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820B1 -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820B1
KR101898820B1 KR1020170155878A KR20170155878A KR101898820B1 KR 101898820 B1 KR101898820 B1 KR 101898820B1 KR 1020170155878 A KR1020170155878 A KR 1020170155878A KR 20170155878 A KR20170155878 A KR 20170155878A KR 101898820 B1 KR101898820 B1 KR 10189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image
mobile device
internet server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익
이희창
방창현
Original Assignee
최창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익 filed Critical 최창익
Priority to KR102017015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06F17/3086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06N99/00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본인의 프로필/명함 등을 전달하고자 하는 고객들에게 고화질의 사진/컨텐츠 기반의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이 편집, 확정 및 저장되도록 하는 백오피스 컴퓨터; 백오피스 컴퓨터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클라이언트 및 유저별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가 저장되며, 백오피스 컴퓨터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이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인터넷 서버; 인터넷 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인터넷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클릭하여 인터넷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자신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에 맞는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 및 인터넷 서버 및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로부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조회 또는 수신하면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클릭하여 인터넷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자신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에 맞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수신하는 유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Image business card servic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함은 종이 재질의 사각형 카드 형태로서 타인에게 자기의 성명, 주소, 연락처, 직업, 신분 등을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현재 대부분의 사람이 소지하는 필수품 중 하나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을 만나 명함을 교환하다 보면 수십 내지 수백 개의 명함을 보유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특정인의 명함을 찾으려는 경우 보유하고 있는 많은 명함을 일일이 검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분실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무선 데이터 통신망이 확충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의 보급이 증가하였으며, 스마트폰에서 구현하기 위한 게임, 사진 촬영 및 편집, 메신저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폰을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중의 하나로 명함 제작 및 관리 프로그램이 있다. 상기 명함 제작 및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 명함을 제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타인에게 송신함은 물론 타인의 전자 명함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쉽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현재 전자 명함은 단순히 전화번호, 자신의 이미지, 관련 문자 정도만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러한 전자 명함은 상대방의 주의를 끌지 못함은 물론 경우에 따라 스팸 메일로 취급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독특한 모바일 명함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홍보 및 광고 효과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6211호(2014.06.20.)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16370호(2001.03.05.)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8356호(2008.06.2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본인의 프로필/명함 등을 전달하고자 하는 고객들에게 고화질의 사진/컨텐츠 기반의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객 프로필 사진(대략 4K 내지 8K의 고화질 이미지), 고객 약력, 전화번호/이메일(링크 누르면 전화/이메일 연결), 고객 블로그, 홈페이지, 관련 기사 등(URL 링크), 고객 활동 사진/동영상/작품집 소개 자료(URL 링크) 등의 고객 정보를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을 통해 공유하면서도 전달하는 정보량을 최소화 함으로써, 고객의 스마트폰의 저장 용량을 소모하거나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의 제1이미지 명함이 편집, 확정 및 저장되도록 하는 백오피스 컴퓨터; 상기 백오피스 컴퓨터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클라이언트 및 유저별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백오피스 컴퓨터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1이미지 명함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인터넷 서버; 상기 인터넷 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클릭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자신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에 맞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제2이미지 명함을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 및 상기 인터넷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다운받으면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클릭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자신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에 맞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2이미지 명함을 수신하는 유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1이미지 명함은 사진, 이름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이미지 명함 정보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이메일을 통하여 전송되는 쇼트컷(shortcut)과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1이미지 명함의 해상도를 상기 제2이미지 명함의 해상도로 변환하는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를 상기 인터넷 서버에 미리 저장된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1이미지 명함을 실시간으로 상기 제2이미지 명함으로 변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은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를 상기 인터넷 서버에 미리 저장된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1이미지 명함을 실시간으로 상기 제2이미지 명함으로 변환하여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인터넷 서버에 미리 저장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및 유저별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는 모바일 기기 종류, 플랫폼, 스크린 크기, 종횡비, PPI(Pixel Per Inch) 및 DPI(Dot Per Inch)를 포함하는 해상도이고, 상기 통신망에는 키워드/이미지 도출 컴퓨터가 더 연결되고, 상기 키워드/이미지 도출 컴퓨터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웹(World Wide Web), SNS(Social Network Service) 및 개인 홈페이지를 포함하는 활동 자료를 웹크롤러(web crawler) 및 로봇(robot)을 이용하여 수집 및 취합하고, 상기 수집 및 취합된 상기 클라이언트의 활동 자료를 기반으로 딥러닝 기술 및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대표하는 키워드를 도출하는 동시에 상기 도출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대표 이미지를 도출한다.
