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22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lock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loc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227B1
KR101898227B1 KR1020160120756A KR20160120756A KR101898227B1 KR 101898227 B1 KR101898227 B1 KR 101898227B1 KR 1020160120756 A KR1020160120756 A KR 1020160120756A KR 20160120756 A KR20160120756 A KR 20160120756A KR 101898227 B1 KR101898227 B1 KR 101898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portions
plate
convex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7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5075A (en
Inventor
김길중
장동현
윤지숙
최준규
황순호
김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주식회사 플레이탱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주식회사 플레이탱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Priority to KR102016012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227B1/en
Publication of KR2018004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0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2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 예는 블록의 종류 또는 블록의 조합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격자 모양의 교차 영역에 배치되고, 홈을 구비한 복수 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판, 판에 블록이 배치되면, 배치된 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대응되어 상기 홈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센서, 센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을 인식하는 제어부 및 배치된 블록의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The disclosed embodiment is directed to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recognizing a type of a block or a combination state of blocks and outputting a recognized result.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rranged in a lattice- And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block is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convex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to obscure the groove,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recogni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and the arranged blocks.

Figure R1020160120756
Figure R1020160120756

Description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LOCKS}[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LOCKS [0002]

개시된 실시 예들은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의 종류 또는 블록의 조합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embodiments relate to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recognizing a type of a block or a combination state of blocks and outputting a recognized result.

블록 세트, 특히 알파벳이나 한글 자모를 형상화한 블록 세트는 완구용 또는 학습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집, 유치원 또는 언어 학원 등에서 유아 또는 새로운 언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Block sets, in particular alphabet or blocks, are widely used for toys or learning. Especially, it is widely used for people who want to learn a new language or a new language in a home, a kindergarten or a language institute.

블록 세트의 사용자는 블록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블록들을 서로 조합하거나 끼워 맞추는 과정을 통해 공간 지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알파벳이나 한글 자모를 형상화한 블록 세트의 경우 블록들을 서로 조합하는 과정을 통해 기초적인 문자를 습득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block set can improve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by combining or fitting the blocks included in the block set togeth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lock set in which an alphabet or a Korean alphabet is formed, basic characters can be learned through a process of combining blocks.

다만, 종래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블록들을 조합하였을 때, 사용자가 이미 알고 있었던 경우라거나 다른 누군가가 알려주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기 조합이 가능한 조합인지 또는 상기 조합된 블록들의 배치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쉽게 알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if the user arbitrarily combines blocks, it is easy to know whether the combination is possible or the arrangement of the combined blocks is correct, unless the user has already known or is not notified by someone else There is no inconvenience.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의 종류 또는 블록의 조합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recognizing a type of a block or a combination state of blocks and outputting a recognized result can be provided.

또한, 블록 세트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이 조합된 경우, 상기 조합이 가능한 조합인지 또는 상기 조합된 블록들의 배치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 자동으로 인식되고 인식된 결과가 소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Further, when at least two blocks among the block sets are combined, it is automatically recognized whether the combination is a possible combination or whether the arrangement of the combined blocks is correct, and the recognized result is output through sound or other means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can be provided.

또한, 사용자의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한 체감형 학습을 가능케 하고, 사용자의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enabling a user to experience a bodily sensation through sight, hearing, and tactile sense, and capable of improving a user's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creativity can be provided.

또한, 언어 학습을 통해 좌뇌와 관련된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블록놀이를 통해 우뇌와 관련된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좌뇌와 우뇌를 동시에 자극할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imultaneously stimulating the left and right brain by improving the language ability related to the left brain through language learning and improving the spatial perception and creativity related to the right brain through block play can be provided.

또한, 사용자의 자기주도형 학습을 가능케 하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elf-directed learning of the user can be provided.

또한, 최소한의 블록들만을 가지고,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에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to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expressing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with only a minimum number of blocks.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는 격자 모양의 교차 영역에 배치되고, 홈을 구비한 복수 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판; 상기 판에 블록이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대응되어 상기 홈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을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치된 블록의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plate disposed in a lattice-shaped intersection reg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having groove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block i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convex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to obscure the groove when the block is disposed on the plate;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the block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recognition results of the arranged blocks.

