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859B1 -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 Google Patents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859B1
KR101899859B1 KR1020180043477A KR20180043477A KR101899859B1 KR 101899859 B1 KR101899859 B1 KR 101899859B1 KR 1020180043477 A KR1020180043477 A KR 1020180043477A KR 20180043477 A KR20180043477 A KR 20180043477A KR 101899859 B1 KR101899859 B1 KR 10189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onnection
connecting pipe
brack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운석
Original Assignee
김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석 filed Critical 김운석
Priority to KR1020180043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8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8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to be constructed in a complex excavation area having a bent place comprises: a plurality of H piles buried in the grou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boundary of the excavation area, and having a web formed at the center and a pair of flange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web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earth plates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H piles to be put on another; 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anges of the H piles buried at the bent pla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 and having a ′⌝′-shaped or ′⌞′-shaped cross section;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inserted and arranged between the flanges of the H piles and the support brackets to be supported by the flanges and the support brackets, wherein the earth plates are inserted and combined into the connection pipes in a sliding manner; and a connection unit having connection brackets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ipe with each other so that insertion hole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are aligned on the same line.

Description

복합적 터파기 영역의 가설 흙막이 구조물{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가설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형태의 터파기 영역에 설치 적용하기 용이한 가설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apply to a complex type terraced area where a bending point is formed.

일반적으로 건축물 및 기타 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기초 공사의 일환으로 터파기 공사는 흙막이 작업과 굴착 작업을 교대로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as part of the foundation work in performing buildings and other works, the earthworks work and excavation work are alternately performed.

알려진 흙막이 공법으로서는 H 파일 토류벽 공법, 시트 파일(Sheet Pile) 공법, SMP 공법, CIP 공법, SCW 공법 등이 있다.Known piling methods include H pile wall method, Sheet pile method, SMP method, CIP method, SCW method and so on.

H 파일 토류벽 공법은 일반적인 개착식 공법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H 파일을 항타 또는 천공삽입하고 터파기를 진행하면서 토류판을 H 파일 사이에 끼워 넣어 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고, 시트 파일 공법은 쐐기모양의 강철파일을 연결하여 시공하고 차수성을 증대시킨 공법으로 중량에 비해 강성 및 차수성이 커서 항만구조물 및 토류구조물 등에 주로 사용되며, 재사용이 가능하며 친환경적인 공법이며, SMP 공법은 무진동, 무소음, 자립식으로 시트 파일이나 H 파일 등을 압입하는 유압식 압입 인방 시공법으로 지반조건을 가리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시공공법에 비해 정확하게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속도가 빠른 공법이고, CIP 공법은 시공시 소음 및 분진발생이 적고 장비가 소형이어서 취급이 간단하나, 자갈층 및 암석층 천공이 어렵고 수직도 관리가 어려운 공법이고, SCW 공법은 연약지반에서 굴착공사시 토류벽 시공의 문제점과 이에 따른 차수벽 설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시가지 지하 흙막이 공사시 주로 사용되는 공법이다.H pile wall construction method is a general construction method which is a method of forming a wall by inserting a H file at regular intervals and inserting a plate into a H file while advancing a tile and a sheet pile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a wedge shaped steel file The SMP method is a non-vibration, noiseless, self-sustaining system that can be used in port structures and earth structures, and is reusabl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It is possible to construct without any ground conditions by hydraulic indentation method which presses file or H fil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more precisely than general construction method and it is a construction method with high speed. CIP method is less in noise and dust generation during construction The equipment is small and easy to handle, but the gravel and rock layers are difficult to perforate. And a difficult management method, SCW method can solve the problem and this problem of chasubyeok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excavation during construction toryubyeok in soft ground, the method being urban underground earth retaining Ltd. When used primarily.

H 파일 토류벽 공법에 의한 종래 통상적인 흙막이 공사는 터파기 영역의 경계를 따라 H 파일을 일정 간격으로 지반에 설치하고, H 파일 사이에 토류판(timber)을 끼워 흙막이 구조물을 설치한 다음 흙막이 구조물 뒤편에 흙을 메우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In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soil-retaining work by H-file wall construction method, H files are installed o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boundary of the ter- minator area, and a retaining structure is installed by sandwiching a timber between the H files. It is based on the method of filling the soil.

한편,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시 터파기 영역의 평면적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 아닌 다각형 또는 불규칙한 구조의 복합적인 형태인 경우에는 인접한 토류판사이에 각도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절곡지점이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earthquake structure is a complex shape of a polygonal or irregular structure that is not a rectangle or a square, a bending point is provided so that an angle is formed between adjacent soil plates.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터파기 영역이 도 1과 같이 터파기 영역(S)이 복합적인 형태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절곡지점(a~d)이 형성된다. 이때, 절곡지점(a~d)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방법 중 하나로, 도 2와 같이 단순히 하나의 H 파일(10)을 설치한 다음 토류판(20)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절곡지점(a~d)에 하나의 H 파일(10)을 통해 토류판(20)을 설치하면 하면 도 2의 A 지점과 같이 토류판(20) 양단측이 H 파일(10)의 플랜지(12)와 토류판(20) 사이에 공간(S1)이 형성됨으로써 플랜지(12)와 토류판의 끝단측이 면접촉하지 않고 선접촉하게 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통상적으로 좌우 방향 동일선상으로 연속하여 H 파일(10)에 설치되는 토류판(20)은 양단이 플랜지(12)의 내측에 면접촉되어 토압을 지지하게 되나, 절곡지점(a~d)의 H 파일(10)에 설치되는 토류판(20)은 플랜지(12)와 선접촉되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토압에 따른 하중 발생 시, 플랜지(12)와 토류판(20)이 선접촉 하는 지점에 집중하중이 가해져 상대적으로 토류판(20)의 양단이 플랜지(12)와 면접촉되는 상태에 비해 지지력이 저하됨으로써 토류판(20)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where the boundary region S has a complex shape as shown in FIG. 1, various types of bending points a to d are formed. At this time, as one of the methods of installing the soil plate at the bending points (a to d), there is a method of installing the soil plate 20 after installing only one H file 10 as shown in FIG. However, if the soil plate 20 is installed through one H file 10 at the bending points a to d as described above, both ends of the soil plate 20, as in point A in Fig. 2, The space S1 is formed between the flange 12 and the current plate 20 so that the flange 12 and the end plate of the current plate are in line contact without surface contact. That is, the soil plate 20 provided on the H-file 10 in the same horizontal 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lange 12 to support the earth pressure, The dust plate 20 installed in the H file 10 is provided in a line contact with the flange 12 so that a concentrated load is applied to a point where the flange 12 and the dust plate 20 make a line contact when a loa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earth pressure Compared with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current plate 2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lange 12, the current plate 20 is damaged.

