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096B1 - Home Service System - Google Patents

Home Servi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096B1
KR101896096B1 KR1020160121463A KR20160121463A KR101896096B1 KR 101896096 B1 KR101896096 B1 KR 101896096B1 KR 1020160121463 A KR1020160121463 A KR 1020160121463A KR 20160121463 A KR20160121463 A KR 20160121463A KR 101896096 B1 KR101896096 B1 KR 101896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t
devices
control
uni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2358A (en
Inventor
윤동희
김재언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씨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씨오
Priority to KR102016012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096B1/en
Publication of KR20180032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3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0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홈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은, 댁내에 설치된 월패드를 이용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월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복수의 기기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댁내의 거주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거주자를 식별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기기의 사용 패턴 및 식별된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는 패턴 학습부,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하는 UI 제공부 및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되는 거주자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home service system is disclosed. A hom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me service system using a monthly pad installed at home, a data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month pad and receiving usag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devices connected to the month pad, A pattern learning unit that learns a usage patter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a life pattern of the identified residents, a status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statu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 UI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resident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performing control on the plurality of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s of the residents inputted through the GUI, .

Figure R1020160121463
Figure R1020160121463

Description

홈 서비스 시스템{Home Service System}Home Service System {Home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홈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에 설치된 월패드(Wall Pad)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기기 상태 정보와 거주자로부터 수신되는 생활 패턴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거주자의 생활 환경을 고려한 기기 제어를 수행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servi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service system that uses an applianc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a wall pad installed in a home, To a home service system that performs device control in consider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home.

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가정에도 다양한 종류의 가전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정에 설치되는 월패드(Wall Pad)를 통해 가전 제품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various types of household appliances are used at home, and it is possible to monitor and control the state of household appliances through a wall pad installed at home.

거주자는 상기 월패드를 이용하여 방문자 및 경비실과 통화할 수 있으며, 공동현관문을 제어하거나 외부에 설치된 CCTV로부터 제공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도 있다.The resident can talk to the visitor and the security office using the wall pad, and can control the common entrance door or check the screen provided from the CCTV installed in the outside.

한편, 집 외부 또는 내부에서 가전기기 등을 제어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월패드 제조사에서는 제한적인 부분에 한하여 해당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른 제조사 제품과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an attempt has been made to control household appliances and the like from outside or inside the house. However, the wall pad maker provides only the limited functions of the wall pad maker and has a problem of incompatibility with other manufacturers' products.

본 발명은 월패드 제조사에 관계없이 댁내에 설치된 기기의 제어를 수행 가능하고, 거주자의 생활 패턴과 기기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me service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control of equipment installed in a house regardless of a manufacturer of a wall pad and performing automatic control by learning a living pattern of a resident and a usage pattern of th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은, 댁내에 설치된 월패드를 이용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월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복수의 기기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댁내의 거주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거주자를 식별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기기의 사용 패턴 및 식별된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는 패턴 학습부,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하는 UI 제공부 및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되는 거주자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hom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me service system using a monthly pad installed at home, a data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month pad and receiving usag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devices connected to the month pad, A pattern learning unit that learns a usage patter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a life pattern of the identified residents, a status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statu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 UI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resident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performing control on the plurality of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s of the residents inputted through the GUI, .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거주자가 사용하는 단말 기기와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하며, 상기 패턴 학습부는 상기 단말 기기와의 BLE 통신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performs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used by the resident, and the pattern learning unit can learn the life pattern of the resident using the result of the BLE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

또한, 상기 UI 제공부는 식별된 거주자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GUI를 제공하며, 서로 다른 GUI는 각각 서로 다른 제어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UI providing unit may provide a predetermined GUI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residents, and the different GUIs may respectively provide different control rights.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댁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거주자의 단말 기기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installed in the home, and the location of the occupant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nd the terminal equipment of the resident.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거주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control the devic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residen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주자의 상기 댁내에서의 위치 정보, 일정 정보 및 외부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정보는 날씨 정보와 교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de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the external information of the resident in the premises, and the external information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

또한, 상기 GUI는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상기 거주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이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 UI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GUI may preferentially provide a control UI for a device installed closes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sident among the plurality of devices.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분석하여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receiver may analyze a data packe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wall pad.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기기에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부여하고, 상기 댁내의 동일한 공간에 설치된 기기들을 하나의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receiver may assign an identification (ID) to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may set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same space in the home to one same group.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거주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색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unit may periodically output a search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sident exists.

