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085B1 - Collaboration method for scenario creation and system - Google Patents

Collaboration method for scenario creation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085B1
KR101899085B1 KR1020170012788A KR20170012788A KR101899085B1 KR 101899085 B1 KR101899085 B1 KR 101899085B1 KR 1020170012788 A KR1020170012788 A KR 1020170012788A KR 20170012788 A KR20170012788 A KR 20170012788A KR 101899085 B1 KR101899085 B1 KR 10189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t
user equipment
shot data
service server
collab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7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8118A (en
Inventor
권기룡
이혜주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2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085B1/en
Publication of KR2018008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0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8Techniques for file synchronisation in file systems
    • G06F17/3017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에 대한 것으로 서비스서버의 송수신부가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부터 샷데이터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Lock 상태 테이블이 Unlock 상태이면, 상기 서비스서버의 Lock관리부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의 샷보드부에 포함된 샷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Lock 상태 테이블을 Lock상태로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Lock 상태 테이블이 Lock 상태이면, 상기 서비스서버의 Lock관리부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의 협업보드부에 포함된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로부터 검토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의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가 상기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상기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와 상기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상기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매칭하여 상기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v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hot data request from a user equipment or another user equipment in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f a service server; When the lock status table is in the unlock status, the lock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table included in the shot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to the user equipment via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nd locks the lock status table The lock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included in the collaboration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to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ransmitting to the device; And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receive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from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Generates time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using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matches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with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

Description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 및 시스템{COLLABORATION METHOD FOR SCENARIO CREATION AND SYSTEM}[0001] COLORABORATION METHOD FOR SCENARIO CREATION AND SYSTEM [0002]

본 발명은 공동 저작방법과 관련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utho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nd system.

YouTube와 같이 사용자들이 제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을 위한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어 영상 콘텐츠 제작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 하고 있다. Demand for video content creation is also increasing, as services such as YouTube are being widely used to provide content that is produced by users.

인터넷 상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텍스트를 비디오나 이미 지로 변환하는 Wibbitz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Article Video Robot' 서비스등이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인터넷 상의 기사를 텍스트-비디오 변환(text-to-video) 기술로 기사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관련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To effectively utilize content on the Internet, Wibbitz provides services such as text and video, and 'Article Video Robot' services. These services provide service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content by analyzing the text of an article with text-to-video technology and using related video, audio, and images.

이러한 서비스는 기사와 같은 문자 위주의 콘텐츠보다 비디오와 같은 콘텐츠가 보다 직관적으로 내용을 이해하기 쉬우며, 무엇보다 인터넷 상의 기사의 내용이 변경되었을 때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재생성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있다. These services focus on the fact that content such as video is more intuitive to understand than text-based content such as articles, and most of all, when content on the Internet is changed, content can be efficiently reproduced have.

이러한 텍스트-비디오 변환(text-to-video) 또는 비디오-텍스트 변환(video-to-text) 기술은 텍스트를 분석하여 관련 비디오를 검색하거나 비디오에 포함된 객체, 움직임 등을 분석하여 이를 비디오에 대한 설명(description)을 부가하거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다. These text-to-video or video-to-text technologies analyze text to search for related videos, analyze objects included in the video, movements, Description is added, or data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is analyzed and utilized to utilize it.

즉, 텍스트 또는 비디오 어느 하나의 저작물이 다른 형태의 저작물로 재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터넷 상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텍스트의 저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관련한 콘텐츠 수집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으며, 이 같은 작업은 단일의 작업자에 의하기 보다, 다수의 작업자에 의하여 협업이 이루어질 때 더욱 양질의 콘텐츠가 생산될 수 있을 것이다. In other words, any one piece of text or video can be reproduced as a different type of work. From this viewpoint,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the contents on the Internet,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author text and to collect contents related to the text. Such work i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workers rather than by a single worker The better quality content will be produced.

한편, 여러 사용자들이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협업을 통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협업 시스템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협업 시스템에서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써 작업 수행 시 사용자들이 필요한 데이터의 공유 기능으로 일반적으로 파일 기반으로 데이터를 공유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대표적인 툴로써 파일 동기화 툴, Subversion과 같은 버전 콘트롤 툴, 분산 파일시스템, 인터넷 상의 미러(mirror)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various collaborative systems are provided for performing tasks through collaborations when a plurality of users execute a project.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in this collaborative system is that users generally share the data on a file basis with the necessary data sharing function. Such representative tools include file synchronization tools, version control tools such as Subversion, distributed file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irror sites on the Internet.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수 사용자들은 서로 동일한 내용의 시나리오를 공유하면서 협업 처리를 수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시나리오 공유 및 동기화를 수행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파일 공유 및 동기화를 위한 방법으로 크게 Lock-modify-unlock 기법과 copy-modify-merge 기법이 사용된다.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users share the same scenarios and perform collaborative processing.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 scenario sharing and synchronization should be performed. Generally, a method for sharing and synchronizing files is a lock-modify- The copy-modify-merge technique is used.

