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608B1 -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608B1
KR101896608B1 KR1020170142453A KR20170142453A KR101896608B1 KR 101896608 B1 KR101896608 B1 KR 101896608B1 KR 1020170142453 A KR1020170142453 A KR 1020170142453A KR 20170142453 A KR20170142453 A KR 20170142453A KR 101896608 B1 KR101896608 B1 KR 10189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winding
spring
earphone cord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서
조소혜
이재준
이나나
김수민
Original Assignee
이현서
김수민
이나나
이재준
조소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서, 김수민, 이나나, 이재준, 조소혜 filed Critical 이현서
Priority to KR1020170142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이어폰 줄을 당기기만 하면 원하는 길이만큼 이어폰 줄이 연장되고 버튼을 눌러주면 이어폰 줄이 다시 되감기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자체 회전에 따라 이어폰 줄을 감아주는 상부 감개와, 상기 상부 감개의 회전과 상관없이 이어폰 줄의 선단과 후단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어폰 줄이 통과하는 유입홀과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연동돌기와 결합되는 결합링이 형성된 태엽 스프링과, 상기 연동돌기가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중앙에 원형의 결합홀이 형성된 하부 감개, 및 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에 끼움 결합되고 그 말단에 상기 태엽 스프링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된 회전지지축이 구비되며 측면에 구비되어 좌우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 감개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버튼부가 구비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어폰 줄의 연장과 이어폰 줄의 감김이 손쉽게 조절되므로, 이어폰 줄의 길이 조절이 편리해진다.

Description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EARPHONE HAVING WIRE RETRACTABLE DEVICE}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은 이어폰 줄을 자동으로 감아주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 줄을 당기기만 하면 원하는 길이만큼 이어폰 줄이 연장되고 버튼을 눌러주면 이어폰 줄이 다시 되감기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청취할 때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기 위해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이어폰은 통상적으로 음향이 출력되는 이어폰 출력부와, 상기 이어폰 출력부와 전자기기 본체를 연결하여 본체에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이어폰 출력부에 공급하여 음향을 발생시켜주는 이어폰 줄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어폰 줄은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길이에 여분을 두어 제작된다. 그 결과, 이어폰 줄이 엉키거나 꼬이게 되어 사용 시 이어폰 줄을 풀어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패 형태로 된 감김 휠에 이어폰 줄을 감아서 보관하고, 필요한 경우 감김 휠에 감긴 이어폰 줄을 풀어 사용했다. 하지만, 이러한 감김 휠에 이어폰 줄을 감을 때는 이어폰 줄을 여러 번 감아야 하고, 반대로 이어폰 줄을 이용할 때에는 감김 휠에 감긴 이어폰 줄을 풀어내야 해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감김 휠에 감긴 이어폰 줄을 원하는 길이만큼 당기기만 하면, 이어폰 줄이 원하는 길이만큼 감김 휠로부터 연장되고, 스위치를 누르기만 하면, 연장된 이어폰 줄이 다시 감김 휠에 감기는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은 이어폰 줄을 풀거나 이어폰 줄을 다시 감아 넣을 때, 톱니와 상기 톱니와 맞물리는 스위치가 부딪혀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어폰 줄을 당기기만 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이어폰 줄이 감김 휠로부터 연장되고, 빠져나온 이어폰 줄을 살짝 당기기만 하면, 빠져나온 이어폰 줄이 다시 감김 휠안으로 되감기는 자동 감김 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감김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따른 자동 감김 장치는 베이스판(1)과, 상기 베이스판(1)의 어느 한쪽 면으로부터 베이스판(1)의 수직 방향으로 뻗어 나온 회전지지축(3)과, 상기 회전지지축(3)에 관통된 채 회전지지축(3)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감김 휠(9)과, 일단이 상기 감김 휠(9)의 둘레 면에 고정되어 감김 휠(9)을 따라 감김 휠(9)의 둘레 면에 감기는 이어폰 줄(15)과, 롤(Roll) 형태로 말려지고 일단이 회전지지축(3)에 고정되며 타 단이 감김 휠(9)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는 탄성부재(19)와, 상기 감김 휠(9)과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감김 휠(9)과 함께 회전되고 상부케이스(29)를 마주보는 면에 볼 