when the user is moving from right to left with respect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beacons 1 and 2,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generates a customized information Publicly-tailored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ased on a phrase such as "go from right to left" The extracted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public personaliz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through the provision unit 640. Referring to FIG. 8, information such as "go from left to right?" May be displayed as publicly-tailor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for example. In addition, information such as "(user name), go to a restaurant, today's menu is xxx (price: xxxx won) ", etc., on the scree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as publicly- May be displayed.

또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적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적 맞춤형 정보는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가 포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may generate personalized information for use in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determined to be a problem in exposure to the outside May mean included information.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적 맞춤형 정보 생성시, 이동방향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단순히 포함시켜서 생성하거나, 또는 이동방향 정보로의 이동시 제공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기반의 인터렉티브 서비스와의 연동에 따른 문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추출한 뒤 추출된 문구 정보에 사용자 정보를 적용시켜 생성할 수 있다.The personaliz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630 may generate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by simply including the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or may generate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by generating the phrase information From a database (not shown) and applying the user information to the extracted phrase information.

이러한 사적 맞춤형 정보는 사용자 단말(10) 내에서 파악되거나, 사용자와 계정 등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 등에서 파악될 수 있는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일정 정보, 사용자의 생일 정보,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인적 네트워크 정보 등)와 인터랙티브하게 연동되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적 맞춤형 정보로서 이동방향 정보에 사용자의 강의 일정 정보를 연동하여, "301호 강의실로 이동 중이신가요? 현재 이동방향을 따라 30 m 이동하시면 도착합니다"와 같은 사적인 문구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후 생성된 사적 맞춤형 정보는 제공부(6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푸시메시지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적 맞춤형 정보로서 이동방향 정보에 사용자의 인적 네트워크 정보를 연동하여, "직책: 지도교수님에 해당하는 홍길동 교수님의 415호로 이동 중이신가요?"와 같은 사적인 문구 정보를 생성한 후, 이후 생성된 사적인 문구 정보는 제공부(6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The personalized information can be personal information (e.g., user's schedule information, user's birthday information, user's personal information, etc.) that can be grasped in the user terminal 10, Location information, user's personal network information, etc.). For example,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630 associates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th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as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moves to the classroom 301. If the user moves 30 meters along the current direction, And the generated personaliz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s a push message or the like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providing unit 640. [ As another example,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may associate the user's personal network information with th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as private-personal information, and may us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Job title: Are you moving to Professor Hong Gil Dong's 415? After generating the phrase information, the generated private phras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provision unit 640.

또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이동방향 정보의 생성이나 송수신과 관련한 시간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의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이동방향 정보를 연동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을 소지한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630 may synchronize at least one of the time information related to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with the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customiz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of the user holding the user terminal 10. [

예시적으로, 수신부(610)는 이동방향 정보의 수신 시각을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후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이동방향 정보의 수신 시각에 공적 맞춤형 정보 및 사적 맞춤형 정보의 시간대별 정보를 추가하여 연동 정보(즉,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에 의하여 생성된 연동 정보로는 "점심시간이라 식당으로 가시는군요", "지금쯤 퇴근하시나 봐요"와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생성된 연동 정보는 제공부(640)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0) 또는 정보제공장치(20)로 제공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receiving unit 610 can receive the receiving time of th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then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generates the publicly- (I.e., customiz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of the user) can be generated by adding the time-based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the interwork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630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 You are going to a restaurant because of lunch time, " The generated interwork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by the providing unit 640.

또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용자 단말(10)의 가속 측정 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방향과 무관한 진동치의 스칼라값에 기초하여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 판단 정보를 이동방향 정보와 연동하여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630 may output the situation determin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ased on the scalar value of the vibration value irrelevant to the direction measured through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10, It is possible to generate customized information by interlocking.

