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930B1 - 변전 설비용 충전기 및 그 교체 방법 - Google Patents

변전 설비용 충전기 및 그 교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930B1
KR101900930B1 KR1020180010170A KR20180010170A KR101900930B1 KR 101900930 B1 KR101900930 B1 KR 101900930B1 KR 1020180010170 A KR1020180010170 A KR 1020180010170A KR 20180010170 A KR20180010170 A KR 20180010170A KR 101900930 B1 KR101900930 B1 KR 10190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dc channel
charger
channel
ad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미화
Original Assignee
대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일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 설비에 구비되는 무정전용 전원 공급을 위하여 사용되는 충전기 및 그 교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AC 분전반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DC 전력으로 전환하여 충전하는 변전 설비용 충전기에 있어서, 제1 AC Input 개폐기, 제1 컨버터 채널 및 제1 DC Output 개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 AC Input 개폐기를 통하여 상기 AC 분전반의 제1 AC 개폐기에 연결되는 제1 ADC 채널과, 제2 AC Input 개폐기, 제2 컨버터 채널 및 제2 DC Output 개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AC Input 개폐기를 통하여 상기 AC 분전반의 제2 AC 개폐기에 연결되는 제2 ADC 채널이 하나의 모듈을 이루고, 상기 제1 ADC 채널과 상기 제2 ADC 채널은 공통 출력단을 제공하는 ADC 채널; 상기 ADC 채널의 출력단 일측에 연결되는 축전지; 및 DC Input 개폐기와 ATS를 구비하여 상기 ADC 채널의 출력단 타측에 연결되는 DC 분전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전 설비용 충전기 및 그 교체 방법{Battery repairing method of substation}
본 발명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전 설비에 구비되는 무정전용 전원 공급을 위하여 사용되는 충전기 및 그 교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선로나 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요가에게 보내는 과정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의 집합체를 말한다.
전력을 발전소에서 수요가까지 수송하기 위하여는 비교적 장거리의 송전선로를 통과해야 하는데, 이 때 필연적으로 선로의 저항과 선로를 흐르는 전류의 자승의 곱에 상당하는 손실이 발생된다. 이 송전손실을 줄이기 위하여는 전선을 굵은 것으로 사용하여 저항을 작게 하거나 송전전압을 높게 하여 동일 전력 수송시 전류를 작게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ed Power Supply, 이하 'UPS'라 함.)는 일반 전원 또는 예비 전원 등을 사용할 때 전압 변동, 주파수 변동, 순간 정전, 과도 전압 등으로 인한 전원 이상을 방지하고 항상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장치로, 평상시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기기에 공급하면서 내부의 축전지에 충전해 두었다가 정전시에는 축전지로부터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변전소 등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수요가에 공급할 때, 갑작스런 전원 이상에 따른 수요 시설의 오동작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전소 또는 수용가에는 UPS가 필수적으로 구비되고 있다.
UPS는 통상 내부에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축전지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축전지는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적당한 시기에 교체하지 못하면 갑작스런 정전시 축전지가 사용에 의해 완전히 방전되어 UPS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전설비에서의 충전기는 UPS 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사용 기간의 경과에 따라 축전지의 교체 시기를 정확히 파악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변전 설비의 충전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는 계통 전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ADC(AC-DC 변환기) 채널을 통하여 축전지 및 DC 분전반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이를 위한 충전기는 한 쌍의 개폐기(11,12)를 구비하는 AC 분전반(10), 상기 AC 분전반(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한 쌍의 ADC 채널(20,30), 한 쌍의 축전지(41,42)를 구비하여 상기 ADC 채널(20,30)로부터 공급되는 DC 전력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는 축전지 모듈(40) 및 상기 ADC 채널(20,30) 또는 축전지 모듈(40)에서 공급되는 DC 전력을 제어하여 전력 장치에 공급하는 DC 분전반(50)을 포함한다.