한편, 절곡지점(a~d)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절곡지점(a~d)에 설치되는 H 파일(10)의 간격을 직선형태로 설치되는 H 파일(10)의 간격보다 더 넓게 하여 토류판(20)의 양단 끝부분이 플랜지(12)걸쳐진는 형태로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H 파일(10)의 플랜지(12)와 토류판(20) 양단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 또한, 플랜지(12)와 토류판(20)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토압에 의한 하중 발생시, 도 4의 사진과 같이 H 파일(10)로부터 토류판(20)이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As another method of installing the soil board at the bending points a to d, the interval of the H files 10 installed at the bending points a to d is set to be longer than the interval of the H files 10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soil plate 20 are arranged so as to extend over the flange 12, as shown in Fig. This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no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lange 12 of the H file 10 and the opposite end of the current plate 20, as shown in Fig. However,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nge 12 and the current plate 20 is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rent plate 20 is detached from the H file 10 as shown in the photograph of FIG. 4 when a load is generated by the earth pressure .

이에, 최근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절곡지점(a~d)에 H 파일(10)을 복수개(한쌍)를 각도가 형성되도록 지반에 삽입한 후, 토류판(20)을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절곡지점(a~d)에 H 파일(10)을 복수개 형성하는 방법은 플랜지(12)와 토류판(20)의 양단이 면접촉함으로써 토압에 따른 토류판(20)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있으나, 지반에 설치해야 할 H 파일(10)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필요자재 및 작업량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절곡지점(a~d)에 형성하는 H 파일(10)이 상호 인접하여 빈틈이 없이 설치해야 하는 등의 작업 난이도가 높음에 따라 번거롭다는 이유로 현재 실제 공사 현장에서는 활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plurality of H files 10 are inserted into the ground at angled points at the bending points a to d, and then the soil plate 20 is installed A method was proposed. However, in the method of forming a plurality of H files 10 at the bending points a to d, the both ends of the flange 12 and the soil plate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secur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oil plate 20 according to the earth pressur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H files 10 to be installed on the ground increases, the number of H files 10 to be installed on the ground increases, and the H files 10 formed at the bending points a to d are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not used in actual construction site because it is troublesome due to the high degree of difficulty of oper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384753호(2013.10.18, 공개)Korean Patent No. 10-1384753 (published Oct. 18, 2013)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의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 시, 절곡지점에 하나의 H 파일만을 이용하여 토류판을 설치하여도 토류판의 양단이 플랜지와 면접촉하는 것과 동일한 지지력이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각도의 절곡지점의 형성이 가능한 가설 흙막이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utter structure in which a clutching point is formed, To provide the same supporting force as that in which both ends of the flange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o form bending points at various angl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 설치하기 위한 가설 흙막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터파기 영역의 경계를 지점을 따라 지반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매설되며, 중앙의 웨브와 웨브의 양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로 형성되는 복수의 H 파일; 상기 복수의 H 파일 사이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복수의 토류판; 상기 절곡지점에 매설되는 H 파일의 플랜지와 이격된 상태로 웨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ㄱ' 또는 'ㄴ'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지지브라켓; 상기 절곡지점에 매설되는 H 파일의 플랜지와 지지브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 배치되어 H 파일의 플랜지와 지지브라켓에 지지됨과 동시에 토류판이 슬라이드 형태로 삽입되어 적층되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개의 연결파이프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파이프들이 정렬되어 연결되도록 연결파이프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파이프는, 단면이 원형인 중공형의 파이프 구조로 상기 토류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삽입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토류판의 양단과 면접촉 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 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을 설치 고정하기 위한 설치홀, 및 상기 연결파이프의 타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부가 삽입 체결되기 위한 정렬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내면이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곡률로 가공되는 아우터플랜지와, 외면이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가공되며, 상기 아우터플랜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이너플랜지와, 상기 아우터플랜지와 이너플랜지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플랜지와 이너플랜지를 연결하는 센터플랜지와, 상기 아우터플랜지와 대응되는 곡률로 아우터플랜지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분할된 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분할된 지점이 상호 힌지 연결되는 연장플랜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for installation in a complex terraced area in which a bending point is formed, wherein a boundary of the terraced area is embed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ground along a point, And a plurality of H files formed by a pair of flange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web; A plurality of soil plates inserted and lamin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H files; 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spaced apart from the flange of the H file embedded at the bending point an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 and having a cross section of 'a' or 'b';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inser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lange of the H file and the support bracket embedded in the bending point and supported by the flange and the support bracket of the H file and guiding the stack of the slide plates inserted and stacked; And a connecting bracket configured to interconnec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ipe so that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are align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connecting pipe has a hollow pipe structur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 pair of support portion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at an interval equal to the width of the insertion hole and in surfac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current plate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 installation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ipe for fixing the connection bracket, And an alignment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side of the connection pipe for inserting a part of the connection bracket, wherein the connection bracket has an outer flange, which is processed to have a curvature so that the inner surfac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An inner flange formed to be smaller in size than the outer flange and having a curvature such that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flange can close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A center flange connecting the flanges, and an extension flange extend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outer flange at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flange, A retain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은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의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 시, 절곡지점에 하나의 H 파일만을 이용하여 토류판을 설치하여도 토류판의 양단이 플랜지와 면접촉하는 것과 동일한 지지력이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각도의 절곡지점의 형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orary cladding structure in which the both ends of the soil plate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when a soil plate is installed using only one H file at the bending point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cladding structure in a complex trench area where bending points are 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form bending points at various angles.

