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324B1 -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324B1
KR101902324B1 KR1020137017230A KR20137017230A KR101902324B1 KR 101902324 B1 KR101902324 B1 KR 101902324B1 KR 1020137017230 A KR1020137017230 A KR 1020137017230A KR 20137017230 A KR20137017230 A KR 20137017230A KR 101902324 B1 KR101902324 B1 KR 101902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access
network
session
new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3622A (ko
Inventor
길라우미 브레퀴그니
델핀 바란카니라
Original Assignee
오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렌지 filed Critical 오렌지
Publication of KR2013014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장비 및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에 패킷-모드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데이터-네트워크 액세스 게이트웨이 사이에 세션이 설정된다. 상기 방법은: 설정된 세션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E11);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새로운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제 1 단계(E12);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E22)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개시함 - ;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제 2 단계(E23) ― 상기 다른 게이트웨이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적절함 ― ;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개시되는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 그 세션 설정으로부터, 새로운 세션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다른 게이트웨이 사이에 설정됨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TECHNIQUE FOR COMMUNICA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DATA NETWORK IN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액세스가 패킷 모드에서 수행되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3GPP 기구에 의해 표준화된 UMTS("Universal Mobile Terrestrial System")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에볼루션들이 논의 중이다. 이러한 에볼루션들은 미래의 제 4 세대의 기반을 구성하고, 또한 LTE("Long Term Evolution")로 불린다. 에볼루션들은, 특히, 교환들이 패킷 모드에서만 수행되는 코어 네트워크 EPC("Evolved Packet Core")의 에볼루션을 고찰한다. 모바일 네트워크로의 사용자 장비의 접속(attachment) 동안에, 사용자 장비(UE)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 세션을 설정하고,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그가 모바일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한 영구적인 접속을 소유한다. 사용자 장비(UE)는 IPv4 어드레스 및/또는 IPv6 프리픽스에 의해 식별된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는 그의 입장에서는 데이터 네트워크 APN("Access Point Name")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다. 이러한 세션은 또한 "PDN 접속"이라 불리고, PDN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의 뜻이다. 그러한 세션은 자동적으로 "베어러"로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전용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션은 액세스 게이트웨이(P-GW)에 의해 사용자 장비(UE)와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에 설정된다. 이러한 액세스 게이트웨이(P-GW)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설비이다. 따라서, 게이트웨이(P-GW)는 인터넷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된 서비스들 아니면 운영자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을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운영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의 함수로서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선택에서 특정 유연성을 갖고자 할 수 있다. 현재 버전의 표준들에서는 액세스 게이트웨이(P-GW)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액세스 게이트웨이(P-GW)는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 중 하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 불충분함들 또는 단점들을 교정하거나 및/또는 이에 대한 개선책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주제는 사용자 장비와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의 패킷 모드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이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한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게이트웨이 사이에 세션이 설정된다. 이러한 방법은:
- 설정된 세션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기준의 함수로서, 새로운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제 1 단계;
-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사용자 장비에 디스패칭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개시함 ― ;
-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제 2 단계 ― 상기 다른 게이트웨이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적절함 ― ;
- 사용자 장비에 의해 개시되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 단계 ― 세션 설정의 완료 시에, 새로운 세션이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다른 게이트웨이 사이에 설정됨 ― 를 포함한다.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EPC(Evolved Packet Core)" 형태이고, 특히 LTE 에볼루션들의 프레임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고찰된 에볼루션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네트워크는 인터넷 공공 통신 네트워크 아니면 인트라넷 네트워크와 같은 임의의 다른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운영자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장비의 액세스는 다양한 형태들의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라디오 또는 유선-기반일 수 있다.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는 3GPP 기구에 의해 정의된 제 2 및 제 3 세대 버전들 및 또한 제 3 세대의 롱 텀 에볼루션들(LTE)을 준수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또한 WIFI®, WiMAX 등의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비-3GPP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일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또한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액세스 네트워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방법은 네트워크의 주도로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트리거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상기 세션의 실제 설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개시된다. 패킷 모드에서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새로운 게이트웨이는 요청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적절하도록 네트워크의 엔티티들 중 하나에 의해 선택되었다. 따라서, 특정 서비스들의 함수로서 액세스 게이트웨이들(P-GW)을 특수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통신 방법은 복수의 액세스 게이트웨이들 사이에서 서비스에 관련된 세션들의 설정을 분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과금, 필터링 또는 서비스 정책들의 제어와 같은 임의의 특정 기능들을 구현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P-GW)에 대해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과금 레벨의 함수로서 구별되는 서비스 품질 정책들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LTE 논의들의 프레임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 레벨에서의 에볼루션들은, 통신 네트워크의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에게 세션을 설정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는 것을 고찰하지 않았다는 것이 본원에서 강조된다. 이것은 사용자 장비 레벨에서 영향들을 제한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개시된 세선 설정 절차와 호환 가능하게 만든다. 실제로, 그러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엔티티들은 네트워크와의 영구적인 접속을 소유한다. 따라서, 세션 설정이 사용자 장비 주도로 이루어진다는 것만이 고찰된다. 또한, 2G/3G 패킷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PDP 컨텍스트 또는 세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명령 절차는, 패킷들이 사용자 장비로 라우팅되어야 할 때 트리거링된다. 이것은, 정적 PDP 정보 아이템이 사용자 장비에 도달할 수 있도록 PDP 어드레스와 연관되고,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구현되지 않는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절차는 본원에서, 세션이 이미 설정되고, 그것이 또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에 대한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면, 그것이 고찰되는 것과 상이한 컨텍스트에서 사용된다.
상기 통신 방법이 LTE 논의들의 프레임워크 내의 코어 네트워크 레벨에서 에볼루션들의 프레임워크 내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절차들과 호환 가능하고, 제한된 수정들만을 요구한다는 것이 또한 강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가 단일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만을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 레벨에서의 동작이 또한 간소화된다. 이러한 경우에, 네트워크는, 그의 입장에서, 상이한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들을 관리하고, 그에 고유한 기준들의 함수로서 특정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기초한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의 검출은 패킷에 기초하여 직접적으로 아니면 패킷을 수신하는 네트워크의 엔티티의 통지에 기초하여 간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법의 특정 특성에 따라, 기준은 서비스의 식별자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그룹에 속한다.
또 다른 특정 특성에 따라, 검출 단계는 상기 세션과 연관된 패킷 스트림의 검사에 의해 구현된다.
패킷들의 이러한 검사는 다양한 OSI 레벨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OSI 레벨들(3 또는 4)에서 SPI 검사("Shallow Packet Inspection")를 수반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OSI 레벨들(7 및 그 이상)에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철저한 검사 또는 "심도있는 패킷 검사(Deep Packet Inspection)"를 수반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법의 또 다른 특정 특성에 따라, 다른 게이트웨이가 또한 사용자 장비에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이롭게도, 이러한 아이템은 위치에 관련된 아이템, 가입 데이터에 관련된 아이템, 및 사용자 장비의 형태를 포함하는 그룹에 속한다.
따라서, 이것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들의 라우팅을 최적화하기 위해 액세스 게이트웨이(P-GW)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네트워크의 위치는 사용자 장비의 위치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는 가입된 서비스 품질 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따라서, 이러한 아이템을 고려하는 것은 가입된 서비스 품질의 함수로서 적절한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과금, 필터링 또는 서비스 정책들의 제어와 같은 임의의 특정 기능들을 구현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P-GW)에 대한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면, 가입 데이터 및, 결과적으로 과금 레벨의 함수로서 구별되는 서비스 품질 정책들의 구현이 따라서 더 용이하게 구현된다.