상기 AC 분전반(10)은 제1 AC 개폐기(11) 및 제2 AC 개폐기(12)를 통하여 계통 전력 라인(L1)과의 연결을 온오프시키고, ADC 채널(20,30)은 제1 AC Input 개폐기(21)와 제1 컨버터 채널(22)을 구비하여 AC 분전반(10)의 제1 AC 개폐기(11)에 연결되는 제1 ADC 채널(20)과, 제2 AC Input 개폐기(31)와 제2 컨버터 채널(32)을 구비하여 AC 분전반(10)의 제2 AC 개폐기(12)에 연결되는 제2 ADC 채널(3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ADC 채널(20)과 제2 ADC 채널(30)은 각각 축전지 모듈(40)과 DC 분전반(50)에 DC전력을 공급하는 Battery 개폐기(23,33)와 DC Output 개폐기(24,3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축전지 모듈(40)은 제1 ADC 채널(20)에 연결되는 제1 축전지(41)와 제2 ADC 채널(30)에 연결되는 제2 축전지(42)로 분리되고, 각 ADC 채널(20,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C 분전반(50)은 제1 DC Input 개폐기(51) 및 제2 DC Input 개폐기(52)를 구비하여 제1 ADC 채널(20)의 제1 DC Output 개폐기(24)와 제2 ADC 채널(30)의 제2 DC Output 개폐기(34)에 각각 연결되고, 자동절제스위치(53, Automatic Transfer Switch : ATS)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1 ADC 채널(20), 제2 ADC 채널(30) 또는 축전지 모듈(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 설비의 전력 라인(L2)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제1 ADC 채널(20), 제1 축전지(41) 및 제1 DC Input 개폐기(51)의 DC 분전반은 하나의 제1 충전기를 구성하고, 상기 제2 ADC 채널(30), 제2 축전지(42) 및 제2 DC Input 개폐기(52)의 DC 분전반은 다른 하나의 제2 충전기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충전기는 제1 ADC 채널(20)과 제2 ADC 채널(30)에 의한 제1 충전기와 제2 충전기가 별도의 구성을 이루어 각각 제1 AC 개폐기(11)와 제2 AC 개폐기(12)에 연결되고, 제1 ADC 채널(20)과 제2 ADC 채널(30)은 모두 각각의 개폐기를 통하여 축전지(41,42)와 DC 분전반(5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기는 다수의 개폐기와 축전지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는 충전기의 교체시 제1 ADC 채널(20)과 제2 ADC 채널(30)을 별도의 작업 공정에서 교체하여야 하고, 이 과정에서 다수의 개폐기를 서로 결선하여야 하므로 교체 과정이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충전기는 철제 구조물이나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진과 같은 대한 위급 상황에서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891896호(2009.03.30.등록,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축전지의 교체시점 판정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변전 시설물에 설치되는 충전기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무정전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교체 과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변전 설비의 충전기 및 그 교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C 분전반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DC 전력으로 전환하여 충전하는 변전 설비용 충전기에 있어서, 제1 AC Input 개폐기, 제1 컨버터 채널 및 제1 DC Output 개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 AC Input 개폐기를 통하여 상기 AC 분전반의 제1 AC 개폐기에 연결되는 제1 ADC 채널과, 제2 AC Input 개폐기, 제2 컨버터 채널 및 제2 DC Output 개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AC Input 개폐기를 통하여 상기 AC 분전반의 제2 AC 개폐기에 연결되는 제2 ADC 채널이 하나의 모듈을 이루고, 상기 제1 ADC 채널과 상기 제2 ADC 채널은 공통 출력단을 제공하는 ADC 채널; 상기 ADC 채널의 출력단 일측에 연결되는 축전지; 및 DC Input 개폐기와 ATS를 구비하여 상기 ADC 채널의 출력단 타측에 연결되는 DC 분전반;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DC 채널은, 상기 공통 출력단 일측에 Battery 배터리가 연결된 축전지 출력단을 제공하여 상기 축전지를 연결시키고, 상기 공통 