상기 볼록부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vex por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cylindrical.

상기 블록은, 상기 원통형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block includes at least one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shape.

상기 오목부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원통형에 삽입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cave port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and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shape.

상기 블록은,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1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보다 긴 제3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및 인접한 볼록부의 일부와 대응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원 또는 타원 형태의 제4 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및 인접한 볼록부의 일부와 대응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직각 형태의 제5 블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block comprises: a first block including the recess; A second block including the plurality of recesses; A third block longer than the second block; A fourth block in the form of a circle or an ellipse including a plurality of recesses and a receiv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adjacent convex portions; And a fifth block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nd a receiv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adjacent convex portions.

상기 제1 내지 제5 블록을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 및 모음 표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consonant and vowel expressions of Hangul are possible using the first to fifth blocks.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speaker or a display.

상기 센서는, 적외선 근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is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상기 블록 인식 장치는 복수의 블록이 상기 판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홈이 가려지는 것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블록으로 표현된 글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 recognition device recognizes a character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blocks on the basis that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covered when a plurality of blocks are disposed on the plate.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격자 모양의 교차 영역에 배치되고, 홈을 구비한 복수 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판을 포함하는 블록 인식 장치의 블록 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판에 블록이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대응되어 상기 홈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된 블록의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re is provided a block recognition method of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including a plate arranged in a lattice-shaped intersection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having grooves, wherein when the blocks are arranged on the plate, Detecting whether the groove is obscured by being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convex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Recognizing the block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And outputting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disposed block.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의 종류 또는 블록의 조합 상태가 인식되고 인식된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type of the block or the combined state of the blocks can be recognized and the recognized result can be output.

또한, 블록 세트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이 조합된 경우, 상기 조합이 가능한 조합인지 또는 상기 조합된 블록들의 배치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 자동으로 인식되고 인식된 결과가 소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Further, when at least two blocks among the block sets are combined, it is automatically recognized whether the combination is a possible combination or whether the arrangement of the combined blocks is correct, and the recognized result is outputted through sound or other means .

또한, 사용자의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한 체감 형 학습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xperience a tangible learning through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 and the user's spatial perception and crea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언어 학습을 통해 좌뇌와 관련된 언어 능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블록놀이를 통해 우뇌와 관련된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이 향상됨으로써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가 동시에 자극될 수 있다.In addition, language skills related to left brain are improved through language learning, and at the same time, the spatial perception and creativity related to right brain are improved through block play, so that the left brain and right brain of the user can be stimulated at the same time.

또한, 사용자의 자기주도형 학습이 가능해질 수 있다.Further,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the user can be made possible.

또한, 최소한의 블록들만을 가지고,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블록을 체결 위치를 바꾸어 가면서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 분실의 우려가 없으며 블록 보관이 용이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ress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with only minimal blocks, thus it is economical, and it is possible to learn blocks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fastening in various form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인식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인식 장치(100)의 판(110)의 확대 도이고, 도 3b는 측면 도이다.
도 4 내지 8은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블록들의 사시 도들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
FIG. 3A is an enlarged view of the plate 110 of the block recognition device 100 shown in FIG. 1, and FIG. 3B is a side view.
4 to 8 are perspective views of blocks used in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block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block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lock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disclosure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possible.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not meant to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블록 인식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블록 인식 장치(100)는 판(110)과 출력부(120)를 포함하고, 판(110)은 격자 모양의 교차 영역에 배치되고, 홈(112)을 구비한 복수 개의 볼록부(111)를 포함한다. 다수의 홈(112)의 하부에는 블록에 의해 홈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센서가 배치된다. 여기서, 센서는 근접 센서일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적외선 근접 센서, 홀 센서, 정전용량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센서는 판(110)에 전체적으로 배치되거나, 다수의 홈(112) 각각의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1,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plate 110 and an output unit 120. The plate 110 is disposed in a lattice-shaped intersection area and includes a plurality of And includes convex portions 111.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grooves are covered by the block is disposed under the plurality of grooves 112. Here, the sensor may be a proximity sensor, and the proximity sensor may include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 hall sensor, a capacitance senso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sensors may be disposed entirely on the plate 110, or on the back of each of the plurality of grooves 112.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판(110)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 다각형, 또는 폐곡선 등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볼록부(111)는 판(110)에 배치될 블록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일 수 있다. 다수의 홈(112)은 원통형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치될 블록에 의해 가려지는 모양으로서 어떠한 모양으로도 가능하다.3A and 3B, the plate 110 is shown in a rectangular shape, but the shape of the plate 1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 shapes such as an ellipse, a polygon, or a closed curve.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1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blocks to be disposed on the plate 110 may be inserted, and may be cylindrical. The plurality of grooves 112 are shown in a cylindrical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를 참조하면, 블록 인식 장치(100)는 센서(130), 제어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ensor 130, a control unit 140, and a communication unit 150.