사용자 장비의 형태는, 예를 들면, 단말(2G, 3G, LTE)의 생성, 단말에 삽입된 SIM 카드의 생성 등의 함수로서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사용자 장비의 형태는, 예를 들면, 단말(2G, 3G, LTE)의 생성, 단말에 삽입된 SIM 카드의 생성 등의 함수로서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롭게도, 2 개의 액세스 게이트웨이들 중 하나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요청을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전송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의 2 개의 엔티티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되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이다. 이것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에게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라고 명령하도록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네트워크 액세스 게이트웨이로부터 발신된 메시지의 수신 후에 또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제 2 단계를 구현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정책들을 제공할 수 있는 엔티티에 의해 결정되고, 후자는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에 대한 세션의 생성을 개시한다. 이어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전송한다.
특정 특성에 따라, 세션이 설정된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검출 단계 및 제 1 결정 단계를 구현하고,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요청을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고, 이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설정 명령을 디스패칭하는 단계 및 제 2 결정 단계를 구현한다.
상기 통신 방법의 이러한 구현은,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정책들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를 포함하지 않을 때 특히 적절하다.
통신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정책들 및 과금을 제어하기 위한 엔티티들을 포함할 때, 검출 단계 및 결정 단계는 네트워크 정책들을 적용하는 엔티티에 의해 구현되고,
네트워크 정책들을 제공하는 엔티티는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 주도로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에,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다른 게이트웨이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트리거링한다.
제 2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한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및 게이트웨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설정하도록 설계된 패킷 모드 통신 네트워크 내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 설정된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 적어도 하나의 기준의 함수로서, 새로운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설계된 제 1 결정 수단;
-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사용자 장비에 디스패칭하고, 사용자 장비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 사이에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도록 설계된 통신 수단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개시함 ― ;
-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기 위한 제 2 수단 ― 상기 다른 게이트웨이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적절함 ― 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의 특정 특성에 따라, 사용자 장비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을 프로세싱하도록 설계된다.
제 3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통신 네트워크의 엔티티에 의해 구현되는 제 1 양상에 따른 통신 방법의 구현을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그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의 특정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의 도움으로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패킷 모드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특정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따라 구현된 통신 방법의 단계들 및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특정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따라 구현된 통신 방법의 단계들 및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특정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통신 방법의 단계들 및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특정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통신 방법의 단계들 및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한 도면.
도 6a, 도 6b, 도 6c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엔티티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패킷 모드 통신 네트워크(2)를 간단한 방식으로 나타낸다. 사용자 장비(UE 1)가 그의 환경 내에 표현된다. 사용자 장비(1)는 다양한 형태들의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의해, 패킷 모드에서, 데이터 네트워크들(30, 32)을 액세스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2)가 3GPP 표준 TS 23 401 v8.11.0에 명시된 것과 같은 EPS 아키텍처("Evolved Packet System")를 준수하는 특별한 경우가 본원에서 고려된다. "릴리즈" 8에 대응하는 버전들이 후속으로 언급된다는 것이 본원에서 강조된다. 이러한 릴리즈 번호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부여되지 않으며, 상기 통신 방법은 또한 이러한 표준들의 후속 버전들에 적용 가능하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3GPP 표준 기구에 의해 정의된 규격들을 준수하거나 준수하지 않는 라디오, 아니면 유선-기반일 수 있다.
제 1 형태의 액세스 네트워크는 제 2 세대(2G) 아니면 제 3 세대(3G)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응한다. 이러한 경우에, 라디오 액세스는 2G 라디오 액세스에 대해 GERAN 엔티티("GSM/EDGE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되거나, 아니면 3G 라디오 액세스에 대해 UTRAN 엔티티("UMTS 지상 자원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된다.
제 2 형태의 액세스 네트워크는 프리-4G라고 또한 불리는 제 3 세대의 에볼루션들에 대응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응한다. 이러한 경우에, 라디오 액세스는 E-UTRAN(Evolved UTRAN)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제 1의 2 개의 형태들의 액세스 네트워크들은 3GPP 표준화 그룹에 의해 정의된 규격들의 세트를 준수한다.
제 3 형태의 액세스 네트워크는 3GPP를 준수하지 않는 액세스들의 세트를 함께 그룹화한다. 제 3 형태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는 액세스 노드 엔티티(AN 14)에 링크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ADSL 형태의 유선-기반 액세스, WIFI® 라디오 액세스,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orwave Access), CDMA 등이다.
제 1의 2 개의 형태의 액세스 네트워크들은 각각 이동성 관리 엔티티들에 링크된다. 2G/3G 라디오 액세스에 대해, 그러한 엔티티(10)는 SGSN(Serving GPRS Service Node)으로 불린다. LTE 라디오 액세스에 대해, 그러한 엔티티(12)는 MME(Mobility Management Equipment)로 불린다. 이러한 2 개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들은 접속 게이트웨이 S-GW(Serving Gateway)(16)에 링크된다. 이들은 또한 네트워크 HSS(Home Subscriber System)(28)의 가입자들의 서버에 링크되고, 이러한 서버는 통신 네트워크(2)의 가입자들에 대한 가입 데이터의 세트를 저장한다.
접속 게이트웨이(16) 및 액세스 노드 엔티티(14)는 2 개의 액세스 게이트웨이들(P-GW1 및 P-GW2)에 링크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는 제 1 데이터 네트워크(32)를 패킷 모드에서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제 2 데이터 네트워크(30)를 패킷 모드에서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예로서, 제 1 데이터 네트워크(32)는 IP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응하고, 인터넷 형태의 서비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 제 2 데이터 네트워크(30)는 운영자에게 특정한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응하고, 이러한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들(AF; AFlication Function)( 26 및 27)이 또한 도 2에 표현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AF 26)는 데이터 네트워크(30)에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애플리케이션 서버(AF 27)는 데이터 네트워크(32)에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통신 네트워크(2)의 엔티티들이 PCC("Policy Control and Charging") 네트워크 정책들 및 과금 제어를 구현하는 것이 선택적인 방식으로 또한 고찰된다. 이어서, 그러한 통신 네트워크(2)는 PCE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정책 애플리케이션 기능, 및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규칙 제공 기능을 포함한다. 도 2에 PCRF 규칙들을 제공하기 위한 엔티티(24)가 표현된다. 후자는 2 개의 액세스 게이트웨이들(20, 22)에 접속된다.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후자는 PCEF 기능을 구현한다. 통신 네트워크(2)는 또한 PCRF 엔티티의 부재 시에 정책들 및 과금 제어 규칙들(PCEF 기능)의 구현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2에 표현된 통신 네트워크(2)는 이러한 도면에 너무 많은 엔티티들이 표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표현되는 제한된 수의 엔티티들만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현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부여되지 않는다. 접속 게이트웨이(S-GW)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들 중 하나가 하나 및 동일한 엔티티로 함께 그룹화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강조된다.
이후에, IPv4 어드레스 및/또는 IPv6 프리픽스에 의해 표현된 사용자 장비(UE), 및 APN(Access Point Name)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에 의해 표현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연관성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세션 또는 접속으로 불린다. 이러한 세션은 동일하게 "IP-CAN 세션", LTE 액세스에 대해 "PDN 접속", 또는 2G/3G 액세스에 대해 "PDP 컨텍스트"로 또한 불릴 수 있다.
