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095B1 - Modular type smoking booth - Google Patents

Modular type smoking bo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095B1
KR101896095B1 KR1020180019121A KR20180019121A KR101896095B1 KR 101896095 B1 KR101896095 B1 KR 101896095B1 KR 1020180019121 A KR1020180019121 A KR 1020180019121A KR 20180019121 A KR20180019121 A KR 20180019121A KR 101896095 B1 KR101896095 B1 KR 101896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coupling
smok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동욱
나경수
Original Assignee
(유)한국에프엔씨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국에프엔씨,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filed Critical (유)한국에프엔씨
Priority to KR102018001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0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type smoking booth, which comprises: a bottom support unit having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pport unit; a side panel extending upward between neighboring vertical frames and having an indoor space; a cover unit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frames; a smoke control duct discharging smoking smoke occurring in case of smoking to the outside of the cover unit; a sunlight generation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unit; a pot wherein purification plants disposed in the indoor space to purify indoor air is plante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smoke control duct in accordance with entry and exit states when entering and exiting of a human is detected through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the indoor space.

Description

모듈형 흡연부스{Modular type smoking booth}Modular type smoking booth

본 발명은 모듈형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공급으로 전력사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부스 안에 담배연기 및 오염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모듈구조로 구성되어 시공 현장에서 바로 설치 가능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설치공간에 대하여 제약을 최소화하여 실외는 물론 실내에도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흡연 부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smoking booth,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save electric power consumption by supplying power using sunlight, effectively discharging tobacco smoke and contaminated air in a boo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smoking booth having a modular structure that can be directly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thereby increasing the workability and minimizing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space so as to be installed indoors as well as indoors.

일반적으로 담배연기에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인 타르(Tar), 니코틴(Nicotine), 일산화탄소 및 기타의 유해한 기체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In general, tobacco smoke contains a large amount of tar, nicotine, carbon monoxide and other harmful gas components, which are harmful to human body.

특히, 타르는 담배연기를 내뿜을 때 나타나는 흑갈색의 물질이며 식으면 액체가 된다. 타르는 식물을 불에 태우면 생기는 것으로서, 인간의 건강에 해를 주는 독성물질로 이루어져 있다.In particular, tar is a blackish brown substance that appears when it emits smoke, and it becomes liquid when cooled. Tar is a toxic substance that is harmful to human health when a plant is burned.

한편, 담배연기는 흡연자뿐만 아니라, 주위에 있는 사람, 즉, 간접흡연자에게도 전달되어 간접흡현자들도 간접흡연에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간접흡연은 흡연자 옆에서 흡연자가 내뿜은 담배연기와 피우지 않을 때 담배 자체에서 나오는 연기를 흡입함으로써 신체적 피해를 입게 된다. 간접흡연은 흡연자가 10개 피의 담배를 3개 피의 담배를 피우는 것과 같다.Meanwhile, tobacco smoke is transmitted not only to smokers but also to persons in the vicinity, ie, second-hand smokers, and indirect smokers are also exposed to secondhand smoke. Passive smoking causes physical damage by inhaling the smoke from the cigarette itself when it is not smokin 'with the cigarette smoke emitted by the smoker. Passive smoking is equivalent to a smoker smoking 10 pounds of cigarettes and 3 pounds of blood.

이러한 이유로, 간접흡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국가적으로 특정건물이나 장소 등에서 흡연을 제한하고 있으며, 특히 식당이나 건물 등에서도 별도의 흡연실을 설치하도록 강제 규정하고 있다. 특히, 담배연기로부터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모듈형 흡연부스이다.For this reason,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of secondhand smoke, national smoking restrictions are restricted to certain buildings or places. In particular, restaurants and buildings are obliged to install separate smoking rooms. In particular, variou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minimize damage caused by tobacco smoke, one of which is a modular smoking booth.

종래 흡연 부스는 공기정화 기능과 담배냄새 제거기능을 갖도록 제공되고 있으나, 그 설치구조가 복잡하고, 현장에서 직접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떨어지고 시공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the smoking booth is provided with an air purifying function and a tobacco smell eliminating function, but its installation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it is required to be installed directly in the field, which lowers the workability and increases the construction cost.

