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094B1 - Microfluidic device - Google Patents

Microfluid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094B1
KR101899094B1 KR1020170018128A KR20170018128A KR101899094B1 KR 101899094 B1 KR101899094 B1 KR 101899094B1 KR 1020170018128 A KR1020170018128 A KR 1020170018128A KR 20170018128 A KR20170018128 A KR 20170018128A KR 101899094 B1 KR101899094 B1 KR 10189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tissue culture
culture space
tissu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1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2449A (en
Inventor
오수정
민대진
배일홍
이성훈
이용희
이태룡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1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094B1/en
Publication of KR2018009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6Microfluidic devices; Capillary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2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ellular or enzymatic activity or functionality, e.g. cell vi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25Epidermal cells, skin cells; Cells of the oral mucosa
    • C12N5/0627Hai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50Proteins
    • C12N2533/54Collagen; Gela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모낭 및 상기 모낭에 결합되는 털을 포함하는 털 조직을 배양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로서, 몸체, 상기 몸체 내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배지(培地) 및 콜라겐 젤이 적어도 일부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직배양공간 및 상기 조직배양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을 관통하는 조직배양공간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모낭은 상기 조직배양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털은 상기 조직배양공간 입구를 관통할 수 있다.A microfluidic device for culturing a hair follicle comprising a hair follicle and a hair fused to the hair foll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fluidic device comprising: a body; a body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culture medium and a collagen gel At least one tissue culture space at least partially filled with tissue culture culture space, and a tissue culture space inlet connected to the tissue culture space and penetrating one side of the body, wherein the hair follicle is located in the tissue culture space, It can penetrate through the inlet of the culture space.

Description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MICROFLUIDIC DEVICE} [0001] MICROFLUIDIC DEVICE [0002]

본 발명은 동물 털 조직 배양을 위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fluidic device for animal hair tissue culture.

인간의 모발은 두피 내에 존재하는 모낭에서 유래한다. 원래 모낭은 태아기에 형성되어 출생 후에는 더 이상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모낭의 수는 청소년기를 지나 장년기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노년기부터 차츰 감소한다. 인간의 모발은 약 10만~15만 개 정도로서 각각의 모발은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라는 독특한 주기를 통하여 생장과 소멸을 반복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은 모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이 적어지는 반면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탈모되는 모발의 숫자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Human hair is derived from hair follicles that are present in the scalp. Since hair follicles originally form in the prenatal period and are no longer produced after birth, the number of hair follicles remains constant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and then gradually decreases from old age. Human hair is about 100,000 to 150,000, and each hair repeats its growth and disappearance through a unique cycle of growth, regeneration, and rest period. In general, alopecia refers to an abnormal increase in the number of hairs that are lost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air in the retrograde period or in the resting period, while the number of hairs in the growing period decreases in the hair cycle.

일반적으로 탈모의 원인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유전적인 요인을 포함하여 노화에 의한 두피 세포의 퇴화, 모근에 공급되는 영양분의 부족, 두피 지방질 과다로 인한 산포 공급 부족, 지방질이나 이물질 또는 두피 질환에 의한 염증과 모공 폐쇄 현상 등을 들 수 있다. 최종적으로 모근에 탄성이 떨어지고 조직세포의 피로현상에 의하여 모근의 영양대사가 떨어지며 모근 세포들의 수축력이 저하되어 탈모가 발생하게 된다.Generally, the cause of hair loss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However, due to the degeneration of scalp cells due to aging including genetic factors, lack of nutrients supplied to the hair follicles, lack of scattering due to excessive scalp lipid, Inflammation and pore closure phenomenon. Finally, the elasticity of the hair follicles is lowered, fatigue of the tissue cells decreases the nutrient metabolism of the hair follicles, and the hair follicle contractility is lowered, resulting in hair loss.

탈모에는 남성호르몬이 관여한다. 즉, 남성호르몬에 작용에 의해 굵고 검은 머리털이 충분히 자라지 못하고 점점 가늘어지고 힘이 없어지면서 정상보다 훨씬 빨리 빠지도록 작용하고, 모발 주기를 단축시키기 때문에 처음에는 머리카락이 힘이 없고 가늘어지다 점차로 머리가 빠지고 새로 나지 않게 된다.Male hormones are involved in hair loss. In other words, the action of male hormones, thick black hair does not grow enough, tapered and weakened to lose power faster than normal to work faster, shortening the hair cycle, so the hair at first is weak and thin hair gradually falling I will not be new.

현재 전세계적으로 탈모 방지 및 모발 촉진을 위한 많은 탈모방지제 또는 모발생장 촉진제들이 시판되고 있으며 몇 가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이러한 탈모방지제 또는 모발생장 촉진제들의 효과 검증 방법 또한 중요한 기술 분야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Many anti-hair-loss agents or hair growth promoters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are currently available on the market, and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growth effects have been proven despite some problems. Methods for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se hair loss inhibitors or hair growth promoters are also emerging as one of the important technical fields.

동물의 생체에서 털 조직을 추출해서 배양할 때 종래에는 평판배양(culture plate)에 배양배지를 채우고 조직을 담그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배양한 털 조직을 이용하여 시간에 지남에 따라 자라나온 털의 길이를 측정하거나 혹은 털 조직의 바이오마커(biomarker) 분석 및 병리 등을 통해 털 조직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When hair tissue is extracted from an animal's body and cultured, conventionally, a method of immersing tissue in a culture plate filled with a culture medium has been mainly used. Using the hair tissue cultured by this method, the length of the hair that has grown over time can be measured, or the characteristics of hair tissue can be analyzed through biomarker analysis and pathology of the hair tissue.