또한, 절곡지점을 형성하기 위한 H 파일이 하나가 적용되어 복수개 설치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흙막이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필요자재 및 작업량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고, 절곡지점에 H 파일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난이도가 높지 않아 실제 공사 현장에서의 적용성 및 활용성이 뛰어날 수 있다.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H files for forming the bending point are installed, there is no problem of increasing the necessary materials and workload for installing the retaining structure, Since the degree of difficulty is not high, the applicability and practicality in actual construction can be excellent.

도 1은 복합적인 형태의 터파기 영역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 및 3은 종래기술의 일 예로 1개의 H 파일을 이용한 절곡지점의 흙막이 구조물 설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기술의 일 예로 도 3과 같은 절곡지점에서의 흙막이 구조물 설치된 상태에서 토류판이 이탈된 경우를 보여주는 현장 사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 복수의 H 파일을 이용한 절곡지점의 흙막이 구조물 설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의 연결브라켓을 통한 연결파이프의 연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의 다양한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plex type teraclizer region.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installation mode of a retention structure at a bending point using one H file 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a case where the soil plate is detached in a state where the soil retaining structure is installed at the bending point as shown in FIG. 3 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FIG. 5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form of a retention structure at a bending point using a plurality of H files as another example of the related ar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connection pipe through the connection bracket of the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installation examples of the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종래기술과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 또는 영역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related ar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In addi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or regions as those of the prior art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 및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100)은 건축 및 토목 공사를 위한 기초공사인 터파기 공사와 병행되어 토사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100)은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형성되는 절곡지점(a~d)에서의 토류판(20)의 안정적인 설치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 6 and 7, the temporary retent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order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earth and sand due to the concurrent operation with the foundation work for the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works.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ion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100 in which the soil plate 20 is stably installed at the bending points a to d formed in a complex terraced area.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100)은 복수개의 H 파일(10)과, 복수개의 토류판(20) 및 복수개의 연결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ypothetical earth retaining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 files 10, a plurality of soil plates 2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units 30.

상기 H 파일(10)을 일반적인 흙막이 구조물(100)의 설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중앙의 웨브(11)와, 웨브(11)의 양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12)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다만, 절곡지점(a~d)에 설치되는 H 파일(10)에는 지지브라켓(13)이 추가로 형성된다. The H file 10 is typically used for installation of a general earth retaining structure 100 and includes a central web 11 and a pair of flanges 12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web 11, . However, the support bracket 13 is additionally formed in the H file 10 installed at the bending points a to d.

지지브라켓(13)은 중앙의 웨브(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연결유닛(30)을 지지하는 것으로, 'ㄱ' 또는 'ㄴ'의 단면을 갖는 철재 앵글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브라켓(13)의 제 1 면(13a)은 웨브(11)에 고정되고, 제 1 면(13a)과 수직한 제 2 면(13b)은 플랜지(12)와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웨브(11)와 플랜지(12) 및 지지브라켓(13)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부에는 플랜지와 지지브라켓의 제 2 면과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연결유닛(30)이 삽입 배치된다. The support brackets 13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web 11 to support the connection unit 30 and are formed of steel angles having a cross section of 'a' or 'b'. The first surface 13a of the support bracket 13 is fixed to the web 11 and the second surface 13b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13a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lange 12, 11, the flange 12, and the support bracket 13, and the connection unit 30 is inserted and arranged in such a sp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flange and the support bracket.

한편, 지지브라켓(13)은 웨브(11)에 고정되는 제 1 면(13a)은 자유로운 길이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웨브(11)에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이 가공 형성되고, 제 2 면(13b)은 연결유닛(30)을 구성하는 연결파이프(31)의 직경의 1/2 정도를 조금 상회 하는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 연결파이프(31)의 직경 이내의 범위로 제한된다. 이러한 제 2 면(13b)의 형성 길이의 제한은 제 2 면(13b)의 길이가 연결파이프(31)의 직경이 1/2 이하이면 연결파이프(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우며, 연결파이프(31)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면 연결파이프(31)에 연결된 토류판(20)이 설치 가능한 각도 범위가 좁아지게 되어 절곡지점(a~d)의 형성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 2 면(13b)은 공간부를 형성하는 플랜지(12) 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부에 위치된 연결파이프(31)가 제 2 면(13b)에 의해 일정수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The supporting bracket 13 has a first surface 13a which is fixed to the web 11 and has a free length and a coupling hole for engaging with the web 11 through a coupling member such as a bolt is formed And the second surface 13b are preferably formed in a range exceeding a half of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ipe 31 constituting the connecting unit 30, Lt; / RTI > The limitation of the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13b is that it is difficult to stably support the connecting pipe 31 when the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13b is 1/2 or less of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ipe 31, 31, the angular range in which the current plate 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31 can be installed is narrowed, so that it is not easy to form the bending points a to d. The second surface 13b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flange 12 forming the space portion so that the connecting pipe 31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is fixed by the second surface 13b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can be fixed.