도 1은 종래 Lock-modify-unlock 방식에 의한 협업처리 방식을 나타낸다. Lock-modify-unlock는 사용자가 작업 중인 경우 나머지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없도록 파일에 한 접근권한을 "Lock 상태"로 설정하고, 수정 작업이 완료되면 파일에 대한 접근권한을 "Unlock 상태"로 설정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권한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FIG. 1 shows a conventional collaborative processing method by a lock-modify-unlock method. Lock-modify-unlock sets the access permission to the file to "Locked" so that other users can not access it when the user is working, and when the modification is completed, sets the access permission to the file to "Unlocked" It is a way to grant permissions to other users.

도 2는 종래 Copy-modify-merge 방식에 의한 협업처리 방식을 나타낸다. Copy-modify-merge 방식은 Lock-modify-unlock 방식과 달리 사용자들이 자신의 로컬에 저장된 복사본(copy)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작업을 수행한 후(modify) 서버의 저장소에 저장할 때 변경여부에 따라 수정된 부분을 병합(merger)하도록 한다. 이때 다른 사용자들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중복 수정(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 간에 조정이 필요하다. FIG. 2 shows a conventional collaborative processing method based on the Copy-modify-merge method. Unlike the Lock-modify-unlock method, the Copy-modify-merge method allows users to freely perform operations using a copy stored locally and store them in the repository of the server. To merge the parts. In this case, if other users make duplicate corrections (collisions) on the same part, coordination between users is required.

즉, Copy-modify-merger 방식은 Lock-modify-unlock 방식에 비해 사용자들의 작업 자유도가 높지만, 충돌에 대한 문제에 대해 빈번하게 발생되지 않는 상황으로 가정한 것이다. 그러나 영상 제작에 필요한 협업 시나리오 저작 시에는 다수의 사용자가 샷을 기본 단위로 협업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경우, 충돌 문제는 매우 빈번하게 발생 가능하다. That is, the Copy-modify-merger method is assumed to be a situation in which users are more free to work than the lock-modify-unlock method but do not frequently encounter conflicts. However, when authoring collaborative scenarios necessary for video production, collision problems can occur very frequently when a plurality of users create collaboration scenarios based on shots.

따라서 Copy-modify-merge 방식에 의해 동일 샷의 중복 수정을 해결하고 다수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샷에 대한 협업 처리를 할 수 있는 시나리오 관리를 위한 시나리오 공유 및 동기화 방식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cenario sharing and synchronization method for scenario management in which duplicate modification of the same shot is solved by Copy-modify-merge method and multiple participants can freely perform collaboration processing on the sho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은 다수 사용자들이 협업으로 스토리를 창작하고자 할 때 기존의 데이터 공유 및 동기화를 위한 "Lock-modify-unlock"이나 "Copy-modify-merge" 기술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시나리오를 공유하고 동기화할 필요가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 사용자들이 협업으로 스토리를 창작하기 위해 사용자간에 스토리를 기술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공동으로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로컬 시스템(사용자기기)에서 자유롭게 시나리오를 편집하고 동기화 하여 효율적으로 시나리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Lock-modify-unlock " or" Copy-modify-merge "technique for existing data sharing and synchronization when a plurality of users want to create a story by collaboration In order to solve a problem in which a scenario needs to be shared and synchronized, a plurality of users collaboratively edit scenarios for describing a story among users to collaboratively create a story, ) To edit and synchronize scenarios freely to create and manage scenarios efficiently.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은, 서비스서버의 송수신부가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부터 샷데이터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Lock 상태 테이블이 Unlock 상태이면, 상기 서비스서버의 Lock관리부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의 샷보드부에 포함된 샷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Lock 상태 테이블을 Lock상태로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Lock 상태 테이블이 Lock 상태이면, 상기 서비스서버의 Lock관리부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의 협업보드부에 포함된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로부터 검토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의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가 상기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상기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와 상기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상기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매칭하여 상기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v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hot data request from a user equipment or another user equipment; When the lock status table is in the unlock status, the lock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table included in the shot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to the user equipment via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nd locks the lock status table The lock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included in the collaboration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to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ransmitting to the device; And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receive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from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Generates time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using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matches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with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