사용자 장비(UE) 및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통신 방법이 이제 제 1 실시예의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1 단계(E1)에서, 더 정확하게 서브-단계(E11)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게이트웨이(P-GW1)는 제 1 설정된 세션에 의해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한다. 이러한 제 1 세션은,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2)로의 사용자 장비의 접속 동안에 사용자 장비(UE 1)와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 사이에서 설정된다. 이러한 제 1 세션의 설정 모드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부여되지 않는다. 제 1 세션은 접속 게이트웨이(S-GW 16)에 의해 설정된다. 계속해서 이러한 제 1 단계(E1)에서,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정해진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포함한다는 것을 검출한다.
이것이 정해진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이라는 검출은 다양한 변형예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 제 1 변형예에 따라, 이것은 SPI(Shallow Packet Inspection)로 또한 불리는 OSI 레벨들(3 또는 4)에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검사를 수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것은 IP 및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또는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수반하고, 데이터 패킷 검사, 더 정확하게, 검출은 정해진 IP 목적지 어드레스 및 정해진 목적지 포트를 검출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 제 2 변형예에 따라, 이것은 또한 OSI 레벨들(7 및 그 이상)에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철저한 검사 또는 "심도있는 패킷 검사"를 수반할 수 있다.
서브-단계(E12)에서, 이어서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의 함수로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또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사용자 장비(1) 사이에 새로운 세션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이러한 기준은, 예를 들면, 서비스의 식별자 아니면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이어서,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는 사용자 장비(UE 1)와의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요청을 전송한다. 이러한 요청은 특정 표시자, 예를 들면, 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더 정학하게, 이러한 설정 요청은 접속 게이트웨이(S-GW 16)로 전송되고, 접속 게이트웨이는 차례로 설정 요청을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MME 10, 12)로 전송한다.
단계(E2)에서, 더 정확하게 서브-단계(E21)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MME 10, 12)는 사용자 장비(UE 1)와의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고, 예를 들면, DNS("Domain Name Server") 데이터베이스에 자문함으로써 특정 표시자의 함수로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한다. 더 정확하게,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MME 10, 12)는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및 특정 표시자에 기초하여 DNS 데이터베이스에 질문하고, 답례로 APN 데이터 네트워크의 동일하거나 또 다른 식별자를 획득한다.
단계(E2)의 서브-단계(E22)에서, 네트워크의 엔티티들 중 하나는 사용자 장비(UE 1) 및 서브-단계(E21)에서 결정된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해 예정된 곳 사이에 이러한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명령하고, 새로운 세션의 이러한 설정은 사용자 장비 주도로 이루어진다.
단계(E3)의 서브-단계(E23)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발산된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요청의 수신 시에,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MME 10, 12)는, 예를 들면, DNS 데이터베이스에 자문함으로써 특정 표시자의 함수로서 또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한다. 더 정확하게,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MME 10, 12)는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및 특정 표시자에 기초하여 DNS 데이터베이스에 질문하고, 답례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를 선택할 때, 사용자 장비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템은 사용자 장비의 위치에 관련된 아이템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의 위치에 대해 적절한 이러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선택은 네트워크에서 로드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것은 또한 사용자 장비 가입 데이터에 관련된 아이템을 수반할 수 있어서, 가입을 위해 적절한 서비스 레벨을 갖는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것은 사용자 장비의 형태를 더 수반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E2)를 구현하는 네트워크의 엔티티는 도 3a 및 도 3b의 설명과 관련하여 후속으로 설명된다.
제 2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의 엔티티들은 PCC("Policy Control and Charging") 네트워크 정책들 및 과금 제어를 구현한다.
그러한 제 2 실시예에서,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는 PCEF 정책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포함하고, 이전에 기재된 단계(E1)를 구현한다. 이어서,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요청은 PCRF 제공 기능을 구현하는 엔티티로 전송된다. 이어서, 이러한 PCRF 엔티티(24)는 서브-단계들(E21 및 E23)을 구현하고,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MME)를 인보크하여, 후자가 사용자 장비(UE 1)에게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도록 명령한다(E22). 이러한 제 2 실시예는 도 4와 관련하여 더 정확하게 설명된다.
제 3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AF 26)는 사용자 장비(UE 1)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한다. 이어서, 애플리케이션 서버(AF 26)는 서비스-관련 아이템들의 메시지를 PCRF 엔티티(24)에 제공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서브-단계(E11) 동안에 수신된다. 이어서, 정책 제어 기능을 구현하는 엔티티는 단계(E1), 서브-단계들(E21 및 E23)을 구현하고,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MME)를 인보크하여, 후자가 사용자 장비(UE 1)에게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도록 명령한다(E22). 이러한 제 3 실시예는 도 5와 관련하여 더 정확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서브-단계(E21)는 선택적이다. 이러한 경우에, 디폴트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디스패칭하는 서브-단계(E22) 전에 또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서브-단계(E23)를 구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제 1 실시예는 도 3a 및 도 3b와 관련하여 더 정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a는 E-UTRAN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한 사용자 장비(UE)의 액세스에 대응한다. 도 3b는 그의 입장에서 GERAN 또는 UTRAN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한 사용자 장비(UE)의 액세스에 대응한다.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변형예는 명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되지 않지만, 통신 방법은 또한 이러한 형태의 액세스 네트워크로 전치 가능하다.
더 정확하게, 통신 네트워크가 PCRF 엔티티를 포함하는 아키텍처를 구현하지 않는 특정 경우가 본원에서 고려된다. 그러나, 이것은 그러한 네트워크에서 PCC 형태의 정책들 및 과금 제어 규칙들의 구현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3a는 제 1 변형예, 다시 말해서, E-UTRAN 액세스 네트워크의 경우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설비들 간의 교환들을 설명한다.
도 1에 관련하여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는 모바일 엔티티(UE 1)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검출하고, 새로운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고 결정하고, 접속 게이트웨이(S-GW 16)에 의해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요청을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로 전송한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에서, 설정 요청은 특히 다음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메시지(M1) "PDN 접속 요청"이다.
-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APN 식별자;
- "PDN 형태"를 요청한 IP 버전의 식별자, 다시 말해서, IPv4, IPv4v6, IPv6;
- "프로토콜 구성 옵션들"로 불리는 정보 필드에서 함께 그룹화되는, 투명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UE 1)에 대해 예정되어 전송되도록 의도된 아이템들;
- 요청의 형태 "요청 형태".
이러한 다양한 파라미터들은, "PDN 접속 요청" 메시지가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발산될 때 상기 메시지에 대해 3GPP 표준 TS 23.401, 단락 5.10.2에서 고찰된 코딩에 따라 코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메시지(M1) "PDN 접속 요청"은 또한 특정 표시자, 예를 들면, 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도 1과 관련하여 이전에 기재된 이러한 단계(E2) 동안에, 더 정확하게 서브-단계(E21)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메시지(M1) "PDN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도 2에 표현되지 않은 DNS 서버에 대해 DNS 도메인 네임 해석 요청을 수행한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및 특정 표시자에 기초하여 DNS 서버에 질문하고, 답례로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적절한, 제공된 것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획득한다. DNS 데이터베이스의 이러한 질문이 또한, 후속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적절한 또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본원에서 강조된다.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가 "PDN 접속 요청" 메시지에 존재하지 않을 때,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해석 요청 전에 디폴트 가입 PDN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한다.
DNS 서버는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적절한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하고, 답례로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에 제공한다.
이어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DNS 서버에 의해 제공된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가 인증된다는 것을 사용자 장비(UE 1)에 대한 가입 데이터의 함수로서 검증하고, 그것이 사실이면,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다음의 단계들을 위해 제공된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사용한다.