상기 토류판(20)은 목재로 형성되어 통상적인 흙막이 공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soil plate 20 is formed of wood and is used in a conventional earth retaining metho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연결유닛(30)은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절곡지점(a~d)의 H 파일(10)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3)의 제 2 면(13b)과 플랜지(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H 파일(10)의 길이방향으로 기립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연결파이프(31) 및 연결 브라켓(32)으로 구성된다.The connection unit 30 is formed between the flange 12 and the second surface 13b of the support bracket 13 installed in the H file 10 at the bending points a to d as described above Is arranged in the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file (10) and comprises a connecting pipe (31) and a connecting bracket (32).

연결파이프(31)는 중공의 파이프 구조로 토류판(2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삽입공(33)이 형성되고 삽입공(33)의 내측으로 삽입공의 폭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절곡된 한 쌍의 지지부(34)가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4)가 삽입공(33)으로부터 단순 절곡되는 구조인 경우, 지지부(34)의 면적이 제한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넓은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지지부(34)가 별도로 제작되어 삽입공(33)의 양측에 용접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연결되는 지지부(34)는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삽입공(33)과 대향된 연결파이프(31)의 내주면까지 이르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공(33)에 삽입되는 토류판(20)은 삽입공(33)을 따라 연결파이프(31)의 길이방향으로 적층되며, 삽입공(33)에 삽입된 토류판(20)의 양측단은 지지부(34)과 면접촉되어 지지된다.The connection pipe 31 has a hollow pipe structure and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33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urrent plate 20 and has the same width as the insertion hole 33 inside the insertion hole 33 And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34 bent to be spaced can be formed. In this case, in the case where the support portion 34 is simply bent from the insertion hole 33, since the area of the support portion 34 may be limited, a support portion 34 is separately prepared to secure a larger area, (Not shown) of the support pipe 34. The support pipe 34 i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31 facing the insertion hole 33 As shown in Fig. The current plate 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3 is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ipe 31 along the insertion hole 33 and both side ends of the current plate 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3 And is supported in 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34. [

이러한 연결파이프(31)는 복수개로 분할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분할된 연결파이프(31) 양단 부근에 각각 설치홀(35)과 정렬홀(36)이 가공형성 된다.The connection pipe 31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the installation hole 35 and the alignment hole 36 are formed in the vicinity of both ends of the divided connection pipe 31, respectively.

설치홀(35)은 연결파이프(31)의 설치 시, 기립되는 연결파이프(31)의 하단측 지점에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브라켓(32)의 설치를 위해 가공형성 된다. 이때 설치홀(35)에 연결브라켓(32)의 설치는 볼트(B)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ounting hole 35 is formed at a lower side point of the connecting pipe 31 that stands up when the connecting pipe 31 is installed and is formed for installation of the connecting bracket 32.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racket 32 may be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35 by a separate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B.

정렬홀(36)은 연결파이프(31)의 설치 시, 기립되는 연결파이프(31)의 상단측 지점에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브라켓(32)의 이너플랜지(32a)가 삽입될 수 있는 면적으로 절개 형성되는 삽입홀(36a)과, 삽입홀(36a)의 일측과 연통되어 연결파이프(3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수평방향으로 절개되는 이동홀(36b)로 구분 형성된다.The alignment hole 36 is formed at a position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connecting pipe 31 that stands up when the connecting pipe 31 is installed and is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inner flange 32a of the connecting bracket 32 can be inserted. And a moving hole 36b which communicates with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36a and is cut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31. [

상기 연결브라켓(32)은 분할된 연결파이프(31)의 설치 시, 삽입공(33)의 위치를 동일선상으로 정렬함과 연결파이프(31)들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이너플랜지(32a) 및 아우터플랜지(32b)와, 이들 이너플랜지(32a)와 아우터플랜지(32b) 사이를 연결하는 센터플랜지(32c) 및 아우터플랜지(32b)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플랜지(32d)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bracket 32 is a member for aligning the positions of the insertion holes 33 and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connection pipes 31 when the divided connection pipes 31 are installed, A center flange 32c connecting the inner flange 32a and the outer flange 32b and connecting the inner flange 32a and the outer flange 32b and an extending flange 32b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flange 32b, 32d.

상기 이너플랜지(32a)와 아우터플랜지(32b)는 각각 연결파이프(31)의 내/외측에 배치되며, 연결파이프(31)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플랜지(32a)는 연결파이프(31)의 내면에 이너플랜지(32a)의 외면이 밀착될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가공 형성되며, 연결파이프(31)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플랜지(32b)는 내면이 연결파이프(31)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가공 형성된다. The inner flange 32a and the outer flange 32b ar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pipe 31 and the inner flange 32a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pipe 31, The inner flange 32a is formed so as to have a curvature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lange 32a can closely contact with the outer flange 32a of the connecting pipe 31. The outer flange 32b, As shown in Fig.