삭제
상기 백오피스 컴퓨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터넷 서버에 4K 내지 8K의 해상도를 갖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업로드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 또는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홈 또는 바탕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본인의 프로필/명함 등을 전달하고자 하는 고객들에게 고화질의 사진/컨텐츠 기반의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객 프로필 사진(대략 4K 내지 8K의 고화질 이미지), 고객 약력, 전화번호(링크 누르면 전화 연결), 고객 블로그, 홈페이지, 관련 기사 등(URL 링크), 고객 활동 사진/동영상/작품집 소개 자료(URL 링크) 등의 고객 정보를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은 백오피스 컴퓨터와, 인터넷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와, 유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인터넷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의 해상도를 변환하는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되,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변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고, 또한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변환하여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백오피스 컴퓨터 및 인터넷 서버에 의해 준비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이 항상 최대 해상도로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 및 유저 모바일 기기에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르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터넷 서버는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 및/또는 유저 모바일 기기의 해상도에 최적화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으로 변환하는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은 인터넷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변환하여 인터넷 서버가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은 인터넷 서버에 접속한 유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유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변환하여 인터넷 서버가 유저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 및/또는 유저 모바일 기기는 항상 최대 해상도의 이미지 명함을 제공받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중 고객 이미지 명함 제작 프로세스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을 통한 이미지 명함의 일례를 도시한 스마트폰 캡처 화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요소와 B 요소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요소와 B 요소의 사이에 C 요소가 개재되어 A 요소와 B 요소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서버, 모바일 기기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서버, 모바일 기기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서버,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컴퓨터, 서버, 모바일 기기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서버,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또는 서버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클라이언트(즉, 이미지 명함 의뢰 고객), 스튜디오(즉, 이미지 명함 제작자), 서버, 인터넷 통신망 및 다수의 유저(즉, 이미지 명함 받은 사용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클라이언트가 이미지 명함을 전문 스튜디오에 의뢰하면, 스튜디오에서 다양한 고객 사진이 촬영된다. 이때 클라이언트와 면담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면담에 의해 취득한 고객 정보와 촬영된 다양한 사진은 이미지 명함 최종본의 형태로 서버에 저장된다. 즉, 이미지 명함 최종본은 고객 프로필 사진(대략 4K 내지 8K의 고화질 이미지), 고객 약력, 전화번호(링크 누르면 전화 연결), 고객 블로그, 홈페이지, 관련 기사 등(URL 링크), 고객 활동 사진/동영상/작품집 소개 자료(URL 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이미지 명함 최종본과 함께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모바일 기기의 종류, 플랫폼, 스크린 크기, 종횡비, 해상도, PPI(Pixel Per Inch), DPI(Dot Per Inch)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에 이미지 명함 정보에 관련된 쇼트컷 또는 URL 링크를 전송한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상기 쇼트컷이나 URL 링크를 클릭하여, 서버로부터 이미지 명함을 조회 또는 수신한다. 이때,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모바일 기기가 갖는 최대 해상도로 이미지 명함 정보를 실시간으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상기 이미지 명함 정보에 관련된 쇼트컷 또는 URL 링크를 카카오톡이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다수의 유저에게 송부한다.
