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183B1 -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 Google Patents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183B1
KR101897183B1 KR1020170063427A KR20170063427A KR101897183B1 KR 101897183 B1 KR101897183 B1 KR 101897183B1 KR 1020170063427 A KR1020170063427 A KR 1020170063427A KR 20170063427 A KR20170063427 A KR 20170063427A KR 101897183 B1 KR101897183 B1 KR 101897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link
stopper
uni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규
Original Assignee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3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damping or preventing mechanical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는, 선풍기의 좌, 우 방향의 수진구동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진모터; 상기 수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위한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각도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선풍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주고정부; 및 상기 지주고정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고정부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지주;를 포함하되,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이 흔들리지 않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주의 외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베어링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lower part rotation structure of electric fan}
본 발명은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선풍기의 헤드부측이 아닌 지주의 하부측에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위한 수진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이 마련됨으로써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시 헤드부측의 하중에 따른 흔들림(진동) 없이 부드럽게 회전이 가능하며,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절기에 인공적으로 바람을 일으켜 더위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풍기가 사용된다. 선풍기는 스탠드에 설치된 지지대에 직각방향으로 헤드부가 설치되어 있고, 헤드부에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팬이 구비되어 있어 모터의 구동으로 인하여 모터의 회전축과 송풍팬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헤드부의 후방과 주위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시킴에 따라 바람이 발생되는 지주식 선풍기가 있다.
이러한 지주식 선풍기는 헤드부가 좌, 우로 180°범위를 넘지 않는 일정 각도 범위를 왕복하면서, 바람을 전방으로 토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상기한 지주식 선풍기는 좌우로 왕복하는 범위를 벗어난 곳으로는 바람이 전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좌우 방향으로 360° 회전이 가능한 선풍기를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위해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가 선풍기의 헤드부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소정의 높이에 설치된 헤드부의 하중에 의해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시 헤드부측에 흔들림(진동)이 발생하여 부드럽게 회전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소음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2013-0027899호(공고일자 2004.12.16.)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선풍기의 헤드부측이 아닌 지주의 하부측에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위한 수진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이 마련됨으로써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시 헤드부측의 하중에 따른 흔들림(진동) 없이 부드럽게 회전이 가능하며,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는, 선풍기의 좌, 우 방향의 수진구동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진모터; 상기 수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위한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각도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선풍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주고정부; 및 상기 지주고정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고정부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지주;를 포함하되,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이 흔들리지 않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주의 외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베어링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링크부의 상측에는 상기 링크부의 고정을 위한 링크고정구가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의 하측에는 링크고정구 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링크부가 상기 링크고정구와 링크고정구 커버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베어링의 외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상기 베어링의 고정을 위한 베어링고정 커버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지주고정부의 내측에는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각도조절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일측에 상기 선풍기의 좌, 우 각도조절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 1 스토퍼 및 타측에 제 2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각도조절홈은 상기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수동으로 실시할 경우, 상기 각도조절홈에는 상기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의 사이 범위 내에서 상기 선풍기의 좌, 우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각도조절부의 일측에 마련된 스토퍼핀이 상기 각도조절홈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선풍기의 헤드부측이 아닌 지주의 하부측에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위한 수진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이 마련됨으로써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시 헤드부측의 하중에 따른 흔들림(진동) 없이 부드럽게 회전이 가능하며,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중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중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는 수진모터(10), 링크부(20), 각도조절부(30), 지주고정부(40), 베어링(50) 및 지주(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진모터(10)는 선풍기의 좌, 우 방향의 수진구동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링크부(20)는 상기 수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링크부(20)의 상측에는 상기 링크부(20)의 고정을 위한 링크고정구(21)가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20)의 하측에는 링크고정구 커버(2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20)가 상기 링크고정구(21)와 링크고정구 커버(22)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수진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아래에 설명될 각도조절부(3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각도조절부(30)는 상기 링크부(20)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20)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위한 회전각도(좌측 또는 우측)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구성이다.
지주고정부(40)는 상기 각도조절부(30)에 의해 상기 선풍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다.
지주(60)는 상기 지주고정부(4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고정구(4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성이다. 즉, 지주(6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풍향이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지주고정부(40)의 내측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각도조절홈(41)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30)는 일측에 상기 선풍기의 좌, 우 각도조절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 1 스토퍼(31) 및 타측에 제 2 스토퍼(3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각도조절홈(41)은 상기 제 1 스토퍼(31) 및 제 2 스토퍼(3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수동으로 실시할 경우,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홈(41)에는 상기 제 1 스토퍼(31) 및 제 2 스토퍼(32)의 사이 범위에서 상기 선풍기의 좌, 우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각도조절부(30)의 일측에 마련된 스토퍼핀(33)이 상기 각도조절홈(41)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이 흔들리지 않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주(60)의 외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베어링(50)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베어링(50)이 지주(60)의 외측 둘레에 결합됨으로써 지주(6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흔들리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회전함으로써 소음 발생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50)의 외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상기 베어링(50)의 고정을 위한 베어링고정 커버(5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베어링고정 커버(51)에 베어링(50)이 압입되는 형태로 마련되기 때문에 베어링고정 커버(51)와 베어링(50)이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의 작동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수진모터(10)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력은 링크부(20)를 매개하여 각도조절부(30)에 전달되어 지고, 각도조절부(30)가 구동됨에 따라 지주고정부(40)가 선풍기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고정판(70)에 설치된 중심축(71)을 중심으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지주(6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수진모터(10)를 시작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지주가(60) 회전함으로써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에, 본 발명은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위해 헤드부측에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가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지주(60)의 하부 측에 수진모터(10)를 포함하는 구동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선풍기가 흔들리거나 끊어짐 없이 부드럽게 회전함에 따라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는 일반적인 선풍기에서 헤드부측에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가 설치될 경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시 헤드부의 하중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수 있어 부드러운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소음도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수진모터(10)에 의해서는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지주고정부(4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의 각도조절홈(4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30)에 구비된 스토퍼핀(31)에 의해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주(60)의 하측에서 2단 수진구동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경우, 복수의 각도조절홈(41)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 1 스토퍼(31) 및 제 2 스토퍼(32)에 의해 그 사이 범위 내에서 각도를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 및 수동을 포함하는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위해 헤드부측이 아닌 지주(60)의 하측에 설치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수진모터 20 : 링크부
21 : 링크고정구 22 : 링크고정구 커버
30 : 각도조절부 31 : 제 1 스토퍼
32 : 제 2 스토퍼 33 : 스토퍼핀
40 : 지주고정부 41 : 각도조절홈
50 : 베어링 51 : 베어링고정 커버
60 : 지주 70 : 고정판
71 : 중심축

