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076B1 - Outsole of shoes - Google Patents

Outsole of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076B1
KR101898076B1 KR1020170120341A KR20170120341A KR101898076B1 KR 101898076 B1 KR101898076 B1 KR 101898076B1 KR 1020170120341 A KR1020170120341 A KR 1020170120341A KR 20170120341 A KR20170120341 A KR 20170120341A KR 101898076 B1 KR101898076 B1 KR 101898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foot
wearer
user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태훈
이범호
Original Assignee
안태훈
이범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훈, 이범호 filed Critical 안태훈
Priority to KR102017012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076B1/en
Priority to PCT/KR2018/010780 priority patent/WO2019059584A1/en
Priority to CN201880059843.5A priority patent/CN111093415A/en
Priority to US16/647,673 priority patent/US20200260818A1/en
Priority to JP2020537120A priority patent/JP20205341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0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5Elasticated plates sandwiched between two interlocking components, e.g. thrusto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9Pads, e.g. protruding on the foot-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outsol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pulsion increasing unit corresponding to a concave portion of a user between a front end of a sole corresponding unit and a toe corresponding unit, thereby increasing propulsive force, and forms the toe corresponding unit in a front direction to be upwardly inclined and a heel corresponding unit in a back direction to be upwardly inclined so as to perform buffer action and help a user put off a foot,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walk and run pleasantl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physical strength consumption of a user, and prevents a foot of a user from being pulled to the front against a shoe during walking and running, thereby preventing toenails of a user from being broke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rolling action unit which has a convex top surface along a central line passing a middle part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ole corresponding unit and the heel corresponding unit, thereby maintaining a balance of a user, preventing ankle injury, and propulsive force from being lost, and enabling stable walking and running.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buffer action units in the sole corresponding unit and the heel corresponding unit to reduce shock transmitted to a user.

Description

신발 아웃솔{Outsole of shoes}Outsole of shoes

본 발명은 신발 아웃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힘이 미끄럼 없이 신발을 통해 지면에 충분히 전달되어 추진력을 증강시키고 보행 및 주행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착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 중에서, 엄지발가락 부분에 가해지는 힘은 물론 둘째발가락, 셋째발가락, 넷째발가락 및 새끼발가락 부분에 가해지는 힘도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어 추진력을 더욱 증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발가락대응부가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발뒤축대응부가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체중 등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에 의한 발가락대응부와 발뒤축대응부의 하향 탄성변형과 상향 탄성복원 과정을 반복하면서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되어 별도의 완충수단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자체적으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발바닥대응부와 발뒤축대응부에 복수개의 완충작용부를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착용자에 의한 힘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될 때에도 발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하여 착용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발목 부상을 입는 일이 없고 추진력이 손실되는 일이 없게 되어 안정적인 보행 및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무게 중심을 아웃솔의 선단부 쪽으로 편중시켜 빠른 주행 시의 땅닿기 시기에 아웃솔의 선단부가 지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되는 데에 도움을 주어 빠른 주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신발 아웃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outs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outsole which can sufficiently transmit a force of a wearer to a ground surface through a shoe without slipping so as to increase a propulsion force and increase a walking speed and a traveling speed, The force applied to the second toe, the third toe, the fourth toe, and the toes of the toes as well as the force applied to the toe portion can generate the thrust,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propulsive force, and the toe- And the back-and-forth axis corresponding part is formed to be upward sloped toward the rear, so that the back-up elastic deformation and the upward elastic restoring process of the toe-corresponding part and the back and forth part corresponding part by the force applied by the weight of the wearer are repeated, Without buffering itself. And a plurality of cushioning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sol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le and the cush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el and back so that the cushioning effect can be obtained by itself and the foot is prevented from slipping rightward or leftward when the force of the wearer is biased to the left or right side The wearer does not lose balance and falls, does not suffer an ankle injury, and does not lose the propulsion force, making stable walking and running possible. By centering the center of gravity toward the tip of the outso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outsole which helps a tip en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ground, thereby enabling a fast running to be efficiently performed.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이동 수단은 바로 보행(Gait, 步行)과 주행(Running, 走行)이다.The most basic means of human movement is walking (Gait) and running (running).

인간이 보행 및 주행한다는 것은 역학적으로 인간의 무게 중심의 이동을 의미한다. 즉, 인간의 보행은 좌우의 다리를 번갈아 전방으로 내딛으면서 체중을 차례로 앞발에 옮김으로써 앞으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Walking and running by human means mechanically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of human being. In other words, human walking is carried forward by alternating the left and right legs forward and shifting the body weight to the front legs in turn.

보행 및 주행 시 한쪽 다리에 대하여 살펴보면, 굴근군(屈筋群)과 신근군(伸筋群)이 서로 길항적(拮抗的)으로 움직이고, 좌우의 다리는 서로 같은 동작을 되풀이하며, 상지와 하지가 상반적으로 전후 운동을 함으로써 부드럽고 효율적인 보행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looking at one leg during walking and running, the flexor muscles and the extensor muscles move antagonistically, the left and right legs perform the same motion, and the upper and lower limbs As a result, a smooth and efficient walking is achieved.

인간의 발은 발바닥(10)과, 발바닥(10)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오목부(31, 32, 33, 34, 35)을 가지는 엄지발가락(21), 둘째발가락(22), 셋째발가락(23), 넷째발가락(24) 및 새끼발가락(25)과, 발바닥(10)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발뒤축(40)을 포함한다.The human foot is provided with a toe 21, a second toe 22, and a third toe 31 having recesses 31, 32, 33, 34, and 35 between the sole 10 and the distal end of the sole 10 23, a fourth toe 24 and a toe 25 and a back foot 40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sole 10.

보행의 한 주기는 한쪽 발의 발뒤축이 지면에 닿았다가 떨어진 후 다시 지면에 닿는 순간까지를 말하며, 보행의 한 주기는 발이 지면에 닿아 있는 「서있기(Stance Phase)」(도 1 참조)와, 발이 지면에서 떨어져 몸을 앞으로 추진시키는 「흔들기(Swing Phase)」(도 2 참조)로 세분된다.One cycle of walking refers to the moment when the foot of the foot of the foot touches the ground and then falls back to the ground. One cycle of the walking includes the "Stance Phase" (see FIG. 1) in which the foot touches the ground, And a " Swing Phase " (see Fig.

「서있기」는 한 주기의 60% 정도를 차지하며, 「흔들기」는 한 주기의 40% 정도를 차지한다."Standing" occupies about 60% of one cycle, and "Shaking" occupies about 40% of one cycle.

「서있기」는 「발뒤축땅닿기(Heel Strike)」, 「발바닥땅닿기(Foot Flat)」, 「중간서있기(Mid Stance)」, 「발뒤축떼기(Heel Off)」 및 「발가락떼기(Toe Off)」로 세분된다(도 1 참조).The term "standing" refers to "Heel Strike", "Foot Flat", "Mid Stance", "Heel Off" and "Toe Off" (See Fig. 1).