그러면, 유저가 상기 쇼트컷이나 URL 링크를 클릭하여, 서버로부터 이미지 명함을 조회 또는 수신한다. 이때, 서버는 유저의 모바일 기기가 갖는 최대 해상도로 이미지 명함을 실시간으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본인의 프로필/명함을 전달하고자 하는 유저에게 고화질의 사진/컨텐츠 기반 이미지 명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클라이언트는 고객 프로필 사진(대략 4K 내지 8K의 고화질 이미지), 고객 약력, 전화번호(링크 누르면 전화 연결), 고객 블로그, 홈페이지, 관련 기사 등(URL 링크), 고객 활동 사진/동영상/작품집 소개 자료(URL 링크) 등의 고객 정보를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을 통해 유저와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중 고객 이미지 명함 제작 프로세스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중 고객 이미지 명함 제작 프로세스는 클라이언트 인터뷰 단계(S1), 촬영 단계(S2), 디자인 단계(S3), 프로그래밍 단계(S4) 및 클라이언트 제출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단계(S2)와 디자인 단계(S3)의 사이에는 키워드/이미지 도출 단계(S2-1)가 더 수행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인터뷰 단계(S1)에서, 이미지 명함 제작자는 클라이언트와의 관련 자료를 사전에 조사 및 분석하고, 이후 클라이언트와의 직접적인 인터뷰를 통하여 관련 자료를 더 수집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와의 관련 자료 조사, 분석 및 인터뷰는 수회에 걸쳐서 더 수행될 수 있다.
촬영 단계(S2)에서, 이미지 명함 제작자는 관련 자료 조사, 분석 및 인터뷰 등을 통해 얻은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클라이언트의 이미지가 가장 잘 표현되도록 스튜디오에서 클라이언트에 대해 메이크업, 의상 및 소품 등을 준비하여 촬영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이미지 명함 제작자는 현장(로케이션)에서 메이크업, 의상 및 소품 등을 준비하여 촬영할 수도 있다. 더불어, 이미지 명함 제작자는 클라이언트 외에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다양한 이미지를 더 촬영할 수도 있다.
키워드/이미지 도출 단계(S2-1)에서, 이미지 명함 제작자는 딥러닝머신이 추천한 키워드 및 이미지를 참고하여 클라이언트에 최적화된 이미지 명함의 테마를 선택하고, 또한 클라이언트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대표 키워드를 도출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 명함 제작자는 인터넷 검색기(예를 들면, 웹 크롤러, 로봇 등)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 관련된 주요 활동 자료를 검색하고 취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명함 제작자는 웹, SNS, 개인 홈페이지 등 클라이언트의 주요 활동 자료를 검색하고 취합한다. 이어서 이미지 명함 제작자는 딥러닝 기술이나 머신러딩 기술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취합된 클라이언트의 자료를 참고하여, 클라이언트에 관련된 대표 키워드 및/또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명함 제작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키워드/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카피라이팅 작업을 수행하고 또한 대표 이미지를 선정한다. 더불어, 최종적으로 이미지 명함 제작자와 클라이언트의 상호간 협의 하에 최종 키워드 및 대표 이미지를 확정한다.
디자인 단계(S3)에서, 이미지 명함 제작자는 도출된 최종안에 대하여 추가적인 편집 및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수행하여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최종적으로 마무리한다.
프로그래밍 단계(S4)에서, 이미지 명함 제작자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최종적인 이미지 명함을 서버에 업로드한다.
클라이언트 제출 단계(S5)에서, 서버는 업로드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쇼트컷, URL)를 카카오톡을 포함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나 이메일로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미지 명함 제작자가 클라이언트와의 인터뷰, 사진 촬영, 키워드 도출, 디자인, 프로그램 및 클라이언트 제출을 통해, 클라이언트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 명함을 제작 및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100)은 백오피스 컴퓨터(110), 인터넷 서버(120),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 및 유저 모바일 기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100)은 키워드/이미지 도출 컴퓨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들 구성 요소는 모두 유,무선 인터넷 통신망(160)을 통해 상호간 연결될 수 있다.