또한, 상기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시간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시간정보 보다 나중에 생성된 정보인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에 상기 매칭된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f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requests and receives the time stamp table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and confirms that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later than the time stamp table tim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And transmitting the matching review request shot data or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to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또한,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사용자기기로부터 최종확인요청에 따른 최종샷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ock관리부가 상기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를 통하여 상기 최종샷데이터를 상기 샷테이블에 저장하고, 상기 Lock 상태 테이블을 Unlock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receives the final shot data according to the final confirmation request from the user equipment, the lock management unit stores the final shot data in the shot table through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And changing the state to a state.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시스템은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부터 통신가능하도록 구비된 송수신부; 서비스서버의 Lock상태 테이블의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의 샷보드부에 포함된 샷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 또는 상기 서비스서버의 협업보드부에 포함된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로 송신하도록 구비된 Lock관리부; 및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로부터 검토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상기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와 상기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상기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매칭하여 상기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하는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ve system comprising: a transceiver configured to communicate from a user equipment or another user equipment; Changes the state of the lock state table of the service server, and changes the state of the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table included in the shot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or the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included in the collaboration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A lock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data to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through the unit; And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receive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from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or receives the correction confirmation shot data, the control unit uses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of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And a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r for generating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and storing the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and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에 의하면 다수 사용자들이 협업으로 스토리를 창작하기 위해 사용자간에 스토리를 기술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공동으로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로컬 시스템에서 자유롭게 시나리오를 편집하고 동기화 하여 효율적으로 시나리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v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users jointly edit scenarios for describing a story among users in order to create a story by collaboration, the scenario is freely edited and synchronized in its own local system Scenarios can be created and managed efficientl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 Lock-modify-unlock 방식에 의한 협업처리 방식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Copy-modify-merge 방식에 의한 협업처리 방식을 나타낸다.
도 3은 사용자 정의 스토리 언어의 정형화된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다수 사용자간 시나리오 협업 처리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시스템과 사용자기기를 도시한 시스템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에 있어서 협업보드부의 역할에 대한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에 따른 검토 요청 시 시나리오 공유 및 동기화를 도시한 제1 예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에 따른 수정확인 요청 시 시나리오 공유 및 동기화를 도시한 제2 예시도이다.
FIG. 1 shows a conventional collaborative processing method by a lock-modify-unlock method.
FIG. 2 shows a conventional collaborative processing method based on the Copy-modify-merge method.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ormal structure of a user-defined story language.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cooperative processing method among multiple users.
5 is a system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system and a user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cept of a role of a collaboration board part in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irst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enario sharing and synchronization in a review request according to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sharing and synchronization when a modification confirmation request is made according to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Hereinafter, the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do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nly.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or "compris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not the exclusion of any other element . Also, the terms "... unit," " part, "or" module ", etc.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Software. ≪ / RTI >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function block or means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ub-components, and the electrical, electronic, and mechanical functions performed by the components may be electronic circuits, An integrated circuit, an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or the like,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two or more may be integrated into one.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f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the steps of the flowchart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edd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a special purpose computer, a portable notebook computer, a network computer,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 on-line game service provision serv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ose instructions, which are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data processing equipment as possible, will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s described below.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memory or in a computer readable memory available to a computer device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products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respective steps of the flowchart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onto a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process for performing a series of operating steps on a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be created to determine each block and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Fig.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라고 함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게임기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기는 해독 가능한 코드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읽어 들일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equipment means all the calculation means capable of collecting, reading, processing, processing, storing, and displaying data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smart phone, a PDA, a mobile phone, do. In particular, the user equipmen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written in a readable code, and has a function of displaying and transmitting the software to a user. In addition, the software may be stored on its own if necessary, or may be read with data from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기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 뿐 아니라 입력, 출력, 저장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USB, 통신 모뎀 등의 각종 요소들 뿐만 아니라 무선 스마트폰 단말기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칩, 메모리 칩, 사운드엔진, 스피커, 터치패드, USB 등의 외부 연결 단자, 통신 안테나, 3G, LTE, LTE-A, WiFi,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 또는 그 일부분들은 위와 같은 사용자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unctions such as input, output, and storage as well as the above-described data processing functions. For this purpose, a CPU, a main board, a graphic card, a hard disk, Such as a CPU, a main board, a graphic chip, a memory chip, a sound engine, a speaker, a touch pad, a USB, etc. of wireless smartphone terminals as well as various elements such as a sound card, a speaker, a keyboard, a mouse, a monitor,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antenna, a communication modem capable of implementing communication such as 3G, LTE, LTE-A, WiFi, Bluetooth, and the lik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various element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or a combination of the various elements may implement one or more functions, and may be embodied in one or more blocks in the drawings or in the description Portions thereof may mean that the various elements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user equipment may be singly or two or more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various elements may represent one or more function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 무인 사물함 등은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WCDMA, Wibro, WiFi, LTE, LTE-A, 유무선 전화망 등의 각종 네트워크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equipment, an unmanned locker, and the like may have a communication function. In order to realize a communication function, a wired Internet, a wireless Internet, an infrared communication, Bluetooth, WCDMA, Wibro, WiFi, , A wired / wireless telephone network,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ve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은 인터넷 상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만들고자 하는 콘텐츠의 스토리를 온라인으로 협업하여 작성하기 위해 다수 사용자간 협업 시나리오 작성을 위한 시나리오 공유 및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v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enario sharing and synchronization method for creating a collaboration scenario among a plurality of users in order to collaboratively create a story of contents to be created by a plurality of users using multimedia contents on the Internet .

도 3은 사용자 정의 스토리 언어의 정형화된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사용자 정의 스토리 표현 언어는 사용자가 만들고자 하는 콘텐츠(영상)에 대한 스토리와 콘텐츠에 부가할 수 있는 자막, 이미지 등과 같은 부가효과들을 기술할 수 있도록 XML과 같은 정형화된 표현 형식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수 사용자간들은 사용자 정의 스토리 표현 언어를 이용하여 내용을 공유하면서 콘텐츠의 스토리를 협업하여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정의 스토리 표현 언어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으로 만든 사람, 시놉시스, 트리트먼트, 그리고 실제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신(Scene), 그리고 신을 구성하는 샷(Shot)을 기술하는 기술자(descriptor)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샷에 대한 내용을 구성하는 Shot Description은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에 관해 기술한다(5W1H).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ormal structure of a user-defined story language. A user-defined story expression language provides a formal expression format such as XML to describe a story about a content (image) to be created by a user and additional effects such as a caption and an image that can be added to the content, Allows users to collaboratively create stories of content while sharing content using a user-defined story expression language. Referring to FIG. 3, a descriptor describing a person, a synopsis, a treatment, a scene composing a real scenario, and a shot constituting a scene descriptor). Particularly, the Shot Description which constitutes the content of the shot describes who, when, where, what, why and how (5W1H).

