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094B1 -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094B1
KR101902094B1 KR1020170002933A KR20170002933A KR101902094B1 KR 101902094 B1 KR101902094 B1 KR 101902094B1 KR 1020170002933 A KR1020170002933 A KR 1020170002933A KR 20170002933 A KR20170002933 A KR 20170002933A KR 101902094 B1 KR101902094 B1 KR 10190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magnetic
valve
bobbin
safet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1964A (ko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박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호 filed Critical 박경호
Priority to KR102017000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0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83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valve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보빈 내부에서 플런저의 위치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탐지하여 안전 스위치의 위치의 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는 유체가 이송되는 밸브 몸체(11); 밸브 몸체(11)에 배치된 개폐 수단의 작동을 위한 플런저(18); 플런저(18)를 둘러싼 코일의 배치를 위한 보빈(13); 보빈(13)에 배치되는 자기 탐지 유닛(15a, 15b); 및 플런저(18)의 위쪽에 배치된 조절 노브(14)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탐지 유닛(15a, 15b)에서 탐지되는 자기 변화에 따라 플런저(18)의 위치가 탐지되어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한 밸브 몸체(11)의 개폐 상태가 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A Safety Valve Having a Structure of Detecting Magnetic Field}
본 발명은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보빈 내부에서 플런저의 위치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탐지하여 안전 스위치의 위치의 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와 같은 도관을 통하여 이송되는 유체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밸브 장치가 설치되고, 밸브 장치는 유체의 이송을 개폐하면서 이와 동시에 긴급 상황에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가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도관에서 가스의 누설이 탐지되면 안전 스위치가 작동되어 가스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02-0061501호는 복수의 포트를 구비한 밸브 보디와, 밸브 보디의 내부에 형성된 밸브 구멍과, 밸브 구멍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 밸브체와, 밸브체의 축방향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과, 피스톤에 파일롯 유체를 공급하여 밸브체를 전환하는 1개 이상의 파일롯 밸브와, 상기 밸브체의 양단에 끼워 부착되어 밸브체의 단부에 피스톤이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캡과, 밸브체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삽입되어 캡에 의해 그 위치에 고정된 링 형상의 마그넷과, 밸브 보디의 내부에 밸브 구멍 및 마그넷에 근접하도록 형성된 수용실과, 수용실 내에 설치된 1개 이상의 자기 센서와, 수용실을 덮는 커버를 가진 자기센서가 부착된 전자밸브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01-0052471호는 하우징 내에 수용된 두 개의 밸브를 가지고, 상기 밸브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양 밸브 디스크는 서로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며, 밸브 디스크 각각은 제1 외부 및 제2 내부 폐쇄 스프링 각각의 스프링 압력에 대항하여 개방 방향으로 축방향 이동을 통하여 각 밸브 시트로부터 리프트가 되고, 상기 내부 밸브는 이중 안전 자기밸브의 흐름 방향으로 조절요소로서 자기 아마추어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 밸브 디스크는 상기 내부 밸브 디스크는 상기 내부 밸브 디스크와 개방 방향으로 이동 결합되는 이중 안전 자기 밸브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자기 방식으로 개폐가 조절되는 밸브에 대하여 개시하지만 자기장의 탐지에 의하여 안전 스위치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는 안전밸브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안전밸브의 작동을 위하여 먼저 안전 스위치의 위치가 탐지되어야 하고, 공지의 안전 스위치의 경우 기계적 접촉 방식이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도관이 개방된 상태에서 안전 스위치가 위쪽에 위치하고, 도관이 밀폐된 상태가 있는 경우 안전 스위치가 아래쪽에 위치한다. 