또한, 이너플랜지(32a)는 상기 삽입홀(36a)과 대응되는 크기로 아우터플랜지(32b)의 형성 면적보다는 작은 크기(=비율)로 형성되며, 아우터플랜지(32b)의 중앙지점에서 일측에 치우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너플랜지(32a)의 형성위치 및 아우터플랜지(32b)와의 상대적인 크기는 연결브라켓(32)를 통한 연결파이프(21)의 연결 시, 연결파이프(31)에 형성되는 정렬홀(36)을 아우터플랜지(32b)가 커버함으로써 정렬홀(36)을 통해 연결파이프(31)의 내측으로 토사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아우터플랜지(32b)의 내측 테두리에는 정렬홀(36)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패킹부재(미도시)가 추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ner flange 32a is formed to have a size (= ratio) that is smaller than the formation area of the outer flange 32b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36a. The inner flange 32a is biased toward the center of the outer flange 32b . The forming position of the inner flange 32a and the relative size of the inner flange 32a relative to the outer flange 32b can be changed by the alignment hole 36 formed in the connecting pipe 31 when the connecting pipe 21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bracket 32 Foreign matter such as soil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nnection pipe 31 through the alignment hole 36 by covering the outer flange 32b.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packing memb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inner edge of the outer flange 32b to more effectively block foreign matter from flowing through the alignment hole 36. [

센터플랜지(32c)는 단면의 세로방향의 폭이 정렬홀(36)을 구성하는 이동홀(36b)의 폭과 대응되고, 가로방향의 폭이 연결파이프(31)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이너플랜지(32a)의 외경과 대응되는 곡률 및 길이를 갖는 판형의 패널 부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센터플랜지(32c)는 이너플랜지(32a)와 아우터플랜지(32b)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이동홀(36b)에 결합 시, 이동홀(36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The width of the center flange 32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movement hole 36b constituting the alignment hole 36 and the width of the center flange 32c in the width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ipe 31 Like panel member having a curvature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flange 32a. The center flange 32c is horizontally disposed between the inner flange 32a and the outer flange 32b and is slidable along the moving hole 36b when engaged with the moving hole 36b.

연장플랜지(32d)는 아우터플랜지(32b)의 상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아우터플랜지(32b)와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아우터플랜지(32b)의 형성 폭(수평방향의 길이)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장플랜지(32d)는 소정지점이 분리되도록 분할 형성되고 분할된 지점은 아우터플랜지(32b)가 외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힌지(32e) 연결된다. 또한, 연장플랜지(32d)의 상측에는 설치홀(35)과 대응되는 지점에 고정홀(32f)이 형성되어 있다.The extension flange 32d is formed to exten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flange 32b and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flange 32b and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formation width of the outer flange 32b . Further, the extending flange 32d is divided so that a predetermined point is separated, and the divided point is connected to the hinge 32e so that the outer flange 32b is lifted outward. A fixing hole 32f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hole 35 on the upper side of the extending flange 32d.

이와 같은 연결브라켓(32)은 전반적인 외형이 연결파이프(31)의 형태(곡률 등)와 유사하게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연결브라켓(32)이 형성되는 지점의 연결파이프(31)의 외경이 확장되는 것을 최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결브라켓(32)이 삽입공(33)의 일 측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삽입공(33)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연결파이프(31)의 설치 방향에 따라 연결브라켓(32)을 선택적으로 설치 및 적용할 수 있다.The overall shape of the connecting bracket 32 is similar to that of the connecting pipe 31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ipe 31 at the point where the connecting bracket 32 is formed as a whole is minimized can do. Although the connection bracket 3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3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racket 32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hole 33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hole 33, (32)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and appli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의 연결브라켓를 통한 연결파이프의 연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connection pipe through the connection bracket of the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연결브라켓(32)을 통한 연결파이프(31)의 설치(연결)과정에 대해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8의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놓여지는 연결파이프(31a)의 하단측에 연결브라켓(32)이 설치 고정된다. 이때, 연결파이프(31a)의 하단측에 연결브라켓(32)의 설치 고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31a) 하단측에 형성된 설치홀(35)에 연결브라켓(32)의 연장플랜지(32d)의 고정홀(32e)을 일치시킨 다음 볼트(B)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설치 고정할 수 있으며, 연결브라켓(32)의 설치 고정은 연결파이프(31a)의 연결 설치시마다 이루어지거나, 설치전에 미리 결합해 놓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connection pipe 3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31 via the connection bracket 32. First, as shown in FIG. 8 (a) And the connection bracket 32 is fixe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base plate 31. At this time, the fixing of the connecting bracket 32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31a is performed by fixing the extending flange 32d of the connecting bracket 32 to the mounting hole 35 formed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connecting pipe 31a, The fixing holes 32e of the connection pipe 31a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n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B can be fixed to the fixing hole 32. The fixing of the connection bracket 32 can be performed each time the connection pipe 31a is connected, You can do it.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연결브라켓(32)이 연결파이프(31a)에 설치되면, 연결브라켓(32)의 이너플랜지(32a)는 연결파이프(31a) 하단을 벗어난 하측에 위치되게 되고, 아우터플랜지(32b)의 경우 연결파이프(31a)의 하단을 완전히 벗어나거나 일부 중첩되는 위치에 놓여질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인 일 예로 아우터플랜지(32b)가 연결파이프(31a)의 하단을 벗어난 형태를 취하도록 설명 및 도면으로 도시하였다) When the connecting bracket 32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pipe 31a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flange 32a of the connecting bracket 32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31a,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31a may be completely devi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31a or may be placed in a partly overlapping posi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flange 32b is out o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31a as a specific example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invention)

이후, 도 8의 (b)와 같이 하측 연결파이프(31b)가 설치된 상태에서 하측 연결파이프(31b)의 삽입홀(36a)과 연결브라켓(32)의 이너플랜지(32a)가 상호 동일선상으로 대응되는 상태에서 상측 연결파이프(31a)를 하강시켜 하측 연결파이프(31b)의 상면에 상측 연결파이프(31a) 하면을 접하도록 위치시킨다.8 (b), the insertion hole 36a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31b and the inner flange 32a of the connecting bracket 32 are mutually coincident with each other when the lower connecting pipe 31b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8 (b) The upper connecting pipe 31a is lowered and the upper connecting pipe 31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31b.