종래 흡연 부스의 일례를 살펴보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8-0072332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흡연 부스"는 상부에 기둥으로 지지된 천정을 구비하고, 천정의 상부에 커버를 덮어서 천정과 커버 사이에 에어 챔버를 형성하고, 에어 챔버 내에 천정의 중앙에서 오염공기를 흡입하도록 공기청정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정화된 공기를 에어 챔버로 배기시키도록 하고, 에어 챔버로 배출된 공기가 다시 천정의 둘레에 형성된 방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에어 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moking boot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8-0072332, entitled "Smoking booth using air purifier ", which has a ceiling supported by pillars at the upper part, covers the cover at the upper part of the ceiling, And an air cleaner is installed in the air chamber so as to suck contaminated air from the center of the ceiling. At the same time, purified air is exhausted to the air chamber, and the air discharged into the air chamber is formed again around the ceiling So that the air curtain is form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하지만, 연결구조가 안정적인 구조로 형성되지 못하기 때문에 실외에 설치될 때에 조건에 따라 쉽게 파손될 가능성이 높으며, 조립한 상태에서 이동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nection structure can not be formed in a stable structu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is easily broke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when it is installed outdoors, and it is difficult to move in the assembled state.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72332호, 1998년 11월 5일)(Korean Patent Laid-Open No. 10-1998-0072332, November 5, 1998)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공급으로 전력사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부스 안에 담배연기 및 오염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모듈구조로 구성되어 시공 현장에서 바로 설치 가능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설치공간에 대하여 제약을 최소화하여 실외는 물론 실내에도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흡연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ave power use by power supply using sunlight, to effectively purify tobacco smoke and contaminated air in the booth, and then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And to provide a modular smoking booth which can be installed not only outdoors but also indoors by minimizing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바닥 지지부, 바닥 지지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 서로 이웃하는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덮개부; 및 흡연에 따라 발생하는 흡연연기를 덮개부의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제연덕트;를 구비하고, 덮개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부;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식물이 식재된 화분; 및 내부공간에 구비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사람의 입출입이 감지되면 입출입 상태에 따라 제연덕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supporting part formed in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extending upward from a bottom supporting part, A side panel extending upwardly between adjacent vertical frames to form an inner space; A lid part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a ventilation duct for discharging the smoking smoke generated according to smoking to the outside of the lid part, the solar power generation part being disposed above the lid part; A flowerpot arranged in an inner space and planted with a purifying plant for purifying indoor ai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uct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 output state when the input / output of the human being is detected through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덮개부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의 종단에 종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각각 연결되는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에 결합되어 상부의 노출을 폐쇄하며 태양광 발전부를 지지하는 지붕; 지붕에 형성되어, 지붕을 따라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부; 및 집수부와 화분을 연결하여 집수부에 집수되는 우수를 화분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id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and a vertical horizontal fram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in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respectively; A roof coupled to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horizontal frames to close the top exposure and to support the solar power generator; A collecting part formed on the roof and collecting rainwater along the roof; And a supply line connecting the collecting part with the flower pot to supply the flower pot collected from the collecting part to the flower pot.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분은 토사를 수용하여 정화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로 형성되며, 양측 종단이 개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상측에 노출된 토사를 덮는 판형 코르크판; 및 수용부의 양측 종단을 막도록 각각 결합되는 제1 막음판 및 제2 막음판;을 구비하며, 제1 막음판은 하측에 제1 구멍이 형성되어 공급라인과 연결되고, 제2 막음판은 상측에 제1 구멍의 위치보다 높은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수용부 내부에 기설정된 수위량을 초과되지 않도록 물을 배출하는 배출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llen is formed of '∪' to accommodate the soil and to plant the purification plant, and has a receiving part which is opened at both ends and extends in one direction; A plate-shaped cork plate covering the gravel ex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a first blocking plate and a second blocking plate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close both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blocking plate is formed with a first hole at the lower side and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A second hole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first hole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so as not to exceed a predetermined water level in the receiving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의 상단과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위치에서 3축 연결구와 3축 결합구를 통하여 결합되며, 3축 연결구는 수직 프레임의 일단에 대응되는 판상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연결홀을 구비하여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연결판; 횡방향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대응되는 판상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연결홀을 구비하여 일측이 제1 연결판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어 횡방향 수평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연결판;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대응되는 판상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연결홀을 구비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측 및 타측 각각이 제1 연결판의 타측과 제2 연결판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3 연결판;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horizontal frame of the vertical frame are coupled through a three-axis connection port and a three-axis connection port at positions arrang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 first connection plate formed in a plate-like sector shape and having a first connection hole and connected to a vertical frame; A second connect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transverse horizontal frame and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having a second connecting hole, Connecting plate; And a third connection hole and extends upwardly so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nd a third connecting plat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의 상단과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위치에서 3축 연결구와 3축 결합구를 통하여 결합되며, 3축 연결구는, 수직 프레임의 일단에 대응되는 판상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연결홀을 구비하여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연결판; 횡방향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대응되는 판상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연결홀을 구비하여 일측이 제1 연결판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어 횡방향 수평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연결판;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대응되는 판상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연결홀을 구비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측 및 타측 각각이 제1 연결판의 타측과 제2 연결판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3 연결판;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horizontal frame of the vertical frame are coupled through a three-axis connection port and a three-axis connection port at positions arrang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 first connecting plate having a first connecting hole and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A second connect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transverse horizontal frame and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having a second connecting hole, Connecting plate; And a third connection hole and extends upwardly so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nd a third connecting plat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본 실시예에 있어서, 3축 결합구는 제1 연결홀에 대응되는 제1 결합홀을 구비하며, 제1 결합홀을 중심으로 제1 연결판에 맞닿는 제2 연결판 및 제3 연결판의 위치를 향하여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L’자 형상의 제1 띠판; 제2 연결판과 맞닿는 위치에서 굴절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제2 연결홀에 대응되는 제2 결합홀을 구비하는 제2 띠판; 및 제3 연결판과 맞닿는 위치에서 굴절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제3 연결홀에 대응되는 제3 결합홀을 구비하는 제3 띠판;을 구비하고, 제1 띠판, 제2 띠판 및 제3 띠판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e-axis coupling hole includes a first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d positions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the third coupling plate contacting the first coupling plate about the first coupling hole An L-shaped first ban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toward the first band; A second band that is refracted at a position abutting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nd extends upward, and has a second engagement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And a third band that is refracted at a position where it abuts the third connection plate and extends upward, and has a third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nnection hole, wherein the first band plate, the second band plate, It can be integrally molded.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흡연부스는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공급으로 전력사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부스 안에 담배연기 및 오염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모듈구조로 구성되어 시공 현장에서 바로 설치 가능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설치공간에 대하여 제약을 최소화하여 실외는 물론 실내에도 설치할 수 있다.The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electric power consumption by supplying power using sunlight, and can effectively purify tobacco smoke and polluted air in the booth and then discharge it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install it directly on the site,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minimizing the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spac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not only outdoors but also indoo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는 복수의 부재 들이 모듈형(단위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현장(실외, 실내)에서 간단한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강도가 매우 우수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이송하더라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Further, the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in the field (outdoors, indoors) by forming a plurality of members in a modular form (unit member) There is a feature that breakage can be prevented even if it is transport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의 화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의 수직 프레임과 종방향 및 횡방향 수평 프레임의 연결구조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의 제어부의 작동 상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의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pots of a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vertical frame and a longitudinal and transverse horizontal frame of a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operatio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of the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 on " means located above or below a targe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target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10)는 바닥 지지부(110), 복수의 수직 프레임(120), 사이드 패널(130), 덮개부(140)를 구비하여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제연덕트(150)를 구비하며, 태양광 발전부(160), 화분(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 modular smoking booth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or support 110,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20, a side panel 130, and a lid 140 And includes a solar duct 160, a pollen 170, and a control unit 180. The ventilation duct 150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o form an internal space.