도 4는 다수 사용자간 시나리오 협업 처리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표 1은 다수의 사용자가 협업 시나리오를 작성함에 있어서 원활한 의사 결정을 위한 참여자의 역할 구분을 예시하였다.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cooperation process among a plurality of users. Table 1 illustrates a role classification of a participant for smooth decision making when a plurality of users create a collaboration scenario.

사용자 정의 스토리 협업을 위한 작업은 3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표 1을 참고하면, 협업을 위한 오픈 시나리오 생성과 전체 줄거리를 위한 간단한 시놉시스 및 협업 참여자 등록 등의 과정을 수행하는 사전작업, 그리고 협업 참여자들에 의해 스토리 및 샷의 구성, 효과 등을 추가하는 협업작업, 그리고 재생타임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콘텐츠를 보고 수정하는 후반작업으로 분류될 수 있다. Work for user-defined story collaboration consists of three steps. Referring to FIG. 4 and Table 1, it is assumed that an open scenario for collaborative work, a preliminary task for performing a process such as simple synopsis and registration of a collaborator for a whole plot, and composition and effect of a story and a shot by collaborators A collaborative task to be added, and a post-production task that generates playback time and view and modify the contents generated based on the collaboration time.

구분division 내용Contents 타사용자(Staff)Other users 협업 오픈 시나리오의 참여자로 등록하여 줄거리에서부터 효과 설정 등의 모든 작업에 협업자로 참여Registered as a participant in collaborative open scenarios, participating as a collaborator in all tasks such as setting up effects from storyline 사용자(Director)User 시나리오 협업 작업을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최초 협업 오픈 시나리오 생성자이며 간략한 스토리를 구성(시놉시스 기반)하고 최종 시나리오를 확정하는 주관자Scenario It is the first collaborative open scenario creator who plays the role of supervising the collaboration work. It is composed of a brief story (synopsis based) and the final scenario

단계step 내용Contents 담당역할Responsible role 협업형 오픈시나리오 생성Create Collaborative Open Scenario 오픈시나리오의 생성 및 등록
시나리오ID 생성
Creating and registering open scenarios
Generate scenario ID
사용자user
시놉시스 작성Write Synopsis 간략한 전체줄거리의 작성
글의 주제, 동기 등도 작성
Creating a Brief Plot
Create topics, motives, etc.
사용자user
협업 참여자의 등록Registration of collaborators 시놉시스 등을 보고 협업 오픈시나리오 참여자로 등록
참여자는 타사용자로 역할
Became a participant in a collaborative open scenario by looking at synopsis
Participants serve as other users
타사용자Other users
트리트먼트/신의 내용작성Create treatment / god content 신(샷)의 줄거리를 작성(서술적 기술)Create plot of new (shot) (narrative technique) 사용자/타사용자User / Other User 샷의 구성 작성Create a composition of shots 줄거리에 기반하여 샷의 구성을 기술
샷의 구성은 5W1H와 샷을 구성하는 객체(시각적, 청각적, 텍스트 객체)를 기술
Describe the composition of the shot based on plot
The composition of the shot is to describe the objects (visual, auditory, text objects) that make up the 5W1H and the shot
사용자/타사용자User / Other User
샷의 효과 작성Create effect for shot 샷에 적용할 효과(객체의 추가, 화면효과 등) 설정 및 콘텐츠 검색Set the effects (such as adding objects, screen effects, etc.) to apply to the shot and search for content 사용자/타사용자User / Other User 재생 타임라인 생성Create playback timeline 재생 타임라인을 위한 TLS 생성Create TLS for playback timeline 사용자user 재생 타임라인 수정Edit playback timeline 콘텐츠 재생 및 수정Play and edit content 사용자/타사용자User / Other User

시나리오 협업 처리의 단계별 주요 처리는 표2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 제작의 기본이 되는 시나리오는 일반적으로 신(Scene)을 단위로 작성되며, 작성된 신을 기반으로 영상감독은 해당 신을 구성하기 위한 샷을 촬영하고 이를 편집하여 전체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The main processing steps of the scenario collaborative processing are as shown in Table 2. The scenarios that are the basis of video production are generally made up of scenes. Based on the scene, the video director can shoot the shots for composing the scenes and edit them to produce the entire image.

이와 같은 과정을 다수 사용자간 협업 시나리오 시스템에 적용하면 협업 처리의 기본 단위는 "샷"으로 처리되며,"샷"에 대한 내용(줄거리, 샷의 시퀀스, 샷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해 각 참여자들이 협업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is process is applied to a multi-user collaborative scenario system, the basic unit of collaborative processing is processed as "shots", and the contents of the "shots" (plot, sequence of shots, composition of shots and effects) Collaboration can be performed.