트랙(25)이 갖추어진 캡(27)과, 상기 캡(27) 위에 씌워지고 볼(31)이 끼워지도록 일자 홈(35)이 갖추어진 상부케이스(29)와, 상기 볼 트랙(25)과 상부케이스(29)의 일자 홈(35) 사이에 끼워져 감김 휠(9)과 일체로 결합 된 캡(27), 및 상기 캡(27)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일자 홈(35)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 트랙(25)을 타고 회전하는 볼(31)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은 감김 휠(9)의 상부에 탄성부재(19)와 볼 트랙이 갖추어진 캡(27)이 구비되는 구조이므로, 감김 휠(9)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 수가 많아서 감김 휠(9)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고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2771호(2017.06.30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90378호(2017.08.0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9244호(2013.07.26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엽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어폰 줄이 자동으로 감겨지며,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태엽 스프링이 감겨지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서 자체 회전에 따라 이어폰 줄이 감겨질 수 있도록 구비된 감김돌기, 및 상기 회전판의 하면에 구비된 연동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부 감개와, 상기 상부 감개가 내삽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도록 원통형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상부 감개의 회전과 상관없이 이어폰 줄의 선단과 후단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어폰 줄이 통과하는 유입홀과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감개의 회전에 따라 일단이 상부 감개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늘려질 수 있도록 상기 일단에 상기 연동돌기와 결합되는 결합링이 형성된 태엽 스프링과, 상기 태엽 스프링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상부 감개와 연동되도록 태엽 스프링의 결합링을 관통하는 연동돌기가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중앙에 원형의 결합홀이 형성된 하부 감개, 및 상기 하부 감개와 태엽 스프링이 내삽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에 끼움 결합되고 그 말단에 상기 태엽 스프링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된 회전지지축이 구비되며, 측면에 구비되어 좌우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 감개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버튼부가 구비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어폰과 일체로 조립되어 판매되는 종래 제품과 달리 기존의 이어폰을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감김 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미 가지고 있는 이어폰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자원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이어폰 줄을 당기기만 하면 원하는 길이만큼 이어폰 줄이 연장되고, 버튼을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연장된 줄이 고정되며, 재차 버튼을 초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빠져나온 이어폰 줄이 자동으로 다시 되감기므로, 이어폰 줄의 길이 조절이 편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 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엉키거나 꼬이게 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꼬인 이어폰 줄을 풀어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 수가 적어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고장 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이하,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은 이어폰 본체(100), 및 상기 이어폰 본체(100)의 이어폰 줄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는 상기 이어폰 본체(100)의 이어폰 줄을 자동으로 감아주는 상부 감개(200)와, 상기 상부 감개(200)의 회전과 상관없이 이어폰 줄의 선단과 말단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이어폰 줄이 통과하는 유입홀(310)과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300)와, 상기 상부 감개(20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태엽 스프링(400)과, 상기 상부 감개(200)에 연동하도록 상부 감개(200)에 연결된 하부 감개(500), 및 상기 하부 감개(500)에 연결되어 하부 감개(500)가 축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지지축(610)을 제공하며 하부 감개(5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하부 케이스(600)를 포함한다.