바닥 지지부(11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G)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배시키는 높이조절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바닥 지지부(110)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11, 112)을 통해 결합되고, 상측에 바닥판을 구비한다. 바닥 지지부(110)에 배치되는 종방향 및 횡방향 수평프레임(111, 112)은 수직 프레임(120)의 상단에 배치되는 횡, 종방향 수평프레임(141, 14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횡, 종방향 수평프레임(141, 142)의 설명으로 대체한다.The bottom supporting part 1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include a height adjusting part 111 for heightening the bottom supporting part 110 from the bottom surface G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bottom support 110 is coupled through horizontal frames 111 and 112 arranged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nd has a bottom plate on the upper side.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horizontal frames 111 and 112 disposed in the bottom support 11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horizontal frames 141 and 142 disposed at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120, , And the description of the longitudinal horizontal frames 141 and 142 will be omitted.

수직 프레임(120)은 일단이 바닥 지지부(110)에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11, 112)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수직 프레임(120) 사이에는 복수의 보조 수직 프레임(121)이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frame 12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s 111 and 112,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on the bottom support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20 extends upward. In addition, a plurality of auxiliary vertical frames 12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120.

사이드 패널(130)은 서로 이웃하는 수직 프레임(120) 사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바닥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바닥 지지부(110)와 덮개부(140) 사이에 고정된다. 이때, 사이드 패널(13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는 사이드 패널(130)을 고정하는 고정패널(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패널(131a)은 태양광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수직방향을 따라 슬릿홀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은 제연덕트(170)가 작동할 때에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의 공기순환을 더욱 원활해지도록 할 수 있다. 슬릿홀은 태양광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과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반면,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패널(131b)에는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연덕트가 작동할 때에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패널(131b)을 통해 바깥 주위에 있는 먼지 등이 바닥을 통해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ide panels 130 extend upward between neighboring vertical frames 120 to form an inner space around the bottom support 110 and are fixed between the bottom support 110 and the lid 140. At this time, a fixing panel 131 for fixing the side panel 1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ide panel 130, respectively. The fixed panel 131a located on the upper side can prevent sunlight from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and a slit hole can b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slit hole allows the air to flow into the inner space when the ventilation duct 170 is operated, thereby making air circulation in the inner space more smooth. The slit hole may be formed by inclining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prevent sunlight from entering the internal space and inflow of rainwater.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panel 131b located on the lower side is formed in a closed shape. Accordingly, when the ventilation duct is operated, dust or the like around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the floor through the fixed panel 131b located on the lower side.