아래쪽에 안전 스위치가 위치하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판 형상의 접촉 부위를 가진 마이크로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계적 접촉 수단은 오작동 가능성이 크면서 불량률이 높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작동 신뢰성이 높으면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2-0061501호(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2002년07월24일 공개) 자기센서가 부착된 전자밸브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01-0052471호(칼 둥스 게엠베하 운트 코, 1999년12월16일 국제 공개) 이중 안전 자기 밸브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 탐지 수단에 의하여 안전 스위치의 위치를 탐지하는 것에 의하여 작동 신뢰성이 높으면서 불량률이 감소되도록 하는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는 유체가 이송되는 밸브 몸체; 밸브 몸체에 배치된 개폐 수단의 작동을 위한 플런저 플런저를 둘러싼 코일의 배치를 위한 보빈; 보빈에 배치되는 자기 탐지 유닛; 및 플런저의 위쪽에 배치된 조절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탐지 유닛에서 탐지되는 자기 변화에 따라 플런저의 위치가 탐지되어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한 밸브 몸체의 개폐 상태가 탐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기 탐지 유닛은 자기 센서 및 자기 센서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기 탐지 유닛은 보빈의 상부 날개에 형성된 배치 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는 기계적 접촉이 가진 오작동 및 불량률 문제를 해결하여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제조 불량이 감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는 제조비용이 감소되도록 하면서 유지 및 교체 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는 작동 구조가 간단하면서 가스 안전밸브를 비롯한 다양한 유체 이송 도관에 적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에 적용되는 자기 탐지 수단의 배치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는 유체가 이송되는 밸브 몸체(11);
밸브 몸체(11)에 배치된 개폐 수단의 작동을 위한 플런저(18); 플런저(18)를 둘러싼 코일의 배치를 위한 보빈(13); 보빈(13)에 배치되는 자기 탐지 유닛(15a, 15b); 및 플런저(18)의 위쪽에 배치된 조절 노브(14)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탐지 유닛(15a, 15b)에서 탐지되는 자기 변화에 따라 플런저(18)의 위치가 탐지되어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한 밸브 몸체(11)의 개폐 상태가 탐지된다.
안전밸브는 가스 또는 이와 유사한 유체의 이송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개폐 스위치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는 개폐 스위치를 일부를 형성하거나, 개폐 스위치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밸브 몸체(11)는 양쪽에 유체의 이송을 위한 관이 연결될 수 있는 결합 부분을 가질 수 있고, 내부에 유체의 이송이 가능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몸체(11)의 내부 경로에 경로 개폐가 가능한 댐퍼 또는 개폐 수단이 설치될 수 있고, 댐퍼 또는 개폐 수단의 조절에 의하여 이송 경로의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런저(18)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이송 경로의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18)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송 경로가 폐쇄되고, 플런저가 위쪽으로 이동되면 이송 경로가 열려 내부 경로를 통하여 유체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플런저(18)의 상하 이동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18)의 위쪽에 조절 노브(14)가 배치될 수 있고, 조절 노브(14)의 작동에 의하여 플런저(18)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플런저(18)의 아래쪽에 푸시 핀(181)이 결합될 수 있고, 푸시 핀(181)은 아래쪽은 밸브 몸체(11)의 내부 경로에 이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플런저(18)는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솔레노이드 코일(131)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 코일(131)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플런저(18)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플런저(18)를 정해진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수단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18)의 아래쪽에 코어(16)가 형성되고, 코어(16)를 통하여 푸시 핀(181)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코어(16)의 위쪽 부분에 코일 형상의 플런저 탄성 유닛(183)이 배치될 수 있다. 코어(16)의 아래쪽 부분은 영구 자석에 해당되는 마그넷(19)과 접촉될 수 있고, 마그넷(19)은 보빈(13)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마그넷 홀더(191)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넷 홀더(191)는 밸브 몸체(11)의 위쪽 면에 고정될 수 있고, 푸시 핀(181)은 마그넷(19), 마그넷 홀더(191)를 관통하여 밸브 몸체(11)를 관통하여 내부 경로로 연장될 수 있다.