그러나 실제 동물의 털 조직에서 자라나온 털 부분은 생체의 외부에 존재하고 세포 조직은 생체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종래의 배양 방법은 털 조직의 생리학적 배양 특성과 차이가 있어 실험의 정확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털 부분은 일반적으로 생체의 피부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자라지 않고 일부가 누워 있거나 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경우 자라 나온 털의 길이 측정의 정확성이 저하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part of the hair that has emerged from the hair tissue of the actual animal is present outside the living body and the cell tissue is present inside the living body, the conventional culture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physiological culture characteristics of the hair tissue, . In addition, the hair portion generally does not grow perpendicularly to the surface of the skin of a living body, and most of the hair is partially laid or warped. In such a case, the accuracy of the length measurement of the emerging hair may deteriora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물 털 조직을 생체유사적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배양하기 위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crofluidic device for effectively cultivating animal hair tissue in a bio-similar environmen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모낭 및 상기 모낭에 결합되는 털을 포함하는 털 조직을 배양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로서, 몸체, 상기 몸체 내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배지(培地) 및 콜라겐 젤이 적어도 일부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직배양공간 및 상기 조직배양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을 관통하는 조직배양공간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모낭은 상기 조직배양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털은 상기 조직배양공간 입구를 관통할 수 있다.A microfluidic device for culturing a hair follicle comprising a hair follicle and a hair fused to the hair foll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fluidic device comprising: a body; a body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culture medium and a collagen gel At least one tissue culture space at least partially filled with tissue culture culture space, and a tissue culture space inlet connected to the tissue culture space and penetrating one side of the body, wherein the hair follicle is located in the tissue culture space, It can penetrate through the inlet of the culture space.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는 동물 털 조직을 생체유사적 환경, 즉 털 조직의 모낭 부분은 조직배양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털 조직의 모낭에 결합된 털 부분은 조직배양공간 입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조직배양공간의 외부에 위치하게 하여 효과적으로 배양하여 실험의 신뢰도를 개선하고, 털 조직의 털 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자랄 수 있게 하여 털 길이 측정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The microfluid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imal hair tissue is placed in a bio-similar environment, that is, the follicular part of the hair tissue is located inside the tissue culture space, the hair part bonded to the hair follicle of the hair tissue is penetrated Holes can be located outside the tissue culture space to effectively cultivat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experiment and to allow the hair portion of the hair tissue to grow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hair length measurem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는 투명하고 탄성이 있는 폴리머 소재로 제작하고 조직배양공간 입구의 개폐판이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가지고 있어, 슬릿의 벌어짐에 의해 조직배양공간 입구의 관통홀의 크기를 조절하여 털 조직의 모낭을 조직배양공간에 용이하게 주입하고 제거할 수 있고, 또한 털 길이 생장을 외부에서 관찰하기 용이하다.In addition, the microfluid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and elastic polymer material, and the opening / closing plate at the entrance of the tissue culture space has at least one slit, and the size of the through- The hair follicle of hair tissue can be easily injec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tissue culture space, and hair growth can be easily observed from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는 측면에 눈금자를 부착하여 육안 및 사진촬영을 통한 배양된 털 길이의 측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Further, the microfluid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easure the cultured hair length through visual observation and photographing by attaching a ruler on the side.

추가적으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를 병렬적으로 제작하여 각각의 배지공급부를 통해 다양한 조성의 배양배지 및 약물을 공급하여 각기 다른 조성의 배양배지 및 약물에 대한 털 조직의 반응을 관찰하게 용이하다.In addition, microfluidic devices are prepared in parallel, and culture media and medicines of various compositions are supplied through the respective media supply units, thereby facilitating observation of the reaction of the hair tissue on the culture media and drugs of different compos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의 하나의 조직배양공간 입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내에 털 조직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조직배양공간 입구를 통해 털 조직을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복수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icrofluid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of a microfluid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one tissue culture space inlet of a microfluidic device.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hair follicles are arranged in the microfluidic device of Fig. 1.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inserting hair tissue through the entrance of tissue culture space.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icrofluid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icrofluidic device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fluidic device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icrofluid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의 하나의 조직배양공간 입구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내에 털 조직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icrofluid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are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respectively, of a microfluid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one tissue culture space inlet of a microfluidic device,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hair follicles are arranged in the microfluidic device of FIG.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는, 몸체(110),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조직배양공간(100), 조직배양공간(100)과 연결되고 몸체(110)의 일측을 관통하는 조직배양공간 입구(103) 및 배지공급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직배양공간 입구(103)에는 중앙에 관통홀(109)이 형성된 개폐판(107)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는 동물에서 채취한 털 조직을 배양하는 것으로, 털 조직의 모낭은 신선한 배지(培地)가 들어있는 조직배양공간(100) 내에 배치되고, 털 조직의 모낭에 결합된 털은 조직배양공간 입구(103)를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채 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조직배양공간 입구(103)의 개폐판(107)은 관통홀(109)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개폐판(107)에 의한 관통홀(109)의 크기 조절을 통해 털 조직의 모낭을 조직배양공간(100)으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1 to 4, the microfluidic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body 110, a tissue culture space 100 formed inside the body 110, a tissue culture space 100 A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body 110, and a medium supply unit 101. Further,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plate 107 having a through hole 109 at the center thereof. The microfluidic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ultivates a hair tissue collected from an animal. The hair follicle is placed in a tissue culture space 100 containing a fresh medium, and the hair follicle The combined hai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while standing vertically through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of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can adjust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09, and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09 is adjusted by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It can be easily put in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조직배양공간(100)은 배지 뿐만 아니라 콜라겐 젤과 같은 진피 모사체가 채워질 수 있다. 조직배양공간(100)에 모낭만 주입한다면 고정이 안되어 모낭이 한쪽으로 누워 털이 수직으로 생장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액체 상태의 콜라겐으로 조직배양공간(100)을 채운 다음, 모낭을 주입하고 이후 콜라겐을 고체화 되도록 한다면 모낭이 고정되어 털이 수직으로 생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생리학적으로 모낭은 진피층에 박혀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보다 더 생체유사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콜라겐에 섬유아세포나 모낭 또는 진피층 관련 세포를 추가하면 모낭에서 발생하는 생리학적 변화를 관찰할 수도 있다.The tissue culture space 100 may be filled with a dermis material such as collagen gel as well as a medium. If only the hair follicles are injected in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the follicles may not be fixed and the hair may not grow vertically. Therefore, when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is filled with the collagen in the liquid state, and the hair follicle is injected and then the collagen is solidified, the hair follicle can be fixed and the hair can grow vertically. In addition, since the hair follicle is embedded in the dermal layer physiologically, this method can create a more bio-similar environment. Additionally, adding fibroblasts, hair follicles, or dermal layer-related cells to collagen can also be used to observe physiological changes in hair follicles.