단계(E2)의 서브-단계(E22)에서, 이어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해 예정된 곳 및 사용자 장비(UE 1) 사이에 이러한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트리거링한다.
더 정확하게,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명령하는 메시지(M1a) "요청 PDN 접속"을 사용자 장비(UE 1)에 디스패칭한다. 이러한 메시지(M1a)는 메시지(M1) "PDN 접속 요청"과 관련하여 이전에 기재된 정보 아이템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APN 식별자는 단계(E21)에서 결정된 것으로 대체된다.
네트워크의 엔티티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전송된 그러한 세션 설정 명령 메시지가 LTE 에볼루션들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고찰되지 않는다는 것이 상기된다. 실제로, 사용자 장비는 통신 네트워크와의 영구적인 접속을 소유한다. 따라서, LTE 이전의 세대들에 대해 식별되는, 패킷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해 예정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요청을 프로세싱할 필요성은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새로운 세션의 설정이 네트워크의 엔티티들 중 하나에 의해 명령되지만, 상기 세션의 실제 설정은 사용자 장비 주도로 이루어진다.
3GPP 표준 TS 23.401 "LTE;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액세스에 대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 v8.11.0은, 특히 도 5.10.2-1과 관련하여 단락 5.10.2에, 사용자 장비에 의해 개시된 PDN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네트워크의 다양한 설비들 사이의 교환들을 명시한다.
사용자 장비(UE 1)는, 메시지(M1a)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데이터 네트워크로 예정된 PDN 세션의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M1b) "PDN 접속 요청"을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로 전송한다.
서브-단계(E23)에서, 이러한 메시지(M1b)의 수신 시에,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요청된 서비스의 함수로서 이러한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를 결정한다. 더 정확하게,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및 특정 표시자에 기초하여 DNS 서버에 질문하고, 답례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를 획득한다.
사용자 장비에 관련된 아이템은 또한 DNS 서버로 전송되고, 따라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를 선택할 때 고려될 수 있다. 이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사용자 장비의 위치에 관련된 아이템, 사용자 장비 가입 데이터에 관련된 아이템 아니면 사용자 장비의 형태에 관련된 아이템일 수 있다.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의 이러한 결정이 또한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및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 모두를 획득하기 위해 서브-단계(E21)에서 DNS 서버의 질문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여기서 상기된다.
이어서, 새로운 세션이 네트워크 엔티티 레벨에서 생성될 것이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메시지(M2) "세션 생성 요청"을 생성하고, 이를 접속 게이트웨이(S-GW 16)로 전송한다. 후자는 차례로 메시지(M3) "세션 생성 요청"을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로 전송한다. 정책들 및 과금의 동적인 제어가 구현되면,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교환(M4) "IP-CAN 세션 설정/수정"을 통해 PCRF 엔티티(24)에 대화한다. 다음에, 일단 새로운 세션이 생성되면,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접속 게이트웨이(S-GW 16)로 예정된 메시지(M5) "세션 생성 응답"에서 응답을 전송한다. 이어서 접속 게이트웨이(S-GW 16)는 메시지(M6) "세션 생성 응답"을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로 반환한다. 이러한 세트의 교환들은 표준 TS 23.401의 단락 5.10.2에 따라 수행되고,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다음에, 단계(E3)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사용자 장비(UE 1)에 대한 새로운 세션을 설정한다. 이러한 세트의 교환들은 교환들이 사용자 장비에 의해 개시될 때 표준 TS 23.401의 단락 5.10.2에 따라 수행되고, 본 발명을 구현하도록 수정된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제어 메시지(S1_MME) "베어러 설정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장비(UE 1)로 예정된 메시지(M7) "PDN 접속 수용"을 전송한다. 후자는 E-UTRAN 액세스 네트워크로 예정되고, 후자는 eNodeB 엔티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메시지(M7) "PDN 접속 수용"은 특히 설정이 네트워크에 의해 명령되었다는 표시를 포함한다. 이어서, eNodeB 엔티티는 사용자 장비(UE 1)로 예정된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에 포함된 메시지(M8) "PDN 접속 수용"을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장비(UE 1)는 특히 메시지가 네트워크 주도로 발산된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 "PDN 접속 수용"을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사용자 장비(UE 1)는 요청된 서비스 및 EPS 매체 간의 연관성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에 포함된 메시지(M8) "PDN 접속 수용"로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자 장비(UE 1)는 이러한 연관성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레벨(3, 4 (TFT) 또는 7)의 필터들에 의존한다. 일단 재구성이 수행되면, 사용자 장비(UE 1)는 eNodeB 엔티티로 예정된 메시지(M9) "RRC 접속 재구성 완료"를 전송한다. 후자는 차례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로 예정된 메시지(M10) "베어러 설정 응답"를 전송한다. 다음에, 사용자 장비(UE 1)는 eNodeB 엔티티로 예정된 메시지 "PDN 접속 완료"를 포함하는 메시지(M11) "직접 전송"을 전송한다. 이어서, 후자는 메시지(M12) "PDN 접속 완료"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로 전송한다.
메시지(M12)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에 의해 단계(E4)에서 수신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어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접속 게이트웨이(S-GW 16)로 예정된 메시지(M12b) "PDN 접속 응답"을 전송한다. 접속 게이트웨이(S-GW 16)는 차례로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로 예정된 메시지(M12b)를 전송한다. 메시지(M12b)는 단계(E5)에서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에 의해 수신된다. 이것은, 단계(E1) 동안에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에 의해 트리거링된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요청하는 절차를 종결한다.
동시에, 메시지들(M10) "베어러 설정 응답" 및 (M12) "PDN 접속 완료"의 수신에 후속으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접속 게이트웨이(S-GW 16)로 예정된 메시지(M13) "베어러 수정 요청"을 전송한다. 메시지들(M13a) "베어러 수정 요청", (M13b) "베어러 수정 응답"은 3GPP 표준 TS 23.401에 따라 적절한 경우에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와 교환된다.
접속 게이트웨이(S-GW 16)는 이에 응답하여 메시지(M14) "베어러 수정 응답"을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로 전송한다.
이후에,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는 서버(HSS 28)로 예정된 메시지(M15) "요청 통지"를 전송하고, 이러한 메시지는 특히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의 식별자 및 연관된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한다. 서버(HSS 28)는 사용자 장비(UE 1)와 연관하여 이러한 식별자들을 저장하고,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로 예정된 메시지(M16) "응답 통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다양한 단계들 및 메시지의 교환들의 완료 시에,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와 관련하여 사용자 장비(UE 1)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 사이에 새로운 세션이 설정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특정 표시자, 예를 들면, 요청된 서비스의 함수로서, 및 적절한 경우에 사용자 장비(UE 1)에 관련된 아이템들의 함수로서 선택되었다. 새로운 세션의 설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개시되지만, 네트워크의 엔티티들 중 하나의 명령에 의해 개시되고, 더 정확하게, 이러한 제 1 실시예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의 명령에 의해 개시된다.
도 3b는 제 2 변형예, 다시 말해서, GERAN/UTRAN 액세스 네트워크의 경우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설비들 사이의 교환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에, 세션은 또한 "PDP 컨텍스트"라 불린다.
도 1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는 모바일 엔티티(UE 1)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검출하고, 새로운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고,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요청을 접속 게이트웨이(S-GW 16)에 의해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로 전송한다. 설정 요청은 도 3a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메시지(M1)와 유사한 메시지(N1) "PDN 접속 요청"이다.