출력단 타측에 드롭퍼가 연결된 DC 분전반 출력단을 제공하여 상기 DC 분전반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롭퍼는, 다수의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C 분전반의 제1 AC 개폐기에는 제1 AC Input 개폐기, 제1 컨버터 채널 및 제1 DC Output 개폐기를 갖는 제1 ADC 채널이 연결되고, AC 분전반의 제2 AC 개폐기에는 제2 AC Input 개폐기, 제2 컨버터 채널 및 제2 DC Output 개폐기를 갖는 제2 ADC 채널이 연결되며, 상기 제1 ADC 채널 및 상기 제2 ADC 채널에는 제1 축전지 및 제2 축전지가 연결된 변전 설비용 구 충전기를, 제1 AC Input 개폐기, 제1 컨버터 채널 및 제1 DC Output 개폐기를 구비하는 제1 ADC 채널과, 제2 AC Input 개폐기, 제2 컨버터 채널 및 제2 DC Output 개폐기를 구비하는 제2 ADC 채널이 하나의 모듈을 이루고, 상기 제1 ADC 채널과 상기 제2 ADC 채널의 공통 출력단 일측에 Battery 배터리를 매개로 축전지가 연결되며, 상기 공통 출력단 타측에 드롭퍼를 매개로 DC 분전반이 연결된 변전 설비용 신 충전기로 교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신 충전기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 (b) 상기 구 충전기의 제2 ADC 채널과 제2 축전지가 연결된 제2 충전기를 철거하는 단계; (c) 상기 제2 충전기가 철거된 단자에 상기 신 충전기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구 충전기의 제1 ADC 채널과 제1 축전지가 연결된 제1 충전기를 철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신 충전기에 케이블을 결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내진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진 프레임 상에 상기 신 충전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교류-직류 변환을 위한 제1 ADC 채널과 제2 ADC 채널이 하나의 모듈을 이루도록 하여 출력단자 수를 최소로 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교체시 결선 수를 줄여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형 충전기 교체시 내진 대체용 프레임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지진 등과 같은 진동 상황에서도 손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변전 설비의 충전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 설비의 충전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 설비의 충전기 교체 작업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구성이 반드시 그 명칭에 구속되는 것을 아니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 설비의 충전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전 설비의 충전기 교체 작업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전 설비의 충전기는 AC 분전반에 연결되어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축전지에 충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AC 분전반(10)은 제1 AC 개폐기(11) 및 제2 AC 개폐기(12)를 구비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충전기는 상기 AC 분전반(10)으로부터 AC 전력을 입력받아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ADC 채널(100)과, 상기 ADC 채널(100)의 일측 출력단에 연결되어 ADC 채널(10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200)를 포함하고, 상기 ADC 채널(100)의 타측 출력단에 연결되어 ADC 채널(100) 또는 축전지(20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전력 설비 구동을 위한 전력 라인(L2)에 연결하는 DC 분전반(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DC 채널(100)은 제1 AC Input 개폐기(111), 제1 컨버터 채널(112) 및 제1 DC Output 개폐기(113)를 갖는 제1 ADC 채널(110)과 제2 AC Input 개폐기(121), 제2 컨버터 채널(122) 및 제2 DC Output 개폐기(123)를 갖는 제2 ADC 채널(120)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 ADC 채널(110)의 제1 DC Output 개폐기(113)와 상기 제2 ADC 채널(120)의 제2 DC Output 개폐기(123)의 출력단은 서로 연결되면서 공통 출력단을 구성한다.