또한, 상기 패턴 학습부는 상기 거주자가 입력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며, 상기 생활 패턴은 요일 및 시간대에 따른 상기 거주자의 제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tern learning unit learns the living pattern of the resident through the control signal inputted by the resident, and the living pattern may include the control pattern of the resident according to the day of the week and the time zone.

본 발명은 월패드 제조사에 관계없이 댁내에 설치된 기기의 제어를 수행 가능하고, 거주자의 생활 패턴과 기기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ome service system that can control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regardless of the manufacturer of the wall pad and learns the life patterns of residents and usage patterns of the devices to perform automatic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복수의 통신 모듈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om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illustrate operations of 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om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데이터 수신부(110), 통신부(120), 패턴 학습부(130), UI 제공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1, a hom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pattern learning unit 130, a UI providing unit 140, a controller 150, .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댁내에 설치된 월패드(Wall Pad)를 이용하며,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월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복수의 기기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The home service system 100 uses a wall pad installed in the house and the data receiving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wall pad and receives usag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devices connected to the wall pa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월패드와 구분되는 별도의 장치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월패드에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eanwhile, the hom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a separate device distinguished from the wall pad. Various data provided to the wall pad are collected and process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user .

월패드(Wall Pad)는 댁내에 설치된 가전기기를 제어하거나, 가스, 전기, 수도 등의 사용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wall pad can control household appliances installed in the house or provide usage information such as gas, electricity, and water. In the case of a building in which an elevator is installed, the wall pad can provid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vator.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월패드에 연결되며, 동시에 댁내에 설치되는 제어 대상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 각각의 사용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각 기기의 온/오프 정보, 전력 사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receiving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wall pad and is connected to a control target device installed in the house at the same time, and receives various data from the control target device. The data includes usage information of each of the control target device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on / off information and power usage information of each device.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월패드와 상기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들이 연결되는 네트워크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에 새로운 기기가 연결되는 경우 새롭게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The data receiving unit 110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to which the wall pad and a plurality of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are connected. When a new device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data receiving unit 110 determines the type of the newly connected device, can do.

한편,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복수의 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분석하여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파악하고, 현재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receiving unit 110 may analyze the data packe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determine the type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wall pad, and extract information on the current usage state.

데이터 수신부(110)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패킷 분석은 상기 월패드와 각각의 기기를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리버스 엔지니어링(Reverse Engineering)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정에 설치된 월패드의 제조사, 종류에 관계 없이 각종 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data packet analysis perform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110 can be understood as reverse engineering for extracting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home network connecting the wall pad and the respective devices and analyzing the extracted data. Thus, state information of various devices can be obtained regardless of the manufacturer of the wall pad installed in the home, and control of each device can be performed.

통신부(120)는 상기 댁내의 거주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거주자를 식별한다. 통신부(120)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통신을 이용하여 거주자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의 상기 댁내 존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거주자의 댁내 거주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BLE 신호의 강도를 분석하여 해당 거주자의 대략적인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sident in the premises, and identifies the resident.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sident is resident in the residence by determining whether the resident's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residence by using low-power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The strength of the BLE signal can be analyzed to determine the approximate location of the resident.