백오피스 컴퓨터(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이 편집, 확정 및 저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백오피스 컴퓨터(110)는 이미지 명함 제작자가 취급하는 컴퓨터로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이미지 명함이 의뢰되면, 클라이언트를 스튜디오 및/또는 그 밖의 장소에서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고, 클라이언트 정보와 함께 이미지 명함 최종본을 생성하게 저장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명함 제작자는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관련 자료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고, 인터뷰를 수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촬영 영상(사진 또는 동영상)을 확보하고, 이를 디자인, 카파라이팅, 편집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백오피스 컴퓨터(110)에 확정 및 저장한다. 여기서, 백오피스 컴퓨터(110)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 4K 내지 8K의 해상도를 갖는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최종적으로 저장한다.
인터넷 서버(120)는 백오피스 컴퓨터(110)에 통신망(160)을 통해 연결되고, 클라이언트 및 유저별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가 미리 저장되며, 백오피스 컴퓨터(110)로부터 통신망(160)을 통하여 상술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란,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모바일 기기의 종류(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의 제품명), 플랫폼(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iOS), 스크린 크기, 종횡비, 해상도, PPI(Pixel Per Inch), DPI(Dot Per Inch)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사용 정보는 마켓에 새로운 모바일 기기가 출시되면, 이에 맞게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서버(120)는 백오피스 컴퓨터(110)로부터 통신망(160)을 통해 대략 4K 내지 8K의 해상도를 갖는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한편, 이러한 인터넷 서버(120)는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 및/또는 유저 모바일 기기(140)에 맞는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으로 변환하는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121)은 인터넷 서버(120)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변환하여 인터넷 서버(120)가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121)은 인터넷 서버(120)에 접속한 유저 모바일 기기(140)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유저 모바일 기기(140)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변환하여 인터넷 서버(120)가 유저 모바일 기기(140)에 전송하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는 인터넷 서버(120)에 통신망(160)을 통해 연결되고, 인터넷 서버(120)로부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클릭하여 인터넷 서버(120)로부터 통신망(160)을 통해 자신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에 맞는(즉, 자신의 디스플레이가 갖는 최대 해상도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수신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이메일을 통하여 전송되는 쇼트컷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는 상술한 쇼트컷 또는 URL의 클릭이나 터치에 의해, 인터넷 서버(120)에 통신망(160)을 통해 접속하여, 자신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에 최적화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다운로드하여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인터넷 서버(120)는 통신망(160)을 통해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의 최대 해상도를 미리 알고 있으므로, 해당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에 최적화된 최대 해상도의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의 화면을 확대하여도 이미지의 해상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는 상술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바탕 화면에 저장함으로써, 언제든지 바탕화면에 저장된 정보를 클릭/터치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는 인터넷 서버(120)에 별도의 회원 가입, 로그인 또는 인증 절차없이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게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다운로드받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는 수신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 즉, 쇼트컷 또는 URL을 다양한 유저 모바일 기기(140)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이메일을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와 인터넷 서버(120) 사이에 일어나는 동일한 동작이 유저 모바일 기기(130)와 인터넷 서버(120) 사이에서도 수행되도록 한다.