센서(130)는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홈(112)의 하부에 배치되며, 배치된 블록에 의해 홈(112)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한다. The sensor 130 is disposed under the plurality of grooves 112 shown in FIG. 1, and detects whether the grooves 112 are covered by the arranged blocks.

제어부(14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서(130)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판(110)에 배치된 블록을 인식한다. 제어부(140)는 배치된 블록, 예를 들면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블록들을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조합하여 글자를 인식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인식된 블록 또는 인식된 글자를 도 1에 도시된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microcontroller unit (MCU). The control unit 140 recognizes the block disposed on the plate 110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130. [ The control unit 140 recognizes the arranged blocks, for example, the blocks shown in Figs. 4 to 8, and recognizes the characters by combining the recognized result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outputs the recognized block or the recognized character through the output unit 120 shown in FIG.

출력부(120)는 제어부(140)에 의해 판(110)에 배치된 블록에 대해 인식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판(110)에 한글 자음 "ㄱ"자 형상을 갖는 블록과 한글 모음 "ㅏ”자 형상을 갖는 블록이 배치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2개의 블록이 인식된 결과로서 “가”에 대응하는 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the recognized result for the block arranged on the plate 110 by the control unit 140. [ 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block to the display or output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block through the speaker. 9, the controller 140 recognizes that a block having a Korean character "a" character shape and a block having a Korean character "a" character shape are arranged on the plate 110. The output The unit 120 can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 a " through the speaker as a result of recognizing the two blocks.

또한, 출력부(120)는 블록 인식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장치에 블록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20)는 블록 인식 장치(100)에 연결된 TV에 배치된 블록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 예를 들면 동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lock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an output signal, for example, a moving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block disposed in the TV connected to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

통신부(150)는 예를 들어, 3G 모듈, LTE 모듈, LTE-A 모듈, Wi-Fi 모듈, 와이기그(WiGig) 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또는 랜카드 등과 같은 원거리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모듈, 블루투스 모듈, NFC 모듈, RFID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Z-Wave 모듈, 또는 적외선 모듈 등과 같은 근거리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기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 remote network interface such as a 3G module, an LTE module, an LTE-A module, a Wi-Fi module, a WiGig module, an UWB (Ultra Wide Band) module, .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 network interface for a short distance such as a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NFC module, an RFID module, a ZigBee module, a Z-Wave module, can do.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other network interfaces.

통신부(150)는 서버(미도시)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신부(150)는 서버에 블록 인식 장치(100)의 활용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활용데이터는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된 단어에 대한 누적 정보, 판(110)에 배치된 블록에 대한 누적 정보, 판(110)에 배치된 블록이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된 단어에 대응한다고 판정된 횟수에 대한 누적 정보, 또는 판(110)에 배치된 블록이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된 단어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횟수에 대한 누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can exchange data with a server (not shown).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transmit utilization data of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to the server. The utilization data includes cumulative information on word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20, cumulative information on the blocks arranged on the plate 110, and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blocks disposed on the plate 110 are outputted through the output unit 120 Cumulativ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word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word or accumulate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block arranged on the plate 110 is determined not to correspond to the word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20. [

통신부(150)는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단어 “가”에 대응하는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단어 “가”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can receive the content from the server. 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the received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ord " a ", 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ord " a "

사용자는 출력된 신호를 확인한 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선택된 블록을 판(110)에 배치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판(110)에 배치된 블록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인식된 블록이 상기 출력된 신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판정 결과를 활용데이터에 누적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상기 판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at least one block after confirming the outputted signal. The user may place the selected block on the plate 110. The control unit 140 can recognize the blocks arranged on the plate 110. [ The control unit 140 can determine whether the recognized block corresponds to the output signal. The control unit 140 can accumulate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utilization data. The output unit 120 can output the determination result.