또한, 통신부(120)는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거주자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신부(120)는 상기 거주자의 통신 단말과 지속적인 BLE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grasp the moving line of the resident by grasping the location of the resident, and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mmunication unit 120 performs continuous BLE communication with the resident's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통신부(120)는 상기 댁내에 복수의 거주자들이 거주하는 경우 각각의 거주자들의 댁내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식별하기 위해서 상기 댁내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미리 부여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residents reside in the premises, the communication unit 120 identifies (ID) an identification (ID) to a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resident who lives in the residence .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복수의 기기의 사용 패턴 및 식별된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한다. 상기 복수의 기기의 사용 패턴은 데이터 수신부(110)가 수신하는 상기 복수의 기기의 사용 정보를 통해 학습 가능하다.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learns usage pattern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life patterns of the identified residents. The use pattern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can be learned through us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receiv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110. [

예를 들어, 데이터 수신부(110)는 난방 장치의 사용 여부, 설정된 온도 등에 관한 정보를 상기 난방 장치로붙터 수신할 수 있으며,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난방 장치의 시간대별 사용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ta receiving unit 110 can receiv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heating device is used, the set temperature, etc., with the heating device, and 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learns the usage pattern of the heating device .

또한, 패턴 학습부(130)는 통신부(120)로부터 식별된 거주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거주자의 생활 패턴 및 동선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가 거주자의 상기 댁내 존재를 판단하면,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거주자가 댁내에 머무는 시간의 길이를 판단하고, 상기 거주자의 위치 정보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거주자의 동선을 판단하고 학습할 수 있다.Further, 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occupant identifi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can determine the living pattern and the moving line of the occupant.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resident exists in the residence, 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determines the length of time the resident stays at home, analyzes the change 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ident, It can judge and learn the copper line.

또한, 상기 댁내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상기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댁내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거주자가 각각의 기기를 제어하는 패턴 등을 분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dent who lives in the home can perform control on the device installed in the home us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analyze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analyze a pattern for controlling each device and the like.

예를 들어, 상기 거주자의 조명, 난방, 에어컨, 커튼 등에 대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거주자의 일반적인 기기 제어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요일, 시간을 고려하는 학습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거주자의 낮 시간 동안의 제어 패턴 또는 심야 시간 동안의 제어 패턴을 구분하여 학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signal for lighting, heating, air conditioner, curtain, etc. of the resident can be analyzed to learn a general device control pattern of the resident. At this time, it may be necessary to learn the day, time, and so on, so that the control pattern for the daytime or the control pattern for the night time can be classified and learned.

패턴 학습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획득되는 거주자의 위치 정보와 제어 신호를 함께 학습함으로써 상기 거주자의 위치에 따른 기기 제어 패턴을 학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주자가 거실에 위치하는 경우의 상기 제어 패턴과 상기 거주자가 욕실에 위치하는 경우의 상기 제어 패턴은 다를 수 있으므로, 패턴 학습부(130)는 시간에 따른 거주자의 위치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제어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may learn the device control patter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resident by lear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ignal of the resident obta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together. For example, since the control pattern when the resident is located in the living room and the control pattern when the resident is located in the bathroom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considers the position of the resident along with the time together So that the control pattern can be learned.

따라서, 패턴 학습부(130)는 데이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사용 정보와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모두 고려하여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에 대한 사용 패턴과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생활 패턴은 상기 거주자의 시간에 따른 기기 제어 패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may use the usage pattern for a plurality of devices installed in the house and the usage pattern of the occupant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us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110 and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life pattern includes a device control pattern according to the time of the resident.

UI 제공부(140)는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한다.The UI providing unit 140 provides the resident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evices.

상기 GUI는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되는 조명, 가스차단기, 엘리베이터, 난방, 에어컨, 커튼 등의 현재 상태를 텍스트와 이미지를 통해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UI 제공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거주자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 상기 GUI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GUI may provide statu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connected to the wall pad. The GUI may display the current status of the lighting, the gas breaker, the elevator, the heating, the air conditioner, the curtain, .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UI providing unit 140 provides the GUI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the resid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상기 GUI는 상기 거주자로 하여금 상기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GUI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UI는 상기 댁내에 설치된 조명의 현재 상태를 제공함과 동시에 각각의 조명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GUI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 may include a GUI that allows the resident to control the device. For example, the GUI may include a GUI capable of controlling the on / off operation of each illumination while providing the current state of the illumination installed in the house.