밸브 몸체(11)의 둘레 면의 한쪽 부분에 내부 경로와 연결되는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 홀을 통하여 푸시 핀(181)의 아래쪽이 내부 경로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프레임(12)이 관통 홀을 폐쇄시키는 홀더(H)에 의하여 밸브 몸체(11)의 위쪽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H)는 고무 패킹과 같은 밀폐 수단(174)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밸브 프레임(12)의 내부에 보빈(13)이 수용될 수 있고, 플런저(18)는 밸브 프레임(12)의 위쪽으로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런저(18)의 위쪽에 조절 노브(14)가 결합될 수 있다.
푸시 핀(181)의 아래쪽은 내부 경로를 관통하여 밸브 몸체(11)의 내부 면에 이르도록 연장될 수 있고, 푸시 핀(181)의 끝 부분에 개폐 탭(172)이 배치될 수 있다. 개폐 탭(172)에 의하여 내부 경로가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홀의 맞은편에 조절 홀이 형성될 수 있고, 하부 덮개(17)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하부 덮개(18)의 위쪽에 조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조절 공간에 스프링과 같은 조절 탄성 수단(17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탭(172)이 조절 탄성 수단(171)에 배치될 수 있고, 개폐 탭(172)은 적절한 밀폐 링과 같은 조절 밀폐 수단(173)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밸브 몸체(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이송 경로의 개폐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런저(18)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보빈(13)의 자기장이 변할 수 있고, 변화된 자기장을 탐지하여 플런저(18)의 위치가 탐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경로의 개폐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자기장의 변화는 자기 센서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자기 센서는 안전밸브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그넷 리드 스위치 구조 또는 마그넷 리드 센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탐지 센서(15a, 15b)는 보빈(13)의 위쪽 날개에 배치될 수 있고, 플런저(18)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빈(13)의 위쪽에 탐지 홀이 형성될 수 있고, 탐지 홀에 자기 탐지 센서(15a, 15b)가 배치될 수 있고, 자기 탐지 센서(15a, 15b)에 의하여 플런저(18)의 위치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가 탐지될 수 있다. 자기 탐지 센서(15a, 15b)는 탐지된 자기장의 변화를 제어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탐지 센서(15a, 15b)는 두 개의 리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런저(18)의 위치에 따라 두 개의 리드의 끝 부분이 서로 분리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또는 분리 정보가 제어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 유닛은 플런저(18)의 위치에 따라 조절 노브(14)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플런저(18)를 직접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스 누설이 탐지되는 경우 자기 탐지 센서(15a, 15b)에 의하여 플런저(18)의 위치가 탐지될 수 있다. 만약 플런저(18)가 내부 경로를 닫는 위치에 있다면 곧바로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관리 서버로 가스 누설에 대한 정보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플런저(18)가 내부 경로를 개방시키는 위치에 있다면 조절 노브(14)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플런저(18)를 이동시켜 내부 경로를 닫을 수 있다.