유저 모바일 기기(140)는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 및 인터넷 서버(120)에 통신망(160)을 통해 연결되고,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로부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클릭하여 인터넷 서버(120)로부터 통신망(160)을 통해 자신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에 맞는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수신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이메일을 통하여 전송되는 쇼트컷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 모바일 기기(140)는 상술한 쇼트컷 또는 URL의 클릭이나 터치에 의해, 인터넷 서버(120)에 통신망(160)을 통해 접속하여, 자신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에 최적화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다운로드하여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인터넷 서버(120)는 통신망(160)을 통해 접속하는 유저 모바일 기기(140)의 최대 해상도를 미리 알고 있으므로, 유저 모바일 기기(140)에 최적화된 최대 해상도의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유저가 유저 모바일 기기(140)의 화면을 확대하여도 이미지의 해상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유저 모바일 기기(140)는 상술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바탕 화면에 저장함으로써, 언제든지 바탕화면에 저장된 정보를 클릭/터치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유저 모바일 기기(140)는 인터넷 서버(120)에 별도의 회원 가입, 로그인 또는 인증 절차 및 별도의 조회용 앱 설치가 필요없이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게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다운로드받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 및 유저 모바일 기기(130)는 상술한 다수의 클라이언트 이미지 명함 정보를 하나의 폴더에 저장함으로써, 수신된 클라이언트 이미지 명함 정보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
키워드/이미지 도출 컴퓨터(150)는 상술한 통신망(160)에 연결되어, 클라이언트의 주요 활동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클라이언트의 주요 활동 자료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에 적합한 키워드를 도출하며, 도출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대표 이미지를 도출하도록 한다. 이러한 키워드/이미지 도출 컴퓨터(150)는 클라이언트의 주요 활동 자료를 웹크롤러(web crawler) 또는 로봇(robot)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또한 클라이언트에 적합한 키워드를 딥러닝 기술 또는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키워드/이미지 도출 컴퓨터(150)는 실제로 백오피스 컴퓨터(110)와 통합되어 존재하거나, 또는 통신망(160)에 연결되어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본인의 프로필/명함 등을 전달하고자 하는 고객들에게 고화질의 사진/컨텐츠 기반의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100)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객 프로필 사진(대략 4K 내지 8K의 고화질 이미지), 고객 약력, 전화번호/이메일(링크 누르면 전화/이메일 연결), 고객 블로그, 홈페이지, 관련 기사 등(URL 링크), 고객 활동 사진/동영상/작품집 소개 자료(URL 링크) 등의 고객 정보를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100)을 제공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100)의 동작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2 및 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명함 제작자는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촬영하고(1), 또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편집 및 확정하여(2), 백오피스 컴퓨터(110)에 저장한다.
이때, 명함 제작자는 키워드/이미지 도출 컴퓨터(150)를 통해 대표 키워드 및 대표 이미지 등을 추출하여,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형성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웹 크롤러나 로봇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주요 활동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된 클라이언트의 자료를 처리하여 클라이언트에 적합한 키워드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명함 제작자는 도출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하여 카피라이팅 및 대표 이미지를 도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형성한다.
한편, 이와 같이 하여 완성된 클라이언트 정보와 이미지 명함은 고해상도 이미지(예를 들면, 대략 4K 내지 8K의 이미지)로 변환되어 백오피스 컴퓨터(110)로부터 인터넷 서버(120)에 업로드된다(3).
이때, 명함 제작사 또는 인터넷 서버(120)의 관리자는 인터넷 서버(120)에 클라이언트/유저가 사용 가능한 모바일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도 함께 저장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모바일 기기의 종류, 플랫폼, 스크린 크기, 종횡비, 해상도, PPI, DPI 등의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
그러면, 인터넷 서버(120)는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나 이메일을 통하여 상술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예를 들면, 쇼트컷 및/또는 URL)을 송신한다(4).
이어서,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를 통해 표시되는 쇼트컷이나 URL을 클릭 또는 터치하게 되면(5), 인터넷 서버(120)는 해당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의 디스플레이의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이에 맞는 이미지 명함으로 변환한다(6). 즉, 인터넷 서버(120)의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121)이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의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그에 맞게 실시간으로 이미지 명함을 변환한다.