구체적으로, 수신부(6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이동방향 정보와 함께 가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은 가속 측정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가속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 측정 센서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속 측정 센서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단계적 임계진동치를 기준으로 정지 상태, 걷는 상태, 달리고 있는 상태와 같은 단계적 상황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속 측정 센서를 이용한 가속도 측정의 일 예로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격렬히 달리고 있을 경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주머니 속에 있는 사용자 단말(10)이 의복 주머니 속에서 급격히 흔들리거나 손에 들고 있는 사용자 단말(10)이 급격히 흔들림에 따른 가속 측정 센서의 진동 측정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의 급격한 흔들림으로 인해, 가속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진동 측정치는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가속 측정 센서를 통한 진동 측정치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급히 이동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상황을 고려하여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unit 610 can receive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not shown) and may provide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to the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600 via the network. Here,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can precisely measure the acceleration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nd can also detect stepwise situation information such as a stop state, a walking state, and a running state based on a preset stepwise critical vibration value Sensor. One example of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using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is to accurately measure the acceleration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s well as to accurately measure the acceleration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user when the user terminal 10 in the pocket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vibration measurement value of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sudden shaking in the user terminal 10 or the shaking of the user terminal 10 in the hand. At this time, due to rapid shaking of the user terminal 10, the vibration measurement value measured through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630 can determine that the user is in a state of urgent movement based on the vibration measurement value through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and can generate customized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ed situation.

즉,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가속도 정보 또는 진동치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와 연동한 연동 정보(즉, 문구 정보)를 생성하고, 제공부(640)는 생성된 연동 정보를 맞춤형 정보와 함께 정보제공장치(20) 또는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정보 또는 진동치 정보와 연동된 연동 정보로는 "식당으로 급히 가시나봐요, 달려가시면 1분 내로 도착하실 겁니다'와 같은 문구가 포함될 수 있다.That is,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generates the interworking information (i.e., phrase information) in which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or the vibration level information is linked with th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providing unit 640 supplies the generated interworking information to the customized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or the user terminal 10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nterlock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or vibration value information may include phrases such as " Go to the restaurant hastily, and it will arrive within one minute if you run. &Quot;

제공부(640)는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에서 생성된 맞춤형 정보를 외부에 설치된 정보제공장치(20) 및 사용자 단말(1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제공장치(2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providing unit 640 may provide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to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and the user terminal 10 provided outside. Here,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공부(6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제공장치(20)로는 이동방향에 따른 공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로는 이동방향에 따른 사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공적 맞춤형 정보 및 사적 맞춤형 정보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이동방향 정보 외에도 이동방향 정보의 생성이나 송수신과 관련된 시간 정보, 가속도 정보, 진동치 정보 등이 고려된 정보일 수 있다.The providing unit 640 provides the publicly-tailor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through the network, and provides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to the user terminal 10.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publicly-tailored information and the private-personaliz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considering time information, acceleration information, vibration value information, and the like related to generation of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 reception, in addition to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을 통해 제공되는 맞춤형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일예로 한 쌍의 비콘부(1, 2) 및 그 사이에 위치한 정보제공장치(20)를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가 호텔 등의 로비(복도)에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9, assume that a service apparatus including a pair of beacons 1 and 2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located therebetween is arranged in a lobby (hall) of a hotel or the like.

이때, 사용자가 외부(밖)에서 사용자가 묵는 숙소(구체적으로 방)의 방향으로 서비스 장치의 앞을 지나가는 경우,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묵는 숙소의 방 위치(방 번호)나 해당 호텔 내에서 이루어지는 행사 등의 정보가 포함된 맞춤형 정보를 그 정보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단말(10) 또는 정보제공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passes the service device in front of the service device in the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pecifically, the room) where the user is staying from the outside (outside),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part 630, The user terminal 10 or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may provide the customized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room number) or the event performed in the hote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숙소의 방 위치 정보는 사적 맞춤형 정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공부(640)는 "사용자님의 방 위치는 xx호입니다"와 같은 사적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호텔 내에서 이루어지는 행사 정보는 공적 맞춤형 정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공부(640)는 사용자 단말(10)로 사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보제공장치(20)로는 "사용자님을 위한 호텔 행사 정보로는 xxx 등이 있습니다"와 같은 공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om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ostel can be classified as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thus, the providing unit 640 provides personalized information such as "your room location is xx" to the user terminal 10 can do. In addition, the event information provided in the hotel can be classified as publicly-tailored information, and thus, the providing unit 640 provides personaliz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and at the same time, And "xxx" is the hotel event information for the hotel.