도 1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단계(E2) 동안에,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는 메시지(N1) "PDN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도 3a와 관련하여 설명된 프로세싱들을 수행한다.
단계(E2)의 서브-단계(E22)에서, 이어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는 사용자 장비(UE 1) 주도의 및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로 예정된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명령한다.
3GPP 표준 TS 23.060 "GPRS; 서비스 설명; 스테이지 2", v8.10.0이, 특히 도 67과 관련하여 단락 9.2.2.2에서, GGSN 게이트웨이 노드 엔티티로 하여금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에 의해 PDP 컨텍스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절차를 트리거링하도록 허용하는 네트워크의 다양한 설비들 간의 교환들을 명시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하라. PDP 컨텍스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이러한 절차는 사용자 장비(UE)로 예정된 전송될 데이터의 수신 시에 GGSN 게이트웨이 노드 엔티티 주도로 이루어진다. 게이트웨이 노드는 이러한 목적으로 메시지 "PDU 통지 요청"을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로 전송한다. GGSN 게이트웨이 노드가 접속 게이트웨이(S-GW)의 기능 및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게이트웨이(P-GW)의 기능의 조합에 대응하는 것이 여기서 상기된다.
따라서, 상기 표준에서 고찰된 것과 같은 이러한 절차는 메시지 "PDU 통지 요청"을 전송한 GGSN 게이트웨이 노드의 수정을 고찰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교환들은 이러한 절차에 의존하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후자에 대해 수정들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새로운 세션의 설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개시되지만, 일단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가 결정되면,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의 레벨에서 단계(E2)의 구현에 의해 명령된다.
더 정확하게,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는 사용자 장비(UE 1)로 예정된 메시지(N2) "요청 PDP 컨텍스트 활성화"를 전송하여, 후자는 세션의 설정, 다시 말해서 요청된 PDP 컨텍스트의 설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는 또한 접속 게이트웨이(S-GW 16)로 예정된 메시지(N3) "PDN 접속 응답"을 전송한다. 접속 게이트웨이(S-GW 16)는 차례로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로 예정된 메시지(N3)을 전송한다. 메시지(N3)는 단계(E5)에서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에 의해 수신된다. 이것은, 단계(E1) 동안에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에 의해 트리거링된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요청하는 절차를 종결한다.
사용자 장비(UE 1)는 요청된 서비스 및 매체 사이의 연관성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메시지(N2) "요청 PDP 컨텍스트 활성화"로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자 장비(UE 1)는 이러한 연관성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레벨(3, 4 (TFT) 또는 7)의 필터들에 의존한다. 일단 재구성이 수행되면, 이어서 사용자 장비(UE)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로 예정된 메시지(N4) "활성화 PDP 컨텍스트 요청"을 전송한다. 서브-단계(E23)에서, 이러한 메시지(N4)의 수신 시에,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는 요청된 서비스의 함수로서 이러한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를 결정한다. 더 정확하게,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는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및 특정 표시자에 기초하여 DNS 서버에 질문하고, 답례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를 획득한다.
사용자 장비에 관련된 아이템은 또한 DNS 서버로 전송되고, 따라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를 선택할 때 고려될 수 있다. 이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사용자 장비의 위치 아니면 사용자 장비 가입 데이터에 관련된 아이템일 수 있다.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의 이러한 결정이 또한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및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 모두를 획득하기 위해 서브-단계(E21)에서 DNS 서버의 질문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여기서 강조된다.
이후에,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는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와 새로운 세션을 설정한다. 일단 후자가 설정되면,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는 메시지(N5) "활성화 PDP 컨텍스트 수용"을 사용자 장비(UE 1)로 전송한다.
이러한 다양한 단계들 및 메시지의 교환들의 완료 시에,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과 관련하여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게이트웨이(P-GW2 20) 및 사용자 장비(UE 1) 사이에 새로운 세션이 설정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요청된 특정 서비스의 함수로서, 적절한 경우에, 사용자 장비(UE)에 관련된 아이템들의 함수로서 선택된다. 새로운 세션의 설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개시되지만, 네트워크의 엔티티들 중 하나의 명령에 의해, 더 정확하게, 이러한 제 1 실시예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의 명령에 의해 개시된다.
제 2 실시예는 도 4와 관련하여 더 정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E-UTRAN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의 경우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설비들 간의 교환들을 설명한다. 도 4는 GERAN 또는 UTRAN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자 장비(UE 1)의 액세스로 용이하게 전치 가능하다.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변형예는 명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되지 않지만, 상기 통신 방법이 또한 이러한 형태의 액세스 네트워크로 전치 가능하다.
더 정확하게, 통신 네트워크가 PCC 정책들 및 과금 제어를 보장하기 위해 PCRF 엔티티를 갖는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특정 경우가 여기서 고려된다.
도 1과 관련하여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계(E1) 동안에, PCEF 기능을 구현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는 모바일 엔티티(UE 1)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검출하고, 새로운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한다. 이어서,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요청을 PCRF 엔티티로 전송한다. 더 정확하게, 이러한 경우에, 설정 요청은 세션에 대한 수정 요청에 대응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서, 수정 요청은 IP-CAN 세션의 수정을 요청하는 메시지(O1a) "IP-CAN 세션 수정의 표시"에 대응한다. 3GPP 표준 TS 23.203 v8.11.0, 단락 7.4.1 및 도 7.4에 따라, 이러한 메시지(O1a)는 다음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 정보 필드 "이벤트 보고";
- 적용되는 PCC 정책들에 대한 제어 규칙들을 포함하는 정보 필드 "적용되는 PCC 규칙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메시지(O1a) "IP-CAN 세션 수정의 표시"는 또한 다음을 포함한다.
- 관련된 PDN 세션 또는 접속의 식별자(상기 식별자가 이용 가능하면);
- 특정 표시자, 예를 들면, 서비스의 식별자;
- 접속 게이트웨이(S-GW)의 네트워크에서의 어드레스.
도 1과 관련하여 이전에 기재된 단계(E2) 동안, PCRF 엔티티(24)는 메시지(O1a) "IP-CAN 세션 수정의 표시"를 수신하고, 정책 제어 규칙들과 IP-CAN 세션 및 특정 표시자를 상관시킨다.
PCRF 엔티티(24)는 사용자 장비(UE 1)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 사이의 세션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검증하고, 새로운 IP-CAN 세션을 설정하도록 결정한다. 서비스와 연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PCRF 엔티티(24)는 특정 표시자의 함수로서 가장 적절한 액세스 게이트웨이, 여기에 기재된 예에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 및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한다. PCRF 엔티티(24)는 또한 사용자와 연관된 가입 데이터를 검증한다. 그들은 PCRF 엔티티 내부에 있거나, 아니면 네트워크의 가입자들의 서버(HSS 28), DNS 도메인 네임 서버,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엔티티와 같은 몇몇의 다른 엔티티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고, 후자는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들의 액세스들 등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담당한다.
사용자 장비에 관련된 아이템은 또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를 선택할 때 고려될 수 있다. 이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사용자 장비의 위치에 관련된 아이템, 사용자 장비 가입 데이터에 관련된 아이템 아니면 사용자 장비의 형태에 관련된 아이템일 수 있다.