「발뒤축땅닿기」는 발뒤축(40)이 지면에 닿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도 3의 좌측에서 첫 번째 그림에 진하게 표시된 부분과 같이 신발착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발뒤축(40) 부분에 집중된다.The " heel land contact " is a time when the footrest shaft 40 touches the ground. At this time, the force exerted by the shoe wearer is concentrated on the heel of the foot 40, as shown in the left part of FIG.

「발바닥땅닿기」는 발뒤축(40)이 지면에 닿은 후 발바닥(10)이 지면에 닿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도 3의 좌측에서 두 번째 그림에 진하게 표시된 부분과 같이 신발착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이 발뒤축(40)과 발바닥(10) 부분에 분포된다.The "reaching the soles of the soles" is a time when the soles of the feet (40) touch the ground and the soles (10) touch the ground. At this time, the force exerted by the shoe wearer is distributed in the regions of the back foot 40 and the sole 10 as shown in the left-hand side of FIG.

「중간서있기」는 발바닥(10)이 지면에 닿은 후 무게 중심이 발바닥(10)의 중심을 지나가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도 3의 좌측에서 세 번째 그림에 진하게 표시된 부분과 같이 신발착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이 발뒤축(40)과 발바닥(10) 및 발가락(21, 22, 23, 24, 25) 부분에 분포된다.The " intermediate standing " is the time when the center of gravity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ole 10 after the sole 10 touches the ground. At this time, the force exerted by the shoe wearer is distributed to the heel axis 40, the sole 10, and the toes 21, 22, 23, 24, and 25 as shown in the left part of FIG. do.

「발뒤축떼기」는 중간서있기 이후 발뒤축(40)이 지면에서 떨어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도 3의 좌측에서 네 번째 그림에 진하게 표시된 부분과 같이 신발착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이 발바닥(10)의 앞부분과 발가락(21, 22, 23, 24, 25) 부분에 분포된다.The " peeling of the heel of the foot " is a period when the heel of the foot 40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after the middle standing. At this time, the force exerted by the shoe wearer is distribu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sole 10 and the toes 21, 22, 23, 24 and 25 as shown in the dark portion of the fourth figure from the left side of FIG.

「발가락떼기」는 발가락(21, 22, 23, 24, 25)이 지면에서 떨어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도 3의 좌측에서 다섯 번째 그림에 진하게 표시된 부분과 같이 신발착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이 발바닥(10)의 엄지발가락(21) 쪽 앞부분과 엄지발가락(21) 부분에 분포된다.The "toe-up" is the time when the toes (21, 22, 23, 24, 25) fall off the ground. At this time, the force exerted by the shoe wearer is distributed to the front part of the toe 21 of the sole 10 and the toe 21 of the toe as shown in the hatched portion of the fifth figure from the left side of Fig.

여기서 「발뒤축땅닿기」와, 「발바닥땅닿기」 및 「중간서있기」는 추진력을 얻기 위한 준비 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발뒤축떼기」와 「발가락떼기」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Here, " reaching the ground of the foot of the foot ", " reaching the ground of the sole of the foot ", and " standing of the middle " are regarded as preparations for obtaining the driving force. .

특히 「발가락떼기」 시기는 발가락 부분을 후방으로 밀치는 동작, 즉 키킹동작(Kicking Motion)이 이루어지게 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데에 중요한 시기이다.Particularly, the "toe-tearing" period is an important time for pushing the toe portion backward, that is, kicking motion to generate driving force.

「흔들기」는 「쫓아가기」, 「앞으로 흔들기」 및 「내딛기」로 세분된다(도 2 참조)."Shaking" is subdivided into "chasing", "shaking forward", and "entering" (see FIG. 2).

한편, 주행주기는 보행주기와 비슷하나, 「서있기」는 「땅닿기」, 「중립 서있기」 및 「추진기」로 세분되며, 「흔들기」는 「쫓아가기(Follow Through)」, 「앞으로 흔들기(Forward Swing)」 및 「내딛기(Foot Descent)」로 세분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cycle is similar to the walking cycle, but the "standing" is subdivided into "ground contact", "neutral standing", and "propulsion unit", and "shaking" is divided into "Follow Through" Swing " and " Foot Descent ".

보행과 주행의 차이는 보행 시에는 두 발이 모두 지면에 닿는 「양 발 땅닿기」가 있는 반면, 주행 시에는 두 발이 지면에 닿지 않는 「날기(Flight Phase)」가 있다는 점이다.The difference between walking and running is that there is a "Flight Phase" where both feet touch the ground when walking, while two feet do not touch the ground when driving.

주행주기에서 조깅이나 마라톤 등과 같이 느린 주행 시에는 「서있기」가 「날기」보다 더 길게 되며, 100m 달리기 등과 같이 주행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서있기」가 짧아지게 된다.In a running cycle, such as jogging or a marathon, the "standing" is longer than the "flying", and the "standing" becomes shorter as the running speed is increased such as 100m running.

또한 느린 주행 시에는 보행 시와 마찬가지로 먼저 발뒤축이 지면에 닿고, 발가락이 나중에 닿게 되며, 빠른 주행 시에는 발가락떼기 직전에 발뒤축과 전족부가 거의 동시에 지면에 닿거나, 또는 초기에 전족부부터 지면에 닿으면서 발가락떼기 직전까지 발뒤축은 지면으로 내려가게 된다.In the case of a slow running, as in the case of a walk, the footbed contacts the ground first, and the toe touches the floor later. In a fast running, the footbed and the forefoot almost touch the ground immediately before the toe- Just before the toe is removed, the heel is lowered to the ground.

아주 빠른 주행 시에는 「땅닿기」부터 「추진기」까지 전족부(발바닥의 선단부와 발가락)만 지면에 닿게 된다.During a very fast run, only the forefoot (the tip of the soles and the toes of the soles) touches the ground, ranging from "land touch" to "propeller."

한편, 인간은 약 2만천 년 전부터 신발을 착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이후 다양한 모양과 기능을 가지는 신발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On the other hand, humans are known to have begun to wear shoes about 20,000 years ago, and since then shoes with various shapes and function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신발의 종류는 형태, 재료, 용도, 제조방법에 따라 분류되는데, 기본적으로는 신발창과 갑피를 포함하는 구두 또는 운동화 형태의 신발과, 신발창과 밴드를 포함하는 슬리퍼 형태의 신발로 분류할 수 있다.The types of sho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hapes, materials, applica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s. Basically, they can be classified into shoe or shoes type shoes including shoes sole and upper, and slipper type shoes including sole shoes and band.