동물의 털 조직은 모낭 및 털을 포함할 수 있는데, 모낭은 모근을 싸고 있는 내·외층의 피막으로 표피가 피부의 피하조직까지 움푹 들어가 있고, 털은 피부 외부로 나와 자라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는, 털 조직의 모낭은 배지를 포함하는 조직배양공간(100)의 내부에 위치하게 하고, 털 조직의 털의 일부는 조직배양공간(100)의 외부에 위치하게 하여, 실제 동물의 피부에서 털 조직이 위치하고 생장하는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The hair tissue of an animal may include hair follicles and hair follicles. The hair follicle is a coating of inner and outer layers surrounding the hair follicle. The epidermis is depressed into the subcutaneous tissue of the skin, and the hair grows out of the skin. The microfluidic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ir follicles are located insid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including the medium and part of the fur of the hair tissue is located insid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By placing it outside, it is possible to create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environment in which hair tissue is located and grows in the skin of an actual animal.

몸체(110)는 내부에 조직배양공간(100), 조직배양공간(100)과 연결되고 몸체(110)의 일측을 관통하는 조직배양공간 입구(103), 배지공급부(101) 등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털 조직의 생장 과정을 외부에서 관찰하고 생장 결과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몸체(110)는 조직배양공간(100) 내부의 털 조직의 모낭이나 털 부분 등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ody 110 has a tissue culture space 100 and a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connected 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and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body 110 and a medium supply unit 101, . In this case, in order to observe the growth process of the hair tissue from the outside and facilitate the measurement of the growth result, the body 110 may be formed so that the hair follicle or the hair portion of the hair tissue in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At least a part of which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조직배양공간(100)은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일정한 부피를 갖는 공간으로, 배양하려는 털 조직의 모낭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조직배양공간(100)에는 배지 및 상기 배지에 담기는 모낭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조직배양공간(100) 내에 위치한 모낭이 배지에 의해 배양될 수 있다. 이때, 조직배양공간(100)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조직배양공간(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 형상 또는 다양한 다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is a space having a constant volume formed inside the body 110, and the hair follicle to be cultured can be disposed inside. That is, in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a medium and a hair follicle contained in the medium may be located. At this time, the hair follicles located in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can be cultured by the medium. At this tim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spherical or various polygonal columns.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직배양공간(100)은 몸체(11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 내에서 복수의 털 조직이 동시에 배양될 수 있다. 이때, 조직배양공간(100)은 몸체(110) 내부에서 일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r more tissue culture spaces 100 may be formed in the body 110. As a result, a plurality of hair tissues can be simultaneously cultured in the microfluidic device 10. At this tim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one direction within the body 110.

이때, 조직배양공간(100)은 모낭의 부피보다 큰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조직배양공간(100)은, 배양이 완료된 모낭의 부피보다 큰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조직배양공간(100)은 털 조직의 모낭이 주입되고 생장하는 것을 고려한 모양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배양공간(100)은 둥근 형태이고, 털 조직의 모낭 보다는 약간 더 큰 부피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may have a larger volume than the volume of the hair follicl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may have a volume that is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hair follicles in which cultivation has been completed.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may have a shape and size considering that the hair follicles are injected and grown. For exampl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is round in shape and may have a slightly larger volume than hair follicles.

한편, 조직배양공간(100)의 상단에는 조직배양공간 입구(10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10) 내부에는 조직배양공간(100)이 형성되고, 조직배양공간(100)은 조직배양공간 입구(103)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That is, a tissue culture space 100 is formed inside the body 110, and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a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도 3을 참조하면, 조직배양공간 입구(103)는 개폐판(107)을 포함할 수 있고, 개폐판(107)의 중앙에는 관통홀(10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판(107)에는 관통홀(109)의 주변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릿(10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판(107)의 관통홀(109) 주변으로 두 개의 슬릿(10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슬릿(10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may include an opening / closing plate 107, and a through hole 109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At least one slit 104 may be formed in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in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09. 3, two slits 104 ar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through-hole 109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number of the slits 104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ree or more slits 104 may be formed.