도 4 내지 8은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블록들의 사시 도들이다.4 to 8 are perspective views of blocks used in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블록들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locks used in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는 도 4 내지 8에 도시된 5개의 타입의 블록들만을 가지고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모두 표현할 수 있으며, 모든 한글 문자를 조합하여 표현할 수 있다.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represent both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Hangul with only five types of blocks shown in FIGS. 4 to 8, and can represent all the Hangul characters in combination.

도 4를 참조하면, 가장 작은 단위의 블록(400)으로서, 판(110)의 하나의 볼록부(111)에 체결되는 구조로서, 하나의 홈(112)을 가리게 되고, 원통형의 볼록부(111)에 삽입되는 수용부(401)와 홈(112)에 대응되는 돌출부(402) 를 구비한다.4, the smallest unit block 400 is a structure that is fastened to one convex portion 111 of the plate 110 and covers one groove 112 and has a cylindrical convex portion 111 And a protruding portion 402 corresponding to the groove 112. The protruding portion 402 protrudes from the receiving portion 401,

도 5를 참조하면, 반원 또는 반 타원 형태의 블록(500)으로서, 판(100)의 3개의 홈(112)을 가리게 된다. 3개의 블록부(111)에 체결되는 구조로서, 3개 쌍의 돌출부(502)와 수용부(501)를 구비한다. 또한, 반원 또는 반 타원 형태의 블록(500)의 둥근 부분이 격자 모양에 교차 영역에 배열된 인접한 볼록부(111)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2개의 수용부(503)를 더 구비한다. 실시 예에 따른 블록(500)의 구조로서, 2개의 블록(500)으로서 자음 “ㅇ”을 표현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의 자음, 예를 들면 “ㅅ”의 표현도 가능하며, 다른 블록들과의 조합에 의해 “ㅎ”, “ㅊ” 등의 자음 표현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5, a block 500 of semicircular or semi-elliptical shape is formed to cover three grooves 112 of the plate 100. And has three pairs of protrusions 502 and a receiving portion 501, which are fastened to the three block portions 111. Further, the round portion of the semicircular or semi-elliptic block 500 further includes two receiving portions 503 so as to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adjacent convex portion 111 arranged in the crossing region in a lattice shape. As a structure of the block 5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wo consonants " o " can be represented as two blocks 500, and other types of consonants, e.g., " It is also possible to express consonants such as "ㅎ" and "ㅊ" by combination.

도 6을 참조하면, 긴 일자 형태의 블록(600)으로서, 판(110)의 다수의 홈(112), 예를 들면 5개의 홈을 가리게 된다. 원통형의 볼록부(111)와 대응되는 5개의 오목부를 구비하여, 각각의 오목부는 돌출부(602)와 수용부(601)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6, a block 600 of a long dashed shape may cover a plurality of grooves 112 of the plate 110, for example, five grooves. Five concav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convex portions 111, and each of the concave portions has a protruding portion 602 and a receiving portion 601.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블록(600)보다는 짧은 일자 형태의 블록(700)으로서, 판(110)의 다수의 홈(112), 예를 들면 3개의 홈을 가리게 된다. 원통형의 볼록부(111)와 대응되는 3개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오목부는 돌출부(702)와 수용부(701)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7, a block 700 is shown in FIG. 6, rather than block 600 shown in FIG. 6, to cover a plurality of grooves 112 of the plate 110, for example, three grooves. Three concav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convex portions 111, and each of the concave portions has a protruding portion 702 and a receiving portion 701.