신발창은 대부분 아웃솔(Outsole)과 미드솔(Midsole) 및 인솔(Insole)로 구성되지만 아웃솔과 인솔만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Most of the sole is composed of outsole, midsole and insole, but sometimes it consists of outsole and insole only.

아웃솔은 지면에 닿는 부분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충격을 받는 것이므로 쿠션기능, 경량성 및 내마모성이 요구되며, 아웃솔의 재질로서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 발포가황고무, 발포EVA,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된다.The outsole is required to have a cushioning function, light weight and abrasion resistance because it is directly impacted from the ground as a part touching the ground. Natural rubber and synthetic rubber, foamed vulcanized rubber, foamed EVA and polyurethane ar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outsole.

미드솔은 아웃솔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신발의 비틀림방지기능과 쿠션기능이 요구되며, 미드솔의 재질로서는 EVA스폰지, 파일론,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된다.The midsol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and is required to have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twisting of the shoe and a cushioning function. EVA sponge, pylon, polyurethane or the like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midsole.

인솔은 미드솔의 상면에 부착되어 발바닥이 접촉하는 것으로, 발바닥 보호기능이 요구되며, 인솔의 재질로서는 라텍스 폼, EVA스폰지,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된다.The insol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and is in contact with the sole, and the sole protection function is required. As the material of the insole, latex foam, EVA sponge, polyurethane and the like are used.

종래의 아웃솔은 발가락대응부가 단순히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가락떼기 시기에 발가락을 후방으로 밀치는 키킹동작(Kicking Motion)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가락과 발가락 대응부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기 때문에 착용자에 의한 힘에 대비하여 추진력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체력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outsole, since the toe corresponding part is simply formed in a flat shape, slippage occurs between the toe and the toe corresponding part during the kicking motion in which the toe is pushed backward at the toe peeling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pulsive force is lowered in comparison with the force, resulting in a waste of physical strength.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가락떼기 시기에는 착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이 엄지발가락 쪽에 집중되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그 힘이 엄지발가락 쪽에만 가해지는 것은 아니고, 둘째발가락, 셋째발가락, 넷째발가락 및 새끼발가락 쪽에도 가해지게 되는데, 종래의 아웃솔의 발가락대응부의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엄지발가락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발가락대응부에 대한 접촉압력은 강하게 나타나는 반면, 나머지 둘째발가락, 셋째발가락, 넷째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발가락대응부에 대한 접촉압력은 약하게 나타나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된다.Also, as shown in FIG. 3, while the force applied by the wearer concentrates on the thumb toe during the peeling of the toe, the force is not exerted only on the big toe, but on the second toe, the third to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outsole is formed in a flat surface, the contact pressure to the toe corresponding portion due to the force applied to the big toe is strong, while the remaining toe, third toe, The contact pressure to the toe corresponding part due to the force applied to the toe becomes weak or hardly appeared.

따라서 엄지발가락에 가해지는 힘은 추진력을 얻는 데에 사용되지만, 둘째발가락, 셋째발가락, 넷째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에 가해지는 힘은 추진력을 얻는 데에 사용되지 못하게 된다.Thus, the force exerted on the big toe is used to obtain the propulsive force, but the force applied on the second toe, third toe, fourth toe and toes is not used to obtain propulsion.

결과적으로 착용자가 가한 힘 중 일부인 엄지발가락에 가해지는 힘만이 추진력을 얻는 데에 사용되고, 나머지 둘째발가락, 셋째발가락, 넷째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에 가해지는 힘은 그대로 손실되므로 가해진 힘에 대비하여 추진력이 저하되고, 체력낭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only the force exerted on the big toe, which is part of the force exerted by the wearer, is used to obtain propulsion, while the forces applied to the remaining second, third, fourth and toes are lost, And the waste of physical strength is increased.

또한 트랙경기에서 곡선구간을 주행하거나 기타 구기 종목에서 방향을 빠르게 전환하는 경우, 발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힘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 경우 ㅂ라의 안쪽 가장자리 또는 바깥쪽 가장자리만 신발에 강하게 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신발에서 들뜨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측방 미끄럼이 발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추진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발과 발목의 부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In addition, when a curve is run in a track game or when a fast turn is made in other ball games, force is appli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foot. In this case, only the inside edge or the outside edge of the shoe is strongly adhered to the shoe, The side slip occurs because it is in a state of being lifted from the shoe. As a result, not only the propulsive force is lowered but also the wearer may be injured in the foot and ankle.

특히, 트랙경기 또는 기타 구기 종목에서 방향을 빠르게 전환하는 과정에서 새끼발가락 쪽이 강한 압박을 받게 되며, 새끼발가락과 발가락대응부 사이의 미끄럼이 발생하게 되어 착용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끼발가락 부분에 심각한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course of rapidly changing direction in a track game or other ball game, the toe side is strongly pressed, and slip between the toes and the toe counterparts causes the wearer to lose balance and f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young toe part is seriously injured.

또한 일반적으로 신발의 추진력 강화를 위해서는 경질의 아웃솔을 채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완충효과를 위해서는 연질의 아웃솔을 채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In general, it is effective to employ a hard outsole for enhancing the propulsion force of the shoe, and it is effective to employ a soft outsole for the buffering effect.

따라서 종래 신발에서는 이를 병합하여 경질의 아웃솔을 채용함과 아울러 완충고무 또는 튜브 형태의 부재 등으로 된 별도의 완충수단을 결합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shoes, a rigid outsole is incorporated by combining the same, and a separate buffer means such as a buffer rubber or a tubular member is combined.

그러나 이러한 완충수단은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착용자의 힘을 지면에 전달하는 효과를 저하시키게 된다.However, such a buffering means can obtain a buffering effect, but deteriorates the effect of transmitting the force of the wearer to the ground.

결과적으로 종래의 신발은 착용자의 힘을 지면에 전달하는 기능과 완충기능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As a result, the conventional shoe has a limitation in meeting both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force of the wearer to the ground and the buffering function at the same time.

또한 빠른 주행은 땅닿기, 중립 서있기 및 추진기를 포함하는 서있기와, 쫓아가기, 앞으로 흔들기 및 내딛기를 포함하는 흔들기로 이루어지게 되며, 착용자가 발을 내딛는 땅닿기 시기에 발가락 부분이 먼저 저면에 닿게 되는데 종래의 아웃솔은 무게중심이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땅닿기 동작에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된다.A fast run is also made up of standing, including neutral, standing and propelling, and wagging, including chasing, wiggling, and throwing, and the toes first touch the ground when the wearer touches the ground Conventional outsole is not centered on the center of gravity, so it does not help the landing motion.