자기 탐지 센서(15a, 15b)는 플런저(18)의 이동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안전밸브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이와 같이 자기 탐지 센서(15a, 15b)의 구조 및 배치 위치에 대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에 적용되는 자기 탐지 수단의 배치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위쪽을 참조하면, 보빈(13)은 상부 날개(UW) 및 홀더 플레이트(231)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 날개(UW)와 홀더 플레이트(231)에 의하여 고정되는 코일 홀더(2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코일 홀더(232)에 코일이 감길 수 있고, 코일 홀더(232)의 내부로 플런저가 관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날개(UW)의 양쪽 부분에 배치 홀(21)이 형성될 수 있고, 배치 홀(21)에 탐지 튜브(22)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 홀더(232)는 아래쪽 부분에 형성된 홀더 플레이트(231)로부터 상부 날개(UW)의 위쪽으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배치되는 플런저는 일부는 코일 홀더(232)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위에서 설명된 조절 노브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치 홀(21)은 코일 홀더(232)의 외부에 코일 홀더(23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상부 날개(UW)를 관통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배치 홀(21)에 튜브 형상의 탐지 튜브(22)가 배치될 수 있다. 탐지 튜브(22)는 자기 탐지 유닛(15a)이 배치 홀(21)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면서 자기 탐지 유닛(15a)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지 튜브(22)에 홈 또는 돌기와 같은 자기 탐지 유닛(15a)의 고정 수단이 배치될 수 있고, 탐지 튜브(22)의 양쪽 입구에 링과 같은 밀폐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탐지 튜브(22)의 양쪽 개방 면에 자기 탐지 유닛(15a)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탭이 설치될 수 있다. 탐지 튜브(22)는 자기 탐지 유닛(15a)을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의 아래쪽을 참조하면, 자기 탐지 유닛(15a)은 자기 센서(151) 및 자기 센서(151)로부터 연장되는 리드(1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기 센서(151)는 양쪽 끝이 밀폐된 튜브 형상이 될 수 있고, 리드(152)는 자기 센서(151)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자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센서(151)는 탐지 튜브(22)의 내부에 고정되고 리드(152)는 탐지 튜브(22)의 외부로 돌출되어 적절한 신호 처리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자기 센서(151)는 유리 또는 이와 유사한 절연 소재의 밀폐 튜브의 내부에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질소 또는 불활성 기체가 채워진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밀폐 튜브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리드(152)는 밀폐 튜브의 내부에서 접촉 부분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니켈, 철, 코발트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강자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코일 홀더(232)에 감겨지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보빈(12) 주위로 자기장이 형성되고, 자성체로 만들어진 리드(152)를 통하여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 홀더(232)의 내부에 배치되는 플런저의 위치에 따라 리드(152)가 서로 다른 자극을 형성하게 되어 밀폐 튜브의 내부에서 접촉 부분이 서로 접촉이 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신호가 외부에서 탐지되어 플런저의 위치가 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플런저의 위치에 따라 개폐 상태가 확인되면, 제어 유닛에 의하여 개폐 작동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설계 구조에 따라 개방 상태가 탐지되면 자동으로 내부 경로가 밀폐되도록 플런저가 이동되고, 밀폐 상태가 탐지되면 플런저가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자기 탐지 유닛(15a)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코일(W)에 형성된 권선 홀(WO)에 플런저(18)가 배치될 수 있고, 플런저(18)는 작동 몸체(311); 작동 몸체(311)의 위쪽으로 연장되면서 조절 노브와 연결되는 결합 부분(313); 및 작동 몸체(311)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작동 몸체(311)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는 수용 부분(3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런저(18)의 내부에 푸시 핀(181)의 위쪽 부분이 수용될 수 있고, 푸시 핀(181)은 플런저(18)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팁(323); 고정 팁(323)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분(322); 및 코어의 내부를 관통하여 보빈의 외부로 연장되는 핀 몸체(3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자기 탐지 유닛(15a)은 작동 몸체(311)의 위쪽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푸시 핀(181)은 코일(W)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자성의 변화와 코어의 고정 자성의 상호 작용에 의한 솔레노이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고, 코일(W)에서 발생되는 서로 다른 자성이 자기 탐지 유닛(15a)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플런저(18)의 위치 또는 밸브 몸체의 내부 경로의 개폐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기 