한편, 다른 일예로, 사용자가 숙소에서 외부(밖)의 방향으로 서비스 장치의 앞을 지나가는 경우,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고려하여 개인일정(스케쥴)이나 주변 관광정보 등이 포함된 맞춤형 정보를 그 정보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단말(10) 또는 정보제공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passes in front of the service device in the direction of the outside (outside) from the host,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30 generates a personalized schedule (schedul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개인일정 정보는 사적 맞춤형 정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공부(640)는 "사용자님의 오늘의 스케쥴은 xx 등이 있고, 추천관광 정보로는 xx 등이 있습니다"와 같은 사적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변 관광정보는 공적 맞춤형 정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공부(640)는 사용자 단말(10)로 사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보제공장치(20)로는 "주변의 관광정보로는 xx 등이 있습니다"와 같은 공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ersonal schedule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into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thus the offer 640 can be classified into personalized information such as " Your present schedule is xx, and the recommended tourist information includes xx, Customiz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 In addition, the neighboring tourist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as publicly-tailored information, and thus the providing unit 640 provides personaliz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and at the same time, xx, etc. "can be provided.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FIG. 10 is a schematic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of recognizing a user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은 앞서 설명된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 및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 및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10 can be performed by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and the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600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contents described for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00 and the customiz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600 can be similarly applied to FIG. 10, even if omitted below.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S1010에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step S1010,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10 sensed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which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이때, 소정의 간격은,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가 배치된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동선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간격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vement in the space where the first beacon portion 1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2 are arranged.

또한, 소정의 간격은, 비콘의 신호세기 기반으로 계산된 사용자 단말(10)과 비콘과의 거리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간격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an interval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beacon calculat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con.

다음으로, 단계S1020에서는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Next, in step S1020,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intensity detected during the same time interval of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section 1 and the second beacon section 2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user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이때, 단계S1020에서는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가 동시에 감지되는 시점을 동일 시간범위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020에서는 사용자 단말(10)이 제1 비콘부(1) 또는 제2 비콘부(2)로부터 기설정된 거리(r2) 또는 기설정된 신호세기 이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을 동일 시간범위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1020, the point in time when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unit 2 are simultaneously detected can be recognized as the start point of the same time rang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20 that the user terminal 10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distance r2 from the first beacon unit 1 or the second beacon unit 2 within a predetermined signal intensity, It can be recognized as the end point.

또한, 단계S1020에서는 동일 시간범위 동안의 시간에 따른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1 판단값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2 판단값을 상호 대비하여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판단값은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이고, 제2 판단값은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1020,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based on the cumulative value of the first coincident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based on the cumulative value of the second coincidenc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moving direction can b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accumulated values of the first coincidenc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accumulated coincidence information of the second coincidence time information.

또한, 단계S1020에서는 상호 대비의 결과, 제1 판단값과 제2 판단값 중 큰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에서 작은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로의 방향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1020, as a result of the mutual contras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osition of the beac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value having a small value at the position of the beac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value having the larger of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It can be judged that the mobile terminal moves.

또한, 단계S1020에서는 동일 시간범위 내에서의 동일 시점에 대하여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감지되는 경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감지된 정보를 누적값 계산시 제외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not detected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time range,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The detected information among th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can be excluded in the cumulative value calculation.