또한, 이미지 명함의 실시간 변환 후, 이를 다시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에 송신한다(7). 이때, 인터넷 서버(120)는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로부터 어떠한 회원 가입, 로그인 또는 인증 절차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최대 해상도가 조정된 이미지 명함은 즉각적으로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를 통해 다운로드되고 표시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의 이미지 명함이 끊김없이 한번에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에 표시된다. 통상적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특정 인터넷 서버로부터 사진이나 텍스트 등을 다운받아 표시할 경우, 회원 가입, 로그인 및/또는 인증 절차가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약간의 지체 현상을 경험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인증 절차 등이 생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지체 현상없이 즉각적으로 이미지 명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는 위에서 수신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 즉, 쇼트컷이나 URL을 바탕 화면에 저장할 수 있다(8). 즉, 클라이언트는 별도의 전용 어플리케이션 도움없이, 모바일 기기의 운영 체제에서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홈화면, 바탕화면 또는 폴더 등에 상술한 클라이언트 이미지 명함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기존의 명함 관리 프로그램은 모두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구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구글 플레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마켓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이러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명함을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필요없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연장자 등도 쉽게 스마트폰 등에서 명함을 조회 또는 수신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130)는 이러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유저 모바일 기기(140)(예를 들면, 지인들의 모바일 기기)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나 이메일을 통하여 상술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예를 들면, 쇼트컷 및/또는 URL)을 송신할 수 있다(9). 특히, 이러한 동작은 단순히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공유 기능 등을 통해 쉽게 다수의 유저에게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별도의 복잡한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어서, 유저가 유저 모바일 기기(140)를 통해 표시되는 쇼트컷이나 URL을 클릭 또는 터치하게 되면(10), 인터넷 서버(120)는 해당 유저 모바일 기기(140)의 디스플레이의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11), 이에 맞는 이미지 명함으로 변환한다(12). 즉, 인터넷 서버(120)의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121)이 유저 모바일 기기(140)의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그에 맞게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변환한다. 또한, 이미지 명함의 실시간 변환 후, 이를 다시 유저 모바일 기기(140)에 송신한다. 이때, 인터넷 서버(120)는 유저 모바일 기기(140)로부터 어떠한 회원 가입, 로그인 및/또는 인증 절차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최대 해상도가 조정된 이미지 명함은 즉각적으로 유저 모바일 기기(140)를 통해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 모바일 기기(140)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의 이미지 명함이 끊김없이 한번에 유저 모바일 기기(140)에 다운되고 표시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유저 모바일 기기(140) 역시 수신한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 즉, 쇼트컷이나 URL을 바탕 화면이나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유저 역시 별도의 전용 어플리케이션 도움없이, 모바일 기기의 운영 체제에서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바탕화면 또는 폴더 등에 상술한 클라이언트 이미지 명함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연장자 등도 쉽게 스마트폰 등에서 명함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한 이미지 명함의 일례(스마트폰 캡처 화면)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5a 및 도 5b의 캡처 사진은 스마트폰을 통해 스크롤되는 하나의 화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의 직업과 취향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고화질의 사진/컨텐츠(대략 4K 내지 8K 고화질 이미지), 약력, 전화번호/이메일(링크 누르면 전화/이메일 연결), 블로그, 홈페이지, 관련 기사 등(URL 링크), 활동 사진/동영상/작품집 소개 자료(URL 링크) 등의 고객 정보가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이미지 명함은 인터넷 서버(120)로부터 다운받아 표시되는데, 이때 인터넷 서버(120)를 통한 회원 가입, 로그인 및/또는 인증 절차가 없기 때문에, 이미지 명함의 다운로드 속도가 빠르고 또한 최대 해상도로 다운되기 때문에 이미지를 확대하여도 이미지가 손상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기기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모바일 기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운영체제나 웹 브라우저에 의해 구동되므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앱 버전업 등의 관리 시스템의 구축 비용도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
110; 백오피스 컴퓨터 120; 인터넷 서버
121;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 130;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
140; 유저 모바일 기기 150; 키워드/이미지 도출 컴퓨터
160; 통신망

Claims (10)

  1. 클라이언트의 제1이미지 명함이 편집, 확정 및 저장되도록 하는 백오피스 컴퓨터;
    상기 백오피스 컴퓨터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클라이언트 및 유저별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백오피스 컴퓨터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1이미지 명함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인터넷 서버;
    상기 인터넷 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클릭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자신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에 맞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제2이미지 명함을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 및