이때, 하측 연결파이프(31b)의 상면과, 상측 연결파이프(31a)의 하면이 접촉되도록 하강하는 과정에서 연결브라켓(32)이 하측 연결파이프(31b)의 상면과 간섭되게 되는데, 이때, 연장플랜지(32d)의 힌지(32e)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이너플랜지(32a)와 아우터플랜지(32b)가 들어 올려짐에 따라 하측 연결파이프(31b)와 연결브라켓(32)의 간섭이 발생하기 전에 들어 올림으로서 간섭이 회피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low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31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pipe 31a, the connecting bracket 32 interfer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31b. At this time, As the inner flange 32a and the outer flange 32b are lifted with respect to the point where the hinge 32e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31b and the connecting bracket 32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terference is avoided.

이후, 하측 연결파이프(31b)의 상면과 상측 연결파이프(31a)의 하면이 접촉하게 되면 연결브라켓(32)의 이너플랜지(32a)가 하측 연결파이프(31b)의 외면과 접하는 지점인 삽입홀(36a)이 위치됨에 따라 이너플랜지(32a)가 자연스럽게 삽입홀(36a)에 삽입되게 된다. 반면, 이와 같이 이너플랜지(32a)가 삽입홀(36a)에 단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하측 연결파이프(31a, 31b)의 삽입공(33)의 위치는 정렬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31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pipe 31a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inner flange 32a of the connecting bracket 32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31b, The inner flange 32a is natur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6a.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ner flange 32a is simp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6a, the insertion holes 33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ipes 31a and 31b are not aligned.

다음으로, 앞선 상태에서, 도 8의 (c)와 같이 상측 연결파이프(31a)를 회전(도면상 시계방향)시키면, 연결브라켓(32)의 센터플랜지(32c)가 이동홀(36b)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센터플랜지(32c)가 이동홀(36b)을 따라 더이상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센터플랜지(32c)가 이동홀(36b)을 따라 더이상 이동할 수 없는 상태 즉, 상측 연결파이프(31a)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상/하측 연결파이프(31a, 31b)의 삽입공(33)이 일치된 상태로 정렬되어 상호 연결되게 된다.8 (c), when the upper connecting pipe 31a is rotated (clockwise in the drawing), the center flange 32c of the connecting bracket 32 is moved along the moving hole 36b So that the center flange 32c can no longer move along the movement hole 36b. When the center flange 32c is no longer movable along the moving hole 36b, that is, when the upper connecting pipe 31a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insertion holes (not shown)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ipes 31a and 31b 33 are aligned and interconnected.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의 다양한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installation examples of the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ret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가설 흙막이 구조물(100)의 설치 시, 절곡지점에 토류판(20)을 설치하기 위해 수평하게 동일선상으로 설치되는 토류판을 고정하는 H 파일(10a)과 일정거리 이격된 절곡지점 형성용 H 파일(10b, 10c)들이 설치되게 된다. 이때 절곡지점을 형성하는 지점에 토류판(20)을 설치하기 위해 H 파일(10a, 10b, 10c)에는 지지브라켓(13) 및 연결유닛(30)이 설치되게 된다. 이후, 절곡지점을 형성하는 H 파일(10b)의 주변으로 다른 절곡지점을 형성하기 위한 H 파일(10c)을 설치할 시, H 파일(10c)의 설치범위가 폭넓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H 파일(10b)은 도 9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지점의 절곡 각도가 폭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연결유닛(30)의 연결파이프(31)가 단면이 원형형태로 공간부 내에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한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형태로 플랜지(11)에 접촉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H 파일(10c)의 위치가 P1 ~ P3에 이르기까지 변화해도 토류판(10)의 양단은 연결유닛(30)을 통해 H 파일(10c)의 플랜지(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9, in the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cladding structure 100, the H file 10a fixing the soil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same line to install the soil plate 20 at the bending point, And the H formation files 10b and 10c for branch formation are installed. At this time, the support bracket 13 and the connection unit 30 are installed on the H files 10a, 10b, and 10c in order to install the dust plate 20 at the point where the bending point is formed. Thereafter, when installing the H file 10c for forming another bending point around the H file 10b forming the bending point,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H file 10c can be widely formed. 9, the bending angle of the bending point may be widely varied. This is because the connecting pipe 31 of the connecting unit 30 has a circular cross-section in the space portion This is because the flange 11 always comes in contact with the flange 11 in a constant form even when it is rotated and rotat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H file 10c changes from P1 to P3, both ends of the dust plate 10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flange 11 of the H file 10c through the connecting unit 30 .