탐지 유닛(15a)은 코일(W)의 자성 또는 자성 변화를 탐지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이의 탐지가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자기 탐지에 기초하여 개폐 상태를 탐지하는 것에 의하여 접촉 상태를 기계적 방식으로 탐지하는 공지의 마이크로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작동 오류 또는 제조 불량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는 기계적 접촉이 가진 오작동 및 불량률 문제를 해결하여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제조 불량이 감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는 제조비용이 감소되도록 하면서 유지 및 교체 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는 작동 구조가 간단하면서 가스 안전밸브를 비롯한 다양한 유체 이송 도관에 적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밸브 몸체 12: 밸브 프레임
13: 보빈 14: 조절 노브
15a, 15b: 자기 탐지 유닛 16: 코어
17: 하부 덮개 18: 플런저
19: 마그넷 21: 탐지 홀
22: 탐지 튜브 131: 솔레노이드 코일
151: 자기 센서 152: 리드
171: 조절 탄성 수단 172: 개폐 탭
173: 조절 밀폐 수단 174: 밀폐 수단
181: 푸시 핀 183: 플런저 탄성 유닛
191: 마그넷 홀더 231: 홀더 플레이트
232: 코일 홀더 311: 작동 몸체
312: 수용 부분 313: 결합 부분
321: 핀 몸체 322: 연장 부분
323: 고정 팁 H: 홀더
UW: 상부 날개 W: 코일
WO: 권선 홀

Claims (3)

  1. 유체가 이송되는 밸브 몸체(11);
    상기 밸브 몸체(11)에 배치된 개폐 수단의 작동을 위한 플런저(18);
    상기 플런저(18)를 둘러싼 코일의 배치를 위한 보빈(13);
    상기 보빈(13)에 배치되는 자기 탐지 유닛(15a, 15b); 및
    상기 플런저(18)의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18)가 상하 이동되도록 작동하는 조절 노브(14)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탐지 유닛(15a, 15b)에서 탐지되는 자기 변화에 따라 상기 플런저(18)의 위치가 탐지되어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한 밸브 몸체(11)의 개폐 상태가 탐지되고,
    상기 자기 탐지 유닛(15a, 15b)은 상기 보빈(13)의 상부 날개에 형성된 배치 홀(2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자기 탐지 유닛(15a, 15b)은 자기 센서(151) 및 자기 센서(151)로부터 연장되는 리드(1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
  3. 삭제
KR1020170002933A 2017-01-09 2017-01-09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 KR10190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933A KR101902094B1 (ko) 2017-01-09 2017-01-09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933A KR101902094B1 (ko) 2017-01-09 2017-01-09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964A KR20180081964A (ko) 2018-07-18
KR101902094B1 true KR101902094B1 (ko) 2018-09-27

Family

ID=6304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933A KR101902094B1 (ko) 2017-01-09 2017-01-09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5144B (zh) * 2022-11-08 2023-01-24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低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用于主动射流的阀门校准装置及阀门校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2318A (ja) * 2013-04-08 2014-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水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6297B2 (ja) * 2004-11-30 2009-11-18 株式会社ケーヒン 燃料電池用電磁弁
US7628378B2 (en) * 2007-05-22 2009-12-08 Fema Corporation Of Michigan Proportional solenoid with armature motion sen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2318A (ja) * 2013-04-08 2014-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水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964A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4406B2 (en) Relay
US7347221B2 (en) Solenoid valve
CN109555890B (zh) 隔膜阀
US4304264A (en) Solenoid actuated valve
US8905067B2 (en) Valve module
JP2015083873A (ja) ソレノイドバルブ
EP1702169A2 (en) Pneumatically actuated valve
KR101902094B1 (ko) 자기 탐지 방식의 안전밸브
US2769943A (en) Electromagnetic control device
US11009145B2 (en) Valve actuator, valve, and machine consisting thereof
JP2021535985A (ja) 気体状の媒体を蓄えるためのタンク装置
KR101124554B1 (ko) 안전 밸브장치
US2637344A (en) Electroinductively actuated valve
US4114852A (en) Miniature reed-type valve
US20050145813A1 (en) Solenoid valve assembly
US5111092A (en) Device for sensing reciprocated armature position
GB2060827A (en) Fluid shut-off valve
KR102135642B1 (ko) 솔레노이드 래칭밸브
KR100945166B1 (ko) 전자식 가스 차단기
CN112236608B (zh) 用于流体的,优选用于气体的阀
JP6941086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磁弁
US948405A (en) Air-operated electrically-controlled valve mechanism.
US6058967A (en) Magnetic activation system for switch
JPS5872783A (ja) 自己保持型電磁弁
JPH046707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