상기 ADC 채널(100)은 공통 출력단에 축전지(200)와 DC 분전반(300)을 각각 접속시키되, 상기 축전지(200)는 Battery 개폐기(124)를 매개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DC 분전반(300)은 드롭퍼(Dropper,114)를 매개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ADC 채널(100)의 공통 출력단에는, Battery 개폐기(124)가 연결되어 축전지 출력단을 제공하고, 동시에 드롭퍼(114)가 연결되어 DC 분전반 출력단을 제공한다. 상기 드롭퍼(114)는 직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상기 Battery 개폐기(124)는 온되어 축전지(200)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거나, 오프되어 소정의 전력량이 충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롭퍼(114)는 DC 분전반(300)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량 강압하여 전력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ADC 채널(100)은 제1 ADC 채널(110)과 제2 ADC 채널(120)이 모듈을 구성하면서 축전지(200)와 DC 분전반(300)에 각각 하나의 출력단을 제공하여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결국, 결선 구조가 단순화되어 충전기의 교체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충전기는 제1 ADC 채널(110) 및 제2 ADC 채널(120)의 선택적인 경로를 따라 전력이 축전지(200)와 DC 분전반(300)에 공급된다. 이때, 제1 ADC 채널(110) 및 제2 ADC 채널(120)의 경로는 제1 AC Input 개폐기(111)나 제1 DC Output 개폐기(113), 제2 AC Input 개폐기(121)나 제2 DC Output 개폐기(123)의 온오프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축전지(200)는 제1 ADC 채널(100) 또는 제2 ADC 채널(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고, 정전 등과 같은 비상시 저장된 전력을 DC 분전반(300)으로 공급하면서 방전된다. 상기 DC 분전반(300)은 제1 ADC 채널(110) 또는 제2 ADC 채널(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ATS(302)의 동작에 따라 설비 구동을 위한 전력 라인(L2)에 공급하고, 정전 등과 같은 비상 상황시 축전지(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 라인(L2)에 공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의 충전기 교체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새롭게 교체할 충전기를 검사한다(S11). 충전기의 검사는 포장을 해제하여 부품의 손상이나 이물질의 유입 여부를 확인하며, 특히, 충전기 내부 배선의 단자이완, 접지나 단락 개소 등을 정밀히 점검한다. 또한, 충전기 내부의 전기회로에 대한 절연 저항을 측정하여야 하며, 일 예로 절연 저항은 1,2차 대지 간 5MΩ 이상인지 확인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작업장 내의 작업 준비상태를 확인하고(S12), 일 예로, 필수 작업인원, 필수 작업장비나 공기구, 안전상태 등을 확인한다. 또한, 작업 준비상태 확인 후 교체 대상의 구 충전기에 대한 해체 작업을 준비한다(S13). 이때, 작업 준비는 제1 충전기와 제2 충전기의 절체를 반복하여 ATS의 절체 상태를 확인하고, Load 측 및 축전지 측의 DC 극성을 확인하여 표시하고, 충전기의 입력 전원 AC Source 및 출력 DC Load를 확인한다.
또한, 교체 대상의 구 충전기(도 1 참조)에 대하여 먼저 제2 충전기를 철거한다(S14). 제2 충전기의 철거는 제2 축전지(42)의 전원을 분리하는 과정이다. 제2 축전지의 전원 분리는 제2 충전기 패널 내부의 개폐기를 모두 오프시키는 것으로, AC 분전반(10)의 제2 AC 개폐기(12), DC 분전반(50)의 제2 DC Input 개폐기(52) 및 ATS 제어기(미도시)를 오프시킨다. 또한, 제2 충전기의 전원 케이블을 제거하고, 판넬을 철거한다. 이때, 제2 충전기의 DC Load 케이블, AC Load 케이블을 분리하여 절연 처리한 후, 판넬을 제거한다.
또한, 제2 충전기 철거 후 신규 충전기(도 2 참조)를 설치한다(S15). 특히, 신규 충전기 설치 전에 지진과 같은 진동에 대비하기 위하여 내진 프레임(미도시)을 먼저 설치한다. 내진 프레임은 내진 대책을 갖는 프레임으로 기울기 1% 이내를 갖도록 안정적이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내진 프레임 설치 후, 상기 내진 프레임 상에 신규 충전기를 설치하고 절체 시험 및 전압을 확인한다. 이때, 충전기의 제1, 2 AC Input 단자에 기존의 시험용 AC Input 케이블을 병렬로 결선하고, AC 분전반(10)의 제2 AC 개폐기(12)를 온시켜 신규 충전기에 전원을 공급하며, ADC 채널(100)의 공통 출력단 전압과 충전기 주제어부의 부하 전압을 일치시킨다. 이와 동시에 충전기의 운전 전압을 설정한 후, 축전지(200)를 연결하고, Load 케이블을 결선하여 DC 분전반(300)을 연결한다.