상기 이어폰 본체(100)는 일반적인 이어폰에 해당하는 구성이므로, 일반적인 이어폰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은 상부 감개(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감개(200)는 이어폰 줄이 감겨진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통해 이어폰 줄을 감아주거나 감겨진 이어폰 줄을 풀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부 감개(200)는 초기 상태에서 이어폰 줄이 복수 회 감겨져 있고, 사용자가 이어폰 줄의 양 단부를 잡아당기는 경우에 정회전,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자체 회전에 따라 태엽 스프링(400)이 늘어나도록 태엽 스프링(40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부 감개(200)는 이어폰 줄의 양 단부가 잡아당겨지는 힘이 해소되면 태엽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역회전,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정회전에 의해 풀려진 이어폰 줄을 초기 상태와 같이 다시 감아준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감개(200)는 회전판(210)과, 상기 회전판(210)의 상면에서 자체 회전에 따라 이어폰 줄이 감겨질 수 있도록 구비된 감김돌기, 및 상기 회전판(210)의 하면에 구비된 연동돌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210)은 상면에 감김돌기와 연동돌기(240)가 설치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원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김돌기는 자체 회전에 의해 이어폰 줄이 복수회로 감겨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회전판(210)을 벗어난 이어폰 줄의 양측을 잡아당기는 경우에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판(210)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1 감김돌기(220) 및 제2 감김돌기(2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감김돌기(220)와 제2 감김돌기(230)는 사용자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는 이어폰 줄의 이동에 의해 회전판(210)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각각 반원기둥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감김돌기(220)와 제2 감김돌기(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줄이 S자형 또는 역S자형으로 감겨질 수 있게 평면 구조를 갖는 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원판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연동돌기(240)는 회전판(210)이 회전됨에 따라 태엽 스프링(400)이 연동될 수 있도록 태엽 스프링(40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회전판(210)의 하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연동돌기(240)는 회전판(210)의 하면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원기둥 구조나 삼각기둥형, 사각기둥형, 오각기둥형 등의 다각기둥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부 감개(200)는 하부 감개(50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판(210)의 하면에 한 개 이상의 결합돌기(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250)는 상부 감개(200)의 회전력을 하부 감개(500)에 전달할 수 있다면 어떠한 기둥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은 상부 케이스(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300)는 상부 감개(200)가 내삽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도록 원통형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것으로, 상부 감개(200)의 회전과 상관없이 이어폰 줄의 선단과 후단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어폰 줄이 통과하는 유입홀(310)과 배출홀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홀(310)과 배출홀은 상부 케이스(300)에서 서로 대칭된 위치에 구비된다. 이는, 이어폰 줄의 일단과 이어폰 줄의 타단을 사용자가 반대 방향에서 잡아당기더라도 상부 케이스(300)에 이어폰 줄이 외력을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입홀(310)과 배출홀은 드라이버 유닛과 접속단자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더라도 이어폰 본체(100)가 상부 케이스(300)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유입홀(310)과 배출홀은 상부 케이스(30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300)의 하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부 케이스(300)는 하부 케이스(600)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케이스(300)의 하단은 하부 케이스(6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하부 케이스(6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60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부 케이스(300)의 하단에는 하부 케이스(600)에 접촉되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제1 나선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나선부(320)는 나사홈 또는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은 태엽 스프링(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를 구성하는 태엽 스프링(400)은 상부 감개(200)의 하부에 배치된 것으로, 이어폰 줄이 당겨짐에 따라 회전된 상부 감개(200)가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부 감개(20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태엽 스프링(400)은 상부 감개(200)가 사용자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3회 회전된 경우, 사용자의 당김력이 해소되면 상부 감개(200)가 시계 방향으로 3회 회전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엽 스프링(400)은 상부 감개(200)의 회전에 따라 일단이 상부 감개(20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태엽 스프링(400) 자체가 늘려질 수 있도록 상기 일단에 연동돌기(240)와 결합되는 결합링(410)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링(410)은 연동돌기(240)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는 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은 하부 