조직배양공간 입구(103)에는, 관통홀(109)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슬릿(104)을 가진 개폐판(107)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개폐판(107)은 슬릿(104)의 벌어짐과 닫힘에 의해 관통홀(109)의 크기를 조절하여, 조직배양공간(100) 내부로 털 조직의 모낭을 투입시키고 또한 모낭에 결합된 털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판(107)의 슬릿(104)을 벌려 관통홀(109)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는 경우, 크기가 커진 관통홀(109)을 통해 털 조직의 모낭이 조직배양공간(1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벌어진 슬릿(104)이 닫혀 개폐판(107)이 원래의 형태로 돌아올 경우, 관통홀(109)의 크기는 원래대로 다시 작아지고 털 조직의 모낭이 조직배양공간(100)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n opening / closing plate 107 having a slit 104 capable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09 may be disposed in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7 adjusts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09 by opening and closing the slit 104 to insert the hair follicle in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 ≪ / RTI > For example, when the slit 104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is opened to enlarge the size of the through-hole 109, the follicle of the hair tissue is introduced in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through the through- It can be put into the inside. Then, when the opened slit 104 is closed and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09 becomes smaller again and the follicle of the hair tissue exits from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Can be prevented.

또한, 벌어진 슬릿(104)이 닫혀 개폐판(107)이 원래의 형태로 돌아올 경우, 관통홀(109)의 크기는 원래대로 다시 작아지고 개폐판(107)이 관통홀(109)을 통해 빠져 나온 털 조직의 털을 지지할 수 있어, 배양된 털이 수직 방향으로 생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When the opened slit 104 is closed and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09 becomes smaller again and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is removed from the through hole 109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hair of the hair tissue so that the cultured hair gr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이, 개폐판(107)에는 관통홀(109) 주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104)이 형성되고, 슬릿(104)의 벌어짐과 닫힘에 따라, 관통홀(109)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04)이 벌어지면 관통홀(109)의 크기가 증가되어, 관통홀(109)을 관통하여 털 조직의 모낭이 조직배양공간(100)으로 투입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slit 104 is formed in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around the through hole 109, and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09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t 104 . As shown in Fig. 5, when the slit 104 is opened,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09 is increased, and hair follicles can be inserted in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through the through hole 109 .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판(107)은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판(107)에 외부 압력을 가한 때 슬릿(104)이 벌어져 관통홀(109)의 크기가 커지고, 외부 압력을 제거한 때 탄성에 의해 벌어진 슬릿(104)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여 관통홀(104)의 크기 또한 원래의 크기로 복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판(107)의 탄성을 이용하여 관통홀(109)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판(107)은 고무, 실리콘, 폴리머 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7 may include an elastic material.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the slit 104 opens and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09 becomes large.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removed, the slit 104 opened by the elasticity returns to the original shape, 104 can also return to their original size. In other words,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09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For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7 may include rubber, silicon, a polymer material, and the like.

이때, 관통홀(109)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통홀(109)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109 may have a circular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109 may have various polygonal shapes such as a triangular shape and a square shape.

한편, 관통홀(109)의 최소 폭은 털 조직의 털의 직경 대비 같거나 클 수 있다. 여기에서, 관통홀(109)의 폭이 최소가 되는 경우는, 슬릿(104)이 닫힌 상태로 털 조직의 모낭이 조직배양공간(100) 내부에 위치하고, 털 조직의 털이 관통홀(109)을 관통한 상태로 고정된 경우이다. 예를 들어, 관통홀(109)이 원형인 경우, 관통홀(109)의 최소 폭, 즉 관통홀(109)의 직경이 털의 직경 대비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폐판(107)이 털의 생장을 방해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inimum width of the through hole 109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air of the hair texture. When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109 is minimized, hair follicles in the hair tissue are positioned insid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with the slit 104 closed, and the hair of the hair tissue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09 And is fixed in a penetrating state. For example, when the through hole 109 is circular, the minimum width of the through hole 109, that is,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09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air.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from hindering the growth of hair.

상단의 조직배양공간 입구(103)를 통해 털 조직이 주입되고, 조직배양공간 입구(103)의 관통홀(109)을 통해 털 조직의 털 부분이 외부로 빠져 나와 생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털 조직의 털이 조직배양공간 입구(103)의 관통홀(109)을 관통하여 위쪽 방향으로 직선으로 자라게 되고, 그 결과 털의 정확한 생장 길이 측정이 용이해 진다.The hair tissue is injected through the upper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and the hair portion of the hair tissue is allowed to grow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109 of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 As a result, the hair of the hair tissue grows straight in the upward direction through the through-hole 109 of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and as a result, the accurate growth length measurement of the hair is facilita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지공급부(101)가 배치되는데, 배지공급부(101)는 조직배양공간(100)으로 신선한 배지를 공급할 수 있다. 배지공급부(101)는 몸체(110)의 양측 단부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배지공급부(101) 사이에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조직배양공간(100)이 배열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medium supply unit 101 is disposed in the body 110, and the medium supply unit 101 can supply fresh medium 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The culture medium supply unit 101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ody 110 in pairs. That is, the at least one tissue culture space 100 described above may be arranged between the pair of the medium supply parts 101. [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지공급부(101)로부터 배지를 공급 받는 조직배양공간(100)은 복수일 수 있기 때문에, 배지공급부(101)는 복수의 조직배양공간(100)에 배지를 공급하기 위해 조직배양공간(100) 대비 더 큰 부피를 가질 수 있다. Since the plurality of tissue culture spaces 100 that receive the medium from the at least one medium feeder 101 can be plural, the medium feeder 101 can supply a plurality of tissue culture spaces 100 with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 / RTI >