신규 충전기가 설치된 후, 구 충전기의 제1 충전기를 철거한다(S16). 제1 충전기의 철거는 제1 축전지(41)의 전원을 분리하는 과정으로, 제2 충전기의 철거와 와 마찬가지로 판넬 내부의 모든 개폐기를 오프시키고, 전원케이블을 분리한 후, 판넬을 철거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제1 충전기가 철거된 후, 신규 충전기에 케이블을 결선한다(S17). 즉, 각 AC Input 케이블을 ADC 채널의 각 AC Input 단자에 결선하고, DC Load 케이블을 DC load 단자에 결선한다. 그리고, AC 분전반(10)의 제1 AC 개폐기(11), 제1 ADC 채널(110)의 제1 AC Input 개폐기(111), 제1 DC Output 개폐기(113), Battery 개폐기(124), DC 분전반(300)의 DC Input 개폐기(301)를 온 시킨다.
신규 충전기에 전원이 연결된 후 최종적으로 DC 분전반(300)의 ATS(302)에 대한 절체 시험을 한다(S18).
DC 분전반(300)의 ATS(302) 절체 동작에 이상이 없는 경우 충전기가 설치된 소정 범위의 영역에 대하여 방화 구획재를 시공하고, 작업 현장을 정리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기존의 충전기를 신규 충전기로 대체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ADC 채널이 하나로 모듈화되어 공통 출력단을 형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결선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교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AC 분전반
11 : 제1 AC 개폐기 12 : 제2 AC 개폐기
100 : ADC 채널
110 : 제1 ADC 채널 111 : 제1 AC Input 개폐기
112 : 제1 컨버터 채널 113 : 제1 DC Output 게폐기
114 : 드롭퍼
120 : 제2 ADC 채널 121 : 제2 AC Input 개폐기
122 : 제2 컨버터 채널 123 : 제2 DC Output 게폐기
124 : Battery 개폐기
200 : 축전지
300 : DC 분전반
301 : DC Input 개폐기 302 : ATS

Claims (5)

  1. AC 분전반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DC 전력으로 전환하여 충전하는 변전 설비용 충전기에 있어서,
    제1 AC Input 개폐기, 제1 컨버터 채널 및 제1 DC Output 개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 AC Input 개폐기를 통하여 상기 AC 분전반의 제1 AC 개폐기에 연결되는 제1 ADC 채널과, 제2 AC Input 개폐기, 제2 컨버터 채널 및 제2 DC Output 개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AC Input 개폐기를 통하여 상기 AC 분전반의 제2 AC 개폐기에 연결되는 제2 ADC 채널이 하나의 모듈을 이루고, 상기 제1 ADC 채널과 상기 제2 ADC 채널은 공통 출력단을 제공하는 ADC 채널;
    상기 ADC 채널의 출력단 일측에 연결되는 축전지; 및
    DC Input 개폐기와 ATS를 구비하여 상기 ADC 채널의 출력단 타측에 연결되는 DC 분전반;을 포함하고,
    상기 ADC 채널은, 상기 공통 출력단에서 Battery 개폐기가 연결된 축전지 출력단과 드롭퍼가 연결된 DC 분전반 출력단을 제공하고,
    상기 드롭퍼는, 다수의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 설비용 충전기.
  2. 삭제
  3. 삭제
  4. AC 분전반의 제1 AC 개폐기에는 제1 AC Input 개폐기, 제1 컨버터 채널 및 제1 DC Output 개폐기를 갖는 제1 ADC 채널이 연결되고, AC 분전반의 제2 AC 개폐기에는 제2 AC Input 개폐기, 제2 컨버터 채널 및 제2 DC Output 개폐기를 갖는 제2 ADC 채널이 연결되며, 상기 제1 ADC 채널 및 상기 제2 ADC 채널에는 제1 축전지 및 제2 축전지가 연결된 변전 설비용 구 충전기를, 제1 AC Input 개폐기, 제1 컨버터 채널 및 제1 DC Output 개폐기를 구비하는 제1 ADC 채널과, 제2 AC Input 개폐기, 제2 컨버터 채널 및 제2 DC Output 개폐기를 구비하는 제2 ADC 채널이 하나의 모듈을 이루고, 상기 제1 ADC 채널과 상기 제2 ADC 채널의 공통 출력단에 Battery 개폐기를 매개로 하는 축전지와 드롭퍼를 매개로 하는 DC 분전반이 연결된 변전 설비용 신 충전기로 교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신 충전기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
    (b) 상기 구 충전기의 제2 ADC 채널과 제2 축전지가 연결된 제2 충전기를 철거하는 단계;
    (c) 상기 제2 충전기가 철거된 단자에 상기 신 충전기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구 충전기의 제1 ADC 채널과 제1 축전지가 연결된 제1 충전기를 철거하는 단계; 및,
    (e) AC Input 케이블을 상기 신 충전기의 상기 ADC 채널의 각 ADC 단자에 결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변전 설비용 신 충전기로 교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내진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진 프레임 상에 상기 신 충전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 설비용 신 충전기로 교체 방법.