한편, UI 제공부(140)는 식별된 거주자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G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GUI는 각각 서로 다른 제어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댁내에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100)을 사용하는 거주자가 2명의 부모와 1명의 자녀를 포함하는 경우, 자녀에게는 부모에 비하여 제한된 범위의 제어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UI providing unit 140 may provide a predetermined GUI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residents, and the different GUIs may respectively provide different control rights. For example, if a resident who uses the hom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parents and one child, the child may be provided with a limited range of control rights over the parent.

이때, UI 제공부(140)는 부모에게는 상기 댁내에 설치된 모든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녀에게는 제한된 숫자의 기기에 대한 제어만 가능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녀에게는 가스 차단기, 난방장치, 에어컨 등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한 GUI가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I providing unit 140 may provide the parent with a GUI for controlling all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and may provide the child with a GUI capable of only controlling a limited number of devices. For example, a child may be provided with a GUI that is not controllable for gas breakers, heating devices, air conditioners, and the lik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부(120)는 각각의 거주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와의 BLE 통신을 통하여 현재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 거주자가 누구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UI 제공부(140)는 통신부(120)로부터 거주자 식별 결과를 수신하고 식별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GUI를 해당 거주자의 통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identify who is currently residing in the residence through BLE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device used by each resident. The UI providing unit 140 may receive the resident identification resul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transmit the predetermined GUI to the resident's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상기 GUI는 BLE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거주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Wi-Fi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GUI는 상기 거주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거주자에 의한 GUI 요청은 상기 통신 단말에 설치되는 UI 실행을 통해 통신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The GUI may be transmitted to the resident's terminal device using BLE commun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Wi-Fi network. Meanwhile, the GUI may be provid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resident, and the GUI request by the resid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rough execution of UI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제어부(150)는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되는 거주자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거주자는 UI 제공부(140)에서 해당 거주자의 통신 단말에 제공되는 GUI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에 설치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는 제어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plurality of devices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f a resident inputted through the GUI. The resident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evice installed in the home using the GUI provid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resident in the UI providing unit 140. [ The communication unit 12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ed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

한편, 통신부(120)가 수신하는 상기 제어 신호는 BLE 통신뿐만 아니라, Wi-Fi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서도 전달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댁내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댁내에 설치된 기기들을 댁내에서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집 밖에 있는 경우에도 Wi-Fi,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기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be transmitted not only through the BLE communication, but also through Wi-Fi 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resident residing in the house can control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house at home, and can control the devices by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using Wi-Fi or data communication even when the user is outside the home. Can be performed.

또한, 패턴 학습부(130)와 UI 제공부(140)는 별도의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댁내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 거주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기기 사용 패턴과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월패드에 직접 연결되어 패턴 학습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상기 월패드와 원격지에 위치하는 별도의 서버를 통해 구성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and the UI providing unit 14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separate server. As described above, 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analyzes the device usage pattern and the living pattern of the resident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on the use state of the device installed in the home, and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ident. The pattern learning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ll pad, but the wall pad and the remote server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패턴 학습부(130)는 복수의 가정에서 제공되는 기기 사용 패턴을 분석, 학습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사한 가족 구성을 갖는 다른 가정의 에너지 소비량, 기기 사용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analyzes and learns device usage patterns provided in a plurality of homes, and can use the information to provide information on energy consumption and device usage patterns of other households having a similar family structure.

UI 제공부(140) 또한 상기 서버를 통해 구성되어 거주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에 GUI를 제공할 수 있다.The UI providing unit 140 may also be configured through the server and provide a GUI to a terminal device used by a resident.

따라서, 상기 서버는 통신부(12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BLE 통신을 비롯하여 Wi-Fi, 데이터 통신을 통해 통신부(12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server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at this time, data can be exchang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rough Wi-Fi and data communication including BLE commun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복수의 통신 모듈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통신부(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120)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거주자의 단말 기기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occupant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nd the resident's terminal device can do.