따라서 빠른 주행의 안정성과 추진력과 부여하는 데에 미흡하게 된다.Therefore, it is insufficient to give stability and driving force of fast driving.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0653호(2011.04.20. 공개) "미끄럼방지부가 장착된 신발"(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발가락과 발바닥이 연결된 오목한 부위에 대응하여 밑창의 바닥면에 상부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여 발바닥과 밑창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As a prior art,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40653 (Apr. 20, 2011) discloses a "shoe equipped with a non-slip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to correspond to a concave portion where a toe and a sole are connected And a slip prevention part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to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sole and the sole.

상기 선행기술 1은 미끄럼방지부를 밑창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서, 미끄럼방지부가 발가락과 발바닥 사이의 오목부의 굴곡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오목한 부위가 미끄럼방지부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닿았다 떨어졌다는 반복하게 되어 보행 및 주행 시 미끄럼방지부가 통증을 유발할 염려가 있다. 또한 발가락과 발바닥 사이의 오목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기절골(기본마디뼈)가 눌리게 되어 더욱 강한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1, since the non-slip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ole, or is slid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non-slip por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bend of the concave portion between the toe and the sol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on-slip portion may cause pain during walking and running. In addition, stunning stones (basal nodal bone) located in the inside of the recess between the toe and the sole are pressed, resulting in a stronger pain.

또한 상기 선행기술 1은 미끄럼방지부가 발가락(과 발바닥(10) 사이의 오목부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유격이 생기기 때문에 보행 및 주행 시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추진력의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on-slippery portion generates a clear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etween the toes (the recesses between the toes 10) and the slippery during walking and running, resulting in loss of propulsion.

또한 상기 선행기술 1은 발가락은 평면으로 된 밑창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 보행 및 주행 시 발가락과 밑창의 상면 사이에서도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여 추진력의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lso, in the prior art 1, the to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with a flat surface, which causes a slipping phenomenon between the to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during walking and running, resulting in a loss of propulsion.

또한 상기 선행기술 1은 발가락은 평면으로 된 밑창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보행 및 주행 시 신발착용자의 발이 전방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신발착용자의 발톱 부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lso, in the prior art 1, since the to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having a flat surface, the feet of the shoe wearer tend to be tilted forward during walking and running, resulting in a problem of the toe wear of the shoe wearer.

한편,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5056호(2005.09.01. 등록) "충격 완화용 인솔"(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은 인솔의 하면에 중족골의 전단부분이 닿는 위치와 엄지발가락이 닿는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제1 충격흡수부와 발꿈치가 닿는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제2 충격흡수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분산시킴으로써 요추부 및 하지부에 전달되는 부하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각종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In the past, a "shock absorbing ins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register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5056 (registered on September 1, 2005.) has a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etatarsal touches the lower surface of the insole A second shock absorbing portion provided in an area including a position where the first shock absorbing portion and the heel abut on the region includ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big toe comes in contact is formed to absorb and disperse the impact applied to the user's foot, And the load transmitted to the lower part is reduced to prevent various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user.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제1 및 제2 충격흡수부가 인솔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종족골에 대응하는 발바닥의 앞부분과 종골에 대응하는 뒤꿈치 부분에 대한 충격을 완화할 수는 있으나, 발바닥 앞부분과 뒤꿈치 부분을 제외한 발바닥과 발가락 등에 대한 충격 완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충격 완화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발가락과 발바닥 및 뒤꿈치 전체가 인솔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고 들떠 있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first and second impact-absorbing portions are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the impact on the front portion of the sole and the heel corresponding to the calcaneus can be alleviated, The impact on the soles and toes except for the heel is not mitigated, so that the impact reduction effect is lowered. In addition, the toes, the soles of the soles and the entire heel are not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

또한 상기 선행기술 2는 보행 및 주행 시 신발착용자의 발과 인솔 사이에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고, 신발착용자의 발이 신발에 대하여 앞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술한 선행기술 1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다.In the prior art 2, a slipping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foot and the insole of the shoe wearer during walking and running, and the foot of the shoe wearer tends to move forward with respect to the shoe, thereby failing to solve the problems as in the prior art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0653호(2011.04.20. 공개) "미끄럼방지부가 장착된 신발"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40653 (Published April 20, 2011) "Shoes equipped with anti-slip part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5056호(2005.09.01. 등록) "충격 완화용 인솔"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5056 (Registered on Sep. 1, 2005) "Insole for shock redu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힘이 미끄럼 없이 신발을 통해 지면에 충분히 전달되어 추진력을 증강시키고 보행 및 주행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신발 아웃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outsole which can sufficiently transmit the force of the wearer to the ground through the shoes without slip, thereby enhancing the propulsive force and increasing the walking and running spe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 중에서, 엄지발가락 부분에 가해지는 힘은 물론 둘째발가락, 셋째발가락, 넷째발가락 및 새끼발가락 부분에 가해지는 힘도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어 추진력을 더욱 증강시킬 수 있도록 한 신발 아웃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ing force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driving force by applying a force to a second toe, a third toe, a fourth toe and a toe, as well as a force applied to a big toe, And to provide a shoe outsole that can be reinforc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가락대응부가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발뒤축대응부가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체중 등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에 의한 발가락대응부와 발뒤축대응부의 하향 탄성변형과 상향 탄성복원 과정을 반복하면서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되어 별도의 완충수단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자체적으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신발 아웃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e-supporting portion which is formed to be upwardly inclined toward the front and whose back-to-back portion is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rear so that the toe-supporting portion and the botto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 outsole capable of obtaining a buffering effect itself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buffer means because the buffering action is performed while repeating the elastic restoring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바닥대응부와 발뒤축대응부에 복수개의 완충작용부를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신발 아웃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outsole having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portions at foot corresponding portions and foot corresponding portions, so as to obtain a buffering effect by itsel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에 의한 힘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될 때에도 발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하여 착용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발목 부상을 입는 일이 없고 추진력이 손실되는 일이 없게 되어 안정적인 보행 및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신발 아웃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foot from slipping to the right or left when the force applied by the wearer is biased to the left or right so that the wearer does not lose balance or fall or suffer an ankle injury, And to provide a shoe outsole capable of walking and runn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게 중심을 아웃솔의 선단부 쪽으로 편중시켜 빠른 주행 시의 땅닿기 시기에 아웃솔의 선단부가 지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되는 데에 도움을 주어 빠른 주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신발 아웃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outsole which can be used to make the center of gravity to be directe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outsole and to help the front end of the outsole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ground during a fast landing time, .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발바닥대응부와, 상기 발바닥대응부의 선단부에 착용자의 발가락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발가락대응부와, 상기 발바닥대응부의 후단부에 착용자의 발뒤축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발뒤축대응부, 및 상기 발바닥대응부의 선단부와 발가락대응부의 후단부 사이에 착용자의 오목부에 대응하여 상면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추진력증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발 아웃솔을 제공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e for a foot, comprising: a foot correspon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sole of a wearer; a toe corresponding portion formed at a tip end of the sole correspon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wearer's toe; And a propulsion enhanc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toe corresponding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wearer and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in a convex shape, .