이하, 도 5 내지 도 9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scenar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시스템과 사용자기기를 도시한 시스템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의 순서도이다.FIG. 5 is a system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system and a user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of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에 있어서 협업보드부의 역할에 대한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에 따른 검토 요청 시 시나리오 공유 및 동기화를 도시한 제1 예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에 따른 최종확인 요청 시 시나리오 공유 및 동기화를 도시한 제2 예시도이다.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the role of the collaboration board part in the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ond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enario sharing and synchronization in a final confirmation request according to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v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시스템은 송수신부, 시나리오동기화관리부, Lock관리부, 샷보드부, 협업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a lock management unit, a shot board unit, and a collaboration board unit.

송수신부는 서비스서버와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 사이에 유무선 방식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may be provided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service server and a user equipment or another user equipment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Lock관리부는 서비스서버의 Lock상태 테이블을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서비스서버의 샷보드부에 포함된 샷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 또는 서비스서버의 협업보드부에 포함된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를 송수신부를 통하여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 송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lock management unit is provided to change the state of the lock state table of the service server. And may transmit the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table included in the shot board portion of the service server or the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included in the collaboration board portion of the service server to the user device or another user device through the transmission / have.

샷보드부는 샷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샷테이블이 구비될 수 있다. 샷보드부는 Lock상태테이블이 Unlock상태에 있는 경우, 협업보드부로부터 데이터가 업로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hot board may be provided with a shot table in which shot data can be stored. The shot board unit may be provided to upload data from the collaboration board unit when the lock state table is in the unlock state.

협업보드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에 있어서, 협업상태에 놓인 상황하에서 샷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의 검토요청, 수정확인요청 등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Lock상태 테이블이 Lock상태에 있는 경우 데이터의 업로드가 이루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the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v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aboration board unit may be configured to store data such as a review request, a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etc. of a user device or another user device to shot data under a situation where the user is in a collaborative state And may be provided to upload data when the lock status table is in a locked state.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는 송수신부가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부터 검토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고, 서비스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와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매칭하여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receive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from the user equipment or other user equipment or receives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transmit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to the service server The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and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may be matched and stored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업 협업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cenario oper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서비스서버의 송수신부가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부터 샷데이터요청을 수신한다(S110).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는 최초 지시 여부 등에 따라 구별되는 사용자(Director) 또는 타사용자(Staff)가 사용하는 기기에 대응될 수 있다. Firs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f the service server receives a shot data request from the user equipment or another user equipment (S110).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may correspond to a device used by a user or a staff member distinguish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user equipment is initially instructed.

다음으로, Lock 상태 테이블이 Unlock 상태이면, 서비스서버의 Lock관리부가 송수신부를 통하여 서비스서버의 샷보드부에 포함된 샷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를 사용자기기로 송신하고 Lock 상태 테이블을 Lock상태로 변경하거나, 또는 Lock 상태 테이블이 Lock 상태이면, 서비스서버의 Lock관리부가 송수신부를 통하여 서비스서버의 협업보드부에 포함된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를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20).Next, when the lock status table is in the unlocked state, the lock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table included in the shot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to the user equipment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nd changes the lock status table to the lock status The lock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included in the collaboration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to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S120).

사용자기기로부터 최초로 샷데이터요청이 수신되는 경우라면, Lock 테이블은 Unlock 상태에서 Lock 상태로 변경되며, 샷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가 사용자(Director)로 송신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기기를 통하여 수신한 상기 샷데이터를 편집 또는 가공할 수 있게 된다.If the shot data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for the first time, the lock table is changed from the unlock state to the lock state, the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table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he shot data can be edited or processed.

Lock테이블이 Lock상태에 놓이게 되는 경우라면, 사용자 또는 타사용자기기로부터 샷데이터요청이 있는 경우에, 협업보드부의 샷협업작업테이블에 포함된 샷데이터가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타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있더라도 샷보드부의 샷테이블에 업로드 될 수 없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hot data included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of the collaboration board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equipment or another user equipment when a user requests a shot data from the user or another user equipment, Even if there is data transmission by a user or another user, it can not be uploaded to the shot table of the shot board unit.

Lock 상태 테이블이 Lock 상태이면, 서비스서버의 Lock관리부가 송수신부를 통하여 서비스서버의 협업보드부에 포함된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를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 송신함으로써 협업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When the lock state table is in the locked state, the lock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included in the collaboration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to the user equipment or other user equipment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do.

다음으로, 송수신부가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부터 검토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의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가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고, 서비스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와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매칭하여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S130).Next,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receive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from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or receives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The step of generating the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using th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by matching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S130) .

사용자기기로부터 검토요청 샷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검토요청 샷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로 생성하고, 해당 샷데이터를 샷헙업작업테이블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검토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When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equipment,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is generated as the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using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shot data is stored in the shot up work table, The request can be made.