일반적으로 가정은 복수의 분리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월패드에 연결된 하나의 통신 모듈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월패드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거주자에 관한 정보가 원활하게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In general, the assump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parate spaces, and if there is only one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wall pad, information on the occupant located far away from the wall pad may not be received smoothly.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은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통신부(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거주자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거주자와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댁내의 여러 위치에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understood to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communication unit 1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order to determine th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ident and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 resident, Can be installed in a distributed manner.

상기 거주자가 도 2의 주방에 위치하는 경우, 주방에 설치된 통신 모듈은 상기 거주자의 통신 단말을 통해 높은 강도의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거실에 설치된 통신 모듈은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의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통신 모듈이 수신하는 상기 BLE 신호의 세기를 고려하면,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2, the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kitchen can receive the high-intensity BLE signal through the resident'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can receive the relatively low-intensity BLE signal . Considering the intensity of the BLE signal received by each communica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resident.

한편,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UI 제공부(140)는 상기 거주자의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거주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이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 UI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UI providing unit 14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may preferentially provide a control UI for a device installed at a current location of the resident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sident.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판단된 상기 거주가의 현재 위치가 거실인 경우, UI 제공부(140)는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되는 GUI에서 거실에 설치된 조명과 티비에 대한 제어 UI가 가장 먼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주자의 현재 위치가 방-2로 판단된 경우, UI 제공부(140)는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되는 GUI에서 방-2에 설치된 조명에 대한 제어 UI가 가장 먼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판단된 상기 거주자의 위치 정보는 실시간으로 UI 제공부(14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sident determin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he living room, the UI providing unit 140 may display the control UI for the illumination and the TV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first in the GUI provided to the resident . 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sident is room-2, the UI providing unit 140 may display the control UI for the lighting installed in the room-2 in the GUI provided to the resident first.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ident determ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to the UI providing unit 140 in real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UI 제공부(140)는 상기 거주자의 통신 단말에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UI 제공부(140)가 상기 통신 단말에 설치되는 경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단말과 통신부(120)와의 통신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GUI를 상기 통신 단말의 표시부(내지는 표시 패널)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I providing unit 140 may be installed in the resident'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I providing unit 140 i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I providing unit 1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bile application. The location of the occupant is determined based on a communication result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GUI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r the display panel)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태바(Status Bar)를 드래그 하는 경우 상기 댁내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커스텀 아이콘(Custom Icon) 또는 토클 스위치(Toggle Switch)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application screen is not displayed, when a status bar is dragged, a custom icon or a toggle switch capable of performing control on the device installed in the house is displayed can do.

상기 커스텀 아이콘(Custom Icon) 또는 토클 스위치(Toggle Switch)는 상기 통신 단말의 위치에 가까운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스위치가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custom icon or the toggle switch may be preferentially displayed with an icon or a switch corresponding to the device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에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댁내의 동일한 공간에 설치된 기기들을 하나의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receiving unit 110 may provide identification (ID) to a plurality of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and may set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same space in the home to one same group.

예를 들어, 방-1에 ID 7과 ID 8이 할당된 2개의 전등 스위치가 존재하고, ID 12가 할당된 1개의 히터가 존재하는 경우, ID 7, 8, 12는 방-1 이라는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UI 제공부(140)는 방-1 그룹을 일괄 제어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are two light switches with ID 7 and ID 8 assigned to room-1 and one heater with ID 12 assigned, then IDs 7, 8, and 12 are assigned to one Group, and the UI providing unit 140 may provide a GUI capable of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oom-1 group.

한편, 거주자의 위치 정보를 학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거주자의 점유도가 높은 공간을 파악하고, 해당 공간에 대한 제어 우선권을 부여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by lear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ident, the hom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rasp the space occupied by the resident and give the control priority to the space.