이때, 배지공급부(101)와 조직배양공간(100) 사이에는 제1 채널(108)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채널(108)은 배지공급부(101)와 배지공급부(101)에 인접한 조직배양공간(100) 사이에 형성되어, 배지의 이동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배지공급부(101) 내에 저장된 배지가 제1 채널(108)을 따라 이동하여 인접한 조직배양공간(1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first channel 108 may be formed between the culture medium supply unit 101 and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Specifically, the first channel 108 is formed between the culture medium supply unit 101 and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adjacent to the culture medium supply unit 101, and can be used as a passage for the culture medium. The medium stored in the medium supply part 101 may be moved along the first channel 108 and supplied to the adjacent tissue culture space 100.

그리고, 상기 배지공급부(101)에 인접한 조직배양공간(100)과 이와 인접한 다른 조직배양공간(100) 사이에는 제2 채널(1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채널(102)은 하나의 조직배양공간(100)과 인접한 다른 조직배양공간(100)을 서로 연결하여, 조직배양공간(100) 마다 배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A second channel 102 may be formed between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adjacent to the culture medium supply unit 101 and another tissue culture space 100 adjacent thereto. The second channel 102 connects one tissue culture space 100 and another tissue culture space 100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medium can be supplied for each tissue culture space 100.

결국, 배지공급부(101)에 공급된 배지는, 제1 채널(108), 조직배양공간(100), 제2 채널(102) 및 다른 조직배양공간(100) 순으로 이동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medium supplied to the medium feeder 101 can move in the order of the first channel 108,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the second channel 102, and the other tissue culture space 100.

도 4를 참조하면, 조직배양공간(100)은 털 조직의 조직학적 특성을 살려서 생체와 유사한 환경에서 배양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관통홀(109)을 가지는 조직배양공간 입구(103)를 통해 배지로 채워진 조직배양공간(100) 내부로 털 조직을 주입할 수 있다. 이때, 털 조직의 털은 조직배양공간 입구(103)의 관통홀(109)을 통해 자라나 조직배양공간(100)의 외부에 위치하고, 조직배양공간(100) 내부에는 배지 및 콜라겐 젤과 함께 모낭이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4,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is manufactured so as to be cultivated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a living body by taking advantage of the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ir tissu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is provided with a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having a through- The hair tissue can be injected in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filled with the tissue. At this time, hair of the hair grows through the through hole 109 of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and is located outsid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Insid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the hair and the collagen gel together with the hair follicle Located.

조직배양공간(100)은 털 조직의 모낭이 충분히 들어갈 수 있는 부피여야 하고, 개폐판(107)의 관통홀(109)의 직경은 털 조직의 털의 굵기와 같거나 약간 더 커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하면 털 조직의 털이 조직배양공간 입구(103)의 관통홀(109)을 통해 자라 나와 위쪽 방향으로 직선으로 자라게 되고, 그 결과 털 부분의 정확한 생장 길이 측정이 용이해 진다.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should be a volume capable of sufficiently penetrating hair follicles and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09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7 should be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ur hair. As a result, the hair of the hair tissue grows through the through-hole 109 of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and grows straight in the upward direction. As a result, the accurate growth length measurement of the hair portion is facilitated.

하기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의 조직배양공간 입구(103)의 구조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of the microfluidic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조직배양공간 입구를 통해 털 조직을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털 조직의 세포 부분, 즉 모낭은 일반적으로 털 조직의 털 대비 더 굵고 크다. 슬릿(104)이 닫힌 때의 관통홀(109)의 폭은 털 조직의 털의 굵기에 따라 결정되므로, 털 조직의 모낭이 들어가기에는 좁을 수 있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inserting hair tissue through the entrance of tissue culture space. The cellular part of the hair tissue, the hair follicle, is generally thicker and larger than the hair of the hair tissue. Since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109 when the slit 104 is closed i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of the hair of the hair texture, it may be narrow for entering the hair tissue of the hair texture.

따라서 털 조직의 모낭을 조직배양공간 입구(103)에 배치되는 개폐판(107)을 통해 조직배양공간(100)으로 효과적으로 주입시키기 위해서는 도 3과 같이 개폐판(107)은 탄성력이 있는 소재의 얇은 막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개폐판(107)의 중앙에는 관통홀(109)이 형성되고, 관통홀(109)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슬릿(1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릿(104)을 벌리게 되면 개폐판(107)의 관통홀(109)의 크기가 일시적으로 커질 수 있고, 털 조직의 모낭을 조직배양공간(100)으로 효과적으로 주입시킬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inject the hair follicle in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7 disposed at the tissue culture inlet 103,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7 is preferably made of a th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A through hole 109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7 and at least one slit 104 may be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109. [ At this time, if the slit 104 is opened,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09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107 can be temporarily increased, and hair follicles can be effectively injected in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또한, 개폐판(107)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력 있는 폴리머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털 조직의 모낭을 조직배양공간(100) 내부로 주입시키는 동안 외부 압력에 의해 슬릿(104)이 벌어지고, 털 조직의 모낭을 조직배양공간(100) 내부로 주입 시킨다.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7 can be made of an elastic polymer material such as rubber or the like, the slit 104 is spread by external pressure while injecting the hair follicle in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The hair follicles are injected in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주입 후에는 벌어진 슬릿(104)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모양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게 되고, 관통홀(109)의 크기 또한 원래대로 원복 될 수 있다. 그 결과 털 조직의 모낭은 조직배양공간(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털 조직의 털 부분은 조직배양공간 입구(103)의 관통홀(109)을 통해 빠져 나와 몸체(11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유사적 배양 환경을 통해 보다 신뢰도 높은 실험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After the injection, the inserted slit 104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09 can also be originally rewound. As a result, the hair follicles of the hair tissue are located insid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and the hair part of the hair tissue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109 of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and positioned outside the body 110 . Such a bio-similar culture environment can lead to more reliable experimental results.