감개(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감개(500)는 태엽 스프링(400)의 하부에 배치된 것으로, 중앙에 원형의 결합홀(510)이 형성되고 상부에 안착홈(52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510)은 하부 케이스(600)에 구비된 회전지지축(610)이 하부 감개(5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며, 상기 안착홈(520)은 하부 감개(500)가 상부 감개(200)와 연동되도록 태엽 스프링(400)의 결합링(410)을 관통하는 연동돌기(240)가 하부 감개(500)에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하부 감개(500)는 상부에 전술한 상부 감개(200)의 결합돌기(250)가 결합되는 체결홈(530)이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감개(500)는 외주면을 따라 톱니(5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감개(5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톱니(540)는 하부 케이스(600)에 구비된 버튼부(620)의 말단이 접촉되는 경우에 하부 감개(5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턱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은 하부 케이스(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600)는 하부 감개(500)의 하부에 배치된 것으로, 전술한 상부 케이스(300)와 결합되어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의 외형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하부 케이스(600)는 상기 하부 감개(500)와 태엽 스프링(400)이 내삽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도록 원통형 중공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다. 이때, 하부 케이스(600)의 내경은 하부 감개(500)의 외경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하부 감개(500)의 외경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600)는 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통형 구조를 갖는 회전지지축(610)이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지지축(610)은 하부 감개(500)의 결합홀(510)에 끼움 결합되어 하부 감개(500)가 회전지지축(61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하부 케이스(600)는 회전지지축(610)의 말단에 절개홈(6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홈(612)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태엽 스프링(400)의 중앙에 배치된 타단이 초기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태엽 스프링(400)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절개홈(612)은 회전지지축(610)의 상면에 지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600)는 태엽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 감개(500)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버튼부(620)가 구비된다. 이러한 버튼부(620)는 하부 케이스(6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좌우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 감개(5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 버튼부(620)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600)의 외주면에 구비된 접지패널(622), 및 상기 접지패널(622)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감개(500)에 마주보는 하부 케이스(600)의 내부에 배치된 마찰패널(6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찰패널(624)은 일측 방향으로 상기 접지패널(622)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하부 감개(500)에 접촉되어 하부 감개(500)의 회전을 차단하며, 상기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 방향으로 상기 접지패널(622)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하부 감개(500)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하부 감개(50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하부 케이스(600)는 상부 케이스(300)와 결합을 위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 케이스(600)의 상단은 상부 케이스(3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상부 케이스(3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30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하부 케이스(600)의 상단에는 상부 케이스(300)의 제1 나선부에 접촉되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제2 나선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나선부(630)는 제1 나선부(320)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나선부(320)가 나사홈으로 형성되면 제2 나선부(630)는 나사산으로 형성되며, 제1 나선부(320)가 나사산으로 형성되면 제2 나선부(630)는 나사홈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은 감김 차단블럭(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김 차단블럭(700)은 한 쌍의 드라이버 유닛을 향하여 제1 이어폰 줄과 제2 이어폰 줄이 분기된 분기부에 인접한 이어폰 줄과, 음향기기에 결합되는 접속단자에 인접한 이어폰 줄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입홀(310)과 배출홀을 통과할 수 없는 원뿔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감김 차단블럭(700)은 이어폰 줄이 감겨지는 경우에 분기부가 접속단자가 상부 케이스에 부딪혀 손상되지 않도록 완충재의 기능을 제공하며, 이어폰 줄이 이어폰 줄 감김 장치에 복수회로 감겨진 초기 상태에서 유입홀(310)과 배출홀에 각각 밀착되므로 이어폰 줄 감김 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본체(100)는 한 쌍의 드라이버 유닛을 향하여 분기된 제1 이어폰 줄과 제2 이어폰 줄이 서로 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이어폰 줄과 제2 이어폰 줄 사이에 지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본체(100)는 제1 드라이버 유닛과 제2 드라이버 유닛이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에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드라이버 유닛과 제2 드라이버 유닛에 각각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어폰 사용이 마무리되어 이어폰 줄을 감고자 하는 경우 태엽 스프링(400)의 복원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버튼부(620)를 이동시키면 상기 태엽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오폰 줄이 제1 감김돌기(220) 및 제2 감기돌기(230)에 감기게 된다. 