    상기 인터넷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다운받으면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클릭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자신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에 맞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2이미지 명함을 수신하는 유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1이미지 명함은 사진, 이름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이미지 명함 정보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이메일을 통하여 전송되는 쇼트컷(shortcut)과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1이미지 명함의 해상도를 상기 제2이미지 명함의 해상도로 변환하는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를 상기 인터넷 서버에 미리 저장된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1이미지 명함을 실시간으로 상기 제2이미지 명함으로 변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지능형 실시간 이미지 변환 모듈은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를 상기 인터넷 서버에 미리 저장된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를 확인하고,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대 해상도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1이미지 명함을 실시간으로 상기 제2이미지 명함으로 변환하여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인터넷 서버에 미리 저장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및 유저별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는 모바일 기기 종류, 플랫폼, 스크린 크기, 종횡비, PPI(Pixel Per Inch) 및 DPI(Dot Per Inch)를 포함하는 해상도이고,
    상기 통신망에는 키워드/이미지 도출 컴퓨터가 더 연결되고, 상기 키워드/이미지 도출 컴퓨터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웹(World Wide Web), SNS(Social Network Service) 및 개인 홈페이지를 포함하는 활동 자료를 웹크롤러(web crawler) 및 로봇(robot)을 이용하여 수집 및 취합하고, 상기 수집 및 취합된 상기 클라이언트의 활동 자료를 기반으로 딥러닝 기술 및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대표하는 키워드를 도출하는 동시에 상기 도출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대표 이미지를 도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피스 컴퓨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터넷 서버에 4K 내지 8K의 해상도를 갖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을 서비스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모바일 기기 또는 상기 유저 모바일 기기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명함 정보를 홈 화면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155878A 2017-11-21 2017-11-21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 KR10189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78A KR101898820B1 (ko) 2017-11-21 2017-11-21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78A KR101898820B1 (ko) 2017-11-21 2017-11-21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820B1 true KR101898820B1 (ko) 2018-09-13

Family

ID=6359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878A KR101898820B1 (ko) 2017-11-21 2017-11-21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8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370A (ko) 2000-12-06 2001-03-05 황혜경 전자 명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58356A (ko) 2005-10-21 2008-06-2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시맨틱 토픽의 자동화된 리치 프레젠테이션을 위한컴퓨터-구현 방법 및 컴퓨팅 장치
KR20130086833A (ko) * 2012-01-26 2013-08-05 유영민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76211A (ko) 2012-12-12 2014-06-20 김재호 반응형 명함 제작시스템
KR20170119404A (ko) * 2016-04-19 2017-10-27 김창범 사진 이미지와 명함 정보의 매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370A (ko) 2000-12-06 2001-03-05 황혜경 전자 명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58356A (ko) 2005-10-21 2008-06-2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시맨틱 토픽의 자동화된 리치 프레젠테이션을 위한컴퓨터-구현 방법 및 컴퓨팅 장치
KR20130086833A (ko) * 2012-01-26 2013-08-05 유영민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76211A (ko) 2012-12-12 2014-06-20 김재호 반응형 명함 제작시스템
KR20170119404A (ko) * 2016-04-19 2017-10-27 김창범 사진 이미지와 명함 정보의 매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696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an ephemeral con tent message
US9342817B2 (en) Auto-creating groups for sharing photos
US90871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ting content to network sites
US103267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information in a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JP2021144722A (ja) メッセージングエージェントプラットフォームのための技術
JP4866739B2 (ja) 画像を公開及び販売するためのウェブサイト
US10637931B2 (en) Image session identifier techniques
US20140201292A1 (en) Digital business card system performing social networking commonality comparisions, professional profile curation and personal brand management
US111828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loading video files to a real estate listing and for reporting interest level in a real estate listing
US1097252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ing third-party services within applications
US20180191651A1 (en) Techniques for augmenting shared items in messages
JP2011128775A (ja) 開示制御機能提供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21678B1 (en) Delivering and displaying content feeds on smartwatch devices
EP336433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an ephemeral content message
US10339175B2 (en) Aggregating photos captured at an event
US20130226999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on between users
US20100325245A1 (en) Aggregated proxy browser with aggregated links, systems and methods
US9467531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on of user-generated content with social medi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130054713A1 (en) File upload system us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898820B1 (ko)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
EP32824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ing third-party services within applications
JP2022040355A (ja) 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端末、プログラム
TWM579346U (zh) 多重推廣系統
KR20190111841A (ko) 온라인 공유 시스템
JP6152151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