도 6 및 7에 도시된 일자 형태의 블록들(600 및 700)을 이용하여 모음과 받침 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며, 다른 블록들과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자음과 모음 표현이 가능하다.6 and 7, it is possible to express a vowel and a supporting form by using the blocks 600 and 700 in the form of a date, and various consonants and vowel expressions are possible by combining with other blocks.

도 8을 참조하면, “ㄱ” 또는 “ㄴ” 형태의 블록(800)으로서, 판(110)의 다수의 홈(112), 예를 들면 3개의 홈을 가리게 된다. 원통형의 볼록부(111)와 대응되는 3개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오목부는 돌출부(802)와 수용부(801)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grooves 112, e. G., Three grooves, of the plate 110 are covered with a block 800 of the "a" or "b" Three concav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convex portions 111, and each of the concave portions has a protruding portion 802 and a receiving portion 801.

블록(800)은 인접한 볼록부(111)의 일부와 대응되는 2개의 수용부(803)를 구비한다. 실시 예에 따른 블록(800)은 상기와 같은 오목부들(801 내지 803)의 구조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자음표현이 가능하며, 다양한 방향에서 판(110)에 체결될 수 있다.The block 800 has two receiving portions 803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adjacent convex portion 111. [ The block 8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expressing various types of consonants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concave portions 801 to 803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fastened to the plate 110 in various directions.

도 9 및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9 and 10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block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한글 “가”를 표현하기 위해, 판(110)에 블록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블록(800)이 배치되어, 자음 “ㄱ”이 인식되고, 도 7에 도시된 블록(700)과 도 4에 도시된 블록(400)의 조합에 의해 모음 “ㅏ”가 인식된다. 따라서, 자음과 모음을 함께 인식하여 한글 “가”를 인식하게 되고, 출력부(120)를 통해 스피커로 “가”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 경우, 판(110)에 블록들(800, 700 및 400)이 배치된 후 블록 인식 장치(100)가 글자가 맞게 배치되었는지 판단하고, 맞게 배치된 경우,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판(110)에 블록들(800, 700 및 400)이 배치된 후 사용자의 선택, 예를 들면 출력부(120)에 도시된 어느 한 선태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blocks are arranged in a plate 110 to express Hangul. The block 800 shown in Fig. 8 is arranged so that the consonant " a " is recognized, and the combination " a " do. Accordingly,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re recognized together to recognize the Korean word " a ", and the sound is output to the speaker through the output unit 120. [ In this case, after the blocks 800, 700, and 400 are disposed on the plate 1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lock recognition device 100 is aligned with the letters. If the blocks are aligned, After the blocks 800, 700, and 400 are disposed in the output unit 120, the sound may be output by a user's selection, for example, by pressing one of the selection buttons shown in the output unit 120. [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인식 장치(100)는 판(110)에 블록들(800, 700 및 400)이 배치되면, 일정 개수와 위치의 홈들, 예를 들면 7개의 홈들이 블록들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홈 아래 위치한 적외선 근접 센서에 의해 가려진 홈의 개수 및 위치에 근거하여 블록 및 글자를 인식한다. 또한, 고정된 형태의 블록들로서만 블록 및 글자를 인식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블록들의 조합을 통해서도 가려지는 홈을 인식함으로써, 다양한 블록들의 조합에 의해서 블록 및 글자를 인식할 수 있다.9, when the blocks 800, 700, and 400 are disposed on the plate 110, 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grooves of a certain number and positions, for example, seven grooves, And recognizes blocks and characters based on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grooves obscured by the infrared proximity sensor located below the grooves. In addition, not only the blocks and characters are recognized as fixed blocks, but blocks and characters can be recognized by a combination of various blocks by recognizing the grooves to be blocked even through combinations of various types of blocks.