타사용자는 검토요청 샷데이터를 수정하고 수정확인요청을 하게 되는데,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가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는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서비스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에 매칭된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또다른 타사용자의 검토, 편집을 위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other user modifie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and requests a correction confirmation.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updates the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us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matched with the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updated service server is stored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so that it can be in a state for review or editing by the user or another user.

상기 방법에 의하면, 샷데이터의 검토요청 또는 수정확인요청 등이 있는 경우에, 실시간으로 타임스템프 테이블 정보가 갱신되며 협업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협업보드부에 포함된 샷협업작업테이블에만 샷데이터가 갱신되면서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review or confirmation of correction of shot data, the timestamp table information is updated in real time, and until the collaboration is completed, the shot data is updated only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included in the collaboration board So that collaboration can be achie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은 상기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시간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시간정보 보다 나중에 생성된 정보인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에 상기 매칭된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in which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requests and receives time stamp table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and transmits the time stamp table tim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matching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to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later.

시나리오동기화관리부는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에 타임스탬프 테이블 시간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비교함으로써 가장 최신의 샷데이터가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 송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의 별도의 조작이 없더라도 협업상태에 놓여있는 경우 샷데이터가 자동으로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 전송되어 검토 또는 수정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may request time stamp table time information from a user device or another user device, receive and compare the time stamp table time information, and allow the latest shot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or another user device. Accordingly, when the user equipment or other user equipment is in a collaborative state without any other operation, the shot data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user equipment or another user equipment so that review or correction can be mad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은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사용자기기로부터 최종확인요청에 따른 최종샷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ock관리부가 상기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를 통하여 상기 최종샷데이터를 상기 샷테이블에 저장하고, 상기 Lock 상태 테이블을 Unlock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v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receives the final shot data according to the final confirmation request from the user equipment, the lock management unit notifies the final shot data through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And a step of changing the lock state table to an unlock state.

사용자(Director)는 최종적으로 수정요청에 대한 확인 및 수정을 하게될 수 있고, 최종확인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서비스서버의 Lock관리부가 협업이 중단된 것으로 보아 Lock 상태 테이블을 Unlock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이 경우, 업로드 되는 샷데이터는 샷보드부에 구비된 샷테이블의 데이터에 해당하게 될 수 있다.After the final confirmation is made, the lock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changes the lock status table to the unlock status because the collaboration is interrupted. In this case, the shot data to be uploaded may correspond to the data of the shot table provided in the shot board unit.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에 있어서 협업보드부의 역할에 대한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cept of a role of a collaboration board part in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① 사용자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1
(Director)이 샷(샷데이터)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2
대해 스토리(5W1H)를 작성하여 “검토요청(Review)”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3
을 협업보드를 통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요청한다. ① User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1
(Director) This shot (shot data)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2
Write a story (5W1H) for "Review"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3
To other users through the collaboration board.

② 사용자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4
,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5
(Staffs)이 협업 보드에 검토요청된 샷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6
에 대해 검토하여 각각 “수정확인(Modify)”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7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8
을 협업보드를 통하여 통지한다. ② User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4
,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5
(Staffs) Shot requested to review on this collaboration board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6
And "Modify", respectively,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7
and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8
Through the collaboration board.

③ 사용자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9
이 각각 사용자에 의해 수정 되어진 협업 내용을 보고 통합하여 최종 내용으로 확정하는 “최종확인(Merge)”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0
을 협업보드에 통하여 전체 사용자들에게 알린다. 이때 최종 내용을 확정하는 사용자는 ‘Director'로 사용자 역할이 할당된 사용자이다.③ User
Figure 112017009556614-pat00009
A " final confirmation " (see " final confirmation "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0
To all users through the collaboration board. At this time, the user who confirms the final contents is the user to which the user role is assigned as 'Director'.

협업보드(부)는 협업 참여 사용자 관리, 협업 처리 작업 흐름 제어, 협업 데이터 관리 등이 포함할 수 있다. 협업보드에 사용자들이 편집한 샷의 작업들을 구조화 시켜 저장하여 둠으로써 참여자들은 샷의 최신 편집 내용들을 공유하고 이전의 편집 내용들을 참조할 수 있게 된다.Collaboration boards (parts) can include collaborative user management, collaborative processing workflow control, and collaboration data management. By organizing and storing the tasks of the users' edited shots on the collaboration board, participants can share the latest edits of the shots and reference previous edits.

협업 보드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편집하는 협업 시나리오 언어를 서로 공유하여 작업하기 위해 사용자들간 시나리오 공유 및 동기화 방법이 이루어지는데,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를 도 8 및 도 9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A scenario sharing and synchronization method between users is performed in order to share and collaborate on a collaboration scenario language to be edited by a plurality of users by using a collaboration board.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see.

우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에 따른 검토 요청 시 시나리오 공유 및 동기화를 도시한 제1 예시도이다. FIG. 8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sharing and synchronization in a review request according to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① 사용자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1
(Director)이 샷(샷데이터)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2
에 대해 로컬(사용자기기)에서 편집하고(시간 T1) 협업보드(협업보드부)에 구비된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업로드하여“검토요청(Review)”요청을 하면, Lock Manager(Lock관리부)는 샷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3
에 대해 lock상태로 변경하고 Scenario Sync. Manager(시나리오동기화관리부)는 타임스탬프 테이블 시간(정보)을 T에서 T1으로 변경한다. ① User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1
(Director) This shot (shot data)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2
(Lock management unit) issues a "Review Request" request by editing it in the local (user device) with respect to the user (user terminal) and uploading it to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provided at the collaboration board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3
Change to lock status for Scenario Sync. The Manager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r) changes the time stamp table time (information) from T to T1.