상기 추진력증강부는 상면이 볼록하고, 하면이 오목한 엠보싱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hrust increasing portion is formed in an embossed shape having a convex upper surface and a concave lower surface.

상기 발가락대응부는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toe correspond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상기 발뒤축대응부는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footrest correspond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상기 발바닥대응부와 발뒤축대응부의 좌우방향 중간부를 지나는 중앙선을 따라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롤링작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rolling action portion having an upper surface convexly formed along a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medi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les of the foot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footrest corresponding portion.

상기 롤링작용부는 상면이 볼록하고 하면이 오목한 엠보싱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ing action portion is formed in an embossed shape having a concave upper surface and a concave lower surface.

상기 발바닥대응부 및 발뒤축대응부에 상면이 볼록하고 하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완충작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plurality of cushioning portions having an upper surface convex and a lower surface concave on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footrest corresponding portion.

본 발명의 신발 아웃솔에 의하면, 발바닥대응부와 발가락대응부 사이에 추진력증강부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힘이 미끄럼 없이 신발을 통해 지면에 충분히 전달되어 추진력을 증강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hoe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ust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toe corresponding portion, so that the force of the wearer can be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ground surface through the shoes without slipping, thereby enhancing the propulsion force.

또한 본 발명의 신발 아웃솔에 의하면, 발바닥대응부와 발가락대응부 사이에 구비되는 추진력증강부가 착용자의 힘 중 엄지발가락 부분에 가해지는 힘은 물론 둘째발가락, 셋째발가락, 넷째발가락 및 새끼발가락 부분에 가해지는 힘도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어 추진력을 더욱 증강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oe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ulsion-enhanc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toe correspondence portion is applied to the second toe, the third toe, the fourth toe and the toes of the wearer, The losing force can also generate the propulsive force,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propulsive force.

또한 본 발명의 신발 아웃솔에 의하면, 발가락대응부가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발뒤축대응부가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착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에 의한 발가락대응부와 발뒤축대응부의 하향 탄성변형과 상향 탄성복원 과정을 반복하면서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되어 별도의 완충수단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자체적으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hoe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e-correspond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el and back support is inclined upwards to the rear so that the toe-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bottom- The buffering action is performed while repeating the elastic restoring process so that the buffering effect can be obtained by itself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buffer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신발 아웃솔에 의하면, 발바닥대응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완충작용부가 보행 및 주행 시 가해지는 힘에 따라 하향 탄성변형과 상향 탄성복원을 반복하면서 자체적으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oe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uffer operating parts provided on the sole corresponding parts can obtain a buffering effect by repeating the downward elastic deformation and the upward elastic restoration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during walking and running.

또한 본 발명의 신발 아웃솔에 의하면, 무게 중심을 발바닥대응부의 선단부와 발가락대응부 쪽으로 편중시켜 빠른 주행 시의 땅닿기 시기에 발바닥대응부의 선단부와 발가락대응부가 지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되는 데에 도움을 주어 빠른 주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shoe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gravity is biased toward the tip end portion of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toe corresponding portion, thereby helping the tip portion of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oot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ground So that a fast running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도 1은 보행주기 중 서있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보행주기 중 흔들기를 보인 도면,
도 3은 서있기의 한쪽 다리의 정면도 및 한쪽 발의 저면도,
도 4는 발의 측면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아웃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아웃솔의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아웃솔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발가락대응부와 추진력증강부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B-B선, C-C선, D-D선, E-E선 및 F-F선 단면도,
도 10은 발바닥대응부 및 발뒤축대응부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G-G선선 단면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nding position during a walking cycle,
FIG. 2 is a view showing wiggling during a walking cycle,
Fig. 3 is a front view of one leg of the stand and a bottom view of one foot,
4 is a side view of the foot,
5 to 11 show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hoe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plan view of a shoe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6,
8 is a plan view of the toe-supporting portion and the thrust increasing por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B line, the CC line, the DD line, the EE line and the FF line in Fig. 8,
Fig. 10 is a plan view of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GG in Fi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아웃솔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hoe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5개의 발가락을 개별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엄지발가락(21), 둘째발가락(22), 셋째발가락(23), 넷째발가락(24) 및 새끼발가락(25)으로 기재하고, 일괄적으로 설명할 경우에는 발가락(20)으로 기재하고, 발바닥(10)의 선단부와 발가락(20)의 사이에 형성된 5개의 오목부를 개별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엄지발가락 오목부(31), 둘째발가락 오목부(32), 셋째발가락 오목부(33), 넷째발가락 오목부(34) 및 새끼발가락 오목부(35)로 기재하고, 일괄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오목부(30)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five toes are individually described, the toes 21, the second toes 22, the third toes 23, the fourth toes 24, and the young toes 25 are described collectively In the case of describing five toe recesses form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sole 10 and the toes 20, the toe recesses 31, the second toe recesses 31, The third toe recess 33, the fourth toe recess 34 and the young toe recess 35 will be described as the concave portion 30. The concave portion 3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아웃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왼발용 아웃솔을 보인 것이다.4 to 11 show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hoe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11 show the left foot outsole.

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OS)은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의 평면투영 형상에 대응하는 외곽형상을 가진다.As shown in Figs. 4 to 11, the outsole O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out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ane projection shape of the foot.

상기 아웃솔(OS)은 착용자의 발바닥(10)에 대응하여 중간부에 형성되는 발바닥대응부(100)와, 착용자의 발가락(20)에 대응하여 상기 발바닥대응부(10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발가락대응부(200)와, 착용자의 오목부(30)에 대응하여 상기 발바닥대응부(100)와 발가락대응부(200) 사이에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추진력증강부(300) 및, 착용자의 발뒤축(40)에 대응하여 상기 발바닥대응부(100)의 후단부에 발뒤축(40)에 형성되는 발뒤축대응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utsole OS includes a foot corresponding portion 100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corresponding to a wearer's foot 10 and a toe portion formed at a tip portion of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1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wearer's toe 20, An urging force enhancing part 300 having an upper surface convexly formed between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100 and the toe corresponding portion 2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cave portion 30 of the wearer, And a footrest corresponding part 40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oot corresponding part 1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foot rest 40.

아웃솔(OS)는 발의 투영면적에 대응하며 갑피나 밴드를 결합하기 위한 여유만큼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웃솔(OS)의 가장자리에는 상향 돌출된 테두리부(F)가 구비된다.The outsole (OS) corresponds to the projected area of the foot and can be formed to have a large area as much as a margin for joining the upper or the band. An edge F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outsole OS.

상기 발바닥대응부(100)는 착용자의 발바닥(10)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10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oles 10 of the wearer.