또한, 도 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지점에 연결유닛(30)에 의해 설치되는 토류판(20)의 절곡지점의 각도 및 방향이 다양하게 형성되는 경우일 지라도 토류판(20)의 양단과 H 파일(10)의 플랜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연결파이프(31)에 의해 밀착 지지되어 있음에 따라 토류판(20)이 H 파일(1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토류판(20)의 양단이 플랜지(11)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연결유닛(30)의 지지부(34)에 항상 면접촉으로 지지되고 있음에 따라 토류판(20)의 양단이 플랜지(11)와 직접적으로 면접촉하는 것과 대등한 지지력이 구현될 수 있다.10, even when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bending point of the soil plate 20 provided by the connection unit 30 are variously formed at the bending point, both ends of the soil plate 20 and the H file 10 without causing a problem that the dust plate 20 is separated from the H file 10 because the space is not formed between the flanges of the dust plate 20 and the connecting pipe 31, Both ends of the current plate 20 are direct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lange 11 because the both ends thereof are alway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portion 34 of the connecting unit 30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11, A bearing force can be realiz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물은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의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 시, 절곡지점에 하나의 H 파일(10)만을 이용하여 토류판(20)을 설치하여도 토류판(20)의 양단이 플랜지와 면접촉하는 것과 동일한 지지력이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각도의 절곡지점의 형성이 가능하다.In the installation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in the complex terraced area where the bending point is formed, the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with the soil plate 20 using only one H file 10 at the bending point It is possible to form the bending points at various angles while simultaneously generating the same supporting force as that at both ends of the turntable plate 20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lange.

또한, 종래 복수의 H 파일(10)이 요구되었던 것과 대비하여 절곡지점을 형성하기 부피 및 중량이 큰 추가적인 H 파일이 요구되지 않고, 절곡지점에 H 파일(10)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난이도가 높기 않아 실제 공사 현장에서의 적용성 및 활용성이 뛰어날 수 있다.Furth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H files 10 are conventionally required, an additional H file having a large volume and a heavy weight to form a bending point is not required, and the work difficulty for forming the H file 10 at the bending point is high Therefore, the applicability and applicability in actual construction site can be excellent.

아울러, 절곡지점에 토류판(20) 설치 시, 연결유닛(30)에 토류판(20)을 단순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설치 가능하고, 해체 시, 각 연결파이프(31)의 분리를 위해 별도의 공구없이 연결파이프(31)들을 상호 회전시킴으로써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전반적인 시공 및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oil plate 20 is installed at the bending point, it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the soil plate 20 into the connection unit 30 in a simple slide manner. In order to separate the connection pipes 31 at the time of disassembly, Since the connection pipes 31 can be separated by rotating them, the overall construction and disassembly are facilitated.

또한, 흙막이 구조물의 해체시, 각각의 연결파이프(31)들이 연결브라켓(32)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연결파이프(31)의 단순 상방향 이동에 의해 분리되지 않음에 따라 크레인 등을 통해 최상측의 연결파이프를 들어올려 H 파일(10)로부터 연결파이프(31)를 일괄적으로 제거하면 토류판(20)은 자동적으로 해체됨에 따라 하나하나 토류판(20)을 제거할 필요가 없고, 제거된 연결파이프(31)들은 지상에서 작업자게 의해 안전하게 해체됨에 따라 흑막이 구조물의 해체효율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까지 확보할 수 있다. When the retaining structure is dismantled, the respective connecting pipes 31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bracket 32 and are not separated by the simple upward movement of the connecting pipe 31, When the connecting pipe is lifted and the connecting pipe 31 is collectively removed from the H file 10, the soil plate 20 is automatically dismantle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the soil plate 20 one by one, 31) can be safely dismantled by the worker on the ground,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not only the efficiency of dismantling the structure but also safety of worker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 H 파일 20: 토류판
30: 연결유닛
31, 31a, 31b: 연결파이프 32: 연결브라켓
32a: 이너플랜지 32b: 아우터플랜지
32c: 센터플랜지 32d: 연장플랜지
32e: 힌지(경첩) 32f: 고정홀
33: 삽입공 34: 지지부
35: 설치홀 36: 정렬홀
10: H File 20: Tourist board
30: connection unit
31, 31a, 31b: connection pipe 32: connection bracket
32a: Inner flange 32b: Outer flange
32c: Center flange 32d: Extension flange
32e: Hinge (hinge) 32f: Fixing hole
33: insertion hole 34: support
35: mounting hole 36: alignment hole