방-1에 제1 거주자가 점유하는 시간이 많고 방-2는 제2 거주자가 점유하는 시간이 많은 경우, 또는 방-1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가 제1 거주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횟수가 많고 방-2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가 제2 거주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횟수가 많은 경우,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제1 거주자와 상기 제2 거주자를 각각 방-1과 방-2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If the first resident occupies a lot of time in Room-1, Room-2 occupies a lot of time occupied by the second resident, or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first resident controls the equipment installed in Room- 2, the home service system 100 controls the first resident and the second resident to control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room-1 and the room-2, respectively, Priority can be granted.

상기 제어 우선권이 부여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거주자가 댁내에 동시에 존재할 때, 방-1에 대한 제어 권한은 상기 제1 거주자에게만 부여될 수 있다. 다만, 거실, 주방 또는 욕실과 같이 가구 구성원 모두가 사용하는 공간의 경우에는 상기 제어 우선권을 부여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 priority is given, the control authority for the room-1 can be given only to the first occupant when the first and second occupants are present in the house at the same time. However, in the case of a space used by all members of a household, such as a living room, a kitchen, or a bathroom, the control priority may be set not to be give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and FIG. 4 illustrate operations of 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부(120)에 포함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은 거주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색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be identified, and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can periodically output a search signal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f a resident.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은 댁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거주가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과의 BLE 통신을 통하여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거주자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 거주자의 동선을 학습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distribut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house, and the location of the resident may be determined through BL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the resident have. Also, 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may learn the moving line of the resident through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resident according to time.

예를 들어, 평일 아침에 상기 거주자가 방-1에서 욕실로 이동하여 20분간 머문 후에 다시 방-1로 이동하여 10분간 머물고, 주방으로 이동하여 20분간 머물렀음을 의미하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학습된 데이터는 제어부(15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학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거주자의 제어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거주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적절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on a weekday morning, the resident moved from room -1 to the bathroom, stayed for 20 minutes, moved to room -1 again, stayed for 10 minutes, moved to the kitchen and stayed for 20 minutes. . The learned data can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can use the learned data to control an appropriate device in response to the location of the resident even when the resident does not have control .

상기 거주자가 평일 아침에 일반적인 기상 시간에 욕실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욕실 조명을 온(0n)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주자가 욕실을 벗어나 방-1에 위치하면 상기 욕실 조명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거주자가 주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방 조명을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ident moves to the bathroom at the normal weather time on a weekday morning, the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bathroom lighting to be in the ON state. When the occupant is out of the bathroom and is located at room-1, the bathroom lighting is controlled to be off,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moves to the kitchen, the kitchen lighting can be controlled to be on.

한편, 거주자의 동선을 학습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거주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을 계속 소지하는 경우에 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단말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제어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ntrolling the device by learning the moving line of the resident may be performed only when the resident continues to possess his or her own communication terminal, and i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move, the above control operation may not be performed .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거주자의 통신 단말을 통해 획득되는 정보 이외에도 데이터 수신부(110)가 수신하는 기기의 상태 정보를 학습함으로써, 상기 제어 동작과 유사한 형태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can perform control similar to the control operation by learn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evice receiv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110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sident's communication terminal.

즉, 댁내에 설치된 기기의 상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학습하고,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기의 상태는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또한 동일한 시간이라 하더라도 요일에 따라 상태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평일과 휴일로 구분하여 학습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learn how the state of the device installed in the home is changed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to control the device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The state of the device may vary with time, and even at the same time, the state may vary according to the day of the week.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may classify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evice into a weekday and a holiday.

한편, 상기 통신 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기 검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부(120)는 해당 거주자가 부재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댁내에 거주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댁내의 조명 기기와 난방 기기의 상태를 오프로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sponse signal to the search signal outpu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determine that the resident is absent. The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state of the home lighting equipment and the heating equipment to be off when the resident does not exist in the home.