Claims (6)

  1. 선풍기의 좌, 우 방향의 수진구동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진모터; 상기 수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위한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각도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선풍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주고정부; 및 상기 지주고정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고정부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지주;를 포함하되,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이 흔들리지 않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주의 외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지주고정부의 내측에는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각도조절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일측에 상기 선풍기의 좌, 우 각도조절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 1 스토퍼 및 타측에 제 2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각도조절홈은 상기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상측에는 상기 링크부의 고정을 위한 링크고정구가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의 하측에는 링크고정구 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링크부가 상기 링크고정구와 링크고정구 커버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외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상기 베어링의 고정을 위한 베어링고정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풍기의 좌, 우 수진구동을 수동으로 실시할 경우, 상기 각도조절홈에는 상기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의 사이 범위 내에서 상기 선풍기의 좌, 우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각도조절부의 일측에 마련된 스토퍼핀이 상기 각도조절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KR1020170063427A 2017-05-23 2017-05-23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KR101897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427A KR101897183B1 (ko) 2017-05-23 2017-05-23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427A KR101897183B1 (ko) 2017-05-23 2017-05-23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183B1 true KR101897183B1 (ko) 2018-09-11

Family

ID=6359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427A KR101897183B1 (ko) 2017-05-23 2017-05-23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7397A (zh) * 2020-01-19 2021-07-20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送风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093A (ja) * 1991-12-03 1993-06-22 Sanyo Electric Co Ltd 扇風機
KR100450304B1 (ko) * 2001-09-27 2004-09-3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선풍기의 회전 각도 조절 장치
KR200436206Y1 (ko) * 2006-10-04 2007-07-03 강태선 천정형 송풍기 풍향조절장치
KR100955785B1 (ko) * 2008-07-30 2010-05-06 김일주 선풍기 헤드부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130027899A (ko) 2011-09-08 2013-03-18 한문섭 360도 회전되는 선풍기
KR101718602B1 (ko) * 2015-02-26 2017-03-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360도 회전 선풍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093A (ja) * 1991-12-03 1993-06-22 Sanyo Electric Co Ltd 扇風機
KR100450304B1 (ko) * 2001-09-27 2004-09-3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선풍기의 회전 각도 조절 장치
KR200436206Y1 (ko) * 2006-10-04 2007-07-03 강태선 천정형 송풍기 풍향조절장치
KR100955785B1 (ko) * 2008-07-30 2010-05-06 김일주 선풍기 헤드부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130027899A (ko) 2011-09-08 2013-03-18 한문섭 360도 회전되는 선풍기
KR101718602B1 (ko) * 2015-02-26 2017-03-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360도 회전 선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7397A (zh) * 2020-01-19 2021-07-20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送风装置
CN113137397B (zh) * 2020-01-19 2023-08-08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送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7810B2 (en) Rotatable camera controlled by a single motor that moves a camera lens in a panning or tilting motion
US8449252B2 (en) Double-stacked blade ceiling fan and method of operation and method of circulating air
US20080286105A1 (en) Fan with adjustable fan blade pitch
KR101897183B1 (ko) 선풍기의 하부 수진 구조
CN107313958B (zh) 用于风扇的驱动组件及具有的风扇
CN111678013A (zh) 一种具有调节功能移动智能摄像头
JP5836530B1 (ja) 扇風機
US20180100310A1 (en) Louver Drive System
US6914578B1 (en) Pedesta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rotational and bearing stiffness
JP6438906B2 (ja) 角度調整装置及び照明装置
CN108150439A (zh) 一种隐形风扇
CN209931314U (zh) 一种反光驱鸟器
US20030068228A1 (en) Electric fan capable to rotate for 360 degrees
CN206234146U (zh) 一种电风扇的自动上下摆头机构及其电风扇
CN108361214A (zh) 复位组件、扇头组件及风扇
KR101718602B1 (ko) 360도 회전 선풍기
CN205592586U (zh) 一种全角度摄像机巡航机构
CN105840962A (zh) 一种全角度摄像机转动机构
JP7483877B2 (ja) 首振り装置及び扇風機
CN205638167U (zh) 一种新型防飘雨自动百叶窗
KR102321973B1 (ko) 선풍기용 구동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선풍기
JP2006052927A (ja) 給気装置
EP1457735A1 (en) Motorised swivelling lamp
KR20160129454A (ko) 사면 바람 선풍기
KR102665855B1 (ko)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선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