선택적인 방식에서, 접속 게이트웨이(S-GW)의 어드레스가 메시지(O1a)에서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에 의해 제공되지 않을 때, PCRF 엔티티(24)는 또한 서버(HSS 28) 또는 AAA 엔티티에 질문함으로써 이러한 단계(E2) 동안에 특히 현재 액세스 노드를 획득할 수 있다. 현재 액세스 노드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 아니면 SGSN 10) 아니면 3GPP 형태의 액세스 네트워크(E-UTRAN, UTRAN, GERAN)에 대한 접속 게이트웨이(S-GW 16)일 수 있다. 현대 액세스 노드는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PCRF 엔티티(24)는 메시지(O1b) "IP-CAN 세션 수정의 확인 응답"을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로 전송한다. 이러한 메시지(O1b)는 3GPP 표준 TS 23.203 v8.11.0, 단락 7.4.1을 준수한다.
본 발명에 따라, PCRF 엔티티(24)는 새로운 IP-CAN 세션의 생성을 트리거링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PCRF 엔티티(24)는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로 예정된 메시지(O2) "IP-CAN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 이러한 메시지(O2)는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 접속 게이트웨이(S-GW)의 네트워크에서의 어드레스;
- 사용자 장비의 공개 식별자, 예를 들면, MSISDN 번호(Mobiel Subscriber ISDN 번호);
- 결정된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단계(F1)에서 메시지(O2) "IP-CAN 생성 요청"을 수신한다. 액세스 네트워크의 형태, 즉, E-UTRAN 또는 GERAN/UTRAN의 함수로서,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도 4에서 단일 블록 "P-GW Init PDN" 접속의 형태로 표현된 상이한 절차들을 개시할 것이다.
액세스 네트워크가 E-UTRAN 형태일 때,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도 3a와 관련하여 기재된 바와 같이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명령한다. 더 정확하게,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메시지(M1) "PDN 접속 요청"을 접속 게이트웨이(S-GW 16)로 전송하고, 그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는 메시지(O2)로 전송된다. 메시지들의 다양한 교환들 및 단계들은 도 3a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구현된다.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하는 서브-단계(E21) 및 또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서브-단계(E23)는, 그들이 이미 PCRF 엔티티에 의해 결정되었다면,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2)의 레벨에서 구현되지 않는다.
액세스 네트워크가 GERAN/UTRAN 형태일 때,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도 3b와 관련하여 기재된 바와 같이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명령한다. 더 정확하게,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메시지(N1) "PDN 접속 요청"을 접속 게이트웨이(S-GW 16)로 전송하고, 그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는 메시지(O2)로 전송된다. 메시지들의 다양한 교환들 및 단계들은 도 3b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구현된다.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하는 서브-단계(E21)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서브-단계(E23)는, 그들이 이미 PCRF 엔티티(24)에 의해 결정되었다면,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 10)의 레벨에서 구현되지 않는다.
일단 새로운 세션이 생성되면,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PCRF 엔티티(24)로 예정된 메시지(O3) "IP-CAN 세션 생성 응답"을 전송한다.
이러한 다양한 단계들 및 메시지의 교환들의 완료 시에,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와 관련하여 사용자 장비(UE 1)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 사이에 새로운 세션이 설정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특정 표시자, 더 정확하게는 요청된 서비스의 함수로서, 및 적절한 경우에, 또한 사용자 장비(UE)에 관련된 아이템들의 함수로서 선택된다. 새로운 세션의 설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개시되지만, 네트워크의 엔티티들 중 하나의 명령에 의해 개시되고, 더 정확하게 이러한 제 2 실시예에서, PCRF 엔티티(24)의 요청에 의해 트리거링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MME)의 명령에 의해 개시된다.
도 5는, E-UTRAN 액세스 네트워크의 경우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설비들 사이의 교환들을 설명한다.
도 1과 관련하여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서버(AF 26)는 설정된 세션을 통해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에 의해 모바일 엔티티(UE 1)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메시지(Q1) "애플리케이션/서비스 정보"로 서비스에 관련된 아이템들을 PCRF 엔티티(24)에 제공한다. 이러한 메시지(Q1)는 특히 공개 MSISDN 번호, 사용자 장비의 네트워크에서의 어드레스와 같은 사용자 장비에 관련된 아이템들을 포함한다.
메시지(Q1)는 단계(E1) 동안에 PCRF 엔티티에 의해 수신된다. 여전히 단계(E1) 동안에, PCRF 엔티티(24)는 메시지(Q1)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검출하고, 새로운 세션이 생성되어야 한다고 결정한다. 이러한 제 3 실시예에서, 검출 단계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간접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강조된다. PCRF 엔티티(24)는 애플리케이션 서버(AF 26)로 예정된 메시지(Q2) "Ack"를 통해 메시지(Q1)에 대해 확인 응답한다.
도 1과 관련하여 이전에 기재된 단계(E2) 동안에, PCRF 엔티티(24)는 정책 제어 규칙들과 IP-CAN 세션 및 특정 표시자를 상관시킨다.
PCRF 엔티티(24)는 사용자 장비(UE 1)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 22) 사이의 세션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검출하고, 새로운 IP-CAN 세션을 설정하도록 결정한다. 서비스와 연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PCRF 엔티티(24)는 특정 표시자의 함수로서 가장 적절한 액세스 게이트웨이, 여기에 기재된 예에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 및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한다. PCRF 엔티티(24)는 또한 사용자와 연관된 가입 데이터를 검증한다.
사용자 장비에 관련된 아이템은 또한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를 선택할 때 고려될 수 있다. 이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사용자 장비의 위치에 관련된 아이템, 사용자 장비 가입 데이터에 관련된 아이템, 아니면 사용자 장비의 형태에 관련된 아이템일 수 있다.
이어서, 새로운 세션의 생성은, 메시지들(Q3) "IP-CAN 세션 생성 요처" 및 (Q4) "IP-CAN 세션 생성 응답"의 교환에 의해 도 4와 관련하여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다양한 단계들 및 메시지의 교환들의 완료 시에,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와 관련하여 사용자 장비(UE 1)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 사이에 새로운 세션이 설정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 20)는 특정 표시자의 함수로서 및 적절한 경우에, 또한 사용자 장비(UE 1)에 관련된 아이템들의 함수로서 선택된다. 새로운 세션의 설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개시되지만, 네트워크 엔티티들 중 하나에 의해 트리거링되고, 더 정확하게, 이러한 제 3 실시예에서 PCRF 엔티티(24)의 요청에 의해 트리거링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SGSN/MME)의 명령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PCEF 정책 애플리케이션 기능이 데이터 네트워크 액세스 게이트웨이에 의해 구현되는 특정 경우에서 이러한 제 2 및 제 3 실시예들의 설명들이 수행된다는 것이 여기서 강조된다. 그들은 또한 표준의 옵션의 특정 경우에서 전치 가능하고, 여기서 TDF(Traffic Detection Function)로 불리는 설비는 네트워크 액세스 게이트웨이 외부에 있다.
도 3a, 도 3b,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기재된 실시예들은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하는 서브-단계(E21)의 구현을 고찰한다. 이러한 서브-단계(E21)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선택적이라는 것이 상기된다.
도 3a, 도 3b와 관련하여 기재된 실시예들은, 또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서브-단계(E23)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발신된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요청의 수신 시에 구현되는 것을 고찰한다. 서브-단계(E21)가 구현되는 경우에, 이러한 서브-단계(E23)가, 서브-단계(E21)와 결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게이트웨이로부터 발신된 설정 요청의 수신 시에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상기된다.
도 6a, 도 6b, 도 6c는 통신 네트워크의 엔티티들을 간략한 방식으로 표현한다. 명확히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엔티티들의 엘리먼트들만이 표현된다.
제 1 엔티티(100)가 도 6a에 표현된다. 제 1 엔티티는 특히 다음을 포함한다.