도 4는 거주자의 통신 단말을 통해 제어 신호가 제어부(150)로 전달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단말에서 제2 통신 모듈로 제어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된다.4 illustrates an exemplary process in which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through a resident's communication terminal. Referring to FIG. 4,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댁내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통신 모듈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단말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통신 모듈이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in a house, and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은 모두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UI 제공부(140)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GUI 역시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all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can receiv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the GUI provided by the UI providing unit 14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50)는 거주자의 상기 댁내에서의 위치 정보, 일정 정보 및 외부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외부 정보는 날씨 정보와 교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de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the external information of the resident in the premises, and the external information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내부 이벤트와 외부 이벤트를 고려하여 상기 댁내에 설치된 기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주자가 댁내에 존재하지 않고, 댁내의 전등과 히터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거주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주자가 상기 GUI를 통해 자신의 상태를 외출로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댁내의 전등과 히터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in consideration of internal events and external events. For example, if the resident does not exist in the house and the lamp and the heater in the house are in the off state,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that the resident is out of the house. When the resident sets his / her state to be out via the GUI, the controller 150 can control the home electric lamp and the heater to be in the off state.

또 다른 예로써, 댁내의 전등과 히터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거주자가 댁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거주자의 상태를 취침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주자가 상기 GUI를 통해 자신의 상태를 취침으로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댁내의 전등과 히터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that the occupant is sleeping when the electric lamp and the heater in the house are off and the resident is present in the house. If the resident sets his / her state to be sleeping through the GUI, the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home lamp and the heater to be in the off state.

한편, 제어부(150)는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댁내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한파 주의보가 발령된 경우, 제어부(150)는 패턴 학습부(130)에 의해 학습된 난방 제어 패턴보다 이른 시간에 난방을 가동하거나, 학습된 난방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house in consideration of the weather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cold wind caution is issued, the control unit 150 can activate heating at a time earlier than the heating control pattern learned by the pattern learning unit 130, or se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learned heating temperature.

또 다른 예로써, 제어부(150)는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거주자가 설정한 도로가 평소보다 막히는 경우 침실 조명을 평소보다 이른 시간에 온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거주자가 설정한 시간보다 이른 시간에 기상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perform control based on traffic information. When the road set by the resident is clogged more than usual,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bedroom lighting to be on at a time earlier than usual, The weather alarm can be output at a time earlier than the set time.

또는, 다른 사용자의 전력 이용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댁내의 전력 사용량을 조절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거주자와 유사한 주거 형태를 갖는 주변 가구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를 UI 제공부(14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거주자에게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주변 가구의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기 사용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to adjus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use in consideration of a power usage pattern of another user. The control unit 150 can acquire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households having a residential similar to the resident and provide the obtained information to the UI providing unit 140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nergy saving to the residen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analyze a power usage pattern of nearby households to provide a device usage pattern that minimizes power usage.

한편, UI 제공부(140)는 상기 댁내의 거주자의 거주 이력 및 기기 사용 패턴을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날짜별 전력 사용량, 요일별 전력 사용량 등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I providing unit 140 can visualize and provide residence histories and device usage patterns of the residents of the premises, and can provide power usage by date, power usage per day, and the like.

또 다른 실시예로서, 통신부(120)는 거주자의 통신 단말에 저장된 상기 거주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상기 일정 정보를 고려하여 댁내의 기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거주자가 부재시의 기기 상태를 미리 설정한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일정 정보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상기 기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receive the resident's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sident'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residence apparatus in consideration of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resident has previously set the device status in the absence, the controller 150 may perform the device control for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language (e.g., etc.) in this inven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in detail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alterations may be made depending on design criteria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range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claims Category.

100: 홈 서비스 시스템 110: 데이터 수신부
120: 통신부 130: 패턴 학습부
140: UI 제공부 150: 제어부
100: Home service system 110: Data receiving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pattern learning unit
140: UI providing unit 150:

Claims (12)