상기 발가락대응부(200)는 착용자의 발가락(20)들의 형상에 따라 엄지발가락(21)에 대응하는 부분이 낮고, 새끼발가락(25)에 대응하는 부분을 향하여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엄지발가락(21), 둘째발가락(22), 셋째발가락(23), 넷째발가락(24) 및 새끼발가락(25)가 모두 발가락대응부(2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toe counterpart 200 is formed to have a low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ig toe 21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earer's toes 20 and to be gradually inclined upward towar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oe 25, The second toe 22, the third toe 23, the fourth toe 24 and the young toe 25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e counterpart 200.

이에 따라 보행 및 주행 시 착용자의 엄지발가락(21), 둘째발가락(22), 셋째발가락(23), 넷째발가락(24) 및 새끼발가락(25)가 모두 발가락대응부(200)에 균등한 힘으로 밀착되어 보행주기의 「발가락떼기」 시기 및 주행 시의 「추진기」 시기에 발가락대응부(200) 중 엄지발가락(21) 쪽에 대응하는 부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추진력뿐만 아니라 둘째발가락(22), 셋째발가락(23), 넷째발가락(24) 및 새끼발가락(25) 쪽에 대응하는 부분에 가해지는 힘이 모두 추진력으로 사용되어, 결과적으로 추진력이 증강되며, 힘차고 빠른 보행 및 주행이 가능하게 되고, 그 만큼 착용자의 체력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The toe 21, the second toe 22, the third toe 23, the fourth toe 24 and the young toe 25 of the wearer are both applied to the toe counterpart 200 with equal force Not only the propulsive force due to the force applied to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umb toe 21 of the toe counterpart 200 during the "toe peeling" period of the gait cycle and the "propeller" The third toe 23, the fourth toe 24, and the young toe 25 are all used as the driving force. As a result, the driving force is increased, So that the wearer's physical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ccordingly.

또한 상기 발가락대응부(200)는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발뒤축대응부(400)는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행 및 주행 시 착용자의 힘이 가해지는 시기에는 하방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게 되고, 착용자의 힘이 소멸되는 시기에는 상방으로 탄성복원되면서 착용자의 발을 들어올리는 힘으로서 작용하게 되어 착용자가 발을 떼는 동작에 도움을 주게 되어 경쾌한 보행 및 주행이 가능하게 되며, 착용자의 체력소모를 저감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toe counterpart 200 is formed to be upwardly inclined toward the front, and the back and forth shoe counterpart 40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and is elastically deformed downward when the wearer's force is applied during walking and running, When the wearer's force is extinguished, the wearer's elasticity is restored upward, thereby acting as a force for lifting the wearer's foot, thereby helping the wearer to release his / her foot. Thus, light walking and running are possible, Thereby reducing the physical power consumption of the user.

또한 상기 발가락대응부(200)는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행 및 주행 시 신발착용자의 발이 신발에 대하여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신발착용자의 발톱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toe counterpart 20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eet of the shoe wearer from leaning forward to the shoe during walking and running, thereby preventing the shoe of the shoe wearer from being injured.

상기 추진력증강부(300)는 상면으로만 볼록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면이 볼록하고 하면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하여 아웃솔(OS)의 중량을 감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ust increasing unit 300 may be formed to be convex only on the upper surfac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ust increasing unit 30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convex and the lower surface is concav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outsole OS.

상기 추진력증강부(300)는 높이가 착용자의 오목부(30)들의 형상에 따라 엄지발가락 오목부(31)에 대응하는 부분이 낮고, 새끼발가락 오목부(35)에 대응하는 부분을 향하여 점차 높아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전후방향 폭이 엄지발가락 오목부(31)에 대응하는 부분이 좁고, 새끼발가락 오목부(35)에 대응하는 부분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엄지발가락 오목부(31), 둘째발가락 오목부(32), 셋째발가락 오목부(33), 넷째발가락 오목부(34) 및 새끼발가락 오목부(35)가 모두 추진력증강부(3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thrusting force enhancing portion 300 is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toe 31 is low and the height of the portion of the thrusting reinforcement 300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35 of the wearer is low To-be-depressed portion 31 of the wearer's shoulder is formed so as to be gradually widened towar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oe recessed portion 35, so that the wearer's thumb toe recess 31, The toe recesses 32, the third toe recesses 33, the fourth toe recesses 34 and the young toe recesses 35 can all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hrust increasing unit 300.

이에 따라 보행주기의 「발가락떼기」 시기 및 주행주기의 「추진기」 시기에 착용자의 엄지발가락(21), 둘째발가락(22), 셋째발가락(23), 넷째발가락(24) 및 새끼발가락(25) 부분이 모두 추진력증강부(300)에 걸려서 후방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추진력이 손실되는 일이 없이 그대로 전달되어 추진력이 증강되고, 그 만큼 보행 및 주행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착용자의 체력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The second toe 22, the third toe 23, the fourth toe 24, and the young toe 25 of the wearer during the "toe lifting" period of the walking cycle and the "propeller" So that the driving force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walking and traveling speed can be increased by that much, and the wearer's physical strength can be reduced. .

또한 상기 발가락대응부(200)는 엄지발가락(21), 둘째발가락(22), 셋째발가락(23), 넷째발가락(24) 및 새끼발가락(25)가 모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추진력증강부(300)는 엄지발가락 오목부(31), 둘째발가락 오목부(32), 셋째발가락 오목부(33), 넷째발가락 오목부(34) 및 새끼발가락 오목부(35)가 모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의 조건이나 보행 및 주행 상황에 따라 새끼발가락(25) 쪽으로 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새끼발가락(25)이 발가락대응부(200)에 밀착되어 있고, 새끼발가락 오목부(35)가 추진력증강부(30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착용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새끼발가락(25) 또는 발목에 부상을 입는 일이 없게 된다.The toe counterpart 200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toe 21, the second toe 22, the third toe 23, the fourth toe 24 and the young toe 25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einforcing portion 300 can be in contact with both of the thumb toe recess 31, the second toe recess 32, the third toe recess 33, the fourth toe recess 34 and the young toe recess 35 The young toe 2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e counterpart 200 even when strong force is applied to the young toe 25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ground or the walking and running conditions, 35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thrust increasing unit 300, the wearer loses balance and falls, and the young toe 25 or the ankle is not injur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아웃솔은 상기 발바닥대응부(100)와 발뒤축대응부(400)의 좌우방향 중간부를 지나는 중앙선을 따라 상면이 볼록한 롤링작용부(500)를 더 포함한다.The shoe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rolling action part 500 whose upper surface is convex along a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medial part of the foot sole support part 100 and the foot support part 400.

상기 롤링작용부(500)는 상면으로만 볼록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면이 볼록하고 하면이 오목한 엠보싱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아웃솔(OS)의 중량을 감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lling action portion 500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only on the upper surfac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ing action portion 50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convex and the lower surface is concave emboss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outsole OS.