- 네트워크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듈(101);
- 설정된 세션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검출하도록 설계된 검출 모듈(102);
- 적어도 하나의 기준의 함수로서 새로운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고,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트리거링하도록 설계된 결정 모듈(103).
그러한 제 1 엔티티(100)는 제 1 및 제 2 실시예들에 따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1)에 대응한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200)가 도 6b에 표현된다. 그러한 엔티티는 특히 다음을 포함한다.
- 네트워크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듈(201);
- 액세스 네트워크의 엔티티들에 의해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듈(202).
통신 모듈(202)은 특히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하여 사용자 장비에게 명령하고, 사용자 장비와 액세스 게이트웨이 사이에 세션을 설정하도록 설계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200)는 또한,
-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적절한 또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도록 설계된 결정 모듈(203)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203)은 또한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하도록 설계된다.
제 1 엔티티(100)는 특히 제 1 실시예에 따라 이전에 기재된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200)와 협력한다.
PCRF 엔티티(300)가 도 6c에 표현되고, 특히 다음을 포함한다.
- 네트워크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듈(301);
-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적절한 또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도록 설계된 결정 모듈(302);
- 사용자 장비 및 또 다른 결정된 액세스 게이트웨이 간의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트리거링하도록 설계된 트리거링 모듈(303).
제 1 엔티티(100)는 특히 제 2 실시예에 따라 이전에 기재된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PCRF 엔티티(300)와 협력한다. PCRF 엔티티(300)는 제 3 실시예에 따라 이전에 기재된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특히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SGSN)에 의한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P-GW2)와 협력한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302)은 또한 APN 데이터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하도록 설계된다.
제 3 실시예에 따라, PCRF 엔티티(300)는 또한 다음을 포함한다.
- 애플리케이션 서버(AF 26)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검출하도록 설계된 검출 모듈(304) - 메시지의 발산은 설정된 세션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의 수신에 의해 트리거링됨 -;
- 적어도 하나의 기준의 함수로서 새로운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도록 설계된 또 다른 결정 모듈(305).
PCRF 엔티티(300)는 특히 제 3 실시예에 따라 이전에 기재된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특히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SGSN)에 의한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다른 게이트웨이(P-GW2)와 협력한다.
사용자 장비(UE 1)는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수신하고 이러한 명령을 프로세싱하도록 설계된 수단을 포함한다. 더 정확하게, E-UTRAN 액세스 네트워크의 경우에, 이러한 수단은 설정 명령 메시지 "요청 PDN 접속"을 수신하고, 이러한 명령 메시지에 응답하여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 "PDN 접속 요청"을 전송하고, 설정이 네트워크 주도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표시하고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에 의해 포함되는 메시지 "PDN 접속 수용"을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들의 함수로서 요청된 서비스 및 매체 간의 연관성을 업데이트하고,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 완료"를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GERAN/UTRAN 액세스 네트워크의 경우에, 이러한 수단은 네트워크 주도로 발산된 설정 명령 메시지 "요청 PDP 컨텍스트 활성화"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들의 함수로서 요청된 서비스 및 매체 사이의 연관성을 업데이트하고, 명령 메시지에 응답하여 메시지 "활성화 PDP 컨텍스트 요청"을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또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게이트웨이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설정하도록 설계된 패킷 모드 통신 네트워크의 시스템(3)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 설정된 세션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검출하기 위한 모듈(102, 304);
- 적어도 하나의 기준의 함수로서 새로운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설계된 제 1 결정 모듈(103, 305);
-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적절한 또 다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도록 설계된 제 2 결정 모듈(203, 302);
- 특히,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사용자 장비에 디스패칭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고, 사용자 장비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 사이에 세션을 설정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듈(202)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개시함 - .
엔티티(100, 200, 300)의 다양한 모듈들은 엔티티에 의해 실행되는 이전에 기재된 통신 방법의 그러한 단계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된다. 이들은, 통신 네트워크의 엔티티에 의해 구현되는 이전에 기재된 통신 방법의 그러한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다음에 관련된다.
- 엔티티에 대한 프로그램이 엔티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엔티티에 의해 실행되는 이전에 기재된 통신 방법의 그러한 단계들의 실행을 명령하도록 의도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엔티티에 대한 프로그램;
- 엔티티에 대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상기 엔티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데이터 매체에 저장되거나, 데이터 매체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후자는 하드웨어 저장 매체, 예를 들면, CD-ROM, 자기 디스켓 또는 하드 디스크, 아니면 전기, 광학 또는 라디오 신호와 같은 전송 매체, 또는 원격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Claims (12)

  1. 사용자 장비(1)와 데이터 네트워크(30, 32) 사이의 패킷 모드 통신 네트워크(2)에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한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와 제 1 액세스 게이트웨이(22) 사이에 세션이 설정되고,
    상기 방법은,
    설정된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E11, E1);
    적어도 하나의 기준의 함수로서, 새로운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제 1 결정 단계(E12, E1);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디스패칭하는 단계(E22, E2)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개시함 ― ;
    제 2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제 2 결정 단계(E23, E2) ― 상기 제 2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적절함 ― ;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개시되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 단계 ― 세션 설정의 완료 시에, 상기 새로운 세션이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 2 액세스 게이트웨이 사이에 설정됨 ―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은 서비스의 식별자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그룹에 속하는,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세션과 연관된 패킷 스트림의 검사에 의해 구현되는,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사용자 장비의 위치에 관련된 아이템, 사용자 장비의 가입 데이터에 관련된 아이템, 및 사용자 장비의 형태를 포함하는 그룹에 속하는,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2 개의 액세스 게이트웨이들 중 하나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요청을 이동성 관리 엔티티(10, 12)로 전송하는,
    통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검출 단계 및 상기 제 1 결정 단계를 구현하고, 상기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요청을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10, 12)로 전송하고,
    이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상기 설정에 관한 명령을 디스패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결정 단계를 구현하는,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정책들 및 과금(charging)을 제어하기 위한 엔티티들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단계 및 상기 제 1 결정 단계는 네트워크 정책들을 적용하는 엔티티(20, 22)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네트워크 정책들을 제공하는 엔티티(24)는 상기 제 2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 주도로 상기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제 2 액세스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통신 방법.
  9.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한 데이터 네트워크(30, 32)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1)와 게이트웨이(20, 2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설정하도록 설계된, 패킷 모드 통신 네트워크(2) 내의 시스템(3)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와 제 1 액세스 게이트웨이 사이에 설정된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102, 304);
    적어도 하나의 기준의 함수로서, 새로운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설계된 제 1 결정 수단(103, 305);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디스패칭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와 제 2 액세스 게이트웨이 사이에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도록 설계된 통신 수단(202)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개시함 ― ;
    상기 제 2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결정하기 위한 제 2 수단(203, 302) ― 상기 제 2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적절함 ― 을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을 프로세싱하도록 설계된,
    시스템.