도 10을 참조하면, 한글 “사”를 표현하기 위해, 판(110)에 블록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블록(500)이 배치되어, 자음 “ㅅ”이 인식되고, 도 7에 도시된 블록(700)과 도 4에 도시된 블록(400)의 조합에 의해 모음 “ㅏ”가 인식된다. 따라서, 자음과 모음을 함께 인식하여 한글 “사”를 인식하게 되고, 출력부(120)를 통해 스피커로 “사”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 경우, 판(110)에 블록들(500, 700 및 400)이 배치된 후 블록 인식 장치(100)가 글자가 맞게 배치되었는지 판단하고, 맞게 배치된 경우,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판(110)에 블록들(500, 700 및 400)이 배치된 후 사용자의 선택, 예를 들면 출력부(120)에 도시된 어느 한 선태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blocks are arranged on the plate 110 to express Hangul " yarn ". The block 500 shown in Fig. 5 is arranged so that the consonant " g " is recognized and the vowel " a " is recogniz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lock 700 shown in Fig. 7 and the block 400 shown in Fig. do. Accordingly,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re recognized together to recognize the Korean word " yarn ", and the " yarn " In this case, after the blocks 500, 700, and 400 are disposed on the plate 1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lock recognition device 100 is aligned with the letters. If the blocks are aligned, After the blocks 500, 700, and 400 are disposed in the output unit 120, the sound may be output by the user's selection, for example, by pressing one of the selection buttons shown in the output unit 120. [

또한, 블록 인식 장치(100)는 배치된 블록들(500, 700 및 400)에 발광 소자를 배치하거나, 판(110)에 발광 소자를 배치하여 인식된 글자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The block recognition apparatus 100 may arrange light emitting elements in the arranged blocks 500, 700 and 400, or may arrange light emitting elements in the plate 110 to visually display recognized characters.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lock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1100에서, 판에 블록이 배치된다. 단계 1102에서, 판의 홈이 가려지는지 검출한다. 단계 1104에서,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배치된 블록을 인식한다. Referring to FIG. 11, in step 1100, a block is placed on a plate. In step 1102, it is detected whether the groove of the plate is obscured. In step 1104, the block arranged using the detection result is recognized.

단계 1106에서, 인식 결과를 출력한다.In step 1106, the recognition result is output.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의 종류 또는 블록의 조합 상태가 인식되고 인식된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세트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이 조합된 경우, 상기 조합이 가능한 조합인지 또는 상기 조합된 블록들의 배치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 자동으로 인식되고 인식된 결과가 소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한 체감형 학습이 가능해지고, 사용자의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언어 학습을 통해 좌뇌와 관련된 언어 능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블록놀이를 통해 우뇌와 관련된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이 향상됨으로써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가 동시에 자극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기주도형 학습이 가능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type of block or the combination state of blocks can be recognized and the recognized result can be output. Further, when at least two blocks among the block sets are combined, it is automatically recognized whether the combination is a possible combination or whether the arrangement of the combined blocks is correct, and the recognized result is outputted through sound or other means . In addition, the user can experience a tangible learning through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 and the user's spatial perception and creativ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language skills related to left brain are improved through language learning, and at the same time, the spatial perception and creativity related to right brain are improved through block play, so that the left brain and right brain of the user can be stimulated at the same time. Further,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the user can be made possib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any vari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abov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0: 블록 인식 장치
110: 판
111: 볼록부
112: 홈
130: 센서
140: 제어부
150: 출력부
100: Block recognition device
110: Edition
111: convex portion
112: Home
130: sensor
140:
150:

Claims (10)