Claims (4)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 설치하기 위한 가설 흙막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터파기 영역의 경계를 지점을 따라 지반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매설되며, 중앙의 웨브와 웨브의 양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로 형성되는 복수의 H 파일;
상기 복수의 H 파일 사이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복수의 토류판;
상기 절곡지점에 매설되는 H 파일의 플랜지와 이격된 상태로 웨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ㄱ' 또는 'ㄴ'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지지브라켓;
상기 절곡지점에 매설되는 H 파일의 플랜지와 지지브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 배치되어 H 파일의 플랜지와 지지브라켓에 지지됨과 동시에 토류판이 슬라이드 형태로 삽입되어 적층되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개의 연결파이프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파이프들이 정렬되어 연결되도록 연결파이프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파이프는,
단면이 원형인 중공형의 파이프 구조로 상기 토류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삽입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토류판의 양단과 면접촉 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 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을 설치 고정하기 위한 설치홀, 및
상기 연결파이프의 타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부가 삽입 체결되기 위한 정렬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내면이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곡률로 가공되는 아우터플랜지와,
외면이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가공되며, 상기 아우터플랜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이너플랜지와,
상기 아우터플랜지와 이너플랜지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플랜지와 이너플랜지를 연결하는 센터플랜지와,
상기 아우터플랜지와 대응되는 곡률로 아우터플랜지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분할된 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분할된 지점이 상호 힌지 연결되는 연장플랜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 구조물.
In a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for installation in a complex terraced area where a bending point is formed,
A plurality of H files embedded in the ground along the boundary of the terahertz reg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ed of a pair of flange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center web and the web;
A plurality of soil plates inserted and lamin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H files;
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spaced apart from the flange of the H file embedded at the bending point an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 and having a cross section of 'a' or 'b';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inser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lange of the H file and the support bracket embedded in the bending point and supported by the flange and the support bracket of the H file and guiding the stack of the slide plates inserted and stacked; And a connection bracket configured to interconnec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ipe so that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are aligned and connected,
The connecting pipe includes:
A hollow pipe structur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formed by cut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oil plate;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at an interval equal to the width of the insertion hole and in surfac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current plate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A mount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 for mounting and fixing the connecting bracket,
An alignment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side of the connection pipe for inserting a part of the connection bracket,
The connection bracket
An outer flange which is processed to have a curvature such that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flang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An inner flange formed to have a curvature such that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flange can close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A center flange disposed horizontally between the outer flange and the inner flange and connecting the outer flange to the inner flange,
And an extension flange extending from an upper side of the outer flange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flange, the split flange being formed as a divided structure and having divided portions mutually hing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홀은
상기 이너플랜지가 삽입될 수 있는 면적으로 절개 형성되는 삽입홀과,
상기 센터플랜지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일 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 형성되는 이동홀로 구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lignment holes
An insertion hole formed at an area where the inner flange can be inserted,
Wherein the center hole is formed in a width that allows the center flange to be inserted and slidable, and is divided into a moving hole formed by a predetermined lengthwise incision from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플랜지는 상기 아우터플랜지의 중앙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플랜지는 상기 연결파이프들의 삽입공이 정렬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정렬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flange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outer flange, and the outer flange is formed in an area that covers the insertion hole of the connection pipe so that the insertion holes of the connection pipes are align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Hypothetical retaining structur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의 연결에 있어서,
각 연결파이프가 수직방향으로 기립되어 상호 근접한 끝단면이 상호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브라켓의 이너플랜지가 삽입홀에 삽입된 후 이동홀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호 맞대어진 연결파이프의 체결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삽입공들의 정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connection of the connecting pipe,
Each of the connecting pipes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djacent flanges of the connecting brackets are mutually abutted with each other, the inner flanges of the connecting bracket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and then moved along the moving holes, Wherein the alignment of the insertion holes is performed.
KR1020180043477A 2018-04-13 2018-04-13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8998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477A KR101899859B1 (en) 2018-04-13 2018-04-13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477A KR101899859B1 (en) 2018-04-13 2018-04-13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859B1 true KR101899859B1 (en) 2018-09-18

Family

ID=6371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477A KR101899859B1 (en) 2018-04-13 2018-04-13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8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235A (en)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승원씨앤디 Pannel for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066B1 (en) 1999-07-15 2002-03-09 권재원, 김정원 A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using Pip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977206B1 (en) 2008-02-05 2010-08-20 (주)한국에어로테크 A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using slide rail and installation method
KR100988994B1 (en) 2004-07-08 2010-10-20 김해영 wall for prevention of earth and water from being collapsed
KR101232604B1 (en) 2011-03-08 2013-02-13 백규호 Earth retaining structure using steel plat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414756B1 (en) 2012-12-26 2014-07-04 차수익 Non welding type linked cas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066B1 (en) 1999-07-15 2002-03-09 권재원, 김정원 A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using Pip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988994B1 (en) 2004-07-08 2010-10-20 김해영 wall for prevention of earth and water from being collapsed
KR100977206B1 (en) 2008-02-05 2010-08-20 (주)한국에어로테크 A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using slide rail and installation method
KR101232604B1 (en) 2011-03-08 2013-02-13 백규호 Earth retaining structure using steel plat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414756B1 (en) 2012-12-26 2014-07-04 차수익 Non welding type linked cas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235A (en)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승원씨앤디 Pannel for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reof
KR102558292B1 (en) * 2021-05-11 2023-07-21 주식회사 승원씨앤디 Pannel for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8056A1 (en) Water barrier-type earth blocking structure for temporary facility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100575420B1 (en) A shoring structure using concrete member
KR100977206B1 (en) A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using slide rail and installation method
KR101094827B1 (en) Structure of variable temporary retaning wall
JP2016528406A (e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temporary retaining works for earth retaining
JP2012036720A (en) Open-cut excavation structure using lining panel, and open-cut excavation construction method
KR101899859B1 (en)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862208B1 (en)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uon mothod thereof
KR102195203B1 (en) Soil blocking method using horizontal Strut and slope Strut
KR102036648B1 (en) Construction of multiple toter wall for installation of earth retaining safety work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1925363B1 (en)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851279B1 (en) Construction method of low-depth cutoff wall using steel plates connected in sequence
US7021868B1 (en) Lightweight shoring system for accommodating crossing utilities
KR101906198B1 (en)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KR200389267Y1 (en) Box type trench shoring apparatus
KR101866792B1 (en)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127475B1 (en) Device for connecting wales
KR101915189B1 (en)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KR200396180Y1 (en) Revet installation device
KR101877407B1 (en)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915188B1 (en)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JP7301203B1 (en) Earth retaining device for shallow excavated trenches
KR100724781B1 (en) A sheathing board
JP7309026B1 (en) Earth retaining device for shallow excavated trenches
JP4581419B2 (en) Seismic isolation z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