이때, 차단막(미표시)은 상측 고정패널(131a)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차단막의 높이를 태양의 고도에 따라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태양의 고도가 낮은 오전이나 저녁에는 차단막은 많이 내려와 있으며, 태양의 고도가 높은 오후에는 차단막이 적게 내려오기 때문에 실내공간에 머무르는 흡연자에게 태양 빛으로 인한 피로를 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차단막은 블라인더와 같이 형성되어 고정패널에 형성된 공기순환용 복수의 홀에 흡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ocking film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fixing panel 131a. The control unit 180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blocking film according to the altitude of the sun. In other words, the barrier is lowered in the morning or evening when the sun is low, and the barrier is lowered in the afternoon when the sun is high, so that smokers staying in the indoor space can be less exposed to sunlight. The shielding film is formed like a blind and can smoothly induce the movement of air sucked into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holes formed in the fixed panel.

또한, 사이드 패널(130) 중 적어도 한 곳은 도어 없이 개방된 오픈(open) 공간이 형성되어 흡연자의 출입구로 활용될 수 있다.Also, at least one of the side panels 130 may be used as an entrance of a smoker by forming an open space that is opened without a door.

덮개부(140)는 수직 프레임(120)의 상측에 결합되며, 태양광 발전부(160)를 지지한다. 이때, 덮개부(140)는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141, 142)을 구비하고, 지붕(143)은 횡, 종방향 수평프레임(141, 142)의 상측으로 배치된다. 지붕(143)은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144)가 설치되며, 태양광 발전부(160)를 지지한다. 집수부(144)는 물탱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수용된 우수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계가 설치될 수 있다. 집수부(144)에 수용된 우수의 온도가 어느점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집수부(144)에 연결된 공급라인(145)을 따라 공급되는 우수가 동결될 수 있으므로, 집수부(144)는 수용된 우수의 온도를 빙점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온도코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온도코일은 우수의 온도가 빙점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작동하게 된다.The lid part 14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supports the solar power generating part 160. At this time, the lid portion 140 ha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horizontal frames 141 and 142, and the roof 143 is disposed abov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horizontal frames 141 and 142. The roof 143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part 144 for collecting rainwater, and supports the solar power generating part 160. The water collecting part 144 may be formed of a water tank, and a thermometer capable of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ceived storm water may be installed therei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torm water receiv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44 drops below a certain point, the storm supplied along the supply line 145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144 can be frozen, A temperature coil can be provided that can keep the temperature above the freezing point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coil will operat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reezing falls below the freezing point temperature.

제연덕트(150)는 흡연에 따라 발생하는 흡연연기를 덮개부(140)의 바깥으로 배출시킨다. 제연덕트(150)가 작동할 때, 사이드 패널(130) 중 적어도 한 곳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내부공간의 현저한 압력저감을 방지하고, 모듈형 흡연부스(10)의 바깥의 공기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여 흡연연기를 바깥으로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내부공간의 공기를 상쾌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ventilation duct 150 discharges the smoking smoke generated according to smoking to the outside of the cover 140.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side panels 130 is kept open when the ventilation duct 150 is operated. As a result, significant pressure reduction of the internal space is prevented, and air outside the modular smoking booth 10 is guided into the internal space, effectively discharging the smoking smoke to the outside, have.

태양광 발전부(160)는 덮개부(140)의 상측에 배치된다. 태양광 발전부(160)는 태양광 셀, 축전지 등 태양광 발전을 위한 필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에서 태양광 발전부(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분(170)은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식물이 식재되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내부공간에 구비된 인체감지센서(181)를 통해 사람의 입출입이 감지되면 입출입 상태에 따라 제연덕트(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태양광 발전부(160)를 통한 전력공급으로 전력사용을 절약하여 환경친화적인 장점이 있다.The solar power generating unit 160 is disposed above the lid unit 140.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unit 160 includes essential components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uch as photovoltaic cells and accumulator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unit 160 will be omitted below. The pollen (170) is planted with a purification plant for purifying indoor air, and can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nal space.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uct 150 according to the input / output state when a human being enters and exits through the human body sensor 181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electric power is saved by supplying power through the solar power generator 160, which is environment-friendl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의 화분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pots of a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70)은 수용부(171), 코르크판(172) 및 배출라인(1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pollen 1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71, a cork plate 172, and a discharge line 173.

수용부(171)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정화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로 형성되며, 양측 종단이 개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공급라인(145)은 집수부(144)와 수용부(171)를 연결하여 집수부(144)에 수용된 우수를 화분(170)으로 공급한다. 이때, 제1 막음판(1711) 및 제2 막음판(1713)은 수용부(171)의 양측 종단을 막도록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1 막음판(1711)은 제1 구멍(1712)이 형성되고, 제2 막음판(1713)은 제2 구멍(1714)이 제1 구멍(1712)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제2 구멍(1714)이 형성되어 배출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구멍(1712)의 선단에는 물을 정수할 수 있는 활성탄으로 형성되는 정화필터를 더 구비함으로서 우수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이 식물에 제공되기 정수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71 is formed of aluminum and is formed of 'U' so as to be able to plant purifying plants, and both end portions thereof are open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At this time, the supply line 145 connects the collecting part 144 and the receiving part 171, and supplies the storm received in the collecting part 144 to the pollen 170. At this time, the first blocking plate 1711 and the second blocking plate 1713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close both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171. At this time, the first blocking plate 1711 is formed with the first hole 1712, and the second blocking plate 1713 is formed with the second hole 1714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first hole 1712, (1714) may be formed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line. In addition, the first hole 1712 may further include a purifying filter formed of activated carbon capable of purifying water, so that harmful substances included in the stormwater can be provided to the plant.