이 때, 이어폰 줄이 긴 경우 상기 제1 감김돌기(220) 및 제2 감김돌기(230)에 줄이 여러 번 겹쳐서 감기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줄이 서로 엉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이어폰 줄의 양 단이 서로 다른 위치로 본 감김 장치에 들어와 감겨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어폰 줄이 감겨지는 제1 감김돌기(220) 및 제2 감김돌기(230)의 외주 표면에 돌출된 경로 분리용 돌출된 형태의 돌출가이드를 형성하여, 이어폰 중 전원 연결단에서 유입되는 줄과 이어 삽입부단에서 유입되는 줄이 서로 다른 경로로 감기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어폰 줄이 감기는 경로분리를 효율적으로 일어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두 개의 유입홀 즉, 이어 삽입부단의 유입홀(320)과 전원 연결단 측의 배출홀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김돌기(220) 및 제2 감김돌기(230)의 외주 표면에 돌출된 경로 분리용 돌출가이드를 통하여 이어 삽입부단에서 유입되는 줄은 상기 제1 감김돌기(220) 및 제2 감김돌기(230)의 상단 쪽으로 감기고, 반대의 전원 연결단을 통하여 유입되는 줄은 상기 제1 감김돌기(220) 및 제2 감김돌기(230)의 하단 쪽으로 감기게 형성한 경우, 이를 이러한 상하단 분리가 줄 유입시부터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상기 이어 삽입부단의 유입홀(320)은 제1 감김돌기(220) 및 제2 감김돌기(230)의 상단쪽으로 줄이 유도될 수 있도록 보다 상단 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 연결단 측의 배출홀은 제1 감김돌기(220) 및 제2 감김돌기(230)의 하단 쪽으로 줄이 유도될 수 있도록 보다 하단 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이어폰 줄이 긴 경우라도 상기 제1 감김돌기(220) 및 제2 감김돌기(230)에 줄 위에 줄이 반복하여 여러 번 겹쳐서 감기게 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줄이 서로 엉키게 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이어폰 본체 200 : 상부 감개
210 : 회전판 220 : 제1 감김돌기
230 : 제2 감김돌기 240 : 연동돌기
250 : 결합돌기 300 : 상부 케이스
310 : 유입홀 400 : 태엽 스프링
410 : 결합링 500 : 하부 감개
510 : 결합홀 520 : 안착홈
530 : 체결홈 540 : 톱니
600 : 하부 케이스 610 : 회전지지축
612 : 절개홈 620 : 버튼부
622 : 접지패널 624 : 마찰패널
700 : 감김 차단블럭

Claims (8)

  1.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서 자체 회전에 따라 이어폰 줄이 감겨질 수 있도록 구비된 감김돌기, 및 상기 회전판의 하면에 구비된 연동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부 감개;
    상기 상부 감개가 내삽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도록 원통형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상부 감개의 회전과 상관없이 이어폰 줄의 선단과 후단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어폰 줄이 통과하는 유입홀과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감개의 회전에 따라 일단이 상부 감개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늘려질 수 있도록 상기 일단에 상기 연동돌기와 결합되는 결합링이 형성된 태엽 스프링;
    상기 태엽 스프링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상부 감개와 연동되도록 태엽 스프링의 결합링을 관통하는 연동돌기가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중앙에 원형의 결합홀이 형성된 하부 감개; 및
    상기 하부 감개와 태엽 스프링이 내삽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에 끼움 결합되고 그 말단에 상기 태엽 스프링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된 회전지지축이 구비되며, 측면에 구비되어 좌우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 감개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버튼부가 구비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감개는 하부 감개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판의 하면에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감개는 상부에 상부 감개의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감김돌기는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1 감김돌기 및 제2 감김돌기와, 이어폰 줄의 양 단이 서로 다른 위치로 들어와 감겨지도록 이어폰 줄이 감겨지는 제1 감김돌기 및 제2 감김돌기의 외주 표면에 돌출 형성된 경로 분리용 돌출가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홀은 상기 돌출가이드를 통해 이어폰 줄의 선단이 제1 감김돌기 및 제2 감김돌기의 상단쪽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의 상단 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돌출가이드를 통해 이어폰 줄의 후단이 제1 감김돌기 및 제2 감김돌기의 하단 쪽으로 줄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의 하단 측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김돌기와 제2 감김돌기는
    각각 반원기둥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어폰 줄이 S자형 또는 역S자형으로 감겨질 수 있게 평면 구조를 갖는 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회전판의 상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의 하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감개는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주면에 구비된 접지패널; 및
    상기 접지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감개에 마주보는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상기 접지패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하부 감개에 접촉되어 하부 감개의 회전을 차단하며, 상기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 방향으로 상기 접지패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하부 감개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마찰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7. 제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드라이버 유닛을 향하여 제1 이어폰 줄과 제2 이어폰 줄이 분기된 분기부와 음향기기에 결합되는 접속단자에 인접한 이어폰 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을 통과할 수 없는 원뿔형 구조를 갖는 감김 차단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줄은