배지가 흐를 수 있는 복수의 조직배양공간(100)들을 가지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를 병렬로 배치하면, 털 조직의 생장 길이와 같은 서로 다른 배양 배지조건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기 편리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실험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더 나아가 이러한 병렬 어레이는 약물 스크리닝(screening)에도 유리하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는, 털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105)를 포함할 수 있다. 눈금자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의 몸체(110),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110)에 형성된 조직배양공간(100)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각각의 조직배양공간(100) 마다 하나의 눈금자(105)가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긴 직사각형 형태의 눈금자가 다수의 조직배양공간(100) 측면에 길게 부착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나의 큰 직사각형 형태의 눈금자를 측면에서 부착할 경우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의 제작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Arranging the microfluidic devices having a plurality of tissue culture spaces 100 in which the culture medium can flow is arranged in parallel, it is convenient to compare the responses to different culture medium conditions such as the growth length of the hair tissue, . Furthermore, such parallel arrays are also advantageous for drug screening. This is explained in detail below. Referring to FIG. 6, the microfluidic devic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uler 105 capable of measuring fur length. The scale may be attached to the body 110 of the microfluidic device 10, more specifically to the side of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formed in the body 110. 6, one ruler 105 may be attached individually to each tissue culture space 100, or one long rectangular ruler may be attached to the sides of the plurality of tissue culture spaces 100 It is possible. When such a large rectangular-shaped scale is attached on the sid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fabrication of the microfluidic device 10 becomes easier.

조직배양공간(100)에서 배양을 시작한 후 일정 주기로 생장된 털 길이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의 측면에서 사진을 찍고, 사진을 이용하여 털 길이 생장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After the cultivation in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is started, the length of hair grown at regular intervals is measured. This is usually done by photographing from the side of the microfluidic device 10, .

이때, 사진을 통해 털 길이의 생장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실물과 사진의 정확한 배율, 또는 털 길이를 도출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한데, 이러한 기준이 불명확할 경우 각 조직배양공간(100)에서 자란 털 사이의 상대적인 길이만 비교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털 조직의 생장 길이 측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105)를 조직배양공간(100)의 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털 길이를 측정하고자 할 때,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의 조직배양공간(100)의 측면에서 사진을 찍은 후, 사진 상에서 털의 끝부분과 눈금자(105)의 눈금을 비교하면 쉽게 털의 생장 길이를 측정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향후 데이터의 보존에도 유리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measure the growth rate of the fur length through the photograp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 for deriving the exact magnification of the real and the photograph, or the fur length. If such a criterion is unclear, Only relative lengths can be compared. Accordingly, in order to facilitate and accurately measure the growth length of the hair tissue, the microfluidic device 10 can attach a ruler 105 capable of measuring the length to the side surface of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In other words, when a hair is to be measured, a photograph is taken on the side of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of the microfluidic device 10, and then the scale of the ruler 105 is compared with the end of the hair on the photograph. Can be measured. This can be advantageous for future data retention.

도 7은 다수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들이 병렬적으로 구성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microfluidic devic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fluidic devices are arranged in parallel.

도 7을 참조하면, 다수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를 병렬로 배치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시스템(microfluidic device system)(1000)의 경우, 각각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의 배지공급부(101)를 통해 공급되는 배양배지의 구성성분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각 배양배지의 구성성분에 따른 털 길이 생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어 최적의 배양배지 구성성분을 도출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7, in the case of a microfluidic device system 1000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fluidic devices 10 are arranged in parallel, the number of microfluidic devices 10 ) Can be mad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ulture medium.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etermine the difference in hair length growth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components of each culture medium in a short time, and thus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optimum culture medium constituents.

또한 각각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의 배지공급부(101)를 통해 공급되는 배양배지에 각각 상이한 약물을 주입할 경우, 각각의 약물에 대한 털 조직의 반응을 병렬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실험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하기에 보다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different drug is injected into the culture medium supplied through the medium supply unit 101 of each microfluidic device 10, the reaction of the hair tissue with respect to each drug can be observed in parallel, Efficiency and accuracy can be improv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험 예시를 통하여 설명한다. 실험 예시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험 예시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The experimental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실험 예시 1. 털 조직의 배양Experimental Example 1. Culture of hair tissue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를 준비하고 털 조직 배양을 위한 배양배지를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의 배지공급부(101)를 통해 주입하여 배지공급부(101), 제1 채널(108), 제2 채널(102) 및 조직배양공간(100)에 배양 배지를 채운다. 그리고 나서 동물의 피부에서 모낭을 포함한 털 조직을 채취한다. 핀셋으로 채취된 털 조직을 잡고 조직배양공간 입구(103)를 통해 털 조직의 모낭만 밀어 넣는데, 이때 관통홀(109) 주변의 슬릿(104)을 벌려 밀어 넣게 되고, 밀어 넣은 후 핀셋을 빼면 벌어진 슬릿(104)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게 된다. The microfluidic device 10 is prepared and the culture medium for hair tissue culture is injected through the medium feeding part 101 of the microfluidic device 10 to form the medium feeding part 101, the first channel 108, The channel 102 and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are filled with the culture medium. Then, hair tissue including hair follicles is collected from the skin of the animal. The hair tissue collected by the tweezers is held, and only the hair follicle of the hair tissue is pushed through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At this time, the slit 104 around the through hole 109 is pushed in, The slit 10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by the elastic force.