② 사용자기기와 서버의 Scenario Sync. Manager는 타임 스탬프 테이블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동기화를 수행한다. 사용자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4
(staff, 타사용자)의 Scenario Sync. Manager의 타임스탬프가 일치하지 않고 T1이 최근 시간이므로 샷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5
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를 수행한다.② Scenario Sync of user device and server. Manager performs synchronization by compar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time stamp table. user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4
(staff, other users) Scenario Sync. Because Manager's timestamp does not match and T1 is the most recent time,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5
Lt; / RTI >

③ 서버로부터 샷테이블의 내용을 가져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Lock 테이블의 Lock 상태를 검사한다. Lock 상태인 경우 해당 샷의 최신 내용은 현재 협업보드에 작업테이블에 있는 상태이므로 협업보드에 해당 샷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6
의 내용을 사용자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7
의 샷 테이블에 복사한다.(3) Check the lock status of the lock t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s of the shot table can be fetched from the server. If it is locked, the latest contents of the shot are in the work table on the current collaboration board,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6
The contents of the user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7
To the shot table.

④ 사용자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8
가 샷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9
에 대해 “수정확인(Modify)”을 요청하면(시간 T2), 샷의 Lock 상태를 검사하고“수정확인”된 내용을 작업테이블에 저장하고 타임스탬프 테이블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동기화를 수행한다.④ User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8
Autumn Shot
Figure 112017009556614-pat00019
(Time T2), the lock state of the shot is checked, the contents of the "correction confirmation" are stored in the work table, and the time stamp table time information is compared to perform synchronization.

다음으로,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에 따른 최종확인 요청 시 시나리오 공유 및 동기화를 도시한 제2 예시도이다. 사용자 또는 타사용자들이 협업 보드를 이용하여 최신 샷의 내용을 서로 공유하면서 협업 처리를 수행하고 최종 샷의 내용을 확정하는 “최종확인(Merge)”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9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scenario sharing and synchronization in a final confirmation request according to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or other users can perform a "final confirmation (Merge)" request to perform collaborative processing and determine the contents of the final shot by sharing contents of the latest shot using the collaboration board.

도 9을 참고하면; 9;

⑤ 사용자

Figure 112017009556614-pat00020
의 최종적으로 내용을 수정하여 “최종확인(Merge)” 요청하게 되고, 협업보드는 샷테이블의 내용을 수정된 샷 내용으로 변경하며, Lock Manager은 Lock 테이블의 Lock 상태를 Unlock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⑤ User
Figure 112017009556614-pat00020
, And the collaboration board changes the contents of the shot table to the contents of the modified shot, and the lock manager changes the lock state of the lock table to the unlock state.

⑥ 사용자 또는 타사용자기기와 서버의 시나리오 Sync. Manager는 타임스탬프 테이블을 비교하고 Lock 테이블의 Unlock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샷의 최신 내용은 협업보드가 아닌 샷테이블에 존재하게 되므로 샷테이블에서 로컬로 최신 샷의 내용을 전송하게 된다.⑥ Scenario Sync of user or other user device and server. The Manager can compare the timestamp table and check the unlock status of the lock table. At this time, since the latest contents of the shots exist in the shot table, not the collaboration board, the contents of the latest shot are transmitted locally in the shot table.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식에 의해 협업 시나리오를 자신의 로컬시스템에서 자유롭게 편집한 후에 이를 협업보드에 "검토 및 수정확인"을 요청함으로써 협업 사용자들이 편집한 협업 시나리오를 서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The collaborative scenario can be freely edited in its own local system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and then it is requested to "review and revise confirmation" on the collaboration board so that the collaboration scenarios edited by the collaboration users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서비스서버는 "샷"을 기본 단위로 공유하고 동기화하며 사용자들이 자신이 편집한 시나리오를 업로드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이 편집한 내용을 다운로드하여 가장 최근의 협업 시나리오 내용을 관리하기 위한 협업보드부, 각 샷에 대한 Lock 상태 테이블을 이용하여 협업 처리 상태임을 표시하여 샷의 협업 내용이 협업 보드부의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존재함을 표시하는 Lock 관리부, 그리고 각 샷에 대한 타임스탬프 테이블을 관리하여 서비스서버,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와 샷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시나리오동기화관리부를 이용하여 다수 사용자간 시나리오 공유 및 동기화를 수행하여 협업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server includes a collaboration board unit for sharing and synchronizing "shots" as a basic unit and for uploading scenarios edited by users or downloading edited contents of other users to manage contents of the latest collaboration scenario, A lock management unit for indicating that the collaboration contents of the shot are present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of the collaboration board unit by displaying the collaboration state using the lock state table for the shot, and managing the time stamp table for each shot, It is possible to share and synchronize scenarios among a plurality of users by using a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that synchronizes shots with user devices or other user devices to process collaborative tasks.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10: 서비스서버
111: 송수신부
112: 시나리오동기화관리부
113: Lock관리부
114: 협업보드부
115: 샷보드부
120: 사용자기기(타사용자기기)
121: 시나리오동기화관리부
122: 샷보드부
110: service server
111: Transmitting /
112: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113: Lock management section
114: Collaboration board part
115:
120: User device (other user device)
121: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r
122:

Claims (4)

서비스서버의 송수신부가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부터 샷데이터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Lock 상태 테이블이 Unlock 상태이면, 상기 서비스서버의 Lock관리부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의 샷보드부에 포함된 샷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Lock 상태 테이블을 Lock상태로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Lock 상태 테이블이 Lock 상태이면, 상기 서비스서버의 Lock관리부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의 협업보드부에 포함된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로부터 검토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의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가 상기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상기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와 상기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상기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매칭하여 상기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
Receiving a shot data request from a user equipment or another user equipment;
When the lock status table is in the unlock status, the lock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table included in the shot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to the user equipment via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hange,
Or if the lock state table is in the locked state, the lock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included in the collaboration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to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via the transmission / ; And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receive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from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or receives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Generates time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using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and stores the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and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in the shot collaboration job table ;
≪ RTI ID = 0.0 >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시간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시간정보 보다 나중에 생성된 정보인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에 상기 매칭된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requests and receives the time stamp table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nd confirms that it is information generated later than the time stamp table tim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And transmitting the matching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to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사용자기기로부터 최종확인요청에 따른 최종샷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ock관리부가 상기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를 통하여 상기 최종샷데이터를 상기 샷테이블에 저장하고, 상기 Lock 상태 테이블을 Unlock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작성 협업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receives final shot data from the user equipment in response to a final confirmation request, the lock management unit stores the final shot data in the shot table through the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 RTI ID = 0.0 > of: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on method.
사용자기기 또는 타사용자기기로부터 통신가능하도록 구비된 송수신부;
서비스서버의 Lock상태 테이블의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의 샷보드부에 포함된 샷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 또는 상기 서비스서버의 협업보드부에 포함된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된 샷데이터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로 송신하도록 구비된 Lock관리부; 및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기기로부터 검토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상기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의 타임스탬프 테이블 정보와 상기 검토요청 샷데이터 또는 상기 수정확인요청 샷데이터를 매칭하여 상기 샷협업작업테이블에 저장하는 시나리오동기화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작성 협업 시스템.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communicable from a user equipment or another user equipment;
Changes the state of the lock state table of the service server, and changes the state of the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table included in the shot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or the shot data stored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included in the collaboration board unit of the service server, A lock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data to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through the unit; And
Wherein,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receive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from the user equipment or the other user equipment or receives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A scenario synchronization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and storing the time stamp tabl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and the review request shot data or the correction confirmation request shot data in the shot collaboration work table;
A scenario creation collaborative system.
KR1020170012788A 2017-01-26 2017-01-26 Collaboration method for scenario creation and system KR1018990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788A KR101899085B1 (en) 2017-01-26 2017-01-26 Collaboration method for scenario creation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788A KR101899085B1 (en) 2017-01-26 2017-01-26 Collaboration method for scenario creation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118A KR20180088118A (en) 2018-08-03
KR101899085B1 true KR101899085B1 (en) 2018-09-14

Family

ID=6325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788A KR101899085B1 (en) 2017-01-26 2017-01-26 Collaboration method for scenario creation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085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2620B (en) * 2011-08-04 2014-11-26 无锡永中软件有限公司 Document cooper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118A (en)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2004B2 (en) Real time collaboration and document editing by multiple participants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82662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layered platform with recording and selective playback of content
US8464164B2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contextual dialogue
US20070198534A1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layered platform
US20110258526A1 (en) Web content annotation management web browser plug-in
US9639545B2 (en) Online binders
KR20140088123A (en) Real time document presentation data synchronization through generic service
CN111444139A (en) File manage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160225409A1 (en) System of automated script generation with integrated video production
US20230421515A1 (en) Messaging client application integrated with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N116324749A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an interaction model to control an interaction environment
US10956868B1 (en) Virtual reality collaborative workspace that is dynamically generated from a digital asset management workflow
WO20160714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sing multimedia document content across a plurality of devices
US20210125192A1 (en) Methods for monitoring communications channels and determining triggers and actions in role-based collaborative systems
CN106649728B (en) Film and video media ass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178196B2 (en) Collaboratively controlling display of information across multiple displays
KR101899085B1 (en) Collaboration method for scenario creation and system
CN110730386A (en) Remote collaborative video clipp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Avid software
US20210209239A1 (en) Electronic content layer creation with associated access and edit permissions
CN115935916A (en) Document auditing method, device,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CN117677982A (en) Shared augmented reality session for rendering video effects
KR101547013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roduction of contents based scenario
KR102018058B1 (en) Platform of sharing knowledge based on time line of the video
US20130054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management using network server
US10083313B2 (en) Remote modification of a document database by a mobile telephon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