    한 쌍의 드라이버 유닛을 향하여 분기된 제1 이어폰 줄과 제2 이어폰 줄이 서로 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이어폰 줄과 제2 이어폰 줄 사이에 지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KR1020170142453A 2017-10-30 2017-10-30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KR101896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453A KR101896608B1 (ko) 2017-10-30 2017-10-30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453A KR101896608B1 (ko) 2017-10-30 2017-10-30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608B1 true KR101896608B1 (ko) 2018-09-07

Family

ID=6359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453A KR101896608B1 (ko) 2017-10-30 2017-10-30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6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1979A (zh) * 2018-10-30 2019-02-19 嘉兴市华阳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收线机构的多媒体耳机
CN109495804A (zh) * 2018-11-30 2019-03-19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收纳盒
CN109672954A (zh) * 2019-01-28 2019-04-23 广州疯酷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开关装置及包括该耳机开关装置的耳机
CN109704151A (zh) * 2019-03-05 2019-05-03 沈阳建筑大学 一种卷线收纳装置
CN116847232A (zh) * 2023-05-25 2023-10-03 惠州中哲尚蓝柏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无线蓝牙音频设备
KR102663250B1 (ko) * 2022-10-26 2024-05-03 김은미 이어폰 줄 와인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615U (ko) * 2009-12-24 2011-06-30 정환철 권취 기능을 갖는 이어폰장치
KR101289244B1 (ko)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KR101292337B1 (ko) * 2013-02-08 2013-08-01 권헌조 이어폰 보관 장치
KR20160001981A (ko) * 2014-06-30 2016-01-07 한빛 세마텍(주)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
KR101752771B1 (ko) 2016-04-06 2017-06-30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KR20170090378A (ko) 2016-01-18 2017-08-07 주식회사 비에스이 이어폰용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615U (ko) * 2009-12-24 2011-06-30 정환철 권취 기능을 갖는 이어폰장치
KR101292337B1 (ko) * 2013-02-08 2013-08-01 권헌조 이어폰 보관 장치
KR101289244B1 (ko)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KR20160001981A (ko) * 2014-06-30 2016-01-07 한빛 세마텍(주)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
KR20170090378A (ko) 2016-01-18 2017-08-07 주식회사 비에스이 이어폰용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
KR101752771B1 (ko) 2016-04-06 2017-06-30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1979A (zh) * 2018-10-30 2019-02-19 嘉兴市华阳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收线机构的多媒体耳机
CN109361979B (zh) * 2018-10-30 2024-01-23 广东小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收线机构的多媒体耳机
CN109495804A (zh) * 2018-11-30 2019-03-19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收纳盒
CN109495804B (zh) * 2018-11-30 2024-04-0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收纳盒
CN109672954A (zh) * 2019-01-28 2019-04-23 广州疯酷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开关装置及包括该耳机开关装置的耳机
CN109704151A (zh) * 2019-03-05 2019-05-03 沈阳建筑大学 一种卷线收纳装置
KR102663250B1 (ko) * 2022-10-26 2024-05-03 김은미 이어폰 줄 와인더
CN116847232A (zh) * 2023-05-25 2023-10-03 惠州中哲尚蓝柏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无线蓝牙音频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608B1 (ko)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US10483699B2 (en) Retractable cable and cable rewind spool configuration
KR101471904B1 (ko)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US6736346B1 (en) Apparatus for winding cord
US8720657B2 (en) Rewindable electrical cable extension device
KR101752771B1 (ko)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TWI388490B (zh) Wire rewinding device
US8284980B2 (en) Low-profile, retractable earbud storage system
US20170013343A1 (en) Cable winding device
KR101652276B1 (ko) 이어폰용 권취릴
US3695544A (en) Retractable cord reel assembly
KR101716870B1 (ko) 전자기기용 줄 자동 감김 장치
KR101108548B1 (ko) 이어폰 케이블 권취기구
KR200355142Y1 (ko) 스테레오 이어폰 수납 케이스
KR19980010474U (ko) 릴 권취기
KR102663250B1 (ko) 이어폰 줄 와인더
KR20190137550A (ko) 선정리툴
KR101507395B1 (ko) 슬랩 밴드를 이용한 웨어러블 이어폰
KR20110006615U (ko) 권취 기능을 갖는 이어폰장치
GB2562240B (en) A winding device
KR20040045193A (ko) 자동감김장치를 내장한 헤드폰
CN111434598A (zh) 自动卷绕装置
GB2514641A (en) Retractable lead assembly
JP5118103B2 (ja) ケース入り長尺体用止め具付きスプール、及び長尺体用止め具付きスプール
JP2002179342A (ja) 工具落下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