따라서 수용부(171) 내부에 물이 급속하게 채워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설정된 수위량을 초과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구멍(1724)의 크기는 제1 구멍(1722)보다 2 ~ 3배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방향에 위치하는 구멍이 하측에 위치하는 제1 구멍(1722)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상대적으로 높이 위치에 있어도 원활한 배수를 유도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rapid filling of water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71 and to keep the water level not exceeding a predetermined level.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econd hole 1724 may be about two to three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1722. In this way, when the hole located in the discharge direction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hole 1722 located at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induce smooth discharge even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코르크판(172)은 수용부(171)의 상측에 배치되어 수용부에 수용된 토사의 수분증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습기에 의한 부패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코르크판(172)은 수용부(171)에 식재된 정화식물의 식재 간격에 따라 단위형상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The cork plate 17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71 to prevent evaporation of moisture of the gravel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o prevent corruption due to moisture. At this time, the cork plate 172 can be divided into unit shapes according to the planting spacing of the purifying plants plan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71.

화분(170)은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이 빗물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며, 화분내에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어 화분에 식재된 정화식물의 부패방지와 원활한 식생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공간의 공기정화 성능을 증대시켜 보다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다.The pot (170) is environment-friendly because it can utilize the rainwater without needing periodical water supply by the administrator, and it can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in the pot, thereby preventing the decontamination of the potted plant have. Therefore, the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of the internal space is increased, and a more pleasant environment can be maintain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의 수직 프레임과 종방향 및 횡방향 수평 프레임의 연결구조의 상세 사시도이다.3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vertical frame and a longitudinal and transverse horizontal frame of a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직 프레임(170)의 상단과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141, 142)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고, 3축 연결구(191), 3축 결합구(192) 및 내측 연결구(193)를 통하여 결합된다.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70 and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horizontal frames 141 and 142 are dispos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triaxial coupling hole 191, a triaxial coupling hole 192 and an inner coupling hole 193 do.

3축 연결구(191)는 제1 연결판(1911), 제2 연결판(1912) 및 제3 연결판(1913)을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된다. 제1 연결판(1911)은 수직 프레임(170)의 일단에 대응되는 판상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연결홀(1914)을 구비하여 수직 프레임(170)에 연결된다. 제2 연결판(1912)은 횡방향 수평프레임(141)의 일단에 대응되는 판상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연결홀(1915)을 구비하여 일측이 제1 연결판(1911)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어 횡방향 수평프레임(141)에 연결된다. 제3 연결판(1913)은 종방향 수평프레임(142)의 일단에 대응되는 판상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연결홀(1916)을 구비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측 및 타측 각각이 제1 연결판(191)의 타측과 제2 연결판(1912)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된다.The three-axis connecting port 19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nnecting plate 1911, the second connecting plate 1912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1913. The first connection plate 1911 is form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170 and has a first connection hole 1914 and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170. The second connection plate 1912 is form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transverse horizontal frame 141 and has a second connection hole 1915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1911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verse horizontal frame 141 by extending upward. The third connection plate 1913 is formed in a plate-like fan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longitudinal horizontal frame 142 and has a third connection hole 1916 to extend upward, And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plate 191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1912.

이때, 3축 결합구(192)는 제1 띠판(1921), 제2 띠판(1922) 및 제3 띠판(1923)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띠판(1921)은 제1 연결홀(1914)에 대응되는 제1 결합홀(1924)을 구비하며, 제1 결합홀(1924)을 중심으로 제1 연결판(1911)과 맞닿는 제2 연결판(1912) 및 제3 연결판(1913)의 위치를 향하여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L’자 형상된다. 제2 띠판(1922)은 제1 띠판(1921)이 제2 연결판(1912)과 맞닿는 위치에서 굴절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제2 연결홀(1915)에 대응되는 제2 결합홀(1925)을 구비한다. 제3 띠판(1923)은 제3 연결판(1913)과 맞닿는 위치에서 굴절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제3 연결홀(1916)에 대응되는 제3 결합홀(1926)을 구비한다. 제1 띠판(1921), 제2 띠판(1922) 및 제3 띠판(1923)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band plate 1921, the second band plate 1922, and the third band plate 1923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triaxial coupling unit 192. The first band plate 1921 has a first coupling hole 1924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1914 and a second coupling 1924 abutting the first coupling plate 1911 about the first coupling hole 1924. [ L "shape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toward the position of the plate 1912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1913. [ The second strip 1922 is bent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strip 1921 abuts the second connecting plate 1912 and extends upward so that the second strip 1925 is aligned with the second engaging hole 1925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1915 Respectively. The third band plate 1923 is bent at a position where it abuts the third connection plate 1913 and extends upward, and has a third coupling hole 1926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nnection hole 1916. The first strip 1921, the second strip 1922 and the third strip 1923 can be integrally formed.