상기 롤링작용부(500)는 보행 및 주행 시 지면의 조건이나 보행 및 주행 상황에 따라 힘이 롤링작용부(500)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되어 가해지는 경우 착용자의 발이 아웃솔(OS)에 대하여 롤링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left or right side relative to the rolling operation part 500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of the ground or the walking and running conditions during walking and running,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착용자의 발바닥(10) 및 발뒤축(40)의 좌반부 또는 우반부가 발바닥대응부(100) 및 발뒤축대응부(400)의 좌반부 또는 우반부에 밀착되고, 롤링작용부(500)가 착용자의 발바닥(10)과 발뒤축(40)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어 착용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발목 부상을 입는 일이 없고 추진력이 손실되는 일이 없게 되어 안정적인 보행 및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The left half or the right half of the wearer's soles 10 and the back of the foot 4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eft half or the right half of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100 and the back and forth shaft corresponding portion 400, The foot 10 and the footrest shaft 40 are held so as not to slide to the right or left so that the wearer does not lose balance and falls or is not injured by an ankle and does not lose his propulsion force, .

또한 이 경우 발가락(20)과 오목부(30)도 좌측에 위치한 엄지발가락(21)와, 둘째발가락(22) 및 엄지발가락 오목부(31)와 둘째발가락 오목부(32) 또는 우측에 위치한 넷째발가락(24)과 새끼발가락(25) 및 넷째발가락 오목부(34)와 새끼발가락 오목부(35)가 발가락대응부(200)와 추진력증강부(300)의 좌반부 또는 우반부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발목 부상을 입는 일이 없고 추진력이 손실되는 일이 없게 되어 안정적인 보행 및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toe 20 and the concave portion 30 are also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thumb toe 21, the second toe 22, the big toe concave portion 31 and the second toe concave portion 32, The toes 24, the toes 25 and the fourth toe recesses 34 and the toe recesses 35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eft half or the right half of the thigh support portion 200 and the thrust support portion 300 Therefore, the wearer does not lose balance and falls, does not suffer an ankle injury, and there is no loss of propulsion force, so that stable walking and running are possible.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아웃솔은 착용자의 발바닥(10)과 발가락(20)과 오목부(30) 및 발뒤축(40)의 형상을 3차원 스캐닝하여 스캐닝된 형태에 따라 발바닥대응부(100), 발가락대응부(200), 추진력증강부(300) 및, 발뒤축대응부(400)를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다.The shoe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to scan the shape of the wearer's soles 10, toes 20, recesses 30 and feet 40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and scan the foot corresponding parts 100, The counterpart 200, the thrust increasing unit 300, and the weft counter shaft counterpart 400. [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OS)의 저면에는 도시예와 같이 축구화용을 적용할 경우 스파이크 돌기(S)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적용되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요철부 또는 스파이크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Also, spike protrusions S can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sole (O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soccer shoe is applied as shown in the drawing. Various types of protrusions or spikes .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OS)은 발바닥대응부(10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완충작용부(610)와 발뒤축대응부(40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완충작용부(620)를 더 포함한다(도 10 및 도 11 참조).The outsole (O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buffer function parts 610 formed in the sole corresponding part 100 and a plurality of buffer function parts 620 formed in the foot corresponding part 400 (See Figs. 10 and 11).

상기 발바닥대응부(100)에 형성되는 완충작용부(610)는 도시예와 같이, 상기 발바닥대응부(100)에 좌우 4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뒤축대응부(400)에 형성되는 완충작용부(620)는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신발의 크기에 따라 증감될 수 있는 것이다.The shock absorbing portions 610 formed on the soles corresponding to the soles 100 are formed in four pai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oles corresponding to the soles 100 as shown in the figure, (620) may be form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hoe.

또한 도 11에서는 발바닥대응부(100)의 선단부측에 형성된 완충작용부(610)의 단면을 도시하였으나, 나머지 완충작용부(610, 620)도 이와 대등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11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buffering action portion 610 form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plantar portion 100,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remaining buffering action portions 610 and 620 also have the same sectional shape.

상기 완충작용부(610, 620)는 상면이 오목하고 하면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The buffering portions 610 and 620 are concave on the upper surface and convex on the lower surface.

상기 완충작용부(610, 620)는 보행 및 주행 시 착용자의 힘이 발바닥대응부(100)와 발뒤축대응부(400)에 가해질 때 하방으로 탄성변형하였다가 착용자에 의한 힘이 소멸될 때 상방으로 탄성복원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충작용을 하여 착용자에 대한 충격 전달을 최소화하게 된다.The cushioning portions 610 and 620 are elastically deformed downward when the wearer's force is applied to the soles corresponding portion 100 and the heel axis correspondence portion 400 during walking and running, The elastic restoring process is repeated. Through this process, the shock transmission to the wearer is minimized by buffering action.

한편, 빠른 주행 시에는 발뒤축(40)이 먼저 지면에 닿지 않고 발바닥대응부(100)의 선단부와 발가락대응부(200) 및 추진력증강부(300)가 먼저 지면에 닿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착용자가 발목에 힘을 주어 발이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꺾어야 하므로 불필요한 힘이 소모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at the time of fast running, the foot shaft 40 does not touch the ground first, but the front end of the foot corresponding part 100, the toe corresponding part 200 and the thrust increasing part 300 first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unnecessary force may be consumed.

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OS)은 무게중심이 발바닥대응부(100)의 선단부와 발가락대응부(200) 쪽으로 편중되도록 구성된다.The outsole (O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its center of gravity is biase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100 and the toe corresponding portion 200 side.

이에 따라 착용자가 발목에 힘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바닥대응부(100)의 선단부와 발가락대응부(200) 및 추진력증강부(300)가 하향 경사지는 상태로 되도록 함으로써 빠른 주행 시 불필요한 힘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wearer does not apply force to the ankle,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100, the toe corresponding portion 200, and the thrust increasing portion 300 are inclined downward, thereby consuming unnecessary force .