KR1020180010170A 2018-01-26 2018-01-26 변전 설비용 충전기 및 그 교체 방법 KR10190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70A KR101900930B1 (ko) 2018-01-26 2018-01-26 변전 설비용 충전기 및 그 교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70A KR101900930B1 (ko) 2018-01-26 2018-01-26 변전 설비용 충전기 및 그 교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930B1 true KR101900930B1 (ko) 2018-09-21

Family

ID=6372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170A KR101900930B1 (ko) 2018-01-26 2018-01-26 변전 설비용 충전기 및 그 교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2215A (zh) * 2021-06-23 2021-08-06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直流充电桩、充电控制方法及充电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427A (ja) * 2003-01-30 2004-08-19 Hitachi Ltd 無停電電源装置
JP2006246616A (ja) * 2005-03-03 2006-09-14 Nec Corp 無停電電源装置
JP2016025797A (ja) 2014-07-23 2016-02-08 京セラ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及び蓄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427A (ja) * 2003-01-30 2004-08-19 Hitachi Ltd 無停電電源装置
JP2006246616A (ja) * 2005-03-03 2006-09-14 Nec Corp 無停電電源装置
JP2016025797A (ja) 2014-07-23 2016-02-08 京セラ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及び蓄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2215A (zh) * 2021-06-23 2021-08-06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直流充电桩、充电控制方法及充电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300B1 (ko) 무정지형 모듈러 배터리 관리 시스템
EP2608347A2 (en)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maintaining the same
AU2016101769A4 (en) Power system and method
US201300995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power supplies
EP3089317B1 (en) Method for high voltage dc power supply in a distributed network
EP3411935B1 (en) System for redundant power supply to a data center
KR101900930B1 (ko) 변전 설비용 충전기 및 그 교체 방법
CN202276167U (zh) 阵列式电池电源管理装置及其电池电源整合单元
CN110690755A (zh) 通信电源系统
CN208630375U (zh) 一种轨道牵引车辆的能源控制系统及轨道牵引车辆
US6420850B1 (en) Telecommunicatio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apparatuses and methods of supplying power to a telecommunication device
CN113193646A (zh) 供电装置、方法及系统
US11482880B1 (en) Supplemental emergency power source for railroad track switch systems
RU2740796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CN111987791B (zh) 电池模组控制装置和方法、电源设备和系统
CN218124388U (zh) 一种供配电系统
EP2972433B1 (en) System for automation of measurement of backup-batteries capacity in a telecommunications power station
CN217983538U (zh) 一种锂电池模组、锂电池后备电源系统及户外通信机柜
CN116317180B (zh) 储能装置及其控制方法
CN219394438U (zh) 一种代替开关站站外交流电源的分布式储能系统
KR102622675B1 (ko) 지상변압기 엘보접속재 3상일괄분리연결장치와 피드쓰루를 이용한 지상변압기 무정전교체방법
KR101110311B1 (ko) Dc용 무정전 충전 전원장치의 다중화를 위한 병렬 운전반
KR101849967B1 (ko) 충전기 드롭퍼 이중화 자동제어시스템
RU113088U1 (ru) Совмещенная питающая установка с шиной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KR101768917B1 (ko)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