그 결과 털 조직의 모낭은 조직배양공간(100)의 내부에, 털 조직의 털 부분은 조직배양공간 입구(103)의 관통홀(109)을 통해 외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되고, 이후 털 부분은 조직배양공간(10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생장하여, 향후 털 부분의 생장 길이 측정이 용이해 진다(도 5 참조). As a result, hair follicles of the hair tissue can be located inside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the hair portion of the hair tissue can be located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09 of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It gr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and it becomes easy to measure the growth length of the hair part in the future (refer to Fig. 5).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는, 탄성력이 좋은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개폐판(107)에 형성된 관통홀(109)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슬릿(104)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슬릿(104)을 살짝 밀면 관통홀(109)이 원래의 크기 보다 더 크게 열리고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 크기로 다시 원복 될 수 있다. 따라서 털 조직을 조직배양공간(100)에 주입시킬 때도 용이하며, 조직배양공간(100)에 들어간 털 조직을 나중에 손쉽게 수거 할 수도 있다. The microfluidic device 10 can form at least one slit 104 around the through hole 109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7 made of a thin film having good elastic force. When the slit 104 is slightly pushed, the through hole 109 is opened larger than the original size, and if it is released, it can be rewound back to its original size by the elastic force. Therefore, hair tissue can be easily injected into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and the hair tissue that has entered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can be easily collected later.

배양배지를 교환할 때는 배지공급부(101)의 배양배지를 제거하고 신선한 배양배지를 배지공급부(101)에 채워주면 제1 채널(108) 및/또는 제2 채널(102)을 통해 이와 연결된 조직배양공간(100)까지 신선한 배지를 제공해 줄 수 있다. When the culture medium is exchanged, the culture medium of the culture medium supply part 101 is removed and a fresh culture medium is filled in the culture medium supply part 101, so that the tissue culture connected thereto via the first channel 108 and / or the second channel 102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esh medium up to the space (100).

실험 예시 2. 배양된 털 조직에 대한 털 길이 측정Experimental Example 2. Hair length measurement on cultured hair tissue

실험 예시 1에 따라 털 조직을 배양하고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를 측면에서 관찰하면 조직의 털 부분만 조직배양공간 입구(103)의 관통홀(109)을 통해 위로 올라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 내지 도 5 참조). 사진 촬영과 같은 이미징 기법을 통해 자라나온 털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It can be confirmed that only the hair portion of the tissue ri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09 of the tissue culture space inlet 103 when the hair tissue is cultured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and the microfluidic device 10 is observed from the side 3 to 5). Imaging techniques such as photographing can be used to measure the length of hair growth.

또한 도 6과 같이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가 조직배양공간(100)의 측면에 눈금자(105)를 가지고 있는 경우, 사진 촬영 후 털의 생장 길이 확인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의 측면에서 사진 촬영 후 촬영된 사진에서 생장한 털의 끝부분과 눈금자(105)의 눈금을 비교하면 보다 정밀한 털 길이 측정도 가능하고, 측정 데이터가 소실되어도 사진만으로 털 생장 길이를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다시 데이터를 손쉽게 복구할 수 있다.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microfluidic device 10 has the scale 105 on the side of the tissue culture space 100 as shown in FIG. 6,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confirm the growth length of hair after photographing. In other words, by comparing the scale of the ruler 105 with the end of the hair grown in the photograph taken after taking a picture from the side of the microfluidic device 10,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hair length more precisely, and even if the measurement data is lost, Since the length of hair growth is easy to see, it is easy to recover data again.

도 7과 같이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를 여러 개 병렬로 배치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시스템(1000)에서 각각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의 배지공급부(101)를 통해 전달되는 배양배지의 조성을 다르게 한다면 배양배지 조성에 따른 털 조직의 생장 차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우수한 배양배지 조성을 스크리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omposition of the culture medium transferred through the culture medium supply unit 101 of each microfluidic device 10 in the microfluidic device system 1000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fluidic devices 10 are arranged in parallel Otherwis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growth of the hair tissu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culture medium, and thereby, a better culture medium composition can be screened.

실험 예시 3. Experimental Example 3. 배양 된Cultured 털 조직에 대한 약물 스크리닝 Drug screening for hair tissue

실험 예시 1에 따라 털 조직을 배양한 후 배지공급부(101)를 통해 전달되는 배양배지에 약물을 희석하여 사용한다면, 하나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 내에 동일한 배지공급부(101)를 공유하는 다수의 조직배양공간(100)들을 이용하여 약물에 대한 털 조직의 반응을 평가할 수 있다. 이렇게 할 경우 동시에 다수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f the hair is cultured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and then the drug is diluted in the culture medium delivered through the culture medium supply unit 101, it is 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microfluidic devices 10 sharing the same medium supply unit 101 The tissue culture space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evaluate the response of the hair tissue to the drug. This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a large number of data at the same time.