  11.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에 청구된 통신 방법의 구현을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2. 사용자 장비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와 제 1 액세스 게이트웨이 사이에 설정된 제 1 세션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패킷 모드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적어도 하나의 기준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새로운 세션의 설정에 관한 상기 명령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을 프로세싱하는 것은, 상기 설정에 관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제 2 액세스 게이트웨이 사이에 상기 새로운 세션의 설정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KR1020137017230A 2010-11-30 2011-11-28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 KR101902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59935A FR2968156A1 (fr) 2010-11-30 2010-11-30 Technique de communication entre un equipement utilisateur et un reseau de donnees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FR1059935 2010-11-30
PCT/FR2011/052787 WO2012072929A1 (fr) 2010-11-30 2011-11-28 Technique de communication entre un equipement utilisateur et un reseau de donnees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622A KR20130143622A (ko) 2013-12-31
KR101902324B1 true KR101902324B1 (ko) 2018-09-28

Family

ID=4380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230A KR101902324B1 (ko) 2010-11-30 2011-11-28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70469B2 (ko)
EP (1) EP2647243B1 (ko)
KR (1) KR101902324B1 (ko)
CN (1) CN103339989B (ko)
ES (1) ES2699248T3 (ko)
FR (1) FR2968156A1 (ko)
WO (1) WO2012072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9437A1 (fr) 2014-03-28 2015-10-02 Orange Technique de gestion d'un etat d'activation d'un reseau d'acces radio dans un reseau local
US9794266B2 (en) * 2014-09-05 2017-10-17 Qualcomm Incorporated Using multiple credentials for access and traffic differentiation
US10897507B2 (en) * 2016-04-01 2021-01-19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 to enable connectivity sessions and IP session establishment
US11089519B2 (en) * 2016-04-13 2021-08-10 Qualcomm Incorporated Migration of local gateway function in cellular networks
JP2020057834A (ja) * 2017-02-07 2020-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12910913B (zh) 2017-06-19 2022-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会话建立的方法和网络系统
KR102389867B1 (ko) * 2018-01-30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설립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9212543A1 (en) * 2018-05-02 2019-11-07 Nokia Technologies Oy Direct user equipment to user equipment without data network access identifier
GB201810768D0 (en) * 2018-06-29 2018-08-15 Nordic Semiconductor Asa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 device and a network
EP3735006B1 (en) * 2019-05-03 2023-04-0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Efficient computing of application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230088955A1 (en) * 2020-03-02 2023-03-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status of pdu session that is deactivated or established according to af request on screen
KR102610503B1 (ko) * 2022-01-26 2023-12-06 주식회사 휴이노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7448A1 (en) * 2008-06-27 2010-02-04 Sanil Kumar Puthiyandyil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packet data network communications
JP2010171714A (ja) * 2009-01-22 2010-08-05 Hitachi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呼制御サーバ及び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6541A1 (en) * 2000-02-19 2001-10-04 In-Ho You Method for performing diversity and handoff in all internet protocol network
WO2006063536A1 (fr) * 2004-12-17 2006-06-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et systeme pour maintenir la continuite d'une session
WO2007129167A1 (en) * 2006-04-26 2007-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initiated mobility management for mobile terminals
US8489096B2 (en) * 2006-06-01 2013-07-16 Nokia Corporation Inter-access handover with access specific policy control functions
ES2526199T3 (es) 2006-08-18 2015-0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rrelación que implica cambio inter sistema entre diferentes tipos de portadores radio
CN101237677B (zh) 2007-02-02 2010-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系统间切换时传递聚合最大位速率的方法、网络系统及目的侧网络
US9414124B2 (en) * 2007-06-01 2016-08-09 Orange Audiovisual session switchover from a first access network to a second access network
US20080320149A1 (en) * 2007-06-25 2008-12-25 Stefano Faccin Service request device wireless access detach and bearer deactivation methods withou loss of internet protocol connectivity
GB2453315A (en) * 2007-08-15 2009-04-08 Nec Corp Connection Identifier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5138045B2 (ja) 2007-11-16 2013-02-06 ノキア シーメンス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システム間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サービス品質のマッピング
US8787249B2 (en) * 2008-02-06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IP multiple registrations and PCC interactions
CN101447918B (zh) * 2008-03-12 2011-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户设备接入协议的通知方法和系统
US8780814B2 (en) * 2008-04-04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bearer establishment in E-utran/EPS
JP5380526B2 (ja) * 2008-05-01 2014-01-08 ノーテル・ネットワークス・リミテッド 異なるサービス・タイプをサポートするパケット・ゲートウェイの識別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2355686B (zh) 2008-07-16 2015-08-05 华为技术有限公司 隧道管理方法、装置及通信系统
US8811338B2 (en) * 2008-08-22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Proxy mobile internet protocol (PMIP) in a multi-interface communication environment
US8654716B2 (en) * 2008-11-14 2014-02-1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name binding for multiple packet data network access
US8200830B2 (en) * 2009-03-04 2012-06-12 Cisco Technology, Inc. Detecting overloads in network devices
US8924527B2 (en) 2009-03-04 2014-12-30 Cisco Technology, Inc. Provisioning available network resources
CN101873589B (zh) * 2009-04-21 2016-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多网接入控制方法、通讯系统以及相关设备
GB0916582D0 (en) * 2009-09-22 2009-10-28 Software Cellular Network Ltd Subscriber identification management broker for fixed/mobile networks
US8499087B2 (en) 2009-11-30 2013-07-30 At&T Mobility Ii Llc Service-based routing for mobile core network
WO2011101021A1 (en) 2010-02-16 2011-08-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acilitat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8605583B2 (en) * 2010-02-18 2013-12-10 Alcatel Lucent PCC/QOS rule creation
EP2572525A1 (en) 2010-05-21 2013-03-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device and a system for ip traffic offloading
US9100853B2 (en) 2010-06-01 2015-08-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licy decisions for data communication in constrained resource networks
US8400916B2 (en) * 2010-06-28 2013-03-19 Alcatel Lucent Method of authorizing AF sessions using external subscriber database
US8787303B2 (en) 2010-10-05 2014-07-22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traffic offloading at a router
EP2628337B1 (en) 2010-10-13 2019-08-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in a network node for selecting a gatew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7448A1 (en) * 2008-06-27 2010-02-04 Sanil Kumar Puthiyandyil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packet data network communications
JP2010171714A (ja) * 2009-01-22 2010-08-05 Hitachi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呼制御サーバ及び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7243B1 (fr) 2018-08-22
ES2699248T3 (es) 2019-02-08
CN103339989B (zh) 2016-09-14
US20140126486A1 (en) 2014-05-08
WO2012072929A1 (fr) 2012-06-07
EP2647243A1 (fr) 2013-10-09
CN103339989A (zh) 2013-10-02
FR2968156A1 (fr) 2012-06-01
KR20130143622A (ko) 2013-12-31
US10070469B2 (en)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324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
US10492237B2 (en) Mobile gateway selection using a direct connection between a PCRF node and a mobility management node
JP202016215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てコアネットワークを選択する方法及び装置
US10474522B2 (en) Providing a network access failure cause value of a user equipment
EP3113524B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emergency services connectivity requests through untrusted wireless networks
EP2244424A1 (en) A method for selecting a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server on a non-roaming scene
US973005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election of a serving node
US10342054B2 (en) IP address assignment for a UE in 3GPP
EP3158781B1 (en) Location information in managed access networks
WO2011137644A1 (zh) 终端访问业务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1015140A1 (zh) 一种移动通信寻呼方法、系统及装置
WO2020192997A1 (en) Network function databas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onent, method for selecting a network function and method for registering a network function
US9596625B2 (en) Technique for communica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data network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2953386B1 (en) Billing method, access network device and gateway device
CN101998515B (zh) 控制pcrf负载均衡的实现方法和实现系统
EP2769567B1 (en) Visited pcrf s9 session id generation
EP3235314B1 (en) Controll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CA3178748A1 (en) Reuse of ip addresses
EP2769581B1 (en) Roaming session termination triggered by roaming agreement/partner deletion
US10498546B2 (en) Technique for communication between a client entity and a packet mode dat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