댁내에 설치된 월패드를 이용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월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복수의 기기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댁내의 거주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거주자를 식별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기기의 사용 패턴 및 식별된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는 패턴 학습부;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하되, 식별된 거주자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제어 권한을 갖도록 미리 결정된 GUI를 제공하며, 특정 거주자에게는 제한된 숫자의 기기에 대한 제어만 가능한 GUI를 제공하는 UI 제공부; 및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되는 거주자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1. A home service system using a monthly pad installed in a home,
A data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wall pad and receiving usag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devices connected to the wall pad;
A communic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resident is present in the premises and for identifying a resident;
A pattern learning unit for learning usage pattern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life patterns of the identified residents;
Providing a resident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performing control over the plurality of devices, wherein the resident has a different control righ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resident A UI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GUI and provides a GUI that allows a specific resident to control only a limited number of devic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evices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f a resident inputted through the GUI;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거주자가 사용하는 단말 기기와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하며,
상기 패턴 학습부는 상기 단말 기기와의 BLE 통신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performs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used by the resident,
Wherein the pattern learning unit learns the life pattern of the resident using the BLE communication result with the terminal devic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댁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거주자의 단말 기기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installed in the house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resident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nd the resident's terminal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거주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control on the devic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resid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주자의 상기 댁내에서의 위치 정보, 일정 정보 및 외부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de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external information in the residence of the resid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정보는 날씨 정보와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xternal information includes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상기 거주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이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 UI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 preferentially provides a control UI for a device installed closest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resident of the plurality of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분석하여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receiver analyzes a data packe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determines a type of a device connected to the wall pa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기기에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부여하고, 상기 댁내의 동일한 공간에 설치된 기기들을 하나의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ata receiving unit assigns an identification (ID) to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sets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same space in the home to one same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거주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색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periodically outputs a search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sident exis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학습부는 상기 거주자가 입력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며,
상기 생활 패턴은 요일 및 시간대에 따른 상기 거주자의 제어 패턴을 포함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tern learning unit learns the living pattern of the resident through the control signal inputted by the resident,
Wherein the living pattern includes a control pattern of the resident according to a day of the week and a time zone.
KR1020160121463A 2016-09-22 2016-09-22 Home Service System KR1018960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63A KR101896096B1 (en) 2016-09-22 2016-09-22 Home Servi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63A KR101896096B1 (en) 2016-09-22 2016-09-22 Home Servi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58A KR20180032358A (en) 2018-03-30
KR101896096B1 true KR101896096B1 (en) 2018-09-06

Family

ID=6190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463A KR101896096B1 (en) 2016-09-22 2016-09-22 Home Servi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0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496B1 (en) * 2020-10-21 2022-12-02 주식회사 휴앤텍 Ventilation system capable of auto-link with wall-pad
KR102371970B1 (en) * 2021-06-29 2022-03-10 엑스파워 주식회사 Apparatus for apartment house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778B1 (en) * 2012-11-27 2019-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network system and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KR20150090937A (en) * 2014-01-29 2015-08-07 주식회사 글로비트 Service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KR20160035894A (en) * 2014-09-24 2016-04-0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attern index calculation method through use pattern figuring of home networ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58A (en)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357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ources according to location
EP3807854B1 (en) Smart-home device placement and installation using augmented-reality visualizations
US10070505B2 (en) Scalable building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82693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n-off a group or all lights or appliances of premises
TWI469581B (en)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 method of home appliance thereof
CA3013523C (en) Home automation system
US9226371B2 (en) User control of an environmental parameter of a structure
EP33555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7953419B2 (en) Method for integration of network nodes
CN210323870U (e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management system
WO20161029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ergy consuming devices within a building
KR20130091573A (en) Energy management and facility-device control system for apartment/condomimium complex
KR101738784B1 (en) Intelligent integrated switch coupled wireless network function for constructing IoT environment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N112020184B (en) Building light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896096B1 (en) Home Service System
CN108475043A (en) The touch control system of multi input
CN202735782U (en) Comprehensive intelligent home control system
US10503190B2 (en) Residential-area-energy-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ocial network
KR20170062424A (en) Intelligent integrated switch coupled wireless network function for constructing IoT environment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Mahmud et al. Energy conservation for existing cooling and lighting loads
EP3845980B1 (en) Wall mountable universal backplane
KR20080082516A (en) System and methods for linking utility control devices
CN110546962B (en) Display method, program, and display system
KR101842542B1 (e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in home
Gohar Smart Home using I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