이와 같이, 제1 띠판(1921), 제2 띠판(1922) 및 제3 띠판(1923)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3축 연결구(191)가 수직 프레임(170)의 상단과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141, 142)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강도를 향상시켜 외부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rst band plate 1921, the second band plate 1922 and the third band plate 1923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three-axis connecting holes 191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frame 170, (141, 142),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and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external loads.

이때, 제2 띠판(1922)과 제3 띠판(1923)은 제2 연결판(1912) 및 제3 연결판(1913)에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trip 1922 and the third strip 1923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late 1912 and the third connection plate 1913.

또한, 수직 프레임(170)의 상단과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141, 142)은 도 3b와 같이 내측의 노출면에 방향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은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부재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고, 각각 홈은 'ㄱ'자 형상의 내측 연결구(193)를 통하여 각각의 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내측 연결구(193)는 홈을 향하는 면에 씰리재가 코팅되어 결합 위치와 밀착성을 증대를 통해방 방수성능을 향상시켜, 내측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직 프레임(170)의 상단과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141, 142) 간의 결합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70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horizontal frames 141 and 142 may have groove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exposed surface as shown in FIG. 3B. The grooves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neighboring members, and the grooves can join the respective members through the inner connecting piece 193 having a '?' Shape. The inner connector 193 is coated with sealing material on the surface facing the groove to improve the waterproof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bonding position and the adhesion,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horizontal frames 141 and 142 can be further increased.

캡(194)은 3축 연결구(191) 및 3축 결합구(192)의 노출면을 덮는 동시에 모서리 영역의 수밀성 및 방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cap 194 can cover the exposed surfaces of the triaxial connector 191 and the triaxial connector 192 and increase the watertightness and waterproofness of the corner area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의 제어부의 작동 상세 블럭도이다.4 is a detailed operatio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of the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의 제어부(180)는 인체감지센서(181). 촬영부(182), 제연덕트 제어부(183), 이미지 추출부(184), 이미지 매핑부(185) 및 음성생성부(1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80 of the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man body sensor 181. An image extracting unit 184, an image mapping unit 185, and a voice generating unit 186. The photographing unit 182, the smoke duct control unit 183, the image extracting unit 184,

인체감지센서(181)는 부스내부로 입출입하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제연덕트 제어부(183)는 인체감지센서(181)를 통해 부스내부로 사람의 출입이 감지되면 제연덕트(150)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연덕트(150)는 흡연자가 흡연중에는 바로 작동하지 않고, 흡연자가 바깥으로 나갔을 때에 작동한다. 제연덕트(150)가 소정시간 작동하여 내부환기 상태가 되면, 제연덕트 제어부(183)는 향분사부(187)를 작동한다. 향분사부(187)는 내부에 유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제연덕트 제어부(183)의 제어에 따라 필요에 따라 작동하는 것으로서, 불필요하게 주기적으로 작동할 필요는 없다.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81 detects movement of a person entering and leaving the booth. The ventilation duct control unit 183 activates the ventilation duct 150 when a human being enters or exits the booth through the human body sensor 181. At this time, the smoke duct 150 does not operate immediately when the smoker smokes, but operates when the smoker goes out. When the ventilation duct 150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be ventilated, the ventilation duct control unit 183 operates the perfume sprayer 187. The incense splitter 187 ha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rein and operates according to need under the control of the ventilation duct control unit 183, and does not need to operate unnecessarily periodically.

카메라(182)는 인체감지센서(181)를 통해 부스내부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되면, 출입한 사람의 상반신 영역을 촬영한다. 이미지 추출부(184)는 촬영된 상반신 영역을 추출한다. 이미지 매핑부(185)는 추출된 상반신 영역에 미리저장된 조건에 있는 흡연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질병들의 이미지을 매핑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88)를 통하여 제공한다. 이때, 매핑되는 이미지는 시간의 경과, 즉, 흡연시간의 경과에 질병 이미지의 정도를 더욱 심각한 상태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흡연자는 부스내에서 흡연으로 인한 심각성을 인지하게 되어 흡연 시간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금연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다.The camera 182 photographs an upper half region of a person entering and exiting the booth through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81 when a person entering or exiting the booth is sensed. The image extracting unit 184 extracts the photographed upper half region. The image mapping unit 185 maps an image of various diseases that may occur during smoking in a condi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extracted upper body region and provides the image through a display unit 188 disposed therein. At this time, the mapped imag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degree of the disease image becomes more severe over time, that is, over the smoking time. Therefore, smokers ar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smoking in the booth, which can reduce the smoking time and recognize the need for smoking cessation.