아웃솔(OS)의 무게중심이 발바닥대응부(100)의 선단부와 발가락대응부(200) 쪽으로 편중되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저면에 형성되는 요철부 또는 스파이크 돌기를 발바닥대응부(100)의 선단부와 발가락대응부(200) 쪽에 집중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configur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utsole (OS) to be biase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100 and the toe corresponding portion 200, concave / convex portions or spike protrusions formed on the bottom face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100 and the toe correspondence Can be formed intensively on the substrate 200 side.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발바닥 20 : 발가락
30 : 오목부 40 : 발뒤축
OS : 아웃솔 F : 테두리부
100 : 발바닥대응부 200 : 발가락대응부
300 : 추진력증강부 400 : 발뒤축대응부
500 : 롤링작용부 610, 620 : 완충작용부
10: sole 20: toe
30: recess 40:
OS: Outsole F: Rim
100: sole corresponding part 200: toe corresponding part
300: thrust increasing unit 400:
500: Rolling operating part 610, 620: Buffer operating part

Claims (8)

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발바닥대응부와,
상기 발바닥대응부의 선단부에 착용자의 발가락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발가락대응부와,
상기 발바닥대응부의 후단부에 착용자의 발뒤축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발뒤축대응부, 및
상기 발바닥대응부의 선단부와 발가락대응부의 후단부 사이에 착용자의 오목부에 대응하여 상면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추진력증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력증강부는 엄지발가락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낮고, 새끼발가락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향하여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는 신발 아웃솔
A foot correspon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les of the wearer,
A toe corresponding portion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sole correspon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oe of the wearer,
A footrest corresponding portion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ootrest of the wearer,
And a thrust increasing part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foot corresponding part and the rear end of the toe corresponding part in a convex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art of the wearer,
Wherein the thrust increasing unit includes a shoe outsole having a low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toe and a low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to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증강부는 상면이 볼록하고, 하면이 오목한 엠보싱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ust increasing portion is formed in an embossed shape having a convex upper surface and a concave low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대응부는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e correspond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뒤축대응부는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ootrest correspond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대응부와 발뒤축대응부의 좌우방향 중간부를 지나는 중앙선을 따라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롤링작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olling action portion having a top surface formed to be convex along a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medi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les of the foot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footrest correspond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작용부는 상면이 볼록하고 하면이 오목한 엠보싱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lling action portion is formed in an embossed shape having a convex upper surface and a concave low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대응부 및 발뒤축대응부에 상면이 볼록하고 하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완충작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ushioning portions having an upper surface convex and a lower surface concave on the foot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footrest correspond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증강부는 전후방향 폭이 엄지발가락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좁고, 새끼발가락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ust increasing unit is formed such that a width of the thrust increas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of the toe to the front is narrow and a width of the thigh toe corresponds to the concave of the toe.
KR1020170120341A 2017-09-19 2017-09-19 Outsole of shoes KR1018980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41A KR101898076B1 (en) 2017-09-19 2017-09-19 Outsole of shoes
PCT/KR2018/010780 WO2019059584A1 (en) 2017-09-19 2018-09-13 Shoe outsole
CN201880059843.5A CN111093415A (en) 2017-09-19 2018-09-13 Shoe outsole
US16/647,673 US20200260818A1 (en) 2017-09-19 2018-09-13 Shoe outsole
JP2020537120A JP2020534126A (en) 2017-09-19 2018-09-13 Footwear outs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41A KR101898076B1 (en) 2017-09-19 2017-09-19 Outsole of sho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076B1 true KR101898076B1 (en) 2018-10-04

Family

ID=6386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341A KR101898076B1 (en) 2017-09-19 2017-09-19 Outsole of shoe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60818A1 (en)
JP (1) JP2020534126A (en)
KR (1) KR101898076B1 (en)
CN (1) CN111093415A (en)
WO (1) WO2019059584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98B1 (en) 2019-05-31 2020-03-13 안태훈 The outsole in which the toe stopping pad capable of positioning is included
KR20240021556A (en) 2022-08-10 2024-02-19 안태훈 Shoe sole reduces the pressure on to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004A (en) * 1999-07-07 2001-03-21 Asics Corp Shoe sole
JP5209080B2 (en) * 2003-10-09 2013-06-12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Footwear having a stretchable upper and a footwear bottom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6035B2 (en) * 1993-06-30 1997-12-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Shock absorbing member for shoes and shoes with shock absorbing function
JP2002165604A (en) * 2000-11-29 2002-06-11 Kazuko Motomura Footgear
KR20090109530A (en) * 2006-11-06 2009-10-20 뉴톤 러닝 컴퍼니, 인크. Sole construction for energy storage and rebound
WO2008108562A1 (en) * 2007-03-04 2008-09-12 Jong-Soo Kim Shoe
CN201157024Y (en) * 2008-01-02 2008-12-03 颜永诚 Health shoes
KR20100000799U (en) * 2008-07-16 2010-01-26 김정희 The shoes bottom piece which has the bends which is identical with the sole of a foot structure of the person
KR20110004571A (en) * 2009-07-08 2011-01-14 이우청 The sole of shoe
EP2361521B1 (en) * 2010-02-25 2017-01-04 Stonefly S.p.A. Footwear with shock absorbing sole
CN202760309U (en) * 2012-05-28 2013-03-06 广东统一人力资源创富就业促进中心 Health-care sole
JP3211214U (en) * 2017-04-17 2017-06-29 有限会社プレーン Shoes and so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004A (en) * 1999-07-07 2001-03-21 Asics Corp Shoe sole
JP5209080B2 (en) * 2003-10-09 2013-06-12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Footwear having a stretchable upper and a footwear bottom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98B1 (en) 2019-05-31 2020-03-13 안태훈 The outsole in which the toe stopping pad capable of positioning is included
WO2020242022A1 (en) * 2019-05-31 2020-12-03 안태훈 Footwear sole provided with position-adjustable toe stopping pad
KR20240021556A (en) 2022-08-10 2024-02-19 안태훈 Shoe sole reduces the pressure on t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584A1 (en) 2019-03-28
US20200260818A1 (en) 2020-08-20
JP2020534126A (en) 2020-11-26
CN111093415A (en) 202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709B1 (en) Sole and footware provided with this
JP2791658B1 (en) Shoe soles and shoes and sandals containing them
JPH07298903A (en) Bottom of shoes
WO2015056958A1 (en) Midsole for dispersing pressure of mesopodium and metatarsal bones, and shoe having same
KR101898076B1 (en) Outsole of shoes
KR101773939B1 (en) Soles of shoes
KR101933660B1 (en) midsole
JP3874982B2 (en) Shoe sole
KR101032640B1 (en) Shoes for energy consumption increasing and self-correcting walking by adding weight in front and medial or lateral part
KR100639503B1 (en) Health rocking shoes.
JP6721995B2 (en) Method for training strength and footwear used therefor
KR100978290B1 (en) Functonal shoes
KR101196569B1 (en) Gait correction and muscle-boosting shoes
KR101693773B1 (en) The shoes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walking
KR100984270B1 (en) Shoes for energy consumption increasing and self-walking by adding weight in front and medial or lateral part
KR20240021556A (en) Shoe sole reduces the pressure on toe
JP3211541U (en) footwear
JP2005081030A (en) Footwear for correcting walking, and attached sole member set constituting the footwear for correcting walking
JP2013099491A (en) Footwear
KR20100009229A (en) Healthy shoes
KR20230000481A (en) Functional Outsole
JP2018078968A (en) Shoe
KR20240033750A (en) Functional outsole for shock absorption
KR101033663B1 (en) Soles for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and Shoes Therefor
KR101045212B1 (en) Walking exercise and jumping in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