격자 모양의 교차 영역에 배치되고, 홈을 구비한 복수 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판;
상기 판에 블록이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대응되어 상기 홈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을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치된 블록의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원통형이고,
상기 블록은, 상기 원통형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원통형에 삽입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1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보다 긴 제3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및 인접한 볼록부의 일부와 대응되는 2개의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원 또는 타원 형태의 제4 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및 인접한 볼록부의 일부와 대응되는 2개의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직각 형태의 제5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블록만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의 자음 및 모음 표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인식 장치.
A plate disposed in the lattice-shaped intersection reg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having groove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block i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convex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to obscure the groove when the block is disposed on the plate;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the block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And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recognition results of the arranged blocks,
The convex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block includes at least one recess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concave port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and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shape,
The block includes:
A first block including the concave portion;
A second block including the plurality of recesses;
A third block longer than the second block;
A fourth block in the form of a circle or an ellipse including two concave portions and two first accommodating portions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adjacent convex portions; And
And a fifth block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cluding two concave portions and two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adjacent convex portions,
Wherein the consonant and vowel expressions of all Hangul are possible using only the first to fifth block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블록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unit includes: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comprising a speaker or a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적외선 근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includes:
Wherein the infrared sensor is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이 상기 판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홈이 가려지는 것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블록으로 표현된 글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plurality of blocks are disposed on the plate,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characters represented by the plurality of blocks based on that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covered.
격자 모양의 교차 영역에 배치되고, 홈을 구비한 복수 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판을 포함하는 블록 인식 장치의 블록 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판에 블록이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대응되어 상기 홈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된 블록의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원통형이고,
상기 블록은, 상기 원통형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원통형에 삽입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1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보다 긴 제3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및 인접한 볼록부의 일부와 대응되는 2개의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원 또는 타원 형태의 제4 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및 인접한 볼록부의 일부와 대응되는 2개의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직각 형태의 제5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블록만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의 자음 및 모음 표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인식 방법.
A block recognition method of a block recognition apparatus including a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rranged in a lattice-shaped intersection region and having grooves,
When the block is disposed on the plate, detecting whether the disposed block corresponds to at least one convex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to obscure the groove;
Recognizing the block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And outputting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arranged block,
The convex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block includes at least one recess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concave port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and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block comprises: a first block including the recess;
A second block including the plurality of recesses;
A third block longer than the second block;
A fourth block in the form of a circle or an ellipse including two concave portions and two first accommodating portions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adjacent convex portions; And
And a fifth block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cluding two concave portions and two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adjacent convex portions,
Wherein the consonant and vowel expressions of all Hangul are possible using only the first to fifth blocks.
KR1020160120756A 2016-09-21 2016-09-21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locks KR1018982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756A KR101898227B1 (en) 2016-09-21 2016-09-21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lo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756A KR101898227B1 (en) 2016-09-21 2016-09-21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loc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075A KR20180045075A (en) 2018-05-04
KR101898227B1 true KR101898227B1 (en) 2018-09-12

Family

ID=6219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756A KR101898227B1 (en) 2016-09-21 2016-09-21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loc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2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683B1 (en) * 2021-01-20 2021-09-23 (주)씽킹메이킹 Block recogni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988B1 (en) * 2021-10-12 2024-01-30 (주)씽킹메이킹 Block recognition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12Y1 (en) * 2011-10-11 2012-03-23 김응만 Toy block
KR101202391B1 (en) * 2011-11-28 2012-11-16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Assembly block for to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12Y1 (en) * 2011-10-11 2012-03-23 김응만 Toy block
KR101202391B1 (en) * 2011-11-28 2012-11-16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Assembly block for to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683B1 (en) * 2021-01-20 2021-09-23 (주)씽킹메이킹 Block recogni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075A (en)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16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855933B2 (en) Terminal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US9955248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EP3228370A1 (en) Puzzle system interworking with external device
KR101724230B1 (en) An electronic block kit system for scratch programming
KR1018982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locks
EP32969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US20190108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lingual interactive self-learning
KR20170112132A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recognizing blocks
KR1018982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locks
KR101840208B1 (en) Brain ac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952240B1 (en) User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using user posture recognition
CN105334720A (en) Method and device for turning off alarm clock
KR20180057951A (en) System of using the voice pen for learning
KR1015022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al board game
KR20170009094A (en) Smart Block Device displaying contents,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Block Device
KR20190105986A (en) Learning dioceses in arranging visually identifiable alphanumeric objects into their devices and entering them with electronic signals
KR20180115490A (en) Device for learning letter, body unit for th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Tripathy et al. Applications of IoT to address the issues of children affected by autism spectrum disorders
TWI515698B (en) Interactive-type sensing learning device
KR101295335B1 (en) Block set, korean alphabet block set,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6846987A (en) A kind of finger reader
KR1022232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Nikolaidis et al.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Digital Era: A basic review of the policies and technologies
KR1023089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touch signal by wearable gla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