이때, 적외선 센서모듈을 구비하는 카메라(182)를 통해 흡연자가 담뱃불을 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음성생성부(186)는 담배불을 붙인시간과 끈시간으로 담배핀 시간을 계산하고, 이로부터 흡연자의 생명이 감소한 것을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흡연자는 흡연이 자신에게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시각과 청각적으로 느끼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it is confirmed through the camera 182 equipped with the infrared sensor module that the smoker has cut the cigarette, the voice generator 186 calculates the cigarette pin time based on the time of the cigarette light and the time of the cigaret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oice that the life has decreased. Thus, smokers can make visual and auditory sense of the serious effects of smoking on themselv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는 흡연공간을 제공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간접흡연을 예방함과 동시에 흡연자에게 금연예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oking space to prevent the passive smoking to the surrounding people and to provide the smoker with a smoking prevention effect.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흡연부스는 부스내부의 중앙공간에 스프레이형 물분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ar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ray type water distributing part in a central space inside the booth.

스프레이형 물분사부(190)는 부스내부의 중앙에 배치되며, 전술한 덮개부(140)에 수용된 집수부(144)에 수용된 우수를 활용하여 작동된다. 스프레이형 물분산부(190)는 내부공간의 상단에 복수의 분사노즐이 구비되고, 분사노즐을 통해 우수를 스프레이 분사하게 된다. 분사노즐의 직경은 0.2 ~ 0.4mm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5 ~ 20bar 압력과 6 ~ 25cc/min 량으로 분사할 수 있다.The spray type water distributing unit 19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booth and operated by utilizing the storm received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144 accommodated in the lid unit 140 described above. The spray type water dispersing unit 19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space, and spray the spray through the spray nozzles. The diameter of the injection nozzle may be 0.2 to 0.4 mm, and may be injected at a pressure of 5 to 20 bar and an amount of 6 to 25 cc / min.

분사노즐의 반대측에는 분사된 우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선반거치대(미표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선반거치대에는 집수되는 우수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필터장치와 집수로(144)로 이송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송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ray nozzle so that the sprayed rainwater can be collected. In order to purify the collected rainwater, the water can be transported to the filter device and the water collecting passage 144 so as to be recycled. A transfer pump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스프레이형 물분사부를 통해서 온도강하, 쿨러, 습기, 먼지줄임, 냄새제거, 정전기방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temperature drop, the cooler, the moisture, the dust reduction, the odor removal, and the static electricity prevention through the spray type water splash part.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10 : 바닥 지지부 120 : 수직 프레임
130 : 사이드 패널 140 : 덮개부
150 : 제연덕트 160 : 태양광 발전부
170 : 화분 180 : 제어부
110: bottom support part 120: vertical frame
130: side panel 140:
150: Smoke duct 160: Solar power generation part
170: flower pot 180:

Claims (5)

판상으로 형성되는 바닥 지지부, 상기 바닥 지지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 서로 이웃하는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덮개부; 및 흡연에 따라 발생하는 흡연연기를 상기 덮개부의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제연덕트;를 구비하는 모듈형 흡연부스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식물이 식재된 화분; 및
내부공간에 구비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사람의 입출입이 감지되면 입출입 상태에 따라 상기 제연덕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의 종단에 종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각각 연결되는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위치에서 3축 연결구와 3축 결합구를 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3축 연결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단에 대응되는 판상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연결홀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연결판;
상기 횡방향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대응되는 판상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연결홀을 구비하여 일측이 상기 제1 연결판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횡방향 수평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연결판; 및
상기 종방향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대응되는 판상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연결홀을 구비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측 및 타측 각각이 상기 제1 연결판의 타측과 상기 제2 연결판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3 연결판;을 구비하며,
상기 3축 결합구는,
상기 제1 연결홀에 대응되는 제1 결합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연결판에 맞닿는 상기 제2 연결판 및 상기 제3 연결판의 위치를 향하여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L’자 형상의 제1 띠판;
상기 제2 연결판과 맞닿는 위치에서 굴절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연결홀에 대응되는 제2 결합홀을 구비하는 제2 띠판; 및
상기 제3 연결판과 맞닿는 위치에서 굴절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연결홀에 대응되는 제3 결합홀을 구비하는 제3 띠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띠판, 상기 제2 띠판 및 상기 제3 띠판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흡연부스.
A bottom supporting portion formed in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pporting portion, A side panel extending upwardly between adjacent vertical frames to form an inner space; A lid part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a ventilation duct for venting the smoking smoke generated according to smoking to the outside of the lid part,
A solar power generator disposed above the lid;
A flowerpot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planted with a purifying plant for purifying indoor air;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input / output conditions when a human being is input / output through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an internal space,
The lid portion
And a horizontal and a vertical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each other in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Wherein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horizontal frames are coupled through a triaxial coupling hole and a triaxial coupling hole at positions arrang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Wherein the three-
A first connection plate formed in a plate-like fan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a first connection hole and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to extend upward to connect to the horizontal horizontal frame, A second connecting plate; And
And a third connecting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extending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 third connecting plate integrally joined,
The three-
And a first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toward the positions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the third coupling plate abutting the first coupling plate about the first coupling hole An L-shaped first band;
A second band that is refracted at a position where it abuts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nd extends upward, and has a second engagement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And
And a third band that is bent at a position where it abuts the third coupling plate and extends upward, and has a third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upling hole,
Wherein the first band plate, the second band plate and the third band plate are integral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프레임에 결합되어 상부의 노출을 폐쇄하며 상기 태양광 발전부를 지지하는 지붕;
상기 지붕에 형성되어, 상기 지붕을 따라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부; 및
상기 집수부와 상기 화분을 연결하여 상기 집수부에 집수되는 우수를 상기 화분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흡연부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portion
A roof coupled to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horizontal frames to close the top exposure and to support the solar power generation portion;
A collecting part formed on the roof and collecting rainwater along the roof; And
And a supply line connecting the collector with the flowerpot to supply rain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to the flowerpo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토사를 수용하여 정화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로 형성되며, 양측 종단이 개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노출된 토사를 덮는 판형 코르크판; 및
상기 수용부의 양측 종단을 막도록 각각 결합되는 제1 막음판 및 제2 막음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막음판은 하측에 제1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막음판은 상측에 상기 제1 구멍의 위치보다 높은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에 기설정된 수위량을 초과되지 않도록 물을 배출하는 배출라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흡연부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llen
A receiving part formed of " ∪ " for accommodating the soil and planting the purified plant, and having both ends opened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plate-like cork plate covering the gravel exposed above the receiving portion; And
And a first blocking plate and a second blocking plate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close both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blocking plate has a first hole formed on a lower side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a second hole higher than a position of the first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locking plate, And connected to a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water so as not to exceed the water leve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19121A 2018-02-19 2018-02-19 Modular type smoking booth KR101896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21A KR101896095B1 (en) 2018-02-19 2018-02-19 Modular type smoking bo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21A KR101896095B1 (en) 2018-02-19 2018-02-19 Modular type smoking boo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095B1 true KR101896095B1 (en) 2018-10-10