또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는, 판단하고자 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을 이루며 배치되되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으며, 단계S1020에서는 식별번호가 동일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판단값 간에 상호 대비를 통해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may be arranged in a pair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to be determined and may be give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In step S102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through mutual contrast between judgment values based on accumulated values of the sam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first beacon portion 1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2. [

또한, 단계S1010에서 사용자 단말(1)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하다가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단계S1020에서는, 이동방향의 판단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모두로부터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한 신호세기 정보를 제외하여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1010, signal streng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1 is received from only one of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and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In step S1020, when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both of the first beacon unit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1) and the second beacon unit (2).

또한, 단계S1020에서는, 비콘을 기준으로 RSSI에 따라 사용자 단말(10)과의 거리를 Immediate, Near, Far 및 Unknown로 구분한 간격에서 Far 이상의 영역에서 감지된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1020, the signal intensity of the first beacon portion 1 sensed in the region of Far or more in the interval obtained by dividing the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10 to Immediate, Near, Far, and Unknown on the basis of the RSSI,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unit 2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user.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10 내지 S102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010 to S102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further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z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공공데이터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Further, the public data user moving direction recognizing method described above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n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110: 수신부
120: 이동방향 판단부
1, 2: 비콘부
10: 사용자 단말
20: 정보제공장치
100: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110:
120: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1, 2: Beacon portion
10: User terminal
20: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laims (21)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이동방향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동안의 시간에 따른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1 판단값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2 판단값을 상호 대비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A receiver for receiving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detected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eacon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rst directional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and the second same-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detected during the same time interval among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portion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portion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Lt; / RTI >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nd a second determination value based on a cumulative value of the first coincident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a second determination value based on an accumulated value of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가 동시에 감지되는 시점을 상기 동일 시간범위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recognizes a point in time when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unit are simultaneously sensed as the start time of the same time ran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비콘부 또는 상기 제2 비콘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또는 기설정된 신호세기 이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을 상기 동일 시간범위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Recognizes the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to have enter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r predetermined signal intensity from the first beacon unit or the second beacon unit as the end time of the same time range,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상호 대비의 결과, 상기 제1 판단값과 상기 제2 판단값 중 큰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에서 작은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로의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In a direction toward a position of a beacon corresponding to a determination value having a small value at a position of a beacon corresponding to a determination value having a larger one of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as a result of the mutual contrast,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is mov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값은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이고, 상기 제2 판단값은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인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is an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value of the first coincident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is an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value of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내에서의 동일 시점에 대하여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감지된 정보를 누적값 계산시 제외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not detected for the same time point within the same time range, Wherein the detected information of th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is excluded when calculating the accumulate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는, 판단하고자 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을 이루며 배치되되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받고,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식별번호가 동일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판단값 간에 상호 대비를 통해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are arranged in a pair in correspondence with a movement direction to be determined,
Wherein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moving direction through a mutual contrast between judgment values based on accumulated values of the same 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 A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하다가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이동방향의 판단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모두로부터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한 신호세기 정보를 제외하여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receiving unit receive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from only one of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and receives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rom both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moving direction is the first beacon unit or the second beacon unit before receiving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rom both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Wherein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excluding on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가 배치된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동선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간격인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an interval that is mutually spac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movement in a space in which the first beacon portion and the second beacon portion are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비콘의 신호세기 기반으로 계산된 사용자 단말과 비콘과의 거리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간격인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an interval within an error r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eacon calculat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c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비콘을 기준으로 RSSI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를 Immediate, Near, Far 및 Unknown로 구분한 간격에서 Far 이상의 영역에서 감지된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Based on the beacon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portion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portion detected in the region of Far or more in an interval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is divided into Immediate, Near, Far and Unknown, And determines the direction of movement.
제1항의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상기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을 통해 판단된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방향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는 맞춤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맞춤형 정보를 외부에 설치된 정보제공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A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through the user moving direction recognizing system; And
And providing the customized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he user terminal provided outside,
And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정보 생성부는,
상기 맞춤형 정보로서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공적인 정보가 포함된 공적 맞춤형 정보 및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가 포함된 사적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정보제공장치로는 상기 이동방향에 따른 공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는 상기 이동방향에 따른 사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ustomized-
Customized information including public information judged to be not a problem for exposure to the outside as the customized information and private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private information of the user judged to be a problem for exposure to the outside are generated ,
Wherein the provid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provides publicly tailor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and provides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to the user termi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름 및 상기 사용자의 동의하에 제공되는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name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personal information provided under the consent of the us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s located between a first beacon section and a second beacon section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속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방향과 무관한 진동치의 스칼라값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상황 판단 정보를 상기 이동방향 정보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ustomized-
Wherein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is generated by linking the situation determin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ased on the scalar value of the vibration value independent of the direction measured through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of the user terminal with the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system.
제1항의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A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user movement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of claim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동안의 시간에 따른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1 판단값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2 판단값을 상호 대비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
Receiving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detected from each of the first beacon unit and the second beacon unit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rst directional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and the second same-tim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detected during the same time interval among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portion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portion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step,
Lt; / RTI >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comprises:
And a second determination value based on a cumulative value of the first coincident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a second determination value based on an accumulated value of the second coincidence tim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direction of the user movement direction.
삭제delete 제19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9 in a computer.
KR1020160176768A 2016-12-22 2016-12-22 System for detecting user's moving direction and method KR1019024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768A KR101902442B1 (en) 2016-12-22 2016-12-22 System for detecting user's moving direction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768A KR101902442B1 (en) 2016-12-22 2016-12-22 System for detecting user's moving direction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186A KR20180073186A (en) 2018-07-02
KR101902442B1 true KR101902442B1 (en) 2018-09-28