또한 도 7과 같이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를 여러 개 병렬로 배치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시스템(1000)에서 각각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10)의 배지공급부(101)를 통해 서로 다른 약물을 희석하여 배양배지에 투여하여 조직배양공간(100)에 전달하여 각각의 약물에 대한 털 조직의 유의미한 반응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7, in the microfluidic device system 1000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fluidic devices 10 are arranged in parallel, different drugs are diluted through the medium feeder 101 of each microfluidic device 10 And then transferred to the culture medium 100 to obtain meaningful reaction data of the hair tissue for each dru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3)

모낭 및 상기 모낭에 결합되는 털을 포함하는 털 조직을 배양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로서,
몸체;
상기 몸체 내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배지(培地) 및 콜라겐 젤이 적어도 일부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직배양공간; 및
상기 조직배양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을 관통하는 조직배양공간 입구;
상기 조직배양공간 입구에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개폐판,
을 포함하며,
상기 모낭은 상기 조직배양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털은 상기 조직배양공간 입구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A microfluidic device for culturing a hair tissue comprising a hair follicle and hair bonded to the hair follicle,
Body;
At least one tissue culture sp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the tissue culture space being at least partially filled with a culture medium and a collagen gel; And
A tissue culture space inlet connected to the tissue culture space and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body;
An opening / closing plate provided at an inlet of the tissue culture space and having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thereof,
/ RTI >
Wherein the hair follicle is located within the tissue culture space and the hair is disposed through a through hole at the tissue culture space entran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조절 가능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is adjustab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상기 관통홀의 주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plate includes at least one slit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크기는 상기 슬릿의 벌어짐과 닫힘에 의해 조절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is adjusted by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탄성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en / close plate comprises an elastic materi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최소 폭은 상기 털의 직경 대비 같거나 큰,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minimum width of the through ho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diameter of the hai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물질은 폴리머 소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lastic material comprises a polymeric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직배양공간으로 상기 배지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지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medium supply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for supplying the medium to the at least one tissue culture spa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공급부와 상기 배지공급부와 인접한 조직배양공간을 연결하는 제1 채널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first channel connecting the culture medium supply section and the tissue culture space adjacent to the medium supply sec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조직배양공간을 연결하는 제2 채널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econd channel connecting a pair of tissue culture spaces adjacent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s made of at least a part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부착된 눈금자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cale attached to a side of the body.
KR1020170018128A 2017-02-09 2017-02-09 Microfluidic device KR101899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128A KR101899094B1 (en) 2017-02-09 2017-02-09 Microfluid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128A KR101899094B1 (en) 2017-02-09 2017-02-09 Microfluid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449A KR20180092449A (en) 2018-08-20
KR101899094B1 true KR101899094B1 (en) 2018-09-14

Family

ID=6344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128A KR101899094B1 (en) 2017-02-09 2017-02-09 Microfluid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094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656A (en) * 2007-01-31 2008-08-05 주식회사 에버브릿지 Method for culturing human hair follicle component cells, method for manufacturing bioartificial skin, and method for in vitro induction of hair structure using the cultured hair follicle component cells
KR101118087B1 (en) * 2009-10-30 2012-03-09 (주)나비바이오텍 Lab-on-a-chip and Manfacturing Method and Cell Cultivation Method for Cell Cultivation and Observation Using Transparency Macromolecule Material
KR101201939B1 (en) * 2010-07-29 2012-11-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icrofluidic platform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lka Wagner et.al., Skin and hair on-a-chip:~, Lab Chip, pp.3555-3561(2013.05.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449A (en)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3063B2 (en) Controlled electroporation and mass transfer across cell membranes in tissue
Squier The stretching of mouse skin in vivo: effect on epidermal proliferation and thickness
CN102124096A (en) Organ mimic device with microchannel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ing thereof
Horn et al. In vivo microdialysis for nonapeptides in rat brain—a practical guide
US20140094388A1 (en) Engineered Cardiac Tissues and Methods of Using Them
US20150132737A1 (en) System for keeping alive and transporting skin biopsies and applications of said system
CN107287151B (en) Method for constructing in-vitro skin test model containing melanocytes
Zapata et al. Microdialysis in rodents
KR101899094B1 (en) Microfluidic device
US11320349B2 (en) Spheroid tissue microarray and methods of manufacture
CN107326004A (en) Build the melanocyte and keratinocyte gas-liquid face culture medium of restructuring skin model
EP3940058A1 (en) Microfluidic system to control perfusion, diffusion and collection of molecules over long periods in an ex-vivo skin model
CN101392237A (en) Culture of tissue engineering skin and detection method of proliferation activity
KR101778153B1 (en) Method for estimating skin whitening effect of material using human skin melanization model
EP3620508B1 (en) Microfluidic device for electrical measurement and/or stimulation
KR102113778B1 (en) Myocardial-like structures prepared using porous supports method for evaluating drug toxicity using the same
Chu et al. Custom-built tools for the study of deer antler biology
CN104094117A (en) Process for evaluating active agent(s) capable of preserving the functionality of epithelial stem cells
JP6647693B2 (en) How to observe keratinocytes
KR101621288B1 (en) Apparatus for simulating artificial wounded skin and method for simulating artificial wounded skin using thereof
KR10232150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3D artificial skin with wound and 3D artificial skin with wound
Yip et al. Role of dermal fibroblasts in rat skin tissue biomechanics
KR202400175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lturing artificial skin
KR102542887B1 (en) Model mimicking human skin and alternative to animal testing method for estimating irritation for Human skin using the same
KR20240014423A (en) Organ-on-a-chips with inverted-microweir structures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