Family

ID=6387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121A KR101896095B1 (en) 2018-02-19 2018-02-19 Modular type smoking boo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09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157B1 (en) * 2019-07-08 2020-02-04 전현수 Fine dust evacuation booth
KR102145004B1 (en) * 2020-04-16 2020-08-18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Prefabricated facility with fine dust avoidance and reduction function
KR20210012749A (en)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청운이엔지 Eco-friendly shelter that provides comfort, including air purific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026B1 (en) * 2010-08-18 2011-02-17 (주) 나라디자인 Partition block
KR101471881B1 (en) * 2014-07-16 2014-12-10 노완상 An eco-friendly smoking booth for ventilation and sterilization
JP2016189876A (en) * 2015-03-31 2016-11-10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Smoking sp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026B1 (en) * 2010-08-18 2011-02-17 (주) 나라디자인 Partition block
KR101471881B1 (en) * 2014-07-16 2014-12-10 노완상 An eco-friendly smoking booth for ventilation and sterilization
JP2016189876A (en) * 2015-03-31 2016-11-10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Smoking spa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157B1 (en) * 2019-07-08 2020-02-04 전현수 Fine dust evacuation booth
KR20210012749A (en)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청운이엔지 Eco-friendly shelter that provides comfort, including air purification
KR102305602B1 (en) * 2019-07-26 2021-09-27 주식회사 청운이엔지 Eco-friendly shelter that provides comfort, including air purification
KR102145004B1 (en) * 2020-04-16 2020-08-18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Prefabricated facility with fine dust avoidance and reduc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095B1 (en) Modular type smoking booth
KR102268653B1 (en) Wall planting structure with air purification
KR10155719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s using hydrophyte
KR20140145494A (en) Air cleaner using plants
US20140157690A1 (en) Building
JP2014198035A (en) Plant cultivation greenhouse
KR102076358B1 (en) Wall greening system and air purification system
JP2012044873A (en) Facility for plant growth
CN111213517B (en) Assembled greening partition wall
JP2007060981A (en) Greening apparatus intended for air purification, capture of noxious insect and reduction of temperature
JP6081003B1 (en) Plant growing greenhouse
JPWO2013001662A1 (en) Building
JP2011097883A (en) Elevation surface greening panel unit
CN106823703A (en) It is a kind of to eliminate the dehumanization method that returnairshaft mouthful white smoke phenomenon is produced
KR102353316B1 (en) Self-purification smoking boot using solar energy
KR102304116B1 (en) Ceiling installation type chamber air purification system for bus station
JP3631954B2 (en) Pesticide-free green house and its ventilation method
KR200460041Y1 (en) emission device of cigarette smoke
KR20100037482A (en) The interior of the butterfly mating and the large quantity not yet column the infrastructure
JP2002004799A (en) Resting room in tunnel
CN219175972U (en) Smoke exhausting type smoke exhausting pavilion
KR101304784B1 (en) Indoor Greening System
JPH07279448A (en) Apartment house structure
CN212589888U (en) Organic apple orchard protection against rodents device
KR20100079001A (en) Gap stand of a flower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