Family

ID=6291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768A KR101902442B1 (en) 2016-12-22 2016-12-22 System for detecting user's moving direction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44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0976B2 (en) 2019-05-16 2022-03-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indoor location based on packet cap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085B1 (en) * 2021-11-09 2024-02-13 양진우 Location Track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8230A (en) * 2004-05-13 2005-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Wireless sensor node, sensor network, and monitor server
JP2007011830A (en) 2005-07-01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generator, portable terminal, evacuation route guide method,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generation program, and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output program
JP2009026219A (en) * 2007-07-23 2009-02-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Safety confirm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8230A (en) * 2004-05-13 2005-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Wireless sensor node, sensor network, and monitor server
JP2007011830A (en) 2005-07-01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generator, portable terminal, evacuation route guide method,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generation program, and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output program
JP2009026219A (en) * 2007-07-23 2009-02-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Safety confirma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0976B2 (en) 2019-05-16 2022-03-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indoor location based on packet cap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186A (en)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9333B1 (en) Video based pedestrian traffic estimation
KR102247891B1 (en) Apparatus for recommending location inside building using access point fingerprint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EP2756721B1 (en) Position indication controls for device locations
KR102022668B1 (en) Landmark positioning
US9002639B2 (en) Method for performing map matching in user terminal
US9758183B2 (en) Location fingerprinting for transit systems
EP3201646B1 (en) Modeling connectivity of transit systems
US10757671B2 (en) Location fingerprinting for a transit system
CN105143822A (en) Crowd sourced pathway maps
KR20180083284A (en) Method for estimating indoor posi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path using the same
KR101902442B1 (en) System for detecting user's moving direction and method
JP2011163904A (en) Guide system
CN107850441A (en) For determining the device, method and system in orientation
KR101606383B1 (en) Method for deducing subway movement sect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and apparatus thereof
US20170082445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120080960A (en) System for user rajectory prediction based on learned trajectory model and gps log and method thereof
KR102216467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nearby sta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20200057212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ptimal Path based on User Location
KR102443130B1 (e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ding indoor position information
KR101573198B1 (e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 recognition of point of interest
KR2015002931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location based on position between terminals
KR102231636B1 (en) Method for estimating moving direction, apparatus and server
KR1020986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f course
KR1017968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isaster area
Cho et al. A study on PDR heading angle error correction algorithm using WLAN based localiza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